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0578A -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0578A
KR20120100578A KR1020110019569A KR20110019569A KR20120100578A KR 20120100578 A KR20120100578 A KR 20120100578A KR 1020110019569 A KR1020110019569 A KR 1020110019569A KR 20110019569 A KR20110019569 A KR 20110019569A KR 20120100578 A KR20120100578 A KR 20120100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ing
detection sensor
digestive
extinguishing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원석
Original Assignee
나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원석 filed Critical 나원석
Priority to KR1020110019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0578A/ko
Publication of KR20120100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흡연 여부를 감지하는 흡연 감지 센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흡연 감지 센서의 존재 또는 상기 흡연 감지 센서의 작동을 알리는 알람 유닛;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소화수를 저장하는, 소화수 탱크; 및 상기 흡연 감지 센서로부터의 상기 흡연 여부에 관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소화수 탱크에서의 상기 소화수의 분사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EXTINGUISHING WATER SPRAYING APPARATUS SENSITIVE TO SMOK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흡연에 대하여 반응하여 소화수를 분사하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연은 흡연자 자신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점 외에도, 비흡연자에 대한 간접 흡연의 문제, 공간을 지저분하게 하는 문제, 및 화재의 위험을 높이는 문제 등을 수반할 수 있다.
먼저, 간접 흡연과 관련하여, 2002년에 행해진 세계보건기구(WHO)의 연구에 따르면, 비흡연자들은 흡연자와 같은 발암물질에 노출된다. 생담배 연기에는 벤조피렌을 비롯한 69종의 알려진 발암물질과 다른 탄화수소 물질들, 방사성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다. 담배 회사 자체 연구 결과에서도 부류연에서의 발암물질 농도가 주류연보다 높았다. 미국 NCI나 미국국립보건원, 세계보건기구를 비롯한 여러 단체에서도 간접 흡연의 위험성을 인정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간접 흡연에 의한 피해를 줄이고자 건물 내에서의 흡연을 법으로써 규제하고 있으나, 단속원이 투입되어 일일이 단속에는 한계가 있다.
실내에서 담배를 피우는 경우에, 담배 연기가 해당 공간에 베이게 된다. 그에 의해, 해당 공간의 벽이나 천장이 변색될 수 있다. 나아가, 담배 재나 꽁초가 바닥에 버려지기도 한다. 담배 꽁초에 불이 붙은 채로 그것이 버려지는 경우에는, 주변의 인화성 물질로 옮겨져서 화재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주로 화장실, 고시원, 주점, 비디오물 감상실, 노래방 등과 같이 좁고 폐쇄된 공간에서 더욱 심각한 양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운용상에 복잡함이 없이도 흡연자에 대하여 실질적인 제재를 가할 수 있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는, 베이스; 흡연 여부를 감지하는 흡연 감지 센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흡연 감지 센서의 존재 또는 상기 흡연 감지 센서의 작동을 알리는 알람 유닛;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소화수를 저장하는, 소화수 탱크; 및 상기 흡연 감지 센서로부터의 상기 흡연 여부에 관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소화수 탱크에서의 상기 소화수의 분사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서로 반대되는 제1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연 감지 센서와 상기 알람 유닛은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소화수 탱크는 상기 제2 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수 탱크는 상기 제1 면을 통해서도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도록 개구되는 복수의 스크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노즐; 및 상기 소화수 탱크와 상기 노즐을 연결하는 공급 라인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 라인은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 공급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제1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소화수 탱크에 연결된 제1 노즐; 및 상기 제2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소화수 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노즐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설치되는 제2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공급라인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1 밸브와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공급라인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2 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밸브는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람 유닛은 점멸하도록 형성되는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연 감지 센서와 상기 알람 유닛에 대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전원공급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소켓; 및 상기 소켓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건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간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의 제어 방법은, 흡연 여부를 감지하는 흡연 감지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흡연 감지 센서의 존재 또는 상기 흡연 감지 센서가 작동 중임을 알리는 알람 유닛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흡연 감지 센서가 상기 흡연을 감지하면, 소화수 탱크에서 소화수가 분사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연 여부를 감지하는 흡연 감지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전에, 실내 공간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연 여부를 감지하는 흡연 감지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내 공간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인체 감지 센서를 작동시키거나 상기 실내 공간의 도어 닫힘 감지 센서를 작동시켜서 상기 사람의 존재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연 감지 센서가 상기 흡연을 감지하면, 소화수 탱크에서 소화수가 분사되게 하는 단계는, 상기 소화수를 제1 모드로 분사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제1 모드와 다른 제2 모드로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소화수의 분사량, 상기 소화수의 분사 패턴, 및 상기 소화수의 분사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설치하고 그 운용상에도 관리 등의 문제가 크게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흡연자에 대하여 실질적인 제재를 가할 수도 있어서, 흡연자가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가 설치된 공간에서 금연하도록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를 천장(C)에서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의 반대 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의 일 변형예에 따른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의 작동적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 단계에 따른 상황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다른 일 단계에 따른 상황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5의 또 다른 일 단계에 따른 상황을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를 천장(C)에서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는 실내 공간, 주로 화장실의 천장(C)에 설치될 수 있다. 천장(C)은 주로 복수 개의 보드(B)를 프레임(F)에 체결하여 마감되는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는 하나의 보드(B)가 차지하는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설치상 유용할 것이다.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는, 구체적으로, 베이스(110)와, 흡연 감지 센서(120)와, 알람 유닛(130)과, 노즐(141,14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대체로 보드(B)와 유사하게 플레이트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110)는 서로 반대되는 2개의 주면(main surface)을 가진다. 위 주면들 중 하나는 실내 공간을 바라보는 전면 또는 제1 면(111)이고, 다른 하나는 천장(C) 내측을 바라보는 배면 또는 제2 면(115, 도 2 참조)이 될 것이다. 베이스(110)의 가장 자리에는 전면(111)과 배면(115)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스크류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홀(112)은 천장(C)의 프레임(F)에 형성되는 체결홀(H)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스크류(S)는 스크류홀(112)을 관통하여 체결홀(H)에 삽입됨으로써, 베이스(110)가 천장(C)에 간단하게 체결되게 할 수 있다.
흡연 감지 센서(120)는 베이스(110)의 전면(111)을 통해 실내 공간을 지향하도록 베이스(110)에 설치될 수 있다. 흡연 감지 센서(120)는 공기 중의 담배 연기로 인하여 산란된 적외선을 입력받아, 에미터에서 콜렉터(또는 콜렉터에서 에미터)로 흐르는 전류의 변화량을 비교하여 흡연 상태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와, 일산화 탄소 또는 이산화탄소 등에 의해 출력 전류가 변화하는 반도체 방식을 이용한 반도체 가스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담배 연기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흡연 감지 센서(120)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 감지 센서(120)는 담배 연기의 냄새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도 있다. 상기 담배 냄새 감지 센서는 통상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또는 니코틴 등의 가스에 반응하는 반도체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담배의 연소 시 발생하는 열점(hot spot)의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 센서도 흡연 감지 센서(120)로 사용될 수 있다.
알람 유닛(130)은 흡연 감지 센서(120)의 존재 또는 작동을 실내 공간에서 흡연을 하는, 또는 하려는 사람에게 알리는 것이다. 알람 유닛(130)은 점멸하도록 형성되는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 유닛(130)에서 발생되는 빛은 빨간색으로 하는 것이 시각적으로 강력한 알람의 효과를 주기에 바람직하다. 흡연을 생각하는 사람은, 알람 유닛(130)의 존재를 파악하는 것만으로도, 흡연을 하기가 움츠려질 수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하여, 흡연하려는 사람에 대한 직접적인 제재를 가하지 않고도 흡연을 단념하게 할 수도 있다.
노즐(141,142)은 실내 공간을 향해 소화수가 분사되게 하는 통로가 된다. 노즐(141,142)은 제1 노즐(141)과, 제1 노즐(141)과는 다른 방향으로 소화수가 분사되도록 설치되는 제2 노즐(142)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141,142)을 통해서 분사되는 소화수는 흡연에 대한 실질적 제재 수단이 되고, 흡연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노즐(141,142)은 소화수 탱크(148, 도 2)에 연통되는 것으로, 이들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의 반대 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는, 공급 라인(143,144)과, 밸브(145,146)와, 소화수 탱크(148)와, 전원 공급 유닛(150)과, 제어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 라인(143,144)은 소화수 탱크(148)의 소화수를 노즐(141,142)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공급 라인(143,144)은 제1 노즐(141)에 연결되는 제1 공급라인(143)과, 제2 노즐(142)에 연결되는 제2 공급라인(144)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밸브(145,146)는 공급 라인(143,144)에 설치되어, 공급 라인(143,144)을 통한 노즐(141,142)로의 소화수 공급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밸브(145,146)는 제1 공급라인(143)에 연결되는 제1 밸브(145)와, 제2 공급라인(144)에 연결되는 제2 밸브(146)로 구분될 수 있다. 공급 라인(143,144)에 각각 밸브(145,146)가 설치됨에 의해, 노즐(141,142) 각각에서의 소화수 분사 여부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노즐(141,142) 각각의 소화수 분사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면, 어느 하나만 소화수가 분사되는 경우와, 함께 분사되는 경우, 각각이 시차를 두고 분사되는 경우 등 다양한 조합의 분사 형태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밸브(145,146)로는 전자식으로 개폐가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채용될 수 있다.
소화수 탱크(148)는 밸브(145,146)의 개방 시에 공급 라인(143,144)을 거쳐 노즐(141,142)을 통해 최종적으로 실내 공간에 분사되는 소화수를 저장하는 탱크이다. 소화수 탱크(148)는 필요한 양의 소화수를 저장하므로, 노즐(141,142)이 건물에 설치되는 수원(水源)에 복잡한 배관 설비를 통해 연결될 필요가 없게 한다. 이러한 소화수 탱크(148)는 배면(115) 측에 설치되므로, 실내 공간에서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는 없을 수 있다. 소화수 탱크(148)의 설치를 위하여, 배면(115)에는 공급 라인(143,144)에 연통된 홀더(147)가 설치될 수 있다. 홀더(147)가 소화수 탱크(148)의 주입구와 결합 되므로, 소화수 탱크(148)는 배면(115)에 대하여 거꾸로 세워진 상태로 홀더(147)에 결합 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유닛(150)은 흡연 감지 센서(120)와, 알람 유닛(130)과, 밸브(145,146)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전원 공급 유닛(150)은 소켓(151)과, 건전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151)은 건전지(152)를 수용하기 위하여 배면(115)에 설치된다. 건전지(152)는 소켓(151)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어, 위의 흡연 감지 센서(120) 등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제어 유닛(160)은 흡연 감지 센서(120)와, 알람 유닛(130)과, 밸브(145,146)와, 전원 공급 유닛(15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어 유닛(160)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로기판의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위에서 소화수 탱크(148)의 설치 형태에 대한 일 변형예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도 2의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의 일 변형예에 따른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는 앞선 실시예의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와 대체로 유사하나, 소화수 탱크(148')의 배치 구조가 상이하다.
본 변형예에서, 소화수 탱크(148')는 베이스(110')의 전면(111')을 통해서 실내 공간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110')에는 소화수 탱크(148')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개구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소화수 탱크(148')가 전면(111')으로 노출됨에 의하여, 실내 공간에 들어온 사람은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의 존재를 더욱 실감하게 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위 사람이 흡연자라 할지라도 해당 실내 공간에서 흡연하고자 하는 마음을 더욱 자제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이하,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도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는 소화수 탱크(148)를 구비하므로 별도의 배관에 연결될 필요가 없고, 또한 전원 공급 유닛(150)을 구비하여 별도의 전선을 통해 전원에 연결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간단히 베이스(110)를 천장(C)의 프레임(F)에 스크류(S)로 체결하는 것만으로,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는 의도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치되고 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160)과 흡연 감지 센서(120) 등의 작동적 연결 관계에 대해선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의 작동적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흡연 감지 센서(120)와, 알람 유닛(130)과, 밸브(145,146)와, 전원 공급 유닛(150)과, 제어 유닛(160) 뿐만 아니라, 도어 닫힘 감지 센서(161)와, 인체 감지 센서(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160)은 흡연 감지 센서(120)와, 도어 닫힘 감지 센서(161)와, 인체 감지 센서(162)들로부터 흡연 여부, 도어 닫힘 여부, 또는 사람의 존재 여부 등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이러한 신호를 바탕으로, 제어 유닛(160)은 알람 유닛(130)의 작동과, 밸브(145,146)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흡연 감지 센서(120) 등의 작동을 위해서, 제어 유닛(160)은 각 구성에 전원 공급 유닛(150)으로부터 전력이 제공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도어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가 설치되는 공간을 개폐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어 닫힘 감지 센서(161)는 위 도어와 그 도어가 닫혔을 때 마주하는 벽에 대응하게 설치된 발광부와 수광부의 조합을 가지는 센서가 될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162)는 위 실내 공간 내로 진입한 사람의 인체 온도를 감지하는 열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흡연 감지 센서(120)와, 알람 유닛(130)과, 인체 감지 센서(162)는 반드시 베이스(110)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벽(W, 도 6 참조)이나 도어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의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이고, 도 6은 도 5의 일 단계에 따른 상황을 보인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5의 다른 일 단계에 따른 상황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5의 또 다른 일 단계에 따른 상황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4를 참조하면, 위의 실내 공간 내에 사람의 존재를 감지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따져야 한다면, 앞서 설명한 도어 닫힘 감지 센서(161)나 인체 감지 센서(162, 이상 도 4 참조)를 사용하여 사람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
사람의 존재를 감지하기로 결정한 경우에는, 실제로 사람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2). 사림이 실내 공간에 존재하는 경우에, 도어 닫힘 감지 센서(161)나 인체 감지 센서(162)는 제어 유닛(160)에 사람의 존재에 관한 신호를 입력하게 될 것이다.
실내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 유닛(160)은 흡연 감지 센서(120)를 활성화시키고(S3), 또한 알람 유닛(13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S4). 사람의 존재 여부에 따라 흡연 감지 센서(120) 등을 활성화함에 따라, 그들이 항상 활성화되는 경우에 비하여 전원 공급 유닛(150)의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된다. 알람 유닛(130)을 활성화함에 따라서는, 실내 공간에 존재하는 사람이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가 작동하고 있음을 인지하게 한다. 알람 유닛(130)의 작동만으로도, 위 사람은 흡연하고자 하는 욕구를 억제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알람 유닛(130)에서 발생한 빛은 사람의 일 측에 위치하는 벽(W)을 향해 지향될 수 있다. 사람은 변기에 앉은 상황에서 위 벽(W)에 비치는 빛을 통해 위 알람 유닛(130), 나아가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의 존재를 인식하게 될 것이다. 위 사람은 또한, 알람 유닛(130) 자체를 직접 바라 보고서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의 존재를 인식할 수도 있다. 나아가,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의 존재를 알리기 위하여, 도어나 벽(W)에 그에 관한 안내문을 부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안내문은, 예를 들어 '본 공간에는 소방법에 의한 흡연 감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가 설치되어 동작하고 있습니다. 흡연이 감지되는 경우에, 위흡연 감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가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와 같이 기재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흡연 감지 센서(120)가 흡연을 감지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가 또한 실행될 수 있다. 흡연 감지 센서(120)가 흡연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흡연 감지 센서(120)가 활성화되는 동안에 계속해서 흡연을 감지하기 위한 활성화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흡연 감지 센서(120)가 흡연을 감지한 경우에, 제어 유닛(160)은 밸브(145,146)를 개폐하여 소화수 탱크(148, 도 2 참조)에서 노즐(141,142)을 통해 소화수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소화수 탱크(148)는 노즐(141,142) 둘에서 모두 분사되는 것이 아니고, 제1 노즐(141, 도 2 참조)을 통해 1차 모드로 분사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도는 도 7을 참조하면, 제1 노즐(141)에서 분사되는 물은 흡연하는 사람 옆에 위치하는 벽(W)을 지향하여 분사된다. 이는 1차적인 경고의 의미여서, 위 사람이 소화수에 의해 받을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분사되는 소화수의 양을 적게 하거나, 소화수가 흩뿌려지게 하는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흡연 감지 센서(120)는 위의 1차 분사 후에도 계속해서 흡연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S7). 흡연이 중단된 경우나,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 유닛(160)은 일련의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사람이 위 실내 공간에 존재하는 중에 흡연이 계속 이루어지는 것으로 흡연 감지 센서(120)가 감지하면, 제어 유닛(160)은 2차로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다(S8). 도 8을 참조하면, 1차 분사 때와는 달리, 2차 분사 시에는 제2 노즐(142)을 통해 소화수가 분사될 수 있다. 제2 노즐(142)은, 벽(W)을 지향하는 제1 노즐(141)과 달리,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100)의 수직 하방의 사람을 지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흡연을 하는 사람이 보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제재가 가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의 소화수의 분사량은, 앞선 1차 분사의 경우보다 많을 수 있고, 분사 패턴 또한 굵은 물방울이 바로 떨어지는 것이 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단계적인 경고에도 불구하고 흡연을 하는 사람에게는 종국적인 제재가 가해지고, 그 사람은 더 이상 흡연할 수는 없게 될 것이다. 또한, 그러한 흡연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막을 수 있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100':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110,110': 베이스
120: 흡연 감지 센서 130: 알람 유닛
141,142: 노즐 143,144: 공급 라인
145,146: 밸브 148: 소화수 탱크
150: 전원 공급 유닛 160: 제어 유닛
161: 도어 닫힘 감지 센서 162: 인체 감지 센서

Claims (16)

  1. 베이스;
    흡연 여부를 감지하는 흡연 감지 센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흡연 감지 센서의 존재 또는 상기 흡연 감지 센서의 작동을 알리는 알람 유닛;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소화수를 저장하는, 소화수 탱크; 및
    상기 흡연 감지 센서로부터의 상기 흡연 여부에 관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소화수 탱크에서의 상기 소화수의 분사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서로 반대되는 제1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감지 센서와 상기 알람 유닛은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소화수 탱크는 상기 제2 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 탱크는 상기 제1 면을 통해서도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도록 개구되는 복수의 스크류홀이 형성되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노즐; 및
    상기 소화수 탱크와 상기 노즐을 연결하는 공급 라인을 포함하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라인은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 공급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제1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소화수 탱크에 연결된 제1 노즐; 및
    상기 제2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소화수 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노즐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설치되는 제2 노즐을 포함하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라인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1 밸브와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공급라인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2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밸브는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작동되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유닛은 점멸하도록 형성되는 램프를 포함하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감지 센서와 상기 알람 유닛에 대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전원공급 유닛을 더 포함하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소켓; 및
    상기 소켓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건전지를 포함하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12. 흡연 여부를 감지하는 흡연 감지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흡연 감지 센서의 존재 또는 상기 흡연 감지 센서가 작동 중임을 알리는 알람 유닛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흡연 감지 센서가 상기 흡연을 감지하면, 소화수 탱크에서 소화수가 분사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여부를 감지하는 흡연 감지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전에,
    실내 공간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연을 감지하는 흡연 감지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실행되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인체 감지 센서를 작동시키거나 상기 실내 공간의 도어 닫힘 감지 센서를 작동시켜서 상기 사람의 존재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감지 센서가 상기 흡연을 감지하면, 소화수 탱크에서 소화수가 분사되게 하는 단계는,
    상기 소화수를 제1 모드로 분사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제1 모드와 다른 제2 모드로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소화수의 분사량, 상기 소화수의 분사 패턴, 및 상기 소화수의 분사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10019569A 2011-03-04 2011-03-04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20100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569A KR20120100578A (ko) 2011-03-04 2011-03-04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569A KR20120100578A (ko) 2011-03-04 2011-03-04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578A true KR20120100578A (ko) 2012-09-12

Family

ID=47110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569A KR20120100578A (ko) 2011-03-04 2011-03-04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05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1831A (en) * 2017-04-21 2018-10-31 Firescape Global Ltd Fire safety device and fire safety system
EP4006858A1 (en) * 2020-11-30 2022-06-01 Carrier Corporation Fire detection in an occupied compart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1831A (en) * 2017-04-21 2018-10-31 Firescape Global Ltd Fire safety device and fire safety system
EP4006858A1 (en) * 2020-11-30 2022-06-01 Carrier Corporation Fire detection in an occupied compartment
US11423752B2 (en) 2020-11-30 2022-08-23 Carrier Corporation Fire detection in an occupied compart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7082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localising a fire
KR10188702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2226530B1 (ko) 소방피난유도장치
TW201033945A (en) Flue-gas analysis safety apparatus
CA2921709A1 (en) Hazardous gas response system
CN106075763A (zh) 智能化火灾预防及应对系统
CA2988129A1 (en) Portable heater with environmental sensor
KR20120100578A (ko) 흡연 반응형 소화수 분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70363327A1 (en) Vent-free heater with environmental sensors
KR20150105508A (ko) 흡연부스
JP5334778B2 (ja) 火災警報器の試験設備
JP2010160767A (ja) 煙感知器の試験設備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2007061519A (ja) 水素製造・貯蔵装置の防災設備
JP5361838B2 (ja) 消火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3124870U (ja) 呼出し機能付ロースター
US20070001865A1 (en) Smoke detector
JPWO2019189125A1 (ja) 火災検出装置
JP2010119516A (ja) 建物及び建物の設計装置
JP3622130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CN113570831A (zh) 一种一体化无线蓝牙燃气泄漏报警与安全联动装置
JP2010160768A (ja) 煙感知器の試験設備の制御方法
CN106895878B (zh) 一种灭火检测箱
WO2008019522A1 (fr) Cheminée au gaz
CN113053192A (zh) 消防联动演示设备
KR20130023462A (ko) 흡연감지환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