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673A - Buoyant board including propulsion device - Google Patents

Buoyant board including propuls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673A
KR20120105673A KR1020110023255A KR20110023255A KR20120105673A KR 20120105673 A KR20120105673 A KR 20120105673A KR 1020110023255 A KR1020110023255 A KR 1020110023255A KR 20110023255 A KR20110023255 A KR 20110023255A KR 20120105673 A KR20120105673 A KR 20120105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oard
paddle
main body
s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2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석래
Original Assignee
송석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석래 filed Critical 송석래
Priority to KR1020110023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5673A/en
Publication of KR20120105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6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70Accessori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type of board, e.g. paddings or buoyanc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4Oars; Sculls; Paddles; P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PURPOSE: A buoyant board with a propulsion device is provided to be stably balanced on the water and to be controlled the change of directions even if power for getting propulsion force is manually applied. CONSTITUTION: A buoyant board with a propulsion device comprises a main body(10), a through-hole(40), a rotating shaft(55), a spin body(20), and a paddle(30). The main body is made by a high buoyant material like a polymer resin form.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and perforates through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main body. The rotating shaft is rotatably inserted in the through-hole. The bottom surface of the spin body is fixed at the top of the rotating shaft so that the spin body can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main body. One end of the paddl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fixed in the spin body to be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Description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 {BUOYANT BOARD INCLUDING PROPULSION DEVICE}Buoyancy board for water play with propulsion device {BUOYANT BOARD INCLUDING PROPULSION DEVICE}

본 발명은 물놀이용 부력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 조작에 의한 추진 장치를 구비하여 별도의 동력이나 바람과 같은 외부 자연력이 없는 상태에서도 추진력을 이용해 탈 수 있는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cy board for playing in 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play provided with a propulsion device that can be driven using propulsion even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external natural force such as power or wind by providing a propulsion device by manual operation. It is about a buoyancy board.

목재, 고분자 수지 폼 물질이나 공기 튜브와 같이 저밀도 소재의 입체 구조로 이루어져 부력을 이용해 물에 띄운 후 그 위에 타는 방식으로 즐기는 다양한 종류의 물놀이용 부력 도구들이 알려져 있다.Various kinds of buoyancy tools for water play are known, consisting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s made of low density materials such as wood, polymer resin foam materials or air tubes, which are used to float and float on water using buoyancy.

이 중에서도 패널, 즉 보드 형태를 가짐으로써 '~보드'와 같은 방식으로 일컬어지는 일인용 부력 보드들이 있는데, 잘 알려진 것으로 파도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통상의 서핑 보드, 바람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윈드 서핑 보드들이 있고, 그 밖에 모터 보트 등과 연결하여 추진력을 얻는 웨이크 보드, 카이트 보드들 또한 개인 레저 장비로서 최근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Among them, there is a single person buoyancy board which is called in the same way as a 'board' by having a panel, that is, a well-known surfboard which is propelled by waves, and a windsurf board which is driven by wind. In addition, wake boards and kite boards that gain momentum by connecting with motor boats are also in the spotlight recently as personal leisure equipment.

다만, 이러한 종래의 일인용 부력 보드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파도, 바람이나 모터 보트와 같은 외부력의 도움을 받아야 추진력을 얻어 수면 위를 전진할 수 있을 뿐이고, 이러한 외부력이 배제될 경우에는 팔, 다리 등을 이용해 약간씩의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single-person buoyancy boards, as described above, can only move forward on the surface by obtaining propulsion with the help of external forces such as waves, wind, or motor boats, and if such external forces are excluded, It is configured to allow only a slight movement using the legs and the like.

즉, 일인용 등으로 사용되는 소형 부력 도구들에 있어서는, 다소 큰 사이즈의 보트 등부터 장착 가능한 전동 모터, 장착형 패들(노)과 같은 추진력 수단을 부가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용이하지 않으므로, 외부력의 개입 없이도 자력으로 추진력을 얻어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하기 어렵고, 따라서 외부력이 없는 곳에서 보드를 이용한 물놀이를 즐기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That is, in small buoyancy tools used for single person use, it is not structurally easy to add a propulsion means such as an electric motor or a mounting paddle (furnace) that can be mounted from a boat of a relatively large size, so that external force intervention Without i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tructure capable of moving by gaining propulsion by magnetic force, and thus, there is a limit in enjoying water play using a board in the absence of external forc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물놀이용 부력 도구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력의 도움 없이 자력으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외부력이 없는 곳에서도 강한 추진력에 의해 수면상을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buoyancy tools for water play, by having a means to obtain the driving force by the magnetic force without the help of the external force, smoothly moving on the water surface by a strong driving force even in the absence of external for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oyancy board for playing with water so as to provide a propulsion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는, 보드 형태로 구성되어 물에 띄워 타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물놀이용 부력 보드로서, 고분자 수지 폼과 같은 높은 부력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패널 형태의 메인 바디, 용법에 따라 물에 띄워 사용할 경우 수면에 닿는 방향을 하부, 반대 방향을 상부라 할 때, 상기 메인 바디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회전축,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면이 상기 회전축의 상부측 일단에 고정되는 구조로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회전축을 경유하여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스핀 바디, 상기 스핀 바디의 회동에 의해 함께 회동되도록, 일단이 상기 스핀 바디에 고정된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측에 장착된 패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uoyancy buoyancy board having a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oyancy board for water play configured to be used in a floating manner in the form of a board, high buoyancy such as polymer resin foam The main body in the form of a panel including the material, when used in the water according to the usage, when the direction of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lower,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upper,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The through shaft penetrating the surface, the rotating shaft rotatably insert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orm of a panel, the lower surface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n a structur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thereby A spin body rotatably connec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via a pivot, and rotated together by a rotation of the spin body Preferably, one e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ddl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haft fixed to the spin body and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이때, 상기 회전축의 타단과 상기 패들의 연결부에는, 동력 전달 수단들로 구성된 동력 전달부가 개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addl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consisting of power transmission means may be interposed.

이때, 상기 동력 전달부는, 직접 맞물리거나 그 밖의 다른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gears which are directly engaged or connected by other power transmission means.

이때, 용법에 따라 물에 띄워 사용할 경우 추진력에 의해 전진하는 방향을 선단부라 할 때,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회전축이 연결된 동력 입력부에 비해 상기 패들이 연결된 동력 출력부가 상기 선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using the floating in the water according to the usage whe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propulsive force when the tip por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configured so that the power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paddle is located closer to the tip portion than the power input unit to which the rotary shaft is connected. Can be.

이때, 상기 동력 전달부는, 감속 기어의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스핀 바디에서 입력된 동력에 비해 상기 패들로의 출력이 더 큰 힘을 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t is made of a structure of a reduction gear, it can be configured to output a greater force to the paddle than the power input from the spin body.

한편, 상기 스핀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 상에서의 회동 제어가 용이하도록 상부면 상에 장착된 걸림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pin body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locking step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to facilitate the rotation control on the main body.

이때, 상기 걸림턱은, 사용자가 상기 스핀 바디의 상부 면 상에 기립한 상태에서 양 발이 각각 닿는 위치에 형성된 좌측 걸림턱과 우측 걸림턱의 두 개로 구성되며, 체결 수단에 의하여 착탈 및 상호 이격 폭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cking jaw is composed of two of the left locking jaw and the right locking jaw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both fee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state where the user stand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in body, the detachable and mutual separation width by the fastening means It can be configured to enable the adjustment of.

한편, 상기 패들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패들 각도 제한 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addle angle limiting means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paddle.

이때, 상기 패들 각도 제한 수단은,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면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삽입 방식으로 착탈 가능한 각도 제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결공은 상기 패들 회동의 경로 상에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한 돌기와의 체결 위치 변경에 따라 상기 패들의 회동 각도 제한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addle angle limiting means,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angle limiting projection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able in the fastening hole is configured, the fastening hole is at least on the path of the paddle rotation Two or more are formed, it can be configured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restriction range of the paddl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engagement position with the limiting projection.

한편, 상기 메인 보드와 상기 스핀 보드의 상호 마주보는 면 사이에는, 상기 스핀 보드의 회동으로 인한 면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베어링 수단이 개재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bearing means for minimizing the friction between the surfaces due to the rotation of the spin board between the main board and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may be interposed.

한편, 엎드려 탈 경우 사용할 수 있는 파지 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can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gripping means that can be used when lying down.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uoyancy buoyancy board having a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일인용 부력 보드와 같은 소형 장비에도 적용될 수 있는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졌음에도, 노젓기 원리에 의한 강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어 외부력의 도움 없이도 수면 위를 자유롭게 이동하며 즐길 수 있다.First, even though it is made of a compact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small equipment such as a single buoyancy board, it is possible to obtain a strong driving force by the rowing principle, so that you can enjoy freely mov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without the help of external force.

둘째, 추진력을 얻기 위한 동력을 수동으로 가함에도, 수면 위에서의 균형 상태가 안정적이고, 방향 전환 제어 또한 가능하다.Second, despite the manual application of driving force, the balance on the water surface is stable and the direction change control is also possible.

셋째, 동력 전달부의 구성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강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Third, a strong propulsion force can be obtained with a small force by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넷째, 스핀 바디 상의 걸림턱 구성에 의해, 추진력을 얻기 위한 스핀 바디의 회전 제어가 한층 용이해지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적합한 조절 역시 가능해진다.Fourth, the locking jaw configuration on the spin body makes it easier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spin body to obtain the propulsion force, and the adjustment suitable for the user's body size is also possible.

다섯째,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신체 조절 능력 등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패들 각도 제한 수단에 의해 더욱 안정적인 수면 이동이 가능해진다. Fifth, more stable sleep movement is possible by the paddle angle limiting means tha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ize, body control ability, and the like.

여섯째, 스핀 보드와 메인 보드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 수단에 의해 추진력을 얻기 위한 스핀 보드의 회동 제어가 원활해진다.Sixth, the rotation control of the spin board for obtaining propulsion is smoothed by the bearing means interposed between the spin board and the main board.

일곱째, 초보자들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Seventh, even beginners can easily us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력 보드의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부력 보드의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부력 보드의 상부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부력 보드 작동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부력 보드의 작동 상태에 따른 패들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oyancy board for playing with wa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oyancy board of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oyancy board of FIG. 1 as viewed from below;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upper direction of the buoyancy board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of the buoyancy board operating state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paddle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buoyancy board of FIG.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 보드의 사시도로서, 용법에 따라 물에 띄워 사용할 경우 수면에 닿는 방향을 하부, 반대 방향을 상부라 할 때, 상부 방향에서 바라본 형태를 나타낸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oyancy 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in the water floating in accordance with the usage shows the direction seen from the upper direction when the direction of contact with the water surface, the lower direction, the upper direction.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부력 보드의 경우, 분리 가능한 두 부분인 메인 바디(10)와 스핀 바디(20)로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Through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in the case of the buoyancy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it consists of a main body 10 and the spin body 20, which are two separate parts.

한편, 상기 스핀 바디(20)는 상기 메인 바디(10)에 대해 회동되는 구조로 장착되는데, 이에 대한 구조는 후에 도 3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in body 20 is mounted in a structure that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the structure thereof can be confirmed later through FIG.

상기 메인 바디(10)는, 압축 스티로폼과 같은 고분자 수지 폼이나, 속이 공기로 찬 튜브형 보드 등과 같은 높은 부력을 구비한 소재로 제조되는데, 우레탄폼이나 PVC 폼의 내부재, 유리 섬유 및 수지의 외피재 등으로 구성된 복합재로 제조되는 서핑 보드용 소재와 같은 주지의 소재가 본 발명의 메인 바디(10)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그 밖의 주지의 부력 도구용 소재 역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buoyancy, such as a polymeric resin foam such as compressed styrofoam, or a tubular board filled with air, and an inner material of urethane foam or PVC foam, an outer shell of glass fiber, and a resin. Known materials such as surfboard materials made of composites made of ash may be applied to the main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well-known buoyancy tool materials may also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또한, 상기 메인 바디(10)는, 수면 위에서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넓은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is preferably made of a panel form as shown in order to secure a large area for the user to ride on the surface of the water.

스핀 바디(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의 상부 방향에 장착된다.The spin body 20 is moun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스핀 바디(20)는 추진력을 얻기 위해 사용자가 메인 바디(10) 위에서 좌, 우로 반복적으로 회동시키는 컨트롤 패널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 부분인데, 스핀 바디(20)의 회동 조작시 미끄러짐 등을 방지하고 용이한 회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부면에 걸림턱(25)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in body 2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a role of a control panel that the user repeatedly rotates to the left and right on the main body 10 to obtain a driving force, and prevents slipping and the like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pin body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step 25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to allow easy rotation operation.

걸림턱(25)의 구체적 구성 및 부가적 기능에 대해서는 후에 도 4를 참조하여 다시 언급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unctions of the locking step 25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도 1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부력 보드의 상부에 장착된 파지수단(27)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 보드 상에서 선 자세로 제어가 어려운 초보자나, 장시간 사용으로 지친 사용자들이 엎드린 자세로 탑승시 손으로 파지하여 보드 사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부분이다.Through Figure 1, the gripping means 27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rmed. This is a part that makes it difficult for a beginner or a user who is difficult to control in a standing posture on a buoyancy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grip the hand by hand when boarding in a prone position for easy board use.

한편, 용법에 따라 물에 띄워 사용할 경우 추진력에 의해 전진하는 방향을 선단부라 할 때, 메인 바디(10)의 선단부로부터 플렉서블한 케이블을 경유하여 연결된 연결 고리(17) 또한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 보드의 탑승자가 탑승 상태에서 잡고 중심을 유지하거나, 손목 등에 걸어 놓음으로써 부력 보드로부터 넘어져 이탈하게 되는 등의 상황에서 부력 보드가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used in the water floating in accordance with the usage whe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propulsive force is called the front end, it can also check the connecting ring 17 connected via a flexible cable from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10, which is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art that can function to prevent the buoyancy board from floating in the situation such that the occupant of the buoyancy board according to the holding state in the boarding state, or fall off from the buoyancy board by hanging on the wrist, etc. It is preferred that this is configured to be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 보드를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동력 전달 및 패들 관련 구조를 나타낸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oyancy 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downward direction, illustrating a power transmission and paddle related structure.

메인 바디(10)의 하부에는 패들(30)이 장착되고, 패들(30)은 전술한 스핀 바디(20)와 동력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스핀 바디(20)가 회동하게 되면, 패들(30) 역시 회동하게 된다. 상세한 동력 전달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The paddle 30 is mounted under the main body 10, and the paddle 30 is dynamically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spin body 20. Therefore, when the spin body 20 rotates, the paddle 30 also rotates. Detailed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이론적으로 패들(30)은 스핀 바디(20)의 회동 범위에 따라 36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수면 위에서의 균형 유지와 안정적인 이동 조작을 위해서는 패들(30)의 회동 각도 범위가 일정하게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oretically, the paddle 3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360 ° according to the rotation range of the spin body 20. The rotation angle range of the paddle 30 is constant for maintaining balance and stable movement on the water surface. Is preferably limited.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패들 각도 제한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바디(10)의 하부 면에 형성된 체결공(15)과, 상기 체결공(15)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각도 제한 돌기(14)로 구성된 패들 각도 제한 수단을 제안한다.The paddle angle limiting means to enable th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stening hole 15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angle limiting projection 14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5 We propose a paddle angle limiting means consisting of.

상기 각도 제한 돌기(14)는 패들(30)의 경로상에 위치하여 패들(3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의 하부면 상의 대칭적인 위치에 각각 장착되어 패들(30) 회동 범위를 균형 있게 유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ngle limiting projection 14 is located on the path of the paddle 30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paddle 30, as shown in Figure 2 in a symmetrical posi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Each paddle 3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maintain a balanced range of rotation.

더욱이, 상기 각도 제한 돌기(14)가 체결되는 체결공(15)들을,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들(30)의 회동 경로상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각도 제한 돌기(14)의 체결 위치 변경에 의해 패들(30)의 회동 각도 제한 범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Furthermore, by forming the fastening holes 15 to which the angle limiting protrusions 14 are fastened to various positions on the rotation path of the paddle 30 as shown, the paddles may be changed by changing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angle limiting protrusions 14. It is also preferable to comprise so that the rotation angle limitation range of (30) can be changed.

한편, 도 2를 통해 상기 패들(30)은 제1 스프라킷(51), 제2 스프라킷(52), 체인(53) 등으로 구성된 동력 전달부를 경유하여 스핀 바디(20)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게 되는 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의 이점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먼저 언급할 것은, 부력 보드의 균형 유지 측면에서 스핀 바디(20)의 회전 중심은 부력 보드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부력 보드 전체에 걸쳐 고른 추진력의 부여를 위해서는 패들(30)이 선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Meanwhile, through FIG. 2, the paddle 30 is powered from the spin body 20 via a power transmission unit consisting of a first sprocket 51, a second sprocket 52, a chain 53, and the lik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tructure is received, there are a number of advantages of such a structure, among the first to mention,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pin body 20 in terms of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buoyancy board in the center of the buoyancy board While it is desirable to position it, it is desirable that the paddle 30 is located close to the tip for imparting even propulsion throughout the buoyancy board.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는 동력 전달부를 통해 부력 보드의 선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패들(3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구성하기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such a structure has an advantage of facilitating the construction of a structure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paddle 30 is located close to the front end of the buoyancy board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의 분해 사시도로서, 하부 방향에서 바라봄으로써 스핀 바디(20)로부터 패들(30)에 이르는 동력 전달 경로의 구성을 명확하게 나타낸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oyancy board for playing in water having a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lear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transmission path from the spin body 20 to the paddle 30 by looking downward. To indicate.

스핀 바디(20)의 회동에 의한 동력은, 상부 일단이 상기 스핀 바디(20)에 고정되고, 메인 바디(10)의 상,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40)을 경유하여 메인 바디(10)의 하부로 타단이 노출되는 회전축(55)에 의해 하부 구조에 전달된다.Power by the rotation of the spin body 20,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spin body 20, the main body 10 via the through hole 40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It is transmitted to the lower structure by the rotary shaft 55 is exposed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end.

도 3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55)의 타단은 패들(3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의 일 구성 부분인 제1 스프라킷(51)에 직접적으로 고정된다.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haft 55 is directly fixed to the first sprocket 51,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paddle 30.

스프라킷은 체인 기어라고도 하며, 체인(53)을 경유하여 비교적 멀리 떨어진 위치의 다른 스프라킷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기어의 일종이다.The sprocket is also called a chain gear, and is a kind of gear that can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another sprocket at a relatively distant position via the chain 53.

앞서 도 2를 통하여 설명한 이유로 인하여, 패들(30)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 보드의 선단부 하부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위치하는데, 제1 스프라킷(51)은 관통공(40) 및 회전축(55)이 위치하는 부력 보드의 중앙부 하부에 위치하여, 스핀 보드(20)-회전축(55)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체인(53)을 경유하여 상기 패들(30)이 고정된 선단부의 제2 스프라킷(52)에 전달한다.For the reas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 2, the paddle 30 is located in the rotatable structure in the lower end of the buoyancy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procket 51 is a through hole 40 and the rotating shaft 55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buoyancy board is located, the second sprocket of the distal end of the paddle 30 is fixed to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spin board 20-the rotating shaft 55 via the chain 53 ( 52).

패들(30)은 도 2 및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프라킷(52)의 하부면에 일체형 구조로 고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 스프라킷(52)의 좌, 우 반복적인 회동 움직임에 의해 부채꼴 궤적의 노젓기 움직임을 수행한다. As the paddle 30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procket 52 in an integrated structur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left and right repetitive rotational movements of the second sprocket 52 are performed. Perform the rowing movement of the sector locus by.

따라서, 메인 보드(10)의 상부에서 스핀 보드(20)를 좌, 우 반복적으로 움직임과 동시에, 메인 보드(10)의 하부에서는 패들(30)의 노젓기 움직임이 시작되고, 이로 인한 추진력으로 인해 부력 보드는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Therefore, the spin board 20 is repeatedly moved left and right 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ard 10, and the rowing movement of the paddle 30 is start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ard 10, thereby causing buoyancy. The board will move forward.

한편, 관통공(40) 내에서의 회전축(55)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관통공(40)의 내측면과 회전축(55)의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용 베어링(56)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moothly rotate the rotating shaft 55 in the through hole 40, the rotating shaft bearing 56 is shown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40 and the rotating shaft 55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o interpose.

또한, 각도 제한 돌기(14)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도 3을 통해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각도 제한 돌기(14)와 다수의 체결공(15)과의 탈착 구조 또한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패들(30)의 회동 각도를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데, 회동 각도 제한의 범위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신체 조절 능력 등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at the detachable structure of the angle limiting protrusion 14 and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5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is illustrated in FIG. 3, in which the angle limiting protrusion 14 is separated. . Through this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paddle 30, the range of the rotation angle limitation can be free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ize, body control ability and the like.

한편, 스핀 바디(20)와 패들(30) 사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력 전달부를 구성하는 또 다른 이점을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advantage of configuring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as shown between the spin body 20 and the paddle 30 will be described.

스프라킷을 포함한 기어와 같은 동력 전달 수단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전술한 이점 이외에도, 상황에 따라 입력부로부터 출력부에 전달되는 힘을 증폭하거나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advantages of transmitting power to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ower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gear including a sprocket may perform a function of amplifying or reducing a force transmitted from an input unit to an output unit according to a situation. .

일반적으로 감속 기어 구조의 경우, 출력부에서의 회전수는 입력부에서의 회전수에 비해 감소하면서도, 출력 자체는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the reduction gear structure, the rotation speed at the output is reduced compared to the rotation speed at the input, but the output itself is increased.

이는, 출력부에 위치하는 기어의 지름을 입력부에 위치하는 기어의 지름에 비해 크게 하거나, 맞물리는 기어 산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부력 보드의 동력 전달부 또한 감속 기어의 구조로 조합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스핀 보드(20)를 회동시켜도 동시에 회동되는 패들(30)에서는 상대적으로 강한 힘이 출력되어 높은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This is achieved by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gear located in the output section relative to the diameter of the gear located in the input section, or by increasing the number of interlocking gear peaks. By combining the structure, the paddle 30, which is rotated at the same time even when the spin board 20 is rotated with a small force, can be configured so that a relatively strong force is output to obtain a high propulsion force.

이는, 강한 추진력을 내는 부력 보드라도 작은 힘으로 수월하게 구동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들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단 기어 자전거에서와 같이 다수의 전환 가능한 스프라킷들을 구비함으로써, 기어 변경이 가능하게 구성된 동력 전달부 또한 본 발명의 부력 보드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is means that even a buoyancy board that exhibits a strong propulsion force can be easily driven with a small force,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witchable switch as in a multi-stage gear bicycle. By having the plaques, a power transmission configured to allow a gear change can also be applied to the buoyancy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를 상부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oyancy board for playing with wa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top direction.

도 4는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핀 바디(20) 상에서 장착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좌측 걸림턱과 우측 걸림턱의 두 개로 구성된 걸림턱(25)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4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jaw 25, which consists of two sides, the left locking jaw and the right locking jaw, which are detachably configured to freely change the mounting position on the spin body 20.

걸림턱(2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핀 바디(20)의 회동 조작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용이한 회동 조작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 바디(20)의 상면 상으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jaw 25 has a structure that protrudes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spin body 20 to prevent slippage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pin body 20 and to facilitate the rotation operation.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선 자세에서 양 발이 각각의 걸림턱(25)에 걸칠 수 있도록 좌측 걸림턱과 우측 걸림턱이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편안하게 선 자세가 될 수 있도록, 양 걸림턱(25)의 상호 이격 폭은 체결 수단(22)을 이용해 옮겨가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eft locking jaw and the right locking jaw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both feet can be caught on the respective locking jaws 25 in the passenger's standing position. In order to be in a comfortable posture according to the body size, the mutually spaced width of the two locking jaw 25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removable by moving using the fastening means 22.

한편, 메인 바디(10)의 상부면과 스핀 바디(20)의 하부면, 즉 상호 마주보는 면 사이에는, 스핀 바디(20)의 회동시 면과 면의 접촉에 의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은 베어링 수단(16)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pin body 20, that is,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it is shown to minimize the friction caus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surface and the surface during the rotation of the spin body 20 It is preferable to interpose the bearing means 16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서 베어링 수단(16)이란, 면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는 구체나 원통체를 구비한 수단을 의미하는 용어로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베어링 수단(16)은 스핀 바디(20)의 회동 방향에 나란하게 회전되는 롤링 휠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ring means 16 is a term that means a means having a sphere or a cylindrical body that can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slide movement of the surface,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bearing means 16 is a spin body It consists of the structure of the rolling wheel which rotates side by si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20).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는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하부에서 바라봄으로써 스핀 보드의 움직임에 따른 패들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5 to 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uoyancy board for playing with a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top, Figure 6 is a view of the spin board from the bottom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ddle move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 바디(20)는 메인 바디(10)의 상부면 상에서 상기 베어링 수단(16)의 도움을 받아 미끄러지듯이 슬라이드 회동된다.As shown in FIG. 5, the spin body 20 is slidably rot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with the aid of the bearing means 16.

구조적으로는, 상기 스핀 바디(20)는 메인 바디(10)에 대해 360˚회전도 가능하나, 전술한 패들 각도 제한 수단에 의해 그 회동 각도는 일정 범위 내로 제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들(30)과, 메인 바디(10)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각도 제한 돌기(14), 체결공(15)으로 이루어진 패들 각도 제한 수단에 의해 회동 각도가 제한 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와 같은 회동 각도의 제한 수단은 스핀 바디(20)와 메인 바디(10)의 상부면상에 특정 구조를 형성하는 등의 방법으로(예를 들어 회동시 스핀 바디(20)의 돌출부분을 저지하는 메인 바디(10) 상의 저지수단과 같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Structurally, the spin body 20 can be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but the rotation angle is limi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paddle angle limiting mean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angle of rotation is limited by the paddle 30, the paddle angle limiting means consisting of the angle limiting projection 14, the fastening hole 15, which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means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is to form a specific structu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in body 20 and the main body 10 (for example, to prevent the protrusion of the spin body 20 during rotation). It may be made in various ways (such as a blocking means on the main body 10).

한편, 도 6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은 스핀 바디(10)의 반복적인 회동 움직임에 의해 함께 회동되는 패들(30)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패들(30)의 회동 경로상에서 돌출된 각도 제한 돌기(14)에 의해 회동 범위가 제한되는 구조 또한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Meanwhile, in FIG. 6, it is possible to check the movement of the paddle 30 rotated together by the repeated rotational movement of the spin body 10 as in FIG. 5. In addi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on range is limited by the angle limiting protrusion 14 protruding on the rotation path of the paddle 30 can also be clearly understood.

도 5와 도 6을 통해, 스핀 바디(10)가 좌, 우 반복적으로 회동될 때 패들(30)이 어떤 방식으로 물을 밀어내는 노젓기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부력 보드가 추진력을 얻게 되는지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력 보드를 사용하여 수면 위에서의 이동할 경우 어떻게 방향 전환이 가능한지에 대한 부분 또한 설명한다.5 and 6, the buoyancy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thrust by how the paddle 30 pushes water when the spin body 10 is repeatedly rotated left and right. Can be clearly understood. In addition, it also describes how the direction can be changed when moving on the surface using the buoyancy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와 같이 스핀 바디(10)가 좌, 우로 회동되어 패들(30)이 좌, 우로 물을 밀면서 추진력을 얻게 되는 경우, 메인 바디(10)는 전체적으로 앞 방향으로 이동하면서도, 그 선단부는 회동 방향에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조금씩 쏠리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spin body 10 is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to obtain the driving force while the paddle 30 pushes the water to the left and right, the main body 10 moves forward as a whole, while the front end thereof is rotated. Depending on the left and right will be inclined little by little.

좌, 우의 반복적인 회동력이 동일하게 가해진다고 할 때에는, 선단부의 반복적인 쏠림 현상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부력 보드는 평균적으로 직선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지만, 어느 한 방향, 예컨대 좌측 방향의 회동력을 강하게 가하고(순간적으로 강하게 회전시킴) 우측 방향의 회동력을 약하게 가하는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고 가정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부력 보드는 서서히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same rotational force of left and right is applied equally, the buoyancy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average, advances in a straight line in spite of the repeated tilting of the tip portion, but the rotational force of either direction, for example, the left direction, is applied. When the force is strongly applied (rotated momentarily strongly) and the vehicle continuously performs the operation of weakly applying the turning force in the right direction, the buoyancy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radually moves to the left side.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력 보드를 이용할 경우, 외력의 도움 없이도 자력에 의해 추진력을 얻어 수면 위에서의 이동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별도의 조타 수단 없이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까지 가능해진다.
Using this principle, when using the buoyancy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ve on the surface by obtaining a driving force by the magnetic force without the help of external force, as well as to move in the desired direction without a separate steering means Becom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shown and described.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modifications and changes, and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regarded a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메인 바디 14: 각도 제한 돌기
15: 체결공 16: 베어링 수단
17: 연결 고리 20: 스핀 바디
22: 체결 수단 25: 걸림턱
27: 파지 수단 30: 패들
40: 관통공 51: 제1 스프라킷
52: 제2 스프라킷 53: 체인
55: 회전축 56: 회전축용 베어링
10: main body 14: angle limit projection
15: fastener 16: bearing means
17: linkage 20: spin body
22: fastening means 25: locking jaw
27: holding means 30: paddle
40: through hole 51: first sprocket
52: second sprocket 53: chain
55: rotating shaft 56: bearing for the rotating shaft

Claims (11)

보드 형태로 구성되어 물에 띄워 타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물놀이용 부력 보드로서,
고분자 수지 폼과 같은 높은 부력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패널 형태의 메인 바디(10);
용법에 따라 물에 띄워 사용할 경우 수면에 닿는 방향을 하부, 반대 방향을 상부라 할 때, 상기 메인 바디(1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 바디(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관통공(40);
상기 관통공(4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회전축(55);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면이 상기 회전축(55)의 상부측 일단에 고정되는 구조로 상기 메인 바디(10)의 상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회전축(55)을 경유하여 상기 메인 바디(10)의 상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스핀 바디(20);
상기 스핀 바디(20)의 회동에 의해 함께 회동되도록, 일단이 상기 스핀 바디(20)에 고정된 상기 회전축(55)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바디(10)의 하부측에 장착된 패들(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
It is a buoyancy board for playing in the form of a board and can be used in a floating way.
A main body 10 in the form of a panel including a high buoyancy material such as a polymeric resin foam;
In the case of floating in water according to the usage, when the direction of contact with water is lower, the opposite direction is upper,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0 penetrat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Ball 40;
A rotation shaft 55 rotatab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anel, the lower surface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side of the rotation shaft 55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by way of the rotation shaft 55 of the main body 10 A spin body 20 rotatably connected at the top;
Paddle 30,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haft 55 fixed to the spin body 20,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rotate together by the rotation of the spin body 20 Buoyancy board for playing with wat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55)의 타단과 상기 패들(30)의 연결부에는, 동력 전달 수단들로 구성된 동력 전달부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
The buoyancy boar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55)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addle (30) are interposed with a power transmission unit composed of power transmission mea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직접 맞물리거나 그 밖의 다른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
3. The buoyancy board for water playing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comprises at least two gears which are directly engaged or connected by other power transmission means.
제 3 항에 있어서, 용법에 따라 물에 띄워 사용할 경우 추진력에 의해 전진하는 방향을 선단부라 할 때,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회전축(55)이 연결된 동력 입력부에 비해 상기 패들(30)이 연결된 동력 출력부가 상기 선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floating in the water according to the usage whe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propulsive force when the tip por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he power to which the paddle 30 is connected compared to the power input unit to which the rotation shaft 55 is connected A buoyancy board for playing with water, characterized in that an output portion is located close to the tip portion.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감속 기어의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스핀 바디(20)에서 입력된 동력에 비해 상기 패들(30)로의 출력이 더 큰 힘을 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is made of a structure of the reduction gear, the output to the paddle (30) compared to the power input from the spin body 20 is configured to exert a greater force A buoyancy buoyancy board having a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 바디(20)는, 상기 메인 바디(10) 상에서의 회동 제어가 용이하도록 상부면 상에 장착된 걸림턱(25)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
The spin body (2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pin body (20) further comprises a locking jaw (25) mounted on an upper surface to facilitate rotation control on the main body (10). A buoyancy buoyancy board having a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5)은, 사용자가 상기 스핀 바디(20)의 상부 면 상에 기립한 상태에서 양 발이 각각 닿는 위치에 형성된 좌측 걸림턱(25)과 우측 걸림턱(25)의 두 개로 구성되며, 체결 수단에 의하여 착탈 및 상호 이격 폭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
The left locking jaw 25 and the right locking jaw 25 of claim 6, wherein the locking jaw 25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both feet touch each other while the user stand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in body 20. It is composed of two,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by the fastening means detachable and adjustable mutually adjustable width, buoyancy buoyancy board having a propulsion device.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들(3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패들(30) 각도 제한 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
The buoyancy buoyancy boar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urther comprising paddle 30 angle limiting means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paddle 30.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들(30) 각도 제한 수단은, 상기 메인 바디(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체결공(15)과, 상기 체결공(15)에 삽입 방식으로 착탈 가능한 각도 제한 돌기(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결공(15)은 상기 패들(30) 회동의 경로 상에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각도 제한 돌기(14)와의 체결 위치 변경에 따라 상기 패들(30)의 회동 각도 제한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
The angle limiting means of the paddle 30, the fastening hole 15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angle limiting projection (detachable by inserting into the fastening hole 15) ( 14), and the fastening hole 15 is formed on at least two fastening paths of the paddle 30, the paddle 30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fastening position with the angle limiting projection (14) A buoyancy buoyancy board having a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limiting range of.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와 상기 스핀 보드의 상호 마주보는 면 사이에는, 상기 스핀 보드의 회동으로 인한 면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베어링 수단(16)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
The bearing means (16)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 bearing means (16) is provided between the surfaces of the main board and the spin board that face each other so as to minimize friction between the surfaces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spin board. Buoyancy board for playing with w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pulsion device.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엎드려 탈 경우 사용할 수 있는 파지 수단(27)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
The buoyancy board for water pla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urther comprising a holding means (27) which can be used when lying down.
KR1020110023255A 2011-03-16 2011-03-16 Buoyant board including propulsion device KR201201056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255A KR20120105673A (en) 2011-03-16 2011-03-16 Buoyant board including propuls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255A KR20120105673A (en) 2011-03-16 2011-03-16 Buoyant board including propuls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673A true KR20120105673A (en) 2012-09-26

Family

ID=4711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255A KR20120105673A (en) 2011-03-16 2011-03-16 Buoyant board including propuls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567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099A (en) 2017-11-21 2019-05-29 김광재 Inflatable electric bo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099A (en) 2017-11-21 2019-05-29 김광재 Inflatable electric 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6401B2 (en) Personal watercraft
US20140017963A1 (en) Paddleboard and paddle devices and systems
JPH0794235B2 (en) Boat and its drive mechanism
US6764363B2 (en) Upright human floatation apparatus and propulsion mechanism therefor
US9254895B2 (en) Water bicycle and water bicycle drive housing
US7121910B2 (en) Upright human floatation apparatus and propulsion mechanism therefor
WO2005082705A1 (en) Towable recreational water board
KR20160075030A (en) Personal marine leisure apparatus having direction forwarding row
KR200452872Y1 (en) Winner bicycle
US5462001A (en) Towed watercraft and steering method
US10472027B1 (en) Water riding apparatus
KR20120105673A (en) Buoyant board including propulsion device
KR200473593Y1 (en) Pedal boat
KR101852948B1 (en) Noneelectric device for a rippling
US6533621B1 (en) Swimming device
KR200412446Y1 (en) Leisure boat for us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JP7432232B2 (en) Leg kick propelled water boat
JP2019189197A (en) Water surface propulsion device
JP2002012197A (en) Water-borne stilt device
KR200456101Y1 (en) Multipurpose apparatus for rippling of water
AU2007201487B2 (en) Propeller driven device
WO2002032754A1 (en) Improved manpower propulsion device of buoyancy for leisure
KR200273215Y1 (en) Transferable embodiment on water
KR200320650Y1 (en) rippling of water utensil for nothing power
KR101750780B1 (en) Water bicycle for lei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