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0355A - 모세관 증발 가습기 - Google Patents

모세관 증발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0355A
KR20120100355A KR1020110019194A KR20110019194A KR20120100355A KR 20120100355 A KR20120100355 A KR 20120100355A KR 1020110019194 A KR1020110019194 A KR 1020110019194A KR 20110019194 A KR20110019194 A KR 20110019194A KR 20120100355 A KR20120100355 A KR 20120100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illary
bucket
humidification
wat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식
Original Assignee
김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식 filed Critical 김한식
Priority to KR1020110019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0355A/ko
Publication of KR20120100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가습기는 물을 초음파로 물을 작은 분자로 만들어 가습을 하는 방식과, 물을 높은 온도로 끓여 수증기를 만들어 가습을 하는 방식의 가습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방송 매체에서 주기적으로 세균의 온상이 되는 가습기의 실태를 종종 보면서 경각심을 가지게 되곤 한다. 그나마 물을 끓이는 방식은 살균력이 강력하기 때문에 비교적 세균에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나, 관리를 소홀이 하면 세균이 번식될 수 있고, 초음파 가습은 낮은 온도에서 습기가 발생이 되기 때문에 세균의 온상이 되고 있다. 또한, 세균을 살균하는 목적으로 살균력이 있는 자외선 LED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소비자를 우롱하는 형식적인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삶아 소독할 수 있는 가습기는 수증기를 만들어 내는 물통을 통째로 끊는 물에 삶아 소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노약자나, 신생아의 건강을 위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세관 증발 가습기{Capillary Evaporative Humidifier}
본 발명은 겨울철 건조한 날씨에 실내 습도를 올려주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 실내의 건조한 공기는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 되며, 특히 노약자나, 아기들은 가습기를 반드시 가동시켜 실내 습도를 맞추어 주는 것이 겨울철을 건강하게 지내는 방법이며, 따라서 실내의 습도를 올리려면 좋은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올바른 방법이다.
가습기는 물을 초음파로 물을 작은 분자로 만들어 가습을 하는 방식과, 물을 높은 온도로 끓여 수증기를 만들어 가습을 하는 방식의 가습기가 사용되고 있다. 물을 끓이는 방식은 살균력이 강력하기 때문에 비교적 세균에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나, 관리를 소홀이 하면 세균이 번식될 수 있고, 초음파 가습은 낮은 온도에서 습기가 발생이 되기 때문에 세균의 온상이 되고 있다. 또한, 세균을 살균하는 목적으로 살균력이 있는 자외선 LED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여전히 완전한 살균이 되어 세균으로부터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가습기는 적다.
본 발명에서는 가습을 하기 위하여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습기 본체에는 물이 전혀 없이 만들고, 가습이 되는 물통을 따로 분리형으로 만들어 간편하게 끊는 물에 삶아서 확실히 살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해결방법으로 전기장치, 전자장치가 구비된 몸통과,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물통 장치를 따로 분리하여 만들고, 쉽게 장착 및 이탈이 되게 하여 간편하게 끊는 물에 삶아 살균을 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삶아 소독할 수 있는 가습기는 세균이 번식할 수 없는 구조이며, 또한,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수증기를 만들어내는 물통을 쉽게 몸체에서 이탈시켜 끓는 물에 삶을 수 있도록 하여 세균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모세관 초음파 가습기의 각 부품 요소들을 단면도로 나열하여 보인도면.
도 2의 a, b는 각 각 다른 방향의 물통(10)의 물통상단부(13)를 보인 사시도.
도 3의 c, d는 각 각 다른 방향의 물통(10)의 물통바닥부(11)를 보인 사시도.
도 4의 e, f는 각 각 다른 방향의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모세관머리상단부(34)를 보인 사시도이며, g는 단면도.
도 5는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를 통해 물통내부공간부(15)에 모세관가습발생기(30)를 삽입하는 것을 설명하는 전개 단면도.
도 6의 j, k는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 물통내부공간부(15)에 모세관가습발생기(30)를 조립하여, 각 각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에서,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모세관머리부(33)에 가습유도기(50)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하는 전개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조립한 모세관,유도기조립물통(200)의 단면도.
도 9는 모세관,유도기조립물통(200)에서 가습유도기(50)가 수동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0의 n은 컨트롤몸체(80)의 사시도이고, p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컨트롤몸체(80)의 가습물통고정부(82)에 모세관,유도기조립물통(200)의 물통바닥부(11)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 전개도.
도 12는 컨트롤몸체(80)에 모세관,유도기조립물통(200)을 조립한 모세관초음파가습기(300)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모세관초음파가습기(300)의 작동상황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4는 모세관초음파가습기(300)의 사시도.
도 15는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 물통내부공간부(15)에 모세관증발기몸체(60)를 조립하는 과정의 설명을 하는 단면 전개도.
도 16은 도 15를 절단하지 않고 사시도로 보인 도면.
도 17은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 물통내부공간부(15)에 모세관증발기몸체(60)를 조립한 모세관증발기조립물통(400)의 단면도.
도 18은 모세관증발기조립물통(400)을 컨트롤몸체(80)에 조립한 모세관증발가습기(500)를 단면도로 보인 도면.
도 19는 도 18의 모세관증발기조립물통(400)을 컨트롤몸체(80)에 조립한 모세관증발가습기(500)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모세관 초음파 가습기의 각 부품 요소들을 단면도로 나열한 도면으로,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를 통하여 물통내부공간부(15)에 모세관가습발생기(30)를 모세관흡수구(31)의 방향으로 조립을 할 수 있으며,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모세관머리부(33)의 외부에 가습유도기(50)의 조립부(51)의 조립홈(52)으로 삽입하여 조립하며, 컨트롤몸체(80)의 가습물통고정부(82)에 물통(10)의 물통바닥부(11)를 삽입 고정하는 과정의 전개도이다. 도 2부터는 상기의 물통(10), 모세관가습발생기(30), 가습유도기(50), 컨트롤몸체(80)의 세부적인 구성과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도 2의 a, b는 각 각 다른 방향의 물통(10)의 물통상단부(13)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의 c, d는 각 각 다른 방향의 물통(10)의 물통바닥부(11)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도 3에 있어서, 물통(10)의 자세한 구조는 내부가 텅 빈 물통내부공간부(15)가 구비되며, 상단부인 물통상단부(13)는 그 중심부에 원형의 개시되는 물통개구부(14)가 구비되며, 특징으로 물통개구부(14)의 위쪽은 지름이 넓고, 아래는 지름이 그보다 작아서 테이퍼 구조의 물통개구부(14)가 구비된다. 물통(10)의 외부에는 한곳, 또는 두 곳에 전극을 물통바닥부(11)에서부터, 물통개구부(14)의 외벽까지 구비되며, 다음과 같다. 물통(10)의 물통바닥부(11)에서부터 몸통의 외부로 이어져서, 물통개구부(14)의 외벽에까지 구비되는 전극을 설명하기 편하게 각 부호를 주어 표기하였으며, 물통바닥부(11)에 구비된 전극은 바닥접지전극(25)으로 명칭 하였고, 몸통의 외부에 구비된 전극은 몸통전극(20)으로 명칭 하였고, 물통상단부(13)의 외부에 마련된 전극은 상단부전극(21)이라 명칭 하였고, 물통개구부(14)의 테이퍼 벽면에는 접지전극(22)이라 명칭 하였다. 각 바닥접지전극(25), 몸통전극(20), 상단부전극(21), 접지전극(22)은 서로 끊어짐이 없이 이어지고, 서로 대칭되게 두 곳에 마련하여 도시하였다. 즉 전극 배선이 두 곳에 마련되어 DC, AC, 또는 초음파펄스 전류배선이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반드시 대칭되게 할 필요는 없으며, 서로 도통 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마련할 수 있다. 물통(10)의 재질이 모든 플라스틱으로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위생상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끊는 물에 삶아 소독할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을 가지므로, 소재의 선택이 제한된다. 즉 물통(10)의 소재가 PC라고도 불리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소재, 또는, 경도를 높게 하여 만든 실리콘, 또는, 석영유리로도 불리는 내열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볍고, 취급하기 편한 폴리카보네이트의 소재가 바람직하다. 물통(10)에 구비되는 각 바닥접지전극(25), 몸통전극(20), 상단부전극(21), 접지전극(22)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비할 수 있다. 즉 물통(10)을 1차로 성형하면서 각 전극이 구비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하고, 그 홈에 전극을 심고, 2차로 성형하여 전극을 매몰시키면서 물통(10)을 완성하며, 바닥접지전극(25)의 일부와, 접지전극(22)의 일부가 외부에 돌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플라스틱 소재의 성형 된 물통(10)의 외부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바르고 전극제의 금속을 도금하여 각 전극을 구비하고 바닥접지전극(25)의 일부와, 접지전극(22)의 일부가 외부에 돌출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내열 페인트로 도색하여 마무리 외부와의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플라스틱의 외부에 금속 도금방식은 보석가공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화려하면서도 감싼 보석을 만들기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보석 형상을 만들고, 그 외부에 금도금, 은도금, 또는 목적하는 금속을 도금하여 아름다운 보석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어, 플라스틱에 금속을 도금하는 기술은 산업 전반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도 4의 e, f는 각 각 다른 방향의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모세관머리상단부(34)를 보인 사시 도이며, g는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모세관가습발생기(30)를 자세히 설명한다. 모세관가습발생기(30)는 물을 모세관의 원리로 끌어올리고 한 곳으로 모은 물을 초음파 진동자로 물 분자를 만드는 것으로 이하 자세히 설명하며, 우선 모세관 원리를 간단히 설명한다. 모세관 현상이란, 가느다란 관, 즉, 모세관의 한쪽 끝을 물통 속의 물에 담그면 물이 모세관으로 올라가게 되며, 모세관의 수면 높이가 물통 속의 수면의 높이보다 높게 오르는 현상으로 모세관의 지름과, 모세관의 수량과, 모세관의 소재에 따라 많은 물을 위로 끌어올리게 할 수 있는 기술이며, 자연현상으로는 나무와 같은 식물이 물을 뿌리에서부터 나무몸통, 나뭇가지까지 빨아올려, 잎사귀로 증발시키는 현상과 같다. 모세관가습발생기(30)는 내부에 수많은 작은 기공이 있는 구조물로 물통(10) 내부에 삽입되는 모세관흡수몸체부(36)가 있고 그 하단부가 모세관흡수구(31)로 물통 내부에서 물을 빨아 올려지는 흡수구이다. 모세관흡수몸체부(36)위 상단부에는 물통개구부(14)에 걸리는 테이퍼고정부(32)와 모세관머리부(33)가 구비되고, 테이퍼고정부(32), 모세관머리부(33)는 모세관흡수몸체부(36)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테이퍼고정부(32)는 물통개구부(14)의 테이퍼의 각과 같은 테이퍼 각, 그리고 지름을 가진다. 모세관머리부(33)의 최상단부는 날카롭지 않고 완만한 모세관머리상단부(34)와 그 부위에서 낮아지는 각을 가진 테이퍼홈(35)이 구비되어 모세관머리상단부(34)에서 낮은 홈이 구비된다. 그리고 테이퍼홈(35)의 중앙에는 초음파진동자(45)가 구비되는바, 초음파 진동으로 물을 물의 분자로 분리하여 물의 분자들을 만들어 내게 된다. 테이퍼고정부(32), 모세관머리부(33), 모세관머리상단부(34), 테이퍼홈(35)의 외부에는 초음파진동자(45)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극 배선이 구비되는바, 앞서 설명된 물통(10)의 외부에 구비된 바닥접지전극(25), 몸통전극(20), 상단부전극(21), 접지전극(22)과 같은 방법으로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서 설명을 유리하게 하기 위하여 각 부위에 마련된 전극 배선에 명칭을 부여한바 설명한다. 테이퍼고정부(32)에 구비된 접지전극(40)과, 모세관머리부(33)에 구비된 모세관머리부전극(41)과, 모세관머리상단부(34)에 구비된 모세관머리상단부전극(42)과, 테이퍼홈(35)에 구비된 초음파발진접지전극(43)은 모두 이어져서 구비되며,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 두 곳에서 구비하여 도시하고 설명한다. 테이퍼고정부(32)에 구비된 접지전극(40)은 외부에 노출되어 구비되어,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에 노출 구비된 접지전극(22)에 조립시 접지되며, 테이퍼홈(35)에 구비된 초음파발진접지전극(43)은 그 끝이 초음파진동자(45)의 각 전극에 접지된 것으로 한다.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모세관흡수구(31)에서 상기 설명된 모세관 원리로 흡수된 물은 테이퍼홈(35)에 올라오면 테이퍼홈(35)에 고이게 되며, 초음파진동자(45)의 초음파 구동으로 물 분자로 바뀌어 날아가게 되는 원리이다. 초음파진동자(45)가 구동되지않거나, 또는, 초음파진동자(45)가 물 분자로 바꾸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을 모세관으로 끌어올려 테이퍼홈(35)에 물이 넘칠 경우, 초음파진동자(45)가 너무 많은 물에 잠겨 작동하지 않게 되거나, 물이 넘쳐서 원하지 않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퍼홈(35)의 상단부에서 모세관머리상단부(34), 모세관머리부(33), 테이퍼고정부(32), 모세관흡수몸체부(36)의 외부 한 부분에 물넘침유도홈(37)을 한 개 이상 구비하여 물이 물넘침유도홈(37)을 통하여 물통(10)이 물통내부공간부(15)로 환수될 수 있도록 하였다. 모세관가습발생기(30)는 소재를 플라스틱을 포함한 합성수지류, 비닐수지류, 유리를 포함한 세라믹류, 실리콘류 등으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비닐 수지류는 열에 약하기 때문에 삶아서 소독하는데 이용할 수 없고, 플라스틱류도 모든 소재를 사용할 수 없고 일부 열에 강한 소재 및 복합소재를 이용할 수 있고, 실리콘류, 세라믹류의 소재는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설명에서 초음파진동자(45)를 가열기로 대체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가열기란, 저항선을 이용한 전열기, 또는, PTC세라믹 가열기 일 수 있다. PTC세라믹 가열기는 열이 있으면 저항이 올라가게 되어 전기를 차단하는 센서로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자체에서 발열이 되어 전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러한 원리로, PTC세라믹 히터를 만들어 이용하기도 하는 기술로써 보편화한 기술이다. 즉, 전 열판, PTC히터 판 등으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만들어 목적을 달 성할 수 있는 것을 밝혀두며, 본 발명의 주된 설명에서는 초음파진동자(45)로 도시되고 설명하고 있다. 도 5는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를 통해 물통내부공간부(15)에 모세관가습발생기(30)를 삽입하는 것을 설명하는 전개 단면도이다.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모세관흡수구(31)부터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를 통하여 물통내부공간부(15)로 집어넣으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통(10)의 테이퍼홈의 물통개구부(14)에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테이퍼고정부(32)가 얹혀져서 똑 바로 세워져서 고정되며, 이때, 각 전극 접지전극(22)과 접지전극(40)이 접지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설명에서,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의 테이퍼 외벽과,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테이퍼고정부(32)에 서로 대응되는 한 개 이상의 오목과 돌출의 요철을 구비하여, 서로 조립할 때 요철이 맞물려, 옆으로 돌아가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구성도 필요에 따라 할 수 있으며, 또는,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의 테이퍼 외벽과,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테이퍼고정부(32)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 수단으로 조립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할 수 있는 것이 자명하다. 도 6에서 j, k는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 물통내부공간부(15)에 모세관가습발생기(30)를 조립된 모세관조립물통(100)을 각 각 다른 방향의 사시 도를 보인 것이며, 접지전극(22)과, 접지전극(40)이 접지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접지전극부(m)로 별도로 표시하였다. 도 7은 도 6의 단면도에서,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모세관머리부(33)에 가습유도기(50)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하는 전개 단면도이며, 우선 가습유도기(50)를 자세히 설명한다. 가습유도기(50)는 초음파진동자(45)에서 만들어지는 물 분자를 모아 원하는 방향으로 보내주는 관으로 모세관머리부(33)에 조립될 수 있는 조립부(51)의 조립홈(52)과 노즐부(53)의 노즐구멍(54)과 유선형으로 가습유도기(50)가 구비되며, 조립홈(52)에서 노즐구멍(54)을 잊는 가습흐름구멍(55)을 가지고 있다. 모세관조립물통(100)의 모세관머리부(33)에 가습유도기(50)의 조립홈(52)을 꽂아 조립하면, 조립부(51)의 하단부가 물통상단부(13)에 얹혀져서 조립되며, 물통상단부(13)의 외부 지름과, 조립부(51)의 하단부 외부 지름이 똑같은 것으로 하며, 물통(10)의 외부 유선형의 모양이 가습유도기(50)이 유선형의 몸체의 모양이 이어지는 것으로 한다. 가습유도기(50)의 노즐부(53)와 노즐구멍(54)이 필요에 따라 양 옆으로 넓어지는 모양으로 만들 수 있는 것도 밝혀둔다. 도 8은 도 7에서 조립한 모세관,유도기조립물통(200)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모세관,유도기조립물통(200)에서 가습유도기(50)가 수동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즉, 모세관,유도기조립물통(200)의 하단부에서 바람이 올라오면, 바람은 모세관,유도기조립물통(200)의 외부의 유선형 몸체를 따라 흐르게 되고, 모세관,유도기조립물통(200)의 가습유도기(50)이 좁아지는 유선형의 몸체에서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며, 또한 노즐부(53)의 방향으로 흘러 최종적으로 흩어지게 된다. 이는 비행기의 날개에 흐르는 공기와도 같은 것이며, 물체의 표면에 흐르는 공기는 물체의 표면에 붙어 흐르려고 하는 점착성을 가져 흐르게 된다. 또한, 빠른 흐름이 이는 유체에서는 압력이 낮아지게 되는 성격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가습유도기(50)의 노즐부(53)로 갈수록 공기의 흐름은 빨라지며, 압력은 낮아지게 되며, 가습흐름구멍(55)에 있는 물 분자를 노즐구멍(54)으로 빠르게 빨아내는 역할을 하여 노즐부(53)의 방향으로 뿌려준다. 도 9의 모세관,유도기조립물통(200)에서 가습유도기(50)는 사람의 손으로 잡고 작은 완력으로 방향을 틀어주면 360°의 회전으로 방향을 틀 수 있어 원하는 방향으로 틀어 주는 것으로 방향 설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습유도기(50)의 외부에서 내부로 통하는 공기 흐름 구멍을 다수 만들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러한 구조는 가습유도기(50)의 외부 표면을 따라 흐르던 공기가 공기구멍으로 내부에 들어가 물 분자와 같이 빠르게 노즐구멍(54)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이하 컨트롤몸체(80)를 설명한다. 도 10의 n은 컨트롤몸체(80)의 사시 도이고, p는 단면도이다. 컨트롤몸체(80)는 내부, 외부에 전기콘센트(90)를 구비하여 외부 전원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플러그구멍(91)이 있고, 전원 및 컨트롤레버(92)가 구비되며, 전원장치(93), 회전팬(95)을 구비한 팬모터(94)가 장착되고, 초음파발진회로(96)가 구비되어 그 출력단자인 출력접지스위치(97)가 상단부 중심에 있는 가습물통고정부(82)의 이 측에 각 각 구비된다. 출력접지스위치(97)는 눌러지는 스위치 수단이며, 물통(10)의 바닥접지전극(25)과 접지되는 전극이므로 그 위치 맞게 구비되는 것이 자명하다. 초음파발진회로(96)는 초음파진동자(45)에 초음파 파장 대의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 수단이며, 만약, 상기에서 설명한 대로, 초음파진동자(45)가 전열가열 판이거나, PTC히터 판일 때는 DC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간단한 회로일 수 있다. 팬모터(94)의 구동으로 회전팬(95)이 돌 때 공기 흐름을 만들기 위하여, 컨트롤몸체(80)의 회전팬(95)의 아래에 위치한 컨트롤몸체(80)의 외부와 내부를 통하는 공기흡입구멍(85)을 다수 만들어 구비하며,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구멍은 컨트롤몸체(80)의 상단부 가습물통고정부(82)의 외부 둘레에 다수 구비하였다. 즉 컨트롤몸체(80)의 측면 둘레의 공기흡입구멍(85)에서 흡입된 공기는 컨트롤몸체(80)의 상단 윗면으로 빠져나가는 형국이 된다. 도 11은 컨트롤몸체(80)의 가습물통고정부(82)에 모세관,유도기조립물통(200)의 물통바닥부(11)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 전개도이며, 도 12는 컨트롤몸체(80)에 모세관,유도기조립물통(200)을 조립한 모세관초음파가습기(300)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3은 모세관초음파가습기(300)의 작동상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14는 모세관초음파가습기(300)의 사시 도이다. 도 11, 도 12, 도 13, 도 14에서 컨트롤몸체(80)의 가습물통고정부(82)에 모세관,유도기조립물통(200)의 물통바닥부(11)를 얹혀 조립할 때, 물통바닥부(11)에 구비된 각 바닥접지전극(25)과 가습물통고정부(82)에 구비된 출력접지스위치(97)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지가 되어 연결되며 전극접지부(q)로 별도로 표시하였다.초음파발진회로(96)의 출력 파장이 각 배선회로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초음파진동자(45)로 전해지면 초음파진동자는 초음파 발진으로 테이퍼홈(35)에 모여진 물을 물 분자로 만들어 가습유도기(50)의 가습흐름구멍(55)을 통하여 노즐부(53)로 보내게 되며, 팬모터(94)의 구동으로 회전팬(95)이 돌면서, 공기가 공기흡입구멍(85)을 통하여 흡입되어 공기배출구멍(86)으로 빠져나가 물통(10), 가습유도기(50)의 외부 몸체의 표면을 따라 최종적으로 노즐부(53)의 방향으로 공기가 뿌려지면서, 낮은 압력으로 노즐구멍(54)의 물 분자를 빨아 당겨 같이 뿌려지게 된다. 그 공기의 흐름을 공기흐름표시(r)로 하였고, 또한 물 분자의 흐름을 물분자흐름표시(s)로 하였다. 본 발명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설명으로 디스플레이 기술을 설명하고자 한다. 가습유도기(50)의 내부, 또는 외부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전극 구비방식으로 전극을 만들고, 가습유도기(50)의 내부 일측에 R, G, B, 또는 자외선 파장대의 LED를 구비하거나, 또는,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모세관머리상단부(34)의 일측에 R, G, B, 또는 자외선 파장 대의 LED를 구비하여 발광시키는 것으로 노즐구멍(54)으로 분사되는 물 분자에 LED빛이 산란되어 가습 물 분자에 흐름이 LED 빛으로 보이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물통(10)에 각 전기배선이 없으며, 컨트롤몸체(80)에서는 초음파발진회로(96), 출력접지스위치(97)가 필요없는 구성과, 모세관가습발생기(30)에서는 초음파진동자(45)가 없고, 각 전기배선이 없는 가습기를 설명한다. 도 15는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 물통내부공간부(15)에 모세관증발기몸체(60)를 조립하는 과정의 설명을 하는 단면 전개도이며, 도 16은 도 15를 절단하지 않고 사시 도로 보인 도면이다. 도 15, 도 16에서 물통(10)은 상기에서 설명한 물통에서 몸통전극(20), 상단부전극(21), 접지전극(22), 바닥접지전극(25)이 없는 물통(10)이며, 모세관증발기몸체(60)는 다음과 같다. 모세관증발기몸체(60)의 하단부에는 모세관흡수부(61)가 구비되고, 중간지점의 테이퍼고정부(62)는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의 외벽 테이퍼와 같은 각과, 지름을 가져서 테이퍼 고정이 될 수 있는 구성이며, 그 위쪽으로, 증발기몸체(64)가 구비되는바 증발기하단부(63)가 테이퍼고정부(62)에서부터 증발기끝부(65)쪽으로 가늘어지면서 유선형을 생기고, 한쪽으로 휘어진 방향을 가진다. 증발기하단부(63)의 지름은 물통(10)의 물통상단부(13)의 지름과 같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된, 모세관가습발생기(30)에 가습유도기(50)를 조립한 외형과 같다. 다만, 모세관증발기몸체(60)는 내부가 모세관으로 꽉 채워진 구조이며, 모세관흡수부(61)에서 테이퍼고정부(62)의 까지의 몸체의 외부둘레는 코팅이 되어 모세관흡수부(61)로 흡수가 될 수 있지만, 외부 둘레로 흡수가 되거나 물이 빠져나가지 못한다. 그리고 테이퍼고정부(62)에서부터, 증발기끝부(65)까지의 증발기몸체(64)는 기공이 모두 연결되어 모세관흡수부(61)에서 흡수된 물이 증발기몸체(64)의 모든 외부로 흘러 나와 증발되는 구조이다. 도 17은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 물통내부공간부(15)에 모세관증발기몸체(60)를 조립한 모세관증발기조립물통(400)의 단면도이며, 도 18은 모세관증발기조립물통(400)을 컨트롤몸체(80)에 조립한 모세관증발가습기(500)를 단면도로 보인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의 모세관증발기조립물통(400)을 컨트롤몸체(80)에 조립한 모세관증발가습기(500)를 보인 사시 도이다. 도 17, 도 18, 도 19에서 보듯이 컨트롤몸체(80)에는 앞서 설명된, 초음파발진회로(96), 출력접지스위치(97)가 구비되지 않은 간단한 구조이다. 가습 되는 원리를 설명하면, 물통(10)의 물통내부공간부(15)에 있는 물을 모세관증발기몸체(60)의 모세관흡수부(61)에서 흡수하여 증발기몸체(64)에서 외부로 흘러나와 증발되는 구조이며, 그것을 가속화하기 위하여, 컨트롤몸체(80)에서 팬모터(94)구동으로 회전팬(95)이 회전하면 공기흡입구멍(85)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배출구멍(86)으로 배출하면, 배출된 공기는 물통(10)의 외부 표면을 따라 흐르게 되고, 증발기몸체(64)의 좁아지는 몸체 표면을 흐를 때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면서 압력이 낮아지고, 증발기몸체(64)의 외부로 흘러나오는 물을 빠르게 증발시켜서 증발기끝부(65)의 방향으로 뿌려지게 된다. 즉, 공기흐름표시(r), 물분자흐름표시(s)의 방향으로 증발된 물 분자가 뿌려져 목적하는 가습기가 된다. 상기 설명에서, 모세관증발기몸체(60)의 증발기몸체(64)에 증발 표면 적을 높이기 위하여 요철 형태를 하거나, 잔털이 많은 섬유의 덮개를 덮어 사용하는 것으로 증발 양을 증가할 수 있다.
물통(10) 물통바닥부(11)
물통상단부(13) 물통개구부(14)
물통내부공간부(15) 몸통전극(20)
상단부전극(21) 접지전극(22)
바닥접지전극(25) 모세관가습발생기(30)
모세관흡수구(31) 테이퍼고정부(32)
모세관머리부(33) 모세관머리상단부(34)
테이퍼홈(35) 모세관흡수몸체부(36)
물넘침유도홈(37) 접지전극(40)
모세관머리부전극(41) 모세관머리상단부전극(42)
초음파발진접지전극(43) 초음파진동자(45)
가습유도기(50)
조립부(51) 조립홈(52)
노즐부(53) 노즐구멍(54)
가습흐름구멍(55) 모세관증발기몸체(60)
모세관흡수부(61) 테이퍼고정부(62)
증발기하단부(63) 증발기몸체(64)
증발기끝부(65) 컨트롤몸체(80)
내부공간부(81) 가습물통고정부(82)
초음파발진회로파티션(83) 내부공간부(84)
공기흡입구멍(85) 공기배출구멍(86)
전기콘센트(90) 플러그구멍(91)
전원 및 컨트롤레버(92) 전원장치(93)
팬모터(94) 회전팬(95)
초음파발진회로(96) 출력접지스위치(97)
모세관조립물통(100) 모세관,유도기조립물통(200)
모세관초음파가습기(300) 모세관증발기조립물통(400)
모세관증발가습기(500) 모세관증발가습기(500)
접지전극부(m) 전극접지부(q)
공기흐름표시(r) 물분자흐름표시(s)

Claims (15)

  1.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를 통하여 물통내부공간부(15)에 모세관가습발생기(30)를 모세관흡수구(31)의 방향으로 조립을 할 수 있으며,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모세관머리부(33)의 외부에 가습유도기(50)의 조립부(51)의 조립홈(52)으로 삽입하여 조립하며, 컨트롤몸체(80)의 가습물통고정부(82)에 물통(10)의 물통바닥부(11)를 삽입 조립으로 만들어지는 모세관 증발 가습기에 있어서,
    물통(10)에 물통내부공간부(15)가 구비되며, 상단부인 물통상단부(13)는 그 중심부에 원형의 개시되는 물통개구부(14)가 구비되며, 특징으로 물통개구부(14)의 위쪽은 지름이 넓고, 아래는 지름이 그보다 작아서 테이퍼 구조의 물통개구부(14)가 구비되며, 물통(10)외부의 두 곳으로 바닥접지전극(25), 몸통전극(20), 상단부전극(21), 접지전극(22)이 물통바닥부(11)에서부터, 물통(10)의 몸통, 물통상단부(13), 물통개구부(14)의 외벽까지 구비된 물통(10)과,
    모세관가습발생기(30)는 내부에 수많은 작은 기공, 또는 작은 관으로 만들어진 모세관흡수몸체부(36)가 있고 그 하단부가 모세관흡수구(31)로 물통 내부에서 물을 빨아 올려지는 흡수구가 구비되며, 모세관흡수몸체부(36)위 상단부에는 물통개구부(14)에 걸려서 고정되는 테이퍼고정부(32)와 모세관머리부(33)가 구비되고, 테이퍼고정부(32), 모세관머리부(33)는 모세관흡수몸체부(36)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테이퍼고정부(32)는 물통개구부(14)의 테이퍼의 각도와 같은 테이퍼 각, 그리고 지름을 가지며, 모세관머리부(33)의 최상단부는 모세관머리상단부(34)와 그 부위에서 낮아지는 각을 가진 테이퍼홈(35)이 구비되며, 테이퍼홈(35)의 중앙에는 초음파진동자(45)가 구비되고, 테이퍼고정부(32), 모세관머리부(33), 모세관머리상단부(34), 테이퍼홈(35)의 외부에는 초음파진동자(45)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극 배선이 구비되는바, 테이퍼고정부(32)에 구비된 접지전극(40)과, 모세관머리부(33)에 구비된 모세관머리부전극(41)과, 모세관머리상단부(34)에 구비된 모세관머리상단부전극(42)과, 테이퍼홈(35)에 구비된 초음파발진접지전극(43)은 모두 이어져서 구비되며,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 두 곳에서 구비되며,테이퍼고정부(32)에 구비된 접지전극(40)은 외부에 노출되어 구비되어,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에 노출 구비된 접지전극(22)에 조립시 접지되며, 테이퍼홈(35)에 구비된 초음파발진접지전극(43)은 그 끝이 초음파진동자(45)의 각 전극에 접지되며,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모세관흡수구(31)에서 상기 설명된 모세관 원리로 흡수된 물은 테이퍼홈(35)에 올라오면 테이퍼홈(35)에 고이게 되어, 초음파진동자(45)에 물이 고이게 되어 초음파 구동으로 물 분자로 바뀌는 구조이며, 초음파진동자(45)가 구동되지않거나, 또는, 초음파진동자(45)가 물 분자로 바꾸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을 모세관으로 끌어올려 테이퍼홈(35)에 물이 넘칠 경우, 테이퍼홈(35)의 상단부에서 모세관머리상단부(34), 모세관머리부(33), 테이퍼고정부(32), 모세관흡수몸체부(36)의 외부 한 부분에 물넘침유도홈(37)을 한 개 이상 구비하여 물이 물넘침유도홈(37)을 통하여 물통(10)이 물통내부공간부(15)로 환수될 수 있도록 모세관가습발생기(30)와,
    가습유도기(50)는 초음파진동자(45)에서 만들어지는 물 분자를 모아 원하는 방향으로 보내주는 관으로 모세관머리부(33)에 조립될 수 있는 조립부(51)의 조립홈(52)과 노즐부(53)의 노즐구멍(54)과 유선형으로 가습유도기(50)가 구비되며, 조립홈(52)에서 노즐구멍(54)을 잊는 가습흐름구멍(55)을 가지고 있으며, 모세관조립물통(100)의 모세관머리부(33)에 가습유도기(50)의 조립홈(52)을 꽂아 조립하면, 조립부(51)의 하단부가 물통상단부(13)에 얹혀져서 조립되며, 물통상단부(13)의 외부 지름과, 조립부(51)의 하단부 외부 지름이 똑같은 것으로 하여, 물통(10)의 외부 유선형의 모양이 가습유도기(50)이 유선형의 몸체의 모양이 이어지는 가습유도기(50)와,
    컨트롤몸체(80)는 내부, 외부에 전기콘센트(90)를 구비하여 외부 전원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플러그구멍(91)이 있고, 전원 및 컨트롤레버(92)가 구비되며, 전원장치(93), 회전팬(95)을 구비한 팬모터(94)가 장착되고, 초음파발진회로(96)가 구비되어 그 출력단자인 출력접지스위치(97)가 상단부 중심에 있는 가습물통고정부(82)의 이 측에 각 각 구비되며, 출력접지스위치(97)는 눌러지는 스위치 수단이며, 물통(10)의 바닥접지전극(25)과 접지되는 전극이므로 그 위치 맞게 구비되며, 초음파발진회로(96)는 초음파진동자(45)에 초음파 파장 대의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 수단이며, 팬모터(94)의 구동으로 회전팬(95)이 돌 때 공기 흐름을 만들기 위하여, 컨트롤몸체(80)의 회전팬(95)의 아래에 위치한 컨트롤몸체(80)의 외부와 내부를 통하는 공기흡입구멍(85)을 다수 만들어 구비하며,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구멍은 컨트롤몸체(80)의 상단부 가습물통고정부(82)의 외부 둘레에 다수 구비되어 컨트롤몸체(80)의 측면 둘레의 공기흡입구멍(85)에서 흡입된 공기는 컨트롤몸체(80)의 상단 윗면으로 보내지는 컨트롤몸체(80)로 구비되며, 각 물통(10), 모세관가습발생기(30), 가습유도기(50), 컨트롤몸체(80)를 조립하는 과정으로,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모세관흡수구(31)부터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를 통하여 물통내부공간부(15)로 집어넣으면 물통(10)의 테이퍼홈의 물통개구부(14)에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테이퍼고정부(32)가 얹혀져서 똑 바로 세워져서 고정되며, 이때, 각 전극 접지전극(22)과 접지전극(40)이 접지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가습유도기(50)는 모세관머리부(33)에 가습유도기(50)의 조립홈(52)을 꽂아 조립하면, 조립부(51)의 하단부가 물통상단부(13)에 얹혀져서 조립되며, 물통상단부(13)의 외부 지름과, 조립부(51)의 하단부 외부 지름이 똑같은 것으로 하며, 물통(10)의 외부 유선형의 모양이 가습유도기(50)이 유선형의 몸체의 모양이 되며, 모세관가습발생기(30), 가습유도기(50)가 조립된 물통(10)의 물통바닥부(11)를 컨트롤몸체(80)의 가습물통고정부(82)에 조립하면 물통바닥부(11)에 노출되어 구비된 바닥접지전극(25)이 가습물통고정부(82)에 구비된 출력접지스위치(9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세관 증발 가습기가 만들어지는 모세관 증발 가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초음파발진회로(96)의 출력으로 초음파진동자(45)를 구동시키면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모세관흡수구(31)로 흡수되어 테이퍼홈(35)에 고인 물을 물 분자로 만들어 가습유도기(50)의 가습흐름구멍(55)을 통하여 노즐구멍(54)으로 배출되는 것과, 그것을 가속화하기 위하여, 팬모터(94)의 구동으로 회전팬(95)이 회전하면, 공기흡입구멍(85)에서 흡입된 공기가 공기배출구멍(86)으로 배출되어 물통(10)의 회부 표면을 타고 상승하면서 가습유도기(50)의 몸체의 표면을 타고 흐르게 되고, 점점 좁아지는 가습유도기(50)의 몸체에서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게 되며, 노즐부(53)의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바뀌어 결과적으로는 노즐구멍(54)에서 나오는 물 분자의 방향이 공기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향해 뿌려지는 것으로 한 모세관 증발 가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초음파진동자(45)는 전열 가열 판, 또는 PTC 히터 판으로 대체 할 수 있는 것으로 한 모세관 증발 가습기.
  4. 제 1항에 있어서, 도금 방식으로 만든 각 전극에 있어, 몸통전극(20), 상단부전극(21), 접지전극(22), 바닥접지전극(25), 접지전극(40), 모세관머리부전극(41), 모세관머리상단부전극(42), 초음파발진접지전극(43)이 금, 백금, 은, 스테인리스, 크롬, 니켈, 인듐을 포함한 금속류, 및 그들의 합금의 소재인 것과, 또는 FPCB의 배선으로 한 모세관 증발 가습기.
  5. 제 4항에 있어서, 접지전극(22), 바닥접지전극(25), 접지전극(40)은 노출되며, 몸통전극(20), 모세관머리부전극(41), 모세관머리상단부전극(42), 초음파발진접지전극(43)은 절연 코팅되어 있는 것으로 한 모세관 증발 가습기.
  6. 가습유도기(50)의 노즐부(53) 및 노즐구멍(54)이 양 옆으로 넓어지는 모양으로 되어있는 것으로 한 모세관 증발 가습기.
  7. 제 1항에 있어서,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의 테이퍼 외벽과,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테이퍼고정부(32)에 서로 대응되는 한 개 이상의 오목과 돌출의 요철을 구비하여, 서로 조립할 때 요철이 맞물려, 옆으로 돌아가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한 모세관 증발 가습기.
  8. 제 1항에 있어서,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의 테이퍼 외벽과,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테이퍼고정부(32)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 수단으로 조립이 될 수 있도록 한 모세관 증발 가습기.
  9.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모세관가습발생기(30), 테이퍼고정부(32), 모세관머리부(33), 모세관머리상단부(34)에 물넘침유도홈(37)이 구비되어 테이퍼홈(35)에 일정량의 물보다 많은 물이 있을 경우 물넘침유도홈(37)을 통하여 물통내부공간부(15)로 흐르게 하는 것으로 한 모세관 증발 가습기.
  10. 제 1항에 있어서, 모세관가습발생기(30)의 모세관머리상단부(34), 또는, 가습유도기(50)의 한 부분에 R, G, B또는 자외선 파장 대의 LED를 구비하고 빛의 방향이 노즐부(53), 노즐구멍(54)을 향하여 노즐구멍(54)에서 나오는 물 분자에 빛이 비추어져 빛이 물 분자에 산란할 수 있도록 한 모세관 증발 가습기.
  11. 모세관증발기몸체(60)의 하단부에는 모세관흡수부(61)가 구비되고, 중간지점의 테이퍼고정부(62)는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의 외벽 테이퍼와 같은 각도와, 지름을 가져서 테이퍼 고정이 될 수 있는 구성이며, 그 위쪽으로, 증발기몸체(64)가 구비되는바 증발기하단부(63)가 테이퍼고정부(62)에서부터 증발기끝부(65)쪽으로 가늘어지면서 유선형으로 생기고, 한쪽으로 휘어진 방향을 가지며. 증발기하단부(63)의 지름은 물통(10)의 물통상단부(13)의 지름과 같고 모세관증발기몸체(60)는 내부가 기공, 모세관으로 꽉 채워진 구조이며, 모세관흡수부(61)에서 테이퍼고정부(62)의 까지 몸체의 외부둘레는 코팅이 되어 모세관흡수부(61)로 흡수가 될 수 있지만, 외부 둘레로 흡수가 되거나 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며, 테이퍼고정부(62)에서부터, 증발기끝부(65)까지의 증발기몸체(64)는 기공이 모두 연결되어 모세관흡수부(61)에서 흡수된 물이 증발기몸체(64)의 모든 외부로 흘러 나와 증발되며, 물통(10)의 물통개구부(14), 물통내부공간부(15)에 모세관증발기몸체(60)를 조립하고, 컨트롤몸체(80)의 공기배출구멍(86)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물통(10)의 외부 표면과, 모세관증발기몸체(60)의 외부 표면을 따라 흐르며, 증발기몸체(64)의 외부 표면에서 증발을 가속화시키며, 또한, 증발기끝부(65)의 방향으로 바람의 흐름과 같이 증발된 물 분자가 같이 뿌려지는 모세관 증발 가습기.
  12. 물통(10), 모세관가습발생기(30), 가습유도기(50), 모세관증발기몸체(60)는 각자 분리가 쉬우며, 끊는 물에 삶아 소독할 수 있는 것으로 한 모세관 증발 가습기.
  13. 모세관증발기몸체(60)의 증발기몸체(64)에 증발 표면 적을 높이기 위하여 요철 형태를 하거나, 잔털이 많은 섬유의 덮개를 덮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 모세관 증발 가습기.
  14. 물통(10), 모세관가습발생기(30), 가습유도기(50), 모세관증발기몸체(60)의 소재가, 금속류, 세라믹류, 플라스틱류, 실리콘류 또는 그들의 복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 모세관 증발 가습기.
  15. 컨트롤몸체(80)는 물하고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세균의 번식에서 자유로운 것으로 한 모세관 증발 가습기.




KR1020110019194A 2011-03-04 2011-03-04 모세관 증발 가습기 KR20120100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194A KR20120100355A (ko) 2011-03-04 2011-03-04 모세관 증발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194A KR20120100355A (ko) 2011-03-04 2011-03-04 모세관 증발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355A true KR20120100355A (ko) 2012-09-12

Family

ID=47110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194A KR20120100355A (ko) 2011-03-04 2011-03-04 모세관 증발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035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9763A (zh) * 2014-07-03 2015-02-0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加湿装置和空气处理系统
CN107003026A (zh) * 2015-10-15 2017-08-01 大科防静电技术咨询(深圳)有限公司 湿气流生成器
RU181084U1 (ru) * 2017-09-20 2018-07-04 Арима Холдинг Корп. Беспроводной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KR20210117777A (ko) * 2020-03-20 2021-09-29 주식회사 숲에서 초미세 향 발생 가습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9763A (zh) * 2014-07-03 2015-02-0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加湿装置和空气处理系统
CN107003026A (zh) * 2015-10-15 2017-08-01 大科防静电技术咨询(深圳)有限公司 湿气流生成器
KR20180069820A (ko) * 2015-10-15 2018-06-25 이에스디 테크놀로지 컨설팅 & 라이센싱 주식회사 습한 공기 스트림 발생장치
RU181084U1 (ru) * 2017-09-20 2018-07-04 Арима Холдинг Корп. Беспроводной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KR20210117777A (ko) * 2020-03-20 2021-09-29 주식회사 숲에서 초미세 향 발생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7247B2 (en) Combination warm and cool mist humidifier
US6171559B1 (en) Toothbrush sterilization unit for home use
JP5097899B2 (ja) 改良された紫外線消毒作用を有する加湿器
RU2395755C2 (ru)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US6257560B1 (en) Fountain humidifier and air cleanser
US9125351B2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120100355A (ko) 모세관 증발 가습기
JPH09119685A (ja) ヒータ式超音波加湿器
JP4877077B2 (ja) 美容器
US20080251598A1 (en) Wick Assemblies
JP2006505332A (ja) 蒸発性物質を送達するための電動分配デバイス
JP5868474B1 (ja) 噴霧装置および噴霧システム
KR101346651B1 (ko) 살균 가습기
KR101938196B1 (ko) 가열 증발식 전기발향기
KR200479586Y1 (ko) 가습기
KR200254148Y1 (ko)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
EP021305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tream of heated vapor particularly useful for therapeutic purposes
CN208097112U (zh) 一种呼吸内科专用挤压式喷药器
KR101902788B1 (ko) 피스톤 운동을 이용한 기화식 가습기
US20190022270A1 (en) Fanless negative ionic wind aroma diffuser
CN109681851A (zh) 一种釉下五彩瓷的香薰加湿灯
KR102099931B1 (ko) 돌판을 이용한 스팀 가습 구조
JP2004009040A (ja) 照明付き噴霧器
KR20110045506A (ko) 대나무숯 가습 장치 및 대나무숯 가습 장치를 포함하는 분경 장치
KR101894757B1 (ko) 가열증발식 전기발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