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895A -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895A
KR20120109895A KR1020110027710A KR20110027710A KR20120109895A KR 20120109895 A KR20120109895 A KR 20120109895A KR 1020110027710 A KR1020110027710 A KR 1020110027710A KR 20110027710 A KR20110027710 A KR 20110027710A KR 20120109895 A KR20120109895 A KR 20120109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scan
light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7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9895A/ko
Publication of KR20120109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하는 원격제어장치로서, 광을 감지하여, 광 감지에 기초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부와,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좌표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와, 연산된 좌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와, 광센서부, 제어부, 및 무선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는, 타이밍 신호가 제1 소정 시간 이상 미수신되거나, 감지된 광 신호의 레벨이 점차 낮아져서 기준치 미만이거나, 동일 패턴의 타이밍 신호가 반복하여 제2 소정 시간 이상 수신되는 경우,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Remote control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한편, 영상표시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터치 펜(Touch Pen) 방식의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된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하는 원격제어장치로서, 광을 감지하여, 광 감지에 기초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부와,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좌표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와, 연산된 좌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와, 광센서부, 제어부, 및 무선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는, 타이밍 신호가 제1 소정 시간 이상 미수신되거나, 감지된 광 신호의 레벨이 점차 낮아져서 기준치 미만이거나, 동일 패턴의 타이밍 신호가 반복하여 제2 소정 시간 이상 수신되는 경우,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하는 원격제어장치로서, 광을 감지하여, 광 감지에 기초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부와,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좌표 신호를 연산하는 제어부와, 연산된 좌표 신호를 소정 채널을 통해 소정 데이터 크기로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부는, 좌표 정보 재전송이 필요한 경우, 단위 데이터 크기를 보다 작게 설정하여, 좌표 정보를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로 전송하거나, 채널을 변경하여 전송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복수의 방전셀을 구비하며, 터치 펜 모드인 경우, 수직 스캔 서브필드 기간 동안에 수직 어드레스 광을 순차적으로 방출하고, 수평 스캔 서브필드 기간 동안에 수평 어드레스 광을 순차적으로 방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팬 모드인 경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페널에 원격제어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원격제어장치가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한 경우, 스탠 바이 모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하는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광센서부에서 출력되는 타이밍 신호가제1 소정 시간 이상 미수신되는 경우,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하여, 무선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 후, 타이밍 신호가 제2 소정 시간 이상 미수신되는 경우, 전원 오프 모드로 진입하여, 원격제어장치 내의 광센서부 또는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더욱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는 포인팅 신호 처리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여, 좌표 정보를 소정 단위 데이터 크기로 전송을 수행하나, 재전송 필요시, 채널 변경 또는 단위 데이터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는, 좌표 정보 연산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직 스캔 서브필드 기간 동안에 방출되는 수직 어드레스 광을 감지하고, 수평 스캔 서브필드 기간 동안에 방출되는 수평 어드레스 광을 감지하여, 간단하게 각각 수직 좌표 정보와 수평 좌표 정보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출되는 광을 원격제어장치에서 감지하여, 해당 방전셀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표시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터치 펜 모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 외, 터치 펜 모드에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가능해져,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는 도 2의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의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볼록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와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외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펜 모드에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 및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와 함께, 영상표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터치 펜 방식이 가능하도록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격벽으로 구획된 방전셀(Cell) 내에 형성된 형광체 층을 포함하고, 아울러 복수의 전극(Electrode)을 포함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각 전극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면, 방전셀 내에서는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방전이 발생한다. 여기서, 방전셀 내에서 구동 신호에 의해 방전이 될 때, 방전셀 내에 충진 되어 있는 방전 가스가 진공 자외선(Vacuum Ultraviolet rays)을 발생하고, 이러한 진공 자외선이 방전셀 내에 형성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가시 광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가시광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상에 영상이 표시된다.
한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 내의 방전공간에는, 방전 가스로서, He+Xe, Ne+Xe 및 He+Ne+Xe 등의 불활성 혼합가스가 주입될 수 있다.
상술한 가스 방전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가시광을 방출하는 것 외에, 제논(Xe) 에 의한 적외선도 방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적외선(IR)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방전셀 근처에, 원격제어장치(200)가 접근하거나 접촉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감지된 광에 기초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고,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방전셀의 x,y 좌표 신호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산된 방전셀의 x,y 좌표 신호는, RF 신호로 변환되어,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로 전송된다.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는, RF 방식의 x,y 좌표 신호를 수신하여,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는,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및 이를 처리하기 위한 RF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RF 방식의 x,y 좌표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는, USB 또는 블루투스 동글(dongle) 등일 수 있다.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는, 수신된 x,y 좌표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신호 처리하고, 영상표시장치(100)에 소정 이미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의해, 영상표시장치(100), 구체적으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특정 방전셀, 즉 해당 좌표(x,y 좌표)에 해당하는 방전셀에, 소정 이미지(포인팅 이미지 등)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는, 터치 펜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이를 실행하여, 수신된 x,y 좌표에 대한 신호 처리 및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는, 컴퓨터(PC)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펜 형상의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접촉 또는 비접촉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특정 좌표에, 소정 이미지(포인팅 이미지 등)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즉, 터치 펜으로 영상표시장치(100)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필기하듯이, 원격제어장치(200)를 이동하게 되면, 그 이동 경로에 따라, 필기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의 원격제어장치를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라 명명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팬 모드는, 정압식 접촉 모드에 의한 터치 모드, 또는 정전식 접촉 모드에 의한 터치 모드와는 구별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터치 펜 방식의 영상표시장치(100)와,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 및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를 별도로 도시하고 있으나,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 및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 중 적어도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가 영상표시장치(10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영상표시장치에서, 간단하게 터치 펜 모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8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펜 방식이 가능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전제로 이하에서 기술한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장치(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된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dc/dc 컨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입력되는데에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하고, 이에 해당하는 좌표 정보를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와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를 거쳐, 해당하는 이미지 신호가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되도록 하는데에 사용된다.
다음, 도 3의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2와 유사하나, 도 2의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와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가 각각 영상표시장치(100) 내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감지된 광 신호에 기초한 좌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포인팅 신호 수신부(300)와, 포인팅 신호 처리부(400)로 입력될 수 있다. 포인팅 신호 처리부(400)는, 좌표 정보에 기초한,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이미지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이미지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이미지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기술한, 소정 프로그램은 포인팅 신호 처리부(400) 내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3과 달리, 포인팅 신호 수신부(300)와, 포인팅 신호 처리부(400)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TV 수상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4은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기반의 디스플레이(18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 구동회로부(230)를 포함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서로 나란히 형성되는 스캔 전극(Y) 및 서스테인 전극(Z)과, 제2 기판 상에 형성되며, 스캔 전극(Y) 및 서스테인 전극(Z)과 교차하는 어드레스 전극(X)을 포함한다.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다수개의 스캔전극 라인(Y), 서스테인 전극 라인(Z) 및 어드레스 전극 라인(X)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되고, 교차하는 영역에 방전셀이 형성된다. 한편, 방전셀이, R,G,B별로 생성될 수 있다.
구동 회로부(230)는, 도 1의 제어부(17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통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구동한다. 이를 위해, 구동 회로부(230)는, 타이밍 컨트롤러(232), 스캔 드라이버(234), 서스테인 드라이버(238), 및 어드레스 드라이버(236)를 포함한다. 스캔 드라이버(234), 서스테인 드라이버(238), 및 어드레스 드라이버(236)의 동작은 도 10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R,G,B 데이터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을 입력받아,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스캔 드라이버(234), 서스테인 드라이버(238)를 제어하고, R,G,B 데이터 신호를 재배치하여, 어드레스 드라이버(236)에 제공한다.
전원공급부(19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필요한 다수 레벨의 직류 전원을 스캔 드라이버(234), 서스테인 드라이버(238), 및 어드레스 드라이버(236)에 각각 공급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410), 영상 처리부(420), OSD 생성부(440), 믹서(4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0), 및 포맷터(4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4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4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4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420)는, 영상 디코더(425), 및 스케일러(4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4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4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4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OSD 생성부(4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믹서(445)는, OSD 생성부(4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4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4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한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Formatter)(460)는, 믹서(445)에서 믹싱된 신호, 즉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포맷터(Formatter)(460)는, 3D 영상 표시를 위해,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거나,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0), 및 포맷터(4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는 도 2의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의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80) 상의 또는 그 주변의,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도 6(b)와 같이, 해당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해당 이동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표시된다. 도면에서는, '-' 모양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가, 터치 펜 모드시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80) 내의 특정 방전셀에서 출력되는 적외선(IR)을 감지하고, 감지한 광에 기초하여 해당 방전셀의 좌표를 산출함에 따른 것이다. 결국, 산출된 좌표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80)에, 이미지가 표시되게 된다.
다음,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80) 상의 또는 그 주변의, 제3 지점에서 제4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도 6(d)와 같이, 해당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해당 이동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표시된다. 결국 도면에서는, 'T' 모양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면에 예시된 바와 달리,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가, 특정 방전셀에 계속 위치하는 경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80)에는 '.' 모양의 이미지가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은, 터치 펜 방식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원하는 형상의 이미지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에 대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볼록도이고, 도 8 내지 도 9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와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도시함며, 도 10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외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8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광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5)는, 포인팅 신호 수신 장치(300)와의 통신을 위해, RF 모듈(221) 또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IR 모듈(223) 또는 RF 모듈(221)은, 광센서부(240)에서 감지된 광에 기초하여, 연산된 방전셀에 대응하는 좌표 신호(x,y)를, IR 방식 또는 RF 방식에 따라, 포인팅 신호 수신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223) 또는 RF 모듈(221)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온/오프 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채널을 통한 안정적인 통신을 위해, RF 모듈(221)를 통해, 포인팅 신호 수신 장치(300)와 통신하는 것을 기술한다.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온/오프 키(775), 터치 펜 모드 키(773)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키(775)의 동작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될 수 있으며, 터치 펜 모드 키(773)의 동작에 따라, 터치 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터치 펜 모드 키(773)가 1회 눌려지는 경우, 터치 펜 모드에 진입할 수 있고, 다시 1회 더 눌려지는 경우, 터치 펜 모드가 종료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터치 펜 모드 키(773)가 눌려지는 경우, 터치 펜 모드에 진입할 수 있고, 터치 펜 모드 키(773)가 안 눌려지는 경우, 터치 펜 모드가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광센서부(24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센서부(2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710), 증폭부(715), 및 비교부(720)를 구비할 수 있다.
광센서(710)는, 터치 펜 모드 시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방전셀 부근에서 또는 접촉하여, 해당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적외선(IR)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신호(SIR)는, 예를 들어, 도 11(a)와 같을 수 있다.
증폭부(715)는, 광센서(710)에서 감지된 광 신호(SIR)를 증폭한다. 이를 위해, 증폭부(715)는, OP AMP를 구비할 수 있다. 증폭된 신호(Samp)는, 예를 들어, 도 11(b)와 같을 수 있다.
다음, 비교부(720)는, 증폭부(715)에서 증폭된 신호(Samp)와 기준 신호(Sref)를 비교하고, 증폭된 신호(Samp) 중 기준 신호(Sref) 레벨 이상인 구간에 해당하는 타이밍 신호(Sf)를 출력한다. 도 11(c)에서는, 증폭된 신호(Samp) 중 기준 신호(Sref) 레벨 이상인 구간이 로우 레벨(low level)을 갖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타이밍 신호(Sf)는, 특정 방전셀의 위치, 특히, x,y 좌표에 대응하며, 제어부(280)에 입력되어, x,y 좌표 연산에 사용된다. x,y 좌표 연산에 대해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 11에서 살펴보면, 타이밍 신호(Sf)의 로우 레벨 구간은, 감지된 광 신호(SIR)의 피크 구간이 아닌, 그 보다 낮은 레벨의 구간에 해당한다. 보다 정확한 신호 검출을 위해, 기준 신호(Sref)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방법이 있으나, 적외선 감지시의 주변 환경에 따라, 광센서(710)에서 감지되는 광 신호(SIR)에 잡음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광센서부(240) 또는 제어부(280)는, 도 11(c)의 타이밍 신호(Sf)에 대한 신호 처리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c)의 타이밍 신호(Sf)의 폴링 에지(falling edge)와 라이징 에지(rising edge)를 연산하여, 그 평균값을 로우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폴링 에지(falling edge)와 라이징 에지(rising edge)의 중간 구간을 로우 레벨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적외선 신호의 실제 파형에 거의 유사한 디지털 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에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제1 소정 시간 이상 광을 감지하지 못 하는 경우,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하여, 일부 모듈의 전원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스탠 바이 모드 이후, 제2 소정 시간 이상, 계속 광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 또는 다시 광센서부(240)에서 광 감지가 수행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특히,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와의 페어링 동작 등을 위해, 복수 채널에 대한 특정 주파수 대역 또는 전송 데이터 단위 등의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터치 펜 모드인 경우, 플라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한 광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타이밍 신호를 광센서부(240)로부터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도 11(c)와 같은 타이밍 신호(Sf)가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수신된 타이밍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x,y 좌표 신호를 연산한다. x,y 좌표 연산에 대해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제어부(280)는, 연산된 x,y 좌표 신호를 RF 방식으로 송출되도록 신호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된 RF 방식의 x,y 좌표 신호를 RF 모듈(221)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80)는, 전원 온/오프 키(775)가 동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에 전원이 온 된 경우,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를 통해,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와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페어링 동작은, 터치 펜 모드 키(235)가 동작에 따른 터치 펜 모드에 진입하기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페어링 동작에 의해, 원격제어장치(200)와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 사이에 전송 채널 및 전송 데이터 단위 등이 결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어부(280)는, 터치 펜 모드에서, 광센서부(240)에서 출력되는 타이밍 신호가 제1 소정 시간 이상 미수신되는 경우,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하도록,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탠 바이 모드 진입 이후, 광센서부(240)에서 출력되는 타이밍 신호가 제2 소정 시간 이상 미수신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원격제어장치의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원 관리 등에 대해서는 도 20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730)를 더 구비하며, RF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RF 방식의 좌표 신호 또는 그 밖의 페어링 신호 등의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760) 및 RF 모둘(765)을 구비할 수 있다. 안테나(760)는 통해 RF 신호룰 수신하며, 수신되는 RF 모듈(765)은 수신된 RF 신호를 처리하여 는 x,y 좌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되는 좌표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접속된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에 입력되게 된다.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는, 입력되는 좌표 신호에 기초하여, 이를 신호 처리하고, 영상표시장치(100)에 소정 이미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의해, 영상표시장치(100), 구체적으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특정 방전셀, 즉 해당 좌표(x,y 좌표)에 해당하는 방전셀에, 소정 이미지(포인팅 이미지 등)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볼(780), 및 회전 감지부(78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볼(780)은 광센서(710)의 전단에 배치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접촉시 회전하게 된다. 한편, 광센서(710)에서의 원활한 광 감지를 위해, 회전볼(780)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 감지부(785)는, 회전볼(78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파형과 유사하게, 회전 감지부(785)는, 회전 감지 신호를 증폭하고(도 9(b) 참조), 증폭된 신호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회전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도 9(c)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의 전단부에 광센서부(240)가 배치되고, 그 뒤로, 순차적으로 전원 공급부(260), 및 사용자 입력부(235)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광센서부(240)의 전단에 펜촉 형상의 광센서(710)가 배치될 수 있다. 광센서(710)는, 적외선 감지시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펜 촉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특정 방전셀 접촉시 또는 접근시, 해당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바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감지된 광 신호는, 타이밍 신호로서 배선(755)을 통해, 제어부(280)로 출력되게 된다.
전원 공급부(260)는, 광센서부(240)와 사용자 입력부(235) 사이에 배치되어 전원 공급을 수행한다.
다음, 사용자 입력부(23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후단부에 배치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출력부(250)와 제어부(280) 등도 원격제어장치(200)의 후단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LED 모듈(251), 전원 온/오프 키(775), 터치 펜 모드 키(773)가 사용자 입력부(235)의 외관에 배치될 수 있다. 그 외, 최후단에 충전 단자(777)가 배치되어, 충전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내에 구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영상의 계조(Gray Level)를 구현하기 위한 단위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서브필드는 방전셀을 방전이 발생하지 않을 방전셀을 선택하거나 혹은 방전이 발생하는 방전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 및 방전횟수에 따라 계조를 구현하는 서스테인 기간(Sustain Period)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는 초기화를 위한 리셋 기간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터치 펜 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에서 사용하는 구동파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터치 펜 모드에서는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용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 펜 모드에서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살펴보면, 터치 펜 모드에서는 하나의 프레임(Frame)을 이루는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스캔 서브필드(Scan SF)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첫 번째 서브필드와 두 번째 서브필드가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스캔 서브필드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스캔 서브필드를 제외한 나머지 서브필드는 일반 서브필드(Normal SF)일 수 있다.
아울러, 터치 펜 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에서는 프레임이 스캔 서브필드를 포함하지 않고, 프레임에 포함된 모든 서브필드가 일반 서브필드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앞선 도 6의 경우와 같이, 터치 펜 모드에서, 터치 팬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가 동작하는 경우,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가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13을 살펴보면, 스캔 서브필드는 터치 위치의 수직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와 터치 위치의 수평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펜 모드 시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첫 번째 서브필드가 수직 스캔 서브필드일 수 있고, 두 번째 서브필드가 수평 스캔 서브필드일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수직 스캔 서브필드와 수평 스캔 서브필드는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수직 스캔 서브필드가 수평 스캔 서브필드보다 앞서 배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수평 스캔 서브필드가 수직 스캔 서브필드보다 앞서 배치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직 스캔 서브필드가 수평 스캔 서브필드보다 앞서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수직 스캔 서브필드의 리셋 기간(이하에서는 스캔 리셋 기간(SRP)라 한다)에서는 제1 스캔 리셋 신호(SRS1)와 제2 스캔 리셋 신호(SRS2)가 스캔 전극(Y)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캔 리셋 신호(SRS1)는 전압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제1 스캔상승램프신호(First Scan Ramp-Up : SRU1)와 제2 스캔상승램프신호(Second Scan Ramp-Up : SRU2)를 포함하는 스캔상승램프신호(SRU) 및 전압이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1 스캔하강램프신호(First Scan Ramp-Down : SRD1)와 제2 스캔하강램프신호(Second Scan Ramp-Down : SRD2)를 포함하는 스캔하강램프신호(SR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캔 리셋 신호(SRS2)는 전압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제 3 스캔상승램프신호(Third Scan Ramp-Up : SRU3) 및 전압이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 3 스캔하강램프신호(Third Scan Ramp-Down : SRD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캔 리셋 기간(SRP)의 제1 스캔 셋업 기간(SSU1)에서는 스캔 전극에 제1 스캔상승램프신호(SRU1)가 공급되고, 이후 스캔 전극에 제2 스캔상승램프신호(SRU2)가 공급될 수 있다. 제1 스캔 셋업 기간(SSU1) 이후의 제1 스캔 셋다운 기간(SSD1)에서는 스캔 전극에 제1 스캔하강램프신호(SRD1)와 제2 스캔하강램프신호(SRD2)가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스캔 전극에 제1, 2 스캔상승램프신호가 공급되면, 상승 램프 신호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약한 암방전(Dark Discharge), 즉 셋업 방전이 일어난다. 이 셋업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벽 전하(Wall Charge)의 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
상승 램프 신호가 공급된 이후, 스캔 전극에 제1, 2 스캔하강램프신호가 공급되면, 방전 셀 내에서 미약한 소거 방전(Erase Discharge), 즉 셋다운 방전이 발생한다. 이 셋다운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안정되게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벽전하가 균일하게 잔류될 수 있다.
스캔 리셋 기간(SRP)의 제1 스캔 셋다운 기간(SSD1)에서는 서스테인 전극에 제1 서스테인 기준 전압(Vz1)을 갖는 제1 스캔 서스테인 기준 신호(Szb1)가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셋다운 방전이 안정될 수 있다.
스캔 리셋 기간(SRP)의 제2 스캔 셋업 기간(SSU2)에서는 스캔 전극에 제 3 스캔상승램프신호(SRU3)가 공급되고, 이후 제2 스캔 셋다운 기간(SSD2)에서는 스캔 전극에 제 3 스캔하강램프신호(SRD3)가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스캔 전극에 제 3 스캔상승램프신호(SRU3)와 제 3 스캔하강램프신호(SRD3)가 공급되면, 방전 셀 내의 벽전하들은 더욱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의 스캔 리셋 기간 이후(SRP)의 어드레스 기간(이하에서는 수직 스캔 어드레스 기간(VSAP)라 한다)에서는 제 2, 3 스캔하강램프신호(SRD2, SRD3)의 최저 전압(-Vy1, -Vy2)보다는 높은 스캔 기준 전압(Vsc)가 스캔 전극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수직 스캔 어드레스 기간(VSAP)에서는 스캔 기준 전압(Vsc)으로부터 하강하는 터치 스캔 신호(TSP)가 스캔 전극에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스캔 전극(Y)들에 순차적으로 터치 스캔 신호(TSP)가 공급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스캔 전극(Y)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점에서 터치 스캔 신호(TSP)가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스캔 전극(Y)에 터치 스캔 신호(TSP)가 공급될 때, 어드레스 전극(X) 및 서스테인 전극(Z)의 전압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캔 전극(Y)에 터치 스캔 신호(TSP)가 공급될 때, 어드레스 전극(X)에는 제1 어드레스 기준 전압(Vx1)을 갖는 제1 스캔 어드레스 기준 신호(Sxb)가 공급되고, 서스테인 전극(Z)에는 제2 서스테인 기준 전압(Vz2)을 갖는 제2 스캔 서스테인 기준 신호(Szb2)가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어드레스 기준 전압(Vx1)은 제2 서스테인 기준 전압(Vz2)보다 높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스캔 전극(Y)에 터치 스캔 신호(TSP)가 공급될 때, 어드레스 전극(X)의 전압은 서스테인 전극(Z)의 전압보다 높을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수직 스캔 어드레스 기간(VSAP)에서 스캔 전극(Y)에 터치 스캔 신호(TSP)가 공급될 때, 어드레스 전극(X)의 전압을 서스테인 전극(Z)의 전압보다 높게 설정하게 되면, 스캔 전극(Y)과 어드레스 전극(X)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수직 스캔 어드레스 기간(VSAP)에서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방전을 수직 어드레스 방전이라 한다.
예를 들면, 도 14(a)와 같이, 복수의 스캔 전극(Y1~Yn)에 순차적으로 터치 스캔 신호(TSP)가 공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14(b)와 같이, 스캔 전극(Y)과 어드레스 전극(X)의 사이에서, 스캔 전극 라인(Y) 별로, 순차적으로, 수직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복수의 스캔 전극(Y) 중 제1 스캔 전극(Y1)에 터치 스캔 신호(TSP)가 공급되면 제1 스캔 전극 라인(Y1)에 대응되는 복수의 방전셀에서 방전이 발생할 수 있고, 그 이후, 제2 스캔 전극(Y2)에 터치 스캔 신호(TSP)가 공급되면 제2 스캔 전극 라인(Y2)에 대응되는 복수의 방전셀에서 방전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의 리셋 기간은 생략될 수 있다.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의 어드레스 기간(이하에서는 수평 스캔 어드레스 기간(HSAP)라 한다)에서는 터치 데이터 신호(TDP)가 어드레스 전극(X)에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X)들에 순차적으로 터치 데이터 신호(TDP)가 공급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어드레스 전극(X)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점에서 터치 데이터 신호(TDP)가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어드레스 전극(X)에 터치 데이터 신호(TDP)가 공급될 때, 스캔 전극(Y) 및 서스테인 전극(Z)의 전압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수평 스캔 어드레스 기간(HSAP)에서 어드레스 전극(X)에 터치 데이터 신호(TDP)가 공급될 때,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 전극(Z)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면, 스캔 전극(Y)과 어드레스 전극(X)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거나 서스테인 전극(Z)과 어드레스 전극(X)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수평 스캔 어드레스 기간(HSAP)에서 발생하는 방전을 수평 어드레스 방전이라 한다.
예를 들면, 도 15(a)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X1~Xm)에 순차적으로 터치 데이터 신호(TDP)가 공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15(b)와 같이 스캔 전극(Y)과 어드레스 전극(X)의 사이에서 또는 서스테인 전극(Z)과 어드레스 전극(X)의 사이에서, 어드레스 전극 라인(X) 별로, 순차적으로, 수평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X) 중 제1 어드레스 전극(X1)에 터치 데이터 신호(TDP)가 공급되면 제1 어드레스 전극 라인(X1)에 대응되는 복수의 방전셀에서 방전이 발생할 수 있고, 그 이후, 제2 어드레스 전극(X2)에 터치 데이터 신호(TDP)가 공급되면 제2 어드레스 전극 라인(X2)에 대응되는 복수의 방전셀에서 방전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앞서 상세히 설명한 원격제어장치, 예컨대 도 6의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직 스캔 어드레스 기간(VSAP)에서 발생하는 수직 어드레스 방전, 즉 수직 어드레스 광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의 수직 좌표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수평 스캔 어드레스 기간(HSAP)에서 발생하는 수평 어드레스 방전, 즉 수평 어드레스 광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의 수평 좌표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펜 모드에서, 도 16과 같이, 원격제어장치(200)의 위치가, 제3 스캔 전극 라인(Y3)과 제2 어드레스 전극 라인(X2)에 위치한다고 가정하면, 원격제어장치(200), 도 17과 같이, 스캔 서브필드의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 기간 중, 제3 스캔 전극 라인(Y3)에서 발생하는 수직 어드레스 광을 감지한다. 그리고, 스캔 서브필드의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 기간 중, 제2 어드레스 전극 라인(Z2)에서 발생하는 수평 어드레스 광을 감지한다.
특히, 제3 스캔 전극 라인(Y3)에서 발생하는 수직 어드레스 광 감지 타이밍(Tk3)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의 수직 좌표가 Y3임을 알 수 있으며, 제2 스캔 전극 라인(X2)에서 발생하는 수평 어드레스 광 감지 타이밍(T02)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의 수평 좌표가 X2임을 알 수 있게 된다.
수직 광 감지 타이밍(Tk3)과, 수평 광 감지 타이밍(T02)은, 각각 스캔 서스테인 기간(SSP)을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터치 위치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좌표 정보 획득에 대해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한편, 도 13의 경우와 같이, 수직 스캔 어드레스 기간(VSAP)과 수평 스캔 어드레스 기간(HSAP)의 사이의 스캔 서스테인 기간(SSP)에서 스캔 전극(Y) 및 서스테인 전극(Z) 중 적어도 하나에 터치 서스테인 신호(TSUS)를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캔 서스테인 기간(SSP)에서 스캔 전극(Y) 및 서스테인 전극(Z)에 터치 서스테인 신호(TSUS)를 교번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에서 마지막 터치 스캔 신호(TSP)를 공급한 이후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에서 첫 번째 터치 데이터 신호(T에)를 공급하기 이전에, 스캔 전극(Y) 및 서스테인 전극(Z)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서스테인 신호(TSUS)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 이후에는 일반 서브필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 이후에는 리셋 기간(RP), 어드레스 기간(AP) 및 서스테인 기간(SP)을 포함하는 일반 서브필드, 예컨대 제1 서브필드(SF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 18의 구동 파형(Vx,Vy)은 도 12의 스캔 서브필드(Scan SF) 내에 스캔 전극에 인가되는 파형과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되는 파형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3의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 스캔 서스테인 기간(SSP),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에서의 구동 파형을 간략히 나타낸다.
도 13의 스캔 서스테인 기간(SSP)은, 도 18의 동기 서스테인 기간(Tss) 및 식별 서스테인 기간(Tis)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서스테인 기간(SSP)은 다른 용어로 기준 서스테인 기간이라 명명될 수도 있다.
도 18에서는 동기 서스테인 기간(Tss)에, 스캔 전극(Y)에 4개의 동기 서스테인 펄스(sync sustain pulse)가 인가되는 것을 예시하나, 설정에 따라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18에서는, 동기 서스테인 펄스 이후, 즉, 4번째 동기 서스테인 펄스 이후, 식별 서스테인 펄스가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것을 예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에, 스캔 전극(Y)에 스캔 펄스(Tsp)가 인가되는 경우, 해당 방전셀에서 수직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한다. 또한, 동기 서스테인 기간(Tss)에, 4개의 동기 서스테인 펄스가 스캔 전극(Y) 및 서스테인 전극(Z)에 교호하게 인가되는 경우, 8회의 동기 서스테인 방전이 발생한다. 또한, 식별 서스테인 기간(Tis)에, 식별 서스테인 펄스가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경우 1회의 식별 서스테인 방전이 발생한다. 또한,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에, 어드레스 전극(X)에 데이터 신호(TDP)가 인가되는 경우, 1회의 수평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수직 어드레스 방전부터 수평 어드레스 방전까지 감지하는 경우를 전제하여, 좌표 정보 획득 방법의 일예를 기술한다. 수직 해상도는 1080 픽셀인 것을 전제로 하며, 터치 스캔 신호(TSP)는 스캔 전극 라인 별로 연속하여 인가되는 것으로 전제하며, 터치 데이터 신호(TDP)는 어드레스 전극 라인 별로 연속하여 인가되는 것으로 전제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여기서, Ty 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위치하는 방전셀에서의 스캔 신호 인가 기간과, 4회째의 동기 서스테인 펄스 인가 기간 사이의 기간을 나타낼 수 있다. Tyoffset 은, 동기 서스테인 기간(Tss) 시작시부터 4회째의 동기 서스테인 펄스 인가 기간 사이의 기간을 나타낸다. Tscan _y_ width는, 스캔 신호의 펄스 폭을 나타낸다. Py 는, 최종 수직 좌표를 나타낸다.
즉, Ty 를 감지하면, 고정된 값인 Tyoffset 과, Tscan _y_ width 을 이용하여, 최종 수직 좌표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 Ty 는 특정 방전셀에서의 1회째의 수직 어드레스 방전과, 7회째의 동기 서스테인 방전 사이의 타이밍 차이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여기서, Tx 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위치하는 방전셀에서의, 1회의 식별 서스테인 펄스 인가 기간과, 데이터 신호 인가 기간 사이의 기간을 나타낼 수 있다. Txoffset 은, 1회의 식별 서스테인 펄스 인가 기간과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 시작시점 사이의 기간을 나타낸다. Tscan _x_ width는, 데이터 신호의 펄스 폭을 나타낸다. Px 는, 최종 수평 좌표를 나타낸다.
즉, Tx 를 감지하면, 고정된 값인 Txoffset 과, Tscan _x_ width 을 이용하여, 최종 수평 좌표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 Tx 는, 특정 방전셀에서의, 1회의 식별 서스테인 방전과, 수평 어드레스 방전 사이의 타이밍 차이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3과 수학식 6을 비교하면, 수학식 3은, 동기 서스테인 펄스 인가 이전의 Tys 값을 가지고 최종 수직 좌표를 연산하므로, 수직 해상도 값인 1080 값을 고려하여 산출하게 되나, 수학식 6은, 동기 서스테인 펄스 인가 이후의 Txs 값을 가지고, 최종 수평 좌표를 연산하므로, 수평 해상도 값을 별도로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도면과 달리, Txoffset 과 Txoffset 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x의 시작점을, 4회째의 동기 서스테인 펄스 인가 시점으로 한 경우, Txoffset 도 동기 서스테인 펄스 인가 시점부터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 시작시점 사이의 기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광센서부(240)에서 감지되는 광 감지 타이밍 신호를 기초로, 상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6의 연산을 수행하여, 최종 수직 좌표 및 수평 좌표를 산출 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산출된 수직 좌표 및 수평 좌표 신호가 RF 모듈(221)을 통해, 포인팅 신호 수신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4회째의 동기 서스테인 펄스 인가 시점과 식별 서스테인 인가 시점 사이의 기간은 Tm 으로 설정하고, 영상표시장치(100)가 복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경우, Tm 을 식별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도 19a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가 2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80a, 180b)을 구비하는 경우, 도면과 같이, 가로로 나란히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칠판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패널(180a)와 제2 패널(180b) 모두에서, 터치 펜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패널의 어느 방전셀에서, 적외선 광을 감지하는 지 구분하기 위해, 도 19b와 같이, 동기 서스테인 펄스와 식별 서스테인 펄스 사이의 기간을, 패널 별로 달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패널(180a)에는, 도 19b의 (a)와 같은 파형을 스캔 서스테인 기간(SSP)에 스캔 전극(Y)에 인가하고, 제2 패널(180b)에는, 도 19b의 (b)와 같은 파형을 스캔 서스테인 기간(SSP)에 스캔 전극(Y)에 인가할 수 있다. 즉, 제1 패널(180a)의 4회째의 동기 서스테인 펄스 인가 시점과 식별 서스테인 인가 시점 사이의 기간(Tm1) 보다, 제2 패널(180a)에서의 기간(Tms)이 더 길도록 설정함으로써, 패널 구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패널 구별을 위해, 기간 구분 이외에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도 19c는, 식별 서스테인의 펄스폭(W1,W2)을 패널(180a, 180b) 별로 달리하는 것을 예시하며, 도 19d는, 식별 서스테인의 펄스 크기(H1,H2)를 패널(180a, 180b) 별로 달리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9c와 도 19d는, 서로 다른 패널임을 구분하기 위해, 펄스폭 또는 펄스 크기를 가변하였으므로, 실제 식별 서스테인 방전 구간의 길이 및 세기가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의 광센서부(240)에서, 감지되는 광 신호의 길이 및 세기에 따라, 이를 구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9a 내지 도 19d는, 2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80a, 180b)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4개 또는 6개 또는 9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도 확장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9(b) 내지 도 19(d)의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각 패널을 구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21 내지 도 22는 도 20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의 전원을 온 시킨다(S2010).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스위치(775)가 동작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을 온 시킨다. 구체적으로, 전원 스위치(775)의 동작에 따라, 전원 신호(S3)가 제어부(280)에 전달되며, 제어부(280)는 전원 제어 신호(S4)를 전원 공급부(26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부(260)는, 각각의 전원을 광센서부(240), RF 모듈(221), 제어부(280)에 공급한다.
다음, 터치 펜 모드인 지 여부를 판단하고(S2015), 해당하는 경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한다(S2020). 그리고, 감지된 광에 기초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한다(S2025).
터치 팬 모드는, 터치 펜 모드 키(773)의 동작에 따라 진입할 수 있다. 물론, 터치 펜 모드 키(773) 없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자동으로 진입할 수도 있다. 제어부(280)는, 해당 조건을 파악하여, 터치 팬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터치 팬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광센서부(24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한편, 터치 팬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RF 모듈(221)을 통해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로 터치 팬 모드임을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도 12 등과 같이, 일반 서브필드(Normal SF) 외에, 스캔 서브필드(Scan SF)를 추가하여,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터치 팸 모드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패널에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센서부(24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 기간 동안에 방출되는 수직 어드레스 광을 감지하고,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 기간 동안에 방출되는 수평 어드레스 광을 감지한다. 그 외,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 기간과 수평 스캔 서브필드 기간(HSSF) 사이의, 스캔 서스테인 기간(SSP) 동안, 적어도 1회의 동기 서스테인 광을 감지하고, 또한, 추가적으로 식별 서스테인 광을 더 감지한다.
광센서부(240)는, 감지된 광에 기초하여, 도 11(c)와 같은 타이밍 신호를 출력한다. 순서대로, 수직 어드레스 광에 기초한 타이밍 신호, 동기 서스테인 광에 기초한 타이밍 신호, 식별 서스테인 광에 기초한 타이밍 신호, 수평 어드레스 광에 기초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280)는, 광센서부(240)에서 출력되는 타이밍 신호의 미수신 기간이 제1 소정 시간 이상 경과하였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2030).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80)는, 바로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도 18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좌표 정보를 연산하고(S2050), 연산된 좌표 정보를 RF 모듈(221)을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한다(S2055). 특히,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로 전송되도록,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로 좌표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다시, 계속하여, 제2015 단계(S2015) 이후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2030 단계(S2030)에서, 제1 소정 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 터치 펜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한다(S2040). 제어부(280)는, 타이밍 신호의 미 수신 기간이 제1 소정 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 터치 펜 스탠 바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전원 공급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2(a)는 타이밍 신호가 제1 소정 시간 이상 미수신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면과 같이,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제1 소정 시간 이상 기간 동안에, 소정 간격 이상 이격되는 경우, 도 11(a)와 같이 일부 구간에서 피크 레벨을 갖는 광 감지 신호(SIR)가 입력되지 않고, 로우 레벨을 계속 유지하는 광 감지 신호만이 입력된다. 이에 따라, 타이밍 신호는 일정 레벨만을 유지하게 된다. 제어부(280)는, 일정 레벨만을 유지하는 타이밍 신호를 제1 소정 시간 이상 입력받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밍 신호가 제1 소정 시간 이상 미수신 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하도록 전원 공급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관센서부(240)에서의 광 감지는 특정 파장 대역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외선 대역(IR) 대역만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외의 광이 감지되는 경우, 타이밍 신호가 미수신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스탠 바이 모드로의 진입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도 22(b)와 같이,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접촉하다가, 점차 멀어지는 경우, 즉, 원격제어장치(200)에서 감지된 광 신호의 레벨(도 9(a) 참조)이 점차 낮아져서, 기준치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는, 기준치 미만인 경우부터 제1 소정 시간 이상 경과하는 경우에,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22(c)와 같이,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의 제2 소정 시간 이상 특정 포인트만 계속 터치하는 경우,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가, 도 16과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 중 (X2,Y3)에 해당하는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제2 소정 시간 이상 감지하는 경우, 광센서부(240)는, 도 17의 파형에 해당하는 광 감지 신호 및 그에 대응하는 타이밍 신호만을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동일 패턴의 타이밍 신호만을 제2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동일 패턴의 타이밍 신호가 반복하여 제2 소정 시간 이상 수신되는 경우,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하도록 전원 공급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그 외, 원격제어장치(200)가 도 9와 같이, 회전볼(780)과 회전 감지부(785)를 구비하는 경우, 회전 감지부에서 감지된 회전 타이밍 신호가 제3 소정 시간 미수신되는 경우, 제어부(280)는,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하도록 전원 공급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스탠 바이 모드에서, 전원 공급부(260)는, 무선 통신부(225), 특히 RF 모듈(221)에 공급되는 2차 전원(P2)을 제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260)는, 광센서부(240)와 제어부(280)에 공급되는 1차 전원(P1)을 계속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 기능만이 일시 정지할 수 있어, 전원공급부(260)에 저장된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어부(280)는, 스탠 바이 모드 진입 후, 광센서부(240)에서 출력되는 타이밍 신호의 미수신 기간이 제4 소정 시간 이상 경과하였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2040). 해당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의 전원을 오프한다(S2045).
제어부(280)는, 타이밍 신호의 미 수신 기간이 제4 소정 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 전원 관리를 위해, 아예 원격제어장치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260)는, 이미 공급 제한된 2차 전원(P2) 외에, 추가적으로 광센서부(240) 또는 제어부(280)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되는 1차 전원(P1)의 공급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에, 제어부(280)는, 도 22(b)에서의 기준치 미만 기간 또는 도 22(c)에서의 동일 타이밍 반복 기간이, 제4 소정 시간 이상인 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제어장치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전원 공급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의 전원 스위치(775)가 다시 온되는 경우, 또는 터치 펜 모드 키(773)가 동작하는 경우, 다시, 전원 공급부는, 상술한 1차 전원(P1) 및 2차 전원(P2)의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소정 시간 내지 제4 소정 시간은, 수 초(sec) 내지 수 십초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2010 단계(S2010)와 제2015 단계(S2015) 사이에 페어링 모드가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페어링 모드는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2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의 전원을 온 시킨다(S2210).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스위치(775) 등이 동작하는 경우, 전원 공급부(260)는, 각각의 전원을 광센서부(240), RF 모듈(221), 제어부(280)에 공급한다.
다음, 페어링 신호를 전송한다(S2215). 원격제어장치(200)는, RF 모듈(221)을 이용하여,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로 페어링 신호를 전송한다. 실제 페어링 신호는,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를 거쳐,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300)로 전달된다. 페어링 신호는, 기 설정된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의 아이디 정보, 단위 데이터 크기 정보, 페어링 요청 정보 등일 수 있다.
다음, 페어링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S2220).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는,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를 통해 수신되는 페어링 신호에 응답하여, 페어링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에서 전송되는 페어링 응답 신호를 RF 모듈(221)를 통해 수신한다.
페어링 응답 신호는, 해당 원격제어장치(200)에 대한 채널 정보, 단위 데이터 크기 정보 등일 수 있다. 즉,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는, RF 통신 방식에서의 특정 채널을 원격제어장치(200)에 할당할 수 있으며,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와 데이터 통신시 사용할 단위 데이터 크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 소정 채널을 통해 좌표 정보를 소정 단위 데이터 크기로 전송한다(S2225). 원격제어장치(200)는, 페어링 응답 신호에 따라, 페어링 모드를 완료한 이후, 터치 펜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터치 펜 모드에 따라, 연산된 좌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원격제어장치(200)와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 사이에서 결정된 채널을 통해, RF 방식으로 변환된 연산된 좌표 정보를 결정된 단위 데이터 크기 단위씩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때, 에러 체크용 체크섬(checksum) 데이터를 같이 전송할 수 있다.
다음, 에러 체크 데이터를 수신한다(S2230).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는,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를 통해 수신되는 좌표 정보 및 체크섬 데이터 중, 체크섬 데이터를 다시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체크섬 데이터가 포함된 에러 체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음,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전송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한다(S2235). 해당하는 경우, 단위 데이터 크기를 보다 작게 설정하여, 좌표 정보를 재전송하거나 채널을 변경한다(S2240). 제어부(280)는, 수신된 체크섬 데이터를 체크하여, 해당 체크섬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였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송신용 체크섬 데이터와 수신된 체크섬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에러로 판단하고, 함께 전송된 좌표 정보를 재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재전송 필요시, 제어부(280)는, 기 설정된 채널을 변경하거나, 단위 데이터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변경된 채널을 통해, RF 방식으로 변환된 연산된 좌표 정보를 축소된 단위 데이터 크기 단위씩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무선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전송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24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포인팅 신호처리장치(400) 사이의 신호 흐름도이다. 이는 도 23에 대응하므로, 이하에서는 간략히 대응시켜 설명한다. 제2310 단계(S2310) 내지 제2325 단계(S2325)는, 각각 도 23의 제2215 단계(S2215) 내지 제2230 단계(S2230)에 대응한다. 또한, 제2330 단계(S2330)는, 제2240 단계(S2240)에 대응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제2310 단계(S2310)에서는, 원격제어장치의 아이디 정보, 단위 데이터 크기 정보, 또는 페어링 요청 정보 등을 포함하는 페어링 신호를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315 단계(S2315)에서는, 채널 정보, 단위 데이터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하는 페어링 응답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320 단계(S2320)에서는, 소정 채널을 통해 결정된 단위 데이터 크기의 좌표 정보와 체크섬 데이터를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325 단계(S2325)에서는, 회신용 체크섬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330 단계(S2330)에서는, 재전송 필요시, 변경된 채널을 통해, 축소된 단위 데이터 크기의 좌표 정보와 체크섬 데이터를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터치 펜 모드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S2410). 해당하는 경우, 스캔 서브필드를 추가하여 영상을 표시한다(S2415).
영상표시장치(100)는,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가 터치 펜 모드임을 알려주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해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해당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영상 표시시, 도 12 등과 같이, 단위 프레임에, 일반 서브필드(Normal SF) 외에, 스캔 서브필드(Scan SF)를 추가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터치 펜 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는 일반 서브필드(Normal SF)만으로 단위 프레임을 구성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430).
다음, 영상표시장치(100)는,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2420). 해당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방전셀에, 수신된 이미지를 표시한다(S2425).
터치 팬 모드에서,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 기간 동안에 순차적으로 수직 어드레스 방전이 수행되고,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 기간 동안에 순차적으로 수평 어드레스 방전이 수행된다. 또한,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 기간과 수평 스캔 서브필드 기간(HSSF) 사이의, 스캔 서스테인 기간(SSP) 동안, 적어도 1회의 동기 서스테인 방전이 수행되고, 또한, 추가적으로 식별 서스테인 방전이 수행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광센서부(240)는, 이러한 각 방전을 감지하여, 타이밍 신호로서 출력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각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결국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 대한, x, y 좌표를 연산하게 된다. 연산된 x,y 좌표 정보는, RF 방식으로 변환되어,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로 송신되며, 결국, x,y 좌표 정보는,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로 입력된다.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는, x,y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이미지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이 구동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수신되는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해당 이미지를 표시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국, 원격제어장치(200)의 터치 이동에 따라, 해당 이미지가 표시되게 된다. 한편, 이미지 표시는 상술한 스캔 서브필드와는 관련이 없으며, 일반 서브필드를 통해, 그 표시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터치 팬 모드가 계속되는 경우, 스캔 서브필드는 계속해서, 수직 어드레스 방전 및 수평 어드레스 방전을 수행하며, 일반 서브필드에서는, 해당하는 이미지 또는 그외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방전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간단하게 영상표시장치(100)에 소정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소정 이미지 외에, 터치 펜 모드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더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420 단계(S2420)에서, 영상표시장치로 이미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는, 미수신 기간이 제1 기간 이상인 지 여부를 판단하고(S2435), 해당하는 경우, 스탠 바이 모드 오브젝트를 표시한다(S2440).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2와 같이 외부의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로부터 이미지 신호가 제1 소정 기간 이상 미수신되거나, 도 3과 같이 내부의 포인텅 신호 처리부(400)로부터 이미지 신호가 제1 소정 기간 이상 미수신되는 경우,원격제어장치(200)가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490)를 도 26과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탠 바이 모드임을 바로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4의 제1 소정 기간은, 상술한 도 20의 제1 소정 시간과 동일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500)의 핫 키(2510)의 동작에 따라, 도 27와 같은, 터치 펜 항목(2520)을 포함하는 메인 메뉴(2510)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터치 펜 항목(2520) 외에, 채널 관련 항목, 픽쳐 관련 항목, 오디오 관련 항목, 시간 관련 항목, 잠금 관련 항목, 옵션 관련 항목, 미디어 관련 항목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500)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의 터치 펜 모드 키(773)가 동작하는 경우에도 도 27와 같은, 터치 펜 항목(2520)을 포함하는 메인 메뉴(2510)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메뉴(2510) 표시시, 메인 메뉴(2510)와 중첩하여, 방송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메인 메뉴(2510)의 색상 또는 투명도를 달리하여, 방송 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메인 메뉴(2510) 내에 터치 펜 항목(2520)이 선택되는 경우,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와의 연결을 위한 외부 입력 선택 메뉴(2620)가 도 28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외부 입력 선택 메뉴(2620)는, 예를 들어, HDMI1, HDMI2, RGB1, RGB2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외부 입력 선택 메뉴(2620) 내의 'HDMI1'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도 29과 같은 터치 펜 홈 화면(2710)이 표시될 수 있다. 터치 펜 홈 화면(2710)은, '스케치북' 항목, '사진꾸미기' 항목, '마이 갤러리' 항목, '인터넷' 항목, '가족 캘린더' 항목 등을 포함하는 터치 펜 메뉴(2720) 및, 터치 펜의 실행 오류를 확인하는 메뉴(273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펜 홈 화면(2710) 실행 오류시, 해당 메뉴(2730)를 이용하여, 다시 진입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펜 홈 화면(2710)은, 사용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인터넷' 항목, '가족 캘린더' 항목은 소정 나이 이상인 경우에만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펜 홈 화면(2710)은, 도면에 도시되 항목 외에 다양한 항목을 제공하여,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30은 도 29과 다른 터치 펜 홈 화면(2800)을 예시한다. 즉, 도 29과 비교하여, 메뉴(2730)가 없이, 바로 터치 펜 메뉴(28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 외 화면 상단에, 각 원격제어장치의 전원 상태를 알려주는 오브젝트(2820,2825)와, 설정 항목 오브젝트(2830), 나가기 항목 오브젝트(2835)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다음, 도 31와 같이, 터치 펜 홈 화면(2800)에서, 나가기 항목 오브젝트(2835)를,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경우, 도 32과 같이, 외부 입력으로 연결된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가 컴퓨터인 경우, 도면과 같이 컴퓨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3은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한 다양한 입력방법과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예시한다.
먼저, 도 33(a)는, 숏탭(short tab) 동작으로서, 디스플레이(180) 화면의 일정 부분을 펜으로 눌렀다가 떼는 동작을 나타낸다. 이에 의해, 해당 개체 눌림 표시 또는 포커스가 수행된다.
다음, 도 33(b)는, 롱탭(long tab) 동작으로서, 디스플레이(180) 화면의 동일한 부분을 1초 이내에 2회 눌렀다가 떼는 동작을 나타낸다. 이에 의해, 해당 개체 눌림 표시 또는 포커스가 수행되거나, 전체 화면 전환 등의 설정한 이벤트가 실행될 수 있다.
다음, 도 33(c)는, 드래깅(dragging) 동작으로서, 디스플레이(180) 화면의 두 지점을 누르는 동작을 유지하면서 이동하였다가 떼는 동작을 나타낸다. 이에 의해, 개체 이동, 스크롤 등이 실행될 수 있다.
다음, 도 33(d)는, 줌인/아웃(zoom in/out) 동작으로서, 두 개의 펜으로, 디스플레이(180) 화면의 각 지점을 동시에 누르는 동작을 유지하면서 이동하였다가 떼는 동작을 나타낸다. 이에 의해, 해당 개체의 크기를 변환시킬 수 있다.
다음, 도 33(e)는, 릴리즈(release) 동작으로서, 디스플레이(180) 화면에서 펜을 떼어 기능이 실행되는 순간을 나타낸다. 이에 의해, 설정한 바에 따른 특수한 이벤트가 실행될 수 있다.
다음, 도 33(f)는, 터치 펜 모드 키(773)를 눌렀다가 떼는 동작을 나타낸다. 이에 의해, 터치 펜 모드로 진입하거나, 터치 펜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종료시, 이전 영상이 표시되는 전체 화면 모드로 토글될 수 있다.
도 34는 터치 펜 그리기 툴바의 일예를 예시한다. 터치 펜 모드에서, 도 29 또는 도 30에 표시된 터치 펜 메뉴인, '스케치북' 항목, '사진꾸미기' 항목, '마이 갤러리' 항목, '인터넷' 항목, '가족 캘린더'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터치 펜 모드 실행을 위해, 디스플레이 하부에, 터치 펜 그리기 툴바(3210)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툴바(3210)의 위치를 상/하로 조정하기 위한 조정 오브젝트(3220)가 도면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기 툴바(3210)는, '새스케치' 항목(3230), '새로고침' 항목(3235), '펜 종류' 항목(3240), '펜 두께' 항목(3245), '색상' 항목(3250), '저장' 항목(3255), '출력' 항목(3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항목의 선택에 따라, 해당 동작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터치 펜 이용시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또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하는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을 감지하여, 상기 광 감지에 기초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부;
    상기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좌표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
    상기 연산된 좌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광센서부, 제어부, 및 무선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타이밍 신호가 제1 소정 시간 이상 미수신되거나, 상기 감지된 광 신호의 레벨이 점차 낮아져서 기준치 미만이거나, 동일 패턴의 타이밍 신호가 반복하여 제2 소정 시간 이상 수신되는 경우,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부 전단에 부착되는 회전볼; 및
    상기 회전볼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회전 감지부에서 감지된 회전 타이밍 신호가 제3 소정 시간 미수신되는 경우,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 후, 상기 타이밍 신호 미수신 기간 또는 상기 기준치 미만 기간 또는 동일 타이밍 신호 반복 기간이, 제4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전원 오프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광센서부 또는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부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직 스캔 서브필드 기간 동안에 방출되는 수직 어드레스 광을 감지하고, 수평 스캔 서브필드 기간 동안에 방출되는 수평 어드레스 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부는,
    상기 수직 스캔 서브필드 기간과 상기 수평 스캔 서브필드 기간 사이의, 스캔 서스테인 기간 동안, 적어도 1회의 동기 서스테인 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직 어드레스 광, 및 상기 수평 어드레스 광에 기초하여,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 대한 수평 좌표와 수직 좌표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부는,
    상기 수직 스캔 서브필드 기간과 상기 수평 스캔 서브필드 기간 사이의, 스캔 서스테인 기간 동안, 식별 서스테인 광을 더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동기 서스테인 광과 상기 식별 서스테인 광 사이의 기간, 상기 식별 서스테인 광의 길이 또는 광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포인팅 신호 처리 장치로 페어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포인팅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페어링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로 상기 좌표 정보를 소정 단위 데이터 크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좌표 정보 재전송 필요시, 상기 단위 데이터 크기를 보다 작게 설정하여, 상기 좌표 정보를 상기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하는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을 감지하여, 상기 광 감지에 기초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부;
    상기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좌표 신호를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연산된 좌표 신호를 소정 채널을 통해 소정 데이터 크기로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좌표 정보 재전송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단위 데이터 크기를 보다 작게 설정하여, 상기 좌표 정보를 상기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채널을 변경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부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직 스캔 서브필드 기간 동안에 방출되는 수직 어드레스 광을 감지하고, 수평 스캔 서브필드 기간 동안에 방출되는 수평 어드레스 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4. 복수의 방전셀을 구비하며, 터치 펜 모드인 경우, 수직 스캔 서브필드 기간 동안에 수직 어드레스 광을 순차적으로 방출하고, 수평 스캔 서브필드 기간 동안에 수평 어드레스 광을 순차적으로 방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터치 팬 모드인 경우,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페널에 원격제어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한 경우, 스탠 바이 모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외부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신호가 제1 소정 시간 이상 미수신 되는 경우, 상기 스탠 바이 모드를 나타내는 오브젝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포인팅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포인팅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좌표 정보에 기초한 소정 이미지 신호를 출력하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신호가 제1 소정 시간 이상 미수신 되는 경우, 상기 스탠 바이 모드를 나타내는 오브젝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하고, 감지된 광에 기초하여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부와, 상기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된 좌표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터치 펜 모드인 경우, 상기 수직 스캔 서브필드 기간과 상기 수평 스캔 서브필드 기간 사이의, 스캔 서스테인 기간 동안, 적어도 1회의 동기 서스테인 광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수직 스캔 서브필드 기간과 상기 수평 스캔 서브필드 기간 사이의, 스캔 서스테인 기간 동안, 식별 서스테인 광을 더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복수개인 경우, 각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동기 서스테인 광과 상기 식별 서스테인 광 사이의 기간, 상기 식별 서스테인 광의 길이 또는 광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10027710A 2011-03-28 2011-03-28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120109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710A KR20120109895A (ko) 2011-03-28 2011-03-28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710A KR20120109895A (ko) 2011-03-28 2011-03-28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895A true KR20120109895A (ko) 2012-10-09

Family

ID=4728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710A KR20120109895A (ko) 2011-03-28 2011-03-28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98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1879A (zh) * 2018-10-04 2021-05-07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1879A (zh) * 2018-10-04 2021-05-07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112771879B (zh) * 2018-10-04 2023-10-20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6418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2685354A2 (en) Touch display device and multi-touch display device
US2013000272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9641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function of display device using remote controller
US8711092B2 (en) Poin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pointing system, and location data generation method and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US20130113725A1 (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17018A (ko) 컴퓨팅 장치, 컴퓨팅 장치 제어 방법 및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00001957A1 (en) Display apparatus
KR20150002302A (ko) 전자칠판용 영상 지우개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전자칠판 시스템
KR10123321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431503B1 (ko) 영상표시장치
US201302652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o a display device via a remote control device
US1036666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contrast
KR20120109895A (ko)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120140025A (ko)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
KR1019605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EP3110137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3005351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04342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120128886A (ko) 공간 좌표 연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표시장치
CN100405284C (zh) 显示系统
KR20120138988A (ko)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130066339A (ko)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13002524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14203425A (ja) 電子ペンを備えた画像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