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232A -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 Google Patents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232A
KR20120109232A KR1020110027681A KR20110027681A KR20120109232A KR 20120109232 A KR20120109232 A KR 20120109232A KR 1020110027681 A KR1020110027681 A KR 1020110027681A KR 20110027681 A KR20110027681 A KR 20110027681A KR 20120109232 A KR20120109232 A KR 20120109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housing
electric vehicle
leve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6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94354B1 (en
Inventor
연규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7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354B1/en
Publication of KR20120109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2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3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Abstract

PURPOSE: A connector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for minimizing the power of a user is provided to maximize a rotation moment applied for rotation of a lever and to increase distance between a guide pin and a hinge of a lever. CONSTITUTION: A terminal housing(130) is displaced in an internal space of a first body(110). A lever(150) is combined with the first body. A front side of the terminal housing is displaced to an opening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 second body(140) is combined with the terminal housing in rotation of the lever. The second body is slid in an opening of the first body.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커넥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품의 수가 최소화되며, 장착과정, 충전과정 및 탈착과정에서의 신뢰성, 반복적 사용에 대한 내구성 및 방수성능이 향상되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minimizing the number of parts, reliability in mounting, charging and detaching, durability and water resistance for repeated use, and improved user convenience. It relates to a connector of this improved electric vehicle charger.

최근 석유가격의 상승 또는 환경문제 등의 이유로 전기 자동차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구동을 위한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고, 각종 전장 장치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기 에너지가 필요하고 이를 대용량의 배터리를 통해 충전하여 사용하게 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가 보급되기 위해서는 전기 자동차 자체와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가 요구될 수 있다.Recently, interest in electric vehicles has increased due to rising oil prices or environmental issues. Such electric vehicles require electric energy to drive a driving motor for driving a vehicle and to supply electric power required to operate various electric devices, and may be used by charging them with a large capacity battery. In order to spread an electric vehicl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itself and the electric vehicle may be required.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는 전력 공급 및 제어를 위한 충전 스테이션과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에너지를 전기 자동차에 구비된 인렛에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may include a charging station for power supply and control and a connector detachably mounted to an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for supplying electric energy provided from the charging station to an inlet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특히, 전기 자동차는 충전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급속 충전될 수 있으며, 급속 충전을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는 완속 충전을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와 구별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electric vehicle may be rapidly charged to shorten the charging time,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rapid charging may be distinguished from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slow charging.

급속 충전장치의 경우, 그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의 개수를 최소화하며,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안전 또는 규격상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큰 힘을 요하지 않고 커넥터의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며, 충전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가 분리되지 않는 신뢰성을 제공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크다.In the case of the quick charging device, the structure is simple, the number of parts is minimized, the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and the connector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without requiring great force while satisfying safety or standard requirements. There is a great need for connectors of electric vehicle chargers that provide reliability that the connectors do not disconnect in unintentional states during the charging process.

본 발명은 커넥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며, 장착과정, 충전과정 및 탈착과정에서의 신뢰성, 내구성 및 방수성능이 향상되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to simplify the structure, minimize the number of parts, improve the reliability, durability and waterproof performance in the mounting process, charging process and detachment process, the user convenienc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The problem to be solved is to provide a connecto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 터미널 및 전력 터미널, 상기 통신 터미널 및 상기 전력 터미널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 양단에 개방구를 구비하며,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내부 공간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전단부가 상기 개방구 중 어느 하나의 개방구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상기 터미널 하우징을 추진하는 레버 및,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후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터미널 하우징에 의하여 견인되고, 상기 제1 바디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제1 바디로 삽입되는 삽입깊이가 제한되는 단차를 구비하는 제2 바디;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ower terminal, a terminal housing equipped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ower terminal, having openings at both ends, and the terminal housing being mounted to be displaceable in an internal space. A body coupled to the first body by a hinge, the lever propelling the terminal housing such that the front end of the terminal housing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of any one of the openings, and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terminal housing. And a second body that is towed by the terminal housing when the lever is rotated, is slidable from another opening of the first body, and has a step that limits an insertion depth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It further provides a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이 경우, 상기 제2 바디는 확대부, 상기 확대부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전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후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바디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body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enlarged portion, the rear end of the enlarged portion, and extends from the front end of the second body and is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terminal housing so that the other one of the first body is extended. The sliding part may include a sliding part.

또한, 상기 확대부의 직경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직경 및 상기 손잡이부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단차는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확대부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enlarged portion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sliding portion and the diameter of the handle portion, the step may b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liding portion and the enlarged portion.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 하부에 손잡이부 내측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고무 재질의 케이블 보호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rubber cable protection member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handle may be provided below the handle.

여기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측면에 가이드핀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상단부에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장공 형태의 가이드홀이 구비되며,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홀의 내측 벽면에 의하여 추진될 수 있다.Here, the guide pin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housing, the guide hole of the long hole shape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lever is inserted, the guide pin is rotated by the lever by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guide hole Can be promoted.

또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레버의 상단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hole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lever.

이 경우,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양측면 상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air of guide pins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terminal housing.

또한, 상기 레버의 상단부는 상기 힌지 근방에서 분지되어 각각의 가이드핀 방향으로 절곡 및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lever may be branched near the hinge can be bent and extended in the direction of each guide pin.

그리고,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변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변위된 상기 터미널 하우징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레치 및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체결레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레치의 고정상태 해제 동작은 상기 체결레치의 체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s coupled to the fixing latch and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which are locked to the displaced terminal housing to fix the displaced state of the terminal housing in the first body when the lever is rotated.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latch for maintaining, the fixed state release operation of the fixed latch can release the fastening state of the fastening latch.

여기서, 상기 제1 바디에 상기 고정래치에 의한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래치 및 상기 체결레치는 상기 제1 바디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해제버튼에 의해 고정레치의 일단이 가압되면 고정레치의 타단이 상기 체켤레치의 일단을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체결레치의 타단이 하강되어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대한 상기 체결레치의 체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Here, the first body includes a release button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of the terminal housing by the fixed latch, the fixed latch and the fastening latch is hinged to the first body, by the release button When one end of the fixing latch is presse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latch raises one end of the body latch,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latch is lowered to release the fastening state of the fastening latch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또한,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변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바디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레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latch that is latched to the second body to fix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housing is displaced from the first body when the lever is rotated.

이 경우, 상기 고정래치에 의한 상기 제2 바디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may include a release button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of the second body by the fixed latch.

또한, 상기 해제버튼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 근방의 상부 중심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lease button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area near the other opening of the connector housing.

이 경우, 상기 터미널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바디의 상단면에 상기 고정레치가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housing or the second body to selectively lock the fixing latch.

또한, 상기 걸림돌기의 단면의 측면 경사는 서로 다를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slo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locking projection may be different.

그리고, 상기 해제버튼은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적어도 1가지 이상의 발광 색상을 갖는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The release button may be made of a light transmissive material and include a light source hav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color therein.

여기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제어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상태에 따라 상기 광원의 작동방법 또는 발광 색상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may control the operation method or the light emission color of the light sourc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e.

이 경우,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제2 바디는 일체형으로 커넥터 코어를 구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rminal housing and the second body may integrally constitute a connector core.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 터미널 및 상기 전력 터미널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 양단에 개방구를 구비하며,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내부 공간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바디 및, 확대부, 상기 확대부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 상기 제2 바디의 전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후단부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제1 바디로 슬라이딩 삽입 가능한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제1 바디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깊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확대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를 포함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terminal terminal equipped with the power terminal, the first body having an opening at both ends, the terminal housing is mounted so as to be displaceable in the internal space, and an enlarged portion A handle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a rear end of the enlarged part, a sliding part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while being extended from a front end of the second body and fastened to a rear end of the terminal housing, and the first sliding part; It provides a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ncluding a; a second body including a step formed on the boundary of the sliding portion and the enlarged portion to limit the insertion depth is inserted into the body.

이 경우,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제2 바디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rminal housing and the second body may b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의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커넥터의 내부 구조가 단순화되고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nector can be simplified an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는 레버 등에 의하여 터미널이 수용된 하우징이 직접 추진되는 구조를 갖으므로, 부품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ousing housing the terminal is directly pushed by a lever or the like, the number of parts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의하면, 레버에 의하여 추진되는 대상이 터미널 하우징 등에 구비된 가이드핀이므로, 가이드핀과 레버의 힌지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켜 레버의 회전시 인가되는 회전 모멘트를 극대화하여 커넥터의 장착과정에서의 요구되는 사용자의 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bject to be pushed by the lever is a guide pin provided in the terminal housing or the like, the rotation applied to the rotation of the lever by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guide pin and the hinge of the lever By maximizing the momen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ize of the user's force required during the mounting of the connec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 바디를 구성하는 제1 바디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2 바디의 삽입깊이를 제2 바디의 확대부와 슬라이딩부 사이의 단차로 구획하므로 사용자의 무리한 레버의 견인동작에도 커플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depth of the second body slidingly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constituting the connector body is partitioned by the step between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sliding portion of the second body Even if the user pulls the lever excessively, the coupl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의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와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의 장착과정과 탈착과정이 간편해 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rocess and detachment process of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nd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can be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의하면, 전기 자동차의 충전과정에서 인렛에서 커넥터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or from being unintentionally disconnected from the inlet during the charging process of the electric vehicle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예와 상기 커넥터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전기 자동차의 인렛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예의 측면 방향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방향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레버를 당긴 상태에서의 측면 방향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7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레버를 당긴 상태에서의 측면 방향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방향 투시도를 도시한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 connector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parated state of an inlet of an electric vehicle in which the connector is detachably mounted.
Figure 2 shows a lateral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lateral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6 shows a side perspective view in the pulled state of the lever of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 7 shows a lateral perspective view in a state where the lever of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is pulled out.
8 shows a lateral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의 하나의 실시예와 상기 커넥터(1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기 자동차의 인렛(200)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1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connector 100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parated state of an inlet 200 of an electric vehicle in which the connector 100 is detachably mounted.

상기 인렛(200)은 인렛 하우징(210) 내에 암형 전력 터미널(220) 및 통신 터미널(230)이 구비되고, 개폐가능한 커버(24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The inlet 200 may include a female power terminal 220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230 in the inlet housing 210 and may be shielded by an openable and openable cover 240.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는 제1 바디(110) 내부에 터미널 하우징(130)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 내부에 각각 수형 전력 터미널(132) 및 통신 터미널(130)이 구비될 수 있다.Connector 100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erminal housing 130 inside the first body 110, the male power terminal 132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respectively) inside the terminal housing 130 ( 130 may be provided.

따라서, 전기차의 충전시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를 상기 인렛(200)에 장착하고 터미널 간의 접속이 완료되면,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는 상기 커넥터를 경유하여 전기 자동차의 베터리(미도시)로 전력을 공급하여 베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Therefore, when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when the user mounts the connector 100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to the inlet 200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s is complete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s a battery (not shown) of the electric vehicle via the connector. To charge the battery.

상기 커넥터(100)의 전력 터미널(132) 및 통신 터미널(130)이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130)은 충전상태에서는 상기 인렛(200)을 구성하는 인렛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되어야 하지만 비충전상태에서는 안전 또는 규격등을 이유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The terminal housing 130 equipped with the power terminal 132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130 of the connector 100 should be inserted into and mounted inside the inlet housing 210 constituting the inlet 200 in a charged state. In the charged state, it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for safety or standard reasons.

즉, 상기 커넥터(100)의 전력 터미널 및 통신 터미널(133)이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130)은 충전을 위한 장착상태에서만 외부로 노출되거나 개방구 측으로 변위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terminal housing 130 on which the power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133 of the connector 100 are mounted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r displaced to the opening side only in a mounting state for charging.

따라서, 이와 같은 선택적 노출, 돌출 또는 변위되는 구조를 위하여, 상기 커넥터(100)는 제1 바디(110)을 구비하고 제1 바디(110) 내부에 터미널 하우징(130)이 슬라이딩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Therefore, for such a selective exposure, protruding or displaced structure, the connector 100 has a first body 110 and the terminal housing 130 is mounted in the first body 110 to be slidably displaceable. It may have a structure.

또한, 상기 커넥터(100)의 전력 터미널(132) 및 통신 터미널(130)이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130)은 충전상태, 즉 상기 인렛 하우징(210)에 장착되는 과정은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요구되며, 장착과정에서 요구되는 사용자의 실제 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레버(15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레버(150)를 사용하여 힘의 이득을 확보하여, 실제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쉽게 상기 커넥터(100)를 상기 인렛(200)에 장착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특히, 노약자 또는 여성 운전자의 경우, 레버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커넥터의 장착과정에서 물리적인 부담을 느낄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housing 130 in which the power terminal 132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130 of the connector 100 are mounted is in a charged state, that is, the process of being mounted in the inlet housing 210 requires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of force. In addition, the lever 150 may be used to reduce the actual force of the user required during the mounting process. That is, by using the lever 150 to secure the gain of the force, the actual user can be easily mounted to the inlet 200 with the connector 100 with a small force. In particular, the elderly or female driver, if you do not use the lever can feel a physical burden during the mounting process of the connector.

또한, 사용자가 쉽게 커플러(100)를 한손으로 홀딩할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제2 바디(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140) 내부로 전술한 복수의 터미널에 접속되는 케이블(C)이 통과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ody 140 may have a bent shap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the coupler 100 with one hand. A cable C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described above may pass through the second body 140.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플러의 구조 등을 자세하게 검토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ure 2 below, the structure of the couple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예의 측면 방향 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방향 투시도를 도시한다.2 shows a lateral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FIG. 3 shows a lateral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는 통신 터미널(미도시) 및 전력 터미널(미도시), 상기 통신 터미널 및 상기 전력 터미널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130), 양단에 개방구를 구비하며,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내부 공간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바디(110), 상기 제1 바디(110)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의 전단부가 상기 개방구 중 어느 하나의 개방구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상기 터미널 하우징을 추진하는 레버(150) 및,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의 후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레버(150)의 회전시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에 의하여 견인되고, 상기 제1 바디(110)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제1 바디로 삽입깊이가 제한되는 단차가 형성된 제2 바디(140)를 포함한다.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terminal (not shown) and a power terminal (not show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terminal housing 130 mounted with the power terminal, and openings at both ends, and the terminal housing The first body 110, which is mounted so as to be displaceable in the internal space,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110 by a hinge, and the front end of the terminal housing 130 in the opening direction of any one of the openings. A lever 150 for propelling the terminal housing so as to be displaced, and a rear end of the terminal housing 130, which is pulled by the terminal housing 130 when the lever 150 rotates, and the first body A second body 140 that is slidable from the other opening of the 110 and is formed with a step that is limited to the insertion depth to the first bod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터미널이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130)이 상기 제1 바디(110) 내측 공간 중 전방에 배치되며, 제2 바디(140)가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의 후단부(130b)에 연결된다.As shown in FIG. 2, a terminal housing 130 on which each terminal is mounte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40 is located after the terminal housing 130. Is connected to the end 130b.

상기 제2 바디(140)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의 후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에 의하여 견인되고, 상기 제1 바디(110)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113, 도 4 참조)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The second body 140 is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terminal housing 130, is pulled by the terminal housing 130 when the lever is rotated, the other opening of the first body 110 It is slidable at (113, see FIG. 4).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바디(140)는 중심 영역의 확대부(143)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141) 및 상기 확대부(143)에서 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후단부(130b)에 고정 체결되고 상기 제1 바디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113, 도 4 참조)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142)로 구획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body 140 has a diameter at the handle portion 141 and the enlarged portion 143 extending downward based on the enlarged portion 143 of the central region, so tha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terminal housing ( 130b) and may be partitioned into a sliding part 142 which is slidable at the other opening 113 (see FIG. 4) of the first bod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바디(140)은 직경이 제일 큰 확대부(143), 상기 확대부(143)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140) 상기 제2 바디의 전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의 후단부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제1 바디(110)로 슬라이딩 삽입 가능한 슬라이딩부(142) 및 상기 슬라이딩부(142)의 상기 제1 바디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깊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확대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S)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second body 140 has an enlarged portion 143 having the largest diameter, a handle portion 14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enlarged portion 143, and a front end of the second body. A sliding portion 142 which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110 and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of the sliding portion 142 while being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terminal housing 130. It includes a step (S) formed at the boundary of the sliding portion and the enlarged portion to limit the depth.

도 2에서, 상기 제2 바디(140)의 슬라이딩부(142)의 삽입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단차(S)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단차(S)는 삽입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해되 수 있으며, 이는 슬라이딩부(142) 표면에 걸림턱, 돌기 또는 격벽 등 슬라이딩부(142)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구조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In FIG. 2, although the step S is illustrated to limit the insertion depth of the sliding part 142 of the second body 140, the step S is understood as a means for limiting the insertion depth. This may be any structure as long as the structure restricts the insertion depth of the sliding part 142 such as a locking step, a protrusion or a partition wall on the surface of the sliding part 142.

즉, 슬라이딩부(142)의 직경을 증가시키지 않고,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구조물을 슬라이딩부의 표면에 형성하여 상기 확대부(143)를 대체할 수도 있다. That is, a structure for limiting the insertion depth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liding part without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sliding part 142 to replace the enlarged part 143.

따라서, 상기 확대부(143)의 직경은 상기 슬라이딩부(142)의 직경 및 상기 손잡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enlarged portion 143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liding portion 142 and the diameter of the handle portion.

따라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과 상기 제2 바디(140)는 상기 제1 바디(110) 내부에서 체결되며,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이 상기 제1 바디(110) 내부에서 변위되는 경우, 상기 제2 바디(140)의 슬라이딩부(142) 역시 상기 제1 바디(110) 내에서 변위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terminal housing 130 and the second body 140 are fastened in the first body 110 and the terminal housing 130 is displaced in the first body 110, the The sliding part 142 of the second body 140 may also be displaced in the first body 110.

상기 제2 바디(140)가 중심 영역의 확대부(143)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141) 및 상기 확대부(143)에서 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후단부(130b)에 고정 체결되고 상기 제1 바디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113, 도 4 참조)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142)로 구획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The second body 140 is reduced in diameter at the handle portion 141 and the enlarged portion 143 which extends downward based on the enlarged portion 143 of the central area, and thus at the rear end 130b of the terminal housing. When fixed and fastened and partitioned by the sliding part 142 which is slidable from the other opening 113 of the first body 113 (see FIG. 4), there are advantages as follows.

커넥터의 바디를 구성하는 제1 바디(110)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2 바디(140)의 삽입깊이는 제2 바디(140)의 확대부(143)와 슬라이딩부(142) 사이의 단차에 의하여 제한되므로, 사용자의 무리한 레버의 견인동작에도 커플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sertion depth of the second body 140 slidingly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110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connector is caused by a step between the enlarged portion 143 and the sliding portion 142 of the second body 140. Since it is limi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coupler even in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user's excessive lever.

또한, 레버를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상기 제1 바디(110)는 제2 바디에 의하여 반복적인 비틀림 등의 응력이 인가될 수 있고, 2개의 커버 형태로 구성되는 제1 바디(도 4 참조)의 결합상태를 약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결국 유격 발생을 유발하고 방수성능을 약화시킬 수 있으나, 확대부(143)와 슬라이딩부(142) 사이의 단차에 의하여 상기 제2 바디의 제1 바디에 대한 삽입깊이가 제한될 수 있다면, 내구성 및 방수성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ver is repeatedly used for a long time, the first body 110 may be subjected to a stress such as repeated twisting by the second body, the first body consisting of two covers (see FIG. 4). ) Weakens the bonding state. Such a structure may eventually cause play and weaken the waterproofing performance, but the insertion depth of the second body to the first body may be limited by the step between the enlarged part 143 and the sliding part 142. If so, durability and waterproofing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은 후술하는 레버(150)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방향, 예를 들면 수평방향 중 좌측방향(도 2참조)으로 추진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을 추진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를 상기 인렛(20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을 전방으로 변위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은 레버에 의하여 추진되는 추진부재로 작용하게 된다.The terminal housing 130 may be push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a left direction (see FIG. 2) of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lever 150 to be described later. The reason for pushing the terminal housing 130 is to displace the terminal housing 130 forward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conn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inlet 200. That is, the terminal housing 130 acts as a propulsion member that is pushed by the lever.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는 레버 등에 의하여 터미널이 수용된 하우징이 직접 추진되는 구조를 갖으므로, 별도의 추진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구동부품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Since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ousing in which the terminal is accommodated by the lever is directly propelled, the number of driving parts can be minimized because a separate propulsion member is not used.

상기 제2 바디(140)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의 후단부(130b)에 체결되며,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에 의하여 견인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바디(110)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113, 도 4 참조)에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140 is fastened to the rear end 130b of the terminal housing 130, may be towed by the terminal housing 130, and another opening of the first body 110. It may be slidable at 113 (see FIG. 4).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바디(140)는 손잡이부(141) 및 상기 손잡이부(141)에서 연장 및 절곡되며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의 후단부(120a)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바디(110)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body 140 is extended and bent from the handle portion 141 and the handle portion 141 is fastened to the rear end portion (120a) of the terminal housing 130 of the first body 110 It may include a sliding portion 142 slidable to the other openin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바디(140)의 슬라이딩부(142)는 상기 제1 바디(110)의 후단 영역 내부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의 후단부(130b)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부(142)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손잡이부(141)은 상기 복수의 터미널(131)에 접속되는 케이블(C)이 통과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liding part 142 of the second body 14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rear end 130b of the terminal housing 130 within the rear end area of the first body 110. The handle part 141 integrally formed with the sliding part 142 may be configured in a pipe shape through which the cables C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131 pass.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바디(140)의 슬라이딩부(142)가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의 후단부(130b)에 고정되어 제1 바디(110)의 후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뒷부분으로 케이블(C)이 통과되는 내부 경로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형태의 손잡이부(141)를 가지며, 후반부에 상기 내부 경로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케이블 보호부재(145)가 끼워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sliding part 142 of the second body 140 is fixed to the rear end 130b of the terminal housing 130 to slide on the rear half of the first body 110. It is installed to be possible, and provided with an inner path through which the cable (C) passes, and has a handle portion 141 in the form of a handle that can be grasped by a user's hand, and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path in the second half.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able protection member 145 having a fitting.

상기 손잡이부(141)와 상기 슬라이딩부(142)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한 각도가 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The handle part 141 and the sliding part 142 may be bent at an angle that is easy for the user to hold by hand.

상기 제2 바디(140)의 상기 슬라이딩부(142)는 상기 제1 바디(110)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변위방향과 평행한 부분이다. 손잡이부와 슬라이딩부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완만한 곡선 등으로 형성하는 경우보다, 수평한 슬라이딩부와 그 단부에서 절곡된 손잡이부 구획하여 구성하는 방법으로, 상기 레버(150)를 당기는 등의 동작시 부드럽게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고, 내구성 역시 향상될 수 있다.The sliding part 142 of the second body 140 is a por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10 or the displacement direction of the terminal housing. Rather than the handle portion and the sliding portion is not clearly distinguished and formed in a gentle curve or the like, the horizontal sliding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bent at the end of the configuration configured by the method, such as when pulling the lever 150 Smooth sliding operation is possible, and durability can also be improved.

상기 케이블 보호부재(145)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커넥터(100)에 도입되는 케이블(C)을 보호한다. 또한, 케이블 보호부재(145)의 크기가 제2 바디(140)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케이블을 커넥터(100)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기밀을 보장하여 침수 등의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The cable protection member 145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to protect the cable (C) introduced to the connector 100. 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cable protection member 145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140, it is possible to apply and use a cable of various sizes to the connector 100, to ensure the airtight immersion Safety accidents such as back can be prevented.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은 상기 레버(150)의 회전시 상기 레버(150)에 의하여 추진되기 위하여 레버(150)의 회전 모멘트를 미리 결정된 방향의 추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추진력 변환수단이 필요하다.The terminal housing 130 requires propulsion force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the rotation moment of the lever 150 into a propulsion forc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order to be propelled by the lever 150 when the lever 150 rotate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는 추진력 변환수단으로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측면에 가이드핀 및 상기 레버의 상단부에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른 가이드핀의 회전 궤적에 따라 상기 터미널 하우징을 추진하기 위한 가이드홀을 구비한다.Therefore,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el the terminal housing according to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guide pi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ever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pin and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housing as a driving force conversion means. It is provided with a guide hole for.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150)의 상단부(159)에 장공 형태의 가이드홀(1502)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에는 상기 레버(1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레버(150)의 상단부(159)의 가이드홀(1502)에 삽입되어 터미널 하우징(130)을 추진하기 위한 가이드핀(136)이 구비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upper end portion 159 of the lever 150 is provided with a guide hole 1502 having a long hole shape, and the terminal housing 130 has the lev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150. The guide pin 136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502 of the upper end 159 of the 150 to propel the terminal housing 130.

상기 가이드핀(136)은 상기 가이드홀(152)의 회전 궤적에 따라 레버의 회전력을 수평방향 추진력으로 변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홀(152)는 장공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guide pin 136 conver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ever into the horizontal driving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guide hole 152. Therefore, the guide hole 152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상기 가이드홀(1502)은 상기 레버(150)의 상단부(159)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hole 1502 may be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end 159 of the lever 150.

그리고, 상기 가이드핀(136)은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양측면 상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150)의 상단부(159)는 상기 힌지(151) 근방에서 분지되어 각각의 가이드핀 방향으로 절곡 및 연장될 수 있다.The guide pins 136 may be provided in pair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terminal housing. In addition, the upper end 159 of the lever 150 may be branched near the hinge 151 to be bent and extended in the direction of each guide pin.

상기 레버(150)에 의하여 추진되는 대상이 터미널 하우징(130) 등에 구비된 가이드핀(136)이므로, 가이드핀(136)과 레버의 힌지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켜 레버의 회전시 인가되는 회전 모멘트를 극대화하여 커넥터의 장착과정에서의 요구되는 사용자의 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object to be propelled by the lever 150 is a guide pin 136 provided in the terminal housing 130, the rotation moment applied when the lever is rotated by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guide pin 136 and the hinge of the lever. By maximiz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ize of the user's force required in the mounting process of the connector can be minimized.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50)는 제1 바디(110)에 힌지(151)에 의하여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151)에 상기 레버(150)의 회전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8, 도 4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ever 150 may be hinged to the first body 110 by a hinge 151. The hinge 151 may be provided with a spring 158 (see FIG. 4)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when the lever 150 rotates.

따라서, 사용자가 제2 바디(140)의 하부 영역인 손잡이부(141)를 잡고 상기 레버(150)를 상기 제2 바디(140) 측으로 견인하면, 상기 가이드핀(136)은 상기 가이드홀(152) 내측 벽면을 따라 가압되며, 수평방향으로 추진되어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를 일측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grasps the handle 141, which is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body 140, and pulls the lever 150 toward the second body 140, the guide pin 136 is the guide hole 152. Pressed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it is prope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displace the terminal housing 130 to one side.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터미얼 하우징(130) 및 상기 제2 바디(140)는 체결 및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얼 하우징(130)이 변위됨에 따라 함께 슬라이드 변위될 수 있다.By such a structure, the terminal housing 130 and the second body 140 may be slide-displaced together as the terminal housing 130 is displaced in a fastened and fixed state.

그리고, 상기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홀은 그 장착위치가 서로 바뀌어 상기 레버의 상단부에 가이드핀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의 측면에 상기 레버의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guide pins and the guide holes are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so that guide pins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ever, and guide holes for inserting the guide pins of the levers are provided at the side surfaces of the terminal housing 130. You may.

전술한 터미널 하우징(130)의 추진 구조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하여 커넥터를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장착하 커넥터의 장착과정을 위한 것이며, 이하 커넥터의 장착과정이 완료된 뒤, 장착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충전과정이 수행되기 위하여 장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propulsion structure of the terminal housing 130 described above is for mounting the connector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and after the mounting process of the connector is completed, the state is maintained in the mounting state A structure for maintaining the mounting state in order to perform the charg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는 상기 제1 바디(110)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이 변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추진된 터미널 하우징(130) 또는 제2 바디(140)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레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레치는 변위된 터미널 하우징 또는 제2 바디이 변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nnector 100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erminal housing 130 or the second body 140 propelled to fix the state in which the terminal housing 130 is displaced from the first body 110.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latch that is fixed to the locking. That is, the fixed latch serves to restrain the displaced terminal housing or the second body to remain in the displaced state.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레치(161)는 변위된 제2 바디(140)의 변위 상태를 고정하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서, 상기 고정레치(161)는 변위된 터미널 하우징(130)을 고정하는 구성이다.Specifical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2, the fixed latch 161 is fixed to the displacement state of the displaced second body 140,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3, the fixed latch 161 is displacement The terminal housing 130 is fixed.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고정레치(161)는 고정레치와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기의 위치에 따라 터미널 하우징(130) 또는 제2 바디(140)를 고정하게 된다.Thu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2 and 3, each of the fixing latch 161 is fixed to the terminal housing 130 or the second body 14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rojection to be fixed to the fixed latch. .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돌기(1402)는 상기 제2 바디(140)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걸림돌기(1302)는 터미널 하우징(130)의 후단부(130b) 상단면에 구비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2, the locking projection 140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140,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3 the locking projection 1302 is the terminal housing 130 The rear end of the 130b is provided on the top surface.

각각의 걸림돌기(1302, 1402)는 상기 레버(1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이 추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140) 또는 상기 레버(150)의 변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된다.Each of the locking protrusions 1302 and 1402 maintains the displaced state of the second body 140 or the lever 150 while the terminal housing 130 is propell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ever 150. It is provided to fix it.

그리고, 각각의 걸림돌기(1302, 1402)는 단면방향 경사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경사가 다른 이유는 후술한다.Each of the locking protrusions 1302 and 1402 may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inclinations. The reason why the inclination is different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체결레치(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3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latch 111 for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is fastened to an inlet of an electric vehicle, unlike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

도 2 또는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레치(161)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상기 레버에 의하여 추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전기 자동차의 충전과정에서 터미널 하우징의 돌출 또는 변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2 or 3, the fixing latch 161 is configured to fix the state in which the terminal housing is pushed by the lever. That is, it is a configuration for maintaining the protruding or displaced state of the terminal housing during the charging process of the electric vehicle.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레치(111)는 상기 제1 바디(130)가 상기 인렛(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In addi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3, the fastening latch 111 is configured to block the first body 130 from being unintentionally separated from the state mounted to the inlet 200.

즉, 상기 체결레치(111)는 상기 고정레치에 의하여 터미널 하우징이 추진된 상태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상기 커넥터가 전기 자동차의 인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That is, the fastening latch 111 is configured to block the connecto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in a situation where the terminal housing is pushed by the fixed latch.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레치(161)와 상기 체결레치(111)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 상단면 중심부에 각각 힌지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xed latch 161 and the fastening latch 111 may be hinged to the inner top surface center of the connector housing, respectively.

상기 고정레치(161)는 일단(161a)은 후술하는 해제버튼(16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구성이며, 상기 고정레치(161)의 타단(161b)은 후술하는 터미널 하우징의 걸림돌기(1302)에 걸림되는 고정돌기(161c)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xed latch 161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161a is selectively pressed by a release button 162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end 161b of the fixed latch 161 is a locking protrusion 1302 of the terminal housing to be described later. Fixing protrusions (161c) that are caught on may be provided.

상기 체결레치의 일단(111a)은 상기 고정레치의 타단(161b)의 타단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레치의 타단(111b)에는 체결돌기(111c)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111c)상기 커넥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One end 111a of the fastening latch is disposed above the other end of the other end 161b of the fixed latch, and a fastening protrusion 111c is formed at the other end 111b of the fastening latch,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11c of the connector housing. It may protrude to the outside.

상기 체결레치(111)의 일단(111a)은 상기 고정레치의 타단(161b)의 타단 상부에 배치되는 이유는 고정상태의 해제동작이 체결상태를 동시에 해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고정레치의 해제과정에서 고정레치의 타단(161b)가 체결레치의 일단(111a)의 하부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체결돌기(111c)가 형성된 체결레치의 타단을 하강시켜 체결돌기에 의한 전기 자동차 인렛에의 체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The reason why the one end 111a of the fastening latch 111 is disposed above the other end of the other end 161b of the fixed latch is to release the fastening state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other end 161b of the fixed latch presses and rotates the lower end of the one end 111a of the fastening latch in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fixed latch, thereby lowering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latch on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111c is formed, thereby causing the fastening protrusion. The fastening state to the electric vehicle inlet can be released.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돌기(161c) 및 상기 체결돌기(111c)는 각각 고정레치(161) 및 체결레치(111)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고정돌기(161c) 및 상기 체결돌기(111c)는 커넥터의 장착과정에서는 물리적인 저항을 최소화하고 커넥터의 체결상태 및 터미널 하우징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 서로 다른 단면 경사를 갖을 수 있다. 2 and 3, the fixing protrusion 161c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11c ar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ends of the fixed latch 161 and the fastening latch 111, respectively, each of the fixing protrusions 161c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11c may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inclinations in order to minimize physical resistance in the mounting process of the connector and to maintain the fastening state of the connector and the fixed state of the terminal housing.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 및 상기 제2 바디(140)는 상기 고정돌기(161c)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걸림돌기(1302, 1402)가 구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housing 130 and the second body 140 may be provided with locking projections 1302 and 1402 to be selectively locked by the fixing protrusion 161c.

상기 걸림돌기(1302, 1402)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상단면 및 상기 제2 바디의 슬라이딩부 상단면에 형성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일 수 있다. 상기 돌기 중 어느 하나의 돌기의 단면의 측면 경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고정레치에 대한 걸림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locking protrusions 1302 and 1402 may be at least one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end surface of the terminal housing and an upper end surface of the sliding part of the second body. Side slopes of the cross section of any one of the protrusions may be different. This is to enable the locking operation for the fixed latch.

상기 걸림돌기가 복수 개가 구비되고, 그 사이에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방법 역시 가능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한 개만 구비되는 경우를 설명한다.A plurality of the locking protrusions are provided, and a method of forming a seating space therebetween is also possible, but only one case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상기 걸림돌기(1302, 1402)의 일측면(도 2 및 도 3의 도면부호 1302, 1402의 우측면) 및 상기 걸림돌기(161c) 일측면(도 2 및 도 3의 도면부호의 161c의 좌측면)은 각각 수직한 경사를 갖을 수 있다. On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protrusions 1302 and 1402 (the right side of 1302 and 1402 of FIGS. 2 and 3) and on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protrusion 161c (the left side of 161c of FIGS. 2 and 3). Each may have a vertical slope.

고정레치에 의한 고정상태가 쉽게 해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고정돌기(161c)가 상기 걸림돌기(122)를 타고 넘어간 경우, 상기 레버(150)에 장착된 스프링 등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이 후퇴하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의 및 고정돌기의 수직한 경사면이 서로 지지되도록 하여 터미널 하우징의 후퇴를 방지할 수 있다.This is to prevent the fixing state from being easily released by the fixing latch. That is, when the fixing protrusion 161c passes over the locking protrusion 122, when the terminal housing 130 is retracted by a restoring force such as a spring mounted on the lever 150,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vertical inclined surfaces of the fixing protrusions may be supported by each other to prevent retraction of the terminal housing.

상기 걸림돌기(1302, 1402)의 타측면(도 2 및 3의 도면부호 1302, 1402의 좌측면) 및 상기 고정돌기의 일측면(도 2 및 3의 도면부호의 161c의 우측면)은 커넥터의 삽입과정에서 물리적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갖을 수 있다. 상기 고정레치 또는 체결레치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며,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이 부가될 수 있으므로, 대응되는 완만한 경사면을 갖는 고정돌기와 걸림돌기는 커넥터의 장착과정에서는 별도의 저항없이 타고 넘어갈 수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100)를 상기 인렛(200)에 장착하는 경우 큰 힘이 소요되지 않고 부드럽게 상기 커넥터(100)를 인렛에 장착할 수 있다. The other side surfaces of the locking protrusions 1302 and 1402 (left side of 1302 and 1402 of FIGS. 2 and 3) and one side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right side of 161c of reference numerals of FIGS. 2 and 3) are inserted into a connector. In order to minimize physical resistance in the process may have a gentle slope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fixed latch or the fastening latch is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by a hinge, and elasticity may be added by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locking protrusion having the corresponding gentle inclined surface have separate resistances during the mounting process of the connector. Since it can be carried over without mounting, when the connector 100 is mounted on the inlet 200, the connector 100 may be smoothly mounted on the inlet without requiring a large force.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체결레치(111)에 형성된 체결돌기(111c) 역시 단면을 기준으로 양 측면의 경사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즉, 좌측 측면의 경사는 완만하고, 우측 측면의 경사는 수직에 가깝게 가파르게 형성하여, 상기 인렛(20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부드럽게 물리적 저항을 최소화하며 장착될 수 있고, 인렛의 걸림턱(미도시) 등에 우측 측면이 걸림 고정되어 인렛에 장착된 상태가 쉽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astening protrusions 111c formed on the fastening latch 111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may also have different inclinations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Thus, that is, the inclination of the left side is gentle, the inclination of the right side is formed to be steeply close to the vertical, and when mounted on the inlet 200 can be installed with a minimum of physical resistance with a smooth, The right side is fixed to the back (not shown) to prevent the state mounted on the inlet can be easily released.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100)를 장착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커넥터의 장착상태를 해제하는 탈착구조가 필요하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when the connector 100 is mounted and the charging is completed, there is a need for a removable structure for releas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connector.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제1 바디에 상기 고정래치(161)(또는 고정돌기(161(c))에 의한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버튼(162)을 포함하며, 상기 해제버튼(162)에 의해 고정레치의 일단(161a)이 가압되면 고정레치의 타단(161b)에 구비된 고정돌기(161c)가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체켤레치의 일단(111a)을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체결레치의 타단(111b)를 하강시키고, 타단(111b)에 형성된 체결돌기(111c)는 전기 자동차 인렛으로부터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고정레치의 해제동작은 상기 체결레치의 체결상태를 해제하게 된다.Therefor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is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of the terminal housing 130 by the fixing latch 161 (or fixing protrusion 161 (c)) to the first body. It includes a release button 162, when the one end (161a) of the fixed latch is pressed by the release button 162 and the fixed projection (161c) provided at the other end (161b) of the fixed latch at the same time the body As the one end 111a of the tooth is raised, the other end 111b of the fastening latch is lowered,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11c formed at the other end 111b releases the fastening state from the electric vehicle inlet. The release operation releases the fastening state of the fastening latch.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체결상태를 유지하는 체결레치를 구비하지는 않으나, 고정레치에 의한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2 does not include a fastening latch that maintains a fastening state, but a method of releasing a fixed state by a fixed latch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상기 해제버튼(162)을 구비하여 해제버튼을 눌러 고정레치(116)의 고정돌기(116c)가 상기 제2 바디(140)의 슬라이딩부(142) 상단면에 구비된 걸림돌기(1402)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The release button 162 is provided to press the release button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116c of the fixing latch 116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140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art 142 of the second body 140. You can selectively release the frozen state.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해제버튼(162)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레치의 고정돌기(161c)와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걸림돌기(1302)의 고정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체결레치의 타단(111b)이 하강되어 전기 자동차 인렛에 대한 상기 체결레치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3, by pressing the release button 162 to release the fixing state of the fixing projections (161c) and the locking projections 1302 of the terminal housing of the fixed latch, the fastening The other end 111b of the latch may be lowered to be configured to release the fastening state of the fastening latch to the electric vehicle inlet.

즉, 상기 고정레치의 고정상태 해제 동작은 상기 체결레치의 체결상태를 연동하여 해제하는 특징을 갖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레치(111)의 대칭되는 부분에 체결상태의 잠금해제와 무관한 더미레치(112)가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fixed state releasing operation of the fixed latch may have a feature of releasing by interlocking the fastened state of the fastening latch.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3, a dummy latch 112 may be provided at a symmetrical portion of the fastening latch 111, irrespective of unlocking of the fastening state.

상기 더미레치(112)는 조건에 따라 커넥터의 체결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커넥터의 장착과정 또는 착탈과정에서 상기 더미레치(112)와 보조를 맞추기 위하여 구비되며, 상기 체결레치와 달리 돌기의 경사가 모두 완만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레치(111)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바디(11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더미레치의 경우, 두께를 얇게 구성하여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더미레치(112)는 커넥터를 인렛에 장착하는 장착과정을 부드럽게 안내하고 어느 정도의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ummy latch 112 is provided to keep pace with the dummy latch 112 in the mounting or detachment process of the connector, rather than maintaining or releasing the fastening state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condition, unlike the fastening latch All of the inclin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gentle, and like the fastening latch 111 may be hinged to the first body (110). In the case of the dummy latch, 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certain elastic force by configuring a thin thickness. Accordingly, the dummy latch 112 may smoothly guide the mounting process of mounting the connector to the inlet and provide some support force.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의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와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의 장착과정은 인렛에 커넥터를 거치한 상태로 레버의 견인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탈착과정은 해제버튼을 누르고 커넥터를 인렛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장착과정 및 탈착과정이 간편해질 수 있다.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rocess of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nd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can be performed by the pull of the lever with the connector mounted on the inlet, Desorption process can be released by pressing the release button and the connector from the inlet, the mounting process and detachment process can be simplified.

또한, 체결레치 등을 사용하여 전기 자동차의 충전과정에서 인렛에서 커넥터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or from being unintentionally disconnected from the inlet during the charging process of the electric vehicle by using a fastening latch or the lik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에에서, 상기 해제버튼(162)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30)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 근방의 상부 중심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2 and 3, the release button 162 may be provided in an upper center area near the other opening of the connector housing 130.

사용자가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인지와 무관하고, 제2 바디을 잡은 한손으로도 착탈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해제버튼(162)은 상기 제1 바디(110)의 상부 영역의 후방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release button 162 may be provided at the rear center of the upper area of the first body 110 so that the user may perform a detachment process even with one hand holding the second body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is left-handed or right-handed. .

그리고, 상기 해제버튼은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적어도 1가지 이상의 발광 색상을 갖는 광원(163)를 구비할 수 있다. The release button may be made of a light transmissive material and may include a light source 163 hav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color therein.

단일 색상의 광원인 경우에는 광원(163)의 온-오프 또는 일정한 방법에 의한 점멸에 의하여 충전상태, 완료상태 또는 에러상태 등을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상태, 완료상태 및 에러상태에서 각각 지속 점등, 지속 소등 및 일정 간격 점멸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 single color light source, the charging state, the completion state, or the error state may be distinguished and displayed by turning on or off the light source 163 or flashing by a predetermined method. For example, methods such as continuous lighting, continuous light off, and blinking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harged state, the completed state and the error state may be used.

그리고, 광원의 색상이 2가지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163)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다른 발광색상을 갖는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light source has two or more colors, the light source 163 may include an LED device having at least two different emission colors.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LED 소자를 사용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제어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상태에 따라 상기 LED 소자의 발광 색상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중에는 적색 LED 소자를 점등시키고, 충전 완료되면 녹색 LED 소자를 점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충전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By using the LED elements having different colors, the controlle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may control the emission color of the LED elemen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e. For example, the red LED device is turned on during charging and the green LED device is turned on 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the charging stat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전기 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은 원통 형상의 구조물로서 상기 전력 터미널(131) 및 통신 터미널(132)이 삽입 장착되도록 형성된 전력 터미널 장착구(137)와 통신 터미널 장착구(139)가 구비될 수 있다. Figure 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shown in Figur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terminal housing 130 is a cylindrical structure and includes a power terminal mounting hole 137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mounting hole formed to insert-mount the power terminal 131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132. 139 may be provided.

상기 통신 터미널 장착구(139)는 복수 개가 하나의 장착구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31, 132)의 뒷부분에서 실링 기능을 제공하는 실링부재(133)와, 상기 실링부재(133)가 상기 터미널(131)의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실링부재(133)의 앞부분에 구비되고, 실링부재(133)의 내경에 비해 큰 외경을 갖는 지지부재(134)와, 상기 실링부재(133)의 수단에 밀착되도록 체결되고, 상기 터미널(131)에 대응하는 케이블(C)로부터 분기된 양극 또는 음극 도선(W)의 인입을 위한 케이블 도입구가 형성된 리어홀더(135)를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 mounting holes 139 may constitute one mounting hole. A sealing member 133 that provides a sealing function at the rear of the terminals 131 and 132 and a front portion of the sealing member 133 to block the sealing member 133 from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tip of the terminal 131. A cable C provided in the support member 134 and having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aling member 133 and tightly attached to the means of the sealing member 133 and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131. It may include a rear holder 135 formed with a cable inlet for the introduction of the positive or negative wire (W) branched from.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부재, 지지부재 및 리어홀더는 상기 전력 터미널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당연히 통신 터미널의 실링을 위하여 추가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the sealing member,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rear holder are shown to be provided only in the power terminal, but may naturally be added for seal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이와 같은 구성은, 커넥터(100)와 인렛(200)의 체결 과정에서 과도한 힘이 작용되더라도 터미널(131)의 후미에 위치한 실링부재(133)와 지지부재(134)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 정위치가 보유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133)에 의해 케이블 접합부의 실링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Such a configuration may be stably supported by the sealing member 133 and the support member 134 located at the rear of the terminal 131 even when excessive force is applied during the fastening of the connector 100 and the inlet 200. The position can be retained, and the sealing member 133 allows the sealing state of the cable joint to be stably maintain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의 상단면에 고정레치에 의하여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기(1302)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a locking protrusion 1302 may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erminal housing 130 by a locking latch.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에는 가이드 돌기(136)가 한쌍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상단부에 형성된 장공형 가이드홀(1502)에 삽입되어 장착된다.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 pair of guide protrusions 136 ar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are inserted into and mounted in a long hole guide hole 1502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ever.

상기 레버(150)의 상단부는 힌지(151) 근방에서 분기되어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연장된 한 쌍의 레버의 상단부는 각각의 가이드핀(136)을 가이드홀 내부에 안착시킨 상태로 레버의 회전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터미널 하우징을 추진하게 된다.The upper end of the lever 150 branches in the vicinity of the hinge 151 and ext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terminal housing 130. Accordingly,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extended levers protrude the terminal housing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lever with each guide pin 136 seated inside the guide hol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핀과 가이드홀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으므로 가이드핀을 상기 레버의 상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터미널 하우징에 가이드홀을 구비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sitions of the guide pin and the guide hole may be changed, the guide pin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ever and the guide hole may be provided in the terminal housing.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레버를 당긴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추진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레버를 당긴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추진된 상태를 도시한다.FIG.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housing is pushed in a state in which a lever of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shown in FIG. 2 is pulled, and FIG. 7 is a state in which the lever of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shown in FIG. Shows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housing is propelled.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커넥터(100)에 구비된 레버(150)의 레버부(153)를 상기 제2 바디(140)의 손잡이부(141) 측으로 당기는 경우, 상기 레버의 상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홀(1402)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에 구비된 가이드핀(136)이 상기 레버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추진된다.2 and 3, when the user pulls the lever part 153 of the lever 150 provided in the connector 100 to the handle part 141 side of the second body 140, the user The guide pins 136 provided in the terminal housing 130 are pushed in respons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ever by the guide holes 140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ever.

즉, 상기 힌지(14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150)가 회전하면,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이 전기 자동차 인렛 방향으로 추진되어 전기 자동차 인렛에 접속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ever 150 rotatably supported by the hinge 141 rotates, the terminal housing 130 may be propelled in the electric vehicle inlet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inlet.

그리고, 각각의 실시예에서 고정레치(161)의 고정돌기(161c)은 제2 바디의 슬라이딩부(142) 또는 터미널 하우징(130)의 상단면에 구비된 걸림돌기(1302, 1402)에 걸림된다.In addition, in each embodiment, the fixing protrusion 161c of the fixing latch 161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s 1302 and 140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art 142 of the second body or the terminal housing 130. .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돌기와 걸림돌기의 경사방향은 부드러운 장착이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경사를 갖으므로, 터미널 하우징(130)을 변위시키는 것에 큰 힘이 소요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clination directions of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locking protrusion have a corresponding inclination so as to allow a smooth mounting, a large force is not required to displace the terminal housing 130.

또한, 상기 고정돌기의 경사면이 상기 걸림돌기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면, 레버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복원력이 작용하여도 각각 고정레치의 고정돌기와 걸림돌기의 수직한 측면이 서로 걸림되어 터미널 하우징의 추진 또는 변위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is over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cking projection, the spring is installed on the lever and even if the restoring force is applied, the fixed side of the fixing latch and the vertical side of the locking protrus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propel the terminal housing or The displaced state can be maintained.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커넥터는 각각 해제버튼(162)을 구비하여 충전이 완료된 후 터미널 하우징(130) 또는 제2 바디(14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레버(150)에 인가되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하여 터미널 하우징(130)이 후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6 and 7 have a release button 162 to release the fixed state of the terminal housing 130 or the second body 140, respectively, and is applied to the lever 150 after the charging is completed. The terminal housing 130 may be retracted by a restoring force due to elasticity.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50)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30)에 스프링(158)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레버의 견인상태가 해제되면 복원력이 상기 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4, since the lever 150 is supported by the spring 158 in the connector housing 130, the restoring force to rotate the lever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traction state of the lever is released Can be.

이 경우, 상기 해제버튼(162)에 의하여 상기 고정레치(161)의 걸림돌기(1302, 1402)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레버(150)에 인가되는 복원력은 상기 제2 바디(140)의 슬라이딩부(142)가 고정된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을 후퇴시켜, 터미널 하우징(130)이 상기 제1 바디(110) 내측 공간으로 수용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rotrusions 1302 and 1402 of the fixing latch 161 is released by the release button 162 and the restoring force applied to the lever 150 is sliding of the second body 140. The terminal housing 130 having the portion 142 fixed thereto is retracted so that the terminal housing 130 is receiv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body 11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방향 투시도를 도시한다.8 shows a lateral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핸들과 터미널 하우징이 일체로 하나의 커넥터 코어(170)를 형성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슬라이딩부(172)의 직경이 일정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8(b)는 슬라이딩부(172) 후단에 단차(S)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handle and terminal housing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orm one connector core 170 integrally. In detail, FIG. 8A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sliding part 172 is constant, and FIG. 8B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step S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liding part 172.

핸들과 터미널 하우징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코어(170)의 전단부(174)에 각종 단자들이 장착되고, 커넥터 코어(170)의 후단부에 하방 절곡된 손잡이부(171)이 구비된다.Since the handle and the terminal housing are integrally formed, various terminals are mounted at the front end portion 174 of the connector core 170, and the handle portion 171 bent downward is provided a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connector core 170.

핸들과 터미널 하우징을 일체로 하나의 커넥터 코어(170)를 형성하는 경우, 전력공급 또는 통신을 위한 단자 또는 케이블 등이 구비된 커넥터 코어(170)와 레버(150) 및 제1 바디(110)에 의한 구동구조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In the case of forming one connector core 170 integrally with the handle and the terminal housing, the connector core 170 and the lever 150 and the first body 110 provided with a terminal or a cable for power supply or communication are provided. Drive structure can be completely separated.

상기 커넥터 코어(170)는 가이드핀(176)만 외부로 돌출되면 레버(150)에 의하여 추진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 코어(170) 내부구조가 노출될 필요가 없으므로, 커넥터 코어(170)는 커넥터 코어(170)를 추진하기 위한 구동구조와 별도로 완전한 기밀성을 확보하여, 전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connector core 170 may be propelled by the lever 150 when only the guide pin 176 protrudes outwar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nector core 170 does not need to be exposed, so that the connector core 170 may be a connector core. Apart from the drive structure for propelling 170 to secure complete airtightness, the electrical stability can be improved.

여기서, 핸들과 터미널 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된다는 의미는 하나의 코어 하우징을 형성하는 방법도 가능하지만, 핸들과 터미널 하우징이 별개로 구성되어 초음파 융착, 볼트 체결 또는 끼움결합 등 기밀성을 확보하며 하나의 커넥터 코어를 형성하는 방법도 포함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커넥터 코어(170)는 일체형으로 또는 기밀성이 보장된 상태로 체결되는 방법으로 구성된 뒤 터미널의 추진을 위한 구동구조가 추가적으로 장착되는 방법으로 조립될 수 있다. 즉, 핸들과 터미널 하우징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우징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도 일체형 커넥터 코어를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meaning that the handle and the terminal housing are integrally formed may be a method of forming one core housing, but the handle and the terminal housing are separately configured to ensure airtightness such as ultrasonic welding, bolting, or fitting, and one connector. The method of forming the core should also be construed as including. Therefore, the connector core 170 may be assembled by a method in which the driving structure for propulsion of the terminal is additionally mounted after being configured in a manner of being integrally formed or fastened in a state of ensuring airtightness. That is, even when the handle and the terminal housing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physically separated housing, the integrated connector core may be configured.

그리고, 도 8(a)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슬라이딩부(172)와 손잡이부(171) 사이에 직경이 확대되는 확대부(173) 및 그에 의한 단차(S)가 형성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내구성 향상 등을 기대할 수 있다.And,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8 (a), between the sliding portion 172 and the handle portion 171 enlarged portion 173 and the step (S) by which the diameter is enlarged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durability improvement and the like can be expected.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의 단자들이 장착되는 부분과 핸들이 일체화된 커넥터 코어(170) 및 커넥터 코어(170)를 추진하기 위한 구동구조(제1 바디(110) 및 레버(50) 등)를 전기적 및 구조적으로 완전히 분리시킴과 동시에 부품의 개수를 최소화하며, 장착과정, 충전과정 및 탈착과정에서의 신뢰성, 내구성 및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is a connector core 170 and a drive structure (first body 110 and lever 50, etc.) for propelling the connector core 170 in which the respective terminals are mounted and the handle are integrated. ) To completely separate the electrical and structural, and at the same time minimize the number of parts, and can improve the reliability, durability and waterproof performance in the mounting, charging and desorption process.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basically includ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커넥터 200 : 인렛
110 : 제1 바디 120 : 터미널 하우징
130 : 터미널 하우징 140 : 제2 바디
150 : 레버 170 : 커넥터 코어
100: connector 200: inlet
110: first body 120: terminal housing
130: terminal housing 140: second body
150: lever 170: connector core

Claims (20)

통신 터미널 및 전력 터미널;
상기 통신 터미널 및 상기 전력 터미널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
양단에 개방구를 구비하며,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내부 공간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전단부가 상기 개방구 중 어느 하나의 개방구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상기 터미널 하우징을 추진하는 레버; 및,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후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터미널 하우징에 의하여 견인되고, 상기 제1 바디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제1 바디로 삽입되는 삽입깊이가 제한되는 단차를 구비하는 제2 바디;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Communication terminals and power terminals;
A terminal housing mounted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ower terminal;
A first body having openings at both ends and mounted such that the terminal housing is displaceable in an internal space;
A lever coupled to the first body by a hinge, the lever propelling the terminal housing such that a front end of the terminal housing is displaced in a direction of any one of the openings; And,
It is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terminal housing, is pulled by the terminal housing when the lever is rotated, slidable from the other opening of the first body, the insertion depth is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is limited The connecto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ody having a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확대부, 상기 확대부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전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후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바디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body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enlarged portion, the handle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ar end portion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body and is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terminal housing to slide at the other opening of the first body. Connector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comprising a sliding portion possi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부의 직경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직경 및 상기 손잡이부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단차는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확대부 경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diameter of the enlarged portion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liding portion and the diameter of the handle portion, wherein the step is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sliding portion and the enlarged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하부에 손잡이부 내측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고무 재질의 케이블 보호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 protection member of the rubber material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handle portion is provided below the handl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측면에 가이드핀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상단부에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장공 형태의 가이드홀이 구비되며,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홀의 내측 벽면에 의하여 추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A guide pin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housing, and a guide hole having a long hole shape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lever. When the lever is rotated, the guide pin is pushed by the inner wall of the guide hole. Connector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레버의 상단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hole is a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lev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양측면 상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pin is a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is provided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terminal hou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상단부는 상기 힌지 근방에서 분지되어 각각의 가이드핀 방향으로 절곡 및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upper end of the lever is branched near the hinge to bend and extend in the direction of each guide p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변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변위된 상기 터미널 하우징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레치 및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체결레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레치의 고정상태 해제 동작은 상기 체결레치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lever is rotated,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s coupled to a fixing latch fixed to the displaced terminal housing and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so as to fix the displaced state of the terminal housing in the first body. The connecto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latch, wherein the fixing state release operation of the fixing latch releases the fastening state of the fastening latch.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에 상기 고정래치에 의한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래치 및 상기 체결레치는 상기 제1 바디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해제버튼에 의해 고정레치의 일단이 가압되면 고정레치의 타단이 상기 체켤레치의 일단을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체결레치의 타단이 하강되어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대한 상기 체결레치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release button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of the terminal housing by the fixed latch on the first body, wherein the fixed latch and the fastening latch are hinged to the first body and fixed by the release button. When the one end of the pressurized end of the fixed latch as the other end of the increase the one end of the body latch,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latch is lowered to release the fastening state of the fastening latch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Connector of th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변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바디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레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ixing latch fixed to the second body to fix the state in which the terminal housing is displaced from the first body when the lever is rota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래치에 의한 상기 제2 바디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release button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of the second body by the fixed latch.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버튼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 근방의 상부 중심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2,
The release button is a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area near the other opening of the connector housing.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바디의 상단면에 상기 고정레치가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1,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housing or the second body to selectively lock the fixing latch.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단면의 측면 경사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5. The method of claim 14,
Side inclina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버튼은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적어도 1가지 이상의 발광 색상을 갖는 광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lease button is made of a light-transmissive material,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ight source hav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color therein.
제16항에 있어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제어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상태에 따라 상기 광원의 작동방법 또는 발광 색상을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ethod or the emission color of the light sourc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e.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제2 바디는 일체형으로 커넥터 코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And the terminal housing and the second body integrally form a connector core. 통신 터미널 및 상기 전력 터미널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
양단에 개방구를 구비하며,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내부 공간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바디; 및,
확대부, 상기 확대부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 상기 제2 바디의 전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후단부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제1 바디로 슬라이딩 삽입 가능한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제1 바디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깊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확대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를 포함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A terminal housing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said power terminal;
A first body having openings at both ends and mounted such that the terminal housing is displaceable in an internal space; And,
An enlarged portion, a handle portion extended downward from a rear end of the enlarged portion, a sliding portion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while being extended from a front end of the second body and fastened to a rear end of the terminal housing, and the sliding portion And a second body including a step formed on a boundary of the sliding part and the enlarged part to limit an insertion depth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과 제2 바디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20. The method of claim 19,
And the terminal housing and the second body are integrally formed.
KR1020110027681A 2011-03-28 2011-03-28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KR1017943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681A KR101794354B1 (en) 2011-03-28 2011-03-28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681A KR101794354B1 (en) 2011-03-28 2011-03-28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232A true KR20120109232A (en) 2012-10-08
KR101794354B1 KR101794354B1 (en) 2017-11-07

Family

ID=4728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681A KR101794354B1 (en) 2011-03-28 2011-03-28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35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771B1 (en) * 2012-11-09 2014-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KR101506015B1 (en) * 2013-12-06 2015-03-31 이진국 charging equipment of an electric car
KR20220127957A (en) * 2021-03-12 2022-09-20 한찬희 Charging device combined control part and coupler capable of extending cable length without distortion of charging signal
CN117394086A (en) * 2023-12-06 2024-01-12 惠州市智电伟联新能源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locking structure of charging gu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243B1 (en) 2020-07-16 2022-03-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harging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2214B2 (en) 2009-06-11 2013-10-09 矢崎総業株式会社 Lever-type electrical connector with misoperation preven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771B1 (en) * 2012-11-09 2014-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KR101506015B1 (en) * 2013-12-06 2015-03-31 이진국 charging equipment of an electric car
WO2015084106A1 (en) * 2013-12-06 2015-06-11 이진국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KR20220127957A (en) * 2021-03-12 2022-09-20 한찬희 Charging device combined control part and coupler capable of extending cable length without distortion of charging signal
CN117394086A (en) * 2023-12-06 2024-01-12 惠州市智电伟联新能源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locking structure of charging gun
CN117394086B (en) * 2023-12-06 2024-03-15 惠州市智电伟联新能源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locking structure of charging gu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354B1 (en)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9232A (en)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JP3135040B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nector
CN108551055B (en) A kind of charging gun with dragging defencive function
JP5584569B2 (en) Charging plug holding device
KR101214847B1 (en) Connector with slide lever
KR101780819B1 (en)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JP2013179818A (en) Charge cable housing device
KR20130131033A (en)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KR20120108658A (en)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EP1548901B1 (en) An external power source connect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CN108899668A (en) A kind of penetrating cable clamp electrification fire welding device and its device for clamping
JP2012191740A (en) Vehicle charger
CN209401920U (en) A kind of new-energy automobile charging pile harness
FR2722614A1 (en) MOBILE ELEMENT FOR ELECTRICAL CONNECTION PROVIDED WITH A CONNECTING CABLE AND A GRIP HANDLE
CN209104405U (en) A kind of penetrating cable clamp electrification fire welding device and its device for clamping
KR101801396B1 (en)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JP5622169B2 (en) Charging coupler
CN104010933B (en) straddle-type electric vehicle
US7621771B2 (en) Device for electric connection between a portable receiver and a power source
CN208028301U (en) A kind of Novel DC charging unit
CN107351778B (en) On-vehicle head-up display that charges that separates empty formula is wireless
CN104024097A (en) Saddle-type electric vehicle
CN113968154B (en) Carrier with built-in charger
CN219017953U (en) New energy automobile high voltage wire harness with installation plug-in components
JP2015208090A (en) charging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