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8762A -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762A
KR20120108762A KR1020110027051A KR20110027051A KR20120108762A KR 20120108762 A KR20120108762 A KR 20120108762A KR 1020110027051 A KR1020110027051 A KR 1020110027051A KR 20110027051 A KR20110027051 A KR 20110027051A KR 20120108762 A KR20120108762 A KR 20120108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diode
package
diffusion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1157B1 (ko
Inventor
서원철
예경희
갈대성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7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157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carrier transport control structure, e.g. highly-doped semiconductor layer or current-block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6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5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 H01L2224/85909Post-treatment of the connector or wire bonding area
    • H01L2224/8592Applying permanent coating, e.g. protective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9Details of hybrid assemblie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91Disposition
    • H01L2924/19101Disposition of discrete passive components
    • H01L2924/19107Disposition of discrete passive components off-chip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d Devi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조명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패키지 기판 및 발광 다이오드 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은 저비저항 금속층과 고비저항 금속층을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 칩의 전류 분산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자성 물질층을 발광 다이오드 칩 내에 도입하거나, 자성체를 패키지 기판 상에 형성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 칩 내의 전류 분산 성능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조명 장치{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LIGHTING ASSEMBLY}
본 발명은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화갈륨(GaN), 질화알루미늄(AlN) 등과 같은 Ⅲ족 원소의 질화물은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직접 천이형의 에너지 밴드(band) 구조를 가지므로, 최근 가시광선 및 자외선 영역의 발광소자용 물질로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질화인듐갈륨(InGaN)을 이용한 청색 및 녹색 발광 소자는 대규모 천연색 평판 표시 장치, 신호등, 실내 조명, 고밀도광원, 고해상도 출력 시스템과 광통신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III족 원소의 질화물 반도체층은 그것을 성장시킬 수 있는 동종의 기판을 제작하는 것이 어려워, 유사한 결정 구조를 갖는 이종 기판에서 금속유기화학기상증착법(MOCVD) 또는 분자선 증착법(molecular beam epitaxy; MBE) 등의 공정을 통해 성장된다. 이종기판으로는 육방 정계의 구조를 갖는 사파이어(Sapphire) 기판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사파이어는 전기적으로 부도체이므로, 발광 다이오드 구조를 예컨대 수평형 구조로 제한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파이어와 같은 이종기판 상에 질화물 반도체층과 같은 에피층들을 성장시키고, 상기 에피층들에 지지기판을 본딩한 후, 레이저 리프트 오프 기술 등을 이용하여 이종기판을 분리하여 수직형 구조의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직형 구조의 발광 다이오드는 종래의 수평형 발광 다이오드와 비교하여 p측이 아래에 위치하는 구조에 의해 전류분산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사파이어에 비해 열전도율이 높은 지지기판을 채택함으로써 열 방출 성능이 우수하다. 나아가, PEC 에칭 등에 의해 N-면을 이방성 식각하여 거칠어진 표면을 형성함으로써 상향 광 추출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350㎛×350㎛, 또는 1㎟의 발광 면적에 비해 에피층의 전체 두께(약 4㎛)가 매우 얇고 고출력을 구현하기 위해 칩에 입력되는 전류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수직형 구조의 발광 다이오드에서도 전류 분산 성능 개선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n형 전극 패드로부터 연장하는 전극 연장부를 채택하여 n형 층 내에서의 전류 분산을 도모하거나, n형 전극 패드에 대응하는 위치의 p형 전극 위치에 절연물질을 배치하여 n형 전극패드로부터 p형 전극으로 직접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채택되고 있다. 그렇지만, 넓은 발광 영역에 걸쳐 전체적으로 전류를 고르게 분산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발광 다이오드 칩 내의 전류 분산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1A 이상의 고전류 하에서 구동하기에 적합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리드 전극들을 갖는 패키지 기판; 및 발광 다이오드 칩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은, 지지 기판; 상기 지지 기판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 반도체층, 상부 반도체층 및 상기 하부 반도체층과 상부 반도체층 사이에 위치하는 활성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적층 구조체;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를 결합하기 위한 본딩 금속층; 상기 본딩 금속층과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확산 장벽층; 및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본딩 금속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확산 장벽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확산 장벽층 및 제2 확산 장벽층은 상기 본딩 금속층에 비해 비저항이 높은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은, 상기 제1 확산 장벽층과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 사이에 위치하는 오믹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비저항이 높은 물질로 형성된 확산장벽층과 상대적으로 비저항이 낮은 본딩 금속층을 적층함으로써 금속층들 간의 비저항 차이에 의해 금속층들 내에서 전류를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본딩 금속층은 일반적으로 AuSn(Au80wt%/Sn20wt%)으로 형성되며, Au(비저항: 약 22 uΩ?㎝)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낮은 비저항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 확산 장벽층 및/또는 100 uΩ?㎝ 미만의 저비저항 금속층과 100 uΩ?㎝를 초과하는 고비저항 금속층을 교대로 복수 적층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확산 장벽층 내에서 전류 분산을 도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비저항 금속층은 Ti 또는 Pt이고, 상기 저비저항 금속층은 Ni, Au 및 W에서 선택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은, 상기 상부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전극 패드; 및 상기 전극 패드에서 연장된 전극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 연장부는 제1 Au층, 제2 Au층 및 상기 제1 Au층과 상기 제2 Au층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Au에 비해 비저항이 높은 중간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Au층과 제2 Au층 사이에 상대적으로 비저항이 높은 중간 금속층을 개재함으로써, 전극 연장부 내에서 전류 분산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금속층은 Ti 또는 Cr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반도체층은 거친 형상의 표면 텍스쳐를 포함하는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면 텍스쳐는 서로 중첩된 제1 표면 텍스쳐와 제2 표면 텍스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면 텍스쳐는 상기 제1 표면 텍스쳐에 비해 조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표면 텍스쳐는 상대적으로 깊은 오목부들과, 오목부들 사이의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면 텍스쳐는 상기 제1 표면 텍스쳐의 오목부들 및/또는 볼록부들의 표면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조밀한 요철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은 적어도 하나의 자성 물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 물질층은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와 상기 지지 기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성 물질층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 칩 내부에 흐르는 전류에 로렌츠 힘이 작용하며,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 칩 내에서 전류를 분산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성 물질층은 발광 다이오드 칩 내의 금속층들을 통과하는 전류 뿐만 아니라, 반도체 적층 구조체를 통과하는 전류를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자성 물질층은, 예컨대, 상기 본딩 금속층과 제1 확산 장벽층 사이, 상기 본딩 금속층과 제2 확산 장벽층 사이, 제2 확산 장벽층과 상기 지지 기판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자성 물질층은 강자성 물질 또는 준강자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Rb, Ru, Nd, Fe, Co, Ni, Mn, Cr, Cu, Pt, Sm, Sb, Pt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 물질층은 또한 Mn, Fe, Co, Cu, V 등의 산화물, Cr2O3, CrS, MnS, MnSe, 또는 MnTe를 포함할 수 있으며, Mn, Fe, Co, Ni 등의 불화물, V, Cr, Fe, Co, Ni, Cu 등의 염화물이나 브롬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은, 상기 제1 확산 장벽층과 상기 하부 반도체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반도체층에 오믹 콘택하는 오믹 반사층; 상기 제1 확산 장벽층과 상기 오믹 반사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확산 장벽층을 상기 오믹 반사층으로부터 절연시키는 절연층; 및 상기 하부 반도체층으로부터 상기 상부 반도체층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확산 장벽층은 상기 개구부들을 통해 상기 상부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들을 통해 제1 확산 장벽층이 상기 상부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상부 반도체층의 상부면에 전극 패드 또는 전극 연장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생성된 광이 전극 패드나 전극 연장부에 흡수되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은 상기 제1 확산 장벽층과 상기 상부 반도체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 반도체층에 콘택하는 콘택 금속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택 금속층은 예컨대, Cr/Au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은, 상기 오믹 반사층을 덮는 보호 금속층; 상기 절연층과 상기 보호금속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 금속층을 덮는 전류 확산층; 및 상기 전류 확산층 상에 형성된 전극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 확산층은 상기 보호 금속층 측으로부터 Cr/Au, 또는 Au/Cr/Au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Au/Cr/Au로 형성함으로써, 전류 확산층 내에서 전류 분산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금속층은 100 uΩ?㎝를 초과하는 고비저항 금속층과 100 uΩ?㎝ 미만의 저비저항 금속층을 교대로 복수 적층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비저항 금속층은 Ti 또는 Pt일 수 있으며, 상기 저비저항 금속층은 Ni, Au 또는 W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발광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은, 상기 제1 확산장벽층과 상기 각 발광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각 발광셀의 하부 반도체층에 오믹 콘택하는 오믹 반사층들; 상기 각 발광셀들의 상기 하부 반도체층으로부터 상기 상부 반도체층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들; 하나의 발광셀의 오믹 반사층과 상기 하나의 발광셀에 이웃하는 발광셀의 상부 반도체층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1 확산장벽층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들에 의해 복수의 발광셀들이 직렬 연결된 직렬 어레이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은, 제1 전극 패드 및 제2 전극 패드; 상기 제1 전극 패드와 하나의 발광셀의 오믹 반사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2 전극 패드와 다른 하나의 발광셀의 상부 반도체층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극 패드 및 제2 전극 패드 사이에서 서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발광셀들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전극 패드 및 제2 전극 패드는 제1 확산 장벽층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전극 패드는 상기 지지 기판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장벽층은 상기 다른 하나의 발광셀의 상부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리드 전극들을 갖는 패키지 기판; 상기 패키지 기판 상에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 칩;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에 자기력을 인가하여 발광 다이오드 칩 내에 흐르는 전류를 분산시킬 수 있는 자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자성체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 칩 내의 전류가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자성 필름 또는 벌크 형태의 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강자성 물질 또는 준강자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Rb, Ru, Nd, Fe, Co, Ni, Mn, Cr, Cu, Pt, Sm, Sb, Pt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 물질층은 또한 Mn, Fe, Co, Cu, V 등의 산화물, Cr2O3, CrS, MnS, MnSe, 또는 MnTe를 포함할 수 있으며, Mn, Fe, Co, Ni 등의 불화물, V, Cr, Fe, Co, Ni, Cu 등의 염화물이나 브롬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과 상기 패키지 기판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성체는 상기 패키지 기판 상에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 실장 영역 이외의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패키지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으로부터 상기 패키지 기판 하부로 열을 전달하는 열 전달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열 전달 통로에 의해 열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기판은 실리콘 기판 또는 세라믹 기판일 수 있다. 이들 기판은 방열 특성이 좋아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로 적합하다.
한편, 상기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 상부에 위치하는 형광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 상부면에 콘포말 코팅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 상부면으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의 측면을 덮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형광체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을 덮는 봉지재 내에 함유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형광체는 글래스 시트 등에 함유되어 발광 다이오드 칩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 칩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조명 장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앞서 설명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들이 서로 직렬 연결되어 직렬 어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구동 집적회로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집적회로 소자는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교류 전원의 전압 파형 변화에 따라 순차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시킨다.
상기 조명 장치는 또한 자기장 차단 코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장 차단 코팅은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내의 자성체 또는 발광 다이오드 칩 내의 자성 물질층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단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형광체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 칩이 패키지 형태로 실장되는 대신에, 인쇄회로기판 상에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직접 실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비저항의 금속층과 저비저항의 금속층을 이용하여 금속층 내에서 전류 분산을 도모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칩을 채택하거나 자성 물질층을 도입한 발광 다이오드 칩을 채택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 칩 내의 전류 분산이 개선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조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 칩과 별도로 자성체가 패키지 기판 상에 제공되어 발광 다이오드 칩 내의 전류 분산을 개선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조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구동 집적회로 소자를 이용하여 교류 전원에 직접 연결하여 구동할 수 있는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전극 연장부의 금속층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구동 집적회로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9는 제어부 및 클럭 발생부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부에 입력되는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0은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부 내의 발광 다이오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칩)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은, 지지 기판(51), 반도체 적층 구조체(30), 제1 확산 장벽층(35), 본딩 금속층(40), 제2 확산 장벽층(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30)는 상부 반도체층(25), 활성층(27) 및 하부 반도체층(29)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은, 오믹 반사층(31), 절연층(33), 상부 전극 패드(60a), 전극 연장부(60b) 및 하부 전극 패드(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기판(51)은 화합물 반도체층들을 성장시키기 위한 성장기판과 구분되며, 이미 성장된 화합물 반도체층들에 부착된 2차 기판이다. 상기 지지기판(51)은 예컨대 CuW 또는 CuMo과 같은 금속 기판, 또는 Si 또는 Ge와 같은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반도체 적층 구조체(30)는 지지기판(51)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 반도체층(29), 활성층(27) 및 상부 반도체층(25)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반도체층(29)은 p형 화합물 반도체층일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반도체층(25)은 n형 화합물 반도체층일 수 있으나,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30)는 지지기판(41)의 일부 영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지지기판(51)이 반도체 적층 구조체(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며, 반도체 적층 구조체(30)는 상기 지지기판(51)의 가장자리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반도체층(25), 활성층(27) 및 하부 반도체층(29)은 III-N 계열의 화합물 반도체, 예컨대 (Al, Ga, In)N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반도체층(25) 및 하부 반도체층(29)은 각각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반도체층(25) 및/또는 하부 반도체층(29)은 콘택층과 클래드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초격자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층(27)은 단일 양자우물 구조 또는 다중 양자우물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반도체층(25), 활성층(27) 및 하부 반도체층(29)은 사파이어 기판(도시하지 않음)과 같은 성장 기판 상에서 성장되며, 그 후, 상기 반도체층들이 지지기판(51)에 부착되고, 상기 성장 기판은 레이저 리프트 오프 공정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층들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상부 반도체층(25)의 상부면은 제1 표면 텍스쳐(T1)와 제2 표면 텍스쳐(T2)를 포함하는 거친 형상의 표면 텍스쳐를 가질 수 있다. 제2 표면 텍스쳐(T2)는 제1 표면 텍스쳐(T1)에 비해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표면 텍스쳐(T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으로 형성된 오목부들과 이 오목부들 사이의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면 텍스쳐(T2)는 상기 제1 표면 텍스쳐로 정의된 표면에 조밀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표면 텍스쳐는 예컨대, 사진 및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1차 패턴을 형성하고, 다시 광 강화 식각(PEC)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저항이 상대적으로 작은 n형 화합물 반도체층을 상부 반도체층(25)으로 형성할 경우, 상부 반도체층(25)의 상부면에 표면 텍스쳐(T1, T2)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거친 형상의 표면 텍스쳐를 형성함으로써 활성층(27)에서 생성된 광의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본딩 금속층(40)은 반도체 적층 구조체(30)와 지지 기판(51)을 결합시킨다. 본딩 금속층(40)은 AuSn(예컨대, Au 80wt%/Sn 20wt%)으로 형성될 수 있다. AuSn은 Au에 비해 더 작은 비저항을 갖는다.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30)와 상기 본딩 금속층(40) 사이에 제1 확산 장벽층(35)이 개재되며, 상기 제1 확산 장벽층(35)과 반도체 적층 구조체(30) 사이에 오믹 반사층(31)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딩 금속층(40)과 상기 지지 기판(51) 사이에 제2 확산 장벽층(43)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오믹 반사층(31)은 예컨대, Ag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확산 장벽층(35)은 본딩 금속층(40)과 오믹 반사층(31) 사이에서 금속 원소의 확산을 방지하고, 상기 제2 확산 장벽층(43)은 본딩 금속층(40)과 기판(51) 사이에서 금속 원소의 확산을 방지한다.
상기 제1 확산 장벽층(35) 및 제2 확산 장벽층(43)은 상기 본딩 금속층(40)에 비해 비저항이 높은 물질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제1 확산 장벽층(35)은 100 uΩ?㎝ 미만의 저비저항 금속층(34a)과 100 uΩ?㎝를 초과하는 고비저항 금속층(34b)을 교대로 복수 적층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확산 장벽층(43)은 100 uΩ?㎝ 미만의 저비저항 금속층(42a)과 100 uΩ?㎝를 초과하는 고비저항 금속층(42b)을 교대로 복수 적층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딩 금속층(40)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저항이 높은 물질로 제1 및 제2 확산 장벽층(35, 43)을 형성함으로써 금속층들(35, 40, 43) 내에서 전류를 분산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제1 및 제2 확산 장벽층(35, 43)을 저비저항 금속층과 고비저항 금속층을 교대로 적층함으로써 이들 확산 장벽층 내에서 전류를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고비저항 금속층(34a, 42a)은 예컨대 Ti 또는 Pt일 수 있으며, 상기 저비저항 금속층(34b, 42b)은 Ni, Au 및 W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기판(51) 하부에 전극 패드(53)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 기판(51)이 Si 또는 Ge와 같은 반도체 기판인 경우, 상기 전극 패드(53)는 지지 기판(51)에 오믹 콘택한다. 나아가, 상기 전극 패드(53)는 발광 다이오드 칩을 인쇄회로기판이나 리드 프레임 등에 본딩하기 위해 Au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30) 상에, 전극 패드(60a) 및 전극 연장부(60b)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패드(60a) 및 전극 연장부(60b)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극 연장부(60b)는 상기 상부 반도체층(25)에 오믹 콘택하는 오믹 콘택층(61) 및 금속층들(63, 65, 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믹 콘택층(61)은 예컨대 Cr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금속층(63) 및 제2 금속층(66)은 각각 Au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간 금속층(65)은 Ti 또는 Cr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비저항이 높은 중간 금속층(65)을 제1 Au층(63)과 제2 Au층(66)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전극 연장부(60b) 내에서 전류의 분산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 연장부(60b)의 오믹 콘택층(61)은 Cr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물질층, 예컨대 ITO나 ZnO 또는 Ti/Al층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i/Al층(71/72)이 채택된 경우, Al층(72)과 제1 Au층(63) 사이에 Ti층(73)이 더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30)와 제1 확산장벽층(35)의 계면에서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30)의 가장자리 영역에 절연층(33)이 위치한다. 절연층(33)은 제1 확산 장벽층(35)의 상부면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30)를 사진 및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패터닝하는 동안, 제1 확산 장벽층(35)과 같은 금속 물질의 식각 부산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33)은 오믹 반사층(31)의 바깥측에 위치하여 오믹 반사층(33)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의 제조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우선, 성장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상부 반도체층(25), 활성층(27) 및 하부 반도체층(29)을 포함하는 에피층들을 성장시킨다. 이어서, 상기 하부 반도체층(29) 상에 오믹 반사층(31) 및 절연층(33)을 형성하고, 제1 확산 장벽층(35)을 형성한다. 한편, 지지 기판(51) 상에 제2 확산 장벽층(43)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1 확산 장벽층(35) 및/또는 제2 확산 장벽층(43) 상에 Au-Sn 재료층을 형성한 후, 이들을 본딩하여 본딩 금속층(40)을 형성한다. 그 후, 성장 기판을 제거하여 상부 반도체층(25)의 표면을 노출시키고, 상기 상부 반도체층(25)의 표면에 사진 및 식각 공정을 이용한 1차 패터닝 및 PEC 에칭을 이용한 표면 텍스쳐링 공정을 이용하여 표면 텍스쳐(T1, T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반도체층(25) 상에 전극 패드(60a) 및 전극 연장부(60b)를 형성하고, 에피층들을 사진 및 식각 공정을 사용하여 패터닝함으로써 서로 이격된 복수의 반도체 적층 구조체들(30)이 형성된다. 그 후, 필요에 따라 전극 패드(53)가 형성되고, 지지 기판(51)을 분할함으로써 개별 발광 다이오드 칩이 완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 다이오드 칩과 대체로 유사하나, 자성 물질층(50a, 50b, 50c)를 더 포함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은 적어도 하나의 자성 물질층(50a, 50b, 50c)을 포함한다. 예컨대, 자성 물질층(50a)은 제1 확산 장벽층(35)과 본딩 금속층(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자성 물질층(50b)은 본딩 금속층(40)과 제2 확산 장벽층(43)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자성 물질층(50c)은 제2 확산 장벽층(43)과 지지 기판(5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성 물질층은 또한 지지기판(51)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자성 물질층(50a, 50b, 50c)은 강자성 물질 또는 준강자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성 물질층은 Rb, Ru, Nd, Fe, Co, Ni, Mn, Cr, Cu, Pt, Sm, Sb, Pt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 물질층은 또한 Mn, Fe, Co, Cu, V 등의 산화물, Cr2O3, CrS, MnS, MnSe, 또는 MnTe를 포함할 수 있으며, Mn, Fe, Co, Ni 등의 불화물, V, Cr, Fe, Co, Ni, Cu 등의 염화물이나 브롬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 물질층(50a, 50b, 50c)은 로렌츠 힘을 이용하여 지지 기판(51)과 반도체 적층 구조체(30)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분산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30)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영역에 집중된 전류가 분산될 수 있어, 발광 다이오드 칩의 전류 분산 성능이 더욱 개선된다.
상기 자성 물질층은 증착 기술에 의해 형성되거나, 필름 형태로 제공되어 부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 다이오드 칩과 대체로 유사하나, 반도체 적층 구조체(30) 상부에 위치하는 전극 패드(60a) 및 전극 연장부(60b)를 제거한 것에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 기판(51), 반도체 적층 구조체(30), 본딩 금속층(40), 제1 확산 장벽층(35), 제2 확산 장벽층(43), 오믹 반사층(31), 절연층(33), 전극 패드(53) 및 표면 텍스쳐(T1, T2)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은 반도체 적층 구조체(30)에 형성된 개구부들(30h)을 포함하며, 보호 금속층(32), 전류 확산층(37) 및 제2 절연층(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들(30h)은 하부 반도체층(29)으로부터 상부 반도체층(25)을 노출시킨다. 상기 개구부들(30h)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적층 구조체(30)의 넓은 영역에 걸쳐 분포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들(30h)의 측벽에 하부 반도체층(29) 및 활성층(27)이 또한 노출된다.
상기 개구부들(30h)의 측벽은 절연층(33)으로 덮일 수 있다. 절연층(33)은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반도체 적층 구조체(30)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오믹 반사층(31)은 제1 확산 장벽층(35)과 하부 반도체층(29)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반도체층(29)에 오믹 콘택한다. 제2 절연층(34)은 상기 오믹 반사층(31)과 제1 확산 장벽층(35)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확산 장벽층(35)을 상기 오믹 반사층(31)으로부터 절연시킨다. 상기 제2 절연층(34)은 또한 상기 개구부들(30h)의 측벽을 덮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믹 반사층(31)과 제2 절연층(34) 사이에서 보호 금속층(32)이 오믹 반사층(31)을 덮을 수 있다. 보호 금속층(32)은, 제1 확산 장벽층(35)과 유사하게, 100 uΩ?㎝ 미만의 저비저항 금속층과 100 uΩ?㎝를 초과하는 고비저항 금속층을 교대로 복수 적층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비저항 금속층은 Ti 또는 Pt일 수 있으며, 상기 저비저항 금속층은 Au, Ni 및 W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보호 금속층(32)이 저비저항 금속층과 고비저항 금속층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보호 금속층(32) 내의 전류 확산이 개선된다.
한편, 상기 전류 확산층(37)은 상기 제2 절연층(34)과 상기 보호금속층(3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 금속층(32)을 덮는다. 전류 확산층(37)은 복수의 금속층(37a, 37b)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보호 금속층(32)측으로부터 Cr/Au, 또는 Au/Cr/Au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전류 확산층(37)을 Au/Cr/Au로 형성함으로써 비저항이 다른 금속층들을 이용한 전류 확산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류 확산층(37) 상에 전극 패드(70)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 패드(70)는 전류 확산층(37), 보호 금속층(32) 및 오믹 반사층(31)을 통해 하부 반도체층(2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류 확산층(37)은 Au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확산 장벽층(35)은 개구부들(30h)을 통해 상부 반도체층(2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1 확산 장벽층(35)과 상기 상부 반도체층(25) 사이에 콘택 금속층(36)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콘택 금속층(36)은 예컨대 Cr/Au 또는 Ti/Al/Ti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확산 장벽층(35)은 제2 절연층(34)에 의해 전류 확산층(37)으로부터 절연된다. 또한, 상기 제1 확산 장벽층(35)은 절연층(33) 및/또는 제2 절연층(34)에 의해 개구부들(30h)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제1 확산 장벽층(35)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저비저항 금속층과 고비저항 금속층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딩 금속층(40), 제2 확산 장벽층(43) 및 지지 기판 (51) 및 전극 패드(53)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 다이오드 칩과 대체로 유사한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성장 기판을 분리하기 전에, 반도체 적층 구조체(30) 내에 개구부들(30h)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들(30h) 내의 바닥면에 콘택 금속층들(36)이 형성된다. 한편, 절연층(33)은 상기 개구부들(30h)의 측벽을 덮을 수 있다. 그 후, 오믹 반사층(31), 보호 금속층(32), 및 전류 확산층(37)은 상기 개구부들(30h)을 노출시키도록 하부 반도체층(29)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전류 확산층(37) 상에 제2 절연층(34)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제2 절연층(34) 상에 제1 확산 장벽층(3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확산 장벽층(35)은 상기 개구부들(30h) 내의 콘택 금속층(36)에 접속된다. 그 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 기판(51)이 부착되고, 성장기판이 제거되며, 표면 텍스쳐(T1, T2)가 형성된다. 이어서, 에피층들(25, 27, 29)이 패터닝되어 서로 분리된 복수의 반도체 적층 구조체들(30)이 형성된다. 이때, 절연층(33)의 일부가 제거되어 전류 확산층(37)이 노출되고, 노출된 전류 확산층(37) 상에 전극 패드(70)가 형성된다. 그 후, 필요에 따라 전극 패드(53)가 형성되고, 지지 기판(51)을 분할함으로써 개별 발광 다이오드 칩이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의 실시예에서 광 방출면 상에 위치하는 전극 패드(60a) 및 전극 연장부(60b)를 제거함으로써, 이들에 의해 생성된 광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 다이오드 칩과 대체로 유사하나, 적어도 하나의 자성 물질층(50a, 50b, 50c)를 더 포함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기 자성 물질층(50a, 50b, 50c)의 위치, 재료 및 기능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은 반도체 적층 구조체(30)가 복수의 발광셀로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복수의 발광셀들은 연결부들(38a, 38b, 38c)에 의해 전극 패드들(70, 80) 사이에서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 다이오드 칩과 동일하게, 지지 기판(51), 본딩 금속층(40), 제1 확산 장벽층(35) 및 제2 확산 장벽층(43)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지기 기판(51) 상부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발광셀들(S1, S2; 2개만 도시함)가 위치한다. 상기 복수의 발광셀들(S1, S2)은 각각 상부 반도체층(25), 활성층(27) 및 하부 반도체층(29)을 포함한다. 이들 반도체층들(25, 27, 29)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각 발광셀들(S1, S2)은 하부 반도체층(29)으로부터 상기 상부 반도체층(25)을 노출시키는 개구부(30h)를 갖는다. 상기 개구부(30h)의 측벽에 하부 반도체층(29) 및 활성층(27)이 노출된다. 상기 각 개구부(30h)의 측벽은 절연층(33) 및/또는 제2 절연층(34)으로 덮이며, 상기 개구부(30h)들의 바닥면에는 콘택 금속층(3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발광셀들(S1, S2)의 하부 반도체층(29)에 오믹 반사층(31)이 오믹 콘택하여 각 오믹 반사층(31)은 보호 금속층(32)으로 덮힌다. 상기 오믹 반사층(31) 및 보호 금속층(32)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절연층(34)은 상기 보호 금속층(32)을 덮는다. 또한, 상기 제2 절연층(34)은 각 발광셀(S1, S2)의 콘택 금속층(36) 및 보호 금속층(32)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다.
한편, 제1 확산 장벽층(35)과 제2 절연층(34) 사이에 연결부(38a, 38b, 38c)들이 배치된다. 연결부(38b)는 이웃한 발광셀들(S1, S2)을 직렬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38b)는 제2 절연층(34)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발광셀(S1)의 콘택 금속층(36)과 발광셀(S2)의 보호 금속층(32)을 연결하여 발광셀(S1)과 발광셀(S2)를 직렬 연결한다. 한편, 연결부(38a)는 발광셀(S1)의 보호 금속층(32)과 전극 패드(70)을 연결하고, 연결부(38c)는 발광셀(S2)의 콘택 금속층(36)과 전극 패드(80)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전극 패드들(70, 80) 사이에서 복수의 발광셀들(S1, S2)이 연결부들(38a, 38b, 38c)에 의해 직렬 연결된다.
한편, 제3 절연층(39)이 상기 제1 확산 장벽층(35)과 연결부들(38a, 38b, 38c)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부들과 제1 확산 장벽층(35)을 절연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확산 장벽층(35)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각 발광셀들(S1, S2)는 또한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상부 반도체층(25)의 표면에 표면 텍스처(T1, T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절연층(33)은 각 발광셀들(S1, S2)의 가장자리 근처에 위치하여 에피층들을 패터닝하는 동인 금속층들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전압하에서 구동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칩이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 다이오드 칩과 대체로 유사하나, 적어도 하나의 자성 물질층(50a, 50b, 50c)를 더 포함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기 자성 물질층(50a, 50b, 50c)의 위치, 재료 및 기능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자성 물질층(50a, 50b, 50c)은 로렌츠 힘을 이용하여 각 발광셀(S1, S2) 내에서 전류를 분산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 다이오드 칩과 대체로 유사하나, 전극 패드(80)가 제1 확산 장벽층(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에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절연층(39)은 연결부(38c)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확산 장벽층(35)은 연결부(38c)에 접속된다.
한편, 지지 기판(51) 하부에 전극 패드(53)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 패드(80)는 생략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패키지 기판(110), 리드 전극들(111, 113) 및 발광 다이오드 칩(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본딩 와이어(W), 추가 전극(121), 몰딩부(150), 자성체(130) 및 열전달 통로(115a, 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기판(110)은 AlN와 같은 세라믹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패키지 기판(110) 상부 표면에 와이어(W)를 본딩하기 위한 본딩 패드(111a, 113a)가 위치할 수 있으며, 패키지 기판(110)의 하부 표면에 외부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리드 단자(111c, 113c)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본딩 패드(111a, 113a)는 패키지 기판(110)을 관통하는 연결부들(111b, 113b)에 의해 리드 단자(111c, 113c)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120)과 패키지 기판(110) 사이에 자성체(13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130)는 로렌츠 힘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 칩(120) 내의 전류를 분산시킨다. 자성체(130)는 자성 필름 또는 벌크 형태의 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130)는 강자성 물질 또는 준강자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Rb, Ru, Nd, Fe, Co, Ni, Mn, Cr, Cu, Pt, Sm, Sb, Pt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 물질층은 또한 Mn, Fe, Co, Cu, V 등의 산화물, Cr2O3, CrS, MnS, MnSe, 또는 MnTe를 포함할 수 있으며, Mn, Fe, Co, Ni 등의 불화물, V, Cr, Fe, Co, Ni, Cu 등의 염화물이나 브롬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130)는 0.1 T 내지 10 T의 자속 밀도를 갖고 발광 다이오드 칩(120) 내에 흐르는 전류에 로렌츠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120)는 연결부들(115a)을 통해 패키지 기판(110) 하부의 더미 단자(115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들(115a) 및 더미 단자(115b)는 발광 다이오드 칩(120)에서 생성된 열을 패키지 기판(110) 외부로 전달하는 열 전달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120)은, 종래의 수평형, 수직형, 플립칩형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발광 다이오드 칩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120)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발광 다이오드 칩일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120)이 도 4, 도 7,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성 물질층(50a, 50b, 50c)을 갖는 경우, 상기 자성체(130)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120) 상부면에 콘포말 형광체 코팅층(140)이 위치한다. 상기 코팅층(140)은 균일한 두께를 가지어 발광 다이오드 칩(120)에서 생성된 광을 균일하게 파장변환시킬 수 있다.
한편, 추가전극(121)이 상기 코팅층(140)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추가전극(121)은 발광 다이오드 칩(120)의 전극 패드(도시하지 않음) 상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전극(121) 없이, 전극 패드를 노출시키고, 본딩 와이어(W)를 전극 패드에 직접 접속할 수도 있다.
상기 본딩 와이어(W)는 발광 다이오드 칩(120)의 구조에 대응하여 본딩 패드들(111a, 113a)과 발광 다이오드 칩(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예컨대,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본딩 와이어가 추가 전극(121)과 본딩 패드(111a)를 연결하고, 다른 본딩 와이어(W)가 자성체(130)와 본딩 패드(113a)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몰딩부(150)가 발광 다이오드 칩(120) 및 본딩 와이어들(W)을 덮는다. 몰딩부(150)는 투명한 수지, 예컨대 실리콘 또는 에폭시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체(130)를 채택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 칩(120) 내의 전류 분산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120)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 다이오드 칩인 경우, 자성체(130)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발광 다이오드 칩(120)의 전류 분산 성능이 개선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 다이오드 패키기와 대체로 유사하나, 콘포말 형광체 코팅층(140a)이 발광 다이오드 칩(120)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측면을 덮는 것에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코팅층(140a)은 발광 다이오드 칩(120)의 상부면에서 발광 다이오드 칩(120)의 측면으로 연장한다.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 칩(120)의 측면을 통해 방출되는 광에 대해서도 파장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와 대체로 유사하나, 형광체 코팅층(140b)이 발광 다이오드 칩(12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에 차이가 있다. 즉, 형광체 코팅층(140b)은 예컨대 몰딩부(15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 코팅층(140b)은 다시 실리콘 수지와 같은 투명 보호층(160)으로 덮일 수 있다.
형광체 코팅층(140b)이 발광 다이오드 칩(120)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 칩(120)에서 생성된 광에 의해 형광체가 변형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콘포말 코팅층(140)이 생략되기 때문에 추가 전극(121)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와 대체로 유사하나, 패키지 기판(210)이 실리콘 기판인 것에 차이가 있다.
상기 실리콘 기판(21)의 상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본딩 패드들(111a, 113a), 자성체(130)는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 위치하며, 발광 다이오드 칩(12)은 상기 오목부 내에 실장된다.
한편, 상기 오목부는 몰딩부(250)로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몰딩부(250) 상에 형광체를 함유하는 글래스 시트와 같은 파장변환 시트(2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1 또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콘포말 형광체 코팅층(140 또는 140a)이 발광 다이오드 칩(120) 상부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키지 기판(210)의 오목부를 채우는 몰딩부(150a) 내에 형광체가 함유될 수도 있다.
(조명 장치)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기존의 전구를 대체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를 설명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 장치는 인쇄회로기판(310), 발광 소자(320), 구동 집적회로 소자(330), 형광체막(340), 보호막(350), 히트 싱크(360), 소켓 단자(365) 및 자기장 차단 코팅(361, 3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360)는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요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360)는 방열 특성이 우수한 금속,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360)는 소켓 단자(365)와 인쇄회로기판(3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피복 전선(도시하지 않음)이 통과하는 관통홀들(도시하지 않음)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소켓 단자(365)는 GU10 베이스, GZ10 베이스 등 다양한 소켓 베이스에 의해 히트싱크(36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10)은 히트싱크(360) 상에 열적으로 결합된다. 인쇄회로기판(310)은 히트싱크(360) 상에 직접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히트싱크(360)는 인쇄회로기판(310)을 수용하기 위한 안착홈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인쇄회로기판(310)은 상기 히트싱크(360)의 오목부 바닥면에 놓일 수 있으며, 상기 바닥면에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10) 상에 발광 소자(320) 및 구동 집적회로 소자(330)가 실장되며, 상기 발광 소자(320)는 인쇄회로기판(310)의 인쇄회로를 통해 구동 집적회로 소자(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10) 상에 복수의 발광 소자(32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발광 소자들(320)은 서로 직렬 연결되어 직렬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320)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 다이오드 칩 형태로 인쇄회로기판(310) 상에 실장될 수 있으며, 또는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형태로 인쇄회로기판(31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집적회로 소자(330)는 외부의 교류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발광 소자(320)를 구동한다. 구동 집적회로 소자(330)는 직렬 어레이 내의 유닛들을 순차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한편, 상기 발광 소자(320) 상부에 형광체막(34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형광체막(340)은 투명 보호막(350)으로 덮일 수 있다. 예컨대, 글래스와 같은 투명 보호막(350)의 오목부 내에 형광체막이(340)이 형성되고, 이 투명 보호막(350)이 히트 싱크(36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막(340)과 발광 소자(320) 사이의 공간은 투명 수지(355)로 채워질 수 있으나, 빈 공간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발광 소자(320)가 자성 물질층(도 4, 7, 9 또는 10의 50a, 50b, 50c) 또는 자성체(도 11 내지 15의 13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자성 물질층 또는 자성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단하기 위한 자기장 차단 코팅(361, 363)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자기장 차단 코팅(361, 363)은 조명 장치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 장치의 내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자기장 차단 코팅(363)은 투광성 재료로 형성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종래의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는 조명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 장치는 인쇄회로기판(410), 발광 소자(420), 구동 집적회로 소자(430), 형광체막(440), 보호막(450), 프레임(460) 및 자기장 차단 코팅(461, 4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60)은 조명장치의 전체 형상을 한정하며, 히트 싱크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60)의 외부면에 자기장 차단 코팅(461)이 형성될 수 있다. 자기장 차단 코팅(461)은 프레임(460)의 내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460)은 외부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소켓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460)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인쇄회로기판(410)이 장착된다. 예컨대, 인쇄회로기판(410)은 상기 프레임(460)의 오목부 바닥면에 놓일 수 있으며, 상기 바닥면에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410)은 프레임(460)을 따라 기다란 형상을 갖는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10) 상에 발광 소자(420) 및 구동 집적회로 소자(430)가 실장되며, 상기 발광 소자(420)는 인쇄회로기판(410)의 인쇄회로를 통해 구동 집적회로 소자(4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10) 상에 복수의 발광 소자(42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발광 소자들(420)은 서로 직렬 연결되어 직렬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420)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 다이오드 칩 형태로 인쇄회로기판(410) 상에 실장될 수 있으며, 또는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형태로 인쇄회로기판(41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집적회로 소자(430)는 외부의 교류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발광 소자(420)를 구동한다. 구동 집적회로 소자(430)는 직렬 어레이 내의 유닛들을 순차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한편, 상기 발광 소자(420) 상부에 형광체막(44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형광체막(440)은 투명 보호막(450)으로 덮일 수 있다. 예컨대, 글래스와 같은 투명 보호막(450) 표면에 형광체막이(440)이 형성되고, 이 투명 보호막(450)이 상기 프레임(46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막(440)과 발광 소자(420) 사이의 공간은 투명 수지로 채워질 수 있으나, 빈 공간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발광 소자(420)가 자성 물질층(도 4, 7, 9 또는 10의 50a, 50b, 50c) 또는 자성체(도 11 내지 15의 13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자성 물질층 또는 자성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단하기 위한 자기장 차단 코팅(461, 463)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자기장 차단 코팅(461)은,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460)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460)의 내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기장 차단 코팅(463)은 보호막(450)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막(450)의 내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자기장 차단 코팅(463)은 투광성 재료로 형성된다.
도 18은 구동 집적회로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19는 제어부 및 클럭 발생부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부에 입력되는 클럭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우선, 도 18을 참조하면, 구동 집적회로 소자(500)는 정류부(510), 제어부(520), 클럭 발생부(530) 및 스위칭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집적회로 소자(500)는 단일 칩 형태 또는 단일 패키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정류부(510)는 교류 전원(510)의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반파 정류된 정류 전압을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부(550)에 출력한다. 상기 정류부(510)는 브리지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20)는 펄스폭 변조(PWM) 제어기로서, 정류 전압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도 19의 (a)와 같은 펄스폭 변조(PWM)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클럭 발생부(530)는 일정한 주기로 도 19의 (b)와 같은 클럭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도 19의 (a)에 나타낸 펄스폭 변조 신호는 스위칭부(540) 내의 하나의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나타내며, 각 스위치에 대응하는 펄스폭 변조 신호들이 생성된다.
상기 제어부(520)의 PWM 신호와 상기 클럭 발생부(530)의 클럭 신호가 앤드(AND) 결합되어 도 19의 (c)와 같은 신호가 생성되어 스위칭부(540)에 입력된다. 도 19의 (c)와 같은 신호는 스위칭부(540) 내의 하나의 스위치에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며, 각 스위치에 이러한 입력신호가 입력된다.
한편,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부(55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유닛들(551~554)로 구성되며, 이들 유닛들이 서로 직렬 연결된다. 상기 각 유닛은 단일의 발광셀을 갖는 단일의 발광 다이오드 칩,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연결된 복수의 발광셀들을 갖는 단일의 발광 다이오드 칩, 또는 서로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연결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셀들 또는 발광다이오드 칩들이 직병렬 또는 병렬 연결된 예들이 도 20의 (a), (b) 및 (c)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광 다이오드 유닛을 구성하는 발광셀들 또는 발광 다이오드 칩들은 도 20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닛들(551~554)은 서로 직렬 연결되며, 각 유닛의 출력단이 스위칭부(5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선(L1~L4)은 각 유닛의 출력단과 스위칭부 내의 대응하는 스위치를 연결하는 선을 나타낸다. 스위칭부 내의 각 스위치는 제어부(520)와 클럭 발생부(530)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접지와 연결선(L1~L4)을 온 또는 오프시킨다.
이하에서, 구동 집적회로 소자(500)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부(550)를 구동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교류 전원(600)으로부터 구동 집적회로 소자(500)에 교류전압이 입력되면, 정류부(510)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정류전압을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부(550)에 출력한다. 한편, 정류부(510)의 정류전압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제어부는 스위칭부(540)의 각 스위치에 출력할 PWM 신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부(550)이 네개의 유닛들(551~554)로 구성된 경우, 상기 제어부(520)는 정류 전압이 0에서 피크까지 증가하는 구간을 네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 스위치에 온/오프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PWM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클럭 발생부(530)는 일정한 주기로 클럭을 발생시켜 PWM 제어 신호에 의해 각 스위치에 온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일정한 주기의 온/오프 신호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정류 전압이 증가하는 첫번째 구간에서, 연결선(L1)에 연결된 스위치가 PWM 제어 신호에 의해 턴온되면, 발광 다이오드 유닛(551)이 턴온된다. 나머지 유닛들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클럭 발생부(530)에서 출력되는 클럭 신호에 의해 상기 발광 다이오드 유닛(551)은 주기적으로 온/오프를 되풀이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 다이오드 유닛(551)이 장시간 턴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 유닛들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한편, 정류 전압이 증가하는 두번째 구간에서, 연결선(L1)에 연결된 스위치는 PWM 제어 신호에 의해 턴오프되고, 연결선(L2)에 연결된 스위치가 대응하는 PWM 제어 신호에 의해 턴온된다.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 유닛들(551, 552)이 턴온된다. 이 경우에도, 클록 발생부(530)의 클럭 신호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 유닛들(551, 552)는 짧은 주기로 온/오프를 반복한다.
또한, 정류 전압이 증가하는 세번쩨 구간에서, 연결선(L2)에 연결된 스위치가 턴오프되고, 연결선(L3)에 연결된 스위치가 턴온되며,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 유닛들(551~553)이 턴온된다. 이 경우에도, 클럭 발생부(530)의 클럭 신호에 의해 상기 발광 다이오드 유닛들(551~553)은 온/오프를 되풀이 한다.
정류 전압이 증가하는 마지막 구간에서, 연결선(L3)에 연결된 스위치가 턴오프되고, 연결선(L4)에 연결된 스위치가 턴온되며,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 유닛들(551~554)이 모두 턴온된다. 이 경우에도, 클럭 발생부(530)의 클럭 신호에 의해 상기 발광 다이오드 유닛들(551~554)은 온/오프를 되풀이 한다.
이제, 정류 전압이 감소하는 첫번째 구간 내지 마지막 구간에서 위와 같은 과정이 역으로 진행되어 발광 다이오드 유닛들(554, 553, 552)이 순차적으로 턴오프되고, 마지막으로 발광 다이오드 유닛(551)이 턴오프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되풀이하여, 정류 전압의 변화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 유닛들(551~554)이 순차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를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 집적회로 소자(500)에 의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유닛들(551~554)를 순차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시킬 수 있어, 상기 유닛들을 전체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시키는 경우에 비해 플리커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역률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특정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리드 전극들을 갖는 패키지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 칩을 포함하되,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은
    지지 기판;
    상기 지지 기판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 반도체층, 상부 반도체층 및 상기 하부 반도체층과 상부 반도체층 사이에 위치하는 활성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적층 구조체;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를 결합하기 위한 본딩 금속층;
    상기 본딩 금속층과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확산 장벽층; 및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본딩 금속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확산 장벽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확산 장벽층 및 제2 확산 장벽층은 상기 본딩 금속층에 비해 비저항이 높은 물질로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산 장벽층 및 제2 확산 장벽층 중 적어도 하나는 100 uΩ?㎝ 미만의 저비저항 금속층과 100 uΩ?㎝를 초과하는 고비저항 금속층을 교대로 복수 적층한 구조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비저항 금속층은 Ti 또는 Pt이고, 상기 저비저항 금속층은 Ni, Au 및 W에서 선택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와 상기 지지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 물질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질층은, 상기 본딩 금속층과 제1 확산 장벽층 사이, 상기 본딩 금속층과 제2 확산 장벽층 사이, 제2 확산 장벽층과 상기 지지 기판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질층은 강자성 물질 또는 준강자성 물질로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적층 구조체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발광셀들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산장벽층과 상기 각 발광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각 발광셀의 하부 반도체층에 오믹 콘택하는 오믹 반사층들;
    상기 각 발광셀들의 상기 하부 반도체층으로부터 상기 상부 반도체층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들;
    하나의 발광셀의 오믹 반사층과 상기 하나의 발광셀에 이웃하는 발광셀의 상부 반도체층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1 확산장벽층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 전극 패드 및 제2 전극 패드;
    상기 제1 전극 패드와 하나의 발광셀의 오믹 반사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2 전극 패드와 다른 하나의 발광셀의 상부 반도체층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패드는 상기 지지 기판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장벽층은 상기 다른 하나의 발광셀의 상부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11. 리드 전극들을 갖는 패키지 기판;
    상기 패키지 기판 상에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 칩;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에 자기력을 인가하여 발광 다이오드 칩 내에 흐르는 전류를 분산시킬 수 있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자성 필름 또는 벌크 형태의 자석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과 상기 패키지 기판 사이에 개재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으로부터 상기 패키지 기판 하부로 열을 전달하는 열 전달 통로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기판은 실리콘 기판 또는 세라믹 기판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 상부에 위치하는 형광체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17.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복수개 포함하는 조명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 칩 또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을 차단하기 위한 자기장 차단 코팅을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차단 코팅은 조명 장치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제공되는 조명 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구동 집적회로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직렬 어레이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 집적회로 소자는 교류 전원에 직접 연결되어 교류 전원의 전압 변화에 따라 상기 직렬 어레이 내의 각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순차적으로 턴온 및 턴온시키는 조명 장치.
KR1020110027051A 2011-03-25 2011-03-25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조명 장치 KR101791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051A KR101791157B1 (ko) 2011-03-25 2011-03-25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051A KR101791157B1 (ko) 2011-03-25 2011-03-25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762A true KR20120108762A (ko) 2012-10-05
KR101791157B1 KR101791157B1 (ko) 2017-10-30

Family

ID=4728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051A KR101791157B1 (ko) 2011-03-25 2011-03-25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1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756A (ko) * 2015-08-21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70022755A (ko) * 2015-08-21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70024905A (ko) * 2015-08-26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605757B2 (en) 2015-08-21 2023-03-1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70555B (en) * 2006-12-29 2012-08-11 Epistar Corp Light-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906786B2 (en) * 2008-01-11 2011-03-1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Light emitt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756A (ko) * 2015-08-21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70022755A (ko) * 2015-08-21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605757B2 (en) 2015-08-21 2023-03-1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KR20170024905A (ko) * 2015-08-26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157B1 (ko) 201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5860B2 (en) Electrode configuration for an optoelectronic device
US7723736B2 (en)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and package mounting the same
US8507923B2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KR101138952B1 (ko)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갖는 웨이퍼 레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20080057876A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31473A (ko)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갖는 웨이퍼 레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101281081B1 (ko) 수직형 발광 다이오드 셀 어레이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65757A (ko) 디스플레이용 발광 소자 및 그것을 가지는 발광 패키지
JP2011507285A (ja)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素子
KR101791157B1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조명 장치
KR20120088130A (ko) 파장변환층을 갖는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CN105280665B (zh) 光电元件及其制造方法
KR20150133166A (ko) 발광소자
KR101547322B1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100898585B1 (ko) 다수의 셀이 결합된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16940B1 (ko) 발광 다이오드 칩
KR102052040B1 (ko) 광전소자와 그 제조방법
KR101216934B1 (ko) 다수의 셀이 결합된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98133B1 (ko) 광전소자
TWI638468B (zh) 光電元件及其製造方法
TWI667812B (zh) 光電元件及其製造方法
TW201937754A (zh) 光電元件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