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213A -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213A
KR20120105213A KR1020110022890A KR20110022890A KR20120105213A KR 20120105213 A KR20120105213 A KR 20120105213A KR 1020110022890 A KR1020110022890 A KR 1020110022890A KR 20110022890 A KR20110022890 A KR 20110022890A KR 20120105213 A KR20120105213 A KR 20120105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water
lower cover
cover memb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
이인구
Original Assignee
김용
이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 이인구 filed Critical 김용
Priority to KR1020110022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5213A/ko
Publication of KR2012010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는, 상면부재과 측면부재를 구비하고 하부는 개방되고, 상기 상면부재와 측면부재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유입구 및 하나의 유출구가 구비된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몸체부재 내부로 유입된 용수가 그 몸체부재의 소정 높이까지 채워진 후 추가로 유입되는 경우에만 그 채워진 용수가 밀려서 상기 유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봉수 트랩부 및 상기 몸체부재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덮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용수에 포함된 오물이 상기 하부덮개부재 내부에 쌓인 경우, 그 하부덮개부재를 상기 몸체부재로부터 분리하여 그 하부덮개부재에 쌓인 오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연결관을 동시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봉수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나 유입되는 해충을 차단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Multi pipe joint apparatus having water sealing function}
본 발명은 배수관의 연결에 사용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싱크대의 배수호스나, 식기세척기 및 정수기 등의 다수의 배수호스를 함께 하수관에 연결하여 생활하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몸체부재의 내부에 봉수기능을 구비함으로써, 하수관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해충 등이 하수관을 따라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방 배수관용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주택 및 다세대주택 등의 주방에서는 싱크대가 사용되고 있다. 싱크대에서는 일반적으로 수도물과 같은 깨끗한 물이 사용되며, 사용된 물인 용수는, 아파트 등의 바닥에 매설된 하수관을 통해 외부의 하수도로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최근 주방에서는 물의 사용이 필요한 주방기구, 예컨대 정수기, 식기세척기 등과 같은 주방기구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이들 주방제품에서 사용된 후 배출되는 용수(用手)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호스는 주로 플렉시블한 나선형 배수호스가 사용되어 주방제품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통 주방의 싱크대 아래에 설치된 난방장치에서도 난방 배관내의 공기를 빼기 위한 밸브가 구비되는데, 배기과정에서도 난방수가 유출되게 된다. 따라서, 늘어난 주방기구의 용수 또는 난방수를 한번에 연결하여 바닥에 매설된 하수관을 연결할 필요성이 있게 되었지만, 이에 적합한 연결장치는 없다.
도 1에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방 배수시설이 도시되어 있다.
싱크대(102)의 하부에는 가요성 배수호스(104)가 결합되어 있고, 배수호스(104)의 하단부는 Y연결관(106)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Y연결관(106)의 타측에는 다른 호스(108)가 결합되어 있다.
Y연결관(106)은 바닥부(110)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112)과 연결관(1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하수관(112)은 건물외부의 하수시설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정수기와 같은 주방기구에서 배출되는 용수는 Y연결관의 일측 연결구 등에 추가로 가지관을 설치하여 배출되도록 하고 있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이러한 주방용수가 배출되는 하수시설에는 주방 용수뿐 아니라, 화장실, 욕실에서 사용된 용수도 함께 배출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하수시설에서 발생한 악취나 해충 등이 하수관(112)을 통해 역류하거나 유입되는 경우도 발생되어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현재 주방배수시스템에 있어서는, 다수의 주방기구의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용이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할 수 있는 냄새나 해충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연결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다수의 주방기구 등에 구비되어 용수가 배출되는 호스가 모두 연결가능하고, 연결된 하수관에서의 악취의 역류 및 해충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설치위치의 선정에 제한도 적은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는, 상면부재과 측면부재를 구비하고 하부는 개방되고, 상기 상면부재와 측면부재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유입구 및 하나의 유출구가 구비된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몸체부재 내부로 유입된 용수가 그 몸체부재의 소정 높이까지 채워진 후 추가로 유입되는 경우에만 그 채워진 용수가 밀려서 상기 유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봉수 트랩부; 및 상기 몸체부재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덮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용수에 포함된 오물이 상기 하부덮개부재 내부에 쌓인 경우, 그 하부덮개부재를 상기 몸체부재로부터 분리하여 그 하부덮개부재에 쌓인 오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부 덮개부재에는, 그 내부에 쌓인 오물의 높이를 알 수 있도록 해주는 오물높이표시창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 덮개부재는, 내부에 쌓인 오물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덮개부재의 하측면에는, 상기 하부 덮개부재에 쌓인 오물을 제거하기 앞서 상기 몸체부재 및 하부 덮개부재의 내부 공간에 가두어져 있는 용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한 마개부재를 포함한 배출관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봉수 트랩부는, 상기 몸체부재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유입구들과 유출구의 사이에 위치하고, 적어도 상기 유출구의 높이보다 아래까지 연장 형성된 차단벽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단벽은, 상기 몸체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봉수 트랩부는, 구부러진 형상의 관형 부재로서, 그 입구는 상기 유출구의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그 출구를 포함한 부분은 상기 유출구에 결합된 관형부재인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형부재는 상기 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부재는, 상기 하부덮개부재에 쌓인 오물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재와 하부덮개부재는,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이고,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부재는 상기 몸체부재의 하부에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배수관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봉수트랩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된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거나 유입될 수 있는 악취와 해충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는, 하부덮개부재가 착탈가능하기 때문에, 용수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쓰레기 등과 같은 오물이 쌓인 경우, 하부덮개부재를 분리하여 간편하게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는, 하부덮개부재 또는 몸체부재가 투명한 재질로 되는 경우, 그 내부에 쌓인 오물의 양을 쉽게 알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는, 봉수트랩부의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이 쉽고 유지관리가 편리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방 배수시설의 도면,
도 2,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의 측면도, 개략적 단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의 개략적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1)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1)는, 몸체부재(10), 봉수 트랩부 및 하부덮개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부재(10)는, 상면부재(12)과 측면부재(14)를 구비한 원통형상의 부재이다. 몸체부재(10)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몸체부재(10)의 상면부재(12)와 측면부재(14)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유입구 및 하나의 유출구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부재(10)에는 측면부재(14)에 3개의 유입구(15, 16, 17) 그리고 상면부재(12)에 1개, 모두 4개의 유입구(18)가 구비되어 있고, 하나의 유출구(19)가 구비되어 있다.
각 유입구는 관형상이고, 이러한 유입구에 외부의 관형상의 호스가 결합된다. 관형상의 호스라 함은, 식기세척기, 정수기 등과 같은 주방기기에 구비되어 용수를 배출하는 가요성 호스를 의미한다. 또한, 통상 싱크대 아래 공간에 설치된 난방장치에 구비되어, 난방 배관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하는(이때 난방수도 함께 배출) 장치인 난방 에어부에 연결된 호스도 가용성 호스에 포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구비된 4개의 유입관 유입구들 중, 상부의 유입구(18)는, 싱크대와 연결될 수 있고, 나머지 3개의 유입구는, 식기세척기, 난방에어부, 정수기 등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몸체부재의 일측에는, 유입된 용수가 유출구(19)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벤트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벤트부는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유입구 중 어느 하나가 벤트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유입구의 개수, 구비위치 및 용도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의 각 유입구에는 해당하는 호스가,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입구들과 유출구에는, 호스 등의 연결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니언(union) 방식의 너트(nut)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의 경우, 외부의 호스를 유입구 또는 유출구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나사체결방식, 또는 억지끼움방식이나, 판형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의 복원력을 이용한 탄성 체결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재(10)와 하부덮개부재(50)는,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부덮개부재(50)는, 몸체부재(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구들로 유입된 용수에 포함된 오물이 하부덮개부재(50) 내부공간에 쌓인 경우, 하부덮개부재(50)를 몸체부재(10)로부터 분리하여 하부덮개부재(50)의 내부에 쌓인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부재(10)와 하부덮개부재(50)는,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된 나사산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하부덮개부재(50)는 몸체부재(10)에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사용자는 하부덮개부재(50)를 잡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부재(10)의 하부에 결합시킬 수 있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부재(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덮개부재(50)에는, 그 내부에 쌓인 오물의 높이를 알 수 있도록 해주는 오물높이표시창(52)이 구비되어 있다. 오물높이표시창(52)은, 투명한 재질로 되어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하부덮개부재 자체가 전체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하부덮개부재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지게 되면 내부에 쌓인 오물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오물높이표시창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덮개부재(50)의 하측면에는, 배출관(54)이 구비되어 있고, 배출관(54)에는 착탈가능한 마개부재(55)가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있다.
평소에는 마개부재(55)를 이용하여 배출관(54)을 밀봉하지만, 하부덮개부재(50)의 내부공간에 오물이 쌓여 이를 제거하려고 할 때, 하부덮개부재(50)를 몸체부재(10)로부터 바로 분리하게 되면 내부에 담겨있는 용수가 아래로 쏟아 지게 되는 불편함이 있으나, 먼저 마개부재(55)를 분리하여 배출관(54)을 통해 내부 공간에 가두어져 있는 용수를 외부로 배출한 뒤, 하부덮개부재(50)를 분리하여 오물을 제거하게 되면, 이러한 불편함이 제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부재(10)와 하부덮개부재(50)는 PVC와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몰딩방식으로 제조된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의 경우 필요에 따라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몸체부재(10) 및 하부덮개부재(5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되고,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었다. 본 발명이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몸체부재와 하부덮개부재는 전체적으로 사각기둥 등과 같은 형상으로 될 수도 있고, 상호 결합되는 방식도 나사결합 이외의 착탈가능한 다른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배출관(54)와 마개부재(55)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이들 구성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경우, 몸체부재는, 하부덮개부재(50)에 쌓인 오물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될 수도 있다. 또한 몸체부재의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될 수도 있고, 몸체부재의 내부에 쌓인 오물을 볼 수 있다면, 몸체부재의 일부분만이 투명한 재질로 될 수도 있다.
상기 봉수트랩부는, 몸체부재(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유입구들(15, 16, 17, 18)을 통해 몸체부재(10)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용수가 그 몸체부재(10)의 소정 높이까지 채워진 후 추가로 유입되는 경우에만 그 채워진 용수가 밀려서 유출구(19)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봉수트랩부는 몸체부재(1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된 차단벽(30)으로 구성된다. 차단벽(30)는 몸체부재(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차단벽(30)의 하단부는 유출구(19)가 위치한 높이보다는, 아래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차단벽(30)은, 용수가 몸체부재(10)와 하부덮개부재(50)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유입되는 경우, 그 차단벽(30)을 사이에 두고 차단벽(30)의 일측에 유입구들이 위치하며, 타측에 유출구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차단벽(30)은 수직방향으로 그리고 평평하게 구비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수직방향이 아니라 기울어진 형상이 될 수도 있고, 구부러진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차단벽은 필요에 따라 몸체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1)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1)의 몸체부재(10)에 구비된 4개의 유입구에 각각 해당하는 호스를 연결한다. 즉, 싱크대의 용수를 배출하는 출구에 그 일측 단부가 연결된 호스의 타측 단부를, 하나의 유입구(18)에 결합시킨다. 다른 유입구들(15,16,17)에도, 식기 세척기, 정수기, 난방에어부 등과 같이 용수가 배출되는 장치에 그 일측단부가 연결된 호스의 타측단부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일측에 구비된 유출구(19)에, 통상 주택의 바닥에 매설된 하수 배수관과 연결된 호스를 결합시킨다. 한편, 본 연결장치(1)의 경우 유출구(19)가 몸체부재(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고 유연성 있는 호스를 이용하여 연결하기 때문에, 주방의 싱크대 아래의 공간 중 편리한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설치가 완료된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1)의 유입구들로부터 유입되는 용수는, 몸체부재(10) 및 하부덮개부재(50)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채워진다. 이때, 용수는 유출구(19)의 높이까지 채워지고 난 후, 용수가 추가 유입되는 경우에만, 유출구(19)를 통해 연결된 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용수가 더 이상 유입되지 않게 되면, 내부공간에 채워진 용수는 유출구(19)의 높이까지 채워진 상태로 갇혀 유지되는 것이다. 즉, 하수배수관과 연결된 유출구(19)로부터 역류될 수 있는 악취 또는 해충등은, 용수가 추가로 유입되어 흘러내려가지 않더라도 몸체부재(10) 및 하부덮개부재(50) 안에 채워져 있는 용수 및 차단벽(30)에 의해, 차단되어 유입구들(15, 16, 17, 18)을 통해 배출되지 않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차단벽(30)은 몸체부재(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용수에는 음식물 등과 같은 각종 찌거기가 섞여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시간이 지나게 되면, 하부덮개부재(50)의 내부에는 각종 찌거기가 쌓이게 된다.
사용자는 일정 기간 사용 후, 하부덮개부재(50)를 몸체부재(10)로부터 분리하여 그 안에 쌓여있는 오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하부덮개부재(50)를 몸체부재(10)로부터 분리하기 전에, 하부덮개부재(50)의 배출관(54)에 결합된 마개부재(55)를 분리하여, 내부에 채워진 용수를 밑에 사전 준비한 용기 등으로 먼저 빼어내게 되면, 하부덮개부재(50)의 분리시 용수가 쏟아져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1)는, 오물높이표시창(52)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에 쌓인 오물의 양을 간편하게 확인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경우, 하부덮개부재 전체를 투명한 재질로 하거나, 또는 몸체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투명한 재질로 하는 경우에도, 내부에 쌓인 오물의 양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부덮개부재가 몸체부재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과 분리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호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두 부재 사이에 고무 패킹 등을 구비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밀폐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는, 다수의 유입구들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싱크대는 물론 다수의 주방기기로부터 배출되는 용수를 모두 수용할 수 있으며, 하수구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등을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1a)가 도 4에 개략적 단면도로 예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1a)를, 상술한 첫번째 실시예와 비교하면, 봉수 트랩부가 차단벽이 아닌 관형부재라는 것이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차이가 나는 구성과 이로 인한 효과만을 설명하며, 설명되지 않은 구성에 대한 설명 및 효과는 앞선 실시예의 설명이 그대로 혹은 적절하게 변형되어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봉수 트랩부는, 관형부재(30a)이다.
관형부재(30a)는, "L"자 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이다. 따라서 관형부재는 "L"형관 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관형부재(30a)의 입구(32a)는 유출구(19a)의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그리고, 관형부재(30a)의 출구를 포함한 부분(34a)은 유출구(19a)에 결합되어 있다. 출구를 포함한 부분(34a)은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고, 용수가 관형부재 내부로 들어오는, 입구(32a)가 형성된 부분은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상호 직각을 이루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입구만 유출구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조건하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관형부재(30a)는 유출구(19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도 있다.
1, 1a ...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10 ... 몸체부재 15, 16, 17, 18 ... 유입구
19 ... 유출구 30 ... 차단벽
30a ... 관형부재
50 ... 하부덮개부재

Claims (10)

  1. 상면부재과 측면부재를 구비하고 하부는 개방되고, 상기 상면부재와 측면부재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유입구 및 하나의 유출구가 구비된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몸체부재 내부로 유입된 용수가 그 몸체부재의 소정 높이까지 채워진 후 추가로 유입되는 경우에만 그 채워진 용수가 밀려서 상기 유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봉수 트랩부; 및
    상기 몸체부재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덮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용수에 포함된 오물이 상기 하부덮개부재 내부에 쌓인 경우, 그 하부덮개부재를 상기 몸체부재로부터 분리하여 그 하부덮개부재에 쌓인 오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부재에는, 그 내부에 쌓인 오물의 높이를 알 수 있도록 해주는 오물높이표시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부재는, 내부에 쌓인 오물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부재의 하측면에는, 상기 하부 덮개부재에 쌓인 오물을 제거하기 앞서 상기 몸체부재 및 하부 덮개부재의 내부 공간에 가두어져 있는 용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한 마개부재를 포함한 배출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수 트랩부는,
    상기 몸체부재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유입구들과 유출구의 사이에 위치하고, 적어도 상기 유출구의 높이보다 아래까지 연장 형성된 차단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은, 상기 몸체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수 트랩부는,
    구부러진 형상의 관형 부재로서, 그 입구는 상기 유출구의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그 출구를 포함한 부분은 상기 유출구에 결합된 관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부재는 상기 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는, 상기 하부덮개부재에 쌓인 오물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와 하부덮개부재는,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이고,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부재는 상기 몸체부재의 하부에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KR1020110022890A 2011-03-15 2011-03-15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KR20120105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890A KR20120105213A (ko) 2011-03-15 2011-03-15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890A KR20120105213A (ko) 2011-03-15 2011-03-15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213A true KR20120105213A (ko) 2012-09-25

Family

ID=4711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890A KR20120105213A (ko) 2011-03-15 2011-03-15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52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75413A (en) Clogging resistant drain
EP2300670B1 (en) Improved waste trap
US7934516B1 (en) Toilet leak containment and detection system
KR101312216B1 (ko) 층상 배수장치
KR101272152B1 (ko)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JP2013014947A (ja) 排水配管
JP2012012838A (ja) 槽体と排水器との接続構造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KR20120105213A (ko)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KR200482345Y1 (ko)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KR101114822B1 (ko) 오수받이
KR101594899B1 (ko)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20130095538A (ko) 종합육가배수장치
KR20120076006A (ko) 통합 이중관 및 그를 적용한 통합 배수관 시공방법
KR101177495B1 (ko) 배관 연결이 용이한 배수트랩
JP4555122B2 (ja) 排水容器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2370423B1 (ko) 사이펀식 바닥배수장치
KR101705126B1 (ko) 집수 배수장치
KR20120118273A (ko)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 장치
KR20170100180A (ko)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TWM511513U (zh) 排水總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