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591A -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591A
KR20120105591A KR1020110020261A KR20110020261A KR20120105591A KR 20120105591 A KR20120105591 A KR 20120105591A KR 1020110020261 A KR1020110020261 A KR 1020110020261A KR 20110020261 A KR20110020261 A KR 20110020261A KR 20120105591 A KR20120105591 A KR 20120105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content
web
application
information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2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5591A/ko
Publication of KR20120105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는 등록된 웹 콘텐츠 각각에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및 식별 코드를 매핑하는 웹 콘텐츠 등록부,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상기 매핑된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Hybrid App)을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EB CONTENTS}
본 발명은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드 기반의 URL 관리를 통하여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로 인하여, 스마트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들이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 이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무료 또는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앱 스토어(Application Store)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스마트폰에 다운로드하게 된다.
만일, 기존에 다운로드했던 애플리케이션이 갱신된 경우, 스마트폰 자체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기능이 업데이트되어야 하는데, 이때,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에 소요되는 시간과 필요한 데이터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어,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때마다 큰 불편함을 겪어야 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웹 콘텐츠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URL 주소만 변경하도록 하여, 사용자 측면에서는 업데이트가 빠르고, 개발자 측면에서는 웹 콘텐츠의 변경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단일 웹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통해, 다양한 웹 콘텐츠의 사용이 가능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는 등록된 웹 콘텐츠 각각에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및 식별 코드를 매핑하는 웹 콘텐츠 등록부,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상기 매핑된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Hybrid App)을 생성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웹 콘텐츠가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실행되면,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웹 콘텐츠에 매핑된 식별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이력을 관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부는 상기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URL 주소를 상기 각 URL 주소에 대응하는 아이콘으로 표시하되, 상기 아이콘을 인기도 순서, 카테고리 별, 최신 업데이트 순서, 스폰서의 스폰서 금액 순서 또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가 설정한 순서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웹 콘텐츠 등록부는 상기 등록된 웹 콘텐츠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상기 매핑된 URL 주소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부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될 때마다, 새롭게 업데이트된 URL 주소를 포함하는 상기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웹 콘텐츠 등록부는 상기 웹 콘텐츠의 등록 정보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의 생성을 위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에 대응하는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매핑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웹 콘텐츠의 등록을 위해서 상기 등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입력 박스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웹 콘텐츠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웹 콘텐츠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및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제 1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b)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 별로, 상기 제 1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 2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c) 제 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인증된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정보와 상기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 3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 3 아이콘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등록 요청에 포함된 상기 웹 콘텐츠의 등록 정보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의 생성을 위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URL 주소와 매핑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상기 웹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웹 콘텐츠에 대응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요청을 제 1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서버로부터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웹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 그룹을 표시하는 단계, (d) 상기 복수의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e)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매핑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를 제 2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경우, 인증된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웹 콘텐츠의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이용자 맞춤형으로 다양한 웹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웹 콘텐츠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URL 주소만 변경하면 되므로, 사용자 측면에서는 업데이트가 빠르고, 개발자 측면에서는 웹 콘텐츠의 변경이 용이하다.
또한, 단일 웹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통해, 다양한 웹 콘텐츠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웹 콘텐츠의 리스트 노출을 이용한 별도의 수익 모델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메타 코드 및 의미 기반 코드 연동을 통한 웹 기반의 N 스크린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의미 기반 코드가 모바일, RFID, EFC, USN, 바코드 시스템 등에서 활용되는 표준 체계와 호환이 가능하여, 각각의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콘텐츠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콘텐츠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콘텐츠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콘텐츠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에서의 웹 콘텐츠 제공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참고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웹 콘텐츠 등록 단말기(110) 및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 및 웹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130)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웹 콘텐츠 등록 단말기(110)는 웹 콘텐츠 제공 서버(130)에 접속하여, 웹 콘텐츠가 서비스 될 수 있도록 등록을 요청한다.
이를 위해 웹 콘텐츠 등록 단말기(110)는 웹 애플리케이션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웹 콘텐츠 제공 서버(130)로부터 수신하고,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웹 콘텐츠 등록 정보를 웹 콘텐츠 제공 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인터페이스는 해당 웹 콘텐츠을 이용하기 위한 웹 서버의 URL 주소, 해당 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 개인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 웹 콘텐츠의 종류(카테고리)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웹 콘텐츠를 관리하는 기관에 대한 정보 등을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는 해당 웹 콘텐츠를 생성한 국가, 지역, 회사 및 해당 웹 콘텐츠를 배포하는 콘텐츠 프로바이더(Contents Provider;CP)에 대한 정보 등을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웹 콘텐츠 등록 단말기(110)는 등록된 웹 콘텐츠가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된 웹 콘텐츠를 웹 콘텐츠 제공 서버(130)로 전송하여, 업데이트된 웹 콘텐츠가 서비스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웹 콘텐츠 등록 단말기(11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에 접속하여 웹 콘텐츠 등을 등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및 디스플레이 장치(TV)를 포함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셋탑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웹 콘텐츠 등록 단말기(110)가 접속되어 웹 콘텐츠의 등록을 요청하면, 웹 콘텐츠 등록 단말기(110)로 웹 콘텐츠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웹 콘텐츠 등록 단말기(110)로부터 웹 콘텐츠 등록을 위한 ‘웹 콘텐츠 등록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웹 콘텐츠를 등록하고, 등록된 웹 콘텐츠에 URL 주소 및 식별 코드를 매핑하여 웹 콘텐츠 DB(미도시)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수신된 웹 콘텐츠 등록 정보로부터 식별 코드의 생성을 위한 정보를 추출하는데,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추출된 각 정보에 대응하는 코드를 조합하여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
이때,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제 1 식별 코드 그룹 및 제 2 식별 코드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 1 식별 코드 그룹 및 제 2 식별 코드 그룹을 조합하여 식별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식별 코드 그룹은 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 정보, 개인 인증 정보, 웹 콘텐츠의 종류(카테고리) 및 웹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코드의 생성 주체, 즉, 웹 콘텐츠의 관리 주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식별 코드 그룹을 ‘메타 코드’라 칭하도록 한다.
또한, 제 2 식별 코드 그룹은 웹 콘텐츠를 생성한 국가, 지역, 회사, 웹 콘텐츠를 배포하는 콘텐츠 프로바이더(Contents Provider;CP) 및 웹 콘텐츠의 아이디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EPC, SGTIN, Mobile RFID Code 등과 같은 의미 기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식별 코드 그룹을 ‘의미 기반 코드’라 칭하도록 한다.
이후,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URL 주소 및 식별 코드가 매핑된 웹 콘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이하, ‘제 1 아이콘’이라 칭함)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앱 스토어(Application store)와 같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곳에 업로드하여, 이용자들이 제 1 아이콘을 다운로드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등록된 웹 콘텐츠에 매핑되는 식별 코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웹 콘텐츠의 등록이 요청될 때, 웹 콘텐츠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고, 식별 코드의 일부 또는 전체가 미리 생성되어 웹 콘텐츠 등록 시 해당 웹 콘텐츠에 매핑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웹 콘텐츠의 등록이 요청될 때, 웹 콘텐츠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 코드가 생성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웹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이하, ‘이용자 단말기’라 칭함)(130)가 특정 웹 콘텐츠를 실행하는 경우, 해당 이용자 단말기(130)로부터 해당 웹 콘텐츠에 매핑된 식별 코드, 즉, 메타 코드와 의미 기반 코드를 수신한다.
이후,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메타 코드와 의미 기반 코드를 분석하여, 각 이용자가 웹 콘텐츠를 이용한 이용자 단말기(130)의 종류, 개인 인증 정보, 웹 콘텐츠의 종류(카테고리) 및 웹 콘텐츠의 아이디 등을 저장함으로써, 각 이용자의 웹 콘텐츠에 대한 ‘이용 이력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참고로, 개인 인증 정보는 해당 이용자의 거주 지역, 나이, 취미, 직업 및 웹 콘텐츠에 대한 접속 이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이용자 단말기(130)로부터 맞춤형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이용자의 이용 이력 정보와 웹 콘텐츠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웹 콘텐츠에 매핑된 URL 주소를 복수개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Hybrid Application)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복수개의 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URL 주소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용자 단말기(130)에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웹 콘텐츠와 매핑된 URL 주소를 포함하는 아이콘, 즉 제 1 아이콘이 복수개 표시될 수 있다.
참고로,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복수의 제 1 아이콘을 카테고리 별로 그룹핑한 제 2 아이콘을 생성하고, 복수의 제 2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 3 아이콘인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앱 스토어(Application store)와 같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곳에 업로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참고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 선택 시, 이용자 단말기(130)의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제 1 아이콘을 배열하는데 있어서,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인기도 순서, 카테고리 별, 최신 업데이트 순서, 스폰서의 스폰서 금액 순서 또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가 설정한 순서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용자 단말기(130)는 앱 스토어(Application store)와 같은 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웹 애플리케이션(제 1 아이콘) 또는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제 3 아이콘)를 다운로드한다.
이후, 다운로드된 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이용자 단말기(130)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아이콘에 매핑된 URL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한다.
이후, 이용자 단말기(130)는 해당 웹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고, 해당 웹 콘텐츠에 매핑된 식별 코드, 즉, 메타 코드와 의미 기반 코드를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로 전송한다.
이때, 다운로드 된 애플리케이션이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이용자 단말기(130)는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 2 아이콘 또는 제 1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고, 최종적으로 선택된 아이콘에 매핑된 URL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참고로, 이용자 단말기(13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에 접속하거나, 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앱 스토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이용자 단말기(130)는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및 디스플레이 장치(TV)를 포함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셋탑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21), 웹 콘텐츠 등록부(122), 이용 이력 관리부(123),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부(124) 및 웹 애플리케이션 전송부(125)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인터페이스 제공부(121)는 웹 콘텐츠 등록 단말기(110)가 접속되어 웹 콘텐츠에 대한 등록을 요청하면, 웹 콘텐츠 등록 단말기(110)로 웹 콘텐츠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은 도 1은 참조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웹 콘텐츠 등록부(122)는 웹 콘텐츠 등록 단말기(110)로부터 웹 콘텐츠 등록을 위한 ‘웹 콘텐츠 등록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웹 콘텐츠를 등록하고, 등록된 웹 콘텐츠에 URL 주소 및 식별 코드를 매핑하여 웹 콘텐츠 DB(미도시)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웹 콘텐츠 등록부(122)는 수신된 웹 콘텐츠 등록 정보로부터 식별 코드 생성을 위한 정보를 추출하는데, 추출된 각 정보에 대응하는 코드를 조합하여 메타 코드 및 의미 기반 코드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
또한, 웹 콘텐츠 등록부(122)는 등록된 웹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 1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때, 웹 콘텐츠 등록부(122)는 등록된 웹 콘텐츠에 매핑된 URL 주소 및 식별 코드를 포함하여 제 1 아이콘을 생성한다.
한편, 이용 이력 관리부(123)는 제 1 아이콘이 이용자 단말기(130)에서 선택되면, 이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제 1 아이콘에 포함된 식별 코드를 수신하여 인증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이력을 관리한다.
따라서, 이용 이력 관리부(123)는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이력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부(124)는 복수의 제 1 아이콘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또한,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부(124)는 복수의 제 1 아이콘을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 별로 그룹핑하여 제 2 아이콘을 생성하고, 복수의 제 2 아이콘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 콘텐츠와, 비디오/DVD 대여점 정보를 제공하는 웹 콘텐츠는 ‘영화’라는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으며, 맛집 정보를 제공하는 웹 콘텐츠와 각 음식들의 레시피를 제공하는 웹 콘텐츠는 ‘음식’이라는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부(124)는 ‘영화’, ‘음식’에 대응하는 아이콘(제 2 아이콘)을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제 2 아이콘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만일, 이용자 단말기(130)에서 해당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영화와 음식으로 카테고리가 분류된 제 2 아이콘이 이용자 단말기(130)의 화면에 표시되고, 이 중 음식 카테고리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맛집 정보를 제공하는 웹 콘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제 1 아이콘)과, 각 음식들의 레시피를 제공하는 웹 콘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제 1 아이콘)이 각각 이용자 단말기(13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웹 애플리케이션 전송부(125)는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부(124)에서 생성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자 단말기(130)로 직접 전송하거나, 앱 스토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웹 서버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여, 이용자들이 앱 스토어에서 해당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콘텐츠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참고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흐름도는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의 입장에서 설명한 흐름도이며, 이하,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참조하여 도 3의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웹 콘텐츠 등록 단말기(110)로부터 웹 콘텐츠 등록을 위한 ‘웹 콘텐츠 등록 정보’를 수신한다(S301).
단계 S301 후,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웹 콘텐츠를 등록하고, 등록된 웹 콘텐츠에 URL 주소 및 식별 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302).
이를 위해,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수신된 웹 콘텐츠 등록 정보로부터 식별 코드 생성을 위한 정보를 추출하는데,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추출된 각 정보에 대응하는 코드를 조합하여 메타 코드 및 의미 기반 코드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
단계 S302 후,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단계 S301에서 매핑된 URL 주소 및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제 1 아이콘을 생성한다(S303).
단계 S303 후,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이용자 단말기(130)에서 제 1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이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제 1 아이콘에 포함된 식별 코드, 즉, 메타 코드와 의미 기반 코드를 수신한다(S304).
단계 S304 후,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메타 코드와 의미 기반 코드를 분석하여, 웹 콘텐츠를 이용한 이용자 단말기(130)의 종류, 개인 인증 정보, 웹 콘텐츠의 종류(카테고리) 및 웹 콘텐츠의 아이디 등을 DB에 저장함으로써, 각 이용자의 웹 콘텐츠에 대한 ‘이용 이력 정보’를 관리한다(S305).
여기에서, 개인 인증 정보는 해당 이용자의 거주 지역, 나이, 취미, 직업 및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접속 이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05 후,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이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한다(S306).
단계 S306 후,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해당 이용자의 이용 이력 정보와, 등록된 각 웹 콘텐츠의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1 아이콘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S307).
이때,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복수의 제 1 아이콘을 카테고리 별로 그룹핑하여 제 2 아이콘을 생성하고, 복수의 제 2 아이콘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단계 S307 후,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생성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하거나, 앱 스토어(Application store)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웹 서버로 전송한다(S308).
만일, 앱 스토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웹 서버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이 전송되는 경우, 이용자 단말기(130)는 해당 웹 서버로 접속하여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콘텐츠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는 이용자 단말기(130)의 입장에서 설명한 흐름도이며, 이하,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참조하여 도 4의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이용자 단말기(130)는 앱 스토어(Application store)와 같은 웹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여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S401).
단계 S401 후, 다운로드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이용자 단말기(130)는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제 1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한다(S402).
단계 S402 후,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웹 제 1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이용자 단말기(130)는 선택된 제 1 아이콘에 포함된 URL 주소에 기초하여, 웹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한다(S403).
단계 S404 후, 이용자 단말기(130)는 해당 웹 콘텐츠에 매핑된 식별 코드, 즉, 메타 코드와 의미 기반 코드를 웹 콘텐츠 제공 서버(120)로 전송한다(S404).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에서의 웹 콘텐츠 제공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용자 단말기(130)는 앱 스토어(Application store)에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
이후, 다운로드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이용자 단말기(130)는 선택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제 2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후, 복수의 제 2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이용자 단말기(130)는 선택된 제 2 아이콘에 포함된 복수의 제 1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이용자 단말기(130)는 인기도 순서, 카테고리 별, 최신 업데이트 순서, 스폰서의 스폰서 금액 순서 등으로 제 1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복수의 제 1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이용자 단말기(130)는 선택된 제 1 아이콘에 포함된 URL 주소에 기초하여, 해당 웹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웹 콘텐츠 등록 단말기
120 : 웹 콘텐츠 제공 서버
121 : 인터페이스 제공부
122 : 웹 콘텐츠 등록부
123 : 이용 이력 관리부
124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부
125 : 웹 애플리케이션 전송부
130 : 이용자 단말기

Claims (10)

  1.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등록된 웹 콘텐츠 각각에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및 식별 코드를 매핑하는 웹 콘텐츠 등록부,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상기 매핑된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Hybrid App)을 생성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전송부
    를 포함하는, 웹 콘텐츠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콘텐츠가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실행되면,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웹 콘텐츠에 매핑된 식별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이력을 관리하는 이용 이력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웹 콘텐츠 제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부는 상기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URL 주소를 상기 각 URL 주소에 대응하는 아이콘으로 표시하되, 상기 아이콘을 인기도 순서, 카테고리 별, 최신 업데이트 순서, 스폰서의 스폰서 금액 순서 또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가 설정한 순서로 표시하는, 웹 콘텐츠 제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콘텐츠 등록부는 상기 등록된 웹 콘텐츠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상기 매핑된 URL 주소를 업데이트하는, 웹 콘텐츠 제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부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될 때마다, 새롭게 업데이트된 URL 주소를 포함하는 상기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웹 콘텐츠 제공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콘텐츠 등록부는 상기 웹 콘텐츠의 등록 정보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의 생성을 위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에 대응하는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매핑을 수행하는, 웹 콘텐츠 제공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콘텐츠의 등록을 위해서 상기 등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입력 박스를 포함하는 것인, 웹 콘텐츠 제공 장치.
  8.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웹 콘텐츠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웹 콘텐츠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및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제 1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b)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 별로, 상기 제 1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 2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c) 제 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인증된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정보와 상기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 3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 3 아이콘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웹 콘텐츠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등록 요청에 포함된 상기 웹 콘텐츠의 등록 정보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의 생성을 위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URL 주소와 매핑하는, 웹 콘텐츠 제공 방법.
  10.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웹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웹 콘텐츠에 대응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요청을 제 1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서버로부터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웹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 그룹을 표시하는 단계,
    (d) 상기 복수의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e)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매핑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를 제 2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경우, 인증된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웹 콘텐츠의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인, 웹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110020261A 2011-03-08 2011-03-08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105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261A KR20120105591A (ko) 2011-03-08 2011-03-08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261A KR20120105591A (ko) 2011-03-08 2011-03-08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455A Division KR101418038B1 (ko) 2013-11-28 2013-11-28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591A true KR20120105591A (ko) 2012-09-26

Family

ID=4711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261A KR20120105591A (ko) 2011-03-08 2011-03-08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55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9710B2 (en) System of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using copy/paste function of electronic commerce shopping cart,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20110113232A (ko) 앱스토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028086B2 (en) Techniques for implementing location based device services
CN102710737A (zh) 跨平台服务通知
US20130013419A1 (en) Application execution apparatus, applic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application distribution method using chaining of applications
US20180285855A1 (en) System for proxy payment based on shared electronic commerce shopping cart,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89660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eb contents
US8849801B2 (en) Search system and method using search library
CN101953101B (zh) 解决各功能级别的内容管理
US9569058B2 (en) Method for providing space market widget, market server and user device thereof
JP6615941B2 (ja) 通信端末、コンバージョン計測方法及びコンバージョン計測システム
KR101418038B1 (ko)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684116A (zh) 数据分享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5735722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09478300A (zh) 电子设备、显示方法和程序
KR20120105591A (ko)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6108253B1 (ja) コンテンツ情報提供装置、コンテンツ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029595A (ja) コンバージョン計測方法
KR102062027B1 (ko) 게임 추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870981B1 (ko) 앱 버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80704B1 (ko) 아이콘 기반 애플리케이션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999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연동을 이용한 개인비서 시스템
KR20130082988A (ko) 앱 배치 공간을 활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37802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95374A (ko) 모바일 기기에서의 매쉬업 웹앱 및 위젯 배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