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8905A -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905A
KR20120108905A KR1020110115986A KR20110115986A KR20120108905A KR 20120108905 A KR20120108905 A KR 20120108905A KR 1020110115986 A KR1020110115986 A KR 1020110115986A KR 20110115986 A KR20110115986 A KR 20110115986A KR 20120108905 A KR20120108905 A KR 20120108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enu
menu items
contacts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9595B1 (ko
Inventor
김운영
김용근
방준석
이강섭
박준식
이형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0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04N21/4415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g. by voice recognition or fingerprint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메뉴제공방법은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접점들에 각각 대응되는 메뉴 항목들이 사용자별로 설정되는 단계;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복수의 접점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메뉴 항목들을 각각 상기 검출된 접점들 중 그에 대응되는 접점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에 입력되는 터치 정보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각 사용자에 대응되는 메뉴 항목들을 각 대응되는 접점의 위치에 제공할 수 있으며, 각 손가락에 따라 다른 메뉴를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A DISPLAY APPARATUS PROVIDING USER MENU INTERFACE AND A METHOD OF DISPLAY APPRATUS TO PROVIDE USER MENU INTERFAC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영상표시장치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화면을 이용하여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에는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이나 메뉴와 같은 아이템들을 선택하는 방식에 의해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고 있다.
이러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이용하며, 특히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버튼을 직접 터치하는 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인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의 형태에 한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키보드는 복수개의 키들로 구성되어, 특정 기능을 추가할 때는 그 기능에 해당되는 키를 만들면 된다. 하지만, 터치스크린의 경우는 터치입력의 종류가 제한적이므로 터치입력을 통해 다양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 메뉴를 매번 모두 거쳐서 실행단계로 진입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등의 이동 수단 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길안내 장치의 경우, 운전자가 운전 도중 특정 음악을 듣기 위해 매번 각 기능 및 선택 메뉴를 거쳐 음악을 선택해야 한다면, 운전자는 불편을 느낄 뿐만 아니라, 안전 운전에 위협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에 있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며, 다양한 방식을 추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쉽고 안전하며, 편리하게 다양한 메뉴를 바로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따라 다른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 입력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보다 쉽고 편리하게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메뉴 항목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복수의 터치에 따른 접점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며, 사용자에 따라 설정된 메뉴 항목들을 상기 감지된 각 접점마다 대응되도록 제공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표시장치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동 상태에 따라 메뉴 항목들을 일정 시간동안 표시하며, 이동 상태에 따른 메뉴 항목들의 표시 시간 및 표시 형태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운전 중인 경우라도 안정적이고 직관적으로 메뉴 항목들이 제공되고, 원하는 메뉴가 쉽게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는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접점들에 각각 대응되는 메뉴 항목들이 사용자별로 설정되는 단계;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복수의 접점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메뉴 항목들을 각각 상기 검출된 접점들 중 그에 대응되는 접점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접점들에 각각 대응되는 메뉴 항목들이 사용자별로 설정되어 저장되는 저장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입력부;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복수의 접점들을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메뉴 항목들을 각각 상기 검출된 접점들 중 그에 대응되는 접점의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에 입력되는 터치 정보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각 사용자에 대응되는 메뉴 항목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 손가락에 따라 다른 메뉴를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상태에 따라 메뉴 항목들의 표시 시간 및 표시 방법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운전 등에 의해 사용자의 상태가 변하더라도 직관적으로 메뉴를 팝업시키고,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영상표시장치가 사용자의 터치정보 입력 이전에 표시되는 화면,
도 4는 사용자가 터치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 및 6은 라디오 청취 도중에 메뉴를 불러오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 및 도8은 차량의 기능 설정 중에 메뉴를 불러오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터치 위치에 따라 메뉴가 이동함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 및 도11은 메뉴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이동함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13 및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가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및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의 편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16 내지 25는 메뉴 편집에 의한 사용자 설정에 따른 각각의 메뉴 화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6 내지29는 메뉴를 제대로 표시하지 못하는 경우의 알림 방법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는 터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10),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20),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 및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통해 터치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터치 정보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 내용 및 사용자 정보로서, 각 터치되는 접점의 수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사용자 식별을 위한 지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사용자별로 다르게 편집된 메뉴 항목들에 대한 정보, 다시 말해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후술할 사용자의 지문 정보, 메뉴 형태,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기 위한 접점의 수 또는 메뉴 표시 지속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컨텐츠 데이터들(예를 들어, 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된 터치 정보를 분석하여 접점의 위치 및 개수를 판단하고, 접점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메뉴 항목들을 각 그에 대응되는 접점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표시된 메뉴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입력부(110), 지문인식부(150), 저장부(120) 및 표시부(14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제어부는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를 동작시키기 위한 연산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lamp)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표시부(140)는 입력부(110)와 결합되어 표시 및 입력이 일체로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표시부(140)의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물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물체의 접촉된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접촉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영상표시장치(100)는 상기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상기 접촉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물체의 접촉 및 접촉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복수의 터치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들은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또는 정전용량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사람의 손가락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감지 패턴이 주변의 다른 감지 패턴 또는 접지 전극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표시부(140)에 구비된 상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자 손가락의 접촉 및 접촉 위치를 포함하는 터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 식별을 위한 지문인식부(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부(110)에서 입력받는 터치 정보는 터치되는 손가락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각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도록 스캔되는 지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의 제어부(130)가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정보를 입력받는다(S100).
입력되는 터치 정보는 사용자에 터치 입력에 의해 제공되는 각 터치 접점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터치를 통해 특정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정보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정보를 입력하여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메뉴 항목들은 현재 표시되고 있는 기존 화면에 관계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바로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숏 컷(short cut) 기능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특정 터치 입력을 통하여 지정해놓은 메뉴 항목들을 상기 접점의 위치에 간단히 표시하고, 쉽게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재생 화면을 표시하는 도중에 상기 터치 입력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전화 등의 다른 메뉴 항목들을 불러올 수 있으며, 이는 보다 직관적이고 빠르게 원하는 메뉴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입력된 터치 정보를 분석하여, 접점의 개수 및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입력된 접점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05). 상기 기 설정된 값은 접촉되는 손가락의 수의 대응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5개로 지정할 수 있다. 이는 손가락을 모두 펴서 터치스크린상에 접촉하였을 때에 메뉴 항목들을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하 상기 메뉴 항목들 호출의 기준이 되는 접점의 개수는 5개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접점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가 기 선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미 사용자가 선택되어 있음이 확인된다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메뉴 항목들을 생성할 수 있다(S110, S140).
그리고,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선택되어 있지 않는 경우 입력된 터치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면서 사용자를 판단하게 된다. 다시 말해, 터치 정보로부터 얻은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를 검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지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문 인식 센서(미도시)가 입력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식 지문인식 센서 또는 센서 또는 반도체식 지문인식 센서가 될 수 있다. 광학식 지문인식 센서는 강한 빛을 플래튼(platen)에 쏘아, 플래튼에 얹혀진 손가락 끝의 지문형태를 반사하면, 반사된 지문의 이미지가 고굴절 렌즈를 통과해 CCD(Charge Coupled Device)에 입력되는 방식을 이용한다. 반도체식 지문인식 센서는 피부의 전기 전도 특성을 이용해 실리콘 칩 표면에 직접 손가락 끝을 접촉시키면 칩 표면에 접촉된 지문의 특수한 모양을 전기 신호로 읽어 들이는 방식을 이용한다.
또한, 저장부(120)에서는 메뉴 항목들 편집시 사용자 식별을 위한 지문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때 저장되는 지문 정보는 사용자의 각 손가락에 대한 각 단점(ending) 및 분기점(bifurcation)등 각 지문의 특징(minutia)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손가락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들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저장되는 지문 정보는 각 손가락과의 대응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의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별로 지문 정보가 모두 저장되고, 각 손가락마다 생성되는 메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하나의 손가락에 대하여만 사용자를 식별하고, 나머지 손가락에 대응하는 메뉴는 터치되는 손가락 개수, 위치 및 간격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저장부(120)에 하나의 손가락의 지문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의 지문 정보만을 저장하고, 나머지 4개의 손가락은 엄지손가락을 기초로 터치되는 터치 위치 및 간격정보만으로 각각의 손가락에 대응되는 메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지문인식부(150)에서는 입력부(110)가 지문인식 센서(미도시) 등을 이용해 상기와 같은 지문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 입력된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지문의 특징을 분석하고, 분석된 특징을 제어부(130)로 전송한다(S120).
그리고, 제어부(130)는 지문인식부(150)에서 전송받는 지문의 특징정보와, 기 설정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의 지문 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사용자가 누구인가를 판단한다(S130).
이후, 제어부(130)는 판단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들을 저장부(120)에서 검색하여 이를 기초로 메뉴 항목들을 생성하게 된다. 다만, 판단되거나 선택된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는 기본(default)으로 설정된 메뉴가 생성될 수 있다(S140).
표시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메뉴 화면을 표시하며, 따라서 제어부(130)가 생성한 메뉴 항목들이 표시되게 된다(S150).
제어부(130)는 상기 생성된 메뉴 항목들을 입력된 터치 정보로부터 검출한 각 접점에 대응되도록 각 접점의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한 각각의 접점에 대응되는 메뉴를 상기 각 접점의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으로 편리하며 빠른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표시부(14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110)와 표시부(140)는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일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표시부와 입력부가 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11을 통하여 도2에서의 흐름도를 기초로 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사용자의 터치정보 입력 이전에 일반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는 도 3과 같이 음악 재생 화면일 수 있으며, 제한되지는 않는다. 현재 사용자는 USER1으로 기 편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에서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터치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터치 정보는 손가락 5개의 접점 개수 정보 및 접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입력된 접점의 개수가 5개 이상인 경우, 설정된 메뉴 항목들을 저장부(120)로부터 로드하여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미 USER1로 사용자가 선택(101)되어 있으므로, USER1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들(102~106)을 저장부(120)로부터 로드하여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102~106)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손가락에 대응되는 메뉴 일 수 있으며, 엄지손가락은 라디오 채널 메뉴(102), 검지손가락은 특정인에게 전화하기 메뉴(103), 중지는 차량의 길 안내 메뉴(104), 약지는 TV채널 보기 메뉴(105), 새끼손가락은 음악 재생 메뉴(106)일 수 있다.
도 5 및 도6은 에서는 라디오 청취 도중에 메뉴 항목들을 불러오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초기에 라디오 청취 화면(200)이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터치 정보가 입력된 경우, 도 6과 같이 라디오 청취 화면(200)은 어둡게 처리하고, 메뉴 항목들(201)을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미리 입력되지는 않은 경우에 지문 정보 등을 통하여 사용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여기서, 검색된 사용자가 USER1임을 화면 상단에 표시(202)할 수도 있다.
도 7및 도 8은 영상표시장치가 이동 수단 내의 네비게이션 장치인 경우, 차량의 기능 설정 중에 메뉴 항목들을 불러오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초기에 이동 수단 내의 네비게이션의 세팅 화면(210)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접점을 포함하는 터치 정보가 입력된 경우, 도 8과 같이 네비게이션의 세팅 화면(210)은 어둡게 처리하고, 메뉴 항목들(211)을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는 기 저장된 사용자가 없어 기본(Default) 메뉴 항목들이 표시됨을 화면 상단(212)에 나타내고 있다.
도 9에서는 터치되는 각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대응되는 메뉴 항목들이 이동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8과 비교할 때,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손가락의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서 접점의 위치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서 메뉴 항목들(211)의 위치가 화면 중앙 하단으로 변화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손가락 위치에 따른 변화를 도 10및 도 11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응하여 메뉴 항목들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가 메뉴 항목들을 사용자의 손(310)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후, 도 11에서는 사용자의 손(310)이 회전하는 경우, 손가락의 위치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서 메뉴 항목들의 위치도 같이 따라 움직이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생성된 메뉴 항목들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으로부터 검출된 각 접점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표시되며, 접점이 이동하면 표시되는 메뉴 항목들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제어부는 사용자의 각 손가락 (211) 끝을 따라다니는 것처럼 메뉴 항목들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선택이 편리하고 직관적인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100)는 입력부(110), 저장부(120), 제어부(130), 표시부(140) 및 센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정보를 입력받으며, 저장부(120)는 사용자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메뉴 항목들의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센서부(16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이동 상태를 센싱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센싱되는 이동 상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이동 속도, 이동 가속도, 회전 속도, 회전 가속도 및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동 수단 내 설치된 경우 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센서부(160)는 이동 수단의 이동 속도, 이동 가속도, 회전 속도, 회전 가속도 및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60)가 이동 상태를 센싱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은 상기 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 상태 센싱 수단으로서 휠 속도 센서, 중력 센서, 조향각센서, 횡가속도 센서, 선회속도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10)로부터 터치 정보를 전달받아 접점을 검출하고, 그 개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저장된 메뉴 항목들 정보에 따라 메뉴 항목들을 생성하고, 표시부(140)에 표시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메뉴 항목들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해 일정 시간동안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일정 시간은 제어부(130)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을 말하며, 센서부(160)로부터 전달받은 이동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가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14는 도 13의 흐름도에서의 메뉴 표시 과정을 도시화한 개념도이다.
도 13의 흐름도와 도 14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제어부(130)에 의해 터치 정보에 따라 판단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들이 생성된다.
한편, 제어부(130)는 생성된 메뉴 항목들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되는 메뉴 항목들은 일정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일정 시간동안 유지되는 것은 메뉴 선택을 원하지 않거나, 잘못된 입력을 한 경우에 기존에 표시되던 화면으로 자동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일정 시간 동안만 메뉴를 표시하고 그 사이에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선택된 메뉴를 수행한다. 그리고, 메뉴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표시하던 메뉴 항목들을 사라지게 하고, 기존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상기 일정 시간이 센서부(160)가 센싱한 이동 상태 정보에 따라 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영상표시장치(100)가 빠르게 움직이거나 영상표시장치(100)가 설치된 이동 수단이 급가속 또는 고속으로 이동 중인 경우에는 메뉴 화면 선택을 빠르게 하기 어려우므로 더욱 길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반대로 저속으로 움직이거나 정지한 경우에는 빠른 화면 전환을 위해 메뉴 화면이 표시되는 일정 시간을 짧게 설정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시간 설정 및 이동 상태에 따른 화면 표시 시간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보다 편리하게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다시 도14(a)내지 14(d)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a)는 표시부(140)에 나타난 메뉴 항목들을 확인하고, 사용자가 손을 뗀 경우, 표시된 메뉴 항목들 중 특정 메뉴 항목을 선택받기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손을 뗀 자리에 각 손가락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들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b)에서와 같이 메뉴 항목들이 표시되고 유지 되는 동안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 항목을 바로 선택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특정 친구에게 전화하기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30)는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되도록 제어하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기존 화면으로 되돌아 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c)에서는 도14(b)에서 선택된 특정 친구에게 전화하기가 바로 실행되었으며, 도 14(d)에서는 일정 시간동안 입력이 없어, 기존에 표시되던 음악 재생 화면으로 되돌아감을 알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은 영상표시장치의 이동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으며, 이동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편집 모드에서의 메뉴 편집 및 설정 방법을 단계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6 내지 25는 도 15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메뉴 화면 구성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15의 각 단계에 따라 도 16내지 도25를 참조하여 메뉴 편집 모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100)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설정 모드(미도시) 등에서 메뉴 편집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300).
이후, 메뉴 편집 모드에서 사용자를 선택하게 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사용자인 USER1(410)과 USER2(420)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NEW(430)를 선택하면 새로운 사용자를 생성 및 등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를 선택하지 않고 새로운 사용자를 생성하고자 한 경우, 사용자 등록 메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7은 사용자 등록 화면(500)의 일 예시도이다. 사용자 등록 화면(500)상의 이름입력란(510)을 통하여 이름을 입력할 수 있으며, 영상표시장치(100)가 지문인식부(150)를 구비한 경우에 한하여 지문정보입력란(520)을 제공하여 지문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도 18은 사용자 등록 과정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사용자 이름을 USER3으로 입력하고, 이에 대응하는 지문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도시되었다. 도 18과 같이 저장되는 지문 정보는 다섯 손가락 각각에 대한 모든 지문 정보일 수 있으나, 모든 손가락 이외에도 단지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지문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사용자 등록에 의해 새로운 사용자가 저장되거나, 기존에 저장된 사용자가 선택된 경우, 메뉴 편집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메뉴 편집 모드에서는 터치되는 손가락에 대응되는 메뉴의 구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메뉴 화면의 표시 형태 및 표시 시간 등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9에서는 메뉴 편집 모드의 메뉴 구성 설정 화면(6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첫 번째 손가락에서부터 다섯 번째 손가락까지 각각의 메뉴를 설정(601~605)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뉴를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가 복잡한 단계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한번의 터치 입력으로 원하는 메뉴를 빠르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항목들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9와 같이 손가락 순서대로, 라디오 채널89.1, 아내에게 전화하기, 집으로 길안내하기, 티비MY MBC 시청하기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다섯 번째 손가락과 같이 사용하지 않는 손가락을 설정할 수도 있다(606~610).
여기서, 사용하지 않는 손가락을 설정하는 경우, 이를 제외한 손가락만을 터치하여도 메뉴가 표시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술한 기 설정된 값이 변화될 수 있다. 설정에 따라서 메뉴 항목들이 표시되는 접점의 개수는 이와 같이 특정 손가락에 대응하는 메뉴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함으로써 정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9와 같이 하나의 손가락만이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메뉴 항목이 표시되기 위한 접점 수의 설정값은 4가 되는 것이다.
도 20 및 도 21은 메뉴 편집 모드의 화면 표시 설정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메뉴 편집 모드의 화면 표시 설정 화면(700)은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설치된 이동 수단의 속도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을 설정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속도를 설정하는 것은 이동 상태에 따라 메뉴 항목들의 화면 표시 방법 및 표시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의 일 예시일 뿐이며, 속도뿐만 아니라, 이동 수단이 주행 중인지 여부, 전진인지 후진인지 여부, 가속도 및 회전 가속도에 따른 화면 표시 설정 등의 옵션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서 볼 수 있듯이, 속도에 따라 메뉴의 모양, 메뉴의 색상, 메뉴의 지속 시간 및 메뉴의 크기를 설정(701~705)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메뉴 크기를 설정하는 것은 속도 및 가속도가 커짐에 따라 메뉴 선택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메뉴 화면을 더 크게 설정하여 선택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 모든 속도에 대하여 동일한 설정, 즉 속도 관계 없음으로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0에서는 속도가 0~20KM/H일 때 메뉴 모양은 동그라미, 메뉴 색상은 푸른색, 메뉴 지속시간은 3초 및 메뉴 크기는 보통으로 설정하였으며, 도 21에서는 속도가 40~60KM/H일 때 메뉴 모양은 동그라미, 색상은 푸른색, 지속시간은 5초 및 메뉴 크기는 크게 설정(706~710)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설정 저장을 입력하여 설정 저장을 완료하고 메뉴 항목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뒤로가기를 입력하여 저장 없이 다시 사용자 선택 모드로 되돌아 갈 수도 있다.
도22와 도 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메뉴 항목들 설정의 화면 표시 설정에 따라 속도에 따른 메뉴 항목들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22는 0~20KM/H로 이동할 경우의 화면(800), 도 23은 40~60KM/H로 이동할 때의 확대된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는 화면(810)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메뉴 화면의 변화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여 저장된 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 및 사용자의 상태 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메뉴를 제공 가능하다.
도 24와 도 25는 터치 입력시 나타나는 메뉴 화면의 모양이 설정된 경우의 일 예시도이다. 도 24와 도 25는 다른 사용자이며, 사용자에 따라 USER1은 동그라미 모양(900)으로, USER2는 별 모양(910)으로 나타나도록 설정 할 수 있으며, 메뉴의 색상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26은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정보에 따른 메뉴 화면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26의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을 너무 좁혀서 터치 함으로써, 메뉴 항목들이 제대로 표시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뉴를 모두 표시하지 못하거나, 소정 간격 이내에 표시되어 겹치게 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알리는 기능은 진동, 화면 또는 소리로서 알림 멘트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도 27내지 도29는 도 26의 경우 각각의 알림 방법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27에서는 터치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에서 진동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림 멘트를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28에서는 화면 알림(93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림 멘트를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29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도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뉴 항목 설정 및 메뉴 표시 시간 설정을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영상표시장치 110: 입력부
120: 저장부 130: 제어부
140: 표시부 150: 지문인식부
160: 센서부
101: 선택된 사용자 102~106 메뉴 항목들
200: 라디오 청취 화면 202: 검색된 사용자
210: 네비게이션 세팅 화면 212: 기본 메뉴 항목
310: 사용자 손 500: 사용자 등록 화면
600: 메뉴 구성 설정 화면 700: 화면 표시 설정 화면

Claims (20)

  1.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접점들에 각각 대응되는 메뉴 항목들이 사용자별로 설정되는 단계;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복수의 접점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메뉴 항목들을 각각 상기 검출된 접점들 중 그에 대응되는 접점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항목들이 설정되는 단계는 상기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기 위한 접점의 수가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접점들의 수가 상기 설정된 접점의 수 이상인 경우 상기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항목들이 설정되는 단계는 사용자의 각 손가락에 대응되는 메뉴가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에 대응되는 메뉴는 특정 목적지까지의 길안내 서비스, 라디오의 특정 주파수, 차량 공조 시스템의 설정, 뉴스 서비스, 특정 티브이 채널, 음악 재생, 전화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에 따라 지문 정보가 검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지문 정보에 따라 사용자를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항목들이 설정되는 단계는 상기 메뉴 항목들의 표시 형태 또는 모양이 사용자별로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메뉴 항목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진동, 화면 또는 음성 알림 멘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메뉴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기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정 시간은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시간인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은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설치된 이동 수단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시간인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상태는 속도, 가속도, 회전 가속도,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항목들이 설정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상태별 메뉴 항목들 및 상기 일정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별로 설정되는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
  11.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접점들에 각각 대응되는 메뉴 항목들이 사용자별로 설정되어 저장되는 저장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입력부;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복수의 접점들을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메뉴 항목들을 각각 상기 검출된 접점들 중 그에 대응되는 접점의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기 위한 접점의 수가 설정되어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접점들의 수가 상기 설정된 접점의 수 이상인 경우 상기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의 각 손가락에 대응되는 메뉴가 설정되어 저장되고,
    상기 손가락에 대응되는 메뉴는 특정 목적지까지의 길안내 서비스, 라디오의 특정 주파수, 차량 공조 시스템의 설정, 뉴스 서비스, 특정 티브이 채널 선택, 음악 재생, 전화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에 따라 검출되는 지문 정보를 인식하는 지문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지문 정보에 따라 사용자를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메뉴 항목들의 표시 형태 또는 모양이 사용자별로 설정되어 저장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메뉴 항목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진동, 화면 또는 음성 알림 멘트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이동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항목들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기 위해 상기 표시부에 일정 시간 동안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일정 시간은 상기 센싱된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시간인 영상표시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설치된 이동 수단의 이동 상태를 센싱하며, 상기 일정 시간은 상기 센싱된 이동 수단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시간인 영상표시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상태는 속도, 가속도, 회전 가속도,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이동 상태별 메뉴 항목들 및 상기 일정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별로 설정되어 저장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10115986A 2011-03-23 2011-11-08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 KR101369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66596P 2011-03-23 2011-03-23
US61/466,596 2011-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905A true KR20120108905A (ko) 2012-10-05
KR101369595B1 KR101369595B1 (ko) 2014-03-06

Family

ID=472804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332A KR101288251B1 (ko) 2011-03-23 2011-10-12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1020110115986A KR101369595B1 (ko) 2011-03-23 2011-11-08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332A KR101288251B1 (ko) 2011-03-23 2011-10-12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2882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146A (ko) * 2014-10-22 2016-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5599A (ko) 2014-12-01 2016-06-09 주식회사 아펙스 터빈 케이스 리프팅 시스템 및 리프팅 방법
KR20170004481A (ko) * 2015-07-02 2017-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200482823Y1 (ko) 2015-09-30 2017-03-07 주식회사 아펙스 실린더의 피스톤 스트록 측정 룰러
KR20220170076A (ko) 2021-06-22 2022-12-29 주식회사 아펙스 터빈 케이스 리프팅 작업시 사용하는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스트록 측정 룰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337A (ko) * 2020-04-14 2021-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8162A (ja) * 2001-06-01 2002-12-13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KR100654444B1 (ko) * 2004-09-24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tv의 화면 전환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448617B1 (ko) * 2007-06-04 2014-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신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 방법
KR101570368B1 (ko) * 2008-08-22 2015-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GB0908456D0 (en) * 2009-05-18 2009-06-24 L P Touch screen, related method of operation and system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146A (ko) * 2014-10-22 2016-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5599A (ko) 2014-12-01 2016-06-09 주식회사 아펙스 터빈 케이스 리프팅 시스템 및 리프팅 방법
KR20170004481A (ko) * 2015-07-02 2017-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200482823Y1 (ko) 2015-09-30 2017-03-07 주식회사 아펙스 실린더의 피스톤 스트록 측정 룰러
KR20220170076A (ko) 2021-06-22 2022-12-29 주식회사 아펙스 터빈 케이스 리프팅 작업시 사용하는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스트록 측정 룰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251B1 (ko) 2013-07-26
KR101369595B1 (ko) 2014-03-06
KR20120108904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3615B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oviding an enhanced remote control having multiple modes
KR101593598B1 (ko) 휴대단말에서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KR10136959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제공 방법
US10976924B2 (en) Applicatio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9103691B2 (en) Multimode user interface of a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inputting an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KR101413286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잠금 해제 장치와 방법
KR101136153B1 (ko) 지문 인식 또는 멀티 터치가 가능한 센서 그리드 방식의 투명 패널 사용자 입력 장치, 사용자 지문 인식 방법, 및 사용자 터치 인식 방법
AU2011243470B2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JP2019220237A (ja) 文字入力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及び装置
JP6073863B2 (ja) アイテム表示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5174356A (ja) 方向検出方法
JP2018518751A (ja) 指紋認識を用いる操作方法、装置、およびモバイル端末
US20140320391A1 (en) Methods for improvements in mobile electronic devices
KR20130107974A (ko) 플로팅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2502393A (ja) 相対的ジェスチャー認識モードを有する携帯用電子デバイス
JP2001216069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方向検出方法
KR102216123B1 (ko) 타스크 스위칭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JP201105383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16650B1 (ko)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조작 장치
KR102138913B1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30120293A1 (en) Touchscreen-enabled terminal and applic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46633A (ko) 입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9656455A (zh) 一种智能手表及其输入方法
KR20170085826A (ko) 회전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A3022320A1 (en) Remote control by way of sequences of keyboard c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