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046A -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 - Google Patents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046A
KR20120109046A KR1020110026423A KR20110026423A KR20120109046A KR 20120109046 A KR20120109046 A KR 20120109046A KR 1020110026423 A KR1020110026423 A KR 1020110026423A KR 20110026423 A KR20110026423 A KR 20110026423A KR 20120109046 A KR20120109046 A KR 20120109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pole
sides
cab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26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9046A/ko
Publication of KR20120109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전주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양측단을 전주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배치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하고, 전주의 주면에 밀착하여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전주를 통과하는 케이블의 일측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CABLE FIXING STRUCTURE FOR ELECTRIC POLE}
본 발명은 전주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케이블을 수평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 선로를 통해 고압 전력으로 각 변전소에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송전된 전력을 변압하여 각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주를 따라 설치되는 전선 케이블에 의해 각 지역으로 공급된다.
즉, 종래기술인 전주 구조는 전주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전주의 상부에 지지대를 설치하여 각고압 케이블들이 합선되지 않는 간격으로 평행하면서 팽팽한 긴장력을 갖도록 배선하는데 이러한 고압 케이블을 지지대에 설치되는 밴드형 클램프를 이용하여 전주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인 전주 구조는 풍력에 의한 고압 케이블의 유동에 의해 지지대가 흔들리면서 지지대가 전주로부터 조금씩 움직이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장시간 방치할 경우 사고와 연관될 수 있기에 지지대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하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주에 고정되는 지지대의 안정된 고정력을 확보하는 한편, 지지대에 클램프를 보다 간편하게 설치하는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은 전주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양측단을 전주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배치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하고, 전주의 주면에 밀착하여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전주를 통과하는 케이블의 일측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주에 고정구조물을 이용하여 케이블을 고정함으로써 케이블 설치의 용이성을 증대시키고,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인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은 전주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양측단을 전주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배치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하고, 전주의 주면에 밀착하여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전주를 통과하는 케이블의 일측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
지지부재의 양측에는 고정부재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을 각각 형성하고, 지지부재의 일측에는 오른나사산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왼나사산을 형성하며, 지지부재의 양측에 다수의 클램프를 결합할 경우 다수의 클램프 사이에 와셔를 삽입한다.
지지부재는 전주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하는 고정봉과, 고정봉 양측에 각각 결합하고 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날개봉을 포함하고, 지지부재의 양측 끝단에는 마감캡을 결합한다.
[제1 실시예]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0)에 구비되는 지지부재(100), 지지부재(100)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부재(100)를 전주(1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200), 고정부재(20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전주(10)를 따라 연결되는 케이블(20)의 일측을 고정하는 클램프(30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인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부재(100)는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주(10)에 형성된 관통홀(11)을 통해 양측단을 전주(10)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삽입한다.
그리고 지지부재(100)의 양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100)의 나사산에 고정부재(200)가 결합된다.
고정부재(200)는 지지부재(10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각각 나사 결합하고, 전주(10)의 관통홀(11) 외주면에 지지될 때까지 회전시켜 지지부재(100)를 전주(10)에 고정한다.
여기서 지지부재(100)의 양측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상호 다른 방향으로 형성한다. 즉, 지지부재(100)의 일측에는 오른나사산(110)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왼나사산(120)을 형성하여 지지부재(10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20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지지부재(100)의 양측에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고정부재(200)를 구비함으로써 지지부재(1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200)의 지지력에 의해 지지부재(100)는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클램프(300)는 지지부재(100)의 양측에 끼워져 결합되고, 전주(10)를 따라서 연결되는 케이블(20)의 일측 상부를 결합하면서 케이블(20)을 지지부재(100)에 고정한다.
즉, 클램프(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대응면 하단에는 케이블(2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홈(21)에 삽입되어 케이블(20)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310)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지지부재(100)의 단부를 관통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는 한 쌍의 클램프(300)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와 너트(320)가 구비된다.
한편, 클램프(300)는 공지된 기술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지지부재(100)에 다수의 클램프(300)를 결합할 경우 클램프(300)와 타 클램프(300) 간의 간섭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클램프(300)를 일정 간격 이격시키게 되며, 이를 위해 클램프(300) 사이에 와셔(400)를 삽입한다.
즉, 지지부재(100)의 단부에 클램프(300), 와셔(400), 클램프(300), 와셔(400)를 순차적으로 결합시켜 다수의 클램프(300) 사이를 이격시킨다.
여기서 와셔(400)는 지지부재(100)의 단부에 형성된 오른나사산 또는 왼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며, 이를 통해 클램프(300)를 다시 한번 고정한다.
한편, 지지부재(100)에 크램프(300)를 모두 결합하면, 지지부재(100)의 단부에 마감캡(500)을 결합하며, 마감캡(500)은 클램프(300)가 지지부재(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은 지지부재(100), 고정부재(200), 클램프(300), 와셔(400) 및 마감캡(500)을 포함함으로써 전주(10)를 통과하는 케이블(20)을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
도 3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100')는 전주(10)에 형성된 관통홀(11)에 삽입하는 고정봉(103)과, 고정봉(103) 양측에 각각 결합하고 주면에 나사산, 즉 오른나사산(110) 또는 왼나사산(120)을 각각 형성한 날개봉(101)(10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100')는 고정봉(103)에 날개봉(101)(102)을 결합하되, 전주(10)를 통과하는 케이블의 수에 맞는 날개봉(101)(102)의 길이를 선택하여 결합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한다.
즉, 전주(10)를 통과하는 케이블이 하나일 경우 제일 작은 길이의 날개봉(101)(102)을 고정봉(103)에 결합하며, 전주(10)를 통과하는 케이블이 다섯일 경우 큰 길이의 날개봉(101)(102)을 고정봉(103)에 결합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지지부재 200: 고정부재
300: 클램프 400: 와셔
500: 마감캡

Claims (6)

  1. 전주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양측단을 전주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배치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하고, 전주의 주면에 밀착하여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전주를 통과하는 케이블의 일측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양측에는 고정부재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을 각각 형성하는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일측에는 오른나사산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왼나사산을 형성하는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양측에 다수의 클램프를 결합할 경우 다수의 클램프 사이에 와셔를 삽입하는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전주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하는 고정봉과, 고정봉 양측에 각각 결합하고 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날개봉을 포함하는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양측 끝단에는 마감캡을 결합하는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
KR1020110026423A 2011-03-24 2011-03-24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 KR20120109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423A KR20120109046A (ko) 2011-03-24 2011-03-24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423A KR20120109046A (ko) 2011-03-24 2011-03-24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046A true KR20120109046A (ko) 2012-10-08

Family

ID=4728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423A KR20120109046A (ko) 2011-03-24 2011-03-24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90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60214B2 (en) 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
WO2011151466A4 (de) Turm für eine windturbine
KR101194831B1 (ko) 가공 전선 고정과 배전용 애자를 갖춘 전주
KR100901721B1 (ko) 배전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519935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101131082B1 (ko) 송전 철탑용 조립식 고정금구
KR100709097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KR100620781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100846624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KR20120109046A (ko) 전주용 케이블 고정구조물
KR100677657B1 (ko)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200443451Y1 (ko) 애자용 전력케이블 고정장치
KR200446267Y1 (ko) 전선케이블 연결을 위한 경완금 연결장치
KR100907433B1 (ko)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1129395B1 (ko) 고압선의 처짐 방지 장치
KR100667627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JP2013126304A (ja) 避雷防止装置、及び避雷防止送電線システム
CN105281273B (zh) 一种多分裂导线风阻尼防舞器
KR200251758Y1 (ko) 전선케이블의 점퍼선을 지지하기 위한 폴리머애자
KR101206495B1 (ko)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KR100759850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KR20110006154A (ko) 일체형으로 형성된 전주용 라인 포스트 애자와 폴리머 피뢰기 설치구조
CN202041693U (zh) 单层接地保护固定装置
US8389861B2 (en) Safety arm pin
KR20110006152A (ko) 일체형으로 형성된 전주용 라인 포스트 애자와 폴리머 피뢰기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