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327B1 -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327B1
KR102364327B1 KR1020210152836A KR20210152836A KR102364327B1 KR 102364327 B1 KR102364327 B1 KR 102364327B1 KR 1020210152836 A KR1020210152836 A KR 1020210152836A KR 20210152836 A KR20210152836 A KR 20210152836A KR 102364327 B1 KR102364327 B1 KR 102364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sh conveyor
type
tank
foreign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초당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초당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초당산업
Priority to KR1020210152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6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hydraulic classifiers, e.g. of launder, tank, spiral or helical chute concentrato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0Screens in the form of endless mov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4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 B65G15/44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for impelling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4Endless load-carriers made of interwoven ropes or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건설폐기물 습식처리장치가 건설폐기물이 연속적으로 수조에 투입될 경우에, 골재에 포함된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같이 비슷한 밀도(0.8~0.95ton/㎥)이물질과, 우레탄이나 PVC와 같이 물보다 높은 밀도(1.2~1.8ton/㎥)를 갖는 이물질이 분리되지 못하고 골재와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을 뿐만 아니라, 스티로폼과 같이 가벼운 이물질은 수면에 떠다니면서 이물질 배출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물의 흐름 때문에 배출장치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계속해서 수조에 쌓이면서 이물질을 분리해 내려는 수조의 효과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수조의 막힘현상이나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점과, 분리된 이물질이 다시 골재와 혼합하여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돌가루나 흙 등이 하부로 가라앉으면서 슬러지가 되어 설비를 손상시키는 문제점, 물속에 있는 컨베이어벨트의 경우에 벨트의 회전을 돕는 캐리어롤러와 리턴롤러도 물속에 있어, 물속에 포함된 작은 입자의 돌가루 등이 회전부에 끼이면서 회전부가 손상되지만, 흙탕물에 있기 때문에 그 손상정도를 모르다가 어느 날 갑자기 부러지거나 파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호퍼부(100), 유동(流動)생성용 살수분사부(200), 수조탱크부(300),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400),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500), 브러쉬형 이물질배출컨베이어부(600)로 구성됨으로서,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를 통해,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수중에 있다가 나오면서 우측 끝단에서 골재를 배출하고, 다시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를 따라 돌면서 하부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서 좌측 끝단에 배출시켜, 시계방향루프를 따라 골재와 슬러지를 한번에 원샷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기존에 비해 2배~4배 많은 골재를 선별생산시킬 수 있고, 캐리어롤러와 리턴롤러가 없어서 슬러지에 의한 기기 손상이 없으며, 연결부위는 돌면서 2번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그 손상정도를 확인할 수가 있어, 부품교체효율과 설비관리효율을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가 있고, 호퍼부에서 수조탱크부로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쪽으로 살수분사시켜 골재와 함께 수조 내부까지 들어온 이물질을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쪽으로 유동(流動)시켜 흘려보낼 수 있어,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 중 물의 비중과 비슷하여 분리가 어려웠던 이물질을 기존에 비해, 80% 향상된 분리선별효율을 제공할 수가 있으며, 수조 표면에 부유되는 가벼운 이물질에 있어서도 스키머에 의해 발생된 물의 흐름으로 인해 분리가 잘 되지 않던 것을 브러쉬형 이물질 배출부를 통해 기존에 비해 80% 향상된 분리선별효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하부에 쌓이는 슬러지를 긁어서 퍼내는 받침 에이프론부를 휘어지거나 누를 수 있어, 바닥의 슬러지 긁음과 제거율을 기존에 비해 1.5배~3배 향상시킬 수 있는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A hybrid type separation discharge device consisting of a one-shot loop type discharge of aggregate and sludge and a two-stage separation of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내 이물질 분리장치에 있어 수조에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쪽으로 살수분사시켜, 부력에 의해 투입과 동시에 분리되는 가벼운 이물질이 아닌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중밀도(1.2~1.8ton/㎥)이물질이나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비슷한 저밀도(0.8~0.95ton/㎥) 이물질을 1차적으로 분리시켜 물속에 위치한 매쉬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2차로 수면에 부유되어 있는 이물질은 별도의 이물질 분리배출기를 통해 수조 외부로 배출한다. 이 때에 골재는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수중에 있다가 나오면서 우측 끝단에서 배출하고, 수중 하부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서 좌측 끝단에 배출시켜, 시계방향루프를 따라 골재와 슬러지를 한번에 배출시키는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안전을 위한 목적으로 해체하는 과정에서 건축물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와 목재, 유리 및 합성수지가 포함 된 다량의 건설폐기물이 발생된다.
건설폐기물 중 재활용이 용이한 고철 등과 같은 금속재는 먼저 수거한 다음 건설폐기물을 중간처리시설로 투입시켜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순환골재 등)으로 생산하는 과정에서 건설폐기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은 폐기물 처리장치의 하나인 이물질 선별장치를 통해 선별하여 분리시킴으로써 골재만을 얻고, 이러한 과정에서 분리선별된 폐목재류, 직물류조각류, 플라스틱류, 종이류 및 비닐류 등을 소각 등의 방법으로 처분하면 된다.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시켜 양질의 순환골재를 얻는 이물질 분리선별장치는 금속재가 분리된 건설폐기물 파분쇄물이 투입부를 통해 수조로 투입되어 하부로 자연낙하되어지는 과정에서 그 비중의 차이에 의하여 파분쇄물 속에 포함된 이물질은 수조의 상부로 떠오르며 수조의 상부로 떠오른 이물질은 스키머라는 장치를 통해 수조 외부로 배출되고, 동시에 골재는 배출컨베이어벨트에 실려 수조의 밖으로 이송되어 일정한 장소에 적재되거나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어진다.
수조의 하부에는 모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스크류형태를 갖는 배출구를 형성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침전물인 토분이나 미분 등에 의해 형성된 슬러지를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건설폐기물 파분쇄물이 투입부를 통해 수조로 투입되어지면 수조의 하부를 향하여 자유낙하되어지는 과정에서 별도의 아무런 저항없이 그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어짐에 따라 파분쇄물의 표면에 응고되어 고착된 이물질이나 토분 등이 분리되지 못하거나 비중이 물과 유사하거나 무거워서 물의 부력만으로는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건설폐기물을 얻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로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739230호에서는 건설폐기물 습식처리장치가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단지, 회전되는 타격봉을 갖는 드럼에 의해 건설폐기물을 파분쇄시키면서, 건설폐기물에 묻은 이물질을 수조에서 부력과 자유낙하의 원리로 재생골재를 얻도록 구성될 뿐, 골재에 포함된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같이 비슷한 밀도(0.8~0.95ton/㎥)이물질과, 우레탄이나 PVC와 같이 물보다 높은 밀도(1.2~1.8ton/㎥)를 갖는 이물질이 분리되지 못하고 골재와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을 뿐만 아니라, 스티로폼과 같이 가벼운 이물질은 수면에 떠다니면서 이물질 배출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물의 흐름 때문에 배출장치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계속해서 수조에 쌓이면서 이물질을 분리해 내려는 수조의 효과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골재에 포함된 돌가루나 흙 등이 하부로 가라앉으면서 슬러지가 되어 수조 하부에 쌓이는 것을 시기 적정하게 배출하지 못하면 설비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물속에 있는 컨베이어벨트의 경우에 벨트의 회전을 돕는 캐리어롤러와 리턴롤러도 물속에 있어, 물속에 포함된 작은 입자의 돌가루 등이 회전부에 끼이면서 회전부가 손상되지만, 흙탕물에 있기 때문에 그 손상정도를 모르다가 어느 날 갑자기 부러지거나 파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739230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를 통해,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수중에 있다가 나오면서 우측 끝단에서 골재를 배출하고, 다시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를 따라 돌면서 하부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서 좌측 끝단에 배출시켜, 시계방향루프를 따라 골재와 슬러지를 한번에 원샷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캐리어롤러와 리턴롤러가 없어서 슬러지에 의한 기기 손상이 없으며, 연결부위는 돌면서 2번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그 손상정도를 확인할 수가 있으며, 호퍼부에서 수조탱크부로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쪽으로 살수분사시켜 건설폐기물 중에서 이물질을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쪽으로 유동(流動)시켜 흘려보낼 수 있어,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비슷한 밀도(0.8~0.95ton/㎥)의 이물질과,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밀도(1.2~1.8ton/㎥)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선별시킬 수 있으며, 수조 표면에 부유된 스티로폼이나 마른 폐목재와 같은 가벼운 이물질은 별도의 제거기를 통해 제거할 수 있으며, 하부에 쌓이는 슬러지를 긁어서 퍼내는 받침 에이프론부를 휘어지거나 누를 수 있어, 바닥의 슬러지 긁음과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는
수조에 투입되는 건설폐기물 쪽으로 살수분사시켜, 1차로 이물질 중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중밀도(1.2~1.8ton/㎥)이물질과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비슷한 저밀도(0.8~0.95ton/㎥) 이물질을 분리시켜 수중에 있는 매쉬컨베이어를 통해 수조 외부로 분리배출하고, 2차로 수조 표면으로 부유되는 스티로폼과 같이 가벼운 이물질은 별도의 이물질 제거기를 두어 수조 외부로 분리배출시키며,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수중에 있다가 나오면서 우측 끝단에서 골재를 배출하고, 수중 하부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서 좌측 끝단에 배출시켜, 시계방향루프를 따라 골재와 슬러지를 한번에 배출시키도록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수조탱크부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건설폐기물을 수조탱크부 상단 일측에 공급시키는 호퍼부(100)와,
호퍼부에서 수조탱크부로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쪽으로 살수분사시켜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중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중밀도(1.2~1.8ton/㎥)이물질이나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비슷한 저밀도 이물질을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쪽으로 유동(流動)시켜 흘러보내는 유동(流動)생성용 살수분사부(200)와,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물을 충전하여 저장시킨 상태에서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의 양쪽 끝단은 외부로 노출시키고, 중심부위만이 수중에 담가지도록 안내시키고,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가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수조탱크부(300)와,
바나나형상으로 형성되어,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수중에 있다가 나오면서 우측 끝단에서 골재를 배출하고, 다시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를 따라 돌면서 하부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서 좌측 끝단에 배출시켜, 시계방향루프를 따라 골재와 슬러지를 한번에 배출시키는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400)와,
수조탱크부의 수중에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 유동(流動)생성용 살수분사부(200)에서 분리된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중밀도(1.2~1.8ton/㎥)이물질이나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유사한 저밀도 이물질을 메쉬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500)와,
수조탱크부의 수면 일측에 설치되어, 수조 표면으로 부유되는 가벼운 이물질을 브러쉬로 끌어모아서 이송시켜 배출시키는 브러쉬형 이물질배출컨베이어부(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를 통해,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수중에 있다가 나오면서 우측 끝단에서 골재를 배출하고, 다시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를 따라 돌면서 하부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서 좌측 끝단에 배출시켜, 시계방향루프를 따라 골재와 슬러지를 한번에 원샷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기존에 비해 2배~4배 많은 골재를 선별생산시킬 수 있다.
둘째, 캐리어롤러와 리턴롤러가 없어서 슬러지에 의한 기기 손상이 없으며, 연결부위는 돌면서 2번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그 손상정도를 확인할 수가 있어, 부품교체효율과 설비관리효율을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가 있다.
셋째, 유동(流動)생성용 살수분사부를 통해, 호퍼부에서 수조탱크부로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쪽으로 살수분사시켜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중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중밀도(1.2~1.8ton/㎥)이물질을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쪽으로 유동(流動)시켜 흘려보낼 수 있어, 골재에 포함된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중밀도(1.2~1.8ton/㎥)이물질을 기존에 비해, 80% 향상된 분리선별효율을 제공할 수가 있고, 브러쉬형 이물질 제거부를 통해, 부력만으로도 수조 표면으로 부유되는 가벼운 이물질 또는,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비슷한 저밀도(0.8~0.95ton/㎥) 이물질을 브러쉬로 끌어 모아서 제거시킬 수 있어, 저밀도(0.8~0.95ton/㎥)이물질의 제거 효율을 80%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하부에 쌓이는 슬러지를 긁어서 퍼내는 받침 에이프론부를 휘어지거나 누를 수 있고 상시가동을 통해, 바닥의 슬러지 긁음과 제거율을 기존에 비해 1.5배~3배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겨울에도 동해에 대한 걱정이 없어 연중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조탱크부를 제거한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탱크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렬형상의 일자형 판자구조로 형성된 받침 에이프론부와, 아타치먼트체인(Attachment Chain)부의 구성요소가 분해되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렬형상의 일자형 판자구조로 형성된 받침 에이프론부와, 아타치먼트체인(Attachment Chain)부의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렬형상의 일자형 판자구조로 형성된 받침 에이프론부와, 아타치먼트체인(Attachment Chain)부의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예인 일렬형상의 받침(Bucket)구조의 받침 에이프론부와, 아타치먼트체인(Attachment Chain)부의 구성요소가 분해되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 브러쉬형 이물질배출컨베이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의 고무 스크래퍼가 수조탱크부의 바닥과 접촉시, 단계별로 수조탱크부 바닥(315)과 접촉되는 높이격차를 두어 슬러지를 긁어내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형 이물질배출컨베이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형 이물질배출컨베이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접힘식 구조를 갖는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의 구성요소와 동작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1)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조탱크부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1)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골재는 골재를 말하고, 이물질은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중밀도(1.2~1.8ton/㎥)이물질과, 수조 표면으로 부유되는 가벼운 이물질 또는,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비슷한 저밀도(0.8~0.95ton/㎥) 이물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비중의 이물질을 중밀도(1.2~1.8ton/㎥)이물질이라 칭하고,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비슷한 비중의 이물질을 저밀도(0.8~0.95ton/㎥) 이물질이라 칭하며, 수조 표면으로 부유되는 스티로폼이나 마른 나무와 같은 것은 가벼운 이물질이라 칭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수조에 투입되는 건설폐기물 쪽으로 살수분사시켜, 1차로 이물질 중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중밀도(1.2~1.8ton/㎥)이물질과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비슷한 저밀도(0.8~0.95ton/㎥) 이물질을 분리시켜 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2차로 수조 표면으로 부유되는 가벼운 이물질은 별도의 이물질 제거기를 통해 수조 외부로 분리배출시키며,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수중에 있다가 나오면서 우측 끝단에서 골재를 배출하고, 수중 하부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서 좌측 끝단에 배출시켜, 시계방향루프를 따라 골재와 슬러지를 한번에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1)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호퍼부(100), 유동(流動)생성용 살수분사부(200), 수조탱크부(300),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400),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500), 브러쉬형 이물질배출컨베이어부(6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호퍼부(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호퍼부(100)는 수조탱크부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건설폐기물을 수조탱크부 상단 일측에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일자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건설폐기물을 수조탱크부쪽으로 중력의 원리를 통해 낙하시켜 투입시킨다.
상기 건설폐기물 중에서 이물질은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중밀도(1.2~1.8ton/㎥)이물질과,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비슷한 저밀도(0.8~0.95ton/㎥) 또는, 수조 표면으로 부유되는 가벼운 이물질 이물질을 모두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동(流動)생성용 살수분사부(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유동(流動)생성용 살수분사부(200)는 호퍼부에서 수조탱크부로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쪽으로 살수분사시켜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중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중밀도(1.2~1.8ton/㎥)이물질이나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비슷한 저밀도 이물질을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쪽으로 유동(流動)시켜 흘러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살수분사노즐(210), 노즐지지프레임(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살수분사노즐(210)은 수조탱크부에 투입된 건설폐기물쪽으로 살수를 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일자형 몸체에 복수개의 노즐이 형성되고, 노즐이 분수구조와 같이, 하단방향에서 상단방향으로 살수분사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즐지지프레임(220)은 살수분사노즐이 외압에 흔들리지 않고 정위치되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조탱크부(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수조탱크부(300)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물을 충전하여 저장시킨 상태에서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의 양쪽 끝단은 외부로 노출시키고, 중심부위만이 수중에 담가지도록 안내시키고,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가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스키드(Skid) 프레임(310)이 조립되어 형성되고, 물을 충전하여 저장시켜야 하므로 바나나형상의 밀폐덮개(320)가 덮어져 밀폐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바나나형상의 밀폐덮개는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가 이동하는 모양과 같이, 밀폐덮개가 설치된다.
그리고, 스키드 프레임(310)은 정면도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제1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1)과 결합되는 제1 스키드프레임(311)이 형성되고, 제2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2)과 결합되는 제2 스키드프레임(312)이 형성되며, 제3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3)과 결합되는 제3 스키드프레임(313)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조탱크부의 크기는 가로 50~110m, 세로 10~30m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조탱크부 바닥은 도면부호 315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탱크부는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의 양쪽 끝단은 외부로 노출시키고, 중심부위만이 수중에 담가지도록 안내시키도록 하기 위해 사선형보조지지프레임(33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사선형 보조지지프레임(330)은 사선구조로 형성되어,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버부의 골재배출우측부가 사선형상을 갖도록 지지해준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400)는 바나나형상으로 형성되어,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수중에 있다가 나오면서 우측 끝단에서 골재를 배출하고, 다시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를 따라 돌면서 하부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서 좌측 끝단에 배출시켜, 시계방향루프를 따라 골재와 슬러지를 한번에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원샷이라는 의미는 한번에 배출시키는 것을 말한다.
상기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4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나나형컨베이어본체(410), 바나나형컨베이어구동모터(420), 바나나형컨베이어감속기(430), 체인로프(440), 바나나형컨베이어구동롤러(450), 바나나형컨베이어종동롤러(460), 아타치먼트체인(Attachment Chain)부(470),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부(49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형컨베이어본체(4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바나나형컨베이어본체(410)는 바나나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도방향에 바라봤을 때, 우측끝단 일측에 바나나형컨베이어구동모터가 형성되고, 그 바나나형컨베이어구동모터 일측에 바나나형컨베이어감속기가 형성되며, 그 바나나형컨베이어감속기 일측에 체인로프가 형성되고, 그 체인로프 일측에 바나나형컨베이어구동롤러가 형성되며, 좌측끝단부에 바나나형컨베이어종동롤러가 형성되고, 바나나형컨베이어구동롤러와 바나나형컨베이어종동롤러 사이에 아타치먼트체인(Attachment Chain)부가 형성되고, 그 아타치먼트체인(Attachment Chain)부 상에 받침 에이프론(Apron)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형컨베이어본체(4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끝단에 슬러지를 중력낙하의 힘으로 배출시키는 좌측슬러지배출부(411)가 형성되고, 우측끝단에 골재를 중력낙하의 힘으로 배출시키는 우측골재배출부(412)가 형성되고, 수조탱크부의 수중에 잠기는 수중잠김중심굴곡부(413)로 형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형컨베이어구동모터(4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바나나형컨베이어구동모터(420)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바나나형컨베이어감속기쪽으로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AC모터로 구성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형컨베이어감속기(4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바나나형컨베이어감속기(430)는 바나나형컨베이어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감속하여 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로프(431), 감속기어(432)로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로프(431)는 바나나형컨베이어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감속기어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속기어(432)는 회전로프로부터 받은 회전력을 감속하여 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감속기어, 제2 감속기어, 제3 감속기어로 구성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체인로프(4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체인로프(440)는 바나나형컨베이어감속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바나나형컨베이어구동롤러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형컨베이어구동롤러(4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바나나형컨베이어구동롤러(450)는 체인로프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아타치먼트체인(Attachment Chain)부를 텐션있게 지지해주면서 회전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체인스프로킷이 포함되어 구동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형컨베이어종동롤러(4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바나나형컨베이어종동롤러(460)는 메쉬컨베이어구동롤러와 반대편에 형성되어, 메쉬컨베이어구동롤러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아타치먼트체인(Attachment Chain)부를 텐션있게 지지해주면서 회전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체인스프로킷이 포함되어 구동된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아타치먼트체인(Attachment Chain)부(47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아타치먼트체인(Attachment Chain)부(470)는 바나나형컨베이어구동롤러와 바나나형컨베이어종동롤러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회전루프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타치먼트체인(Attachment Chain)(471)과, 날개형연결플레이트(472)로 구성된다.
상기 아타치먼트체인(Attachment Chain)(471)은 표준형 롤러체인에 아타치먼트를 부착한 체인으로서, 바나나형컨베이어구동롤러와 바나나형컨베이어종동롤러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날개형연결플레이트(472)는 아타치먼트체인(Attachment Chain)의 10cm~30cm 간격으로 형성되어, 받침 에이프론(Apron)부와 탈부착식으로 결합되어, 받침 에이프론(Apron)부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탈부착식은 볼트결합 또는 핀결합되어 형성된다.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는 떠서 담을 수 있는 일렬형상의 일자형 판자구조로 형성되어, 아타치먼트체인(Attachment Chain)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수중에 있다가 나오면서 우측 끝단에서 골재를 배출하고, 다시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를 따라 돌면서 하부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서 좌측 끝단에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형 판자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판자구조는 평면직사각형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아타치먼트체인(Attachment Chain)부의 날개형연결플레이트와 탈부착식으로 결합되어, 육안으로 확인시 손상된 경우에 기기의 구동을 멈추고, 탈부착식으로 교체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기기를 지지하는 일자형 판자구조의 몸체(481)가 형성되고, 그 몸체(481) 상단에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와 접촉시, 접촉 끝단부위가 휘어지거나 눌러지면서 바닥부위의 슬러지를 긁을 수 있는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진 고무 스크래퍼(482)가 형성되며, 양측면에, 골재 또는 슬러지가 외부로 쏟아지지 않도록 격벽역할을 하는 삼각형상의 보조격벽(483)이 형성된다.
이처럼, 일자형 판자구조의 몸체(481), 고무 스크래퍼(482), 삼각형상의 보조격벽(483)으로 이루어진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가 형성됨으로서, 골재 또는 슬러지를 떠서 담을 수 있는 직사각요홈의 수납공간을 형성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는 일자형 판자구조이외에도,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떠서 담을 수 있는 일렬형상의 받침(Bucket)구조로도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가 일렬형상의 일자형 판자구조로 형성됨으로서, 탈부착설치가 용이하고, 높이조절을 해서 수조탱크부의 바닥과 접촉시, 단계별로 수조탱크부 바닥(315)과 접촉되는 높이격차를 두어 슬러지를 용이하게 긁어낼 수가 있다.
여기서, 단계별로 수조탱크부의 바닥과 접촉되는 높이격차를 둔다는 것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단계로,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와 접촉되는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의 고무 스크래퍼 사이의 높이가 3mm로 형성되고, 2단계로, 수조탱크부의 바닥과 접촉되는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의 고무 스크래퍼의 높이가 5mm로 형성되며, 3단계로, 이웃하는 또 다른,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와 접촉되는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의 고무 스크래퍼 사이의 높이가 3mm로 형성되고, 4단계로, 이웃하는 또 다른,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와 접촉되는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의 고무 스크래퍼 사이의 높이가 5mm로 형성됨으로서, 이웃하는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의 고무 스크래퍼 높이격차가 2mm로 형성되어, 1단계에서 수조탱크부 바닥에 쌓인 슬러지량이 적어 슬러지를 긁어내지 못할 경우에, 2단계에서 수조탱크부 바닥과 접촉되면서 슬러지를 긁어낼 수가 있다.
아홉째, 본 발명에 따른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부(49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부(490)는 수조탱크부의 스키드프레임과 바나나형컨베이어본체 사이를 연결시켜,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가 구동시, 수조탱크부 내에서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정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부 중 제1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1), 제2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2), 제3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3)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나나형컨베이어본체의 수중잠김중심굴곡부(413) 밑단과 수조탱크부 바닥(315) 사이의 간격이 5cm~15cm 간극차를 갖도록 지지역할을 한다.
즉, 제1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1)은 수조탱크부의 제1 스키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중잠김중심굴곡부를 좌측방향에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2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2)은 수조탱크부의 제2 스키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중잠김중심굴곡부를 중앙측방향에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3 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3)은 수조탱크부의 제3 스키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중잠김중심굴곡부를 우측방향에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제1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1), 제2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2), 제3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3)이 쓰리포인트구조로 수중잠김중심굴곡부를 지지해줌으로서, 바나나형컨베이어본체의 수중잠김중심굴곡부 밑단(413)과 수조탱크부 바닥(315) 사이의 간격(h)이 5cm~15cm 간극차를 갖도록 지지할 수가 있다.
이때, 바나나형컨베이어본체의 수중잠김중심굴곡부 밑단과 수조탱크부 바닥 사이의 간격(h)이 5cm~15cm 간극차를 갖으며 형성됨으로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가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와 접촉시, 걸림현상이나 막힘현상없이,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를 따라 돌면서 하부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서 좌측 끝단에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또 다른 받침 에이프론(Apron)부와의 다른 높이차를 갖으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를 따라 돌면서 하부에 있는 슬러지를 긁을 경우에, 앞에 있는 받침 에이프론(Apron)부가 슬러지를 긁지 못할 경우에, 이어지는 후단의 받침 에이프론(Apron)부가 다른 높이차를 갖으면서 슬러지를 긁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1), 제2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2), 제3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3)로 이루어진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부(490)가 구성됨으로서, 바나나형컨베이어본체의 수중잠김중심굴곡부 밑단과 수조탱크부 바닥 사이의 간격이 20cm 간극차로 되어, 받침 에이프론(Apron)부가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에 닿지 않아, 슬러지를 긁지 못할 경우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1), 제2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2), 제3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493)로 이루어진 수조탱크브릿지프레임셀부(490)가 수조탱크부의 제1,2,3 스키드프레임과 결합된 볼트체결높이를 조절하여, 받침 에이프론(Apron)부가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에 닿아 슬러지를 긁을 수 있도록 조절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5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500)는 수조탱크부의 수중에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 유동(流動)생성용 살수분사부(200)에서 분리된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중밀도(1.2~1.8ton/㎥)이물질이나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유사한 저밀도 이물질을 메쉬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쉬컨베이어본체(510), 메쉬컨베이어구동롤러(520), 메쉬컨베이어종동롤러(530), 메쉬컨베이어구동모터(540), 메쉬컨베이어벨트(550), 받침 스크레퍼(56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메쉬컨베이어본체(5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쉬컨베이어본체(51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중에 경사진 구조로 설치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수조탱크부의 수중에 메쉬컨베이어종동롤러가 형성되고, 외부방향 끝단에 메쉬컨베이어구동롤러가 형성되고, 그 메쉬컨베이어구동롤러 일측에 메쉬컨베이어구동모터가 형성되며, 메쉬컨베이어종동롤러와 메쉬컨베이어구동롤러 사이에 메쉬컨베이어벨트가 형성되고, 메쉬컨베이어벨트 사이에 살수분사력에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받아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받침 스크레이퍼가 형성된다.
상기 메쉬컨베이어본체는 수조탱크부의 수중에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수조탱크부 일측에 형성된 경사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형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메쉬컨베이어구동롤러(5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쉬컨베이어구동롤러(520)는 메쉬컨베이어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메쉬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면서 회전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메쉬컨베이어종동롤러(5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쉬컨베이어종동롤러(530)는 메쉬컨베이어구동롤러와 반대편에 형성되어, 메쉬컨베이어구동롤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메쉬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면서 회전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메쉬컨베이어구동모터(5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쉬컨베이어구동모터(540)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메쉬컨베이어구동롤러쪽으로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메쉬컨베이어벨트(5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쉬컨베이어벨트(550)는 메쉬컨베이어구동롤러와 메쉬컨베이어종동롤러 사이에 위치되어, 메쉬망을 통해 물과 슬러지는 하단방향으로 배출시키면서 표면상에 형성된 받침 스크레퍼를 회전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일측에 벨트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캐리어 로라와 리턴로라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스크레퍼(5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받침 스크레퍼(560)는 일자형상의 받침구조가 메쉬컨베이어벨트상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메쉬컨베이어벨트에 의해 회전되면서, 유동(流動)생성용 살수분사부(200)에서 분리된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중밀도(1.2~1.8ton/㎥)이물질 또는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비슷한 저밀도 이물질을 받아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쉬컨베이어본체(510), 메쉬컨베이어구동롤러(520), 메쉬컨베이어종동롤러(530), 메쉬컨베이어구동모터(540), 메쉬컨베이어벨트(550), 받침 스크레퍼(560)로 이루어진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500)는 길이방향 형상으로 수중에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 이외에도,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접힘식 구조를 갖는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로 형성된다.
여기서, 힌지접힘식 구조를 갖는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500)는 메쉬컨베이어본체의 중단 일측에 일측방향으로 힌지로 접을 수 있는 힌지접힘부(570)가 형성되고, 수조탱크부 상단 일측에 메쉬컨베이어본체의 하단 일측을 와이어로 감아서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와이어감김수단(580)이 더 포함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메쉬컨베이어벨트 일측에 벨트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캐리어 로라와 리턴로라가 구성되지 않고, 메쉬컨베이어벨트만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작업완료 후, 와이어감김수단(580)으로 메쉬컨베이어본체의 하단 일측을 상단방향으로 끌어올리면, 힌지접힘부(570)가 접어져서 수조탱크부 상단에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힌지접힘식 구조를 갖는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중에는 물속에 있지만, 수시로 확인하기 위해 수조 외부로 들어올렸다가 넣을 수 있다.
또한 힌지접힘식 구조를 갖는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는 캐리어 로라와 리턴로라의 구성이 없어서, 물속의 미립자에 의한 베어링 손상이 없도록 구성된다.
다만 메쉬컨베이어종동롤러에는 롤러가 구성되어, 물속의 미립자에 의한 베어링 손상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수시로 확인하기 위해, 수조탱크부 상단으로 올렸다가 체크하고, 고장나면 수리교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형 이물질배출컨베이어부(6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브러쉬형 이물질배출컨베이어부(600)는 수조탱크부의 수면 일측에 설치되어, 수조 표면으로 부유되는 가벼운 이물질을 브러쉬로 끌어모아서 이송시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본체(610),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구동롤러(620),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종동롤러(630),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구동모터(640),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벨트(650), 일렬형 브러쉬부(66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본체(6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본체(61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수면 표면에 설치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탱크부의 수면 표면에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종동롤러가 형성되고, 외부방향 끝단에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구동롤러가 형성되고, 그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구동롤러 일측에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구동모터가 형성되며,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종동롤러와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구동롤러 사이에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벨트가 형성되고,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벨트 사이에 일렬형 브러쉬가 형성되어, 일렬형 브러쉬를 통해 외부로 이송시켜 배출제거시키는 일렬형 브러쉬부가 형성된다.
상기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본체는 수조탱크부의 수면 표면에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탱크부의 수면 표면 일측에 형성된 스키드프레임에 연장지지프레임이 설치되고, 그 연장지지프레임에 지지되어 수조탱크부의 수면 표면에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스키드프레임(310)에 설치된 연장지지프레임(611)에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본체(610)를 달아서 일렬형 브러쉬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함으로서, 일렬형 브러쉬부가 구성되지 않고, 단지, 수중에서 컨베이어의 자체회전에 의해 발생된 물의 흐름에 따라 부유된 가벼운 이물질이 일렬형 브러쉬부와 또 다른 이웃하는 일렬형 브러쉬부사이로 넘어오지 못하고, 컨베이어 선단 자체에서 맴도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할 수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구동롤러(6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구동롤러(620)는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면서 회전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종동롤러(6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종동롤러(630)는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구동롤러와 반대편에 형성되어,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구동롤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면서 회전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구동모터(6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구동모터(640)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구동롤러쪽으로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벨트(6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벨트(650)는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구동롤러와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종동롤러 사이에 위치되어, 평면구조의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일렬형 브러쉬부를 회전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일렬형 브러쉬부(6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일렬형 브러쉬부(660)는 일렬형상의 브러쉬구조가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벨트상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벨트에 의해 회전되면서, 수조 표면으로 부유되는 가벼운 이물질을 브러쉬로 끌어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 표면을 기준으로, 제1 브러쉬지지봉(661a)이 형성되고, 그 제1 브러쉬지지봉 일측에 제2 브러쉬지지봉(661b)이 형성되며, 그 제2 브러쉬지지봉 일측에 제3 브러쉬지지봉(661c)이 형성되고, 그 제3 브러쉬지지봉 일측에 제4 브러쉬지지봉(661d)이 형성되며, 그 제4 브러쉬지지봉 일측에 제5 브러쉬지지봉(661e)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브러쉬지지봉(661a)에 직립의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제1 일렬형 브러쉬(661a-1)가 형성되고, 제2 브러쉬지지봉(661b)에 직립의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제2 일렬형 브러쉬(661b-1)가 형성되며, 제3 브러쉬지지봉(661c)에 직립의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제3 일렬형 브러쉬(661c-1)가 형성되고, 제4 브러쉬지지봉(661d)에 직립의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제4 일렬형 브러쉬(661d-1)가 형성되며, 제5 브러쉬지지봉(661e)에 직립의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제5 일렬형 브러쉬(661e-1)가 형성된다.
이처럼, 제1 브러쉬지지봉(661a) + 제1 일렬형 브러쉬(661a-1), 제2 브러쉬지지봉(661b) + 제2 일렬형 브러쉬(661b-1), 제3 브러쉬지지봉(661c) + 제3 일렬형 브러쉬(661c-1), 제4 브러쉬지지봉(661d) + 제4 일렬형 브러쉬(661d-1), 제5 브러쉬지지봉(661e) + 제5 일렬형 브러쉬(661e-1)로 이루어진 일렬형 브러쉬(661)가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 표면을 기준으로 복수개로 형성됨으로서, 일렬형 브러쉬가 브러쉬이물질컨베이어벨트에 의해 회전되면서, 수조 표면으로 부유되는 가벼운 이물질을 끌어모아주고, 일렬형 브러쉬와 또 다른 이웃하는 일렬형 브러쉬사이에 가벼운 이물질을 저장시킨 채 이송하면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탱크부(300)가 물을 충전하여 저장시킨 상태에서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의 양쪽 끝단은 외부로 노출시키고, 중심부위만이 수중에 담가지도록 안내시키고,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가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해준다.
다음으로, 호퍼부(100)에서 건설폐기물을 수조탱크부 상단 일측에 공급시킨다.
다음으로, 유동(流動)생성용 살수분사부(200)가 구동되어, 호퍼부에서 수조탱크부로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쪽으로 살수분사시켜 건설폐기물 중 저밀도이물질과 중밀도이물질을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쪽으로 유동(流動)시켜 흘러보낸다.
다음으로,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400)에서,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수중에 있다가 나오면서 우측 끝단에서 골재를 배출시킨다.
다음으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400)에서, 다시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를 따라 돌면서 하부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서 좌측 끝단에 배출시켜, 시계방향루프를 따라 골재와 슬러지를 한번에 배출시킨다.
이는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수중에 있다가 나오면서 우측 끝단에서 골재를 배출하고, 수중 하부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서 좌측 끝단에 배출시킨다.
그리고,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가 일렬형상의 일자형 판자구조로 형성됨으로서, 탈부착설치가 용이하고, 높이조절을 해서 수조탱크부의 바닥과 접촉시, 단계별로 수조탱크부 바닥(315)과 접촉되는 높이격차를 두어 슬러지를 긁어낼 수가 있다.
즉, 1단계로,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와 접촉되는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의 고무 스크래퍼 사이의 높이가 6mm로 형성되고, 2단계로, 수조탱크부의 바닥과 접촉되는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의 고무 스크래퍼의 높이가 10mm로 형성되며, 3단계로, 이웃하는 또 다른,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와 접촉되는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의 고무 스크래퍼 사이의 높이가 6mm로 형성되고, 4단계로, 이웃하는 또 다른,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와 접촉되는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의 고무 스크래퍼 사이의 높이가 10mm로 형성됨으로서, 이웃하는 받침 에이프론(Apron)부(480)의 고무 스크래퍼 높이격차가 4mm로 형성되어, 2단계에서 수조탱크부 바닥에 쌓인 슬러지량이 적어 슬러지를 긁어내지 못할 경우에, 3단계에서 수조탱크부 바닥과 접촉되면서 슬러지를 긁어낸다.
다음으로,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500)를 통해, 유동(流動)생성용 살수분사부(200)에서 분리된 물과 유사하거나 약간 무거운 중밀도(1.2~1.8ton/㎥)이물질을 메쉬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끝으로, 브러쉬형 이물질배출컨베이어부(600)를 통해, 수조 표면으로 부유되는 가벼운 이물질을 브러쉬로 끌어모아서 이송시켜 배출시킨다.
1 :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
100 : 호퍼부
200 : 유동(流動)생성용 살수분사부
300 : 수조탱크부
400 :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
500 :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
600 : 브러쉬형 이물질배출컨베이어부

Claims (10)

  1. 수조에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쪽으로 살수분사시켜, 1차로 이물질 중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중밀도(1.2~1.8ton/㎥)이물질과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비슷한 저밀도(0.8~0.95ton/㎥) 이물질을 분리배출하고, 2차로 수조 표면으로 부유되는 가벼운 이물질을 분리시켜 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수중에 있다가 나오면서 우측 끝단에서 골재를 배출하고, 수중 하부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서 좌측 끝단에 배출시켜, 시계방향루프를 따라 골재와 슬러지를 한번에 배출시키는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는
    수조탱크부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건설폐기물을 수조탱크부 상단 일측에 공급시키는 호퍼부(100)와,
    호퍼부에서 수조탱크부로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쪽으로 살수분사시켜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중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중밀도(1.2~1.8ton/㎥)이물질이나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비슷한 저밀도 이물질을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쪽으로 유동(流動)시켜 흘러보내는 유동(流動)생성용 살수분사부(200)와,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물을 충전하여 저장시킨 상태에서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의 양쪽 끝단은 외부로 노출시키고, 중심부위만이 수중에 담가지도록 안내시키고,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가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수조탱크부(300)와,
    바나나형상으로 형성되어,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수중에 있다가 나오면서 우측 끝단에서 골재를 배출하고, 다시 수조탱크부의 바닥부위를 따라 돌면서 하부에 있는 슬러지를 긁어서 좌측 끝단에 배출시켜, 시계방향루프를 따라 골재와 슬러지를 한번에 배출시키는 바나나형 원샷루프컨베이어부(400)와,
    수조탱크부의 수중에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 유동(流動)생성용 살수분사부(200)에서 분리된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중밀도(1.2~1.8ton/㎥)이물질이나 젖은 나무와 같이 물과 유사한 저밀도 이물질을 메쉬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500)와,
    수조탱크부의 수면 일측에 설치되어, 수조 표면으로 부유되는 가벼운 이물질을 브러쉬로 끌어모아서 이송시켜 배출시키는 브러쉬형 이물질배출컨베이어부(600)로 구성되되;,
    상기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50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중에 경사진 구조로 설치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메쉬컨베이어본체(510)와,
    메쉬컨베이어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메쉬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면서 회전구동시키는 메쉬컨베이어구동롤러(520)와,
    메쉬컨베이어구동롤러와 반대편에 형성되어, 메쉬컨베이어구동롤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메쉬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면서 회전구동시키는 메쉬컨베이어종동롤러(530)와,
    회전력을 생성시켜 메쉬컨베이어구동롤러쪽으로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메쉬컨베이어구동모터(540)와,
    메쉬컨베이어구동롤러와 메쉬컨베이어종동롤러 사이에 위치되어, 메쉬망을 통해 물과 슬러지는 하단방향으로 배출시키면서 표면상에 형성된 받침 스크레퍼를 회전구동시키는 메쉬컨베이어벨트(550)와,
    일자형상의 받침구조가 메쉬컨베이어벨트상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메쉬컨베이어벨트에 의해 회전되면서, 유동(流動)생성용 살수분사부(200)에서 분리된 우레탄이나 PVC와 같은 물보다 무거운 중밀도(1.2~1.8ton/㎥)나 저밀도 이물질을 받아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받침 스크레퍼(560)로 구성되는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500)는
    메쉬컨베이어본체의 중단 일측에 일측방향으로 힌지로 접을 수 있는 힌지접힘부(570)와, 수조탱크부 상단 일측에 메쉬컨베이어본체의 하단 일측을 와이어로 감아서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와이어감김수단(580)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고, 메쉬컨베이어벨트 일측에 벨트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캐리어 로라와 리턴로라가 구성되지 않고, 메쉬컨베이어벨트만이 형성되어, 가동중에는 물속에 있지만, 수시로 확인하기 위해 수조 외부로 들어올렸다가 넣을 수 있는 힌지접힘식 구조를 갖는 수중 경사형 메쉬컨베이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52836A 2021-11-09 2021-11-09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 KR102364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836A KR102364327B1 (ko) 2021-11-09 2021-11-09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836A KR102364327B1 (ko) 2021-11-09 2021-11-09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327B1 true KR102364327B1 (ko) 2022-02-17

Family

ID=8049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836A KR102364327B1 (ko) 2021-11-09 2021-11-09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3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6225A (zh) * 2023-05-08 2023-06-06 华能灵台邵寨煤业有限责任公司 一种煤炭洗选上料装置
CN116943335A (zh) * 2023-09-20 2023-10-27 黑龙江农垦建工路桥有限公司 一种钻孔灌注桩泥浆砂石分离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708A (ko) * 2000-06-09 2001-02-05 구대환 건설폐재류의 선별세척장치 및 그 방법
KR100385899B1 (en) * 2002-08-19 2003-06-02 Seo Won Environ Ment Co Ltd Apparatus for sorting underwater construction waste
KR100689098B1 (ko) * 2006-07-07 2007-03-02 주목산업(주) 건설 폐기물 습식처리장치
KR100739230B1 (ko) 2006-09-13 2007-07-13 삼흥산업개발 (주) 건설 폐기물 습식 처리장치
KR100850489B1 (ko) * 2007-08-06 2008-08-05 장영태 골재 생산을 위한 콘크리트 건설 폐기물의 재생처리장치
JP2012115838A (ja) * 2012-02-14 2012-06-21 Kubota Corp 湿式選別装置
KR102153230B1 (ko) * 2019-07-16 2020-09-07 이종안 슬러지 세정 이송 컨베이어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708A (ko) * 2000-06-09 2001-02-05 구대환 건설폐재류의 선별세척장치 및 그 방법
KR100385899B1 (en) * 2002-08-19 2003-06-02 Seo Won Environ Ment Co Ltd Apparatus for sorting underwater construction waste
KR100689098B1 (ko) * 2006-07-07 2007-03-02 주목산업(주) 건설 폐기물 습식처리장치
KR100739230B1 (ko) 2006-09-13 2007-07-13 삼흥산업개발 (주) 건설 폐기물 습식 처리장치
KR100850489B1 (ko) * 2007-08-06 2008-08-05 장영태 골재 생산을 위한 콘크리트 건설 폐기물의 재생처리장치
JP2012115838A (ja) * 2012-02-14 2012-06-21 Kubota Corp 湿式選別装置
KR102153230B1 (ko) * 2019-07-16 2020-09-07 이종안 슬러지 세정 이송 컨베이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6225A (zh) * 2023-05-08 2023-06-06 华能灵台邵寨煤业有限责任公司 一种煤炭洗选上料装置
CN116216225B (zh) * 2023-05-08 2023-07-04 华能灵台邵寨煤业有限责任公司 一种煤炭洗选上料装置
CN116943335A (zh) * 2023-09-20 2023-10-27 黑龙江农垦建工路桥有限公司 一种钻孔灌注桩泥浆砂石分离设备
CN116943335B (zh) * 2023-09-20 2023-12-22 黑龙江农垦建工路桥有限公司 一种钻孔灌注桩泥浆砂石分离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327B1 (ko)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
KR100588836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100688123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206500258U (zh) 建筑垃圾分选机
CN211034172U (zh) 一种骨料传送带清理装置
KR20040004294A (ko) 재생골재를 위한 건설폐기물 이물질 선별장치
KR200416997Y1 (ko) 침전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KR100739230B1 (ko) 건설 폐기물 습식 처리장치
KR100668443B1 (ko) 건설폐기물의 습식처리장치용 침전물 배출장치
KR100850489B1 (ko) 골재 생산을 위한 콘크리트 건설 폐기물의 재생처리장치
CN211563293U (zh) 一种骨料浮选分选机
CN110142130B (zh) 基于水力和风力的废钢破碎机除尘及除杂质装置
CN113798239A (zh) 硅石的水洗筛选分离及布料系统
KR20050031104A (ko) 건축용 폐골재 재활용을 위한 폐골재 분류장치
KR100650737B1 (ko) 침전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CN217369149U (zh) 一种砂石分离机用洗刷装置
KR20070052104A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NL1022854C2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reinigen van stranden.
KR200409534Y1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81454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JP2863133B2 (ja) 水を利用した選別装置
KR100685856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
CN214107093U (zh) 一种砂石分离机
CN212153311U (zh) 一种水利工程用的河道水闸装置
JP3973716B2 (ja) 骨材に混入した軽質物質を除去する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