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8077A -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 Google Patents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8077A
KR20120098077A KR1020110017781A KR20110017781A KR20120098077A KR 20120098077 A KR20120098077 A KR 20120098077A KR 1020110017781 A KR1020110017781 A KR 1020110017781A KR 20110017781 A KR20110017781 A KR 20110017781A KR 20120098077 A KR20120098077 A KR 20120098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lanting
tree
trees
ro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1461B1 (ko
Inventor
정정채
김도균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7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46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3Zeol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5Calcined rock, e.g. perlite, vermiculite or clay 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5Dry fruit hulls or husks, e.g. chaff or coi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재 구덩이의 하부에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를 넣고 식재 구덩이에 수목의 뿌리를 놓는 단계, 상기 식재 구덩이에 놓여진 수목 주위로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를 지표면으로부터 5 내지 30cm 깊이까지 충진한 후 물다짐하는 단계, 및 상기 식생토 위로 토양공극이 크고 유기성분의 함량이 적은 토양재를 지표면까지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수목의 뿌리에 수분 및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게 하여 뿌리의 생장이 잘되게 하고,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 방향으로 수목 뿌리의 심근화를 유도할 수 있고, 또한 담압에 의한 토양의 경화를 방지하고, 수목 주위에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식재한 수목의 고사율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Method for forming planting soil for roots}
본 발명은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목 식재 지반 조성시 표토부는 공극이 크고, 유기성분이 적은 재료로 하고, 표토하부층에는 토양개량재를 사용하여 뿌리가 천근화 되는 것을 지양하고 심근화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와 도시화 그리고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쾌적하고, 안전하며, 심미적으로 아름다운 경관을 희구하게 됨에 따라 대단위로 녹지를 조성하고 있다.
그러나 인위적으로 식재하는 수목들은 자생지의 환경과 이질적인 환경에서 생육하면서 부적응하여 활착되지 못하고, 생장이 불량해지며, 고사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유지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오히려 식생 경관이 불량해지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인위적으로 식재하는 수목들이 부적응 하는 것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으나 식재의 기본적인 식재지반 조성 기법이 낙후 되어 있기 때문이다. 식재지반은 수목이 뿌리를 뻗을 수 있도록 하는 토양으로서 수목 생장의 모태이다. 식재지반 토양의 양부에 따라 수목의 생장이 양부가 결정 되므로 식재지반 조성 공법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식재지반 조성 공법은 단순히 수목 식재 구덩이를 파고, 불량토양을 치환하고, 토양개량제를 섞어서 되메우기를 하여 물다짐을 하여 양생하는 수준 정도가 고작이다. 이러한 공법들은 오래 전의 단순한 식재기술로서 식물 생육환경이 열악하거나 극히 진보적이지 못하다.
한편, 수목의 이식은 이식하려는 수목의 세근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한 밑부분에 대한 뿌리돌림 작업, 수목을 캐내는 굴취 작업, 굴취한 수목을 적재한 후 목적지까지 운반하는 수송 작업, 수송된 수목을 미리 파낸 구덩이에 수목의 관상할 방향을 잡아서 깊이대로 식재하는 식재 작업, 및 식재 후의 수목에 대해 관수, 배수, 방한 등의 관리를 하는 수목 관리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수목을 식재하여도 많은 수목들이 이식한 곳의 지면에 뿌리를 잘 활착하지 못하고 고사하는데, 그 이유에는 수목을 너무 깊이 심거나, 식재 이후 과도한 답밥에 의해 토양이 경화되거나, 뿌리를 너무 많이 잘라내었거나, 이식 후 충분히 관수를 하지 못하였거나, 미부숙된 퇴비 등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 수목을 이식하여 수목의 뿌리에 공기 및 수분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한 경우 및 수목이 식재된 토양이 인간의 과도한 담압에 의하여 토양이 경화되어 수목이 불량해지거나 고사하는 경우이다.
특히 가로수의 경우에는, 가로수의 대부분이 콘크리트, 아스팔트, 보도블럭 등 포장된 도로나 보도에 식재되기 때문에 산이나 들에 식재된 수목에 비하여 뿌리에 공기나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토양 확보가 부족하고, 콘크리트 등이 지표면을 가려 비가 와도 지표면 속으로 비가 흡수되는데 방해를 받으므로 수목 주변에 수분이 충분하게 보유되지 못하므로 고사하게 된다.
즉, 수목이 이식 후 효과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식재된 수목의 뿌리에 수분, 공기, 및 영양분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목의 식재 방법 및 식재된 수목의 뿌리 심근화 유도 방법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30863호 및 제2002-0077310호는 식재 구덩이 하부에 배수용 구멍 및/또는 유공관 기둥을 설치한 후, 배수용 구멍 및/또는 유공관 속에 자갈, 쇄석, 모래, 또는 인공토를 충진한 다음 수목을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한 수목에 통기 및 수분 공급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바이거러스 수목 식재 공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개시된 발명은 식재 구덩이의 하부에 구멍을 내거나 유공관을 설치해야 하므로 인력 및 장비가 추가적으로 필요하여 비경제적이며, 표층의 공기 및 수분을 공급해 주는 것이 아닌 하부의 통기 및 수분 공급을 목적으로 하므로 표층의 공기 및 수분이 수목에 자연적으로 공급되지 못하여 수목이 고사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86555호는 수목의 이식 등으로 인하여 뿌리의 생리 기능이 현저히 저하된 수목의 뿌리 주위를 굴토하여 쇠약한 뿌리를 절단한 후 발근 촉진 연고를 도포한 다음, 뿌리 주위에 마사토를 덮고 굵은 모래와 자갈 혼합물로 에워싸서 유공관을 직립 설치한 후, 유공관 내로 물과 무기 양료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뿌리발근 및 성장촉진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개시된 발명은 수목의 뿌리 발근을 위하여 유공관이라는 기타의 설비를 설치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이며 유공관 내로 물과 무기 양료를 직접 투입해야 하므로 인력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97767호는 수목이 식재되어 있는 토양 주변에 공기관을 수직방향으로 매설하여 수목 주변의 토양에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수목의 생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목의 토양환경 개선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개시된 발명은 공기관을 설치하더라도 하층의 단단한 토양 사이를 공기가 지나가서 뿌리에 충분한 공기를 공급해줄 수 있는지 명확하지 않으며, 추가로 설비가 필요하므로 비경제적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수목 식재 후 뿌리의 심근화를 유도하기 위한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을 발명하고자 시도하여 왔으며, 그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식재 구덩이의 하부에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를 충진 후 토양공극이 크고 유기성분이 미미하게 함유된 토양재를 지표면까지 충진하여 담압에 토양이 경화되지 않고 수분 및 공기가 원활하게 수목의 뿌리에 공급되게 하여 뿌리의 생장이 잘 되도록 함으로써 뿌리의 심근화를 유도하는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은 식재 구덩이의 하부에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를 일정 높이로 넣고 식재 구덩이에 수목의 뿌리를 놓는 단계, 상기 식재 구덩이에 놓여진 수목 주위로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를 지표면으로부터 5 내지 30cm의 깊이까지 충진한 후 물다짐하는 단계, 및 상기 식생토 위로 토양공극이 크고 유기성분의 함량이 적은 토양재를 지표면까지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은, 첫 번째 단계로 식재 구덩이의 하부에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를 일정 높이로 넣고 식재 구덩이에 수목의 뿌리를 놓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재 구덩이(10)는 수목(1)을 식재하기 위하여 토양에 형성하는 구덩이로, 구덩이를 파내면서 뿌리의 활착이나 발근을 방해하는 구덩이 주위에 위치한 불량토양과 유해물질을 골라낸다. 또한 식재 구덩이(10)는 식재하려는 수목의 뿌리분이 충분하게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 바람직하게는 수목의 뿌리분 크기보다 1.5 내지 2.5배 정도 크게 파는데, 식재 구덩이(10)의 크기가 1.5배 미만인 경우 수목(1)을 식재 구덩이(10)에 넣은 후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20)를 충분하게 넣을 공간이 부족하여 수목의 뿌리가 약해질 염려가 있으며, 2.5배 초과하는 경우 그 이하인 경우에 비하여 효과 대비 비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재 구덩이(10)는 1이상을 포함하며, 1이상인 경우 상기 식재 구덩이(10)는 도 3에서와 같이 연속적으로 구분없이 연결되어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속적으로 구분없이 연결되어 통로를 형성한 식재 구덩이(10)는 식재 구덩이(10)의 깊이만큼 원지반(60)을 굴착함으로써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일한 깊이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다수의 수목을 심는 경우에 이와 같은 연속적으로 구분없이 연결되어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토양을 한 번만 조성하면 되므로 수목을 심을 때마다 토양을 조성하는 것을 피함으로써 시간 및 인력 낭비를 막아 경제적일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20)는 가로수의 종류와 식재지의 토양상태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세부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식생토(20)에 포함되는 토양개량제는 식생토의 중량과 대비하여 0.02 내지 1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양개량제가 식생토의 중량 대비 0.02 중량비의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식재한 가로수(1)의 뿌리 생장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며, 1 중량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과다 영양 공급으로 인하여 가로수 뿌리의 생장 전에 뿌리가 썩을 가능성이 있으며, 효과 대비 비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20)에는 호기성 미생물을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 상기 호기성 미생물을 투입하는 경우 호기성 미생물이 가로수의 뿌리에 유해균이 침입하는 것을 막고, 수분 및 영양분의 흡수를 도와주어 뿌리의 성장을 우수하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양개량제는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식물 생육에 알맞도록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제품으로, 그 종류로는 무기질 계통의 토양개량제로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인산질 비료, 규산질 비료, 석회질 비료 등이 있고, 유기질 계통의 토양개량제로 짚류, 왕겨류, 가축분뇨, 퇴비류, 오니류, 유기질 비료 등이 있으나 그 종류가 이로써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은 토양 개량제는 유용 미생물을 증대시키고 토양에 보수성 및 보비력을 공급하거나, 토양의 단립화 형성을 촉진함으로써 식재한 수목의 뿌리가 잘 생장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재 구덩이(10)의 하부에 넣는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20)의 높이는 식재되는 수목의 품종 및 성장 속도에 따라 달리 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cm 정도이다.
이와 같이, 식재 구덩이(10)의 하부에 일정 높이로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20)를 넣고 식재하고자 하는 수목을 놓게 된다.
이때 수목의 뿌리분이 상하지 않도록 조심하여 놓도록 하며, 수목의 관상 방향을 잡을 경우에도 뿌리분이 구덩이 바닥에 닿은 채로 움직이면 분이 파괴되거나 뿌리가 썩을 염려가 있으므로 살짝 들어서 움직인다. 또한 수목을 너무 깊이 심는 경우 수목의 생장에 장애를 일으켜 뿌리가 썩거나 뿌리 호흡이 부적당하여 발육이 나빠지고 질식하여 죽을 수도 있으므로 수목의 이식 전 상태보다 약간 깊게 심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식재하고자 하는 수목은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목본 식물의 총칭으로 잎이 매년 떨어지는 낙엽수,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고 1년 이상 가지에 달려있는 상록수, 잎이 뾰족한 침엽수, 잎이 넓은 활엽수 등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목은 감나무, 목련, 벚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 향나무, 소나무, 향나무 등이 있다.
다음 단계로, 상기 식재 구덩이(10)에 놓여진 수목(1) 주위로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20)를 지표면으로부터 5 내지 30cm 깊이까지 충진한 후 물다짐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과 같이 식재 구덩이(10)에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20)를 수목(1) 주위로 충진함으로써, 수목(1)의 이식시 발생할 수 있는 토양의 척박, 토양산도, 유기물, 토양염류화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미량 원소 및 천연 영양물질을 공급함으로써 미량 원소 결핍에 의한 잎마름병, 끝마름병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수목 식재시 식재 구덩이(10)의 지표면 부위까지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20)를 채우는 경우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20) 자체의 통기성과 배수성이 우수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수목의 뿌리에 수분 및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게 되어 오히려 수목이 고사할 수 있으며, 지표면으로부터 30cm 미만으로 채우는 경우 수목의 뿌리에 미량원소 및 영양 물질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거나 토양의 유용한 미생물이 충분히 증식되지 못하여 수목이 건강하게 생장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는 지표면으로부터 5 내지 30cm 깊이까지, 바람직하게는 지표면으로부터 5 내지 20cm 깊이까지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20)를 식재 구덩이(10)에 충진한 후 물다짐을 한다. 여기서, 물다짐이란 상기 식생토(20)에 물을 부어 식생토(20)를 단단히 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의하여 식생토(20)와 원지반(60) 간의 모세관 현상 및 식생토(20)와 식재된 수목(1) 간의 모세관 현상이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물다짐을 하기 전에 식재된 가로수에 지주목(미도시)을 설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주목의 설치는 가로수의 크기 및 현장 여건 등에 따라 지주목의 재료, 설치 공법, 설치 여부 등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단계로, 상기 식생토 위로 토양공극이 크고 유기성분의 함량이 낮은 토양재(30)를 지표면까지 충진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양재(30)는 토양공극이 크고 유기성분의 함량이 낮은 토양을 말한다. 달리 환언하자면, 상기 토양재(30)는 투수율이 우수하며, 거름기가 없는 토양을 말한다. 여기서, 투수율이 우수한 토양은 투수율이 10-3 내지 10-4 cm/s인 토양을 말하고, 유기성분의 함량이 낮은 토양은 토양 1g당 0.01mg, 바람직하게는 0.005mg 이하로 유기물, 식물종자나 생체가 거의 없는 토양을 말한다. 상기 토양재(30)는 그 종류가 이로 제한되지는 않으나, 마사토 또는 가는 모래 등과 같은 사토 또는 사양토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토양재는 투수율이 우수하므로 5 내지 10 mm의 미량 강우가 내리는 경우에도 강우가 투수되어 수목의 뿌리가 수분을 흡수하게 되므로 뿌리의 성장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유기성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여 수목의 관리가 수월해지며 식재한 수목이 잡초와 수분 경쟁을 하여 수분을 잡초에 뺏기는 것을 방지하므로 식재한 수목이 잘 자랄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사토는 암석이 부서지거나 풍화되어 생긴 흙으로 그 성분으로는 석영 입자가 70% 이상이고, 소량의 장석과 점토가 포함되어 있다. 지구의 지층 분포상 상당량이 존재하여 국내 지층에서는 60% 이상 분포되어 있고 지리적으로 접근이 용이한 하천 주변, 낮은 구릉, 산 등에 산재되어 있으며, 무기질의 집합체로써 유기물이 혼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미생물이 성장하기 어렵다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모래는 0.02 내지 2mm 사이의 암석편, 광석편의 총칭으로서 0.02 내지 0.2mm의 모래는 가는 모래, 0.2 내지 2mm의 모래는 굵은 모래라고 말한다. 모래의 경우 양분을 갖고 있지 않아 가로수를 비롯한 식물이 자라는 데 적합하지는 않으나 식물을 받치고, 답압에 의하여 견밀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하며, 공기나 물이 잘 통과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목 식재시 사용하는 모래는 가는 모래, 굵은 모래 등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나 수목을 지지하면서도 투수율이 우수한 가는 모래가 바람직하며, 굵은 모래를 사용하는 경우 지표면으로부터 5 내지 10cm의 깊이까지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과 같이 식재 구덩이(10) 하부에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20)를 충진하고, 식재 구덩이(10)의 상부에 토양공극이 크고 유기성분의 함량이 거의 적은 토양재(30)로 지표면까지, 바람직하게 지표면으로부터 5 내지 30cm, 보다 바람직하게 지표면으로부터 5 내지 20cm까지 마감함으로써, 수목이 식재된 토양의 통기성과 배수성을 좋게 하여 공기, 수분, 및 영양 성분이 뿌리에 원활하게 공급되어 뿌리의 심근화가 유도되고 수목이 잘 생장할 수 있도록 하며, 뿌리가 썩는 것을 예방할 뿐 아니라 유기성분의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는 토양재(30) 자체에는 영양 성분이 없으므로 수목 주위에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뿌리의 심근화는 뿌리의 측근(50) 발생이 억제되고 뿌리의 직근(40) 및 심장근(70)과 세근(80)이 발달하여 토양의 하부층으로 뿌리가 깊숙이 성장하는 것으로, 이에 의하여 수목이 토양에 안정되게 고착되고 토양의 심토부에 있는 영양분을 잘 흡수하여 성장이 잘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토양재(30)를 5cm 미만으로 충진하는 경우 유수 등에 의하여 상기 토양재(30)가 쓸려 내려가거나 하부의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20)와 섞여 외부의 공기 및 수분이 뿌리에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여 가로수가 고사할 염려가 있으며, 상기 토양재(30)를 30cm 초과하여 충진하는 경우 영양 성분이 없는 거름기 없는 흙의 양이 너무 많아져서 수목이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토양재(30)를 지표면으로부터 5 내지 30c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cm까지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에서,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30)와 마사토, 및 가는 모래의 투수율을 비교한 결과 마사토, 및 가는 모래의 투수율이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에 비하여 약 2.5 내지 2.8배 높게 관찰되어, 수목 식재시 거름기 없는 흙을 사용하는 경우 토양의 투수성 및 배수성을 좋게 하여 수목의 뿌리에 수분을 잘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에 의하여 수목 식재시 표토부에는 토양공극이 크고, 유기성분의 함량이 적은 토양재를 사용함으로써 수목의 뿌리에 수분 및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게 하여 뿌리가 썩는 것을 예방하면서도 물리적으로 담압에 의한 견밀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미량의 강우에도 우수의 지표하 침투가 높게 하며, 가뭄 때 구열 방지와 표토의 모세관 현상 차단으로 토양수분의 증발산량을 최소화하여 가뭄극복에 유리하게 하고, 식재 초기에 대량의 잡초 발생을 최소화하여 유지관리에 유리하도록 수목이 양호하게 생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표토하부층에는 토양개량제를 사용하여 수목의 뿌리가 표토보다는 토양개량제가 있는 심토부에 뿌리가 뻗게 함으로써 수목 뿌리의 심근화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을 사용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을 사용한 후 수목의 뿌리가 성장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수목을 식재할 때의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을 사용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거름기 없는 흙을 이용한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1-1. 식재 구덩이 파기
은행나무 등과 같은 수목을 식재할 곳을 선정한 후 심을 수목의 뿌리의 2배 정도의 크기로 식재 구덩이를 팠다. 그리고, 그 식재 구덩이에 있는 불량토양과 유해물질을 제거하였다.
1-2.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 및 수목 넣기
상기 식재 구덩이의 하부에 10cm 두께로 토양개량제가 0.1중량비로 혼합된 식생토를 넣고 수목을 올려놓았다. 수목의 경우 원래 심어져 있던 높이보다 깊게 심도록 하고, 그 후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를 수목 주위에 넣어 지표면으로부터 15cm 깊이까지 충진하였다.
1-3. 마사토 충진하기
상기 수목 주위의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 위에 마사토 또는 가는 모래를 15cm 두께로 충진하였다.
1-4. 결과
상기 방법에 의하여 식재된 은행나무는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식재된 은행나무에 비하여 식재지에 심근을 원활하게 토착하여 성장이 안정되었으며, 상층부의 마사토에 의하여 은행나무 주위에 잡초가 거의 자라지 않았다.
실시예 2: 다수의 수목을 식재하는 경우의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2-1. 식재 구덩이의 형성 및 식생토 충진
다수의 수목(은행나무)을 식재할 곳을 선정한 후 포크레인으로 원지반을 수목 뿌리보다 약 10cm 정도 깊게 20m의 길이로 팠다. 그 굴착된 구덩이에 토양개량제가 0.1 중량비로 혼합된 식생토를 약 10cm의 두께로 충진한 후 수목을 1m 간격으로 놓았다. 그 다음으로, 토양개량제가 0.1 중량비로 혼합된 식생토를 지표면으로부터 20cm 깊이까지 수목 주위로 충진하였다.
2-2. 물다짐하기
상기 2-1에서 식재된 수목의 분에 물다짐을 하여 수목에 수분을 공급함과 동시에 원지반과 수목의 뿌리분 사이의 식생토가 물다짐되어 모세관 현상이 자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2-3. 마사토 또는 가는 모래 충진하기
상기 2-2의 물다짐이 끝나고 하루나 이틀 후에 물다짐된 하부의 식생토 위에 마사토 또는 가는 모래를 지표면까지 충진하였다.
2-4. 결과
상기 실시예 1의 결과와 같이, 식재된 다수의 은행나무는 다른 은행나무에 비하여 안정적으로 토양에 정착하였으며, 뿌리의 심근화가 잘 이루어져 성장이 우수하였고, 상층부의 마사토에 의하여 은행나무 주위에 잡초가 거의 자라지 않았다.
1 : 수목 10 : 식재구덩이
20 :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 30 : 토양재
40 : 직근 50 : 측근
60 : 원지반 70 : 심장근
80 : 세근

Claims (8)

  1. 식재 구덩이의 하부에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를 넣고 식재 구덩이에 수목의 뿌리를 놓는 단계, 상기 식재 구덩이에 놓여진 수목 주위로 토양개량제와 혼합한 식생토를 지표면으로부터 5 내지 30cm 깊이까지 충진한 후 물다짐하는 단계, 및 상기 식생토 위로 토양공극이 크고 유기성분의 함량이 적은 토양재를 지표면까지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 구덩이는 1 이상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개량제는 식생토의 중량과 대비하여 0.02 내지 1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는 토양개량제 외에 호기성 미생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개량제는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인산질 비료, 규산질 비료, 석회질 비료, 짚류, 왕겨류, 가축분뇨, 퇴비류, 오니류 또는 유기질 비료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공극이 크고 유기성분의 함량이 적은 토양재는 10-3 내지 10-4 cm/s의 투수율 및 토양 1g당 0.01mg 이하의 유기성분을 함유하는 토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재는 사토 또는 사양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양토는 마사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KR1020110017781A 2011-02-28 2011-02-28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KR101241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781A KR101241461B1 (ko) 2011-02-28 2011-02-28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781A KR101241461B1 (ko) 2011-02-28 2011-02-28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077A true KR20120098077A (ko) 2012-09-05
KR101241461B1 KR101241461B1 (ko) 2013-03-11

Family

ID=4710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781A KR101241461B1 (ko) 2011-02-28 2011-02-28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4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886B1 (ko) * 2015-12-21 2017-01-17 (주)케이지에코 대형 산채목 식재용 토양개량제 및 이를 이용한 대형 산채목 식재 방법
KR102041437B1 (ko) * 2019-06-24 2019-11-06 고인석 보행자 안전과 지중 시설물 보호를 위한 수목뿌리 보호 생장 유도 장치
KR20200114377A (ko) * 2019-03-28 2020-10-07 이경수 연리목 식재방법
CN112913631A (zh) * 2021-04-02 2021-06-08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消落带苗木固定结构及其施工方法
CN115053740A (zh) * 2016-11-06 2022-09-16 夏祥军 一种用于沙化、盐碱化土地植被种植用的构件及其种植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5549A (zh) * 2015-09-10 2015-12-23 苏州金螳螂园林绿化景观有限公司 提高存活率的树木移植方法
KR101835119B1 (ko) * 2016-02-26 2018-03-06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강풍 및 건조지역의 식재수목 활착을 증진하기 위한 구덩이 멀칭식재 기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681A (ja) 1997-12-16 1999-06-29 Kajima Corp 法面緑化用布製型枠及び同型枠を用いた法面緑化方法
JP2003064686A (ja) 2001-08-23 2003-03-05 Ryokka Hozen Co Ltd 緑化される法面の安定化構造
JP2004092138A (ja) 2002-08-30 2004-03-25 Kiyomi Terajima 地表面被覆方法
KR100712138B1 (ko) 2006-12-18 2007-04-27 (주)한상종합건설 사막화 방지용 녹지조성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886B1 (ko) * 2015-12-21 2017-01-17 (주)케이지에코 대형 산채목 식재용 토양개량제 및 이를 이용한 대형 산채목 식재 방법
CN115053740A (zh) * 2016-11-06 2022-09-16 夏祥军 一种用于沙化、盐碱化土地植被种植用的构件及其种植方法
KR20200114377A (ko) * 2019-03-28 2020-10-07 이경수 연리목 식재방법
KR102041437B1 (ko) * 2019-06-24 2019-11-06 고인석 보행자 안전과 지중 시설물 보호를 위한 수목뿌리 보호 생장 유도 장치
CN112913631A (zh) * 2021-04-02 2021-06-08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消落带苗木固定结构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461B1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00342B (zh) 一体化半岩质高边坡植被重建保护方法
KR101241461B1 (ko)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CN101818499B (zh) 高陡岩质边坡植被重建系统及该系统的实施方法
CN101509257B (zh) 种植香根草固土护坡的方法
CN110714471B (zh) 生态护坡
CN101507391B (zh) 岩石坡面生态化治理方法
CN110612793A (zh) 一种矸石山喷播绿化方法
JP5075528B2 (ja) 法面緑化工法
Freppaz et al. Soil properties on ski-runs
CN107100176A (zh) 一种高速公路边坡绿化系统
KR100983453B1 (ko) 지속적인 영양 공급을 위한 사면의 녹화 공법
CN107439320A (zh) 一种顺层灰岩破损山体的绿化方法
CN111543233A (zh) 沿海岛屿地区淤泥质盐碱地苗木种植的施工方法
CN110036832A (zh) 一种青藏高原矿采遗迹地植被恢复的方法
KR101274329B1 (ko) 가로수 측근 발생 억제 방법
KR100469079B1 (ko) 배수 및 관수기둥을 설치하는 수목 식재공법
CN110249897B (zh) 一种通过间作银杏和芍药防治坡地水土流失的方法
US20140165466A1 (en) Method of growing plants that conserves water
KR100331202B1 (ko) 바이거러스 수목 식재 공법
KR100785743B1 (ko) 그린 소일 압밀에 의한 절토와 성토의 녹화공법 및녹화공법에 사용되는 그린 소일 조성물
CN114319297A (zh) 一种高寒区煤矿煤矸石地的土地修复方法
JPH08308376A (ja) 岩盤法面の植生生育基盤の造成工法
Craul Urban soil: Problems and promise
KR101336170B1 (ko)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KR101239202B1 (ko) 어분을 이용한 법면식생 녹화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