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515A -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515A
KR20120110515A KR1020110028410A KR20110028410A KR20120110515A KR 20120110515 A KR20120110515 A KR 20120110515A KR 1020110028410 A KR1020110028410 A KR 1020110028410A KR 20110028410 A KR20110028410 A KR 20110028410A KR 20120110515 A KR20120110515 A KR 20120110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nnel
digital
un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8572B1 (ko
Inventor
양영석
Original Assignee
양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석 filed Critical 양영석
Priority to KR1020110028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57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파차단지역 및 전파음영지역에 AM/FM 방송 및 지상파 DMB 방송의 공중파 방송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채널별 분리 증폭방식으로 각 채널을 구분하여 중계함으로써 중계되는 전파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 무선통신 주파수를 중계하고 비상상황 발생시 AM/FM 방송 및 지상파 DMB 방송을 통해 비상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원격지에서 중계장치를 종합적으로 제어 및 감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UNDERGROUND RADIO NETWORK INTEGRATED REPEATER SYSTEM BY DIGITAL}
본 발명은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이나 광산의 갱도, 지하상가, 지하철 또는 지하주차장 등의 전파차단지역 및 전파음영지역에 AM/FM 방송 및 지상파 DMB 방송의 공중파 방송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채널별 분리 증폭방식으로 중계하여 중계되는 전파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 무선통신 주파수를 중계하고 비상상황 발생시 AM/FM 방송 및 지상파 DMB 방송을 통해 비상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원격지에서 중계장치를 종합적으로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계기는 방송, 이동통신 또는 무선통신망을 사용할 때에 산이나 빌딩 또는 지형지물 등에 의해 전파가 차단되거나 간섭되는 지역, 또, 터널, 산간, 지하주차장 또는 지하철 등과 같이 전파도달이 어려운 전파 음영지역에서 발생되는 전파 불감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 인근의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 및 증폭시켜 불감지역 내부로 신호를 전파시킴으로서, 방송, 이동통신 또는 무선통신망의 이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통화지역으로 전환시키는 장비로서 중계기가 적용된다.
그리하여 각 방송국과 이동통신사업자 및 무선통신망을 운영하는 업체는 막대한 설치비와 운영비를 들여 중계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아직도 많은 지하공간에서 무선통신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각 방송국과 이동통신사업자 및 무선통신망을 운영하는 업체는 막대한 설치비와 운영비를 들여 중계기를 많은 지역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요즈음에는 심한 주차난으로 인해 지하주차장이 많이 건설되면서 지하에 상가 등의 공공 이용 구조물을 많이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교통난으로 인하여 터널을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교통체증 시에는 터널에서 장시간 느린 속도로 주행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함은 물론, 지하철을 이용하는 인원의 증가와 함께 지하철에서의 생활시간도 급격히 증가되고 있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므로 터널, 지하주차장, 지하상가, 지하철 등의 전파 장애지역에서도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수신, 및 이동통신 서비스가 원활히 이루어져야 하며, 전파불감지역 생활인들의 안전을 위한 소방무선 신호의 송, 수신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전파 장애지역으로 전파를 중계하기 위해 아날로그 스트레이트 증폭방식을 사용하여 중계할 경우 성능은 우수하지만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방송채널이 많아짐에 따라 출력합성시 인접한 채널간의 분해능이 떨어져 인접한 채널간에 서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광대역 증폭방식을 사용하여 중계할 경우 가격적인 면에서는 저렴하지만 하나의 증폭기 자체에서 발생하는 불요파로 인하여 약한 세기의 방송주파수는 혼신을 받아 청취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전파차단지역 및 전파음영지역에 AM/FM 방송 및 지상파 DMB 방송의 공중파 방송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채널별 분리 증폭방식으로 중계하여 중계되는 전파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 무선통신 주파수를 중계하고 비상상황 발생시 AM/FM 방송 및 지상파 DMB 방송을 통해 비상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원격지에서 중계장치를 종합적으로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는 수신안테나로부터 수신된 공중파 방송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안테나수신부와; 이벤트신호가 입력될 경우 저장된 비상방송이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비상방송을 증폭, 변조, 재증폭 및 합성시켜 출력시키는 비상방송부; 안테나수신부로부터 수신된 공중파 방송신호와 비상방송부로부터 입력된 비상 방송신호를 절체시키는 자동절체부; 자동절체부로부터 수신된 AM방송신호 대역의 다중채널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채널별 분리증폭 방식으로 처리하여 중계하는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 자동절체부으로부터 수신된 FM방송신호 대역의 다중채널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채널별 분리증폭 방식으로 처리하여 중계하는 F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 자동절체부로부터 수신된 지상파 DMB 방송신호 대역의 다중채널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채널별 분리증폭 방식으로 처리하여 중계하는 지상파 DMB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 외부 무선통신을 중계하는 외부 무선통신 중계부;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 F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 지상파 DMB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 및 외부 무선통신 중계부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여부를 원격에서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송수신하는 장치관리부; F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와 지상파 DMB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와 외부 무선통신 중계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하나의 송신케이블로 전송하기 위해 각각의 입력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출력합성부;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송출하는 AM 송출부; 및 출력합성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송출하는 FM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AM 송출부는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배시키는 제 1분배기; 제 1분배기로부터 분배된 신호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제 1임피던스 정합기; 및 제 1임피던스 정합기와 종단저항 사이에 연결되어 분배된 신호를 송출하는 제 1 AM유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 1분배기로부터 분배된 신호를 재분배시키는 제 3분배기; 제 3분배기로부터 분배된 신호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제 2내지 제 3임피던스 정합기; 및 제 2 내지 제 3임피던스 정합기와 종단저항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분배된 신호를 송출하는 제 2내지 제 3 AM유도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FM 송출부는 출력 합성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배시키는 제 2분배기; 및 제 2분배기와 종단저항 사이에 연결되어 분배된 신호를 송출하는 제 1누설 동축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 2분배기로부터 분배된 신호를 재분배시키는 제 4분배기; 및 제 4분배기에서 재분배되어 종단저항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재분배된 신호를 송출하는 제 2내지 제 3 누설 동축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는 AM방송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입력받아 다수개의 채널 중 설정된 채널에 대해 채널 필터링을 각각 수행하는 다수개의 채널중계기; 다수개의 채널중계기를 통해 중계된 각 채널의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다수개의 레벨검출부; 다수개의 채널중계기를 통해 중계된 각 채널의 신호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게인조정부; 다수개의 채널중계기에 채널을 설정하고 다수개의 레벨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레벨에 따라 각 채널의 게인을 조정하여 다수개의 게인조정부를 제어하며 장애여부를 출력하는 중계제어부; 다수개의 게인조정부를 통해 출력되는 각 채널의 신호를 합하여 출력하는 채널출력부; 채널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F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는 FM방송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입력받아 다수개의 채널 중 설정된 채널에 대해 채널 필터링을 각각 수행하는 다수개의 채널중계기; 다수개의 채널중계기를 통해 중계된 각 채널의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다수개의 레벨검출부; 다수개의 채널중계기를 통해 중계된 각 채널의 신호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게인조정부; 다수개의 채널중계기에 채널을 설정하고 다수개의 레벨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레벨에 따라 각 채널의 게인을 조정하여 다수개의 게인조정부를 제어하며 장애여부를 출력하는 중계제어부; 다수개의 게인조정부를 통해 출력되는 각 채널의 신호를 합하여 출력하는 채널출력부; 채널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지상파 DMB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는 지상파 DMB 방송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입력받아 다수개의 채널 중 설정된 채널에 대해 채널 필터링을 각각 수행하는 다수개의 채널중계기; 다수개의 채널중계기를 통해 중계된 각 채널의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다수개의 레벨검출부; 다수개의 채널중계기를 통해 중계된 각 채널의 신호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게인조정부; 다수개의 채널중계기에 채널을 설정하고 다수개의 레벨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레벨에 따라 각 채널의 게인을 조정하여 다수개의 게인조정부를 제어하며 장애여부를 출력하는 중계제어부; 다수개의 게인조정부를 통해 출력되는 각 채널의 신호를 합하여 출력하는 채널출력부; 채널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외부 무선통신은 경찰무선, 소방무선, TRS(Trunked Radio Syste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장치관리부는 제어 및 감시신호를 원격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LAN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파차단지역 및 전파음영지역에 AM/FM 방송 및 지상파 DMB 방송의 공중파 방송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채널별 분리 증폭방식으로 각 채널을 구분하여 중계함으로써 중계되는 전파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 무선통신 주파수를 중계하고 비상상황 발생시 AM/FM 방송 및 지상파 DMB 방송을 통해 비상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원격지에서 중계장치를 종합적으로 제어 및 감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의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의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는 안테나수신부(102), 비상방송부(110), 자동절체부(130),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0), F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2), 지상파 DMB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4), 외부 무선통신 중계부(186), 장치관리부(150), 출력합성부(170), 제 1분배기(200) 및 제 2분배기(204)를 포함한다.
안테나수신부(102)는 수신안테나(101)로부터 수신되는 AM, FM, 지상파 DMB 등의 공중파 방송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비상방송부(110)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수신반(미도시)의 화재경보 신호에 따른 이벤트신호가 입력될 경우 저장된 비상방송 및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비상방송을 증폭, 변조, 재증폭 및 합성시켜 AM 방송, FM 방송 및 지상파 DMB 방송을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각 주파수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자동절체부(130)는 안테나수신부(102)로부터 수신된 공중파 방송신호와 비상방송부(110)로부터 입력된 비상방송 신호를 절체시켜 비상방송 시에는 안테나수신부(102)를 통해 입력되는 공중파 방송신호를 차단하고 비상방송이 출력되도록 절체하며, 평상시에는 안테나수신부(102)에서 입력되는 방송신호가 출력되도록 절체한다.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0)는 자동절체부(130)로부터 수신된 AM방송신호 대역의 다중채널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채널별 분리증폭 방식으로 처리하여 중계한다.
F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2)는 자동절체부(130)로부터 수신된 FM방송신호 대역의 다중채널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채널별 분리증폭 방식으로 처리하여 중계한다.
지상파 DMB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30)는 자동절체부(130)로부터 수신된 지상파 DMB 방송신호 대역의 다중채널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채널별 분리증폭 방식으로 처리하여 중계한다.
외부 무선통신 중계부(186)는 경찰무선(188), 소방무선(190), TRS(Trunked Radio System)(192) 등의 외부 무선통신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중계한다.
장치관리부(150)는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0), F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2), 지상파 DMB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4) 및 외부 무선통신 중계부(186)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여부를 원격에서 제어하고 감시하기 위해 LAN접속부를 통해 제어 및 감시신호를 원격으로 송수신한다.
따라서, 장치관리 시스템(미도시)을 구축할 경우 LAN접속부를 통해 이더넷 통신으로 제어 및 감시신호를 송수신하면서 원격지에서 중계장치의 동작을 제어 및 감시할 수 있다.
출력합성부(170)는 F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2)와 지상파DMB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4)와 외부 무선통신 중계부(18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하나의 송신케이블로 전송하기 위해 각각의 입력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AM 송출부는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0)로부터 입력된 AM 방송신호를 지하공간으로 송출한다.
이때 AM 송출부로써 AM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송출할 경우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0)에 직접 연결되어 AM 방송신호를 송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AM유도선을 통해 송출할 수 있다.
AM유도선을 통해 송출할 경우 AM 송출부는 제 1분배기(200)를 통해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배시키고, 제 1분배기(200)로부터 분배된 신호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제 1임피던스 정합기(202)를 매개하여 제 1임피던스 정합기(202)와 종단저항(226) 사이에 연결된 제 1AM유도선(214)을 통해 분배된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지하공간으로 중계된 AM 방송신호를 송출한다.
더욱더 넓은 공간으로 AM 방송신호를 송출하기 위해서는 제 3분배기(206)를 통해 제 1분배기(200)로부터 분배된 신호를 재분배시키고, 제 3분배기(206)로부터 분배된 신호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제 2내지 제 3임피던스 정합기(210)(212)를 매개하여 제 2 내지 제 3임피던스 정합기(210)(212)와 종단저항(232)(236) 사이에 각각 연결된 제 2내지 제 3 AM유도선(220)(224)을 통해 분배된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AM 방송신호를 넓은 지하공간으로 송출할 수 있다.
FM 송출부는 출력합성부(170)로부터 입력된 FM 방송신호, 지상파 DMB 방송신호 및 외부 무선통신 신호를 지하공간으로 송출한다.
이때 FM 송출부로써 FM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송출할 경우 출력합성부(170)에 직접 연결되어 FM 방송신호, 지상파 DMB 방송신호 및 외부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설 동축케이블을 통해 송출할 수 있다.
누설 동축케이블을 통해 송출할 경우 FM 송출부는 제 2분배기(204)를 통해 출력 합성부(17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배시키고, 제 2분배기(204)와 종단저항(228) 사이에 연결된 제 1누설 동축케이블(216)을 통해 분배된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지하공간으로 중계된 FM 방송신호, 지상파 DMB 방송신호 및 외부 무선통신 신호를 지하공간으로 송출한다.
더욱더 넓은 공간으로 FM 방송신호, 지상파 DMB 방송신호 및 외부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서는 제 4분배기(208)를 통해 제 2분배기(204)로부터 분배된 신호를 재분배시키고, 제 4분배기(208)에서 재분배되어 종단저항(230)(234) 사이에 각각 연결된 제 2내지 제 3 누설 동축케이블(218)(222)을 통해 재분배된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더욱더 넓은 공간으로 송출할 수 있다.
위에서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0)와 F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2)와 지상파 DMB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4)는 처리되는 주파수의 범위만 AM 주파수 대역, FM 주파수 대역 및 지상파 DMB 주파수 대역으로 서로 다르고 다중채널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채널별 분리증폭 방식으로 처리하는 구성은 동일하여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를 나타낸 블록구성도를 통해 종합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0)와 F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2)와 지상파 DMB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184)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310), 제 1내지 제 n채널중계기(320_1~320_n), 제 1내지 제 n레벨검출부(340_1~340_n), 제 1내지 제 n게인조정부(350_1~350_n), 중계제어부(330), 채널출력부(360),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370) 및 전력증폭부(380)를 포함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310)는 자동절체부(130)로부터 수신된 AM 방송신호 대역의 다중채널 신호나 FM 방송신호 대역의 다중채널 신호 또는 지상파 DMB 방송신호 대역의 다중채널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제 1내지 제 n채널중계기(320_1~320_n)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310)에서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입력받아 다수개의 채널 중 중계제어부(330)에서 설정한 채널에 대해 채널 필터링을 각각 수행한다.
제 1내지 제 n채널중계기(320_1~320_n)에서는 AM 방송신호 대역과 FM 방송신호 대역과 지상파 DMB 방송신호 대역의 LOW IF 신호를 기저대역 IQ 신호로 변환하고, 데이메이션(Decimation) 및 왜곡(aliasing)을 방지하기 위해 로우패스 필터링하며, 채널 필터링된 IQ신호를 LOW IF 신호로 변환하여 채널을 중계한다. 이때, I신호와 Q신호는 각각 분리되어 각각 처리된 후 합해져 출력된다.
제 1내지 제 n레벨검출부(340_1~340_n)는 제 1내지 제 n채널중계기(320_1~320_n)를 통해 중계된 각 채널의 신호레벨을 검출하여 제 1내지 제 n채널중계기(320_1~320_n)를 거치면서 낮아진 신호레벨을 복원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내지 제 n게인조정부(350_1~350_n)는 제 1내지 제 n채널중계기(320_1~320_n)를 통해 중계된 각 채널의 신호레벨을 중계제어부(330)에서 제 1내지 제 n레벨검출부(340_1~340_n)를 통해 검출된 신호레벨에 따라 제어함에 따라 상향조정하거나 하향조정한다.
중계제어부(330)는 제 1내지 제 n채널중계기(320_1~320_n)에서 중계할 채널을 설정하고 제 1내지 제 n레벨검출부(340_1~340_n)에서 검출된 신호레벨에 따라 각 채널의 게인을 조정하여 제 1내지 제 n게인조정부(350_1~350_n)를 제어하며 장애여부를 장치관리부(150)로 출력한다.
채널출력부(360)는 제 1내지 제 n게인조정부(350_1~350_n)를 통해 출력되는 각 채널의 신호를 합하여 출력한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370)는 채널출력부(36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전력증폭부(380)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37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AM 방송신호나 FM 방송신호 또는 지상파 DMB 방송신호에 대해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각 채널별로 구분하여 필터링하고 신호레벨을 조정하여 중계함으로써 중계되는 전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1 : 수신안테나 102 : 안테나 수신부
110 : 비상방송부 130 : 자동절체부
150 ; 장치관리부 170 : 출력합성부
180 :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
182 : F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
184 : 지상파 DMB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
186 : 외부 무선통신 중계부
200, 204, 206, 208 : 제 1내지 제 4분배기
202, 210, 212 : 제 1내지 제 3임피던스 정합기
214, 220, 224 : 제 1 내지 제 3 AM유도선
216, 218 222 : 제 1 내지 제 3 누설 동축케이블
226, 228, 230, 232, 234, 236 : 종단저항
310 :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320_1~320_n : 제 1내지 제 n채널중계기
330 : 중계제어부 340_1~340_n : 제 1내지 제 n레벨검출부
350_1~350_n : 제 1내지 제 n게인조정부
360 : 채널출력부 370 :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380 : 전력증폭부

Claims (10)

  1. 수신안테나로부터 수신된 공중파 방송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안테나수신부와;
    이벤트신호가 입력될 경우 저장된 비상방송이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비상방송을 증폭, 변조, 재증폭 및 합성시켜 출력시키는 비상방송부;
    상기 안테나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공중파 방송신호와 상기 비상방송부로부터 입력된 비상방송신호를 절체시키는 자동절체부;
    상기 자동절체부로부터 수신된 AM방송신호 대역의 다중채널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채널별 분리증폭 방식으로 처리하여 중계하는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
    상기 자동절체부로부터 수신된 FM방송신호 대역의 다중채널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채널별 분리증폭 방식으로 처리하여 중계하는 F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
    상기 자동절체부로부터 수신된 지상파 DMB 방송신호 대역의 다중채널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채널별 분리증폭 방식으로 처리하여 중계하는 지상파 DMB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
    외부 무선통신을 중계하는 외부 무선통신 중계부;
    상기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 상기 F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 상기 DMB 중계부 및 상기 외부 무선통신 중계부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원격으로 전송하는 장치관리부;
    상기 F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와 상기 DMB 중계부와 상기 외부 무선통신 중계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하나의 송신케이블로 전송하기 위해 각각의 입력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출력합성부;
    상기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송출하는 AM 송출부; 및
    상기 출력합성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송출하는 FM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M 송출부는
    상기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배시키는 제 1분배기;
    상기 제 1분배기로부터 분배된 신호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제 1임피던스 정합기; 및
    상기 제 1임피던스 정합기와 종단저항 사이에 연결되어 분배된 신호를 송출하는 제 1 AM유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분배기로부터 분배된 신호를 재분배시키는 제 3분배기;
    상기 제 3분배기로부터 분배된 신호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제 2내지 제 3임피던스 정합기; 및
    상기 제 2 내지 제 3임피던스 정합기와 종단저항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분배된 신호를 송출하는 제 2내지 제 3 AM유도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M 송출부는
    상기 출력 합성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배시키는 제 2분배기; 및
    상기 제 2분배기와 종단저항 사이에 연결되어 분배된 신호를 송출하는 제 1누설 동축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분배기로부터 분배된 신호를 재분배시키는 제 4분배기; 및
    상기 제 4분배기에서 재분배되어 종단저항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재분배된 신호를 송출하는 제 2내지 제 3 누설 동축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는
    상기 AM방송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입력받아 다수개의 채널 중 설정된 채널에 대해 채널 필터링을 각각 수행하는 다수개의 채널중계기;
    상기 다수개의 채널중계기를 통해 중계된 각 채널의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다수개의 레벨검출부;
    상기 다수개의 채널중계기를 통해 중계된 각 채널의 신호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게인조정부;
    상기 다수개의 채널중계기에 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다수개의 레벨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레벨에 따라 각 채널의 게인을 조정하여 상기 다수개의 게인조정부를 제어하며 장애여부를 출력하는 중계제어부;
    상기 다수개의 게인조정부를 통해 출력되는 각 채널의 신호를 합하여 출력하는 채널출력부;
    상기 채널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M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는
    상기 FM방송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입력받아 다수개의 채널 중 설정된 채널에 대해 채널 필터링을 각각 수행하는 다수개의 채널중계기;
    상기 다수개의 채널중계기를 통해 중계된 각 채널의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다수개의 레벨검출부;
    상기 다수개의 채널중계기를 통해 중계된 각 채널의 신호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게인조정부;
    상기 다수개의 채널중계기에 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다수개의 레벨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레벨에 따라 각 채널의 게인을 조정하여 상기 다수개의 게인조정부를 제어하며 장애여부를 출력하는 중계제어부;
    상기 다수개의 게인조정부를 통해 출력되는 각 채널의 신호를 합하여 출력하는 채널출력부;
    상기 채널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파 DMB 디지털 다채널 중계부는
    상기 지상파 DMB 방송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입력받아 다수개의 채널 중 설정된 채널에 대해 채널 필터링을 각각 수행하는 다수개의 채널중계기;
    상기 다수개의 채널중계기를 통해 중계된 각 채널의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다수개의 레벨검출부;
    상기 다수개의 채널중계기를 통해 중계된 각 채널의 신호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게인조정부;
    상기 다수개의 채널중계기에 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다수개의 레벨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레벨에 따라 각 채널의 게인을 조정하여 상기 다수개의 게인조정부를 제어하며 장애여부를 출력하는 중계제어부;
    상기 다수개의 게인조정부를 통해 출력되는 각 채널의 신호를 합하여 출력하는 채널출력부;
    상기 채널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무선통신은 경찰무선, 소방무선, TRS(Trunked Radio Syste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관리부는 제어 및 감시신호를 원격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LAN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KR1020110028410A 2011-03-29 2011-03-29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KR101208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410A KR101208572B1 (ko) 2011-03-29 2011-03-29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410A KR101208572B1 (ko) 2011-03-29 2011-03-29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515A true KR20120110515A (ko) 2012-10-10
KR101208572B1 KR101208572B1 (ko) 2012-12-06

Family

ID=47281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410A KR101208572B1 (ko) 2011-03-29 2011-03-29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57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045A (ko) * 2014-05-19 2015-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90960A (ko) 2018-06-04 2018-08-14 (주)한솔이십일 Dmb 및 fm 신호 구내 통합전송시스템 및 dmb 및 fm 신호선택 증폭기
KR20190069890A (ko) * 2017-12-12 2019-06-20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안드로이드 기반의 재난방송용 중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방송 시스템
KR102071609B1 (ko) * 2019-07-23 2020-01-30 (주)미디어디바이스 지능형 am 중계장치 및 그 방법
KR102078839B1 (ko) * 2019-07-23 2020-02-19 (주)미디어디바이스 터널용 비상방송 무선전송장치 및 그 방법
KR102290513B1 (ko) * 2020-08-03 2021-08-17 (주)한솔이십일 Dmb 및 fm 신호를 이용하는 재난방송중계장치
KR102573882B1 (ko) * 2023-01-10 2023-09-05 (주)기산텔레콤 재난 방송 중계기의 디지털 채널 필터링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76B1 (ko) * 2016-11-10 2018-01-10 주식회사 엔토닉 출력단자 조절이 가능한 fm/dmb 신호중계기 및 중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588B1 (ko) 2006-08-29 2007-07-18 양영석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KR100843318B1 (ko) 2007-05-03 2008-07-03 주식회사 웨이브컴 다채널 지하 재방송 장치의 원격제어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045A (ko) * 2014-05-19 2015-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90069890A (ko) * 2017-12-12 2019-06-20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안드로이드 기반의 재난방송용 중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방송 시스템
KR20180090960A (ko) 2018-06-04 2018-08-14 (주)한솔이십일 Dmb 및 fm 신호 구내 통합전송시스템 및 dmb 및 fm 신호선택 증폭기
KR102071609B1 (ko) * 2019-07-23 2020-01-30 (주)미디어디바이스 지능형 am 중계장치 및 그 방법
KR102078839B1 (ko) * 2019-07-23 2020-02-19 (주)미디어디바이스 터널용 비상방송 무선전송장치 및 그 방법
KR102290513B1 (ko) * 2020-08-03 2021-08-17 (주)한솔이십일 Dmb 및 fm 신호를 이용하는 재난방송중계장치
KR102573882B1 (ko) * 2023-01-10 2023-09-05 (주)기산텔레콤 재난 방송 중계기의 디지털 채널 필터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572B1 (ko)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572B1 (ko) 디지털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KR100878998B1 (ko) 종합무선 중계장치의 원격제어 시스템
KR101379507B1 (ko) 극초단파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JP200701980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中継装置及び遠隔無線基地局装置
KR101682623B1 (ko) 무전기 통신 중계 모듈 및 시스템
KR101888141B1 (ko) 터널 라디오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0740588B1 (ko)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KR100285086B1 (ko) 지하무선망종합중계장치
KR20110114185A (ko) 지하 무선망 복합중계장치
KR101729016B1 (ko) 소방 및 업무용 무전기를 이용한 소방 무선 지령 시스템
KR20130091425A (ko) 터널용 무선중계장치
KR101343128B1 (ko) 통합 원격 비상방송 장치
KR20110052893A (ko)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KR200363176Y1 (ko)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KR101958924B1 (ko) Fm 및 dmb 중계 장치
KR100635340B1 (ko) 디지탈 방식의 지하 재방송 중계 장치
KR101367085B1 (ko) 터널용 무선중계장치의 제어방법
KR200340071Y1 (ko) 방송신호 채널별 분리 증폭방식 다채널 지하 fm방송중계기
KR102131343B1 (ko) 디지털 복조신호의 노이즈 리덕션 기능을 구현하여 전파음영지역의 방송품질을 개선한 재난방송 무선중계시스템
KR100843318B1 (ko) 다채널 지하 재방송 장치의 원격제어 시스템
KR101959958B1 (ko) 누설동축케이블 및 선로증폭기를 이용한 ip기반 무선중계시스템
KR200337657Y1 (ko) 지하재방송 광대역 중계장치
KR100690327B1 (ko) 건물내 지상파 수신 중계장치
US20230292253A1 (en) Gain autotune
KR20170116333A (ko) Fm신호 채널제어가 가능한 중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