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339A - Apparatus for sensing entry of materia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nsing entry of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339A
KR20120110339A KR1020110028126A KR20110028126A KR20120110339A KR 20120110339 A KR20120110339 A KR 20120110339A KR 1020110028126 A KR1020110028126 A KR 1020110028126A KR 20110028126 A KR20110028126 A KR 20110028126A KR 20120110339 A KR20120110339 A KR 20120110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lling
feed roller
suction
water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국
유용현
조상구
황병일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8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0339A/en
Publication of KR20120110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3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3/0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eaker blocks; Devices for freeing jammed rolls for handling cobbles; Overload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2Cleaning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87Cleaning devices removing solid particles, e.g. dust, r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21B45/06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of strip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21B45/08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3/00Path parameters
    • B21B2273/18Presence of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PURPOSE: A material entry sensing device is provided to prevent a sensing error by removing scale formed on a material, there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before inserted to a rolling unit. CONSTITUTION: A material entry sensing device comprises a rolling unit(10,60) rolling a material(S), a feed roller unit(20) which is arranged in the rear of the rolling unit and transfers the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rolling unit, a sensing unit(30) which is arranged above the feed roller unit and senses the entry of the material, a fluid spray unit(40) which is arranged above the feed roller unit and sprays fluid to the upper side of the sensing unit, and a descaler unit(80) which sprays fluid to the side of the material transferred by the feed roller unit in order to remove scale from the material. [Reference numerals] (70) Control unit

Description

소재 진입 감지장치{APPARATUS FOR SENSING ENTRY OF MATERIAL}Material entry detection device {APPARATUS FOR SENSING ENTRY OF MATERIAL}

본 발명은 소재 진입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연 공정에서 소재의 진입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소재 진입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erial entry det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terial entry detection device that can accurately detect the entry of the material in the rolling process.

일반적인 철강 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 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 공정, 액체 상태의 철이 고체로 되는 연주 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In general, steel production consists of a steelmaking process for producing molten iron, a steelmaking process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molten iron, a regeneration process in which iron in a liquid state becomes a solid, and a rolling process in which iron is made of steel or wire.

압연 공정은 연주 공정에서 생산된 슬래브, 블룸 등의 중간 소재를 회전하는 여러 개의 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늘리거나 얇게 만드는 과정을 말하며 크게 열간 압연과 냉간 압연으로 나뉜다.The rolling process refers to a process in which intermediate materials such as slabs and blooms produced in the playing process are passed between several rotating rollers to be stretched or thinned by applying a continuous force, and are roughly divided into hot rolling and cold rolling.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The technical structure described above is a background technique for assis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e prior art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은 압연 공정에서 소재의 진입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소재 진입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terial entry detection device that can accurately detect the entry of the material in the rolling proces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는: 소재를 압연하는 압연부; 상기 압연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압연부에서 송출되는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롤러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를 포함한다.Material entry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olling unit for rolling the material; A conveying roller part disposed at the rear of the rolling part to convey the material sent from the rolling part; A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transfer roller unit and detecting entry of the material; And a fluid injection part disposed above the feed roller part and injecting a fluid toward the feed roller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분사부는, 일단부가 외부의 유체공급원과 연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송롤러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배출덕트; 및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덕트의 일단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배출덕트의 타단부로 분사시키는 배출펌프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fluid injection portion, the discharge duct is disposed so that one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fluid supply source, the other end is opposed to the transfer roller portion; And a discharge pump provided in the discharge duct and injecting the fluid flowing into one end of the discharge duct to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duct.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흡입하는 수증기흡입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team suction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transfer roller unit and sucks steam generated from the material.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증기흡입부는, 상기 이송롤러부에 위치하고, 상기 소재에서 생성되는 수증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유입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덕트; 및 상기 흡입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덕트 내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를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water vapor suction unit, the suction inlet is located in the transfer roller, the water vapor generated from the material; A suction duct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and discharging the introduced water vapor to the outside; And a suction pump provided in the suction duct to provide suction power in the suction duct.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의 측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디스케일러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escaler unit disposed in front of the sensing unit and injecting a fluid toward the side of the material conveyed by the feed roller unit to remove the scale formed on the material.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의 측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디스케일러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escaler unit disposed behind the sensing unit and injecting fluid toward the side of the material conveyed by the feed roller unit to remove the scale formed on the material.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롤러부는, 이송롤러; 및 상기 이송롤러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와 상기 디스케일러부는 상기 롤러지지대에 설치된다.More preferably, the feed roller unit, a feed roller; And a roller support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feed roller, wherein the sensing unit and the descaler unit are installed on the roller support.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는 상기 소재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고, 상기 소재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상기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레이저 변위센서이다.Preferably, the detection unit is a laser displacement sensor for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material, and receives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material to detect the entry of the materi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는: 소재를 압연하는 압연부; 상기 압연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압연부에서 송출되는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흡입하는 수증기흡입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terial entry detection device includes: a rolling unit for rolling a material; A conveying roller part disposed at the rear of the rolling part to convey the material sent from the rolling part; A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transfer roller unit and detecting entry of the material; And a water vapor suction part provided in the feed roller part and sucking water vapor generated from the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는: 소재를 압연하는 압연부; 상기 압연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를 상기 압연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롤러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terial entry detection device includes: a rolling unit for rolling a material; A conveying roller part disposed in front of the rolling part and transferring the material to the rolling part; A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transfer roller unit and detecting entry of the material; And a fluid injection part disposed above the feed roller part and injecting a fluid toward the feed roller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흡입하는 수증기흡입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team suction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transfer roller unit and sucks steam generated from the material.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의 측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디스케일러부를 더 포함한다.
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escaler unit disposed in front of the sensing unit and injecting a fluid toward the side of the material conveyed by the feed roller unit to remove the scale formed on the material.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재가 압연부로 인입되기 전에 소재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압연부를 포함한 각종 기기들의 작동을 지연 없이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 지연이나 사고 발생 등에 의한 손실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고, 소재의 품질 향상을 이룰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before the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rolling part, the operation of various devices including the rolling part can be sequentially performed without delay, and thus the loss due to the production delay or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is delayed. Can be blocked, and the quality of the material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분사부에 의해 감지부의 주변에 존재하는 수증기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감지부를 통해 소재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foreign matters such as water vapor which are present around the sensing unit are removed by the fluid spraying uni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entry of the material through the sens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증기흡입부에 의해 소재 주위에서 생성되는 수증기가 제거되므로, 감지부를 통해 소재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water vapor generated around the material is removed by the water vapor suction uni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entry of the material through the detection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케일러부에 의해 소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이 제거되므로, 감지부를 통한 소재의 진입 감지 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cal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is removed by the descal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rror from occurring when detecting the entry of the material through the sens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에서 유체분사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에서 유체분사부와 수증기흡입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에서 감지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terial entry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uid injection unit is operated in the material entering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uid injection unit and the water vapor suction unit in the material entering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nsing unit is operated in a material entering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terial entry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terial entering detection device is opera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aterial entering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Further,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에서 유체분사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에서 유체분사부와 수증기흡입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에서 감지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terial entry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uid injection unit operating in the material entry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luid injection unit and the steam suction unit operate in the material entering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nsing unit is operated in a material entering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terial entering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terial entering detection device is opera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1)는 제1압연부(10), 이송롤러부(20), 감지부(30), 유체분사부(40), 수증기흡입부(50), 제2압연부(60), 제어부(70), 디스케일러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5, the material entering de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rolling unit 10, a transfer roller unit 20, a detection unit 30, and a fluid injection unit ( 40), the steam suction unit 50, the second rolling unit 60, the control unit 70, the descaler 80 is made.

제1압연부(10)와 제2압연부(60)는 소재(S)가 사상압연 공정에서 마무리 압연이 용이하게 되도록 소재(S)를 목표하는 두께와 폭으로 압연한다. 제1압연부(10)는 상측에 배치되는 제1상부워크롤(11)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1하부워크롤(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first rolling part 10 and the second rolling part 60 roll the material S to a target thickness and width such that the material S is easily rolled and finished in the finishing rolling process. The first rolling part 10 includes a first upper work roll 11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a first lower work roll 12 disposed on the lower side.

소재(S)는 제1상부워크롤(11)과 제1하부워크롤(12) 사이로 이송되면서 제1상부워크롤(11)과 제1하부워크롤(12)에 의해 압연된다. 제1압연부(10)에서 압연되어 송출되는 소재(S)는 이송롤러부(20)에 의해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The raw material S is rolled by the first upper work roll 11 and the first lower work roll 12 while being transported between the first upper work roll 11 and the first lower work roll 12. The raw material S rolled and sent from the first rolling unit 10 is transferred to the post process by the feed roller unit 20.

이송롤러부(20)는 제1압연부(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송롤러부(20)는 소재(S)를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롤러(21)와, 이송롤러(21)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onveying roller part 20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rolling part 10. The conveying roller part 20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21 for conveying the raw material S in a later process, and a roller support 22 for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conveying rollers 21.

이송롤러(21)는 제1압연부(10)의 출구측에서부터 제2압연부(60)의 입구측까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롤러지지대(22)는 이송롤러(21)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S)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최상단이 이송롤러(21)의 최상부보다 높게 형성된다. A plurality of feed rollers 21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rolling part 10 to the inlet side of the second rolling part 60. The roller support 22 has a top end higher than the top of the feed roller 21 so that the material S conveyed by the feed roller 21 is not separated outward.

롤러지지대(22)는 이송롤러(21)의 회전 지지대 역할을 위해 제1압연부(10)의 출구측에서부터 제2압연부(60)의 입구측까지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The roller support 22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rolling part 10 to the inlet side of the second rolling part 60 to serve as a rotation support of the feed roller 21.

감지부(30)는 롤러지지대(22)에 구비되어 소재(S)가 이송롤러(21)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부(30)는 롤러지지대(22) 양측에 각각 설치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일측에 한 개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ensing unit 30 is provided on the roller support 22 to detect that the raw material S enters the feed roller 21. 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unit 30 is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roller support 22, but is not limited to this one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course.

감지부(30)는 제2압연부(60)보다 제1압연부(10)에 보다 가깝게 배치된다. 이는 감지부(30)를 통해 얻어진 소재(S)의 진입 정보로 제2압연부(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소재(S)가 감지부(30)를 통과한 후 제2압연부(60)에 인입되는 데까지의 시간적 여유를 두기 위함이다.The sensing unit 30 is disposed closer to the first rolling unit 10 than the second rolling unit 60. This is because the material S passes through the sensing unit 30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second rolling unit 60 with the entry information of the raw material S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unit 30, and then the second rolling unit ( This is to allow time for entry to 60).

감지부(30)는 레이저 변위센서(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변위센서(30)는 소재(S)의 이송 경로를 이루는 이송롤러(21)의 측방, 즉 롤러지지대(22)에 배치되어 소재(S)의 이송 경로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한다. 레이저가 조사되는 지점을 소재(S)가 통과하는 경우 소재(S)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는 다시 레이저 변위센서(30)로 수신되면서 소재(S)의 진입은 감지된다. The sensing unit 30 may be formed of a laser displacement sensor 30. The laser displacement sensor 3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onveying roller 21 forming the conveying path of the raw material S, that is, the roller support 22, and irradiates the laser toward the conveying path of the raw material S. When the material S passes through the point where the laser is irradiated,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material S is received by the laser displacement sensor 30 and the entry of the material S is detected.

감지부(30)는 소재(S)의 진입을 감지한 경우 이를 제어부(70)에 송신하고, 제어부(70)는 수신된 진입 정보를 토대로 제2압연부(60)와 같이 감지부(30)의 후방에 배치되는 각종 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When the sensing unit 30 detects the entry of the material S, the sensing unit 30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70, and the control unit 70, like the second rolling unit 60, based on the received entry information, the sensing unit 30. Controls the operation of various devices arranged behind the.

레이저 변위센서(30)는 레이저의 조사 방향이 소재(S)의 측부 표면과 수직하도록 이송롤러(21)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The laser displacement sensor 3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eed roller 21 so that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ser is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of the material S.

디스케일러부(80)는 제1압연부(10)의 출구측에 위치한다. 디스케일러부(80)는 롤러지지대(22)에 설치되며, 소재(S)를 향해 냉각수를 분사하여 소재(S)의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제거한다. The descaler unit 80 is located at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rolling unit 10. The descaler unit 80 is installed on the roller support 22 and removes the scal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S by spraying cooling water toward the material S.

디스케일러부(80)는 감지부(30)의 전방(도 1 기준 좌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소재(S)는 감지부(30)를 통과하기 전에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이 디스케일러부(80)에 의해 제거되므로, 소재(S)를 둘러싼 스케일에 의해 감지부(30)의 감지 정확도가 저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descaler 8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etector 30 (left of FIG. 1). Therefore, since the scal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S before passing through the detection unit 30 is removed by the descaler unit 80,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detection unit 30 is increased by the scale surrounding the material S. The degradation can be prevented.

디스케일러부(80)는 조압연 공정 중 소재(S)의 역이송을 고려하여 감지부(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소재(S)는 감지부(30)를 통과하기에 앞서 디스케일러부(80)에 의해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이 제거된다. The descaler 8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etector 30 in consideration of the reverse movement of the raw material S during the rough rolling process. Even in this case, before the material S passes through the sensing unit 30, the scale formed on the surface by the descaler unit 80 is removed.

유체분사부(40)는 이송롤러부(20)의 상방에 배치된다. 유체분사부(40)는 이송롤러(21)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S)를 향해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감지부(30)와 소재(S) 사이에서 수증기를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는 공기이다. The fluid injection part 40 is disposed above the feed roller part 20. The fluid injection unit 40 removes water vapor between the sensing unit 30 and the material S by spraying the fluid at a high pressure toward the material S conveyed by the feed roller 21. In this embodiment the fluid is air.

이와 같이, 유체분사부(40)에서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감지부(30)와 소재(S) 사이에 존재하는 수증기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감지부(30)를 통해 소재(S)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ter vapor existing between the detection unit 30 and the material S may be removed by the fluid injected from the fluid injection unit 40, the material S may be removed through the detection unit 30. The entry of can be detected accurately.

유체분사부(40)는 배출덕트(41), 배출펌프(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배출덕트(41)는 일단부가 소재 진입 감지장치(1)의 외부에 배치되는 유체공급원(미도시)과 연통되고, 타단부(41a)가 소재(S)에 대향되도록 이송롤러(21)의 상방에 배치된다. 배출덕트(41)의 타단부(41a)는 이송롤러(21)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The fluid injection unit 40 includes a discharge duct 41 and a discharge pump 42. The discharge duct 41 is communicated with a fluid supply source (not shown), one end of which is disposed outside the material entry detecting device 1, and the other end 41a is located above the feed roller 21 so as to face the material S. Is placed on. The other end 41a of the discharge duct 41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eed roller 21.

수증기는 감지부(3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와 접촉하기 전에 유체분사부(40)에서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다른 곳으로 이동되므로 감지부(30)는 수증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Since the water vapor is moved to another place by the fluid injected from the fluid injection unit 40 before contacting 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detection unit 30, the detection unit 30 is not affected by the water vapor.

배출펌프(42)는 배출덕트(41)에 구비된다. 배출펌프(42)는 압력 작용을 이용하여 유체를 수송하는 기계로, 배출덕트(41) 내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유체공급원의 유체를 배출덕트(41)로 유입하여 배출덕트(41)의 타단부(41a)로 분사시킨다. 이러한 배출펌프(42)에 대한 구성 및 작동원리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사항이라 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discharge pump 42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duct 41. The discharge pump 42 is a machine for transporting fluid using a pressure action. The discharge pump 42 provides a suction force in the discharge duct 41 to introduce the fluid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into the discharge duct 41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duct 41 ( Spray onto 41a). 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discharge pump 42 will be general matte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수증기흡입부(50)는 흡입구(51), 흡입덕트(52) 및 흡입펌프(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소재(S)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를 흡입한다. 수증기흡입부(50)는 이송롤러부(20)에 구비되며, 소재(S) 주위에서 생성되는 수증기가 감지부(3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수증기를 흡입하므로, 수증기에 의해 감지부(30)의 감지 정확도가 저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steam suction unit 50 includes a suction port 51, a suction duct 52, and a suction pump 53, and sucks steam generated by the material S. The water vapor suction unit 50 is provided in the transfer roller unit 20, and since the water vapor generated around the material S sucks water vapor before it affects the operation of the detection unit 30, the water vapor detection unit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ction accuracy of 30) from deteriorating.

흡입구(51)는 수증기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재(S)의 이송 경로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된다. 흡입구(51)는 감지부(30)의 전방에서 롤러지지대(22)에 설치되므로, 소재(S)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가 감지부(3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수증기를 흡입한다. The suction port 51 is formed in a funnel shape to facilitate suction of the water vapor and is dispos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path of the raw material S. Since the suction port 51 is installed on the roller support 22 in front of the sensing unit 30, the steam inlet is sucked before the steam generated by the material S affects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30.

흡입구(51)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흡입덕트(52)와 연통된다. 흡입덕트(52)는 흡입구(51)를 통해 흡입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내부에 흡입펌프(53)가 구비된다. 흡입펌프(53)는 수증기가 흡입구(51)를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덕트(52) 내에 흡입력을 제공한다. The suction port 51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duct 52 form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suction duct 52 discharges the water vapo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51 to the outside, and the suction pump 53 is provided therein. The suction pump 53 provides a suction force in the suction duct 52 so that water vapo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51.

흡입구(51), 흡입구(51)와 맞닿는 흡입덕트(52)의 일단부는 롤러지지대(2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흡입구(51)는 롤러지지대(22)의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롤러지지대(22)의 내측면에 노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재(S)의 이동 시 소재(S)와 흡입구(51)의 충돌은 방지된다. One end of the suction port 51 and the suction duct 5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uction port 51 is formed through the roller support 22. The suction port 51 may be formed to be concave inside the roller support 22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oller support 22. Accordingly, the collision between the material S and the suction port 51 is prevented when the material S is moved.

제2압연부(60)는 이송롤러부(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소재(S)를 목표하는 두께와 폭으로 압연한다. 제2압연부(60)는 상측에 배치되는 제2상부워크롤(61)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2하부워크롤(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소재(S)는 제2상부워크롤(61)과 제2하부워크롤(62) 사이로 이송되면서 제2상부워크롤(61)과 제2하부워크롤(62)에 의해 압연된다. The second rolling part 60 is disposed behind the feed roller part 20 and rolls the material S to a target thickness and width. The second rolling part 60 includes a second upper work roll 61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a second lower work roll 62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the raw material S includes the second upper work roll. It is rolled by the second upper work roll 61 and the second lower work roll 62 while being transferred between the 61 and the second lower work roll 62.

제어부(70)는 감지부(30)와 연결되어 감지부(30)에 의해 소재(S)의 진입이 감지된 경우 이러한 진입 정보를 토대로 제2압연부(60)를 포함한 감지부(30)의 후방에 배치되는 각종 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로써, 작업의 지연이 없이 순차적으로 압연 공정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 지연이나 사고 발생 등에 의한 손실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0 is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30 when the entry of the material S i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30 of the sensing unit 30 including the second rolling unit 60 based on the entry informatio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arious devices arranged behind. As a result, the rolling process can be carried out sequentially without delay in work, so that loss due to production delay or accident can be prevented.

한편 소재(S)의 진입이 감지된 경우 작업자가 이를 참고할 수 있도록 제어부(70)는 디스플레이부(도시 생략)를 통해 소재(S)의 진입을 안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ntry of the material S is detected, the controller 70 may guide the entry of the material S through a display unit (not shown) so that an operator may refer to it.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6, an apparatus for detecting entry of materi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2)는 압연부(110), 이송롤러부(120), 감지부(130), 유체분사부(140), 수증기흡입부(150), 제어부(170), 디스케일러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aterial entry detection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lling unit 110, the transfer roller 120, the detection unit 130, the fluid injection unit 140, steam suction unit 150, the control unit And a descaler unit 180.

압연부(110)는 소재(S)가 사상압연 공정에서 마무리 압연이 용이하게 되도록 소재(S)를 목표하는 두께와 폭으로 압연한다. 압연부(110)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워크롤(111)과,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워크롤(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압연부(110)는 일 실시예에서의 제1압연부(10)에 대응되는 구성이다.The rolling unit 110 rolls the material S to a target thickness and width such that the material S is easily finished in the finishing rolling process. The rolling unit 110 includes an upper work roll 111 disposed above and a lower work roll 112 disposed below. The rolling part 110 of this embodiment is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1st rolling part 10 in an Example.

이송롤러부(120)는 압연부(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소재(S)를 압연부(110)로 이송시킨다. 이송롤러부(120)는 소재(S)를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롤러(121)와, 이송롤러(121)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onveying roller part 1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rolling part 110 to transfer the raw material S to the rolling part 110. The conveying roller par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121 for conveying the raw material S in a later process, and a roller support 122 for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conveying rollers 121.

감지부(130)는 롤러지지대(122)에 구비되어 소재(S)가 이송롤러(121)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한다. 즉, 감지부(130)는 소재(S)가 압연부(110)에 인입되기 이전에 이송롤러(121)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고, 이러한 진입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송한다. The sensing unit 130 is provided in the roller support 122 to detect that the material S enters the feed roller 121. That is, the sensing unit 130 detects that the raw material S enters the feed roller 121 before entering the rolling unit 110, and transmits such entry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70.

감지부(130)는 레이저 변위센서(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변위센서(130)는 소재(S)의 이송 경로를 이루는 이송롤러(121)의 측방, 즉 롤러지지대(122)에 배치되어 소재(S)의 이송 경로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한다. 레이저가 조사되는 지점을 소재(S)가 통과하는 경우 소재(S)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는 다시 레이저 변위센서(130)로 수신되면서 소재(S)의 진입은 감지된다. The sensing unit 130 may be formed of the laser displacement sensor 130. The laser displacement sensor 13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eed roller 121 forming the conveying path of the raw material S, that is, the roller support 122, and irradiates the laser toward the conveying path of the raw material S. When the material S passes through the point where the laser is irradiated,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material S is received by the laser displacement sensor 130 and the entry of the material S is detected.

감지부(130)는 소재(S)의 진입을 감지한 경우 이를 제어부(170)에 송신하고, 제어부(170)는 수신된 진입 정보를 토대로 압연부(110)와 같이 감지부(130) 후방에 배치되는 각종 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When the sensing unit 130 detects the entry of the material S, the sensing unit 130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70, and the control unit 170 is located behind the sensing unit 130 such as the rolling unit 110 based on the received entry informatio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arious devices arranged.

레이저 변위센서(130)는 레이저의 조사 방향이 소재(S)의 측부 표면과 수직하도록 이송롤러(121)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The laser displacement sensor 13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eed roller 121 so that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ser is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of the material (S).

압연부(110)의 전방에는 디스케일러부(180)가 설치된다. 디스케일러부(180)는 롤러지지대(122)에 설치되며, 소재(S)를 향해 냉각수를 분사하여 소재(S)의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제거한다. The descaler unit 18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rolling unit 110. The descaler unit 180 is installed on the roller support 122 and removes the scal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S by spraying cooling water toward the material S.

디스케일러부(180)는 감지부(130)의 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소재(S)는 감지부(130)를 통과하기 전에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이 디스케일러부(180)에 의해 제거되므로, 소재(S)를 둘러싼 스케일에 의해 감지부(130)의 감지 정확도가 저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descaler 18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etector 130. Therefore, since the scal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S before passing through the sensing unit 130 is removed by the descaler 180, the sensing accuracy of the sensing unit 130 is increased by the scale surrounding the material S. The degradation can be prevented.

유체분사부(140)는 이송롤러부(120)의 상방에 배치된다. 유체분사부(140)는 이송롤러(121)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S)를 향해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감지부(130)와 소재(S) 사이에서 수증기를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는 공기이다. The fluid injection part 140 is disposed above the feed roller part 120. The fluid injection unit 140 removes water vapor between the sensing unit 130 and the material S by spraying the fluid at a high pressure toward the material S transported by the feed roller 121. In this embodiment the fluid is air.

이와 같이, 유체분사부(140)에서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감지부(130)와 소재(S) 사이에 존재하는 수증기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감지부(130)를 통해 소재(S)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As such, since foreign matters such as water vapor existing between the sensing unit 130 and the material S may be removed by the fluid injected from the fluid injection unit 140, the material S may be removed through the detection unit 130. The entry of can be detected accurately.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체분사부(140)는 배출덕트(41), 배출펌프(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배출덕트(41)는 일단부가 소재 진입 감지장치(2)의 외부에 배치되는 유체공급원(미도시)과 연통되고, 타단부(41a)가 소재(S)에 대향되도록 이송롤러(121)의 상방에 배치된다. 배출덕트(41)의 타단부(41a)는 이송롤러(21)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S. 3 and 6, the fluid injection unit 140 includes a discharge duct 41 and a discharge pump 42. The discharge duct 41 is communicated with a fluid supply source (not shown), one end of which is disposed outside the material entry detecting device 2, and the other end 41a is located above the feed roller 121 so as to face the material S. Is placed on. The other end 41a of the discharge duct 41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eed roller 21.

수증기는 감지부(13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와 접촉하기 전에 유체분사부(140)에서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다른 곳으로 이동되므로 감지부(130)는 수증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Since the water vapor is moved to another place by the fluid injected from the fluid injection unit 140 before contacting 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detection unit 130, the detection unit 130 is not affected by the water vapor.

배출펌프(42)는 배출덕트(41)에 구비된다. 배출펌프(42)는 압력 작용을 이용하여 유체를 수송하는 기계로, 배출덕트(41) 내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유체공급원의 유체를 배출덕트(41)로 유입하여 배출덕트(41)의 타단부(41a)로 분사시킨다. 이러한 배출펌프(42)에 대한 구성 및 작동원리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사항이라 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discharge pump 42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duct 41. The discharge pump 42 is a machine for transporting fluid using a pressure action. The discharge pump 42 provides a suction force in the discharge duct 41 to introduce the fluid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into the discharge duct 41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duct 41 ( Spray onto 41a). 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discharge pump 42 will be general matte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수증기흡입부(150)는 흡입구(51), 흡입덕트(52) 및 흡입펌프(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소재(S)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를 흡입한다. 수증기흡입부(150)는 이송롤러부(120)에 구비되며, 소재(S) 주위에서 생성되는 수증기가 감지부(13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수증기를 흡입하므로, 수증기에 의해 감지부(130)의 감지 정확도가 저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steam suction unit 150 includes a suction port 51, a suction duct 52, and a suction pump 53, and sucks steam generated by the material S. The water vapor suction unit 150 is provided in the transfer roller unit 120, and since the water vapor generated around the material S sucks water vapor before it affects the operation of the detection unit 130, the water vapor detection unit ( Degradation of the detection accuracy of 130 may be prevented.

흡입구(51)는 수증기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재(S)의 이송 경로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된다. 흡입구(51)는 감지부(130)의 전방에서 롤러지지대(122)에 설치되므로, 소재(S)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가 감지부(13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수증기를 흡입한다. The suction port 51 is formed in a funnel shape to facilitate suction of the water vapor and is dispos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path of the raw material S. Since the suction port 51 is installed on the roller support 122 in front of the sensing unit 130, the suction port 51 sucks the steam before the steam generated by the material S affects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130.

흡입구(51)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흡입덕트(52)와 연통된다. 흡입덕트(52)는 흡입구(51)를 통해 흡입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내부에 흡입펌프(53)가 구비된다. 흡입펌프(53)는 수증기가 흡입구(51)를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덕트(52) 내에 흡입력을 제공한다. The suction port 51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duct 52 form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suction duct 52 discharges the water vapo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51 to the outside, and the suction pump 53 is provided therein. The suction pump 53 provides a suction force in the suction duct 52 so that water vapo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51.

흡입구(51), 흡입구(51)와 맞닿는 흡입덕트(52)의 일단부는 롤러지지대(12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흡입구(51)는 롤러지지대(122)의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롤러지지대(122)의 내측면에 노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재(S)의 이동 시 소재(S)와 흡입구(51)의 충돌은 방지된다. One end of the suction port 51 and the suction duct 5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uction port 51 is formed through the roller support 122. The suction port 51 may be formed to be concave inside the roller support 122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oller support 122. Accordingly, the collision between the material S and the suction port 51 is prevented when the material S is moved.

제어부(170)는 감지부(130)와 연결되어 감지부(130)에 의해 소재(S)의 진입이 감지된 경우 이러한 진입 정보를 토대로 압연부(110)를 포함한 감지부(130)의 후방에 배치되는 각종 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로써, 순차적으로 압연 공정의 진행을 조절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130 and when the entry of the material (S) i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30 on the rear of the sensing unit 130 including the rolling unit 110 based on the entry informatio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arious devices arranged. Thereby, progress of a rolling process can be adjusted sequentially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detecting entry of a material using a material entry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소재(S)가 제1압연부(10)로부터 송출되면 우선적으로 디스케일러부(80)가 작동된다. 이를 통해 소재(S)의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이 제거되므로, 스케일에 의해 소재(S)의 진입 감지 정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raw material S is sent out from the first rolling unit 10, the descaler unit 80 is operated first. As a result, since the scal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S is remov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try detection accuracy of the material S from being degraded by the scale.

디스케일러부(80)의 작동과 동시에, 또는 디스케일러부(80)의 작동 이후에 유체분사부(40)와 수증기흡입부(50)가 작동된다. 이로써, 감지부(30)의 주변에 존재하는 수증기는 수증기흡입부(50)를 통해 흡입될 뿐만 아니라, 유체분사부(40)를 통해 흩어지게 되므로, 감지부(30)는 수증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러한 수증기의 제거에 의해 감지부(30)의 측정 정확도는 향상된다.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the descaler unit 80 or after the operation of the descaler unit 80, the fluid injection unit 40 and the water vapor suction unit 50 are operated. As a result, the water vapor present in the periphery of the sensing unit 30 is not only sucked through the steam suction unit 50, but also dispersed through the fluid spray unit 40, so that the sensing unit 30 is affected by the water vapor. You will not receive. By removing the water vapor, the measurement accuracy of the detector 30 is improved.

감지부(30)는 이송롤러(21) 상에서 소재(S)의 진입을 감지한 경우 이를 제어부(70)에 전송한다. 제어부(70)는 전송된 진입 정보를 토대로 제2압연부(60)를 포함한 감지부(30)의 후방에 설치되는 각종 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감지부(30)에 의해 소재(S)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이후의 압연 공정을 지연 없이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 지연이나 사고 발생 등에 의한 손실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When the sensing unit 30 detects the entry of the raw material S on the feed roller 21, the sensing unit 30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70.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operation of various devices installed behind the sensing unit 30 including the second rolling unit 60 based on the transmitted entry informa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entry of the material (S) by the detection unit 30, and based on this can be carried out sequentially without any delay in the subsequent rolling process, loss caused by production delay or accidents, etc. Can be blocked beforehan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또한 조압연 공정에서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소재 진입 감지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조압연 공정이 아닌 타 공정에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terial entry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entry of the material in the rough rolling process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since this is merely exemplar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other processes other than the rough rolling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제1압연부 20 : 이송롤러부
30 : 감지부 40 : 유체분사부
50 : 수증기흡입부 60 : 제2압연부
70 : 제어부 80 : 디스케일러부
10: first rolling part 20: feed roller part
30: detection unit 40: fluid injection unit
50: water vapor suction unit 60: second rolling unit
70 control unit 80 descaler unit

Claims (12)

소재를 압연하는 압연부;
상기 압연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압연부에서 송출되는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롤러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장치.
A rolling unit for rolling a material;
A conveying roller part disposed at the rear of the rolling part to convey the material sent from the rolling part;
A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transfer roller unit and detecting entry of the material; And
And a fluid injection part disposed above the feed roller part and injecting a fluid toward the feed roller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사부는, 일단부가 외부의 유체공급원과 연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송롤러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배출덕트; 및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덕트의 일단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배출덕트의 타단부로 분사시키는 배출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luid spraying unit may include: a discharge duct having one end communicated with an external fluid supply source and the other end facing the transfer roller part; And
And a discharge pump provided in the discharge duct and injecting a fluid flowing into one end of the discharge duct to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흡입하는 수증기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terial entering detec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water vapor suction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feed roller portion, and sucks the water vapor generated from the materi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흡입부는, 상기 이송롤러부에 위치하고, 상기 소재에서 생성되는 수증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유입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덕트; 및
상기 흡입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덕트 내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am suction unit, the suction port is located in the conveying roller portion, the water vapor generated from the material flows;
A suction duct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and discharging the introduced water vapor to the outside; And
And a suction pump provided in the suction duct to provide a suction force in the suction 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의 측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디스케일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descaler unit disposed in front of the sensing unit and injecting a fluid toward a side of the workpiece conveyed by the feed roller unit to remove the scale formed in the workpie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의 측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디스케일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descaler unit disposed behind the sensing unit and spraying a fluid toward the side of the workpiece conveyed by the feed roller unit to remove the scale formed on the workpiece.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부는, 이송롤러; 및
상기 이송롤러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와 상기 디스케일러부는 상기 롤러지지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feed roller unit, a feed roller; And
It includes a roller support for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feed roller,
And the sensing unit and the descaler unit are installed on the roller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소재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고, 상기 소재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상기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레이저 변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ensing unit is a laser displacement sensor for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material and receiving a laser reflected from the material to detect the entry of the material.
소재를 압연하는 압연부;
상기 압연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압연부에서 송출되는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흡입하는 수증기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장치.
A rolling unit for rolling a material;
A conveying roller part disposed at the rear of the rolling part to convey the material sent from the rolling part;
A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transfer roller unit and detecting entry of the material; And
The material entering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feed roller portion, including a water vapor suction unit for sucking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material.
소재를 압연하는 압연부;
상기 압연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를 상기 압연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롤러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장치.
A rolling unit for rolling a material;
A conveying roller part disposed in front of the rolling part and transferring the material to the rolling part;
A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transfer roller unit and detecting entry of the material; And
And a fluid injection part disposed above the feed roller part and injecting a fluid toward the feed roller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흡입하는 수증기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material entering detec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water vapor suction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feed roller portion, and sucks the water vapor generated from the materi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의 측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디스케일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descaler unit disposed in front of the sensing unit and injecting a fluid toward a side of the workpiece conveyed by the feed roller unit to remove the scale formed in the workpiece.
KR1020110028126A 2011-03-29 2011-03-29 Apparatus for sensing entry of material KR201201103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126A KR20120110339A (en) 2011-03-29 2011-03-29 Apparatus for sensing entry of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126A KR20120110339A (en) 2011-03-29 2011-03-29 Apparatus for sensing entry of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339A true KR20120110339A (en) 2012-10-10

Family

ID=4728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126A KR20120110339A (en) 2011-03-29 2011-03-29 Apparatus for sensing entry of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033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1740B (en) Substrate processing device
KR101779549B1 (en) Scarping Apparatus and Scarping Method
TW201325737A (en) Spray device
CN104528419B (en) A kind of detector unit of web cross cutting machine band online negative-pressure air-suction conveyer device
KR101298709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upward movement of material
KR10118493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formation of material
KR20120110339A (en) Apparatus for sensing entry of material
KR20120110338A (en) Apparatus for sensing entry of material
KR20120110337A (en) Apparatus for sensing entry of material
KR101184939B1 (en) Rolling mill
KR20120044180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upward movement of strip
KR101175794B1 (en) Rolling mill
JP5869103B2 (en) Steam barrier
KR101639251B1 (en) Wringer Roll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s
KR101677548B1 (en) Apparatus for cleaning surface of coating roll
KR101193864B1 (en)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KR101204851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aterial
KR101291561B1 (en) Steam blocking apparatus
KR101344329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upward movement of material
KR101291536B1 (en) Side guide for rolling
KR101330544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shape of slab
KR101257476B1 (en) Steam blocking apparatus
KR20200052675A (en) Objec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04438220A (en) Online dedusting device of web die-cutting machine
KR20120032853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upward movement of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