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570B1 - P2p 제어 장치 및 전송 오버레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P2p 제어 장치 및 전송 오버레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570B1
KR101418570B1 KR1020100099199A KR20100099199A KR101418570B1 KR 101418570 B1 KR101418570 B1 KR 101418570B1 KR 1020100099199 A KR1020100099199 A KR 1020100099199A KR 20100099199 A KR20100099199 A KR 20100099199A KR 101418570 B1 KR101418570 B1 KR 101418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r
content
overlay
information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702A (ko
Inventor
이승익
이종화
김성혜
현욱
강신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902,50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087775A1/en
Publication of KR20110040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74Peer-to-peer [P2P] networks for supporting data block transmission mechanisms
    • H04L67/1076Resource dissemination mechanisms or network resource keeping policies for optimal resource availability in the overlay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P2P(Peer-to-Peer) 제어 장치는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복수의 피어로부터 피어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서 복수의 피어 정보를 등록하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서버로부터 응용 서비스 및 컨텐츠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서 응용 서비스 및 컨텐츠의 정보를 등록한다. P2P 제어 장치는 요청 피어로부터 원하는 컨텐츠의 오버레이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등록한 복수의 피어 정보와 복수의 피어가 접속한 네트워크의 정보 및 원하는 컨텐츠에 해당하는 응용 서비스의 정보를 이용하여 요청 피어로 컨텐츠를 전송할 논리적 경로인 P2P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P2P 오버레이를 참조하여서 연결 정보를 요청 피어로 전달한다.

Description

P2P 제어 장치 및 전송 오버레이 제어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PEER-TO-PE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VERLAY}
본 발명은 P2P 제어 장치 및 전송 오버레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P2P(Peer-to-Peer) 기술은 피어들이 연결되어 자원(예를 들면, 컨텐츠, 컴퓨팅 파워)을 공유하고 모든 참여 피어가 서버인 동시에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하는 특징을 가진다.
물리적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피어들이 P2P 서비스에 등록하면, 물리적인 네트워크 상위에 P2P 서비스에 등록된 피어간 가상 네트워크 즉, P2P 오버레이 네트워크가 만들어진다.
P2P 오버레이 네트워크에서, 피어들은 가상의 논리적 전송 경로(이하, "P2P 오버레이"라 함)를 생성하고, P2P 오버레이에 의해 연결되어 서버 등의 기반 네트워크의 도움 없이 다른 피어와 직접 컨텐츠를 공유하고 교환할 수 있다.
이때, 논리적인 컨텐츠 전송은 P2P 오버레이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실제 컨텐츠의 전송은 P2P 오버레이를 반영한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P1과 P2로 이루어진 P2P 오버레이에서 P1에서 P2로의 실제 컨텐츠 전송은 P1과 P1이 속한 접속 네트워크, 핵심 네트워크, P2가 속한 접속 네트워크 및 P2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런데, 피어는 기반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대역폭, 전송 지연, 토폴로지 등)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기반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가 반영되지 않은 비효율적인 P2P 오버레이를 생성할 수밖에 없다.
또한, P2P 오버레이를 구성하는 피어들은 각각 다른 네트워크에 서로 다른 형식의 단말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P2P 오버레이를 구성하는 피어들은 송수신 성능 및 특성이 각기 다를 수 있다. 그러나, P2P 오버레이를 구성하는 피어들은 피어의 송수신 성능 및 특성을 감지하고 이를 P2P 오버레이 생성에 능동적으로 반영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피어들은 기반 네트워크의 정보 및 피어의 상태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P2P 오버레이를 생성하므로, 기반 네트워크 및 피어의 상태에 따라 실제 컨텐츠의 전송 품질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피어는 전체 세션이 진행되는 중에 탈퇴할 수도 있으며 새로운 피어가 세션에 참여할 수도 있다. 특히, 피어가 중간에 탈퇴하는 경우, 해당 피어로부터 컨텐츠를 전달받는 하위 피어들은 연결의 단절로 인해 데이터 손실을 겪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 손실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피어의 참여 및 피어의 탈퇴에 대한 P2P 오버레이의 능동적인 갱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P2P 오버레이를 생성하여 컨텐츠의 전송 품질을 높일 수 있는 P2P 제어 장치 및 전송 오버레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P2P(Peer-to-Peer) 제어 장치는 피어 등록부, 그리고 오버레이 생성부를 포함한다. 피어 등록부는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복수의 피어로부터 피어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서 복수의 피어 정보를 등록한다. 그리고 오버레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피어 중 요청 피어로부터 원하는 컨텐츠의 오버레이 생성 요청을 수신하여서 상기 복수의 피어 정보와 상기 복수의 피어가 접속한 네트워크의 정보를 이용하여 P2P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상기 P2P 오버레이를 참조하여서 상기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연결 정보를 상기 요청 피어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P2P(Peer-to-Peer) 제어 장치에서 컨텐츠의 논리적 전송을 위한 오버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전송 오버레이 제어 방법은,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복수의 피어로부터 피어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서 복수의 피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피어 중 요청 피어로부터 원하는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포함한 오버레이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피어 정보 및 상기 복수의 피어가 접속한 네트워크의 정보를 이용하여 P2P 오버레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P2P 오버레이를 참조하여 상기 P2P 오버레이에 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으로 각각 연결 설정할 상대의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피어에서 컨텐츠의 논리적 전송을 위한 오버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전송 오버레이 제어 방법은, P2P(Peer-to-Peer) 제어 장치에 자신의 피어 정보를 전송하여서 P2P 제어 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P2P 제어 장치로 원하는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포함한 오버레이 생성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P2P 제어 장치로부터 P2P 오버레이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연결 정보를 참조하여서 상기 P2P 오버레이를 연결하여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서비스, 피어 및 네트워크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P2P 오버레이를 생성함으로써,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해지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향상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피어 및 네트워크의 상태를 감지하여 P2P 오버레이에 능동적으로 반영함으로써, P2P 오버레이의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피어의 송수신 성능 및 특성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컨텐츠를 검색 및 선택할 수 있으므로 피어간 품질 형평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이 적용되는 P2P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P2P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2P 제어 장치의 서비스 등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2P 제어 장치의 컨텐츠 등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2P 제어 장치의 컨텐츠 검색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2P 제어 장치의 피어 등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2P 제어 장치의 P2P 오버레이 생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P2P 제어 장치의 P2P 오버레이 갱신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2P 제어 장치의 트래픽 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2P 제어 장치 및 전송 오버레이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이 적용되는 P2P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P2P(Peer-to-Peer) 네트워크 시스템은 P2P 제어 장치(C1), 컨텐츠 서버(S1) 및 피어(P1~P3)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P2P 제어 장치(C1) 및 컨텐츠 서버(S1)를 도시하였으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P2P 제어 장치(C1~C3) 및 컨텐츠 서버(S1, S2)가 포함될 수 있다.
P2P 제어 장치(C1)는 컨텐츠 서버(S1)로부터 응용 서비스 및 컨텐츠의 등록 요청에 따라 응용 서비스 및 컨텐츠를 등록하여 관리하고, 피어(P1~P3)의 등록 요청에 따라 해당 피어(P1~P3)를 등록하여 관리한다. P2P 제어 장치(C1)는 등록한 응용 서비스, 컨텐츠 및 피어(P1~P3)의 정보를 다른 P2P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전달하여 분산 관리할 수 있다.
또한, P2P 제어 장치(C1)는 응용 서비스의 정보, 컨텐츠의 정보, 피어(P1~P3)의 정보 및 피어(P1~P3)가 접속한 네트워크의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전달을 위한 P2P 오버레이를 생성, 유지 및 갱신하는 등의 관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P2P 오버레이는 응용 서비스 및 세션에 참여하는 피어간 구성되는 논리적 전송 경로를 의미하며, 실제 컨텐츠의 전송은 P2P 오버레이를 반영한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P2P 제어 장치(C1)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나 제3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전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컨텐츠 서버(S1)는 응용 서비스에 대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컨텐츠 서버(S1)는 P2P 오버레이의 최상위에 위치하면서 P2P 오버레이의 하위 피어(예를 들면, P1)가 컨텐츠를 요청하면 P2P 오버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전송한다.
컨텐츠 서버(S1)는 응용 서비스 및 응용 서비스에 대한 컨텐츠가 준비되면, P2P 제어 장치(C1)로 응용 서비스 및 컨텐츠를 등록한다.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에는 다른 종류의 컨텐츠, 같은 종류의 다른 버전의 컨텐츠가 있을 수 있다. 이들 컨텐츠는 컨텐츠 서버(S1)에 저장될 수도 있고, 이들 컨텐츠 중 일부는 컨텐츠 서버(S1)에 저장되고, 나머지 일부는 다른 컨텐츠 서버(도 2의 S2)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P2P 네트워크 시스템에 둘 이상의 P2P 제어 장치(C1~C3)가 존재하는 경우, 컨텐츠 서버(S1)는 응용 서비스 및 컨텐츠를 등록할 P2P 제어 장치(C1)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컨텐츠 서버(S1)는 응용 서비스 및 컨텐츠를 등록할 P2P 제어 장치로 물리적으로 가까이 위치한 P2P 제어 장치(C1)를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등록된 응용 서비스 및 컨텐츠의 정보는 P2P 오버레이의 생성, 유지 및 갱신에 이용될 수 있다.
피어(P1~P3)는 응용 서비스에 대한 컨텐츠를 수신함과 동시에 P2P 오버레이 상의 하위 피어로 컨텐츠를 중계 전송한다.
피어(P1~P3)는 P2P 제어 장치(C1)로 서비스를 요청하기 전에 P2P 제어 장치(C1)에 등록을 요청하여 자신을 등록한다. 이때, 도 2와 같이, P2P 네트워크 시스템에 둘 이상의 P2P 제어 장치(C1~C3)가 존재하는 경우, 피어(P1~P3)는 자신을 등록할 P2P 제어 장치(C1)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피어(P1~P3)는 자신을 등록할 P2P 제어 장치로 물리적으로 가까이 위치한 P2P 제어 장치(C1)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피어(P1~P3)는 P2P 제어 장치(C1)로 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P2P 오버레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어(P3)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의 종류를 선택하면, P2P 제어 장치(C1)는 피어(P3)가 선택한 해당 종류의 컨텐츠에 대해 피어(P3)의 특성에 알맞은 버전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해당 버전의 컨텐츠를 제공해 줄 컨텐츠 서버(S1)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컨텐츠 서버(S1)가 선택되면, P2P 제어 장치(C1)는 응용 서비스의 정보, 컨텐츠의 정보, 피어(P1~P3)의 정보 및 네트워크의 정보를 고려하여 컨텐츠 서버(S1)와 피어(P3)간 P2P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P2P 오버레이에 대응하는 연결 정보를 P2P 오버레이에 참여하는 컨텐츠 서버(S1), 피어(P1~P3)로 각각 알려준다.
컨텐츠 서버(S1)는 P2P 오버레이에 대응하는 연결 정보를 토대로 하위 피어로 해당 종류의 컨텐츠를 전달하고, 이 컨텐츠는 최종적으로 피어(P1)로 전달된다. 이때, 컨텐츠 서버(S1)는 P2P 오버레이 상의 부모 노드로서, 이러한 부모 노드는 P2P 오버레이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1개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처음부터 하위 노드 즉, 자식 노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P2P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P2P 제어 장치(C1)는 서비스 관리부(100), 피어 관리부(200) 및 전송 관리부(300)를 포함한다.
서비스 관리부(100)는 서비스 등록부(110), 컨텐츠 등록부(120) 및 컨텐츠 검색부(130)를 포함한다.
피어 관리부(200)는 피어 등록부(210), 오버레이 생성부(220) 및 오버레이 갱신부(230)를 포함한다.
전송 관리부(300)는 전송 중계부(310), 전송 캐시부(320) 및 트래픽 측정부(330)를 포함한다.
서비스 관리부(100)에서, 서비스 등록부(110)는 컨텐츠 서버(S1)로부터 응용 서비스의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 응용 서비스의 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서비스 등록부(110)는 컨텐츠 서버(S1)로부터 서비스 수준 관리(Service Level Agreement, SLA)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SLA 정보에는 최대 대역폭(maximum bandwidth), 최소 전달 시간(end-to-end delay), 최대 동시 사용자 수, 전송 중계 기능의 유무 및 전송 캐시 기능의 유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등록부(120)는 컨텐츠 서버(S1)로부터 컨텐츠의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의 정보를 등록한다.
컨텐츠 검색부(130)는 피어(P1)가 선택한 해당 종류의 컨텐츠에 대해 피어(P1)의 특성에 알맞은 버전의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한 버전의 컨텐츠의 정보를 피어(P1)로 전달한다. 또한, 컨텐츠 검색부(130)는 해당 버전의 컨텐츠를 제공해 줄 컨텐츠 서버(S1)를 선택한다.
피어 관리부(200)에서, 피어 등록부(210)는 피어(P1)로부터의 등록 요청에 따라 피어(P1)를 등록하고, 등록한 피어(P1)의 정보를 관리한다. 피어(P1)의 정보에는 네트워크 접속 유형, 하드웨어 정보, 단말의 성능, 대역폭, 네트워크 송수신 능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피어(P1)의 정보는 P2P 오버레이를 생성하거나 갱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오버레이 생성부(220)는 피어(P1)의 요청에 따라 P2P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P2P 오버레이에 해당하는 부모 및 자식 노드로의 연결 정보를 피어(P1)로 전달한다. 이때, 오버레이 생성부(220)는 해당 응용 서비스, 피어 및 네트워크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 및 고려하여 P2P 오버레이를 생성한다. 네트워크 정보로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최대 대역폭, 현재 네트워크 사용량, 전송 지연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오버레이 생성부(220)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들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응용 서비스와 피어의 정보는 응용 서비스 및 피어의 등록 과정에서 획득할 수 있다.
오버레이 갱신부(230)는 P2P 오버레이에 참여하는 피어의 상태 및 피어가 접속한 네트워크의 상태를 감시하여 P2P 오버레이를 변경할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오버레이 갱신부(230)는 P2P 오버레이에 참여하는 피어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거나 성능을 제대로 나타내지 못하는 피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피어가 속한 P2P 오버레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오버레이 갱신부(230)는 P2P 오버레이에 참여하는 피어가 접속한 네트워크의 상태 및 성능을 감시하여 전체 P2P 오버레이의 성능 조건에 미달되면 해당 P2P 오버레이를 변경할 수 있다.
전송 관리부(300)에서, 전송 중계부(310)는 P2P 오버레이에 선택적으로 참가하여 컨텐츠를 하위 노드로 전송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송 중계부(310)의 기능에 의해 P2P 제어 장치(C1)는 P2P 오버레이에 참가하여 P2P 오버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혼잡, 단절, 중계 피어의 부재 등에 의해 P2P 오버레이에 성능 저하가 발생한 경우, P2P 제어 장치(C1)는 P2P 오버레이에 참가하여 우회된 오버레이를 구성함으로써, P2P 오버레이의 성능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송 중계부(310)는 보안 및 네트워크 주소 변환 장치(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사용을 목적으로 설치된 방화벽(Firewall) 뒤에 위치한 피어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P2P 오버레이 상에서 피어간 연결 중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송 캐시부(320)는 P2P 오버레이 상에서 컨텐츠 서버(S1)나 이를 전달하는 피어의 전송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해당 컨텐츠를 캐싱하고 이를 다른 피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송 캐시부(320)의 기능에 의해 P2P 제어 장치(C1)는 P2P 오버레이에 선택적으로 참가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캐싱하여 다른 피어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전송 중계부(310) 및 전송 캐시부(320)는 P2P 제어 장치(C1)에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트래픽 측정부(330)는 P2P 오버레이의 피어들로부터 송수신 트래픽량을 주기적으로 보고 받아 저장 관리한다. 이러한 송수신 트래픽량은 피어 보상(incentive), 과금, 피어 성능 상태 감시를 통한 P2P 오버레이 개선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2P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4 내지 11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2의 P2P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P2P 제어 장치(C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2P 제어 장치의 서비스 등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컨텐츠 서버(S1)가 응용 서비스를 시작할 준비가 되면, P2P 제어 장치(C1)로 서비스의 정보를 전달하면서 서비스 등록을 요청한다(S410).
P2P 제어 장치(C1)는 컨텐츠 서버(S1)로부터 전달된 서비스의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한 서비스의 정보에 서비스 식별자를 부여하여 관리한다.
또한, P2P 제어 장치(C1)는 서비스 식별자 및 서비스의 정보를 다른 P2P 제어 장치(C2, C3)로 전달하여 서비스의 정보가 분산 관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430, S450).
P2P 제어 장치(C1)로부터 서비스 식별자 및 서비스의 정보를 전달받은 P2P 제어 장치(C2, C3)는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한다(S440, S460).
이와 같이 하여, 서비스 등록이 완료되면, P2P 제어 장치(C1)는 컨텐츠 서버(S1)로 서비스 식별자를 전달하면서 서비스 등록 요청에 대한 서비스 등록 응답을 전송한다(S47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2P 제어 장치의 컨텐츠 등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컨텐츠 서버(S1)가 해당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전송할 준비가 되면, P2P 제어 장치(C1)로 서비스 식별자 및 컨텐츠 정보를 전달하면서 컨텐츠 등록을 요청한다(S510).
P2P 제어 장치(C1)는 컨텐츠 서버(S1)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한 컨텐츠 정보에 컨텐츠 식별자를 부여하여 관리한다(S520).
또한, P2P 제어 장치(C1)는 컨텐츠 식별자, 서비스 식별자 및 컨텐츠 정보를 다른 P2P 제어 장치(C2, C3)로 전달하여 컨텐츠의 정보가 분산 관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530, S550).
P2P 제어 장치(C1)로부터 컨텐츠 식별자, 서비스 식별자 및 컨텐츠 정보를 전달받은 P2P 제어 장치(C2, C3)는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자에 컨텐츠 정보를 등록하고 컨텐츠 식별자로 구분하여 관리한다(S540, S560).
이와 같이 하여, 컨텐츠 등록이 완료되면, P2P 제어 장치(C1)는 컨텐츠 서버(S1)로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하면서 컨텐츠 등록 요청에 대한 컨텐츠 등록 응답을 전송한다(S57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2P 제어 장치의 컨텐츠 검색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6을 참고하면, 피어(P1)는 원하는 서비스의 정보 및 자신의 정보를 전달하면서 P2P 제어 장치(C1)로 컨텐츠 검색을 요청한다(S602).
P2P 제어 장치(C1)는 서비스의 정보 및 피어 정보를 토대로 피어(P1)의 특성에 알맞은 버전의 컨텐츠를 검색하고(S604), 검색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자를 피어(P1)로 전달하면서 컨텐츠 검색 요청에 대한 컨텐츠 검색 응답을 전송한다(S606). 이때, P2P 제어 장치(C1)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컨텐츠 목록 중에서 피어(P1)의 특성에 알맞은 버전의 컨텐츠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에(S608), 다른 P2P 제어 장치(C2, C3)로 컨텐츠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즉, P2P 제어 장치(C1)는 서비스의 정보 및 피어 정보를 P2P 제어 장치(C2, C3)로 전달하면서 컨텐츠 검색을 요청한다(S610, S616).
P2P 제어 장치(C1)로부터 컨텐츠 검색을 요청 받은 P2P 제어 장치(C2, C3)는 각각 서비스의 정보 및 피어 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검색하고(S612, S618), 검색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자를 P2P 제어 장치(C1)로 전달하면서 컨텐츠 검색 요청에 대한 컨텐츠 검색 응답을 전송한다(S614, S620).
P2P 제어 장치(C1)는 P2P 제어 장치(C2, C3)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 식별자 중 하나를 피어(P1)로 전달하면서 컨텐츠 검색 요청에 대한 컨텐츠 검색 응답을 전송한다(S622).
일 예로서, P2P 제어 장치(C1)는 P2P 제어 장치(C2)로 컨텐츠 검색을 먼저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P2P 제어 장치(C1)는 P2P 제어 장치(C2)로부터 피어(P1)의 특성에 알맞은 버전의 컨텐츠가 없다는 응답을 수신하면, 다음 P2P 제어 장치(C3)로 컨텐츠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P2P 제어 장치(C1)는 P2P 제어 장치(C2, C3)로 동시에 컨텐츠 검색을 요청하고, P2P 제어 장치(C2, C3) 중 먼저 수신한 컨텐츠 검색 응답의 컨텐츠 식별자를 피어(P2)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2P 제어 장치의 피어 등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피어(P1)는 응용 서비스를 요청하기 전에 자신의 정보를 전달하면서 P2P 제어 장치(C1)로 피어 등록을 요청한다(S710).
P2P 제어 장치(C1)는 피어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한 피어 정보에 피어 식별자를 부여하여 관리한다(S720).
또한, P2P 제어 장치(C1)는 등록한 피어 정보 및 피어 식별자를 다른 P2P 오버레이 제어 장치(C2, C3)로 전달하여 피어 정보가 분산 관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730, S750).
P2P 제어 장치(C1)로부터 피어 정보 및 피어 식별자를 전달받은 P2P 제어 장치(C2, C3)는 대응하는 피어 식별자에 피어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한다(S740, S760).
이와 같이 하여, 피어 등록이 완료되면, P2P 제어 장치(C1)는 피어(P1)로 등록한 피어 식별자를 전달하면서 피어 등록 요청에 대한 피어 등록 응답을 전송한다(S77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2P 제어 장치의 P2P 오버레이 생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피어(P2)가 컨텐츠 수신을 위해 컨텐츠 식별자와 자신의 피어 식별자를 전달하면서 P2P 제어 장치(C1)로 오버레이 생성을 요청한다(S810).
P2P 제어 장치(C1)는 컨텐츠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 등록되어 있는 피어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P2P 오버레이를 생성한다(S820).
그런 후에, P2P 제어 장치(C1)는 피어(P2)가 오버레이 연결을 설정해야 하는 피어(P1)의 정보 즉, 연결 정보를 피어(P2)로 전달하면서 오버레이 생성 요청에 대한 오버레이 생성 응답을 전송한다(S830).
또한, P2P 제어 장치(C1)는 피어(P2)가 오버레이 연결을 설정해야 하는 피어(P1)로도 피어(P2)의 정보 즉, 연결 정보와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하면서 오버레이 변경을 요청한다(S840).
피어(P1, P2)는 P2P 제어 장치(C1)로부터 전달받은 연결 정보를 토대로 오버레이 연결을 설정한다(S850). 이렇게 하면, 피어(P2)는 피어(P1)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P2P 제어 장치의 P2P 오버레이 갱신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고하면, 피어(P1, P2)간 오버레이 연결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S902), 피어(P2)는 컨텐츠 식별자 및 자신의 피어 식별자를 전송하면서 P2P 제어 장치(C1)로 오버레이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S904).
오버레이 갱신 요청을 전달받은 P2P 제어 장치(C1)는 서비스의 정보, 피어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P2P 오버레이를 재구성한다(S906). 이때, 서비스의 정보, 피어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에 따라 재구성한 P2P 오버레이는 이전과 동일할 수도 있으며, 이전과 다를 수도 있다.
재구성한 P2P 오버레이가 이전과 동일한 경우, P2P 오버레이를 유지하면 되므로, P2P 제어 장치(C1)는 피어(P1)의 정보를 전달하면서 오버레이 갱신 요청에 대한 오버레이 갱신 응답을 전송한다(S908, S910).
반면, 재구성한 P2P 오버레이가 이전과 다른 경우에는 P2P 오버레이를 변경해야 한다. P2P 제어 장치(C1)는 P2P 오버레이를 변경해야 할 경우, P2P 제어 장치(C1)는 피어(P2)가 오버레이 연결을 설정해야 하는 피어(P3)의 정보를 피어(P2)로 전달하면서 오버레이 갱신 요청에 대한 오버레이 갱신 응답을 전송한다(S908, S912).
또한, P2P 제어 장치(C1)는 피어(P2)가 새로이 오버레이 연결을 설정해야 하는 피어(P3)로도 피어(P2)의 정보와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하면서 오버레이 변경을 요청하며(S914), 피어(P2)와 이전에 오버레이 연결 설정된 피어(P1)로 피어(P2)의 정보 즉, 해제 정보와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하면서 오버레이 변경을 요청한다(S916).
피어(P1, P3)는 P2P 제어 장치(C1)로부터 전달받은 연결 정보를 토대로 오버레이 연결을 설정하고(S918), 이와 동시에 피어(P1, P2)는 P2P 제어 장치(C1)로부터 전달받은 연결 정보를 토대로 오버레이 연결을 해제한다(S920). 이렇게 하면, 피어(P2)는 피어(P3)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피어(P2)는 컨텐츠 식별자 및 자신의 피어 식별자를 전달하면서 P2P 제어 장치(C1)로 주기적으로 오버레이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P2P 오버레이를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으므로, P2P 오버레이의 성능의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P2P 제어 장치(C1)는 피어(P2)로부터 주기적으로 오버레이 갱신을 요청 받아 P2P 오버레이를 갱신할 수도 있지만, 피어 및 네트워크의 상태를 감시하여 P2P 오버레이를 갱신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P2P 제어 장치(C1)는 피어(P1, P2)간 오버레이 연결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S1002), 등록된 피어 및 네트워크의 상태를 감시한다(S1004).
P2P 제어 장치(C1)는 피어 및 네트워크의 상태의 감시로부터 P2P 오버레이의 성능 저하가 발생되는지 판단한다(S1006). 예를 들어, P2P 제어 장치(C1)는 네트워크가 혼잡하거나 단절되거나 중계 피어가 존재하지 않을 때 P2P 오버레이의 성능 저하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P2P 제어 장치(C1)는 P2P 오버레이의 성능 조건이 기 설정된 조건에 미달되는 경우, P2P 오버레이의 성능 저하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P2P 오버레이에 성능 저하가 발생되는 경우, P2P 제어 장치(C1)는 서비스의 정보, 피어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P2P 오버레이를 재구성하고(S1008), 해당 P2P 오버레이를 변경한다(S1010).
P2P 제어 장치(C1)는 P2P 오버레이의 변경에 관련하는 피어(P1, P2, P3)에게 컨텐츠 식별자와 연결(또는 해제) 정보를 전달하면서 오버레이의 변경을 명령한다(S1012, S1014, S1016).
피어(P1, P3)는 P2P 제어 장치(C1)로부터 전달받은 연결 정보를 토대로 오버레이 연결을 설정하고(S1018), 이와 동시에 피어(P1, P2)는 P2P 제어 장치(C1)로부터 전달받은 연결 정보를 토대로 오버레이 연결을 해제한다(S1020).
이와 같이, 오버레이 연결 설정 또는 연결 해제가 완료되면, 피어(P1, P2, P3)는 P2P 제어 장치(C1)로 오버레이 변경 명령에 대한 오버레이 변경 응답을 전송한다(S1022, S1024, S1026).
이와 같이, P2P 제어 장치(C1)는 피어 및 네트워크의 상태의 지속적인 감시를 통해 P2P 오버레이를 능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P2P 오버레이의 단절로 인한 컨텐츠 손실 등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P2P 오버레이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2P 제어 장치의 트래픽 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피어(P1)는 컨텐츠 전달에 따라 트래픽을 측정하고, P2P 제어 서버(C1)로 컨텐츠 식별자, 자신의 피어 식별자 및 트래픽 정보를 전달하면서 트래픽 정보를 보고한다(S1110).
P2P 제어 서버(C1)는 피어(P1)로부터 보고 받은 트래픽 정보를 컨텐츠 식별자 및 피어 식별자별로 저장하고(S1120), 피어(P1)로 보고에 대한 확인을 전송한다(S1130).
피어(P1)는 설정된 트래픽 보고 주기에 따라 피어(P1)가 P2P 제어 서버(C1)로 트래픽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P2P(Peer-to-Peer) 제어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복수의 피어로부터 피어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서 복수의 피어 정보를 등록하는 피어 등록부,
    상기 복수의 피어 중 요청 피어로부터 원하는 컨텐츠의 오버레이 생성 요청을 수신하여서 상기 복수의 피어 정보와 상기 복수의 피어가 접속한 네트워크의 정보를 이용하여 P2P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상기 P2P 오버레이를 참조하여서 상기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적어도 하나의 피어에 대한 연결 정보를 상기 요청 피어로 제공하는 오버레이 생성부, 그리고
    상기 P2P 오버레이에 관련하는 피어 및 네트워크의 상태를 감시하여서 상기 P2P 오버레이를 변경하는 오버레이 갱신부
    를 포함하는 P2P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피어로부터 상기 원하는 컨텐츠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요청 피어의 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요청 피어로 제공하는 컨텐츠 검색부
    를 더 포함하는 P2P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 정보는 네트워크 접속 형태를 포함하는 P2P 제어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상기 P2P 오버레이의 외부에 있는 하위 피어로 전송하는 것을 중계하는 전송 중계부
    를 더 포함하는 P2P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캐싱하여서 컨텐츠 수신 피어로 전달하는 전송 캐시부
    를 더 포함하는 P2P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2P 오버레이에 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전달에 따른 트래픽 정보를 보고 받아 저장하는 트래픽 측정부
    를 더 포함하는 P2P 제어 장치.
  11. P2P(Peer-to-Peer) 제어 장치에서 컨텐츠의 논리적 전송을 위한 오버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복수의 피어로부터 피어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서 복수의 피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피어 중 요청 피어로부터 오버레이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피어 정보 및 상기 복수의 피어가 접속한 네트워크의 정보를 이용하여 P2P 오버레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P2P 오버레이를 참조하여 상기 P2P 오버레이에 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으로 각각 연결 설정할 상대의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P2P 오버레이에 관련하는 피어 및 네트워크의 상태를 감시하여서 상기 P2P 오버레이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오버레이 제어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등록 응답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송 오버레이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 피어로부터 원하는 컨텐츠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 피어의 피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요청 피어로 상기 원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 오버레이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 정보는 네트워크 접속 형태를 포함하는 전송 오버레이 제어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피어에서 컨텐츠의 논리적 전송을 위한 오버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P2P(Peer-to-Peer) 제어 장치에 자신의 피어 정보를 전송하여서 P2P 제어 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P2P 제어 장치로 오버레이 생성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P2P 제어 장치로부터 P2P 오버레이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결 정보를 참조하여서 상기 P2P 오버레이를 연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P2P 오버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피어 정보 및 상기 P2P 오버레이의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P2P 오버레이를 변경하여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오버레이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P2P 제어 장치로 원하는 컨텐츠의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P2P 제어 장치에 의해 검색된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P2P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상기 P2P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상기 오버레이 생성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오버레이 제어 방법.
  20. 삭제
KR1020100099199A 2009-10-12 2010-10-12 P2p 제어 장치 및 전송 오버레이 제어 방법 KR101418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02,502 US20110087775A1 (en) 2009-10-12 2010-10-12 Peer-to-peer control device and transmission overlay managemen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6766 2009-10-12
KR1020090096766 2009-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702A KR20110040702A (ko) 2011-04-20
KR101418570B1 true KR101418570B1 (ko) 2014-07-10

Family

ID=4404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199A KR101418570B1 (ko) 2009-10-12 2010-10-12 P2p 제어 장치 및 전송 오버레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5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6607B2 (en) * 2011-05-23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Facilitating data access control in peer-to-peer overlay networks
KR101958786B1 (ko) * 2011-10-10 2019-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 p2p(peer to peer)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48866B1 (ko) * 2018-03-09 2019-11-26 주식회사 곰앤컴퍼니 멀티 디바이스를 이용한 양방향 온라인 동영상 교육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903A (ko) * 2005-12-13 2007-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v6 기반 이동성 지원 오버레이 네트워크 구축방법
US20080133727A1 (en) * 2006-12-04 2008-06-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utomatic registry composition when networks compose
KR20080103535A (ko) * 2006-02-21 2008-11-2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피어-대-피어 콘텐트 분배 클라우드들에서의 토폴로지 관리방법, 트랙커 노드, 피어-대-피어 콘텐트 분배 클라우드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903A (ko) * 2005-12-13 2007-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v6 기반 이동성 지원 오버레이 네트워크 구축방법
KR20080103535A (ko) * 2006-02-21 2008-11-2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피어-대-피어 콘텐트 분배 클라우드들에서의 토폴로지 관리방법, 트랙커 노드, 피어-대-피어 콘텐트 분배 클라우드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080133727A1 (en) * 2006-12-04 2008-06-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utomatic registry composition when networks compo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702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5268B1 (en) Streaming media resource distribution method, system, edge node and central dispatching system
KR101562974B1 (ko) 스트리밍 서비스의 지연 감소를 위한 단말기, 시드 서버 및 트랙커 서버
US8612621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network topology, and streaming delivery system
US9344495B2 (en) Peer-to-peer network system with manageability
KR101595527B1 (ko) 넷스토어 기반의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시스템 및 서비스 네트워크 동적 구성 방법
US9215424B2 (en) Content delivery
US20020162109A1 (en) Distributed storage on a P2P network architecture
CN101729273A (zh) 一种流媒体分发系统、方法及装置
JP5011433B2 (ja) 他のペアの近傍にあるペアグループを決定する方法、関連するサーバ及び解析装置
US20230119540A1 (en) Content delivery system special network device and special local area network connection, content discovery, data transfer, and control methods
US20110087775A1 (en) Peer-to-peer control device and transmission overlay management method
KR101418570B1 (ko) P2p 제어 장치 및 전송 오버레이 제어 방법
CN104580016A (zh) 节点分配方法、装置及系统
CN101888403A (zh) 存储和分发电子内容的方法和系统
US11877350B2 (en) Special local area network with secure data transfer
KR101469310B1 (ko) 서비스 오버레이 네트워크에서 종단간 QoS 보장형 콘텐츠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20182444A1 (en) Peer-managed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KR101445047B1 (ko) 토폴로지 서버의 지원으로 통신 아키텍처에 분산된 노드의 네트워크에 대한 기밀 또는 보호 액세스
WO2021015909A1 (en) Special network device
US20210021907A1 (en) Network arrangement using snds and slans
KR20100040671A (ko)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네트워크를 선택함으로써 피어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연관된 관리 디바이스, 및 통신 장비
KR101365417B1 (ko) Iptv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andro et al. Generalized connections and incentives for supporting CE devices in live streaming systems
KR102015806B1 (ko) 전자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 프라이비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법
KR20150082082A (ko) 다중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