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7728A - 넷스토어 기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시스템 및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넷스토어 기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시스템 및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7728A
KR20120107728A KR1020110025419A KR20110025419A KR20120107728A KR 20120107728 A KR20120107728 A KR 20120107728A KR 1020110025419 A KR1020110025419 A KR 1020110025419A KR 20110025419 A KR20110025419 A KR 20110025419A KR 20120107728 A KR20120107728 A KR 20120107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ervice
resource
dynamic configuration
servic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5527B1 (ko
Inventor
엄태원
윤장우
홍강운
이남경
이호연
전승현
이현우
원 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2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527B1/ko
Priority to US13/426,557 priority patent/US9262730B2/en
Publication of KR20120107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04L41/5054Automatic deployment of services triggered by the service manager, e.g. service implementation by automatic configuration of network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넷스토어를 기반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들 및 클라우드(Cloud) 서버 등의 네트워크 기능 연동을 통해서 콘텐츠와 데이터의 분배 및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의 네트워크 자원을 관리하며 도메인별로 존재하는 넷스토어 장치에 연결된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서, 넷스토어가 관리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조회하고 등록하는 자원 조회 및 등록부와,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예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서비스 관리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예약을 요청한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사용자로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넷스토어 기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시스템 및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방법{System for configurating dynamic service network based on netstor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넷스토어 기반의 스마트 디바이스 자원 관리와 서비스 전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시작으로 개인 미디어 환경은 스마트화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CPU와 OS를 탑재하고 플랫폼 시스템을 바탕으로 보다 지능화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 스마트화는 통신과 방송의 영역에서 그 영역을 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스마트 TV(Smart TV)의 경우, TV에 CPU, OS와 플랫폼을 탑재한 방송통신 융합 미디어로써, 단순한 인터넷 제공을 넘어 인터넷과 방송이 결합된 형태 이상의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스마트 TV는 지상파를 비롯하여 케이블 및 인터넷 방송을 수용하고, 인터넷 접속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면서 이용자의 편의나 상황에 따른 특화형 또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이미 존재하는 전달망 기능의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그 위에 구성된 가상의 서비스 라우팅 기능을 갖는 가상 네트워크라고 볼 수 있다. 즉,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의 전달망 기능 위에 별도의 노드(node) 기능과 논리적 링크들(logical links)을 구성하여 이루어진 가상 네트워크이다. 오버레이 네트워크에서 이웃 노드들은 물리적인 이웃 노드가 아니라 논리적인 이웃 노드이기 때문에 기존의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버레이 네트워킹의 토폴로지는 기존의 물리적 및 논리적인 토폴로지 위에 추가로 논리적인 토폴로지를 재구성하여 서비스 성능을 개선하고, 효율을 높이며 또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넷스토어를 기반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들 및 클라우드(Cloud) 서버 등의 네트워크 기능 연동을 통해서 콘텐츠와 데이터의 분배 및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 도메인 또는 각 사업자 망을 관리하는 넷스토어 및 DSNC 장치들이 존재할 때에,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중앙화된 방식 또는 분산화된 방식으로 여러 도메인에 존재하는 다수의 넷스토어 및 DSNC 장치들을 상호 협력 및 제어하도록 하여, 다수의 도메인 또는 다수의 사업자 망을 거쳐서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들 간에 콘텐츠와 데이터의 전달 및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의 네트워크 자원을 관리하며 도메인별로 존재하는 넷스토어 장치에 연결된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서, 넷스토어가 관리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조회하고 등록하는 자원 조회 및 등록부와,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예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서비스 관리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예약을 요청한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사용자로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서비스 관리 영역을 나타내는 도메인 내의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와 연결되고,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과 연결된 넷스토어 장치로서,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가 제공하는 자원 정보를 등록하는 자원 등록부와, 등록된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부터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요청받음에 따라, 요청에 따른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조회하고, 조회된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에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할당 예약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로 자원 할당 예약을 요청하는 자원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로서, 복수의 넷스토어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제어부와, 복수의 가상 머신 각각에 대응하는 넷스토어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넷스토어에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제공하고, 넷스토어에 의해 요청된 네트워크 자원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자원을 등록받아 관리하는 넷스토어,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등록받고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에 따라 넷스토어에 등록된 네트워크 자원들을 활용하여 오버레이 네트워킹 방식으로 적합한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방법으로서, 도메인별로 지역 네트워크 동적 구성을 수행하는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부터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관할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 간의 구성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수신하여, 전체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파악하는 단계와,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예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서비스 예약 요청에 따른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와,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에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관할하는 도메인 내에서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자원을 등록받아 관리하는 넷스토어,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등록받고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에 따라 넷스토어에 등록된 네트워크 자원들을 활용하여 오버레이 네트워킹 방식으로 적합한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방법으로서,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속한 도메인과 다른 도메인에 속하는 다른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부터, 다른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 간의 구성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다른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 간의 구성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와,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 다른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이 필요한 경우, 다른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에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하여 부분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넷스토어 기반의 스마트 디바이스 자원 관리가 가능한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업체 또는 콘텐츠 제공자들이 앱스토어 및 안드로이드 마켓 등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 및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앱(App)을 등록하고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TV에서 자유롭게 앱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 및 이용토록 함으로써 콘텐츠 생성, 전달 및 소비가 활성화되는 상황에서,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의 개입없이도 넷스토어를 기반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들 및 클라우드 서버 간에 기능 연동을 통해서 콘텐츠와 데이터의 분배 및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도메인 또는 각 사업자 망을 관리하는 넷스토어 및 DSNC 장치들이 존재할 때에,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중앙화된 방식 또는 분산화된 방식으로 여러 도메인에 존재하는 다수의 넷스토어 및 DSNC 장치들이 상호 협력 및 제어하도록 하여, 다수의 도메인 또는 다수의 사업자 망을 거쳐서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들 간에 콘텐츠와 데이터의 전달 및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도메인 내에서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화된 방식으로 다수의 도메인에 존재하는 DSNC(Dynamic Service Network Creation) 장치 및 넷스토어를 제어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방식으로 다수의 도메인별로 존재하는 DSNC 장치 및 넷스토어들이 협력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가 복수의 넷스토어에 의해 제어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들이 앱스토어 또는 안드로이드 마켓 등을 통해 넷스토어 앱을 다운받고, 넷스토어에 자원을 등록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도메인 내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들의 자원 등록과 서비스 요청에 따른 자원 할당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화된 방식을 이용한 여러 도메인에서의 DSNC 장치 및 넷스토어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방식을 이용한 여러 도메인에서의 DSNC 장치 및 넷스토어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DSNC 장치이 복수의 넷스토어를 제어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넷스토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도메인 내에서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시스템(1)은 하나의 도메인(101), 복수의 DSNC 장치(310, 320) 및 복수의 서비스 관리 시스템(410, 420, 430, 440, 45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도메인은 사업자(통신 사업자 또는 단말 업체)가 관리하는 영역 구분으로, 기본적으로 인터넷의 도메인과 같은 개념이나, 넷스토어 사업자가 필요에 따라 위치적으로 가까운 노드들을 묶어서 하나의 도메인을 구성할 수 있다. 도메인은 조직 및 국가에 따라서 구분될 수도 있다. 도메인은 IP 서브넷이라고도 한다.
넷스토어 기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시스템(1)은 서비스 제공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고, 구성된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서비스 사용자까지 전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네트워크는 물리적 네트워크 위에 형성되는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는 IPTV,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개인 방송 서비스, 데이터 전송 서비스, 데이터 저장 서비스, 데이터 처리 서비스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네트워크 자원은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성되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자원을 말한다. 네트워크 자원은 네트워킹 자원, 프로세싱 자원 및 스토리지 자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도메인(101)은 넷스토어(110) 및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211, 212, 21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211, 212, 213)는 각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자원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 및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사용자 중 하나 이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제공자, 및 서비스 사용자는 각각 송신 노드, 코어 노드 및 수신 노드라고 부를 수 있다.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211, 212, 213)는, 스마트폰, 스마트 TV, PC 등 다양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 서비스 사용자로 기능하는 한 종류 및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여기에서, 스마트 디바이스(211, 212, 213)는 네트워크 자원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폰 A(211)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송신 노드로 기능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212)는 스마트 TV일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213)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넷스토어 #1(110)는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211, 212, 213)가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로서 기능할 때 스마트 디바이스들(211, 212, 213)로부터 네트워크 자원 등을 등록받아서 관리한다. 넷스토어(110)는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들로부터 자원 등록을 받고, 이들을 제어하기 위해서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 종류들을 지원하는 제어 관리 기능 및 프로토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관리 기능 및 프로토콜의 예로서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GSMP(General Switch Management Protocol), COPS(Common Open Policy Service),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TR-069(Technical Report 069), Diameter 프로토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넷스토어 #1(110)의 제어관리 A1(111)은 스마트 폰 A(211)과의 시그널링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스마트 폰 A(211)의 네트워크 자원을 등록받고, 네트워크 자원의 예약 할당 요청,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 요청 등의 제어 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211, 212, 213)는 넷스토어 앱을 이용하여 네트워킹 자원, 프로세싱 자원 및 스토리지 자원과 같은 네트워크 자원들을 넷스토어 #1(110)에 등록하고, 넷스토어 #1(110)은 등록된 네트워크 자원을 관리하기 위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들(211, 212, 213)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넷스토어 앱은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로서 이용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들(211, 212, 213)이 네트워크 자원들을 넷스토어 #1(110)에 등록하고, 넷스토어 #1(110)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들(211, 212, 213)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그램을 말한다.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211, 212, 213)는 앱스토어 또는 안드로이드 마켓 등으로(도시되지 않음)부터 넷스토어 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넷스토어 앱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종류별로 각 스마트 디바이스 종류에 적합한 제어 관리 기능 및 프로토콜 등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넷스토어 #1(110)의 운용자는 넷스토어 앱을 앱스토어 또는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 업로드하고, 스마트폰 A(211) 사용자 또는 스마트 TV A(212) 사용자 등은 앱스토어 또는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넷스토어 앱을 다운로드받아 자신의 단말에 설치할 수 있다. 스마트폰 A(211)에 설치된 넷스토어 앱을 실행시키면, 넷스토어 앱은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넷스토어 #(110)와 통신하여 인증 절차 등을 수행하고, 단말의 네트워킹 자원, 프로세싱 자원 및 스토리지 자원을 넷스토어에 등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211, 212, 231)는 넷스토어(110)에 사용자 프로파일 및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은 등록하고자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보유한 사용자 이름, 성별, 주소, 연령, 소속 등의 개인 신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프로파일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종류(예를 들어, 스마트 TV, 스마트폰, PC, 클라우드 등),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조사/모델명, 지리적 위치,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211, 212, 213)에 설치된 넷스토어 앱은 넷스토어 #1(110)로부터 자원 할당 요청을 받고, 스마트폰의 자원을 특정 서비스 전달 및 처리(예를 들어, 스트리밍 데이터 전달을 위해 네트워크 대역폭 할당)를 위해 할당할 수 있다. 넷스토어 #1(110)은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211, 212, 213) 등에 설치된 넷스토어 앱과 주기적으로 통신하면서,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211, 212, 213) 각각의 넷스토어 앱 기능이 정상 동작되고, 스마트폰에서의 CPU, 메모리, 네트워크 자원 이용률 등을 체크할 수 있다.
넷스토어 앱 이외에,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개발된 서비스 사용을 위한 앱이 앱스토어 또는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 등록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수신 노드)에서 서비스 사용을 위한 앱을 다운로드받은 후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개발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앱은, 앱 스토어 등록되어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방송과 같은 서비스를 위해서, 앱이 서비스 제공자, 즉, 송신 단말에도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비스 관리 시스템들(410, 420, 430, 440, 450)은 서비스 제공자, 예를 들어, 스마트 폰 A(211)로부터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등록받아 관리한다.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는, 예를 들어, 실시간 스트리밍, VoD, 화상 회의/통화, 데이터 전달, 스토리지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넷스토어 #1(110)은 등록된 네트워크 자원들을 DSNC 장치들(310, 3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할당하는데 있어서, 특정 단말의 자원이 얼마만큼 어떠한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어떤 사용자 세션에 할당 또는 예약되었는지를 내부의 데이터베이스 및 캐쉬에 기록함으로써, 이미 할당된 자원이 추후 다른 서비스 요청에 이용되지 않도록 하는 자원 스케쥴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넷스토어 #1(110)은 이를 통해서 자원을 할당한 스마트 디바이스에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에 해당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서비스 중인 세션을 찾아내어, 이에 대한 보호 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로부터의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 요청에 따라 DSNC 장치 #1(310)이 넷스토어 #1(110)에 자원을 요청하였으나, 가용한 자원이 없을 경우에 DSNC 장치 #1(310)은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에게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 요청이 실패하였음을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들이 앱스토어 또는 안드로이드 마켓 등을 통해 넷스토어 앱을 다운받고, 넷스토어에 자원을 등록하는 절차의 상세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복수의 DSNC 장치(310, 320)는 넷스토어 #1(110)에 등록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한다. 도 1에는 2개의 DSNC 장치(310, 320)이 도시되어 있으나, 시스템(1)은 하나 이상의 DSNC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DSNC 장치에는 시그널링 인터페이스(10)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서비스 관리 시스템들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DSNC 장치(310)는 시그널링 인터페이스(20)를 통해 넷스토어 #1(110)에 연결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들(410, 420, 430, 440, 450)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로 기능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폰 A(211))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한다.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어, 방송 서비스인 경우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410, 420, 430, 440, 450)은, 콘텐츠 제공자 및 방송 사업자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 시스템들(410, 420, 430, 440, 450)은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사용 요청을 수신받고, 이에 따라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되도록 DSNC 장치들(310, 320)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A(211)이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로서 개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 관리 시스템(410)은 스마트폰 A(211)로부터 개인 방송과 관련된 서비스 정보, 예를 들어, 방송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 개인 방송 제목, 방송하는 콘텐츠 특성(ex. HD, SD, CIF), 방송하는 송신 노드 정보 등을 입력받고,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이용 요청을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 시스템(410)는 이러한 방송 편성 스케줄을 관리하고, DSNC 장치(310, 320)로 필요로 하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요청할 수 있다.
복수의 DSNC 장치(310, 320)은 각각 연결된 복수의 서비스 관리 시스템들(410, 420, 430, 440, 450)로부터의 서비스 동적 구성 요청에 따라,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동적 구성 요청은 서비스 관리 시스템(410)에서 DSNC 장치 #1(310)로 전달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을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동적 구성 요청은 송신 노드의 위치, 수신 노드의 위치, 서비스 대상 정보, 서비스 유형(실시간 스트리밍, VoD, 데이터 전달, SMS 등), 콘텐츠 해상도(HD, SD, CIF 등) 및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개인 방송 사업자가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을 구성한 경우, 서비스 제공자인 스마트 폰 A(211)는 개인 방송 서비스 요청을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은 DSNC 장치 #1(310) 간의 인터페이스(10)를 통해서, 스마트 폰 A(211)의 개인 방송을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동적 구성 요청을 DSNC 장치 #1(31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DSNC 장치 #1(310)은 수신된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에 따라 서비스를 서비스 사용자인 수신 노드(도시되지 않음)로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OTT(Over-The-Top)과 같은 VoD 서비스 사업자들이 서비스 관리 시스템 1-2(420)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인 스마트 폰 A(211)이 Vo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 폰 A(211)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 1-2(420)로 서비스 예약 요청을 전달하고, 서비스 관리 시스템 1-2(420)는 DSNC 장치 #1(310)에게 서비스 예약 요청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DSNC 장치 #1(310)은 수신된 서비스 동적 구성 요청에 따라 서비스를 서비스 사용자인 수신 노드(도시되지 않음)로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회의/전화 사업자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 1-3(430)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인 스마트 폰 A(211)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가 서비스 관리 시스템 1-3(430)에 서비스 예약 요청을 전달하고, 서비스 관리 시스템 1-3(430)은 DSNC 장치 #1(310)에 수신된 서비스 예약 요청에 따른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DSNC 장치 #1(310)은 수신된 서비스 동적 구성 요청에 따라 서비스를 서비스 사용자인 수신 노드(도시되지 않음)로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화된 방식으로 다수의 도메인에 존재하는 DSNC 장치 및 넷스토어를 제어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시스템(2)은 2개의 도메인(101, 102), 복수의 DSNC 장치(330, 340, 350) 및 복수의 서비스 관리 시스템(410, 420, 430, 440, 45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DSNC 장치(330, 340, 350)는 중앙 DSNC 장치(330) 및 복수의 지역 DSNC 장치(340, 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2개의 지역 DSNC 장치(340, 350)가 도시되어 있으나, 지역 DSNC 장치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다.
지역 DSNC 장치들(340, 350)은 부트스트래핑 과정 등을 통해 중앙 DSNC 장치(330)에 자신의 IP 주소 및 도메인 정보 등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역 DSNC 장치(340, 350)는, 각각 자신이 담당하는 네트워크 영역(또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 간의 구성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중앙 DSNC 장치(330)로 전달할 수 있다. 중앙 DSNC 장치(330)은 지역 DSNC 장치(340, 35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자원 및 구성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토폴로지 정보는 각 넷스토어들이 관리하는 도메인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들과 네트워크 노드(라우터, 스위치 등)들 간의 연결 상태 정보 및 성능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메인 #1(101)의 토폴로지 정보는 넷스토어에 등록되어 있는 도메인 #1(101)의 스마트 디바이스들(211, 212, 213)의 프로세싱 자원/네트워킹 자원/스토리지 자원의 사용량 또는 잔여량, 스마트 디바이스들(211, 212, 213)의 지리적 위치, 스마트 디바이스들(211, 212, 213) 간의 패킷 전송 지연 시간, 스마트 디바이스들(211, 212, 213) 간의 통신 가능 네트워크 대역폭, 도메인 #1(110)의 네트워크 라우터/스위치와 스마트 디바이스들(211, 212, 213)과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 도메인 #1(101) 및 도메인 #2(102)의 네트워크 라우터들 간의 네트워크 링크 연결 구성 정보, 패킷 지연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DSNC 장치(330)는 시스템(2)내의 모든 서비스 관리 시스템들(410, 420, 430, 440, 450)로부터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에 대한 요청을 집중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중앙 DSNC 장치(330)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들(410, 420, 430, 440, 450)로부터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을 분석한 후,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에 따른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기에 적합한 지역 DSNC 장치들(340, 350)을 선택하고, 적합한 지역 DSNC 장치들(340, 350)이 각 도메인(101, 102) 내의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및 도메인들(101, 102) 간의 연결을 위한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 구성하도록 지역 DSNC 장치들(340, 35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중앙 DSNC 장치(330)는 송신 노드의 위치, 수신 대상 정보, 서비스 유형(실시간 스트리밍, VoD, 데이터 전달, SMS(Short Message Service) 등), 콘텐츠 해상도(HD, SD, CIF 등), 및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에 따라 적합한 지역 DSNC 장치들(340, 350)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방식으로 다수의 도메인별로 존재하는 DSNC 장치 및 넷스토어들이 협력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시스템(3)은 2개의 도메인(101, 102), 복수의 DSNC 장치(360, 370) 및 복수의 서비스 관리 시스템(410, 420, 430, 440, 45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DSNC 장치(360, 370)는 각각의 넷스토어(110, 120)와 연결되어 동작되는 분산 DSNC 장치일 수 있다. 분산 DSNC 장치 #1(360)은 넷스토어 #1(110)로부터 넷스토어 #1(310)에 등록된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토폴로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분산 DSNC 장치 #2(370)은 넷스토어 #2(120)로부터 넷스토어 #2(120)에 등록된 자원 정보 및 토폴로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분산 DSNC 장치 #1(360)은 넷스토어 #1(110)로부터 자원 정보 및 토폴로지 정보들을 획득한 후에, 정책에 따라 도메인 내의 세부적인 자원 정보와 토폴로지 등을 간략화 및 추상화하는 처리를 거친 후에, 다른 분산 DSNC 장치들, 예를 들어, 분산 DSNC 장치 #2(270)로 간략화 및 추상화 처리 결과인 자신의 도메인 정보를 플러딩(flooding)할 수 있다.
정책에 따라 도메인 내의 세부적인 자원 정보와 토폴로지 등을 간략화 및 추상화하는 처리는 목적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메인 #1(101)과 도메인 #2(102)의 네트워크 사업자가 다른 경우에, 분산 DSNC 장치 #1(360)과 분산 DSNC 장치 #2(370)가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정보를 교환하는데 있어서, 분산 DSNC 장치 #1(360)는 도메인 #1(101)에서 도메인 #2(102) 등의 외부망과 연결되는 대표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라우터들의 일부 사양(제공 대역폭)과 네트워크 연결 정보만을 분산 DSNC 장치 #2(370)를 비롯한 다른 DSNC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를 통해, 분산 DSNC 장치 #1(360)은 도메인 #1(110)에 대한 세부적인 스마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들이 도메인 #2(120)의 사업자에게 모두 공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3과 같이, 도메인 #1(101)에서 도메인 #2(102)를 가로질러서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분산 DSNC 장치 #1(360) 및 분산 DSNC 장치 #2(370)는 각각 클라우드 서버 A(213)와 클라우드 서버 B(221)간의 연결 설정에 필요한 정보들만 다른 DSNC에게 공개할 수 있다. 각 도메인 내에서의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 예를 들어, 스마트폰 A(211)-> 스마트 TV A(212)-> 클라우드 서버 A(213)은, 각 도메인 사업자가 처리함으로써 다른 도메인 사업자에게 세부적인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도 여러 도메인을 거쳐서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도메인 내의 세부적인 자원 정보와 토폴로지 등이 간략화 및 추상화 처리된 후의 정보를 도메인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분산 DSNC 장치들(360, 370)은 각 도메인의 도메인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분산 DSNC 장치들(360, 370)은 이와 같은 도메인 정보를 각각 다른 DSNC들로 플러딩하여 전파하며, 각 DSNC 장치들(360, 370)은 이렇게 플러딩되는 타 도메인 정보들을 획득하고 취합함으로써 전체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파악할 수 있다.
분산 DSNC 장치 #1(360)은,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로부터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을 수신하면, 이를 분석한 후, 자신의 도메인 내의 넷스토어 #1(110)에 요청하여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을 시도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분산 DSNC 장치 #2(270)로 서비스 동적 구성 요청을 전달함으로써 여러 도메인에 걸쳐서 서비스 네트워크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에서 분산 DSNC 장치 #1(360)을 통해서 요청한 서비스 네트워크가 도메인 #1(101)뿐만 아니라 도메인 #2(102)까지 걸치게 되는 경우, 분산 DSNC 장치 #1(360)은 분산 DSNC 장치 #2(370)로 서비스 동적 구성 요청을 전달하여, 도메인 #2(102) 내에서도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메인 #1(101)의 분산 DSNC 장치 #1(360)은 도메인 #2(102)의 분산 DSNC 장치 #2(370)와의 토폴로지/자원 정보 플러딩 절차를 통해서 도메인 #2(102)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에서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을 받았을 때, 서비스 수신 노드가 도메인 #2(102)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면, 분산 DSNC 장치 #1(360)은 넷스토어 #1(110)을 통해서 도메인 #1(101) 내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을 위한 자원 정보를 요청하는 것과 동시에, 분산 DSNC 장치 #2(370)로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을 전달하여 도메인 #2(120) 내에서의 부분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을 요청하게 된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10)로부터 분산 DSNC #1 장치(360)가 전달받은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 정보는, 도메인 #1(101)에서 도메인 #2(102)를 걸치는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을 요청하는 정보인 것인 반면에, 분산 DSNC 장치 #1(360)이 분산 DSNC 장치 #2(370)에게 전달하는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은 도메인 #2(102)내에서의 부분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의 요청을 위한 정보만을 담고 있을 수 있다. 도 3에서는 2개의 도메인만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도메인 #2(102)를 거쳐서 도메인 #3, 도메인 #4까지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하는 경우에도,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이 다음번 DSNC 장치들로 전달되면서 해당 도메인 내의 부분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을 요청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가 복수의 넷스토어에 의해 제어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스마트 TV C(231), 스마트폰 C(232), 클라우드 서버 C(233)와 같은 하나의 스마트 디바이스의 자원들은 한 개의 넷스토어에 등록되어 자원 관리 및 할당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와 같이 스마트 TV C(231), 스마트폰 C(232), 클라우드 서버 C(233)와 같이, 각각의 스마트 디바이스는 복수의 가상 머신을 포함하고, 각 가상 머신들이 서로 다른 복수의 넷스토어들에 등록되고 이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상 머신은 각각 대응하는 넷스토어와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상 머신은 각각 별도의 네트워크 자원 할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스마트 디바이스는 장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및 시스템 관리 장치와 같은 외부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구동되는 복수의 가상 머신은 스마트 디바이스 각각의 제어부에 설치되어 동작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넷스토어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SNMP, GSMP, COPS, SOAP, TR-069, Diamete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넷스토어 #3(130)의 제어 관리 A3(131)는 스마트폰 C(231)와의 통신에 이용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이고, 제어 관리 B3(132)는 스마트 TV C(232)와의 통신에 이용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일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들(231, 232, 233)은 등록하고자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보유한 사용자 이름, 성별, 주소, 연령, 소속 등의 개인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넷스토어들(130, 14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들(231, 232, 233)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종류(예를 들어, 스마트 TV, 스마트폰, PC, 클라우드 등),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조사/모델명, 지리적 위치,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름 및 각 넷스토어와의 동작을 담당하는 가상 머신 식별자 등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넷스토어들(130, 14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복수의 가상 머신으로 구동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들(231, 232, 233)은 2개 이상의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노드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스마트 TV C(232)는 송신 노드 A가 보내는 개인 방송 데이터뿐만 아니라 송신 노드 B가 보내는 개인 방송 데이터도 병렬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송신 노드 A가 스마트 TV C(232)를 경유해서 전송하는 데이터가 급증할 경우에, 스마트 TV C(232)를 통해 전송되고 있는 송신 노드 B로부터 데이터에 손실이 발생하거나 지연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TV C(232)에 가상 머신 기능이 설치되는 경우에, VM별로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자원의 대역폭이 할당될 수 있으므로, 스마트 TV C(232)의 VM #4는 10Mbps 전송 처리 용량을 갖도록 하면서, 송신 노드 A에 할당되어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VM #5는 20Mbps 전송 처리 용량을 갖도록 하면서 송신 노드 B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되어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송신 노드 A에 대한 데이터 트래픽이 급증하는 경우에도 VM #에 할당된 10Mbps만 이용되고, 송신 노드 B가 이용하는 VM #2의 20Mbps 용량에는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들이 앱스토어 또는 안드로이드 마켓 등을 통해 넷스토어 앱을 다운받고, 넷스토어에 자원을 등록하는 절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TV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 및 클라우드 서버들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자원 자공자로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노드를 나타낸다. 앱스토어(250)는 단말 제조사 또는 플랫폼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며, 안드로이드 마켓 및 스마트 TV 마켓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도 5에는 넷스토어가 도 1 내지 3의 넷스토어 #1(110)과 같은 도면 부호로 표시되었으나, 도 5의 넷스토어는 네트워크 자원을 등록 및 관리하는 네트워크상의 모든 넷스토어를 가르킨다.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자원을 등록하고 이용되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앱스토어(250)에 접속하고 인증을 요청하고(511), 앱스토어(250)로부터 인증 요청을 응답받는다(512).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앱스토어(250)로 넷스토어 앱을 요청하고(513), 앱스토어(250)로부터 넷스토어 앱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514). 이때, 앱스토어(250)는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종류를 분석하여, 그에 적합한 제어 관리 기능과 프로토콜을 포함한 넷스토어 앱을 선택하여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다운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넷스토어 앱을 구동하여 넷스토어(110)에 접속하고, 넷스토어(110)에 사용자 및 단말 프로파일의 등록을 요청하고(515), 요청에 대한 응답을 넷스토어(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516).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넷스토어(110)로 자원 등록을 요청하고(517), 넷스토어(110)로부터 자원 등록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518).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넷스토어(110)로부터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고(519), 이에 따라 요청된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 응답을 넷스토어(110)로 전달할 수 있다(520). 동작 520에서,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자원 할당 응답을 통해 특정 서비스 세션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싱, 스토리지 및 네트워킹 자원을 넷스토어(110)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할당받은 자원이 더 이상 필요 없거나, 다른 자원의 할당이 필요한 경우 등과 같이 필요한 경우, 넷스토어(310)로부터 자원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521),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자원 변경 요청에 따라 요청된 변경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522).
또한, 넷스토어(310)는 자원 이용 상태 및 통계 정보 등을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요청하고(523),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이에 대하여 응답하여 자원 이용 상태 및 통계 정보를 넷스토어에 보고할 수 있다(524). 넷스토어(310)는 자원 이용 상태 및 통계 정보등에 대하여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할당된 네트워크 자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도메인 내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들의 자원 등록과 서비스 요청에 따른 자원 할당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마트 디바이스 #1(214), 스마트 디바이스 #2(215) 및 스마트 디바이스 #3(216)는 도 1의 스마트폰 A(211), 스마트 TV A(212) 및 클라우드 서버 A(213)와 같이 넷스토어 #1(110)에 자원 등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 #1(214)은 넷스토어 #1(110)에 자원 등록을 요청하고(611), 넷스토어 #1(110)은 자원 등록을 응답한다(612). 스마트 디바이스 #2(215)는 넷스토어 #1(110)에 자원 등록을 요청하고(613), 넷스토어 #1(110)은 자원 등록을 응답한다(614). 스마트 디바이스 #3(216)은 넷스토어 #1(110)에 자원 등록을 요청하고(615), 넷스토어 #1(110)에 자원 등록을 응답한다(616).
서비스 제공자인 송신 노드가 도 1과 같이 스마트 폰 A(211)라고 가정하면, 서비스 제공자(211)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에 실시간 스트리밍 제공 서비스와 같은 정해진 시간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예약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617). 그러면,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은 DSNC 장치 #1(310)로 서비스 예약 요청에 따른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을 요청하는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을 전달한다(619).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은 예약된 서비스 정보 및 이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구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약된 서비스 정보는 송신 노드의 위치, 수신 대상 노드의 유형(스마트폰, 스마트TV, PC 등), 서비스 제공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 서비스 유형(실시간 스트리밍, VoD, 데이터 서비스, SMS 등), 콘텐츠 해상도(HD, SD, CIF), 및 요구되는 서비스의 품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DSNC 장치 #1(310)은 넷스토어 #1(110)에 자원 정보 요청을 하고(619), 넷스토어 #1(110)로부터 자원 정보 응답을 수신하여(620), 서비스 네트워크 생성에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파악할 수 있다. 동작 619 및 620은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으로부터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을 수신받기 전에 미리 수행될 수도 있다.
DSNC 장치 #1(310)은 넷스토어 #1(110)에 네트워크 동적 구성에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 요청을 전달한다(621). 넷스토어 #1(110)은 자원 예약 요청을 수신하면, 가용한 자원이 있는지 파악하고 만약 자원이 부족할 경우 DSNC 장치 #1(310)로 자원 예약이 실패하였음을 통보할 수 있다(622).
자원 예약의 실패가 통보된 경우, DSNC 장치 #1(111)은 자원 예약 정보를 수정하여, 넷스토어 #1(110)로 자원 예약 요청을 재시도할 수 있다(623). 넷스토어 #1(110)은 가용한 자원이 확인되면 자원 예약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624). 또한, 넷스토어 #1(110)은 자원 사용이 시작되는 시간에 맞춰서 해당 스마트 디바이스들(214, 215, 216)에 대한 자원 할당을 요청하고(625, 627, 629), 이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들(214, 215, 216)로부터 자원 할당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626, 628, 630).
DSNC 장치 #1(310)은 넷스토어 #1(110)을 통해서 자원 예약 요청이 성공하면,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로 네트워크 동적 구성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자원들이 성공적으로 할당되었음을 통보할 수 있다(631).
네트워크 동적 구성 응답 메시지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제공자에 대한 정보 및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110)이 DSNC 장치 #1(310)로 전달한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에 대한 결과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과 코드값이 1이면,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의 성공을 나타내고, 결과 코드값이 2이면,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의 실패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실패 이유에 대한 코드값(2, 3, 4, 5,...)을 정의하여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110)과 DSNC 장치 #1(310) 간에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은 네트워크 동적 구성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서비스 제공자인 스마트폰 A(211)에게 서비스 예약 등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632). 스마트폰 A(211)는 정해진 시간에 맞춰서 생성된 서비스 네트워크 즉, 네트워크 자원을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1(214), 스마트 디바이스 #2(215) 및 스마트 디바이스 #3(216)을 통해 콘텐츠 또는 데이터 등을 전송할 수 있다(633, 634, 635). 이를 위해, 넷스토어 #1(110)의 자원 할당 과정(625, 627, 629)에서, 각 스마트 디바이스들이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및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전 노드에 대한 정보 및 수신된 콘텐츠 및 데이터를 처리한 후 전달해야 하는 다음 노드에 대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서비스 제공자(211)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스마트 디바이스 #3(216)에 연결된 서비스 사용자인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달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구성된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가 진행되는 도중 네트워크 재구성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넷스토어 #1(110)은 주기적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들(214, 215, 216)에게 각각 상태 및 통계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641, 643, 645), 스마트 디바이스들(214, 215, 216)에게 상태 및 통계 정보 응답을 수신한다(642, 644, 646). 이 같은 과정을 통해, 넷스토어 #1(110)은 스마트 디바이스들(214, 215, 216)에서의 CPU, 메모리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용 상황 등을 모니터링하고 장애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어떤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디바이스 #2(215))로부터 상태 및 통계 정보 요청에 대해 응답이 없을 경우, 넷스토어 #1(110)은 한 차례 이상 이를 재시도하고 계속 응답이 없으면, 해당 스마트 디바이스 #2(215)의 전원이 꺼졌거나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넷스토어 #1(110)은 해당 스마트 디바이스(215)를 통해 전달되고 있던 서비스 세션들을 파악한 후에, 해당 서비스 세션을 담당하는 DSNC 장치 #1(310)을 통해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로 장애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647). 이에 응답하여,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은 DSNC 장치 #1(310)을 통해 장애 통보 메시지에 대한 확인 응답을 넷스토어 #1(110)를 보낼 수 있다(648).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은 장애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면(647), DSNC 장치 #1(310)로 네트워크 재구성 요청을 전달한다(649). 그러면, DSNC 장치 #1(310)은 넷스토어 #1(110)로 다시 자원 정보를 요청하고(650),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651), 이런 과정을 통해서 이용 가능한 자원들을 파악할 수 있다.
DSNC 장치 #1(310)은 이용가능한 자원에 따라 자원을 변경하여 할당할 것을 넷스토어 #1(110)로 요청하고, 넷스토어 #1(110)은 그에 따라 기존에 할당된 스마트 디바이스들(214, 216)의 자원을 변경을 요청하고(653, 655), 스마트 디바이스들(214, 216)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654, 656). 또는, 넷스토어 #1(110)은 기존에 이용되지 않았던 새로운 스마트 디바이스에 네트워크 할당을 요청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받을 수도 있다.
넷스토어 #1(220)은 자원 변경 할당이 성공하면, 자원 변경 할당이 성공했음을 나타내는 자원 변경 할당 응답을 DSNC 장치 #1(310)로 전달하고(657), DSNC 장치 #1(310)은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로 네트워크 재구성 응답 메시지를 전달한다(658).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재구성된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자(211)로부터 콘텐츠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는 변경된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659, 660).
도 6c는 네트워크 서비스 종료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비스 제공 종료 시간이 되면, DSNC 장치 #1(310)은 넷스토어 #1(110)에 자원 해제 요청을 전달하고(671), 넷스토어 #1(110)로부터 자원 해제 요청에 대한 확인 응답을 수신한다(672). 넷스토어 #1(110)은, 구성된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로 동작한 각 스마트 디바이스들(214, 216)에게 할당된 자원 해제를 요청하고(673, 675), 각 스마트 디바이스들(214, 216)로부터 할당된 자원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자원 해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674, 676).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화된 방식을 이용한 여러 도메인에서의 DSNC 장치 및 넷스토어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을 포함한 서비스 관리 시스템들이 중앙 DSNC 장치(330)에 연결된다. 도 7a는 중앙 DSNC 장치(330)에 전체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 정보가 수집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각 도메인 또는 서브넷에는 지역 DSNC 장치들(340, 350)이 위치한다. 도메인 #1(101)에는 지역 DSNC 장치 #1(340), 넷스토어 #1(110), 스마트 디바이스 #1-1(217), 스마트 디바이스 #1-2(218)을 포함하고, 도메인 #2(102)에는 지역 DSNC 장치 #2(350), 넷스토어 #2(120), 스마트 디바이스 #2-1(224) 및 스마트 디바이스 #2-2(224)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스마트 디바이스 #1-1(217), 스마트 디바이스 #1-2(218), 스마트 디바이스 #2-1(224) 및 스마트 디바이스 #2-2(225)는 각각 속한 도메인에서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로서 기능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지역 DSNC 장치들(340, 350)은 중앙 DSNC 장치(330)에 자신의 IP 주소 및 도메인 정보 등을 등록하고(711, 713), 중앙 DSNC 장치(330)은 이에 응답할 수 있다(712, 714).
도메인 #1(101)의 스마트 디바이스들(217, 218)은 넷스토어 #1(110)에 자원 등록을 요청하고(715, 717), 자원 등록 요청된 자원 정보는 넷스토어 #1(110)에 등록되고, 넷스토어 #1(110)는 자원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스마트 디바이스들(217, 218)에 응답한다(716, 718). 또한, 도메인 #2(102)의 스마트 디바이스들(224, 225)은 넷스토어 #2(120)에 자원 등록을 요청하고(721, 723), 자원 등록 요청된 자원 정보는 넷스토어 #2(120)에 등록되고, 넷스토어 #2(120)는 자원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스마트 디바이스들(224, 225)에 응답한다(722, 724).
지역 DSNC 장치 #1(340)은 주기적으로 도메인 #1(101)의 넷스토어 #1(110)에 자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여(719), 자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넷스토어 #1(110)로부터 수신하여 가용한 자원 정보 및 토폴로지 정보 등을 확보할 수 있다(720). 또한, 지역 DSNC 장치 #2(350)은 주기적으로 도메인 #2(102)의 넷스토어 #2(120)에 자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725), 자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넷스토어 #2(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726).
지역 DSNC 장치 #1(340) 및 이러한 정보를 지역 DSNC 장치의 정책에 따라 간략화 및 추상화 등의 처리를 거쳐서 생성된 도메인 #1(101)에 속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들(217, 218)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토폴로지 정보를 중앙 DSNC 장치(330)으로 전달한다(727). 이에, 중앙 DSNC 장치(330)은 수신된 정보의 확인을 응답할 수 있다(728). 지역 DSNC 장치 #2(350)도 지역 DSNC 장치 #1(340)과 유사하게, 도메인 #2(102)에 속하는 디바이스들(224, 225)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토폴로지 정보를 중앙 DSNC 장치(330)으로 전달하고(729), 이에 대해 중앙 DSNC 장치(330)으로부터 응답받을 수 있다(730).
도 7b는 중앙 DSNC 장치(330)을 통해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중앙 DSNC 장치(330)은 지역 DSNC 장치들(340, 350)로부터 전달된 토폴로지 정보 및 자원 정보들을 저장하여 관리하면서, 송신 노드(211)의 서비스 예약 등록 요청 수신에 따른(731),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로부터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을 받으면(732), 중앙 DSNC 장치(330)는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을 분석하여 적합한 도메인들(101, 102)을 선택하고 선택된 도메인들(101, 102)에 위치한 지역 DSNC 장치들(340, 350)에게 네트워크 부분 동적 구성 요청을 전달한다(733, 734).
예를 들어, 송신 노드(211)가 도메인 #1(101)에 있고, 수신 노드(도시되지 않음)가 도메인 #3(도시되지 않음)에 있는 경우와 같이, 송신 노드(211) 및 수신 노드가 서로 다른 도메인에 위치하며, 도메인 #1(101)과 도메인 #3이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도메인 #2(102)를 거쳐야 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송신 노드(211)로부터 수신 노드까지의 서비스 네트워크는 도메인 1->도메인 2->도메인 3을 거쳐 형성되어야 할 수 있다. 중앙 DSNC 장치(330)은 도메인 1, 2, 3을 선택하고, 각 지역 DSNC 장치(340, 350)을 통해서 지역 네트워크 동적 구성을 요청할 수 있다. 만약 수신 노드가 2개 이상이고, 수신 노드가 위치한 도메인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앞의 예에 비하여 더 많은 도메인이 선택될 수 있다.
지역 DSNC 장치 #1(340)은 중앙 DSNC 장치(330)으로부터 전달받은 부분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을 분석한 후에, 도메인 #1(101) 내의 넷스토어 #1(110)를 통해서 자원 할당 예약을 요청하고(735), 이에 응답을 받을 수 있다(736). 또한, 지역 DSNC 장치 #2(350)도 중앙 DSNC 장치(330)으로부터 전달받은 부분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을 분석한 후에, 도메인 #2(102) 내의 넷스토어 #1(120)를 통해서 자원 할당 예약을 요청하고(737), 이에 응답을 받을 수 있다(738).
지역 DSNC 장치 #1(340)은 자원 할당 예약된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도메인 #1(101)에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역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에 대해 부분 네트워크에 대한 동적 구성 응답을 중앙 DSNC 장치(330)에 전달할 수 있다(739). 또한, 지역 DSNC 장치 #2(350)도 자원 할당이 예약된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도메인 #2(102)에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부분 지역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에 대한 네트워크 동적 구성 응답을 중앙 DSNC 장치(330)에 전달할 수 있다(740). 부분 네트워크에 대한 동적 구성 응답에는 다른 도메인들과의 연결을 위한 라우터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중앙 DSNC 장치(330)는 지역 DSNC 장치 #1(340) 및 지역 DSNC 장치 #2(350)로부터 자원 할당 예약을 받으면(739, 740), 도메인 #1(101) 및 도메인 #2(102)에 걸쳐 구성된 서비스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동적 구성 응답을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로 전달할 수 있으며(741),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은 서비스 예약 등록 응답을 서비스 제공자(211)로 전달할 수 있다(742).
넷스토어 #1(110)은 자원 할당이 예약된 시간에 맞추어 스마트 디바이스 #1-1(217) 및 스마트 디바이스 #1-2(218)에 각각 자원 할당을 요청하고(743, 745), 스마트 디바이스 #1-1(217) 및 스마트 디바이스 #1-2(218)로부터 요청된 자원 할당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744, 746). 또한, 넷스토어 #2(120)도 자원 할당이 예약된 시간에 맞추어 스마트 디바이스 #2-1(224) 및 스마트 디바이스 #2-2(225)에 각각 자원 할당을 요청하고(747, 749), 스마트 디바이스 #1-1(217) 및 스마트 디바이스 #1-2(218)로부터 요청된 자원 할당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748, 750).
서비스 예약 시간이 되면, 서비스 제공자(211)가 전송한 서비스 데이터는 도메인 #1(101)의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에 포함된 스마트 디바이스들(217, 218)과, 도메인 #2(102)의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에 포함된 스마트 디바이스들(224, 225)을 통해서 수신 노드(도시되지 않음)으로 전송될 수 있다(751, 752, 753, 754).
서비스가 종료될 때, 중앙 DSNC 장치의 요청에 따라서 또는 지역 DSNC 장치에 사전에 예약된 정보에 따라서 도메인 내에 할당된 자원에 대한 해제를 수행한다. 각 도메인 내에서 넷스토어를 통한 자원 해제는 도 6c의 방식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 방식을 이용한 여러 도메인에서의 DSNC 장치 및 넷스토어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에서,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와 같은 일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분산 DSNC 장치(360)에 연결된다. 다른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분산 DSNC 장치 #2(370)에 연결될 수 있다. 8a는 도 3의 구조와 같이 중앙 DSNC 장치 없이 각 도메인의 분산 DSNC 장치들(360, 370)은 서로 자신의 도메인 내의 토폴로지와 자원 정보를 플러딩하여 교환함으로써 네트워크 전체적인 토폴로지와 자원 상황을 파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넷스토어 #1(110)은 도메인 #1(101)내의 스마트 디바이스들(218, 219)로부터의 자원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811. 813), 이에 대한 자원 정보 등록을 응답할 수 있다(812, 814). 넷스토어 #2(120)도 도메인 #2(102)내의 스마트 디바이스들(224, 225)로부터의 자원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815. 817), 이에 대한 자원 정보 등록을 응답할 수 있다(816, 818).
분산 DSNC 장치 #1(360)는 넷스토어 #1(110)로 도메인 #1(101)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요청하고(819), 넷스토어 #1(110)는 분산 DSNC 장치 #1(360)로 자원 정보 응답을 전달한다(820). 분산 DSNC 장치 #2(370)는 넷스토어 #2(120)로 자원 정보를 요청하고(821), 넷스토어 #2(120)는 분산 DSNC 장치 #2(370)로 자원 정보 응답을 전달한다(822).
분산 DSNC 장치 #1(360)은 도메인 #1(101)의 스마트 디바이스들(217, 218)로부터 자원 정보를 수집함을 따라 도메인 #1(101)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들인 스마트 디바이스들(217, 218)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분산 DSNC 장치 #1(370)도 도메인 #2(102)의 스마트 디바이스들(224, 225)로부터 수집된 자원 정보를 기초로 도메인 #2(102)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들인 스마트 디바이스들(224, 225)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분산 DSNC 장치 #1(360)과 분산 DSNC 장치 #2(370)는 각각 자신이 속한 도메인의 토폴로지 정보 및 자원 정보를 서로 교환하여, 각각 다른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토폴로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823). 이때, 분산 DSNC 장치 #1(360)은 자체 정책에 따라 넷스토어 #(110)로부터 전달받은 도메인 #1(101) 내의 토폴로지 및 자원 정보들을 추상화 또는 간략화 처리를 한 후에, 이웃에 위치한 분산 DSNC 장치 #2(370)으로 플러딩할 수 있다. 분산 DSNC 장치 #1(360)은 전달받은 토폴로지 및 자원 정보와 자신의 토폴로지 및 자원 정보들을 다른 분산 DSNC 장치들로 전달하는 과정을 주기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체적인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정보 및 자원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분산 DSNC 장치 #1(360)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분산 DSNC 장치 #2(370)와 같은 다른 분산 DSNC 장치도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여 전체적인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정보 및 자원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도 8b는 분산 DSNC 장치들(360, 370)을 이용하여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비스 제공자(211)가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로 서비스 예약 등록을 요청하면(831),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은 분산 DSNC 장치 #1(360)로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을 전달한다(832). 분산 DSNC 장치 #1(360)은 동작 823을 통해 획득된 다른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토폴로지 정보 및 자신이 속한 도메인 #1(101)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토폴로지 정보를 활용하여, 서비스 예약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분산 DSNC 장치 #1(360)은 도메인 #1(101)의 네트워크 자원으로 구성된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하여 넷스토어 #1(110)로 자원 정보 요청을 전달하고(833), 넷스토어 #1(110)로부터 자원 정보 응답을 수신한다(834).
분산 DSNC 장치 #1(360)은 구성된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메인 #2(102)의 네트워크 자원이 요구되는 경우, 분산 DSNC 장치 #2(370)으로 부분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을 전달한다(835). 분산 DSNC 장치 #2(370)는 수신된 부분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에 따라 분산 DSNC 장치 #1(360)에서 구성된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도메인 #2(102)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하여 부분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에 따라 넷스토어 #2(120)에 자원 예약 요청을 전달하고(836), 이에 대한 자원 예약 응답을 수신한다(837).
분산 DSNC 장치 #2(370)는 분산 DSNC 장치 #1(360)로 부분 네트워크 동적 구성 응답을 전달한다(838). 여기에서는, 2개의 분산 DSNC 장치를 예로 들었으나,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을 통해 더 많은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하기 위하여 여러 DSNC 장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최종적인 서비스 네트워크가 구성되면, 부분 서비스 네트워크 응답은 여러 분산 DSNC 장치들을 거쳐서 입구에 위치한 분산 DSNC 장치 #1(360)까지 전달될 수 있다.
분산 DSNC 장치 #1(360)은 도메인 #1(101) 및 도메인 #2(102)에 걸쳐 서비스 네트워크가 구성되었음을 알리는 네트워크 동적 구성 응답을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에 전달한다(839).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은 서비스 예약 등록 응답을 서비스 제공자(211)로 전달한다(840).
그러면, 서비스 제공자(211)의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예약된 시간에 맞추어, 도메인 #1(101) 및 도메인 #2(102)의 넷스토어 #1(110) 및 넷스토어 #2(120)는 스마트 디바이스들(218, 219, 224, 225)에 자원 할당을 요청하고(841, 843, 845, 847), 스마트 디바이스들(218, 219, 224, 225)은 각각 예약된 네트워크 자원을 서비스 제공자(211)의 서비스를 위해 할당할 수 있다(842, 844, 846, 848). 그러면, 서비스 제공자(211)는 정해진 시간에 맞춰서 여러 도메인을 거쳐서 생성된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849, 850, 851, 852).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DSNC 장치가 복수의 넷스토어를 제어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 간략한 설명을 위해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메인 #1(101)의 넷스토어 #1(110)에 스마트 디바이스 #1-1(218) 및 스마트 디바이스 #1-2(219)의 네트워크 자원이 등록되고, 도메인 #2(102)의 넷스토어 #2(120)에 스마트 디바이스 #2-1(224) 및 스마트 디바이스 #2-2(225)의 네트워크 자원이 등록된다.
도 9에서 하나의 DSNC 장치 #1(360)은 여러 도메인에 위치한 복수 개의 넷스토어들(110, 120)과 기능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서비스 제공자(211)가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로 서비스 예약 등록 요청을 전달하면(911),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은 DSMC 시스템 #1(360)으로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을 전달한다(912).
DSNC 장치 #1(360)은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에 따른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하여, 넷스토어 #1(110)로 자원 정보를 요청하고(913), 넷스토어 #1(110)로부터 자원 정보 응답을 수신한다(914). 또한, DSNC 장치 #1(360)은 넷스토어 #2(120)로 자원 정보를 요청하고(917), 넷스토어 #2(120)로부터 자원 정보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918). 동작 913, 914, 917 및 918은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로부터 서비스 예약 등록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이 전달되면, DSNC 장치 #1(360)은 도메인 #1(101) 및 도메인 #2(102)에 걸친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DSNC 장치 #1(360)은 구성된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자원 할당을 위하여, DSNC 장치 #1(360)은 도메인 #1(101)상의 넷스토어 #1(110)에게 자원 예약 요청을 전달하고(915), 넷스토어 #1(110)로부터 자원 예약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916). 또한, DSNC 장치 #1(360)은 도메인 #2(102)상의 넷스토어 #2(120)에게 자원 예약 요청을 전달하고(919), 넷스토어 #2(120)로부터 자원 예약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920).
DSNC 장치 #1(360)은 각 도메인들(101, 102)로부터 자원 예약 요청에 대한 성공적인 응답 메시지들을 수신하면,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410)로 서비스 네트워크가 구성되었음을 통보할 수 있다.
예약된 시간에 맞추어 넷스토어 #1(110)은 스마트 디바이스들(218, 219)로 각각 자원 할당 요청을 전달하고(923, 925), 스마트 디바이스들(218, 219)로부터 자원 할당 응답을 각각 수신한다(924, 926). 또한, 넷스토어 #2(120)는 스마트 디바이스들(224, 225)로 자원 할당 요청을 각각 전달하고(927, 929), 스마트 디바이스들(224, 225)로 자원 할당 응답을 각각 수신할 수 있다(928, 930). 그러면, 송신 노드(211)는 정해진 시간에 맞춰서 도메인 #1(101)의 스마트 디바이스들(218, 219) 및 도메인 #2(102)의 스마트 디바이스들(224, 225)로 구성되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931, 932, 933, 934).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넷스토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과 같이 넷스토어 장치(1000)는 자원 등록부(1010), 자원 관리부(1020), 자원 모니터링부(1030), 사용자 관리부(1040) 및 저장부(1050)를 포함할 수 있다. 넷스토어 장치(1000)는 전술한 넷스토어 #1 내지 #4(110, 120, 130, 140)에 대응한다. 자원 등록부(1010), 자원 관리부(1020), 자원 모니터링부(1030), 사용자 관리부(1040) 및 저장부(1050)는 서로 연동가능하도록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자원 등록부(1010)는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가 제공하는 네트워킹, 프로세싱, 스토리지 등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등록한다. 자원 등록부(1010)는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인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자원의 등록을 요청받으면, 해당 네트워크 자원을 검증하고, 수락할 수 있다. 자원 등록부(1010)는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자원의 정보를 입력받아서, 저장부(1050)에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을 등록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자원 정보는, 네트워크 자원의 명칭, 분류, URL 주소, 위치(지리적 주소와 위도/경도), 네트워크 자원이 제공하는 오퍼레이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관리부(1020)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부터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요청받음에 따라, 요청에 따른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저장부(1050)로부터 조회하고, 조회된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에 제공한다. 또한, 자원 관리부(1020)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할당 예약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로 자원 할당 예약을 요청한다.
자원 관리부(1020)는 등록된 네트워킹, 프로세싱, 스토리지 등의 네트워크 자원들에 대한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자원 관리부(1020)는 저장부(105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자원들에 대한 분류, 명칭, 제공자, 위치 및 상태 등으로 네트워크 자원을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원 관리부(1020)에서 조회된 네트워크 자원 리스트 및 각 네트워크 자원에 관한 정보들은 GUI(Graphic User Interface) 또는 CLI(Command Line Interface) 형태로 나타내거나 파일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자원 관리부(1020)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와의 계약 정보, 넷스토어 운영 정책, 또는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의 정책 등을 기준으로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자원에 대해 허가 승인 또는 거절로 응답할 수 있다.
자원 관리부(1020)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자원 할당 예약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로 자원 할당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자원 할당 예약 요청은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자원 관리부(1020)는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시간에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로 자원 할당 예약 요청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자원 관리부(1020)는, 네트워크 자원들을 하나 이상의 DSNC 장치들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할당하는데 있어서, 네트워크 자원을 제공한 각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의 자원이 어떠한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에 얼마만큼 예약 및 할당되었는지를 저장부(1050)에 저장하고, 이미 할당된 자원이 추후 다른 서비스 요청에 이용되지 않도록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자원 관리부(1020)는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의 네트워크 자원 등록 요청에 대한 승인을 처리한다. 또한, 자원 관리부(1020)는 자원 등록부(1010)에 의해 저장부(1050)에 등록된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상태를 변경할 수 있고, 등록된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자원 모니터링부(1030)는 등록된 네트워크 자원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자원 모니터링부(1030)는 등록된 네트워크 자원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받고, 유지함으로써 등록된 네트워크 자원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등록된 네트워크 자원들에 대한 상태 정보는, 네트워크 자원들의 동작상태(활성화/비활성화), CPU 이용률, 네트워크 이용률,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모니터링부(1030)는 네트워크 자원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GUI 또는 CLI 형태로 화면에 나타낼 수 있고, 저장부(1050)에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자원 모니터링부(1030)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자원들이 제공하는 기능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자원 관리부(1020)는 자원 모니터링부(1030)를 이용하여 SOAP 기반 질의(Query) 메시지를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함으로써, 등록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자원들이 정상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원 모니터링부(1030)는 하나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SOAP 기반의 질의(Query) 메시지를 전달하여 다른 네트워크 자원을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통신 지연 및 대역폭 정보를 측정하도록 하고 그 결과값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능 테스트 결과는 저장부(1050)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1040)는 넷스토어(110)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즉,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인 스마트 디바이스 및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대해 등록, 수정, 삭제 및 승인 등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050)는 넷스토어(1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050)는 네트워크 자원 정보, 네트워크 자원 상태 정보, 기능 테스트 결과,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자 정보 등을 저장하고 검색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원 등록부(1010)는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들로부터 자원 등록을 받고,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해서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 종류들을 지원하는 제어 관리 기능 및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GSMP(General Switch Management Protocol), COPS(Common Open Policy Service),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TR-069 (Technical Report 069), Diameter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비스 관리 장치(1100)는 서비스 정보 등록부(1110), 서비스 관리부(1120) 및 저장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등록부(1110)는 넷스토어 기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기능을 통해서 IPTV,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VoIP, VOD 등의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제공자인 송신 노드와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노드는 서비스 정보 등록부(1110)를 통해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에 접속하고,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등록부(1110)는 입력된 서비스 정보를 등록하고 저장부(1130)에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부(1120)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인 송신 노드에 예약된 서비스나 현재 서비스 중인 프로그램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부(1120)는 수신 노드와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노드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0)의 서비스 관리부(1120)를 통해서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고, 그 중에서 원하는 실시간 방송 채널 또는 VoD 콘텐츠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수신 노드는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앱을 제공하는 앱 스토어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서비스 관리부(1120)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와 연동하여, 구성된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가 제공되는데 필요한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관리부(1120)는, 서비스 사용자인 수신 노드로부터의 서비스 수신 요청을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 전송하고,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는, 요청된 서비스를 수신 노드까지 제공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넷스토어로부터 획득하여, 획득된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요청된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부(1120)는 서비스 제공자 및 서비스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인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단말 사양,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및 서비스 사용자인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단말 사양, 디스플레이 능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1200)는 자원 조회 및 등록부(1210),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1220), 서비스 네트워크 모니터링부(1230) 및 저장부(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원 조회 및 등록부(1210),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1220), 서비스 네트워크 모니터링부(1230) 및 저장부(1240)는 서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1200)는 전술한 DSCN 장치들에 대응한다.
자원 조회 및 등록부(1210)는 서비스 제공자인 송신 노드가 제공하고자 하는 오버레이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킹, 프로세싱, 스토리지 등의 네트워크 자원들을 넷스토어(1100)에 요청하여 네트워크 자원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자원 조회 및 등록부(1210)는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사용 허가를 넷스토어(1100)에 요청할 수 있다.
자원 조회 및 등록부(1210)가 넷스토어(1100)로부터 요청한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에 대한 승인을 받으면,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1220)는 송신 노드로부터 수신 노드까지 적합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이용하여 최적의 경로에 대응하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1220)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오버레이 네트워크 자원들의 상태 및 서비스 사용자인 수신 노드의 단말 사양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1220)는, 네트워크 자원들로 오버레이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전달 경로 및 내부 파라미터 구성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하는 오버레이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1220)는 서비스 전달 경로에 포함된 스마트 디바이스들에 오버레이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가 전송되는 이전 노드 및 서비스 데이터가 출력되어야 하는 다음 노드의 주소와, 해당 스마트 디바이스가 수행해야 하는 오퍼레이션을 위한 설정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1220)는, 구성된 오버레이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사용자로 전달할 수 있다.
만약, 자원 조회 및 등록부(1210)가 넷스토어(1100)로부터 요청한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에 대해 거절 통보를 받으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0)을 통해 서비스 제공이 불가하다는 응답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자인 송신 노드에 전달함으로써 송신 노드에게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릴 수 있다.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1200)는, 도 2,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중앙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인 경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을 집중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1220)는, 도메인별로 지역 네트워크 동적 구성을 수행하는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부터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관할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 간의 구성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수신하여, 전체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1220)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예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서비스 예약 요청에 따른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122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에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관할하는 도메인 내에서 전체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을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1220)는, 도 3,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도메인별로 존재하는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인 경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속한 도메인의 서비스 예약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1220)는, 다른 도메인에 속하는 다른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부터 다른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에 속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 간의 구성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수신하고, 다른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1220)가 속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 간의 구성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토폴로지 정보 교환에 따라,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1220)는 전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자원 및 토폴로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1220)는, 서비스 예약 요청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른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관할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이 필요한 경우, 다른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에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을 포함하는 부분 서비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1220)는, 넷스토어로부터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자원에 장애가 발생하였음이 통지되면,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 통지된 내용을 전달하고,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서비스 네트워크 재구성 요청에 따라 장애가 발생한 네트워크 자원을 대체할 네트워크 자원을 넷스토어에 요청하여 획득하고, 획득된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하여 서비스 네트워크를 재구성할 수 있다.
서비스 네트워킹 모니터링부(1230)는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1220)를 통해서 구성된 서비스 네트워크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상태 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0)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에게 GUI, CLI 또는 파일 형태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공되는 서비스 상태 정보는 각 노드에서 전송되고 있는 영상 또는 음성의 복사본, 전송중인 영상 또는 음성의 품질 수치, 영상 또는 음성의 끊김 등의 서비스 장애 현황,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이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상태 정보는, 네트워크 자원의 활성화 유무, CPU 사용률, 또는 네트워크 사용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1220)는 복수의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접속에 대한 허가 및 거절 등을 처리할 수 있고, 계정 생성, 삭제, 유지, 변경 등의 일반적인 사용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240)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1200) 내에서 유지 관리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저장부(1240)는 자원 조회 및 등록부(1210)에 의해 저장된 자원조회 및 등록 관련 정보,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1220)에 의해 구성된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자원 정보, 서비스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상태 정보와 네트워크 자원들의 상태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넷스토어 기반의 스마트 디바이스 자원 관리가 가능한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업체 또는 콘텐츠 제공자들이 앱스토어 및 안드로이드 마켓 등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 및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앱(App)을 등록하고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TV에서 자유롭게 앱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 및 이용토록 함으로써 콘텐츠 생성, 전달 및 소비가 활성화되는 상황에서,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의 개입없이도 넷스토어를 기반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들 및 클라우드 서버 간에 기능 연동을 통해서 콘텐츠와 데이터의 분배 및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도메인 또는 각 사업자 망을 관리하는 넷스토어 및 DSNC 장치들이 존재할 때에,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중앙화된 방식 또는 분산화된 방식으로 여러 도메인에 존재하는 다수의 넷스토어 및 DSNC 장치들이 상호 협력 및 제어하도록 하여, 다수의 도메인 또는 다수의 사업자 망을 거쳐서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들 간에 콘텐츠와 데이터의 전달 및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의 네트워크 자원을 관리하며 도메인별로 존재하는 넷스토어 장치에 연결된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서,
    상기 넷스토어 장치가 관리하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조회하고 등록하는 자원 조회 및 등록부; 및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예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예약을 요청한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사용자로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 를 포함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는,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을 집중적으로 수신하는 중앙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이고,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는, 도메인별로 지역 네트워크 동적 구성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부터 상기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관할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 간의 구성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수신하여, 전체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파악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는,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예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예약 요청에 따른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에 상기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관할하는 도메인 내에서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을 요청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는,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도메인별로 존재하며,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속한 도메인의 서비스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이고,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는, 다른 도메인에 속하는 다른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에 속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 간의 구성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 간의 구성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상기 다른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 전달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는, 상기 서비스 예약 요청에 따른 상기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관할하는 다른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다른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에 상기 다른 도메인에서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부분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요청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부는, 상기 넷스토어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자원에 장애가 발생하였음이 통지되면,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 상기 통지된 내용을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서비스 네트워크 재구성 요청에 따라 상기 장애가 발생한 네트워크 자원을 대체할 네트워크 자원을 상기 넷스토어 장치에 요청하여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하여 서비스 네트워크를 재구성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
  7. 서비스 관리 영역을 나타내는 도메인 내의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와 연결되고,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과 연결된 넷스토어 장치로서,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가 제공하는 자원 정보를 등록하는 자원 등록부;
    상기 등록된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요청에 따른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할당 예약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로 자원 할당 예약을 요청하는 자원 관리부;를 포함하는 넷스토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등록부는 상기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로서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들로부터 자원 등록을 받고, 상기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해서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 종류들을 지원하는 제어 관리 기능 및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넷스토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GSMP(General Switch Management Protocol), COPS(Common Open Policy Service),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TR-069 (Technical Report 069), Diameter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넷스토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예약 요청은 상기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자원 관리부는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가 상기 자원 할당 예약 요청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도록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로 요청하는 넷스토어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관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들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자원들을 할당하는데 있어서, 각 네트워크 자원 제공자의 네트워크 자원이 어떠한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에 얼마만큼 예약 및 할당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이미 할당된 자원이 추후 다른 서비스 요청에 이용되지 않도록 자원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넷스토어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네트워크 자원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자원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넷스토어 장치.
  13. 복수의 넷스토어 장치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가상 머신 각각에 대응하는 넷스토어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넷스토어 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넷스토어 장치에 의해 요청된 네트워크 자원을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앱스토어를 통해 넷스토어 앱을 다운받고, 상기 넷스토어 앱을 이용하여 상기 넷스토어 장치에 네트워크 자원을 등록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넷스토어 장치의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넷스토어 장치의 자원 변경 요청에 따라 자원을 변경하고, 상기 넷스토어 장치의 상태 및 통계 정보 전달 요청에 따라 상태 및 통계 정보를 상기 넷스토어 장치에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16. 네트워크 자원을 등록받아 관리하는 넷스토어 장치,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등록받고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에 따라 상기 넷스토어 장치에 등록된 네트워크 자원들을 활용하여 오버레이 네트워킹 방식으로 적합한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방법으로서,
    도메인별로 지역 네트워크 동적 구성을 수행하는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부터 상기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관할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 간의 구성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수신하여, 전체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예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예약 요청에 따른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에 상기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관할하는 도메인 내에서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부터 상기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역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 응답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방법.
  18. 네트워크 자원을 등록받아 관리하는 넷스토어 장치,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를 등록받고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요청에 따라 상기 넷스토어 장치에 등록된 네트워크 자원들을 활용하여 오버레이 네트워킹 방식으로 적합한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속한 도메인과 다른 도메인에 속하는 다른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 간의 구성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른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 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 간의 구성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 상기 다른 도메인의 네트워크 자원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다른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에 상기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하여 부분 서비스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분산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장치로부터 상기 부분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분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 응답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방법.
KR1020110025419A 2011-03-22 2011-03-22 넷스토어 기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시스템 및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방법 KR101595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419A KR101595527B1 (ko) 2011-03-22 2011-03-22 넷스토어 기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시스템 및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방법
US13/426,557 US9262730B2 (en) 2011-03-22 2012-03-21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dynamic service network based on netst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419A KR101595527B1 (ko) 2011-03-22 2011-03-22 넷스토어 기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시스템 및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728A true KR20120107728A (ko) 2012-10-04
KR101595527B1 KR101595527B1 (ko) 2016-02-22

Family

ID=46878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419A KR101595527B1 (ko) 2011-03-22 2011-03-22 넷스토어 기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시스템 및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62730B2 (ko)
KR (1) KR1015955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587B1 (ko) * 2013-08-16 2015-02-0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미디어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가상 프레임워크
WO2016024807A1 (ko) * 2014-08-13 2016-02-1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동적 멀티 도메인 환경에서 가상 회선 보호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9412853A (zh) * 2018-10-31 2019-03-01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分布式服务注册存储方法、系统、装置和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1955B (zh) * 2012-11-22 2017-05-31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业务下载加速的方法与系统、业务状态的维护方法与装置
US9253263B2 (en) * 2012-12-29 2016-02-02 Ricoh Company, Ltd. Managing scope of network services
US9398100B2 (en) 2012-12-29 2016-07-19 Ricoh Company, Ltd. Managing access of network services
US9288102B2 (en) 2013-02-18 2016-03-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rolling devices using cloud services and device-agnostic pipe mechanisms
KR20140107713A (ko) * 2013-02-25 2014-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 앱스토어 장치, 상기 장치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통합 앱스토어 시스템
WO2014182115A1 (ko) * 2013-05-09 2014-11-13 전자부품연구원 개방형 m2m 시스템 및 방법
US9602426B2 (en) * 2013-06-21 2017-03-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allocation of resources while considering resource reservations
US20160020962A1 (en) * 2014-07-21 2016-01-21 Alcatel-Lucent Usa Inc. Management of Virtual CPES
US10055240B2 (en) 2014-09-23 2018-08-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rvice creation and management
CN105516019B (zh) * 2014-09-24 2019-11-12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网络设备QoS控制方法、装置、系统和网络设备
US10469313B2 (en) * 2015-01-29 2019-11-05 Nec Corporation Data file registration management system, method, managemen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10410155B2 (en) 2015-05-01 2019-09-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demand-driven resource scaling for relational database-as-a-service
CN108027784A (zh) * 2015-09-25 2018-05-11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服务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程序、以及信息处理系统
JP6724960B2 (ja) * 2018-09-14 2020-07-15 株式会社安川電機 リソース監視システム、リソース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192762A1 (en) * 2018-12-18 2020-06-18 Storage Engine, Inc.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a network environment for a server
CN115997375A (zh) * 2020-10-30 2023-04-21 英特尔公司 在第五代(5g)系统中提供对本地化服务的接入(pals)
CN114840133A (zh) * 2021-01-15 2022-08-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配置规则的处理方法以及相关设备
CN114500720B (zh) * 2022-01-10 2024-03-26 成都易达数安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动态菜单和栏目技术的融媒并联app城市切换方法
CN115150398A (zh) * 2022-06-29 2022-10-0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分布式智能车联平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9708B1 (en) * 1996-11-18 2005-06-21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including video conferencing
US20060047784A1 (en) * 2004-09-01 2006-03-02 Shuping Li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motely and dynamically configuring network elements in a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3412A1 (en) * 1997-03-07 2002-09-19 David M. Oliver System for management of transactions on networks
US7111053B1 (en) * 2000-05-20 2006-09-19 Ciena Corporation Template-driven management of telecommunications network via utilization of operations support services clients
US9444785B2 (en) * 2000-06-23 2016-09-13 Cloudshield Technologies, Inc. Transparent provisioning of network access to an application
US8204082B2 (en) * 2000-06-23 2012-06-19 Cloudshield Technologies, Inc. Transparent provisioning of services over a network
US7693976B2 (en) * 2000-07-11 2010-04-06 Ciena Corporation Granular management of network resources
US7496652B2 (en) * 2000-07-17 2009-02-24 Teleservices Solutions, Inc. Intelligent network providing network access services (INP-NAS)
US8291044B2 (en) * 2004-10-13 2012-10-16 Nortel Networks Limited Brokering network resources
GB2432992B (en) * 2005-11-18 2008-09-10 Cramer Systems Ltd Network planning
US7680906B2 (en) * 2006-02-22 2010-03-16 Microsoft Corporation Configuring devices using context histories
JP5105755B2 (ja) * 2006-03-10 2012-12-26 サンデン株式会社 通信機器用の接続装置。
US8005851B2 (en) * 2008-05-21 2011-08-23 Microsoft Corporation Streaming virtual disk for virtual applications
US8024732B2 (en) * 2008-07-28 2011-09-20 Microsoft Corporation State separation for application changes
US8228861B1 (en) * 2008-09-12 2012-07-24 Nix John A Efficient handover of media communications in heterogeneous IP networks using handover procedure rules and media handover relays
KR101000997B1 (ko) 2008-11-25 2010-12-13 한국과학기술원 Iptv 서비스 오버레이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콘텐츠 서비스 방법
KR101101597B1 (ko) 2009-02-06 2012-01-02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Iptv 서비스 오버레이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위치 관리 장치 및 방법
US8924526B1 (en) * 2009-12-21 2014-12-30 Amdocs Software Systems Limite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services for a service provider at a device within proximity to a location of the service provider, utilizing logic of a centralized environment
US9160609B2 (en) * 2010-05-28 2015-10-13 Futurewei Technologies, Inc. Virtual Layer 2 and mechanism to make it scalable
US8335596B2 (en) * 2010-07-16 2012-12-1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Remote energy management using persistent smart grid network contex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9708B1 (en) * 1996-11-18 2005-06-21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including video conferencing
US20060047784A1 (en) * 2004-09-01 2006-03-02 Shuping Li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motely and dynamically configuring network elements in a networ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587B1 (ko) * 2013-08-16 2015-02-0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미디어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가상 프레임워크
WO2016024807A1 (ko) * 2014-08-13 2016-02-1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동적 멀티 도메인 환경에서 가상 회선 보호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967137B2 (en) 2014-08-13 2018-05-08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virtual circuits in dynamic multi-domain environment
CN109412853A (zh) * 2018-10-31 2019-03-01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分布式服务注册存储方法、系统、装置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46319A1 (en) 2012-09-27
KR101595527B1 (ko) 2016-02-22
US9262730B2 (en)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527B1 (ko) 넷스토어 기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시스템 및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방법
US11909649B2 (en) Efficiently managing network traffic
CN102202104B (zh) 管理网络设备内的分布式地址池
US10541877B2 (en) Dynamic reservation protocol for 5G network slicing
US9451302B2 (en) Fus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CN110326345B (zh) 一种配置网络切片的方法、装置和系统
CN103201984B (zh) 用于基于isn存储器的覆盖网络的动态配置的系统和方法
US11251981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33069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stantiating a logical network slice for use with an operator-maintained network portion
KR20170114923A (ko)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US20130159531A1 (en) Bandwidth management in a home network
KR101884404B1 (ko) 중앙 집중식 제어 구조 서버를 갖는 포그 컴퓨팅 운용을 위한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US9425982B2 (en)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device management service and device receiving the device management service
CN111788854A (zh) 用于网络切片和切片管理以支持多片服务的装置
US20210195271A1 (en) Stream control system for use in a network
CN104580016A (zh) 节点分配方法、装置及系统
US9374710B2 (en) Mediation server, control method therefor,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CN113965938B (zh) 切片业务系统及切片业务处理方法
WO2014180435A1 (zh) Vcdn资源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91129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on-demand content delivering overlay network
KR101418570B1 (ko) P2p 제어 장치 및 전송 오버레이 제어 방법
CN112788135B (zh) 资源调度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201800635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switched digital video service
KR102292909B1 (ko) 오버레이 관리 서버 및 이의 자원 할당 방법
CN113301098A (zh) 路径规划方法、cdn连接建立方法、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