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993A -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 및 판단 장치 - Google Patents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 및 판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993A
KR20120103993A KR1020110022016A KR20110022016A KR20120103993A KR 20120103993 A KR20120103993 A KR 20120103993A KR 1020110022016 A KR1020110022016 A KR 1020110022016A KR 20110022016 A KR20110022016 A KR 20110022016A KR 20120103993 A KR20120103993 A KR 20120103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holder
shape
collision boundary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진
Original Assignee
(주) 엔씨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엔씨비 filed Critical (주) 엔씨비
Priority to KR1020110022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3993A/ko
Publication of KR2012010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22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 B23Q15/225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in feed control, i.e. approaching of tool or work in successive decreasing velocity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7/2208Detection or prevention of collis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05B19/4061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7Measurements
    • G05B2219/37237Tool collision, interfere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7Measurements
    • G05B2219/37622Detect collision, blocking, stall by change, lag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은,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팅된 공구 및 홀더가 피삭제물과 충돌하지 않는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써, 측정센서가 공구 및 홀더의 형상을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공구 및 홀더의 형상 데이터와 상기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측정된 형상 데이터가 상기 충돌 경계형상의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측정형상이 안전영역에 속하지 않을 경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 및 판단 장치{Method for safe space decision of tool and tool holer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CNC 밀링머신이 피삭제물을 가공하기 전에 장착된 공구 및 홀더가 피삭제물과 충돌을 일으키지 않는 영역인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중대형 금형의 형상부를 NC 가공하는데 수십 개 이상의 공구를 교환해야 하므로 작업자가 공구에 적합한 홀더를 찾아 조립하는 일을 자주 반복하게 된다. 공구와 분리해서 보관되는 홀더(Holder)는 가공하기 직전에 선정되고 조립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금형은 제품마다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공구 세팅 길이와 홀더 종류가 변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홀더와 가공할 소재(피삭제물)의 충돌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구 길이를 피삭제의 절삭 영역의 깊이보다 조금 길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안전하지만 공구 길이를 가장 길게 하는 방법이므로 공구가 절삭력에 휘거나 진동하기 쉽다. 일반적으로 홀더에 고정되는 공구의 길이가 짧을수록 절삭속도와 절삭력이 높다. 한편, 공구 길이를 줄이기 위해 직경이 큰 부가 척을 공구와 홀더 사이에 끼워 강성을 높이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강성이 높아지면 휨과 진동 또한 감소하게 된다.
그런데, 절삭속도와 절삭력 등만을 고려하여 공구의 길이를 지나치게 짧게 노출되도록 고정할 경우 홀더가 피삭제물과 충돌하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공구가 가공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동안 피삭제물과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면서 공구의 세팅길이를 최소로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구홀더의 직경과 공구 세팅길이를 컴퓨터상에서 지정한 후 가상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피삭제물과 충돌을 일으키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방식이 소개되었다. 이 방식은 만약 충돌이 일어나는 것으로 판명되면 홀더의 직경과 공구 세팅길이를 재수정하여 시뮬레이션 하게 되고,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될 때까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수회 반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세팅방식은 긴 공구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홀더에 롱척을 설치하는 경우 충돌하지 않는 세팅을 알아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치되는 공구와 홀더, 또는 피삭제물의 모델이 변경될 때마다 세팅공정 전체를 수회 내지 수십회 반복시행해야 한다는 비효율, 비생산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 제360839호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피삭제 모델 가공을 하기 전에 공구(30)의 반경, 공구의 날높이(Lc), 롱척 및 아버의 최소높이(Lt,La)(이하 "홀더의 높이") 정보와 피삭제 모델 및 가공경로에 관한 데이터를 설정하고, 이 설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의 절상가공을 시뮬레이션하고, 절삭 시뮬레이션 중 공구 주변의 기하학적 데이터로부터 충돌 경계형상(40)을 산정하고, 이 산출된 상기 충돌경계형상을 표시한 후, 표시된 상기 충돌 경계형상에 기초하여 실제 공구 및 홀더를 세팅하는 CNC 밀링머신의 공구길이 세팅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CNC 밀링머신에서 공구길이를 최소로 하면서 공구나 홀더가 피삭제물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충돌경계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의 회전중심 축선방향으로 높이축이 설정되고, 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반경축이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원점은 공구의 회전축선상에서 공구의 최하점이 된다. 이러한 좌표상에서 충돌 경계형상(40)은 원점으로부터 각각의 회전반경, 높이점들을 연속적으로 이어서 완성된다.
한편, 상기 과정에서 마지막 단계인 공구 및 홀더를 세팅하기 위해서는 기존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일일이 홀더 및 공구의 형상(반경 및 높이)을 측정기구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 측정된 반경 및 높이 값이 충돌 경계형상의 안전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세팅공정이 수회 내지 수십회 반복시행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공구 및 홀더를 세팅한 후 자동으로 공구 및 홀더 형상을 측정하고 이 측정된 공구 및 홀더 형상이 충돌 경계형상의 안전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 및 판단 장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은,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팅된 공구 및 홀더가 피삭제물과 충돌하지 않는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써, a) 측정센서가 공구 및 홀더의 형상을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공구 및 홀더의 형상 데이터와 상기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된 형상 데이터가 상기 충돌 경계형상의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측정형상이 상기 안전영역에 속하지 않을 경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장치는,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팅된 공구 및 홀더가 피삭제물과 충돌하지 않는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로써, 세팅된 공구 및 홀더의 형상을 측정하는 측정센서, 및 상기 측정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공구 및 홀더 형상 데이터와 상기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측정된 형상 데이터가 충돌 경계형상의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측정된 형상 데이터가 안전영역에 속하지 않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은, a) 감지센서가 상기 충돌 경계형상을 따라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공구 및 홀더가 감지되는지 여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장치는, 상기 충돌 경계형상을 따라 움직이며 공구 및 홀더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공구 및 홀더가 감지되는지 여부의 신호를 수신하고,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안전영역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구 및 홀더를 세팅한 후 기존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일일이 공구 및 홀더의 형상을 측정하여 미리 산출된 충돌 경계형상의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던 것으로, 자동으로 공구 및 홀더 형상을 측정하고 이 측정된 공구 및 홀더 형상이 충돌 경계형상의 안전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매우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또한 정확한 측정 및 비교가 가능하여 작업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충돌 경계형상 및 안전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이 3차원 측정 및 판단에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 및 판단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장치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측정센서(300)와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측정센서(300)는 세팅된 공구(30) 및 홀더(50, 척 포함)의 형상을 측정하고, 이 측정 데이터를 제어부로 송출하게 된다. 측정센서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레이저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400)는 측정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며, 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공구 및 홀더 형상 데이터와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40)를 비교하여 측정된 형상 데이터가 충돌 경계형상의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측정된 형상 데이터가 안전영역에 속하지 않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구체적으로 측정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410)와,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가 저장되고, 또한 수신된 공구 및 홀더 형상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420)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공구 및 홀더 형상 데이터와 상기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측정된 형상 데이터가 충돌 경계형상의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영역 판단부(430), 및 측정된 형상 데이터가 안전영역에 속하지 않는 경우 외부의 디스플레이부(500)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메시지 표시부(440)를 포함한다. 한편, 제어부(400)는 측정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센서(300)가 소재(피삭제물)가 고정된 이송계(예를 들어 하부 다이)에 장착되고, 제어부는 이 이송계를 제어하여 측정센서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은, a) 측정센서가 공구 및 홀더의 형상을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공구 및 홀더의 형상 데이터와 상기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된 형상 데이터가 상기 충돌 경계형상의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측정 형상이 상기 안전영역에 속하지 않을 경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작업자는 미리 산출된 충돌 경계형상(40)에 기초하여 실제의 공구 및 홀더를 세팅한다(S110). 즉, 충돌 경계형상(40)의 윗부분에 속하기만 하면 어떠한 조건이라도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하므로, 작업자는 공구가 변경되거나 공구에 따른 홀더가 변경되더라도 부품의 경계가 그래프의 윗부분(안전 영역)에 존재하도록 공구 및 홀더를 세팅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측정센서를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측정센서가 공구 및 홀더의 형상을 측정하도록 한다(S120).
공구 및 홀더 형상 측정이 완료되어 측정 데이터를 측정센서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는 이 측정 데이터를 충돌경계 형상 데이터와 비교한 후(S130), 측정 형상이 충돌 경계형상의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40).
먼저, 공구 및 홀더 형상(특히 홀더 형상)을 측정하는 것인데 측정센서는 공구 및 홀더의 해당 직경에 따른 높이를 측정한다. 즉, 충돌 경계형상은 원점으로부터 가로축이 회전반경, 세로축이 높이를 나타낸 것인데, 측정센서는 각 회전반경에 따른 홀더의 높이를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측정 형상 데이터는 2차원의 좌표값 즉 홀더의 해당 반경에 따른 높이 값을 의미하며, 충돌 경계형상의 데이터 역시 2차원의 좌표값을 나타낸다.
형상 측정 및 안전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의 판단 방법은 공구 및 홀더의 직경과 높이를 모두 측정한 후,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에서 상기 측정 직경과 동일한 직경에 대응하는 높이를 상기 측정 높이와 비교하여, 측정 높이가 충돌 경계형상 높이보다 높은 경우 안전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동일한 반경에서의 높이 값을 서로 비교하여 측정 높이가 입력되어 있는 충돌 경계형상의 높이보다 큰 값인 경우 안전영역에 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을 다시 살펴보면, 측정센서는 홀더의 반경 R1 지점부터 순차적으로 R7지점까지 각 반경에 따른 높이를 측정하는데, 예를 들어 반경 R4인 지점에서의 센서 측정 높이가 Hg라고 하고, 충돌 경계형상에서 R4에 대응하는 높이를 Hi라고 한다면, Hg와 Hi를 비교하여 Hg값이 Hi값보다 더 큰 경우(그래프상 위에 있는 경우) 안전영역에 속하는 것이므로 판단하고, Hg값이 Hi값보다 작은 경우 안전영역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안전영역에 속하는 경우로 판명되면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부는 실제 가공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150).
한편, 안전영역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면 홀더가 피삭제물과 충돌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부는 외부의 디스플레이부에 충돌한다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작업자 등이 공구 및 홀더를 다시 세팅할 수 있도록 한다(S160).
메시지 출력 후 작업자가 새롭게 공구 및 홀더를 세팅하는 조치를 취하게 되면(S170), 다시 "S120" 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장치는 감지센서(600)와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감지센서(600)는 충돌 경계형상(40)을 따라 움직이며 공구(30) 및 홀더(50)가 접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공구 및 홀더가 접촉하게 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송출하게 된다.
제어부(700)는 감지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며, 감지센서로부터 공구 및 홀더가 감지되는지 여부의 신호를 수신하고,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안전영역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710)와,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720)와, 감지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충돌 경계형상의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영역 판단부(730), 및 안전영역에 속하지 않는 경우 외부의 디스플레이부(800)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메시지 표시부(740)를 포함한다. 한편, 제어부(700)는 감지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600)가 소재(피삭제물)가 고정된 이송계(예를 들어 하부 다이)에 장착되고, 제어부는 이 이송계를 제어하여 감지센서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구길이 측정방법은, a) 감지센서가 상기 충돌 경계형상을 따라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공구 및 홀더가 감지되는지 여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앞선 실시예는 측정센서가 공구 및 홀더 형상을 측정하고 이 측정 형상을 충돌 경계형상과 비교하여 안전영역 안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건데, 본 실시예는 감지센서가 충돌 경계형상을 따라 움직이도록 하고, 움직이는 중 감지센서가 홀더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따져 안전영역 안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작업자는 충돌 경계형상(40)에 기초하여 실제의 공구 및 홀더를 세팅하는데(S210), 이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 후, 제어부는 저장되어 있는 충돌 경계형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지센서가 충돌 경계형상을 따라 움직이도록 제어한다(S220). 감지센서는 이동하면서 공구 및 홀더가 접촉하게 되면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제어부는 감지센서로부터 신호 수신을 대기하게 되는데(S230), 감지센서로부터 신호가 없는 경우 즉, 감지센서가 공구 및 홀더와 접촉하지 않는 경우 충돌 경계형상의 안전영역에 속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실제 가공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S240).
한편, 제어부는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즉, 감지센서가 공구 및 홀더와 접촉하게 되면 이는 안정영역에 속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므로, 디스플레이부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S250).
메시지 출력 후 작업자가 새롭게 공구 및 홀더를 세팅하는 조치를 취하게 되면(S260), 다시 "SS20" 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구가 회전하는 밀링의 경우를 예시했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법이 선삭, 레이저, 용접, 반도체장비 등 일반적인 장비의 공구(30') 및 홀더(50')와 피삭제물의 충돌을 방지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공구가 회전하는 밀링의 경우 충돌 경계형상(40)이 원통좌표계의 직경(X)과 높이(Y)의 2차원 선으로 표시되며, 측정값 역시 직경과 높이의 2차원 측정이면 된다. 그러나, 일반 장비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경계형상(40')이 X, Y, Z의 3차원 곡면으로 표시되며, 측정값 역시 X, Y, Z의 3차원 측정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30. 공구 40. 충돌 경계형상
50. 홀더 300. 측정센서
400,700. 제어부 600. 감지센서

Claims (7)

  1.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팅된 공구 및 홀더가 피삭제물과 충돌하지 않는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측정센서가 공구 및 홀더의 형상을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공구 및 홀더의 형상 데이터와 상기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된 형상 데이터가 상기 충돌 경계형상의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측정형상이 상기 안전영역에 속하지 않을 경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공구 및 홀더의 형상을 측정하는 단계는 공구 및 홀더의 직경과 높이를 모두 측정하고, b) 단계의 판단 단계는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에서 상기 측정 직경과 동일한 직경에 대응하는 높이를 상기 측정 높이와 비교하여, 측정 높이가 충돌 경계형상 높이보다 높은 경우 안전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
  3.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팅된 공구 및 홀더가 피삭제물과 충돌하지 않는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세팅된 공구 및 홀더의 형상을 측정하는 측정센서; 및,
    상기 측정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공구 및 홀더 형상 데이터와 상기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측정된 형상 데이터가 충돌 경계형상의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측정된 형상 데이터가 안전영역에 속하지 않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가 저장되고 또한 상기 수신된 공구 및 홀더 형상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공구 및 홀더 형상 데이터와 상기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측정된 형상 데이터가 충돌 경계형상의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영역 판단부, 및 측정된 형상 데이터가 안전영역에 속하지 않는 경우 외부의 디스플레이부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메시지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장치.
  5.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팅된 공구 및 홀더가 피삭제물과 충돌하지 않는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감지센서가 상기 충돌 경계형상을 따라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공구 및 홀더가 감지되는지 여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
  6.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팅된 공구 및 홀더가 피삭제물과 충돌하지 않는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돌 경계형상을 따라 움직이며 공구 및 홀더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공구 및 홀더가 감지되는지 여부의 신호를 수신하고,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안전영역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장치.
  7.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충돌 경계형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감지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충돌 경계형상의 안전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영역 판단부, 및 안전영역에 속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메시지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장치.
KR1020110022016A 2011-03-11 2011-03-11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 및 판단 장치 KR20120103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016A KR20120103993A (ko) 2011-03-11 2011-03-11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 및 판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016A KR20120103993A (ko) 2011-03-11 2011-03-11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 및 판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993A true KR20120103993A (ko) 2012-09-20

Family

ID=4711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016A KR20120103993A (ko) 2011-03-11 2011-03-11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 및 판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39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683B1 (ko) * 2014-02-19 2015-04-07 (주) 엔씨비 스마트 수치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329330A (zh) * 2020-09-27 2021-02-05 北京卫星制造厂有限公司 一种基于聚类算法的卫星天线接口组合加工方法
CN113681350A (zh) * 2021-08-30 2021-11-23 牟贞学 一种cnc数控机床非接触式对刀仪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683B1 (ko) * 2014-02-19 2015-04-07 (주) 엔씨비 스마트 수치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329330A (zh) * 2020-09-27 2021-02-05 北京卫星制造厂有限公司 一种基于聚类算法的卫星天线接口组合加工方法
CN113681350A (zh) * 2021-08-30 2021-11-23 牟贞学 一种cnc数控机床非接触式对刀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00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amage to tool in machine
US6937942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detecting tool abnormality in a machine tool
US10406644B2 (en) Machining system
EP3867708B1 (en) Automatic parameterisation of a laser cutting method
US20130090755A1 (en) Numerically-controlled machine tool
JP6370821B2 (ja) ロボットプログラムの教示を行うロボットプログラミング装置
US20130071198A1 (en) Numerically-controlled machine tool
US11256236B2 (en)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and machine tool including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CN111538286A (zh) 刀具控制装置及控制方法
KR20120103993A (ko) 세팅된 공구의 안전영역 판단 방법 및 판단 장치
US20220184765A1 (en) Calibration method and method of obtaining workpiece information
KR20140085927A (ko) 공작기계용 툴의 가공 오차 보정 시스템 및 방법
JP2009113160A (ja) 検出装置及びプレートの加工方法
KR102144420B1 (ko) 지능형 가공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가공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CN112548678A (zh) 数控加工中心的刀具检测方法及装置
CN110045680B (zh) 一种数控机床上在线检测臂架空间尺寸的测量方法
JP3972920B2 (ja) Nc工作機械および補正加工方法
KR20070068797A (ko) 프로펠러의 자동화 가공방법
JPH08263116A (ja) Nc旋盤における干渉チェック方法
JP2018202598A (ja) 中子バリ取り装置及び中子バリ取り方法
KR100567398B1 (ko) 캐드캠을 이용한 공작기계 가공물 기상측정방법
KR101507683B1 (ko) 스마트 수치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244477B (zh) 数控装置及机器学习装置
JP2895316B2 (ja) 工作機械の衝突防止装置
JP7491700B2 (ja) 工作機械システム、数値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