KR20120111206A - 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206A
KR20120111206A KR1020110029580A KR20110029580A KR20120111206A KR 20120111206 A KR20120111206 A KR 20120111206A KR 1020110029580 A KR1020110029580 A KR 1020110029580A KR 20110029580 A KR20110029580 A KR 20110029580A KR 20120111206 A KR20120111206 A KR 20120111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p
storage container
wasps
soju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욱철
Original Assignee
정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욱철 filed Critical 정욱철
Priority to KR1020110029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1206A/ko
Publication of KR20120111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2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저장용기에 30 ~ 35도의 소주를 넣는 사전 준비과정과; 살아 있는 말벌 수마리 내지 수십마리를 그물에 넣고 상기 소주에 넣었다 빼냈다를 반복하여 상기 말벌의 움직임이 둔화되도록 한 후에 상기 저장용기에 상기 말벌을 투입하는 말벌 투입과정과; 저장용기의 뚜껑을 밀봉하는 밀봉과정과; 이를 비교적 서늘한 곳에 적어도 1년 이상 숙성하는 숙성과정과; 숙성된 액체를 분리하는 마감단계의 일련의 단계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The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useing a Vespa mandarina}
본 발명은 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말벌의 각종 염증에 대한 효과를 피부보습, 미백 및 주름펴짐효과와 더불어 여드름 치료 등의 항염증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하여 개발된 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말벌은 몸길이는 암컷이 약 25 mm, 수컷이 약 20 mm로서 한국을 비롯하여 유럽에서 극동에까지 널리 분포한다. 말벌에는 몸집이 가장 큰 장수 말벌, 꼬마장수말벌, 좀말벌, 털보말벌, 황말벌, 검정말벌 등이 있다.
말벌은 주로 인적이 드문 곳의 땅을 파고 집을 짓는 성질이 있으며 식물의 수액이나 꿀 등도 먹으며 주로 여름에는 각종 곤충류를 먹이로 하여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먹이가 부족한 가을철에는 다른 벌집을 공격하는 경우가 많아 양봉업자에게는 해충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았다.
더욱이 큰 덩치와 강한 턱 그리고 튼튼한 껍질과 함께 일반 꿀벌의 수백배에 이르는 강력한 독침으로 사마귀조차 말벌의 사냥감이 되기도 하며 일반 벌집을 공략할 경우 한 마리가 수백 마리의 벌을 죽이기에 두렵기까지 한 존재이며, 인간도 예외가 될 수 없이 수회 이상의 독침에 쏘이게 되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하지만 말벌의 경우 예로부터 많은 약효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왔는데 제일 오래된 기록이 통일신라시대에 말벌집 즉 노봉방을 이용했던 기록이 전해온다.
이렇게 일반적으로 말벌집의 경우 항염증 작용, 진통작용, 해열 및 지열작용, 강신 작용, 혈압 저하, 이뇨, 구충작용 등이 있으며 민간에서는 말벌집을 말려서 볶은 다음 그 가루를 내어 복용하면 폐암과 유방암 등에 효염이 있다고 전해진다.
또 말벌집에 들어 있는 애벌레의 경우 40가지가 넘는 각종 단백질, 칼륨, 철 등 미네랄이 풍부한 영양식품이며 말벌의 경우 애벌레는 늘 영양분이 가득한 액체를 내부에 채우게 되는데 이는 성충벌이 배가 고프면 자극하여 이를 토하게 하여 먹는 영양교환을 하는 특성이 있으며 이 액체를 말벌쥬스라 하여 많은 효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 다른 연구로는 봉독에 대한 연구로 단백질이 주성분인 이 봉독의 경우 항생제의 천 배에 달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독의 강도가 꿀벌의 600배에 이르는 말벌의 경우 펩타이드(Peptide)란 물질을 함유하게 되는데 독과 함께 이러한 성분이 심장의 부정맥증에 유효하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일본에는 수년 전부터 말벌독 붐을 이루고 있다.
이렇게 일반적으로 말벌을 이용하여 피로회복, 고혈압, 신경성류마치스, 천식, 불면증 등 다양한 질병에 큰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이 복용하는 것으로 외용약 또는 화장품으로의 개발은 부족한 감이 있는 상황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피부에 흡수가 잘되고 직접적인 자극을 주는 성분이 충분히 중화된 상태에서 피부에 바르도록 하여 피부보습, 항염증 치료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은 저장용기에 30 ~ 35도의 소주를 넣는 사전 준비과정과; 살아 있는 말벌 수마리 내지 수십마리를 그물에 넣고 상기 소주에 넣었다 빼냈다를 반복하여 상기 말벌의 움직임이 둔화되도록 한 후에 상기 저장용기에 상기 말벌을 투입하는 말벌 투입과정과; 저장용기의 뚜껑을 밀봉하는 밀봉과정과; 이를 비교적 서늘한 곳에 적어도 1년 이상 숙성하는 숙성과정과; 숙성된 액체를 분리하는 마감단계의 일련의 단계가 연속적으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말벌 투입과정의 전 또는 후에는 말법집을 일정크기로 잘라 용기에 투입하는 노봉방 투입과정을 추가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부보습, 미백 및 주름펴짐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말벌을 이용한 액체를 제조하여 이를 단독 또는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화장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로 피부치료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저장용기에 30 ~ 35도의 소주를 넣는 사전 준비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알콜의 도수와는 삼투압 현상에 의하여 말벌이 함유된 각종 성분이 제한된 시간에 스며나오게 하기 위한 조건이다.
이후 살아있는 말벌을 생포하여 그물에 가둬서 소주에 담갔다 빼냈다 하는 과정을 거치면 말벌의 확동이 둔화되면서 소주에 담겨진 말벌은 독을 방출하게된다. 이에 의해 말벌의 독성분이 소주에 방출된다.
이때 살아있는 개체를 투입하는 이유는 죽어있는 말벌의 경우 일반적으로 급속하게 굳어버리는 벌의 독 등으로 인하여 유효한 약효가 적게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말벌은 소주 1.8리터당 생포된 말벌 약40 ~ 180마리 정도 혼합한다. 독성분이 많은 말벌(예컨대 장수말벌)일 수록 혼합되는 말벌의 양은 줄어 들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마지막으로 저장용기의 뚜껑을 밀봉하는 밀봉과정과, 이를 비교적 서늘한 곳에 적어도 1년 이상 숙성하는 숙성과정과, 숙성된 액체를 분리하는 마감단계의 일련의 단계를 거쳐 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숙성과정에서는 빛이 최소화된 어두운 곳이 내용물의 변질을 막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말벌 투입과정의 전 또는 후에는 말법집을 정정크기로 잘라 용기에 투입하는 노봉방 투입과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추가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본원에서 나타나는 항염증의 효과는 일반적으로 봉독이 항염증 치료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를 소주에 숙성하여 적당량이 함유되도록 하고, 이를 피부에 바르면 알콜의 증발에 의하여 모공이 열리고 이에 봉독이 피부에 스며들어 각종 여드름에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말벌집 즉 노봉방을 투입하는 이유는 노봉방의 경우 말벌이 나무의 가루와 타액을 혼합하여 집을 짓고 이는 땅속에서 수 개월에서 수년을 지내온 것으로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에서는 유옹, 옹저(악성 종기), 악창(고치기 힘든 악성 부스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분은 역시 소주의 알콜에 의하여 스며나오게 되므로 역시 그 효과가 더욱 우수해진다고 하겠다.

Claims (2)

  1. 저장용기에 30 ~ 35도의 소주를 넣는 사전 준비과정과;
    살아 있는 말벌 수마리 내지 수십마리를 그물에 넣고 상기 소주에 넣었다 빼냈다를 반복하여 상기 말벌의 움직임이 둔화되도록 한 후에 상기 저장용기에 상기 말벌을 투입하는 말벌 투입과정과;
    저장용기의 뚜껑을 밀봉하는 밀봉과정과;
    이를 비교적 서늘한 곳에 적어도 1년 이상 숙성하는 숙성과정과;
    숙성된 액체를 분리하는 마감단계의 일련의 단계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벌 투입과정의 전 또는 후에는 말법집을 정정크기로 잘라 용기에 투입하는 노봉방 투입과정을 추가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10029580A 2011-03-31 2011-03-31 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KR20120111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580A KR20120111206A (ko) 2011-03-31 2011-03-31 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580A KR20120111206A (ko) 2011-03-31 2011-03-31 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206A true KR20120111206A (ko) 2012-10-10

Family

ID=4728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580A KR20120111206A (ko) 2011-03-31 2011-03-31 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12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009A (ko) * 2021-07-27 2023-02-0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말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009A (ko) * 2021-07-27 2023-02-0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말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ddy et al. Medicinal plants used by ethnic people of Medak district, Andhra Pradesh
Crane The past and present importance of bee products to man
KR20120100450A (ko) 장수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US10517904B2 (en) Method for preparing an adsorbed drone brood and the composition thereof
Nautiyal et al. Role of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on field margin vegetation in sustainable development: A study in a rural-urban interface of Bengaluru
US20090317503A1 (en) Eyelid Preparation and Method of Use
Ancheta et al. Wound healing property of Carica papaya stem in albino rats
KR20120111206A (ko) 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CN105211000A (zh) 中蜂巢蜜高产方法
CN108576217A (zh) 一种大米防虫方法及其防虫剂
KR20120017520A (ko) 식품용 솔잎차 및 건강식품용 솔잎분말제조방법
Norten Neem: India's miraculous healing plant
CN106342916A (zh) 一种白蚁防治喷剂
CN105052630B (zh) 防治沉香木虫害的方法
KR101277754B1 (ko) 꿀벌응애류 방제용 훈증제 조성물 및 그 훈증제 조성물을 이용한 훈증제 제조방법
KR20150019508A (ko) 복분자 꿀 제조 방법
CN103300078A (zh) 一种蔬菜用中药杀虫剂
CN106386108A (zh) 降低甘蔗病虫害的环保种植方法
US2863804A (en) Method of treating mange with extract of cedar leaf
JPS591408A (ja) ヘヤ−トニツクの製造方法
Nath et al. Beekeeping as an Entrepreneurship
Ama-Ogbari Apiculture as an aspect of Nigeria’s economic history
RU2807136C1 (ru)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варроатозом пчел
KR20200101169A (ko) 잣송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제조 방법
KR20140028281A (ko) 꿀벌을 이용한 마사지용 발효 숙성 벌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