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7377A -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 Google Patents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7377A
KR20120107377A KR1020110025038A KR20110025038A KR20120107377A KR 20120107377 A KR20120107377 A KR 20120107377A KR 1020110025038 A KR1020110025038 A KR 1020110025038A KR 20110025038 A KR20110025038 A KR 20110025038A KR 20120107377 A KR20120107377 A KR 20120107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ntoon
pillar
unit
pontoons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9089B1 (ko
Inventor
박주신
전민성
서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5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089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63B39/0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by transferr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2003/145Frameworks, i.e. load bearing assemblies of trusses and girders interconnected at nodal po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이 개시된다. 상기 선박은, 해상에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선박으로서, 상면에 상기 시설물의 운반을 위한 크레인이 마련된 데크부; 상기 데크부의 일측 하면에 마련되는 제1 기둥부; 상기 데크부의 타측 하면에 마련되는 제2 기둥부; 상기 제1 기둥부의 단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발라스트 수(ballast water)가 수용되는 제1 폰툰부(pontoon part); 상기 제2 기둥부의 단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발라스트 수가 수용되는 제2 폰툰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 폰툰부와 상기 제2 폰툰부의 선수측 단부와 선미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Vessel for installing offshore facility}
본 발명은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에 관한 것이다.
풍력은 지구 상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무공해 에너지원으로서, 석탄 및 석유 등과 같은 화석연료 고갈 문제 및 이들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최근 무공해 대체 에너지인 풍력을 이용한 발전방식이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
종래부터 풍력발전을 위하여 육상 또는 해상에 지지구조물을 설치하고, 이 지지구조물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여 발전하는 기술이 널리 실용화되어 왔다. 육상 풍력발전은 평야지대가 많지 않은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부지 확보에 제한이 있고, 산간 오지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할 경우에는 도로와 송전선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비용이 많이 들어 유지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해상 풍력발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설비 설치용 선박을 도시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Barge) 형태의 선체(1)와, 선체(1)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다리 구조(2a, 2b, 2c, 2d)를 구비한다. 이러한 선박(10)은, 평평한 선체(1)의 상부 즉, 데크부에 풍력발전설비용 풍력타워(3a)와 블레이드(3b) 및 크레인(4) 등을 싣고서 풍력발전설비가 설치될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풍력발전설비가 설치될 장소에 도달하게 되면, 선체(1)에 구비된 다리 구조(2a, 2b, 2c, 2d)는 해저 기반에 고정되어 선체(1)를 지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크레인(4)을 이용하여 풍력타워(3a) 및 블레이드(3b)를 설치하게 된다. 이 후, 다리 구조(2a, 2b, 2c, 2d)를 잭-업(jack-up)하여 다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은, 해안 수심이 30m 이하의 조건에서나 활용될 수 있을 뿐, 수심이 깊은 지역에서는 활용하기 곤란한 한계가 있으며, 선체(1) 상에 구비되는 다리 구조물(2a, 2b, 2c, 2d)로 인하여 풍력타워(3a)와 블레이드(3b) 및 크레인(4) 등이 실리게 되는 선체(1) 상면의 공간 활용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데크 상면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면서, 해상 시설물이 설치될 수 있는 영역을 확대함과 아울러, 보다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상에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선박으로서, 상면에 상기 시설물의 운반을 위한 크레인이 마련된 데크부; 상기 데크부의 일측 하면에 마련되는 제1 기둥부; 상기 데크부의 타측 하면에 마련되는 제2 기둥부; 상기 제1 기둥부의 단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발라스트 수(ballast water)가 수용되는 제1 폰툰부(pontoon part); 상기 제2 기둥부의 단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발라스트 수가 수용되는 제2 폰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폰툰부와 상기 제2 폰툰부의 선수측 단부와 선미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는, 각각 상기 데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폰툰부와 상기 제2 폰툰부는, 각각 상기 단위 기둥의 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단위 폰툰을 포함하며, 상기 발라스트 수의 이동을 위한 배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단위 폰툰을 연결하는 배관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단위 폰툰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단위 폰툰들이 서로 구조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트러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폰툰부와 상기 제2 폰툰부에는, 횡동요를 방지하도록 측하방으로 돌출되는 빌지킬(bilge keel)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빌지킬은 상기 제1 폰툰부와 상기 제2 폰툰부 내측으로 인출입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폰툰부와 상기 제2 폰툰부에는, 쓰러스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발라스트 수가 이동 가능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3 기둥부; 및 상기 제3 기둥부의 단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발라스트 수(ballast water)가 수용되는 제3 폰툰부(pontoon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폰툰부의 선수측 단부와 선미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잭-업(jack-up) 시스템에서 이용되던 다리 구조를 생략함으로써, 데크 상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해상 시설물이 설치될 수 있는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의 폰툰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빌지킬이 마련된 단위 폰툰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칭하는 "선박"은 추진기 등을 구비하여 이동할 수 있는 협의의 선박뿐만 아니라, 예인선 등을 이용하여 작업위치에 이동하고 해당 작업위치에 부유하여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해상 구조물을 포함하는 광의의 선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100)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상면에 시설물의 운반을 위한 크레인(112)이 마련된 데크부(110); 데크부(110)의 일측 하면에 마련되는 제1 기둥부(120); 데크부(110)의 타측 하면에 마련되는 제2 기둥부(130); 제1 기둥부(120)의 단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발라스트 수(ballast water)가 수용되는 제1 폰툰부(150, pontoon part); 제2 기둥부(130)의 단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발라스트 수가 수용되는 제2 폰툰부(160)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폰툰부(150)와 제2 폰툰부(160)의 선수측 단부 및/또는 선미측 단부는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100)은 기둥부(120, 130, 140)의 일부와 폰툰부(150, 160, 170)가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고, 크레인(112)이 마련된 데크부(110)는 해수면 상측에 위치하는 반잠수식 구조를 갖는다.
데크부(110)는 그 상면을 이용하여 설치의 대상이 되는 시설물(예를 들면 풍력발전설비용 풍력타워와 블레이드, 미도시)을 실어 나르는 기능을 수행하며, 항구 및 설치 장소 등에서 시설물들을 데크부(110) 상에 선적 및 하역하기 위해 데크부(110) 상에는 크레인(112)이 구비된다. 도 2에는 크레인(112)이 하나 구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크레인(112)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데크부(110) 상에는 선원들이 생활하기 위한 공간인 데크 하우스 등과 같은 각종 시설들이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데크부(110)의 하면에는 제1 기둥부(120)와 제2 기둥부(130)가 위치한다. 제1 기둥부(120)와 제2 기둥부(130)는 후술할 폰툰부들(150, 160)과 데크부(110)를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데크부(110)의 좌우 균형이 맞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제1 기둥부(120)와 제2 기둥부(130) 사이에 추가적인 기둥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에는 제1 기둥부(120)와 제2 기둥부(130) 사이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데크부(110)의 중앙 하부에 제3 기둥부(140)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기둥을 이용하여 선박(100)의 전체적인 균형을 보다 정밀하게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기둥부(120)와 제2 기둥부(130)의 단부에는 제1 폰툰부(150)와 제2 폰툰부(160)가 각각 구비된다. 이들 제1 폰툰부(150)와 제2 폰툰부(160)는 그 내부에 발라스트 수(ballast water)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발라스트 수를 이용하여 선박(100)의 전체적인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외부 환경조건의 변화에 따른 선박(100)의 횡동요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오토-발라스트 배관 시스템이 적용된다. 즉,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한 제1 폰툰부(150)와 제2 폰툰부(160)가 배관(192)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이러한 배관(192)을 통해 제1 폰툰부(150)와 제2 폰툰부(160) 사이에서 발라스트 수가 자동으로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바탕으로, 발라스트 수의 관성을 이용한 수동형 횡동요 저감 시스템(passive anti-rolling system)이 구축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기둥부(120, 130)의 내부 공간까지 선박(100)의 자세 제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기둥부(120) 및/또는 제2 기둥부(130)는 그 내부로 발라스트 수가 이동 가능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폰툰부(150, 160)와 기둥부(120, 130) 사이에도 발라스트 수가 이동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는 선박(100)의 자세 제어에 이용되는 폰툰부(150, 160)의 부피가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시설물 설치 시 선박(100)의 횡동요를 보다 더 저감시키기 위하여, 제1 폰툰부(150)와 제2 폰툰부(160)에는 측하방으로 돌출되는 빌지킬(bilge keel, 180)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빌지킬(180)이 마련된 단위 폰툰(152)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빌지킬(180)은 제1 폰툰부(150)와 제2 폰툰부(160) 각각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대략 날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빌지킬(180)은 선박(100)의 횡동요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되어, 시설물 설치 작업 시 선박(100)이 보다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선박(100)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빌지킬(180)이 운항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빌지킬(180)이 폰툰부(150, 160) 내측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선박(100)의 운행 시에는 빌지킬(180)이 내부공간(도 5의 182 참조)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시설물 설치 시와 같이 선박(100)의 횡동요 저감이 특히 필요한 경우에 빌지킬(180)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구적인 설계는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빌지킬(180) 외에도 제1 폰툰부(150)와 제2 폰툰부(160)에 자세제어를 위한 쓰러스터(197)를 설치하여, 보다 미세한 동적 자세 제어를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기둥부(120)와 제2 기둥부(130) 사이에 제3 기둥부(140)가 위치하는 경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기둥부(140)의 단부에 제3 폰툰부(170)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 "폰툰부(150)→제3 폰툰부(170)→제2 폰툰부(160)"가 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기둥부(120)와 제2 기둥부(130)에 대한 기능적/구조적 사항이 제3 기둥부(140)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제1 폰툰부(150)와 제2 폰툰부(160)에 대한 기능적/구조적 사항이 제3 폰툰부(170)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기존의 고정식 플랫폼 형태가 아니라 경우에 따라 자체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 가능한 것으로서, 폰툰부의 선수측 단부가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은 흡사 쌍동선(catamaran)과 유사하다. 물론, 선수측 단부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선미측 단부 역시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해상에서 시설물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선박(100)의 전체적인 자세를 제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인데, 이러한 자세 제어의 가장 근본적인 원리는 해수에 의한 파의 운동주기와 선박의 고유진동주기의 공진을 회피하도록 설계하는 것이며, 해수에 의한 파의 운동주기를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구조물의 고유진동주기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박(100)의 고유진동주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폰툰부(150)와 제2 폰툰부(160)를 각각 데크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폰툰(151, 152, 153, 161, 162, 163)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때, 단위 폰툰들(151, 152, 153, 161, 162, 163)은 발라스트 수의 이동을 위한 배관(191)에 의해 연결되어 선박(100)의 자세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서로 이웃하는 단위 폰툰을 연결하는 배관(191)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이웃하는 단위 폰툰을 연결하는 배관(191)이 복수 개 형성되면(예를 들면, 2개 또는 4개), 단위 폰툰들(151, 152, 153, 161, 162, 163)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라스트 수의 유동 저항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웃하는 단위 폰툰은 동일한 폰툰부내에 포함되어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실시예(예를 들어, 제1 폰툰부(150)에서 이웃하는 단위 폰툰(151,152,153))와, 다른 폰툰부와의 단위 폰툰간에서 선박의 폭방향으로 이웃하는 실시예(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폰툰부(150, 160, 170)에서 선박의 선수에서 폭방향으로 이웃하는 단위폰툰들)에도 적용가능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폰툰부의 구조에 따라, 제1 기둥부(120)와 제2 기둥부(130)는 각각 단위 폰툰(151, 152, 153, 161, 162, 163)의 수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단위 기둥(121, 122, 123, 131, 132, 133)으로 구성된다. 즉, 각각의 단위 폰툰(151, 152, 153, 161, 162, 163)마다 단위 기둥들(121, 122, 123, 131, 132, 133)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 때, 각각의 단위 기둥들(121, 122, 123, 131, 132, 133)이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선박(100)의 구조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켜 선박(100)의 고유진동주기를 보다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해수에 의한 파와의 공진을 회피하는 데에 유리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기둥부(120, 130) 역시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는 단위 기둥들(121, 122, 123, 131, 132, 133)로 분리함으로써 수선면적(水線面積)을 감소시켜 해수에 의한 파와 선박(100)의 고유진동주기와의 공진을 회피하는 데에 보다 더 유리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폰툰부(150, 160)에 대한 구조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 때, 서로 단위 폰툰들(151, 152, 153, 161, 162, 163)이 서로 이격됨으로 인해 구조적인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195)를 이용하여 서로 이웃하는 단위 폰툰들을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트러스(195) 구조를 이용하게 되면, 단위 폰툰들(151, 152, 153, 161, 162, 163)이 서로 구조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 폰툰부(150, 160)의 분리/경량화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안정성이 과도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는 동일한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단위 폰툰들간에 트러스(195)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선박의 폭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는 폰툰들간에도 트러스(19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폰툰부(150)와 제2 폰툰부(160)가 복수의 단위 폰툰(151, 152, 153, 161, 162, 163)으로 구성되는 경우, 전술한 빌지킬(180)이 각각의 단위 폰툰(151, 152, 153, 161, 162, 163) 마다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에는 단위 폰툰(152)에 빌지킬(180)이 마련되어 있는 모습이 확대되어 나타나 있다.
이상에서 제1 기둥부(120), 제2 기둥부(130), 제1 폰툰부(150), 제2 폰툰부(16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던 사항이 제3 기둥부(140)와 제3 폰툰부(17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0: 선박
110: 데크부
112: 크레인
120: 제1 기둥부
130: 제2 기둥부
140: 제3 기둥부
121, 122, 123, 131, 132, 133, 141, 142, 143: 단위 기둥
150: 제1 폰툰부
160: 제2 폰툰부
170: 제3 폰툰부
151, 152, 153, 161, 162, 163: 단위 폰툰
180: 빌지킬
191, 192: 배관
195: 트러스
197: 쓰러스터

Claims (10)

  1. 해상에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선박으로서,
    상면에 상기 시설물의 운반을 위한 크레인이 마련된 데크부;
    상기 데크부의 일측 하면에 마련되는 제1 기둥부;
    상기 데크부의 타측 하면에 마련되는 제2 기둥부;
    상기 제1 기둥부의 단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발라스트 수(ballast water)가 수용되는 제1 폰툰부(pontoon part);
    상기 제2 기둥부의 단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발라스트 수가 수용되는 제2 폰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폰툰부와 상기 제2 폰툰부의 선수측 단부와 선미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는, 각각 상기 데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폰툰부와 상기 제2 폰툰부는, 각각 상기 단위 기둥의 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단위 폰툰을 포함하며, 상기 발라스트 수의 이동을 위한 배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단위 폰툰을 연결하는 배관은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단위 폰툰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단위 폰툰들이 서로 구조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트러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폰툰부와 상기 제2 폰툰부에는, 횡동요를 방지하도록 측하방으로 돌출되는 빌지킬(bilge keel)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빌지킬은 상기 제1 폰툰부와 상기 제2 폰툰부 내측으로 인출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폰툰부와 상기 제2 폰툰부에는, 쓰러스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발라스트 수가 이동 가능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3 기둥부; 및
    상기 제3 기둥부의 단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발라스트 수(ballast water)가 수용되는 제3 폰툰부(pontoon par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폰툰부의 선수측 단부와 선미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KR1020110025038A 2011-03-21 2011-03-21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KR101259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38A KR101259089B1 (ko) 2011-03-21 2011-03-21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38A KR101259089B1 (ko) 2011-03-21 2011-03-21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377A true KR20120107377A (ko) 2012-10-02
KR101259089B1 KR101259089B1 (ko) 2013-04-29

Family

ID=4727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038A KR101259089B1 (ko) 2011-03-21 2011-03-21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08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812B1 (ko) * 2012-07-20 2015-03-04 홍문표 부유식 발전설비의 해안 정박장치
WO2017043877A1 (ko) * 2015-09-09 2017-03-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및 그 운용방법
CN107600339A (zh) * 2017-08-09 2018-01-19 江苏海企港华燃气股份有限公司 新型水油气多功能优化布置的加注趸船
CN109436222A (zh) * 2018-10-09 2019-03-08 广州黄船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平台上壳体及其无支撑搭载方法
EP4253218A1 (en) * 2022-03-28 2023-10-04 Technip Energies France Offshore floating intervention platform intended to dock on an offshore wind turbine platform, related assembly and interven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967B1 (ko) * 1999-12-23 2002-03-16 박병권 복합 지지구조물을 갖는 선박
UA66372C2 (en) * 2000-07-10 2004-05-17 Open Joint Stock Company Centr Method for repair of floating semisubmersible drilling platform
KR101041781B1 (ko) * 2008-05-30 2011-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812B1 (ko) * 2012-07-20 2015-03-04 홍문표 부유식 발전설비의 해안 정박장치
WO2017043877A1 (ko) * 2015-09-09 2017-03-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및 그 운용방법
CN107600339A (zh) * 2017-08-09 2018-01-19 江苏海企港华燃气股份有限公司 新型水油气多功能优化布置的加注趸船
CN109436222A (zh) * 2018-10-09 2019-03-08 广州黄船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平台上壳体及其无支撑搭载方法
EP4253218A1 (en) * 2022-03-28 2023-10-04 Technip Energies France Offshore floating intervention platform intended to dock on an offshore wind turbine platform, related assembly and intervention method
WO2023186791A1 (en) * 2022-03-28 2023-10-05 Technip Energies France Offshore floating intervention platform intended to dock on an offshore wind turbine platform, related assembly and interven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089B1 (ko) 201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60368A1 (en) Floating wind semi-submersible with t-shaped pontoon
US7281881B1 (en) Column-stabilized platform with water-entrapment plate
KR20190119034A (ko) 부유 해양 플랫폼(floating offshore platform)
US20110174206A1 (en) Wave attenuating large ocean platform
WO2013084632A1 (ja) 浮体式風力発電装置および該浮体式風力発電装置の浮設方法
KR101927602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CN112523969B (zh) 一种桁架拉索型漂浮式海上风电机组结构
KR102159559B1 (ko) 풍력 에너지를 활용하는 부유식 플랫폼
US10689071B2 (en) Stabilized floating platform structure
KR101259089B1 (ko)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US20160251059A1 (en) Low heave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CN103085946A (zh) 对接圆台式浮式生产储油系统
CN105644705A (zh) 一种小水线面双体平台
TWI689446B (zh) 具有隨深度改變之水平截面之浮動支撐結構
US9802682B2 (en) Butt joint octagonal frustum type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system
GB2147549A (en) Minimum heave offshore structure
KR20140120154A (ko)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기의 트러스형 하부 구조물
CN202863728U (zh) 对接圆台式浮式生产储油系统
Wang et al. Concept design of a new Non-Ship-Shaped FPSO
WO2014167368A2 (en) Unsinkable-stable unaffected from waves floating truss platforms
KR20130143363A (ko) 부유식 구조물
WO2021219739A1 (en) Floating offshore hydrocarbon production support facility
KR101947670B1 (ko) 부유식 구조물
RU2603423C1 (ru) Морское самоходное самоподъемное крановое судно
Edwards et al. Supplementary information on early-stage floating offshore wind platform desig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