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0458A -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0458A
KR20120100458A KR1020110019368A KR20110019368A KR20120100458A KR 20120100458 A KR20120100458 A KR 20120100458A KR 1020110019368 A KR1020110019368 A KR 1020110019368A KR 20110019368 A KR20110019368 A KR 20110019368A KR 20120100458 A KR20120100458 A KR 20120100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oil
oil
water
transfer belt
wast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2665B1 (ko
Inventor
정수훈
Original Assignee
정수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훈 filed Critical 정수훈
Priority to KR1020110019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665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ab- or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3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endless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절삭유가 수용된 절삭유 탱크의 외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기에 연결되는 구동 드럼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절삭유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아이들 드럼과, 상기 구동 드럼 및 아이들 드럼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드럼의 회전 구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절삭유 탱크 내부의 절삭유를 포집 및 이송시키는 이송 벨트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벨트의 절삭유를 포집하여 배출하는 스크레이퍼 유닛, 및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에서 이송된 절삭유로부터 폐유 및 부유물을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유수 분리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벨트는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복수의 포집부를 갖는 금속 시트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온에서 사용 가능하며 강한 내인장성을 갖는 이송 벨트가 적용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DEVICE FOR ELIMINATING WASTE OIL AND FLOATING MATTER IN WASTED WATER SOLUBLE CUTTING OIL}
본 발명은 이송벨트를 이용하여 수용성 절삭유 속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을 분리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절삭유는 공작기계를 이용한 절삭가공시 절삭 공구를 냉각시키고 윤활되게 하여 공구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선삭이나 연삭과 같은 고속 가공의 경우 냉각 작용이 뛰어난 수용성 절삭유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용성 절삭유는 절삭가공에 사용된 후 재사용을 위해 절삭유 탱크로 수집된다. 절삭유 탱크에는 절삭유 이외에도 절삭 과정 중에 발생한 폐유 및 부유물이 존재한다. 이러한 폐오일 및 부유물은 절삭유 위에 폐오일층을 형성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절삭유로의 산소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절삭유가 변질되게 되어 절삭유 재활용의 불가능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용성 절삭유로부터 폐유 및 부유물을 분리 제거하기 위한 분리제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분리제거장치의 한 형태로서 회전식 이송벨트를 활용한 분리제거장치를 들 수 있다. 이는 절삭유 탱크 내의 이송 벨트에 절삭유를 유착시킨 후 이송 벨트를 절삭유 탱크의 외부로 이송시킨 후,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이송 벨트로부터 절삭유를 분리한 후 유수 분리조를 통해 절삭유로부터 폐유 및 부유물을 분리 제거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에 사용되는 이송벨트로서 일반적으로 섬유, 우레탄 수지, 펠트 재질이 사용되고 있다. 섬유 재질 이송벨트의 사용할 경우 절삭유의 유착성은 양호하고 고온에서 사용 가능하나 내인장성이 약하여 쉽게 끊어지는 단점이 있고, 우레탄 수지의 경우 절삭유의 유착성은 양호하나 고온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펠트 재질의 경우 절삭유의 유착성은 양호하나 내인장성이 약하여 쉽게 끊어지고 고온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온에서 사용 가능하며 강한 내인장성을 갖는 이송 벨트가 적용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용성 절삭유가 수용된 절삭유 탱크의 외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기에 연결되는 구동 드럼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절삭유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아이들 드럼과, 상기 구동 드럼 및 아이들 드럼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드럼의 회전 구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절삭유 탱크 내부의 절삭유를 포집 및 이송시키는 이송 벨트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벨트의 절삭유를 포집하여 배출하는 스크레이퍼 유닛, 및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에서 이송된 절삭유로부터 폐유 및 부유물을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유수 분리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벨트는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복수의 포집부를 갖는 금속 시트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포집부는 상기 이송 벨트를 관통하는 관통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 벨트는 상기 포집부들이 가공되어 일정 면적을 이루는 복수의 가공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가공 영역들은 상기 포집부가 미가공된 구획영역에 의해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영역은 상기 이송 벨트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집부는 상기 이송 벨트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리세스된 요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이송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 벨트의 양면에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이송 벨트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브라겟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이송벨트 양면의 절삭유를 스크레이핑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유수 분리조를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이송벨트의 양면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구동 드럼에 위치한 이송 벨트에서 흐르는 절삭유를 받아 상기 스크레이퍼 쪽으로 이송시키는 절삭유 받이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수 분리조는 분리조 본체와, 상기 분리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수평 방향의 제1 및 제2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제1 및 제2영역이 상기 분리조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해당하는 공간을 통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격벽과, 상기 분리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영역의 절삭유에 떠있는 폐유 및 부유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폐유 배출부, 및 상기 제2영역의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영역에서 제2영역으로 이동한 절삭유를 상기 절삭유 탱크로 배출하는 절삭유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강한 내인장성을 갖는 이송 벨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송 벨트의 교체 없이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송벨트의 포집부을 이용하여 절삭유를 포집하는 구조, 이송 벨트의 양면을 스크레이핑하는 구조, 및 절삭유 받이를 설치한 구조를 통해 절삭유의 포집량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의 경사면 구조를 통해 절삭유가 유수 분리조에 투입되는 구조가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 구현되게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유 및 부유물 분리제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폐유 및 부유물 분리제거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벨트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벨트의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크레이퍼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스크레이퍼 유닛의 정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유수 분리조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이하, '폐유 및 부유물 분리제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폐유 및 부유물 분리제거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폐유 및 부유물 분리제거장치는 프레임(110), 구동 드럼(120), 아이들 드럼(130), 이송 벨트(140), 스크레이퍼 유닛(scraper unit,150), 및 유수 분리조(16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수용성 절삭유(210)가 수용된 절삭유 탱크(200)의 외부에 설치되며, 구동 드럼(120), 스크레이퍼 유닛(150), 유수 분리조(160) 등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프레임(110)의 후방에는 구동 드럼(120)의 회전 구동을 위한 구동기(125, 모터)와, 구동기(125)를 덮기 위한 구동기 커버(126)가 설치된다.
구동 드럼(120)은 프레임(110)의 전방에 설치되며, 구동기(125)에 연결되어 구동기(125)의 구동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아이들 드럼(130)은 프레임(110) 전면에 구비된 지지부(18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절삭유 탱크(2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지지부(180)는 아이들 드럼(130)의 수직 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180)는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텐션 가이드(181)와, 텐션 가이드(181)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텐션 바(182), 및 텐션 가이드(181)와 텐션 바(182)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83)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들 드럼(130)은 텐션 바(18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텐션 바(182)는 고정 볼트(184)에 의해 텐션 가이드(181)에 고정된다. 스프링(183)은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서, 그 양단이 텐션 가이드(181)와 텐션 바(182)에 지지되어 있다.
이송 벨트(140)는 구동 드럼(120) 및 아이들 드럼(130)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구동 드럼(120)의 회전에 따라 이동(순환)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송 벨트(140)는 절삭유 탱크(200) 내부의 절삭유(210)를 포집하여 절삭유 탱크(200) 외부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1에 따르면, 구동 드럼(12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구동 드럼(120)을 기준으로 이송 벨트(140)의 좌측 부분은 하향 이동, 우측 부분은 상향 이동하게 된다.
스크레이퍼 유닛(150)은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이송 벨트(140)의 절삭유(210)를 포집하여 유수 분리조(160)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유수 분리조(160)는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스크레이퍼 유닛(150)에서 이송된 절삭유(210)에서 폐유 및 부유물(211, 도 6 참조)을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절삭유(210)에서 분리된 폐유 및 부유물(211)은 폐유통(170)으로 배출되고, 폐유 및 부유물(211)이 제거된 절삭유(210)는 절삭유 탱크(200) 내부로 재투입되게 된다.
이하, 이송 벨트(140), 스크레이퍼 유닛(150), 및 유수 분리조(16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벨트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송 벨트(140)는 복수의 포집부(141)이 형성된 금속 시트의 형태를 갖는다. 포집부(141)는 이송 벨트(14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형태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집부(141)는 이송 벨트(140)를 관통하는 관통공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송 벨트(140)의 재질로서 스테인레스 스틸(SUS, Steel Us Stainless)가 사용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한 변형이 가능하도록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 벨트(140)에 형성된 포집부(141)은 절삭유 탱크(200) 내의 절삭유(210)를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삭유(210)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포집부(141) 내부로 유입되어 포집부(141) 내벽에 부착되게 된다.
이송 벨트(140)는 포집부(141)들이 가공되어 일정 면적을 이루는 홀가공영역(A)을 구비한다. 홀가공영역(A)은 복수로 형성되며, 이들은 포집부(141)이 미가공된 구획영역(B)에 의해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 형성된다.
구획영역(B)은 이송 벨트(14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형성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구획영역(B)이 이송 벨트(140)의 길이 및 폭 방향의 양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획영역(B)은 이송 벨트(14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기간 사용에도 이송 벨트(140)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다만, 포집부(141)의 배열, 홀가공영역(A)의 형태 및 면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벨트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집부(142)는 이송 벨트(14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리세스된 요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포집부(142)는 이송 벨트(140)의 길이 및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배열되어 있다. 포집부(142)는 이송 벨트(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 벨트(140)의 양면에 번갈아 형성되게 되며, 그에 따라 이송 벨트(14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집부(142)가 요홈 형태로 형성되는바 미세한 이물질이 관통공에 걸리게 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송 벨트(140)를 관통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이송 벨트(140)의 강성을 확보하기가 용이하다.
도 5 및 6은 도 2에 도시된 스크레이퍼 유닛(150)의 분해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스크레이퍼 유닛(150)은 한 쌍의 브라켓(151)과, 한 쌍의 스크레이퍼(1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브라켓(151)은 구동 드럼(120)의 하측 부분에 배치되며, 이송 벨트(140)의 하향 이동부분을 그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브라켓(151)은 프레임(110)에 일정 각도만큼의 경사를 이루도록 고정 설치되며, 프레임(110)에 형성된 설치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스크레이퍼(152)는 한 쌍의 브라켓(151)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이송 벨트(140)의 양면과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스크레이퍼(152)는 이송 벨트(140)가 하측 방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이송 벨트(140) 양면의 절삭유를 스크레이핑하는 기능을 한다. 스크레이퍼(152)의 재질로서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152)는 금속 재질의 이송 벨트(140)와 직접 마찰되지 않도록 이송 벨트(140)의 양면과 일정 간격(틈새)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스크레이퍼(152)들 사이의 간격은 스크레이퍼(152)가 이송 벨트(140)와 직접 접촉하지는 않되 이송 벨트(140)의 유막과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스크레이퍼(152)가 유막과 접촉할 때 이송 벨트(140)의 절삭유(210)는 그 표면 장력에 의해 이송 벨트(140)로부터 떨어져 나오게 된다.
스크레이퍼(152)는 유수 분리조(160)를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플레이트 형태의 브라켓(151)을 경사지게 설치하고, 직육면체 형태의 스크레이퍼(152)를 브라켓(151)의 위에 설치하여 경사면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스크레이퍼(152)에 의해 분리된 절삭유(210)가 경사면을 타고 하측 방향으로 흘러 유수 분리조(160)로 투입되게 된다.
한편, 브라켓(151)의 일측에는 절삭유 받이(153)가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절삭유 받이(153)는 브라켓(151)의 측면에서 이송 벨트(140)의 상향 이동부분 쪽으로 연장 형성된다. 절삭유 받이(153)는 구동 드럼(120)에 위치한 이송 벨트(140)에서 흐르는 절삭유(210)를 받아 스크레이퍼(152) 쪽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하며, 절삭유 받이(153)는 스크레이퍼(152)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유수 분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유수 분리조(160)는 분리조 본체(161), 격벽(162), 폐유 배출부(163), 및 절삭유 배출관(164)을 포함한다.
분리조 본체(161)는 프레임(110)의 바닥판(111)에 설치되며, 스크레이퍼 유닛(150)으로부터 이송된 절삭유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다.
격벽(162)은 분리조 본체(161)의 내부 공간을 수평 방향의 제1영역(161a)과 제2영역(161b)으로 구획한다. 격벽(162)은 제1영역(161a)과 제2영역(161b)이 분리조 본체(161)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해당하는 공간을 통해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격벽(162)은 분리조 본체(161)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분리조 본체(161)의 상단까지 연장 형성된다.
폐유 배출부(163)는 분리조 본체(161)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1영역(161a)의 절삭유(210)에 떠있는 폐유 및 부유물(211)을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폐유 배출부(163)는 분리조 본체(161)의 측면에 형성되며, 폐유통(170)은 폐유 배출부(163)가 형성된 방향에 배치되어 폐유 배출부(163)로부터 배출된 폐유 및 부유물(211)을 수용한다.
절삭유 배출관(164)은 제2영역(161b)의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제1영역(161a)에서 제2영역(161b)으로 이동한 절삭유(210)를 절삭유 탱크(200)로 배출한다. 절삭유 배출관(164)은 프레임(110)이 바닥판(111)과 절삭유 탱크(200)에 각각 형성된 홀과 연통되어 절삭유(210)가 절삭유 탱크(200) 내부로 재투입되도록 한다.
스크레이퍼 유닛(150)에서 배출된 절삭유(210)가 분리조 본체(161)에 제1영역(161a)으로 떨어지면, 절삭유(210)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211)은 절삭유(210)와의 밀도차에 의해 절삭유(210) 위로 떠오르게 된다. 이때, 제1영역(161a)의 폐유 및 부유물(211)은 격벽(162)에 의해 제2영역(161b)으로의 이동이 차단되게 되며, 폐유 배출부(163)를 통해 폐유통(170)으로 배출되게 된다. 폐유 및 부유물(211)이 제거된 절삭유(210)는 격벽(162)의 하부 공간을 통해 제2영역(161b)으로 이동한 후, 절삭유 배출관(164)을 통해 절삭유 탱크(200) 내부로 재투입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0)

  1. 수용성 절삭유가 수용된 절삭유 탱크의 외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기에 연결되는 구동 드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절삭유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아이들 드럼;
    상기 구동 드럼 및 아이들 드럼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드럼의 회전 구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절삭유 탱크 내부의 절삭유를 포집 및 이송시키는 이송 벨트;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벨트의 절삭유를 포집하여 배출하는 스크레이퍼 유닛; 및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에서 이송된 절삭유로부터 폐유 및 부유물을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유수 분리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벨트는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복수의 포집부를 갖는 금속 시트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이송 벨트를 관통하는 관통홀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벨트는 상기 포집부들이 가공되어 일정 면적을 이루는 복수의 가공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가공 영역들은 상기 포집부가 미가공된 구획영역에 의해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영역은 상기 이송 벨트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이송 벨트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리세스된 요홈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이송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 벨트의 양면에 번갈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이송 벨트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브라겟;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이송벨트 양면의 절삭유를 스크레이핑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유수 분리조를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이송벨트의 양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구동 드럼에 위치한 이송 벨트에서 흐르는 절삭유를 받아 상기 스크레이퍼 쪽으로 이송시키는 절삭유 받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분리조는,
    분리조 본체;
    상기 분리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수평 방향의 제1 및 제2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제1 및 제2영역이 상기 분리조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해당하는 공간을 통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격벽;
    상기 분리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영역의 절삭유에 떠있는 폐유 및 부유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폐유 배출부; 및
    상기 제2영역의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영역에서 제2영역으로 이동한 절삭유를 상기 절삭유 탱크로 배출하는 절삭유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
KR1020110019368A 2011-03-04 2011-03-04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 KR101242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368A KR101242665B1 (ko) 2011-03-04 2011-03-04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368A KR101242665B1 (ko) 2011-03-04 2011-03-04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458A true KR20120100458A (ko) 2012-09-12
KR101242665B1 KR101242665B1 (ko) 2013-03-12

Family

ID=4711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368A KR101242665B1 (ko) 2011-03-04 2011-03-04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6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676B1 (ko) * 2013-05-14 2014-12-26 정효정 자유 구동 방식의 아이들 드럼을 구비하는 오일 스키머
KR20160036217A (ko) * 2014-09-25 2016-04-04 문창혁 유수 분리장치
KR102092366B1 (ko) * 2019-11-08 2020-03-24 강수동 절삭유 기름 정제장치
KR102390494B1 (ko) * 2021-07-16 2022-04-22 이문성 기포 오일스키머
CN114619291A (zh) * 2022-04-19 2022-06-14 浙江瑞利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的建筑卷材双向切割带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470B1 (ko) * 2014-10-02 2015-06-17 주식회사 영진금속 유수분리장치
CN104326527B (zh) * 2014-11-14 2016-06-08 天津市热处理研究所有限公司 热处理水箱油水分离器
KR101896064B1 (ko) 2016-11-11 2018-09-06 주식회사 대일기공 오일 스키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995U (ko) * 1986-07-23 1988-02-12
JP2000070930A (ja) * 1998-09-03 2000-03-07 Katakura Industries Co Ltd 浮上油除去装置
KR200249707Y1 (ko) * 2001-07-10 2001-11-17 주식회사 한국메이후란 벨트오일 스키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676B1 (ko) * 2013-05-14 2014-12-26 정효정 자유 구동 방식의 아이들 드럼을 구비하는 오일 스키머
KR20160036217A (ko) * 2014-09-25 2016-04-04 문창혁 유수 분리장치
KR102092366B1 (ko) * 2019-11-08 2020-03-24 강수동 절삭유 기름 정제장치
KR102390494B1 (ko) * 2021-07-16 2022-04-22 이문성 기포 오일스키머
CN114619291A (zh) * 2022-04-19 2022-06-14 浙江瑞利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的建筑卷材双向切割带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665B1 (ko) 201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665B1 (ko)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된 폐유 및 부유물의 분리제거장치
KR101116421B1 (ko) 더티액 처리 장치
JPH09300171A (ja) 濾過装置及び濾過システム
EA001344B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рельсовых желоб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S5830316A (ja) 冷却・潤滑媒体分離浄化装置
CN101809509B (zh) 用于在墨显影器中抑制飞溅的装置
KR102122995B1 (ko) 여과 장치
KR20170129405A (ko)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
AU739830B2 (en) Chip conveyor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chips
JPS6331278B2 (ko)
KR102364327B1 (ko)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
US5522990A (en) Oil removal device with integrated gravity separator
JP6945811B2 (ja) 脱墨装置および古紙再生処理装置
KR20130067545A (ko) 스크류 타입 오일 스키머
JP2015009280A (ja) 工作機械の切屑処理装置
KR101896064B1 (ko) 오일 스키머
KR101476676B1 (ko) 자유 구동 방식의 아이들 드럼을 구비하는 오일 스키머
KR101727924B1 (ko) 롤러의 중량에 의해 텐션을 유지하는 화이바글라스 벨트와 벨트 양면 스크레이퍼를 이용한 벨트타입 스키머
JP5489231B2 (ja) クーラント処理装置
JPH0352728Y2 (ko)
KR101864885B1 (ko) 필터링효율이 향상된 페이퍼필터장치
KR20160133712A (ko) 화상 형성 장치용 토너 리사이클링 장치
KR101955539B1 (ko) 흡착포의 유분 회수장치
JP2015009279A (ja) 工作機械の切屑処理装置
KR101851689B1 (ko)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