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213A - 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213A
KR20120103213A KR1020110021353A KR20110021353A KR20120103213A KR 20120103213 A KR20120103213 A KR 20120103213A KR 1020110021353 A KR1020110021353 A KR 1020110021353A KR 20110021353 A KR20110021353 A KR 20110021353A KR 20120103213 A KR20120103213 A KR 20120103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vacuum forming
vacuum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희
Original Assignee
김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희 filed Critical 김진희
Priority to KR1020110021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3213A/ko
Publication of KR20120103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25Rolling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16L23/0283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the collar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관 연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관 연결장치는, 제1 관체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확관부 내로 제2 관체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관체의 선단부 둘레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의 연결부위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기밀유지부; 및 상기 기밀유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 관체에 결합된 뒤 상기 제1 관체와 상호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밀유지부는, 표면에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의 연결부위에 진공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제1 진공형성구멍; 및 상기 제1 진공형성구멍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기밀유지부의 표면에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의 연결부위에 진공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제2 진공형성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 연결장치{CONNECTING AN APPARATUS OF PIPES}
본 발명은 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연결되는 관의 기밀성을 높이고 수압에 의한 유동에 대처할 수 있는 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관을 사용하게 되며, 유체를 이송할 때 사용하는 관은 그 이송 거리에 따라 하나의 단일관을 사용하거나 또는 다수의 관을 상호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관은 금속, 비금속 및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수도용, 가스용, 하수용 및 전선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관의 연결방식을 보면, 대부분이 서로 대응되는 선단에 각각의 플랜지를 형성하여 결합되는 플랜지 결합방식과, 커플링에 각 선단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커플링 연결방식과, 서로 대응되는 각 선단에 나선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방식과, 스테인리스 밴드를 이용하여 관과 관의 단부를 연결하는 밴드 연결방식, 및 메시 형태의 열선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관과 관의 단부를 용융 접착하는 전기 용착 방식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관의 연결방법은 관과 관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플랜지, 커플링, 나사 스테인리스 밴드, 용융접착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연결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기밀성이 불확실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관의 연결방법은 유체의 수압에 의한 연결부위의 변형 또는 계절의 온도변화에 따른 길이변화 등과 같은 변형 발생시 관의 연결부위에 누수가 발생하거나 관이 상호 이탈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호 연결되는 관의 연결부위에 진공을 형성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수압의 강,약에 따라 발생하는 관의 유동에 대처할 수 있는 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제1 관체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확관부 내로 제2 관체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관체의 선단부 둘레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의 연결부위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기밀유지부; 및 상기 기밀유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 관체에 결합된 뒤 상기 제1 관체와 상호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밀유지부는, 표면에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의 연결부위에 진공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제1 진공형성구멍; 및 상기 제1 진공형성구멍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기밀유지부의 표면에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의 연결부위에 진공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제2 진공형성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기밀유지부는,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를 통과하는 유체의 불규칙한 수압에 의해 상기 제1,2 관체의 움직임이 발생할 때 신축되도록 마련되는 주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공형성구멍은, 정원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진공형성구멍은, 정원으로 형성된 뒤 상기 주름부의 신축시 타원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관을 상호 연결하는 수단으로 관의 연결부위에 결합되어 진공 형성 및 신축되는 기밀유지부를 갖는 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호 연결되는 관의 연결부위에 진공을 형성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수압 변화에 의한 관의 유동에 신축되도록 대처하여 연결부위에 대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관 연결장치의 기밀유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관 연결장치의 기밀유지부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관 연결장치에 의한 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관 연결장치의 기밀유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관 연결장치의 기밀유지부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관 연결장치에 의한 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체(10)의 선단부 내로 제2 관체(20)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구조에서, 제2 관체(20)의 선단부 둘레에 결합되며 제1 관체(10) 및 제2 관체(20)의 연결부위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기밀유지부(100)와, 기밀유지부(100)를 지지하도록 제2 관체(20)에 결합된 뒤 제1 관체(10)와 상호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관체(10)는, 선단부에 플랜지부(12A)를 갖는 확관부(12)가 형성되며 확관부(12)에는 제2 관체(20)의 선단부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1 관체(10)의 확관부(12) 내로 제2 관체(20)의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상호 연결되는 것이다.
기밀유지부(100)는, 제1 관체(10) 및 제2 관체(20)의 연결부위에 기밀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기밀유지부(100)는 탄성을 갖는 중공형의 원통체로 형성되며 제2 관체(20)의 선단부 둘레에 결합된다. 이러한 기밀유지부(100)는 제1 관체(10) 및 제2 관체(20)의 상호 연결에 따라 이들의 연결부위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확관부(12) 내로 삽입되게 된다.
기밀유지부(100)는, 제1 관체(10) 및 제2 관체(20)의 연결부위에 진공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제1 진공형성구멍(102)과 제2 진공형성구멍(104)이 마련된다.
제1 진공형성구멍(102)은, 기밀유지부(100)의 표면에 둘레를 따라 종 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다.
제2 진공형성구멍(104)은, 제1 진공형성구멍(102)과 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기밀유지부(100)의 표면에 둘레를 따라 종 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진공형성구멍(102)과 제2 진공형성구멍(104)은 제1 관체(10) 및 제2 관체(20)의 상호 연결에 따라 기밀유지부(100)의 표면과 제1 관체(10)의 확관부(12)의 내주면이 상호 밀착된 뒤 내부공간에 진공을 형성하여 제1,2 관체(10, 20)의 연결부위에 대한 밀착력을 높이게 된다.
기밀유지부(100)의 일단부에는, 상호 연결된 제1 관체(10) 및 제2 관체(20)의 움직임에 따라 신축되는 주름부(106)가 마련된다.
주름부(106)는, 기밀유지부(100)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1 관체(10) 및 제2 관체(20)를 통과하는 유체의 수압의 변화에 의한 제1,2 관체(10, 20)의 움직임에 대처하도록 신축되어 제1,2 관체(10, 20)의 연결부위에 공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1 관체(10) 및 제2 관체(20)는 유체가 통과될 때 수압의 영향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제1,2 관체(10, 20)는 수압에 의한 스트레스로 관의 길이 방향으로 미세한 움직임을 발생하여 연결부위에 공극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공극은 수압의 강?약에 따라 더욱 심화될 수 있으며, 공극의 심화에 따라 제1 관체(10) 및 제2 관체(20)의 연결부위에서 유체의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름부(106)는 제1 관체(10) 및 제2 관체(20)를 통과하는 유체의 수압의 변화에 따라 제1,2 관체(10, 20)의 움직임에 대처하도록 신축되어 이들의 연결부위에 공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 진공형성구멍(104)은 주름부(106)의 신축에 따른 영향으로 정원에서 타원으로 변형되도록 한다.
즉, 제2 진공형성구멍(104)은 정원 상태에서 주름부(106)의 신축에 의한 길이변화에 따라 타원으로 변형되며, 이에 따라 주름부(106)의 신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체결부(110)는, 제2 관체(20)에 기밀유지부(100)를 지지하도록 결합된 뒤 제1 관체(10)와 상호 체결되도록 마련되며, 제2 관체(20)에 결합되는 체결부 본체(112)와, 체결부 본체(112) 및 제1 관체(10)를 상호 체결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체결부재(114)를 포함한다.
체결부 본체(112)는, 상호 체결되는 한 쌍의 밴드형 클램프로 형성되며 제2 관체(20)의 둘레에 기밀유지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된다.
체결부재(114)는, 체결부 본체(112)를 관통하여 제1 관체(10)에 걸림되는 체결볼트(116) 및 체결볼트(116)에 결합되는 체결너트(118)로 이루어진다. 이때, 체결부재(114)는 체결부 본체(112)의 둘레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다.
체결볼트(116)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일단부에 제1 관체(10)에 형성된 플랜지부(12A)에 걸림되는 걸림돌기(117)가 형성된다.
즉, 체결볼트(116)는 체결부 본체(112)를 관통한 뒤 걸림돌기(117)를 매개로 제1 관체(10)에 걸림된다.
체결너트(118)는, 제1 관체(10)에 걸림된 체결볼트(116)에 체결부 본체(112) 방향에서 결합된다. 즉, 체결너트(118)는 제1 관체(10)에 걸림된 체결볼트(116)를 고정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제1 관체(10) 및 제2 관체(20)는 상호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장치는, 제1 관체(10) 및 제2 관체(20)를 상호 연결하는 경우 제2 관체(20)의 선단부 둘레에 기밀유지부(100)가 결합되어 체결부(110)에 마련된 체결부 본체(112)로 지지된 뒤 제2 관체(20)의 선단부는 제1 관체(10)에 형성된 확관부(12) 내로 삽입된다.
제2 관체(20)의 선단부가 제1 관체(10)의 확관부 내로 삽입되면, 기밀유지부(100)의 표면과 확관부(12)의 내주면이 상호 밀착되며, 기밀유지부(100)는 확관부(12)와 상호 밀착될 때 둘레에 형성된 제1 진공형성구멍(102)과 제2 진공형성구멍(104)의 내부공간에 진공을 형성하여 기밀유지부(100)와 확관부(12) 사이를 더욱 빈틈없이 밀착시키며, 이에 따라 기밀유지부(100)와 확관부(12) 사이의 밀착력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즉, 제1 진공형성구멍(102) 및 제2 진공형성구멍(104)은 기밀유지부(100)의 표면과 확관부(12)의 내주면이 상호 밀착될 때 내부공간에 진공을 형성하여 밀착력을 증대시키게 되므로, 제1,2 관체(10, 20)의 연결부위에 대한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제1 관체(10) 및 제2 관체(20)가 상호 연결되면, 체결부 본체(112)를 관통하는 체결부재(114)의 체결볼트(116)를 확관부(12)에 형성된 플랜지부(12A)에 걸림한 뒤 체결볼트(116)에 체결너트(118)를 결합함으로써 제1 관체(10) 및 제2 관체(20)는 연결부위에 대한 기밀이 유지되도록 상호 체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관체(10) 및 제2 관체(20)가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로부터 수압의 영향을 받게 되면, 제1,2 관체(10, 20)는 수압에 의한 스트레스로 관의 길이 방향으로 미세한 움직임을 발생하여 이들의 연결부위에 공극을 형성하게 되는데, 기밀유지부(100)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주름부(106)는 제1,2 관체(10, 20)의 움직임에 따라 신축되어 공극의 형성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제2 진공형성구멍(104)은 주름부(106)의 신축에 의한 길이변화에 따라 정원에서 타원으로 변형되며, 이에 따라 주름부(106)의 신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주름부(106)는 제1 관체(10) 및 제2 관체(20)를 통과하는 유체의 수압의 변화에 따라 제1,2 관체(10, 20)의 움직임에 대처하도록 신축되어 이들의 연결부위에 공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관 연결장치는, 상호 연결되는 관의 연결부위에 진공을 형성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수압 변화에 의한 관의 유동에 신축되도록 대처하여 연결부위에 대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기밀유지부 102: 제1 진공형성구멍
104: 제2 진공형성구멍 106: 주름부
110: 체결부

Claims (3)

  1. 제1 관체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확관부 내로 제2 관체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관체의 선단부 둘레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의 연결부위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기밀유지부; 및
    상기 기밀유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 관체에 결합된 뒤 상기 제1 관체와 상호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밀유지부는,
    표면에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의 연결부위에 진공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제1 진공형성구멍; 및
    상기 제1 진공형성구멍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기밀유지부의 표면에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의 연결부위에 진공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제2 진공형성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유지부는,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를 통과하는 유체의 불규칙한 수압에 의해 상기 제1,2 관체의 움직임이 발생할 때 신축되도록 마련되는 주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공형성구멍은, 정원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진공형성구멍은, 정원으로 형성된 뒤 상기 주름부의 신축시 타원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KR1020110021353A 2011-03-10 2011-03-10 관 연결장치 KR20120103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353A KR20120103213A (ko) 2011-03-10 2011-03-10 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353A KR20120103213A (ko) 2011-03-10 2011-03-10 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213A true KR20120103213A (ko) 2012-09-19

Family

ID=4711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353A KR20120103213A (ko) 2011-03-10 2011-03-10 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32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8030A (zh) * 2018-03-29 2018-09-18 庄银灿 一种可过滤的给水排水管道连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8030A (zh) * 2018-03-29 2018-09-18 庄银灿 一种可过滤的给水排水管道连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4337B (fi) Roerkoppling.
TWI570346B (zh) 用於管之夾緊接頭
BRPI0901351A2 (pt) método para conectar um membro de mangueira flexìvel a um soquete e arranjo de conexão para conectar um membro de magueira flexìvel a um soquete
JP6526144B2 (ja)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US20160327189A1 (en) Clamping Ring, Sliding Sleeve,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Non-Releasable Connection
US85966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leeve for hose coupling
KR101508659B1 (ko) 배관용 조인트 장치
US20020079702A1 (en) Flexible conduit element with a connection device attached to at least one end
KR102162670B1 (ko) 배관용 파이프 연결장치
JP2013227976A5 (ko)
JP6289122B2 (ja) 離脱防止管継手
KR101021968B1 (ko) 분할 플랜지형 비용접 관 이음매
JP2011220404A (ja) 配管の連結構造
WO2016059755A1 (ja) 低温流体用真空断熱二重管の継手構造
KR20120103213A (ko) 관 연결장치
KR101486704B1 (ko) 강관 내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을 갖는 복합관과 그 제조방법 및 연결방법
RU2008136910A (ru) Труба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под давлением, выполненная из термопласт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в частности полиолефин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с открытым концом раструба
CN101663530B (zh) 流体管用连接装置
CN212989050U (zh) 一种液压胶管的压力测试装置
CN103453248A (zh) 一种管道的防脱密封连接结构
KR101469151B1 (ko) 원푸싱 배관결합체
KR100745868B1 (ko) 배관 연결장치
KR102050634B1 (ko) 연결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KR101007442B1 (ko) 관 연결장치
KR101198331B1 (ko) 플렉시블 튜브의 무용접 커플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