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988A - Education contents providing system,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thereof - Google Patents

Education contents providing system,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988A
KR20120105988A KR1020110023781A KR20110023781A KR20120105988A KR 20120105988 A KR20120105988 A KR 20120105988A KR 1020110023781 A KR1020110023781 A KR 1020110023781A KR 20110023781 A KR20110023781 A KR 20110023781A KR 20120105988 A KR20120105988 A KR 20120105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oviding
screen
use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7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기범
고용지
김동훈
배종필
안영진
이기연
조정식
박주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5988A/en
Publication of KR20120105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9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ystem, a device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are provided to supply a more stereoscopic question screen to a user by displaying one of plural layers on an upper part according to the input of a user. CONSTITUTION: A service device(100) provides a question screen formed by overlapping a first layer, a second layer, and a third layer. The service device displays one of the layers on an upper part according to the input of a user. A terminal device(200) outputs the question screen provided from the service device to the user. The terminal device confirms the input for the question screen. The terminal device transmits the confirmed input to the service device. [Reference numerals] (10) Network; (100) Service device; (200) Terminal device

Description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 그의 교육 컨텐츠 제공을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Education contents providing system,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thereof}Educational contents providing system,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thereof

본 발명은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 그의 교육 컨텐츠 제공을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육 컨텐츠를 통한 문제 접근 및 문제 풀이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 그의 교육 컨텐츠 제공을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ucation content providing system, an apparatus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 and a recording mediu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ducation content providing system that improves user convenience for problem access and problem solving through education content, and educational content thereof. It relates to a device and a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이동통신망의 발달과 단말기 사양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단순한 통신장치 또는 정보 제공 장치의 범주를 벗어나 이동통신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고,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진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더하여, 개인용 컴퓨터와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확산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로의 접근이 용이하게 되었고, 교육 분야에서도 온라인을 이용한 다양한 컨텐츠와 학습방법들을 제공 받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nd the development of terminal specification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come a necessity of modern man and are evolving into total entertainment devices beyond the conventional simple communication devices o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s. In addition, due to the proliferation of personal computers and high-speed Internet services, users have easy access to various multimedia contents, and various contents and learning methods using online have been provided in the education field.

그런데, 기존의 교육 컨텐츠는 오프라인 학습 교재를 온라인 컨텐츠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수준에 불과하여 대부분 큰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교육 컨텐츠는 오프라인에서 실행되는 강의 프로그램이나 학습지를 그대로 디지털 컨텐츠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그 활용도가 떨어지는 측면이 있다.By the way, the existing educational content is only a level to provide the off-line learning teaching materials converted to online content, and most of them do not obtain a great effect.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educational content is in the form of converting and providing a lecture program or a learning paper that is executed offline as it is, digital content, there is a side that is less useful.

특히, 학습 과정에 있어서, 학습자의 이해도, 학습 상태 등을 진단하기 위하여 문제 풀이 과정이 요구되며, 이러한 문제 풀이 과정은 화면을 통해 문제를 제시하고, 제시된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결과를 입력 받은 후, 입력 결과와 정답을 비교하여 평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learning process, a problem solving process is required to diagnose the learner's comprehension, the learning state, and the like. The problem solving process presents a problem on a screen and receives a user's solution to the presented problem. After that, it is made in the form of evaluating the input result and the correct answer.

그런데, 기존의 교육 컨텐츠에서는 이러한 문제 풀이 과정에 있어서,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문제 화면을 단순한 평면 구조로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지고, 학습 과정에서 지루함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existing educational content,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since the problem screen providing the problem solving function is provided in a simple flat structure, user convenience is inferior and it may cause boring in the learning process.

다른 측면에서는, 기존 오프라인 교재를 통한 학습에 익숙해져 있는 사용자의 경우, 기존 교육 컨텐츠에 대한 접근에 어려움이나 지루함을 느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지털 교육 컨텐츠의 활용도가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users who are accustomed to learning through existing offline textbooks may feel difficulty or boredom in accessing existing educational content,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tilization of digital educational content is reduced.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오프라인 교재를 이용한 학습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교육 컨텐츠에 대한 접근성 및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 그의 교육 컨텐츠 제공을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by providing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learning environment using an offline teaching material, an education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improving accessibility and user convenience to education contents,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thereof. And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제1 레이어,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문제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제1~3 레이어 중 한 레이어를 상위에 제시하는 서비스 장치; 및 서비스 장치가 제공하는 문제 화면을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문제 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여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first layer for providing the problem content in providing the educational content, the second layer for providing the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on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in the first layer A service device for providing a problem screen formed by superimposing a third layer providing an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ed problem, and presenting one layer among the first to third layers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a terminal device outputting a problem screen provided by the service device to the user, and confirming a user input on the problem screen to the servic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교육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된 교육 컨텐츠를 출력하되,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제1 레이어,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가 중첩되도록 문제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제1 내지 제3 레이어 중 한 레이어를 상위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문제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 user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user opera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education contents; Outputting the stored educational contents, providing a first layer for providing the content of the problem, a second layer for providing correct answers and explanations for the questions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nd providing an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 related to the problems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figure and output a problem screen so that the three layers overlap each other, and control to display one of the first to third layers above the user in accordance with a user input signal;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problem scree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저장된 교육 컨텐츠를 기반으로 제1 내지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이루어지는 문제 화면을 구성하는 문제 화면 구성 모듈; 및 문제 화면 구성 모듈에 의해서 구성된 문제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제1 내지 제3 레이어 간의 화면 전환을 제어하는 문제 화면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the problem screen configuration module for configuring a problem screen formed by overlapping the first to third layers based on the stored training content; And a problem screen configured by the problem screen configuration module, wherein the problem screen control module controls a screen switching between the first to third layers according to a user input.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1 레이어는, 문제에 대한 지시문 또는 타이틀이 표시되는 타이틀 영역; 문제 내용이 표시되는 문제 내용 영역; 타이틀 영역 및 문제 내용 영역에 표시된 문제의 변경을 지시하기 위한 문제 변경 버튼; 문제 내용 영역에 표시된 문제에 대한 힌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힌트 버튼; 기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만족 시 제1 레이어 상에 표시되고, 각 문제에 대한 사용자 풀이 결과에 대한 채점을 요청하기 위한 채점하기 버튼; 동일 문제에 대한 재도전 기회를 요청하기 위한 재도전 버튼; 해당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답 및 해설 버튼; 및 해당 문제와 관련된 평가 또는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녹음 및 평가 버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문제 화면 제어 모듈은, 제1 레이어에서 정답 및 해설 버튼이 선택되면, 제2 레이어가 상위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1 레이어에서 녹음 및 평가 버튼이 선택되면, 제3 레이어가 상위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I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ayer includes: a title area in which an instruction or title for a problem is displayed; A problem content area in which the problem content is displayed; A problem change button for instructing change of a problem displayed in the title area and the problem content area; A hint button for requesting hint information on the problem displayed in the problem content area; A scoring button which is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when the preset activation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user pool for each problem is requested to score the result; A rechallenge button for requesting a rechallenge opportunity for the same problem; Answer and comment button for requesting the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information for the problem; And a recording and an evaluation button for requesting an evaluation or a recording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problem, wherein the problem screen control module is configured to have a second layer higher if the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buttons are selected in the first layer. When the recording and evaluation buttons are selected in the first layer, the third layer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above.

여기서, 제어부의 문제 화면 구성 모듈은, 문제에 대한 채점이 수행된 후에, 정답 및 해설 버튼과 녹음 및 평가 버튼과 재도전 버튼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Here, the problem screen configuration module of the controller may activate and display a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button, a recording and evaluation button, and a re-challenge button after scoring the problem.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의 문제 화면 제어 모듈은 상위에 표시된 레이어가 책장이 넘어가는 형태로 사라지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레이어가 나타나도록 제1 내지 제3 레이어 간의 화면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screen control module of the controller performs screen switching between the first and third layers such that the layer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ppears while the layer displayed on the upper layer disappears as the bookshelf turns over. Can be done.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이때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서 외부 장치로부터 교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a network, wherein the control unit can receive education content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학습을 위한 문제를 제공하는 문제 화면이,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제1 레이어,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구성되는 다수의 교육 컨텐츠를 저장하는 교육 컨텐츠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교육 컨텐츠를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terminal device via a network; The problem screen provides a problem for learning, the first layer provides the content of the problem, the second layer provides correct answers and explanations for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nd the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 storage unit including an education content DB configured to store a plurality of education content in which a third layer providing an overlap is configured;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to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terminal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부는, 제1,2,3 레이어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문제 화면을 단말 장치로 제공하고,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제1~3 레이어 중 한 레이어를 상위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servi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es a problem screen formed by overlapp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layers to the terminal device, and one layer of the first to third layers according to a user input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Can be displayed at the top.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저장부는, 교육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내역, 해당 교육 컨텐츠의 각 문제 별 학습 정보 및 평가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관리 DB를 더 포함하고, 이때 컨텐츠 제공부는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입력 또는 학습 정보에 따라서, 사용자 관리 DB를 갱신할 수 있다.In th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further comprises a user management DB for storing the user's use history of the training content, learning information and evaluation information for each problem of the training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unit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user input or learn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he user management DB can be updated.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교육 컨텐츠 요청에 따라서, 해당 교육 컨텐츠에 대한 목차 정보를 표시하는 초기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초기 화면에 표시된 목차 정보 중에서 어느 한 항목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확인하는 단계; 사용자 선택이 확인된 항목과 관련하여,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제1 레이어,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문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문제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결과를 분석하여 평가하는 단계; 및 평가 결과를 결과 리포트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n initial screen for displaying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n the training content in response to the training content request; Confirming a user selection for any one item of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displayed on an initial screen; Regarding the items for which the user selection is confirmed, the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 related to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the first layer providing the content of the problem, the second layer providing the correct answer and explanation for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Providing a problem screen on which a third layer provided is overlapped; Analyzing and evaluating a result of the user's solution to a problem provided through the problem screen;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evaluation result to the user through the result report screen.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문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문제 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제1 내지 제3 레이어 중에서 현재 상위에 표시된 레이어가 책장이 넘어가는 형태로 사라지면서 다른 레이어가 상위에 표시되도록 화면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The program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hecking a user input for a problem screen in the step of providing a problem screen; And performing a screen switching so that another layer is displayed on the upper side while the layer displayed on the upper side among the first to third layers disappears in the form of turning over the bookshelf according to the user input.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문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제1 레이어를 상위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단계; 제1 레이어 상에서 사용자의 문제 풀이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문제 풀이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제1 레이어 상에서 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이 요청되면, 제2 레이어를 상위로 표시하여 제1 레이어 상에 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제1 레이어 상에 표시된 문제에 대한 녹음 및 평가가 요청되면, 제3 레이어를 상위로 표시하여 제1 레이어 상에 표시된 문제에 대한 녹음 및 평가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The program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oviding a problem content to a user by displaying a first layer on a higher level in the step of providing a problem screen; Checking a user input related to the user's problem solving on the first layer, and storing a result of the user's problem solving; If a correct answer and explanation for a problem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is requested, marking the second layer as a higher level to provide a correct answer and explanation for the problem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And when recording and evaluation of the problem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is requested, displaying the third layer as a higher level to provide a recording and evaluation function for the problem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문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 제1 레이어 상에 채점하기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채점하기 버튼을 선택하면, 저장한 사용자의 문제 풀이 결과를 기준으로 각 문제에 대한 채점을 수행하여 제1 레이어에 표시된 각 문제 위에 정답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채점이 완료되면, 제1 레이어 상에 동일 문제에 대한 재도전을 요청하는 재도전 버튼, 정답 및 해설을 요청하는 정답 및 해설 버튼, 녹음 및 평가를 요청하는 녹음 및 평가 버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행할 수 있다.The program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splaying a scoring button on a first layer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in the step of providing a problem screen; Selecting a scoring button to perform scoring for each problem based on a result of the user's problem solving and displaying whether or not a correct answer is placed on each problem displayed in the first layer; And when the scoring is completed, displaying one or more of a re-challenge button requesting re-challenge for the same problem on the first layer, a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button requesting correct answers and commentary, and a recording and evaluation button requesting recording and evaluation. You can run more.

본 발명은,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문제 내용,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 문제에 대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등등 각각 분리하여 중첩된 복수의 레이어를 통해 각각 제공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문제 내용,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 문제에 대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레이어 중 어느 한 레이어가 상위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입체적인 문제 화면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하면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the educational content, the problem content, the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on the problem, the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 of the problem, and the like are separately provided through a plurality of overlapping layers, respectively, and the content of the problem according to a user input. ,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that provide the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on the problem, the evaluation and recording of the problem is displayed at the top to provide a more three-dimensional problem screen to the user, thereby inducing the user's attention and convenience Can improve.

특히, 본 발명은 문제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간의 전환에 있어서, 책장을 넘기는 것과 유사한 형태로 화면 전환을 수행하면서, 기존 오프라인 교재에 익숙한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witching between a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the problem screen, while switching the screen in a form similar to turning the bookshelf, a user familiar with the existing offline teaching materials can easily access the content.

또한, 본 발명은 문제 화면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어 간의 전환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에 따라서 문제 풀기, 정답 및 해설 확인, 평가 확인 등의 학습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facilitating switching between a plurality of layers in the problem screen,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learning process, such as problem solving,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confirmation, evaluation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You can improve furth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의 전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문제 화면 출력 및 문제 풀이 과정을 더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제 화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제 화면에 있어서, 제1 레이어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제 화면에 있어서, 제2 레이어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제 화면에 있어서, 제3 레이어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apparatus in a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ntire process of a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process of outputting a problem screen and solving a problem in the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problem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irst layer in a problem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econd layer in a problem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hird layer in a problem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throughout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단말 장치만의 동작만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된 단말 장치와 서비스 장치의 연동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하 각각의 경우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interworking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service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in each case below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10)를 통해서 연결된 서비스 장치(100) 및 단말 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the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ice device 100 and a terminal devic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10. 200 may be included.

여기서, 네트워크(10)는 서비스 장치(100)와 단말 장치(200)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0)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으며, 또한,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3 세대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망을 포함하는 3.5세대 이동통신망, LTE advanced를 포함하는 4세대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에서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network 10 provides a passage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the service device 100 and the terminal device 200, and includes a network that is used in the past and a network that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For example, the network 10 is an IP network that provides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ervice and a data service without disconnection through the Internet protocol (IP), and an IP network structure that integrates different networks based on IP. (All IP) network, and also, 3.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wired network, Wibro (Wireless Broadband) network, 3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WCDM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network, and LTE network, LTE It may be achieved b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the advanced,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Wi-Fi network.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화면 구조를 통해서 교육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장치로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교육 컨텐츠에 있어서,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문제 화면을 제공한다. 더불어, 서비스 장치(100)는 문제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1~3 레이어 중 한 레이어를 상위에 표시하도록 제1 내지 제3 레이어 간의 화면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장치(100)는 교육 컨텐츠 또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The service device 100 is a device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 through a network through a problem scre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the service device 100 includes a first layer for providing problem content in education content, and the first layer. A second screen providing a correct answer and explanation for a problem presented in the layer, and a third screen providing an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 related to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re provided. In addition, the service device 100 may control screen switching between the first to third layers so that one of the first to third layers is displayed at an upper level according to a user input on the problem screen. The service device 100 may be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a service provider that provides educational content or an online learning service.

이때, 단말 장치(200)는 상기 서비스 장치(100)가 제공하는 문제 화면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며, 상기 문제 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한다.In this case, the terminal device 200 outputs a problem screen provided by the service device 100 to the user, checks a user input on the problem screen, and transmits the problem screen to the service device 100.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서버-클라이언트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 등 다양한 컴퓨팅 방식에 따라서 동작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컨텐츠를 단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2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갖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어떠한 종류의 정보 처리 장치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200)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ice device 100 may operate according to various computing methods such as a server-client computing method or a cloud computing method to provide educatio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terminal device 200, and the terminal device 200 may be provided in a network. As a device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service device 100 via (10), any kind 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vailable to the user is possible.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200 may be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navigation device,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 portable portable media player (PMP). It may include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such as a multimedia player) or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200)는 교육 컨텐츠를 기 저장한 후,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교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이때, 단말 장치(200)는 기 저장된 교육 컨텐츠를 로딩하여,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문제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한 후, 출력된 문제 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제1 내지 제3 레이어 간의 화면 전환을 제어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inal device 200 may prestore the training content and then operate independently to provide the training content to the user. In this case, the terminal device 200 stores the previously stored training content. Loading, a first layer providing problem content, a second layer providing correct answers and commentary on a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nd a third layer providing an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 related to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fter configuring and outputting a problem screen formed by overlapping, the screen switching between the first and third layers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the output problem screen.

상술한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장치(100)의 구성 및 작용을 도 2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e above-described education content providing system,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ervice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장치(1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device 100 in the education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100)는 통신부(110)와 컨텐츠 제공부(120)와 저장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service device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 content providing unit 120, and a storage unit 130.

여기서, 통신부(110)는 네트워크(10)를 통해서 단말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컨텐츠, 및 교육 컨텐츠 제공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Here,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terminal device 200 through the network 10, and transmits and receives educational content and various data for providing the educational content.

컨텐츠 제공부(12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서 접속된 단말 장치(200)로 교육 컨텐츠 또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때,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구성되는 문제 화면을 구성하여 단말 장치(200)로 제공한다. 더하여, 컨텐츠 제공부(12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문제 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제1 내지 제3 레이어 간의 화면 전환을 제어한다.The content provider 120 provides education content or an online education service to the terminal device 200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 this case, in providing education content, the first layer provides problem content; A terminal device is configured by configuring a problem screen including a second layer that provides a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on a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nd a third layer that provides an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 related to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Provided at 200.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er 120 controls screen switching between the first and third layers according to a user input signal for the problem scree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200.

저장부(130)는 상기 컨텐츠 제공부(120)를 통해서 단말 장치(200)로 제공되는 다수의 교육 컨텐츠를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가 중첩된 형태의 문제 화면을 제공하는 다수의 교육 컨텐츠를 저장하는 교육 컨텐츠 DB(131)를 포함한다. The storage unit 130 is a means for storing a plurality of educational contents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200 through the content providing unit 120. A training content DB storing a plurality of training contents providing a problem screen having a form in which a second layer providing a correct answer and explanation for the answer and a third layer providing an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 related to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re superimposed. 131.

더하여, 상기 저장부(130)는 사용자의 학습 관리를 위하여, 상기 교육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내역, 해당 교육 컨텐츠의 각 문제 별 학습 정보 및 평가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관리 DB(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부(120)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입력 또는 학습 정보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관리 DB(132)를 갱신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30 further includes a user management DB 132 for storing the user's usage history, learning information for each problem of the corresponding education content, and evaluation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user's learning. can do. At this time, the content providing unit 120 updates the user management DB 132 according to the user input or learn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한편, 도 2는, 서비스 장치(100)의 구성을 기능 단위로 구분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실제로 상술한 통신부(110), 컨텐츠 제공부(120) 및 저장부(130)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는 다양한 분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서비스 장치(100)를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2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apparatus 100 in functional units, and the service apparatus 100 actually includes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content providing unit 120, and the storage unit 130. It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server devices for executing a function, the one or more server devices may be of various distributed structures. In particular, one or more servers implementing the service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to operate on a cloud computing basi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는 입력부(210)와, 출력부(220)와, 제어부(230)와, 저장부(240)와, 통신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과 관련된 구성만을 제시하였으며, 상기 단말 장치(200)는 이외에도 더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Referring to FIG. 3, the terminal device 200 may include an input unit 210, an output unit 220, a control unit 230, a storage unit 240, and a communication unit 250. Here, only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ovis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and it is obvious that the terminal device 200 may include more various components.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장치(200)에 있어서, 입력부(210)는 단말 장치(200)의 조작을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입력부(210)는 다양한 방식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10)는 키 입력 수단, 터치 입력 수단, 제스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키 입력 수단은, 키 조작에 따라서 해당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키패드, 키보드가 해당된다. 터치 입력 수단은, 사용자가 특정 부분을 터치하는 동작을 감지하여 입력 동작을 인식하는 것으로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센서를 들 수 있다. 제스처 입력 수단은, 사용자의 동작, 예를 들어, 단말 장치를 흔들거나 움직이는 동작, 단말 장치에 접근하는 동작, 눈을 깜빡이는 동작 등 지정된 특정 동작을 특정 입력 신호로 인식하는 것으로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카메라, 고도계,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210 is provided f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200 and generates a user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The input unit 21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eans of input. For example, the input unit 210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key input unit, a touch input unit, a gesture input unit, and a voice input unit. The key input means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and corresponds to a keypad and a keyboard. The touch input means recognizes an input operation by detecting an operation of touching a specific portion of the user, and may include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d a touch sensor. The gesture input means recognizes a specific specific action such as a user's motion, for example, shaking or moving the terminal device, approaching the terminal device, or blinking an eye, as a specific input signal.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sensor, a camera, an altimeter, a gyro sensor, and a proximity sensor.

출력부(220)는 단말 장치(200)의 동작 상태 및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데, 특히,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서,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문제 화면을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220)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외에, 상기 출력부(220)는 교육 컨텐츠에 있어서의 오디오 요소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20 is a means for providing an operation state and a result of the terminal device 200 to the user, and outputs various user interface screens. In particular, the output unit 220 provides a problem conten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A problem screen including a layer, a second layer providing correct answers and explanations for the questions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nd a third layer providing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s related to the questions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re superimposed. The output unit 22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display mean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LED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 the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 the flexible display, or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may be used. It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output means for outputting.

제어부(230)는 단말 장치(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운영 프로그램(OS)을 기반으로 동작하여 기본적인 플랫폼 환경을 구축하고, 상기 구축된 플랫폼 환경 위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임의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교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있어서,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가 중첩되도록 문제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문제 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 레이어 중 한 레이어 중에서 어느 한 레이어가 상위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2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200, and basically operates based on an operating program (OS) to build a basic platform environment, and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n the constructed platform environment. Run it to provide arbitrary functionality.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30 provides the first layer for providing the problem content, the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to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in providing the educational content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Configure and output a problem screen such that a second layer to be superimposed and a third layer providing an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 related to a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re overlapped, and according to a user input signal for the problem screen; Controls which one of the three layers is displayed above.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230)는, 문제화면 구성 모듈(231)과, 문제화면 제어 모듈(2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문제화면 구성모듈(231)은 저장된 교육 컨텐츠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이루어지는 문제 화면을 구성하고, 문제화면 제어모듈(232)은 상기 문제 화면 구성 모듈(231)에 의해서 구성된 문제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제1 내지 제3 레이어 간의 전환을 제어한다. To this end, the controller 230 may include a problem screen configuration module 231 and a problem screen control module 232. The problem screen configuration module 231 configures a problem screen in which the first to third layers are overlapped based on the stored education content, and the problem screen control module 232 is configured by the problem screen configuration module 231. In the configured problem screen, switching between the first to third layers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user input signal.

마지막으로, 저장부(240)는 단말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혹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기본적으로 제어부(230)에 의해 실행되는 운용 프로그램(OS) 및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더하여, 저장부(240)는 상기 제어부(230)를 통해서 실행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241)를 저장한다. 여기서, 교육 컨텐츠(241)는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문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저장부(240)는 램(RAM, Read Access Memory), 롬(ROM, Read Only Memory), 하드디스크(HDD, Hard Disk Drive), 플래시 메모리, CD-ROM, DVD와 같은 모든 종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Lastly, the storage unit 240 is a means for storing data or a program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200, and basically stores an operating program (OS) and one or more application programs executed by the controller 230. .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40 stores the education content 241 that is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230 and provided to the user. In this case, the educational content 241 may include a first layer that provides a problem content, a second layer that provides a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on a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nd an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 related to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The provided third layer is implemented to compose a problem screen formed by overlapping. The storage unit 240 may be any type of storage medium such as RAM (Read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hard disk (HDD), flash memory, CD-ROM, DVD, etc. It may includ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단말 장치(200)의 동작에 대하여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urther described below.

상술한 단말 장치(2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문제 화면에 있어서, 제1 레이어는, 문제에 대한 지시문 또는 타이틀이 표시되는 타이틀 영역과, 문제 내용이 표시되는 문제 내용 영역과, 상기 타이틀 영역 및 문제 내용 영역에 표시된 문제의 변경을 지시하기 위한 문제 변경 버튼과, 상기 문제 내용 영역에 표시된 문제에 대한 힌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힌트 버튼과, 기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만족 시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레이어에 표시된 각 문제에 대한 사용자 풀이 결과에 대한 채점을 요청하기 위한 채점하기 버튼과, 동일 문제에 대한 재도전 기회를 요청하기 위한 재도전 버튼과, 해당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답 및 해설 버튼과, 해당 문제와 관련된 평가 또는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녹음 및 평가 버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oblem screen provided to the user in the terminal device 200 described above, the first layer includes a title area in which an instruction or title for a problem is displayed, a problem content area in which a problem content is displayed, and the title area and a problem. A problem change button for instructing a change of the problem displayed in the content area, a hint button for requesting hint information on the problem displayed in the problem content area, and a display on the first layer when a preset activation condition is satisfied. A scoring button for requesting grading of the result of the user pool for each problem displayed in the first layer, a re-challenging button for requesting a rechallenge opportunity for the same problem, and requesting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information for the problem Answer and comment buttons for and the Record and Rate button for requesting an assessment or recording related to the issue.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이때, 제어부(230)의 문제 화면 구성 모듈(231)은 제1 레이어의 문제 내용 영역에 표시된 문제에 대한 채점이 수행된 후에, 상기 정답 및 해설 버튼과 녹음 및 평가 버튼과 재도전 버튼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채점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정답 및 해설 버튼이나, 녹음 및 평가 버튼이나, 재도전 버튼은 표시되지 않으며, 사용자 선택이 불가능하다.In this case, the problem screen configuration module 231 of the controller 230 displays the problem by displaying the correct answer, commentary button, recording and evaluation button, and re-challenge button after scoring the problem displayed in the problem content area of the first layer. can do. That is, before the scoring is performed, the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buttons, the recording and evaluation buttons, or the re-challenge buttons are not displayed, and user selection is impossible.

한편, 제어부(230)의 문제 화면 제어 모듈(232)은,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정답 및 해설 버튼이 선택되면, 제2 레이어가 상위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녹음 및 평가 버튼이 선택되면, 제3 레이어가 상위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제2 및 제3 레이어에서 문제보기 버튼이나 영역이 선택되면, 제1 레이어가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문제 화면 제어 모듈(232)은 제1 내지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문제 화면에 있어서, 상위에 표시된 레이어가 책장이 넘어가는 형태로 사라지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레이어가 나타나도록 제1 내지 제3 레이어 간의 화면 전환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오프라인 교재를 이용한 학습 환경과 유사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screen control module 232 of the control unit 230, if the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button is selected in the first layer, and controls the second layer to be displayed on the upper, and if the recording and evaluation button is selected, the third The layer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at an upper level, and when the problem view button or region is selected in the second and third layers, the first layer is controlled to return. In this case, the problem screen control module 232 is configured to display a layer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while disappearing in a form in which a bookshelf is turned over in a problem screen formed by overlapping first to third layers. By performing screen switching between the first and third layers, the user may have a feeling similar to the learning environment using the offline textbook.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장치(200)는 통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통신부(250)는 네트워크(10)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통신부(250)를 통해서 외부 장치, 더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상기 교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교육 컨텐츠를 저장부(240)에 저장하여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50. The communication unit 250 transmits data through the network 1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30 is The education content may b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service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50, and the received education content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40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Next,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ducation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education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단말 장치(200)를 통해서 특정 교육 컨텐츠를 선택하여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된다(S105).Referring to FIG. 4,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user may select a specific education content through the terminal device 200 to request a service,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200 to the service device 100. (S105).

서비스 장치(100)는 이러한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특히 특정 컨텐츠에 대한 요청에 따라서, 해당 교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우선 해당 교육 컨텐츠에 대한 목차 정보를 표시하는 초기 화면을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S110). 여기서, 초기 화면은 해당 교육 컨텐츠의 목차 정보의 각 항목에 대응하는 문제 화면을 썸 네일 형태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The service device 100 provides the corresponding education content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service request of the user, in particular, the request for the specific content. Transmit (S110). Here, the initial screen may display a problem screen corresponding to each item of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education content in the form of a thumbnail.

단말 장치(200)는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초기 화면을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초기 화면에 표시된 목차 정보 중에서 어느 한 항목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확인하고(S115), 확인된 항목 선택 정보를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120).The terminal device 200 outputs the initial screen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device 100 through the output unit 220, confirms a user selection of any item among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output initial screen (S115). In operation S120, the checked item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apparatus 100.

서비스 장치(10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항목 선택 정보에 따라서, 사용자 선택이 확인된 항목과 관련된 문제 화면을 단말 장치(2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공되는 문제 화면은,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이루어진다.The service device 100 provides the terminal device 200 with a problem screen related to an item of which the user selection is confirmed according to the item sel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200. The problem screen provided herein may include a first layer providing a problem content, a second layer providing correct answers and explanations for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nd an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 related to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The third layer is made to overlap.

단말 장치(200)는 서비스 장치(100)로 제공된 제1 레이어 내지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문제 화면을 출력부(23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제1 내지 제3 레이어 간을 전환하면서, 문제 풀이 과정을 실행한다(S130). 이때, 제1 내지 제3 레이어 간의 전환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이루어져, 제1 내지 제2 레이어 중에서 어느 한 레이어가 상위로 표시된다. 특히,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 레이어 중에서 현재 상위에 표시된 레이어가 책장이 넘어가는 형태로 사라지면서 다른 레이어가 상위에 표시되도록 화면 전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문제 화면 출력 및 문제 풀이 과정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200 provides the user with a problem screen formed by overlapping the first to third layers provided to the service device 100 through the output unit 230, an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signal, the first to third layers. While switching betwee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S130). In this case, switching between the first to third layers is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any one of the first to second layers is displayed upward. In particular, a screen change is performed such that another layer is displayed on the upper side while the layer displayed on the upper side among the first to third layers disappears in the form of turning over the bookshelf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problem screen output and problem solv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s illustrated in FIGS. 6 to 7.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해당 문제 화면에 따른 문제 풀이가 완료되면, 사용자의 문제 풀이 정보를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하고(S135), 서비스 장치(100)는 수신된 문제 풀이 정보를 분석 및 평가하고(S140), 그 결과를 포함하는 결과 보고 화면을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S145).When the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problem screen is completed, the terminal device 200 transmits problem solving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service device 100 (S135), and the service device 100 analyzes the received problem solving information. And it evaluates (S140), and transmits a result report screen including the result to the terminal device 200 (S145).

단말 장치(200)는 수신된 결과 보고 화면을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하며(S150), 사용자는 이를 통해 자신의 문제 풀이 결과 및 평가를 확인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200 outputs the received result report screen through the output unit 230 (S150), and the user may check his problem solving result and evaluation through this.

상술한 과정은 서비스 장치(100)와 단말 장치(200)의 연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의 일 예를 설명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단말 장치(200)의 동작 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를 도 5에 나타낸다.The above-described process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case where the service device 100 and the terminal device 200 are interlocked.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ly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200. Although this case is shown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의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of the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특정 교육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교육 컨텐츠에 대한 목차 정보를 표시하는 초기 화면을 출력한다(S205).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초기 화면은 해당 교육 컨텐츠의 목차 정보의 각 항목에 대응하는 문제 화면을 썸 네일 형태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user requests a specific education content, the terminal device 200 checks a user input signal and outputs an initial screen that displays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education content (S205). As described above, the initial screen may display a problem screen corresponding to each item of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education content in a thumbnail form.

이후 단말 장치(200)는, 상기 출력된 초기 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여, 초기 화면에 표시된 목차 정보 중에서 어느 한 항목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확인한다(S210).Thereafter, the terminal device 200 checks a user input on the output initial screen, and confirms a user selection of any item among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S210).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문제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고, 출력된 문제 화면을 통해 문제 풀이 과정을 진행한다(S215). 이때, 상기 문제 화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이루어지며, 제1 내지 제3 레이어 간의 전환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이루어져, 제1 내지 제2 레이어 중에서 어느 한 레이어가 상위로 표시된다. 단말 장치(200)는 문제 화면을 출력한 후,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제1 내지 제3 레이어 간을 전환하면서, 문제 풀이 과정을 실행하는데, 특히,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 레이어 중에서 현재 상위에 표시된 레이어가 책장이 넘어가는 형태로 사라지면서 다른 레이어가 상위에 표시되도록 화면 전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When a specific item is selected, the terminal device 200 constructs and outputs a problem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and proceeds to a problem solving process through the outputted problem screen (S215).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screen may include a first layer providing a problem content, a second layer providing a correct answer and explanation for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n evaluation related to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nd A third layer providing a recording function is overlapped, and switching between the first to third layers is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any one of the first to second layers is displayed upward. After outputting the problem screen, the terminal device 200 executes a problem solving process while switching between the first to third layers according to a user input signal. Particularly, the terminal device 200 performs a problem solving process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layer currently displayed at the top disappears as the bookshelf turns over, and the screen is switched so that another layer is displayed at the top. This process may be performed as shown in FIGS. 6 to 7.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해당 문제 화면에 따른 문제 풀이가 완료되면, 사용자의 문제 풀이 정보를 분석 및 평가하여(S220), 그 결과를 결과 보고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S225).When the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problem screen is completed, the terminal device 200 analyzes and evaluates the problem solving information of the user (S220), and outputs the result through the result report screen (S225).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문제 화면 출력 및 문제 풀이 과정을 더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과정은 도 4의 단계(S130) 및 도 5의 단계(S215)에 적용될 수 있다.Next, FIG. 6 and FIG.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in detail a process of outputting a problem screen and solving a problem in the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may be applied to step S130 of FIG. 4 and step S215 of FIG. 5.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단계(S130) 또는 단계(S215)에서, 단말 장치(200)는, 문제 화면 출력 시 먼저 제1 레이어를 상위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문제 내용을 제공한다(S305).First, referring to FIG. 6, in step S130 or step S215, when outputting a problem screen, the terminal device 200 first displays a first layer on a higher level to provide a problem content to a user (S305). .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상기 제1 레이어 상에서 사용자의 문제 풀이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문제 풀이 결과를 저장한다(S310).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200 checks a user input related to problem solving of the user on the first layer, and stores the result of problem solving of the user (S310).

또한, 단말 장치(200)는 상기 제1 레이어 상에서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확인하여, 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이 요청되면(S315), 상기 제2 레이어를 상위로 표시하여 제1 레이어 상에 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한다(S320).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device 200 checks a user input signal on the first layer and requests a correct answer and explanation for the displayed problem (S315), the terminal device 200 displays the second layer as an upper level and is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Provides a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on the problem (S320).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제2 레이어 상에서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확인하여, 문제 보기 또는 제1 레이어로의 복귀가 요청되면(S325), 단계(S305)로 되돌아가 제1 레이어를 표시하여 문제 내용을 출력한다.The terminal device 200 checks the user input signal on the second layer, and if a problem view or a return to the first layer is requested (S325), the terminal device 200 returns to step S305 and displays the first layer to display a problem. Print the contents.

또한, 단말 장치(200)는 상기 제1 레이어 상에서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표시된 문제에 대한 녹음 및 평가가 요청되면(S330), 상기 제3 레이어를 상위로 표시하여 제1 레이어 상에 표시된 문제에 대한 녹음 및 평가 기능을 제공한다(S335).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200 checks a user input signal on the first layer, and if recording and evaluation of a problem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is requested (S330), the third layer is displayed as a higher level. It provides a recording and evaluation function for the problem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S335).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제3 레이어 상에서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확인하여, 문제 보기 또는 제1 레이어로의 복귀가 요청되면(S340), 단계(S305)로 되돌아가 제1 레이어를 표시하여 문제 내용을 출력한다.When the terminal device 200 checks the user input signal on the third layer and requests to view the problem or return to the first layer (S340), the terminal device 200 returns to step S305 to display the first layer to display the problem. Print the contents.

상술한 단계(S305 내지 S340)는 사용자 학습이 종료되기 전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며(S345), 이를 통해서 제1 내지 제3 레이어 간의 전환을 통해서 사용자 학습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above-described steps (S305 to S340) ar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user learning ends (S345), through which user learning is performed by switching between the first to third layers.

더하여, 도 7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는 제1 레이어를 통해서 문제 내용을 표시하는 중에(S405), 힌트 정보가 요청되면(S410), 해당 문제 내용에 대한 힌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415). 이는, 단말 장치(200)가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힌트 정보를 요청하는 힌트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힌트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표시된 문제에 대한 힌트 정보를 표시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 when the hint information is requested (S405) while displaying the problem contents through the first layer (S405), the terminal device 200 may display hint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problem contents. (S415). The terminal device 200 may display a hint button for requesting hint information on the first layer, and when the hint button is selected, display hint information on a problem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Can be.

또한, 단말 장치(200)는 제1 레이어를 통해서 문제 내용을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 입력 신호를 확인하여, 해당 문제에 풀이에 대한 사용자 정답 선택이 있는 경우, 입력된 사용자 정답을 저장한다(S420).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200 checks the user input signal while displaying the content of the problem through the first layer, and stores the input user's correct answer when the user's correct answer is selected for the problem (S420). .

상기 단계(S405 내지 S420)에서, 제1 레이어를 통해 다수의 문제를 제공하는 경우, 각각의 문제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425).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페이지에 하나의 문제를 제공하되,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플리킹(flicking) 입력)에 따라서 다른 문제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above steps (S405 to S420), when providing a plurality of problems through the first layer, it can be made repeatedly for each problem (S425).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problem may be provided to one page, and the user may be moved to another problem page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example, a flicking input).

더하여, 단말 장치(200)는 제1 레이어를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문제에 대한 사용자 문제 풀기가 완료되면, 문제 풀이 결과에 대한 채점하기를 요청되는 지를 확인하고(S430), 채점하기가 요청되면, 제1 레이어를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문제에 대한 사용자 입력과 정답을 확인하여 정답 여부를 출력한다(S435). 이는, 단말 장치(200)가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채점하기 버튼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채점하기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저장한 사용자의 문제 풀이 결과를 기준으로 각 문제에 대한 채점을 수행하여 제1 레이어에 표시된 각 문제 위에 정답 여부를 표시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roblem solving for a plurality of problems provided through the first layer is completed, the terminal device 200 checks whether the problem pool is requested to be scored for the result (S430), and if scoring is requested, In operation S435, a user input and a correct answer for a plurality of questions provided through the first layer may be checked and the correct answer may be output. That is, when the terminal device 200 displays the scoring button on the first layer, and the scoring button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terminal apparatus 200 displays a scoring for each problem based on a result of the user's problem solving. The method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whether the correct answer is displayed on each problem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채점이 완료되면, 단말 장치(200)는 동일 문제들에 대한 재도전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재도전을 선택할 경우, 동일한 문제에 대하여 단계들(S405~435)를 반복할 수 있다(S440).When the scoring is completed, the terminal device 200 checks whether or not re-challenge of the same problem, and if the user selects the re-challenge, the terminal device 200 may repeat the steps (S405 ~ 435) for the same problem (S440).

상기에서, 단말 장치(200)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제1 레이어 상에 상기 동일 문제에 대한 재도전을 요청하는 재도전 버튼, 정답 및 해설을 요청하는 정답 및 해설 버튼, 녹음 및 평가를 요청하는 녹음 및 평가 버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표시하고, 상기 버튼을 통해 재도전, 정답 및 해설, 녹음 및 평가를 사용자가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은 해당 문제 화면에서 제공하는 모든 문제에 대한 풀이가 완료된 시점으로, 예를 들어, 상기 단계(S435)에서 문제에 대한 채점이 완료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device 200 satisfies a preset condition, the terminal device 200 requests a re-challenge button for requesting re-challenge for the same problem on the first layer, a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button for requesting a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and a recording and evaluation request. One or more of the recording and evaluation buttons may be displayed and the user may request re-challenge,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recording and evaluation. Here, the preset condition may be a time point at which all problems provided by the corresponding problem screen are completed, for example, when the scoring of the problem is completed in step S435.

이후 도 8 내지 도 13에 나타낸 예시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화면 구조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blem scre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drawings illustrated in FIGS. 8 to 13.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화면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화면은, 문제 내용을 표시하는 제1 레이어(81)와, 상기 제1 레이어(81)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82), 상기 제1 레이어(81)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83)가 중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레이어(81) 내지 제3 레이어(83) 중 어느 한 레이어가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맨 상위에 표시된다.FIG. 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blem scre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the problem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ayer 81 displaying a problem content and a first layer 81 displayed in the first layer 81. The second layer 82, which provides the correct answer and explanation for the problem, and the third layer 83, which provides the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 related to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81,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y one of the layers 81 to the third layer 83 is displayed at the top according to the user input signal.

상기 제1 레이어(81)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영역(811)과, 문제에 대한 지시문 또는 타이틀이 표시되는 타이틀 영역(812)과, 문제 내용이 표시되는 문제 내용 영역(813)과, 상기 문제 내용 영역(813)에 표시된 문제에 대한 힌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힌트 버튼(814)과, 상기 타이틀 영역 및 문제 내용 영역에 표시된 문제의 변경을 지시하기 위한 문제 변경 버튼(815,816)과, 기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만족 시 상기 제1 레이어(81)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레이어(81)에 표시된 각 문제에 대한 사용자 풀이 결과에 대한 채점을 요청하기 위한 채점하기 버튼(817)과, 동일 문제에 대한 재도전 기회를 요청하기 위한 재도전 버튼(818)과, 해당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답 및 해설 버튼(820)과, 해당 문제와 관련된 평가 또는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녹음 및 평가 버튼(819)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9 to 11, the first layer 81 includes an indicator area 811, a title area 812 in which an instruction or title for a problem is displayed, and a problem content area in which a problem content is displayed. 813, a hint button 814 for requesting hint information on the problem displayed in the problem content area 813, and a problem change button for instructing change of the problem displayed in the title area and the problem content area ( 815, 816, and a grading button 817 for requesting grading of a result of a user pool for each problem displayed in the first layer 81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81 when a preset activation condition is satisfied. ), A rechallenge button 818 for requesting a rechallenge opportunity for the same problem, an answer and comment button 820 for requesting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information for the problem, and an evaluation or recording related to the problem. Among recording and evaluation button 819 for requesting it may include one or more.

여기서, 문제 풀이 초기 과정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이어(81) 상에 인디케이터 영역(811)과, 타이틀 영역(812)과, 문제 내용 영역(813)과, 힌트 버튼(814)과, 문제 변경 버튼(815,816)이 표시되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문제 내용 영역(813)에 표시되는 다수의 문제를 풀고, 그 정답을 입력하게 된다. Here, in the initial process of problem solving, as shown in FIG. 9, the indicator area 811, the title area 812, the problem content area 813, and the hint button 814 are formed on the first layer 81. And problem change buttons 815 and 816 are displayed, by which the user solves a plurality of problems displayed in the problem content area 813 and inputs the correct answers.

상기 문제 내용 영역(813)은 하나의 문제를 하나의 페이지로 제공하고, 상기 문제 변경 버튼(815,816)의 선택에 따라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여 다른 문제를 제시하게 된다. 상기 힌트 버튼(814)이 선택될 경우, 힌트 정보는 별도의 팝업 창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 확인 후에 해당 팝업 창은 제거된다.The problem content area 813 provides one problem as one page, and moves to another page to present another problem according to selection of the problem change buttons 815 and 816. When the hint button 814 is selected, the hin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a separate pop-up window form and the pop-up window is removed after user confirmation.

그리고, 모든 문제에 대한 문제 풀기가 완료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이어(81) 상에 채점하기 버튼(817)이 표시된다. 그리고, 채점하기 버튼(817)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선택된 정답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며, 각 문제에 대한 정답 여부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여기서는, 정답인지 오답인지만 표시되고, 실제 정답은 제2 레이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When problem solving for all problems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0, a scoring button 817 is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81. When the scoring button 817 is selected, the user confirms the selected correct answer, and whether or not the correct answer is corrected for each question is displayed as illustrated in FIG. 11. Here, only the correct answer or the wrong answer is displayed, and the actual correct answer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second layer.

즉, 채점이 완료된 후, 제1 레이어 상에는, 재도전 버튼(818)가 녹음 및 평가 버튼(819)과, 정답 및 해설 버튼(820)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정답 및 해설 버튼(8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의 모서리가 일부 넘겨진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That is, after scoring is completed, the re-challenge button 818 is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the recording and evaluation button 819, and the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button 820 to be selected by the user. Here, the correct answer and comment button 820 may be displayed in a form in which a corner of the page is partially turned over, as shown in FIG. 11.

도 11과 같은 제1 레이어(81) 상에서, 사용자가 상기 정답 및 해설 버튼(820)을 터치하거나 선택하면, 제1 레이어(81)가 책장이 넘어가는 형태로 사라지면서 도 12와 같이 제2 레이어(82)가 상위에 표시된다.On the first layer 81 as shown in FIG. 11, when the user touches or selects the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button 820, the first layer 81 disappears in a form that the bookshelf is turned over and the second layer as shown in FIG. 12. 82 is displayed on the upper side.

제2 레이어(82)는 제1 레이어(81)에서 제공된 문제에 대한 정답과 해설을 제공하는데, 어학용 컨텐츠의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 원문(821), 문제 원문에 대한 해석(822), 문제에 대한 정답 해설(823) 등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layer 82 provides a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on the problem provided by the first layer 81. In the case of language content, as illustrated in FIG. 12, the problem text 821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problem text ( 822), an explanation of the answer to the problem 823, and the like.

상기 제2 레이어(82) 상에는, 문제 보기 버튼(824)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상기 문제 보기 버튼(824)을 선택할 경우, 제1 레이어(81)로 되돌아가게 된다. 여기서, 문제 보기 버튼(824)는 앞서 정답 및 해설 버튼(820)에서처럼 페이지의 모서리가 일부 넘겨진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On the second layer 82, a problem view button 824 is displayed,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problem view button 824, the user returns to the first layer 81. Here, the problem view button 824 may be displayed in a form in which a corner of the page is partially turned over as in the previous answer and commentary button 820.

또한, 도 11과 같은 제1 레이어(81) 상에서 녹음 및 평가 버튼(819)이 터치되거나 선택되면, 도 13과 같이 제3 레이어(83)가 표시될 수 있다. 제3 레이어(83)에서는 평가 정보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어학 컨텐츠의 경우 제1 레이어 상에서 제공된 문제와 관련된 문장이나 표현을 녹음 및 평가를 가능케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음이나 읽기 능력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cording and evaluation button 819 is touched or selected on the first layer 81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third layer 83 may be displayed as illustrated in FIG. 13. The third layer 83 may provide evaluation information and a recording function. In the case of language content, by recording and evaluating a sentence or expression related to a problem provided on the first layer, the pronunciation or reading ability of the user may be improved. Can be.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software readable through a variety of computer means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ere, th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disks such as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OM), digital video disks (DVD),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do.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may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Such a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they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 그의 교육 컨텐츠 제공을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문제 내용,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 문제에 대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등등 각각 분리하여 중첩된 복수의 레이어를 통해 각각 제공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문제 내용,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 문제에 대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레이어 중 어느 한 레이어가 상위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입체적인 문제 화면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하면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ucation content providing system, an apparatus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 and a recording medium, wherein in providing education content, problem content, correct answer and comment on a problem,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 of a problem, and the like are separated. Each layer is provided through a plurality of layers superimposed, and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that provides a problem content, a correct answer and comment on the problem, an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 of the problem is displayed on the upper side according to a user input. It provides a more three-dimensional problem screen, through which the user's attention can be improved while improving the convenience.

특히, 본 발명은 문제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간의 전환에 있어서, 책장을 넘기는 것과 유사한 형태로 화면 전환을 수행하면서, 기존 오프라인 교재에 익숙한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witching between a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the problem screen, while switching the screen in a form similar to turning the bookshelf, a user familiar with the existing offline teaching materials can easily access the content.

또한, 본 발명은 문제 화면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어 간의 전환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에 따라서 문제 풀기, 정답 및 해설 확인, 평가 확인 등의 학습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facilitating switching between a plurality of layers in the problem screen,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learning process, such as problem solving,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confirmation, evaluation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You can improve further.

10: 네트워크 100: 서비스 장치 110: 통신부
120: 컨텐츠 제공부 130: 저장부 131: 교육컨텐츠 DB
132: 사용자 관리 DB 200: 단말 장치 210: 입력부
220: 출력부 230: 제어부 231: 문제화면 구성모듈
232: 문제화면 제어모듈 240: 저장부 250: 통신부
10: network 100: service device 110: communication unit
120: content providing unit 130: storage unit 131: education content DB
132: user management DB 200: terminal device 210: input unit
220: output unit 230: control unit 231: problem screen configuration module
232: trouble screen control module 240: storage unit 250: communication unit

Claims (16)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문제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1~3 레이어 중 한 레이어를 상위에 제시하는 서비스 장치;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제공하는 문제 화면을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문제 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
In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a first layer providing problem content, a second layer providing correct answers and commentary on a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nd providing an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 related to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 service device configured to provide a problem screen including overlapping third layers and to present one of the first to third layers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And a terminal device outputting a problem screen provided by the service device to a user, and confirming a user input of the problem screen to the service device.
사용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교육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교육 컨텐츠를 출력하되,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가 중첩되도록 문제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 레이어 중 한 레이어를 상위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문제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An input unit generating a user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education contents;
Outputting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a first layer providing problem contents, a second layer providing correct answers and commentary on a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nd providing an evaluation and recording function related to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a problem screen such that the third layers overlap each other, and to control one of the first to third layers to be displayed at an upper level according to the user input signal; And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problem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교육 컨텐츠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이루어지는 문제 화면을 구성하는 문제 화면 구성 모듈; 및
상기 문제 화면 구성 모듈에 의해서 구성된 문제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제1 내지 제3 레이어 간의 전환을 제어하는 문제 화면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A problem screen configuration module for constructing a problem screen in which the first to third layers are overlapped based on the stored education content; And
A problem screen configured by the problem screen configura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blem screen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between the first to third layers in accordance with a user inpu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는
문제에 대한 지시문 또는 타이틀이 표시되는 타이틀 영역;
문제 내용이 표시되는 문제 내용 영역;
상기 타이틀 영역 및 문제 내용 영역에 표시된 문제의 변경을 지시하기 위한 문제 변경 버튼;
상기 문제 내용 영역에 표시된 문제에 대한 힌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힌트 버튼;
기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만족 시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레이어에 표시된 각 문제에 대한 사용자 풀이 결과에 대한 채점을 요청하기 위한 채점하기 버튼;
동일 문제에 대한 재도전 기회를 요청하기 위한 재도전 버튼;
해당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답 및 해설 버튼; 및
해당 문제와 관련된 평가 또는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녹음 및 평가 버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layer
A title area in which the instruction or title for the problem is displayed;
A problem content area in which the problem content is displayed;
A problem change button for instructing change of a problem displayed in the title area and the problem content area;
A hint button for requesting hint information on a problem displayed in the problem content area;
A scoring button for requesting grading of a result of a user pool for each problem displayed in the first layer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when a preset activation condition is satisfied;
A rechallenge button for requesting a rechallenge opportunity for the same problem;
Answer and comment button for requesting the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information for the problem; And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of the recording and evaluation buttons for requesting an evaluation or recording related to the probl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화면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정답 및 해설 버튼이 선택되면, 제2 레이어가 상위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problem screen control module of claim 4, wherein
And if a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button are selected in the first layer, controlling the second layer to be displayed abov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화면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레이어에서 녹음 및 평가 버튼이 선택되면, 제3 레이어가 상위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problem screen control module of claim 4, wherein
And when the recording and evaluation button is selected in the first layer, controlling the third layer to be displayed abov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화면 구성 모듈은
상기 문제에 대한 채점이 수행된 후에, 상기 정답 및 해설 버튼과 녹음 및 평가 버튼과 재도전 버튼을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odule of claim 4, wherein the problem screen configuration module is
And after the scoring of the problem is performed, the correct answer, commentary button, recording and evaluation button, and re-challenge button are activated and display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화면 제어 모듈은
상위에 표시된 레이어가 책장이 넘어가는 형태로 사라지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레이어가 나타나도록 제1 내지 제3 레이어 간의 화면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problem screen control module of claim 4, wherein
And the layer displayed on the upper side disappears as the bookshelf is turned over, and the screen switching is perform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layers so that the layer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ppears.
제2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교육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the network,
The control unit is a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the training content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학습을 위한 문제를 제공하는 문제 화면이,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구성되는 다수의 교육 컨텐츠를 저장하는 교육 컨텐츠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교육 컨텐츠를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terminal device through the network;
A problem screen providing a problem for learning includes a first layer providing a problem content, a second layer providing correct answers and explanations for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n evaluation related to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nd A storage unit including an education content DB configured to store a plurality of education content in which a third layer providing a recording function is overlapped; And
And a content provider for providing the training content to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terminal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제1,2,3 레이어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문제 화면을 단말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1~3 레이어 중 한 레이어를 상위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ent providing unit
And providing a problem screen o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layers are overlapped to the terminal device, and controlling one of the first to third layers to be displayed at a higher level according to a user input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Service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교육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내역, 해당 교육 컨텐츠의 각 문제 별 학습 정보 및 평가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관리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입력 또는 학습 정보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관리 DB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orage unit
Further comprising a user management DB for storing the user's use of the training content, learning information and evaluation information for each problem of the training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unit updates the user management DB according to user input or learn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교육 컨텐츠 요청에 따라서, 해당 교육 컨텐츠에 대한 목차 정보를 표시하는 초기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초기 화면에 표시된 목차 정보 중에서 어느 한 항목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확인하는 단계;
사용자 선택이 확인된 항목과 관련하여,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제2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서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평가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레이어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문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문제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결과를 분석하여 평가하는 단계; 및
평가 결과를 결과 리포트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roviding an initial screen displaying contents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content request;
Confirming a user selection for any one item of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Regarding an item for which user selection is confirmed, a first layer providing a problem content, a second layer providing a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on a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and an evaluation and recording related to the problem presented in the first layer Providing a problem screen formed by overlapping a third layer providing a function;
Analyzing and evaluating a result of the user's solution to a problem provided through the problem screen;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a step of providing an evaluation result to a user through a result report scree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문제 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 레이어 중에서 현재 상위에 표시된 레이어가 책장이 넘어가는 형태로 사라지면서 다른 레이어가 상위에 표시되도록 화면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the problem screen
Checking a user input on the problem screen; And
And executing a screen switching operation so that another layer is displayed on the upper side while the layer displayed on the upper side among the first to third layers disappears in the form of turning over the bookshelf according to the user input.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제1 레이어를 상위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문제 내용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레이어 상에서 사용자의 문제 풀이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문제 풀이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레이어 상에서 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이 요청되면, 상기 제2 레이어를 상위로 표시하여 제1 레이어 상에 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표시된 문제에 대한 녹음 및 평가가 요청되면, 상기 제3 레이어를 상위로 표시하여 제1 레이어 상에 표시된 문제에 대한 녹음 및 평가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the problem screen
Displaying the first layer on the upper layer to provide problem contents to the user;
Checking a user input related to a user's problem solving on the first layer, and storing a result of the user's problem solving;
If a correct answer and explanation for a problem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is requested, displaying the second layer as a higher level to provide a correct answer and explanation for the problem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And
If recording and evaluation of a problem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is requested, displaying the third layer as a higher level to provide a recording and evaluation function for the problem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채점하기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채점하기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저장한 사용자의 문제 풀이 결과를 기준으로 각 문제에 대한 채점을 수행하여 제1 레이어에 표시된 각 문제 위에 정답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채점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동일 문제에 대한 재도전을 요청하는 재도전 버튼, 정답 및 해설을 요청하는 정답 및 해설 버튼, 녹음 및 평가를 요청하는 녹음 및 평가 버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providing the problem screen
Displaying a scoring button on the first layer when a preset condition is satisfied;
Selecting the scoring button and performing a scoring on each problem based on the stored result of the user's problem solving to display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on each problem displayed in the first layer; And
When scoring is completed, displaying one or more of a re-challenge button requesting re-challenge for the same problem on the first layer, a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button requesting a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and a record and evaluate button requesting recording and evaluation;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KR1020110023781A 2011-03-17 2011-03-17 Education contents providing system,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thereof KR201201059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781A KR20120105988A (en) 2011-03-17 2011-03-17 Education contents providing system,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781A KR20120105988A (en) 2011-03-17 2011-03-17 Education contents providing system,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988A true KR20120105988A (en) 2012-09-26

Family

ID=4711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781A KR20120105988A (en) 2011-03-17 2011-03-17 Education contents providing system,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5988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335A (en) * 2014-09-15 2016-03-24 (주)위버스마인드 Interaction learning apparatus
WO2018105833A1 (en)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뤼이드 Method for displaying learning content of terminal and application program therefor
KR20190008977A (en) * 2019-01-18 2019-01-25 (주)뤼이드 Method for displaying study content and application program thereof
WO2019172485A1 (en) * 2018-03-05 2019-09-12 주식회사 뤼이드 Learning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device using ai tutor
KR102507466B1 (en) * 2021-11-11 2023-03-08 콜라블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smart study material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335A (en) * 2014-09-15 2016-03-24 (주)위버스마인드 Interaction learning apparatus
WO2018105833A1 (en)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뤼이드 Method for displaying learning content of terminal and application program therefor
CN110383328A (en) * 2016-12-05 2019-10-25 日益得有限公司 The learning Content display methods and its application program of terminal
JP2020513589A (en) * 2016-12-05 2020-05-14 リイイド インク Terminal learning content display method and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method
US11322036B2 (en) 2016-12-05 2022-05-03 Riiid Inc. Method for displaying learning content of terminal and application program therefor
US20220319348A1 (en) * 2016-12-05 2022-10-06 Riiid Inc. Method for displaying learning content of terminal and application program therefor
US11823593B2 (en) 2016-12-05 2023-11-21 Riiid Inc. Method for displaying learning content of terminal and application program therefor
WO2019172485A1 (en) * 2018-03-05 2019-09-12 주식회사 뤼이드 Learning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device using ai tutor
KR20190105252A (en) * 2018-03-05 2019-09-17 (주)뤼이드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udy contents using ai tutor
KR20190008977A (en) * 2019-01-18 2019-01-25 (주)뤼이드 Method for displaying study content and application program thereof
KR102507466B1 (en) * 2021-11-11 2023-03-08 콜라블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smart study materi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inders et al. Supporting language learning on the move: An evaluative framework for mobile language learning resources
US20200219216A1 (en) A Digital Classroom With a Breakout Feature
CA2907274A1 (en) Tablet computer
KR20170141264A (en) Vertically integrated mobile computer system
Valstad et al. iPad as a pedagogical device
US9042808B2 (en) Didactic appliance
WO2019046177A1 (en) Assessment-based measurable progress learning system
US20160063878A1 (en) Course customizer
Corbeil et al. E-learning: past, present, and future
KR20120105988A (en) Education contents providing system,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thereof
US202201084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ivil Discourse as a Service
Seale et al. A proposal for a unified framework for the design of technologies for people with learning difficulties
JP2017097030A (en) Learning support device
Alberto Aning E-learning design in Malaysian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Principles and guidelines
Semertzidis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to enhance higher education lectures
Abbas et al. Ready, trainer… one*! discovering the entanglement of adaptive learning with virtual reality in industrial training: a case study
KR101380692B1 (en) Apparatus for on-line study and method for the same
Rodrigo et al. Accessibility in language MOOCs
Reinders et al. Supporting language learning on the move
Ballance MALL—Somewhere between the tower, the field, the classroom, and the market: A reply to Professor Stockwell’s response
KR20110070393A (en) System for designing and playing of study contents and method for designing and playing study contents using the same
Fovet Exploring Accessibility in Online and Blended Learn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s a Lens on Equity in a Post-COVID K-12 Landscape
Harpur Evaluation of usability and user experience of an m-learning environment, custom-designed for a tertiary educational context
CA2912324A1 (en) System to generate a mixed media experience
KR20130011875A (en) A rote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push not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