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178A - 열연 강판 교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열연 강판 교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178A
KR20120097178A KR1020110016582A KR20110016582A KR20120097178A KR 20120097178 A KR20120097178 A KR 20120097178A KR 1020110016582 A KR1020110016582 A KR 1020110016582A KR 20110016582 A KR20110016582 A KR 20110016582A KR 20120097178 A KR20120097178 A KR 20120097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ski
information
tip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용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6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7178A/ko
Publication of KR20120097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5Stretching combined with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1Control or correction devices in association with mov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8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 B21D43/09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by one or more pairs of rollers for feeding sheet or strip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교정기의 입측으로 진입되는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검출하는 스키업 정보 검출부와, 스키업 정보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스키업 정보를 입력받아, 강판 선단부의 진입 전에는 압연교정기의 상부교정롤을 승강시키며, 강판 선단부의 진입 후에는 상기 상부교정롤을 하강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열연 강판 교정 장치를 제공하여, 압연 완료된 열연 강판의 교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열연 강판 교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LEVELING HOT STRIP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열연 강판 교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강판의 선단부에서 유발된 스키업 변형을 미리 검출하여 강판의 열간 교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열연 강판 교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열연 강판, 특히 후판은 공정에 따라 목표하는 치수로 후판공정에서 압연이 마무리되고, 냉각상을 통과한 다음 열간교정기를 통해 교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후판공정 중 압연기를 통해 최종 압연이 완료된 경우 강판의 선단부가 상향으로 구부러지는 변형이 유발되기도 한다. 이를 스키업 변형이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판 선단부에서 유발된 스키업 변형을 사전 검출하여, 검출된 변형 정보를 통해 열간교정기의 상하 구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열연 강판 교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연 강판 교정 장치는, 압연교정기의 입측으로 진입되는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검출하는 스키업 정보 검출부; 및 상기 스키업 정보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스키업 정보를 입력받아, 강판 선단부의 진입 전에는 압연교정기의 상부교정롤을 승강시키며, 강판 선단부의 진입 후에는 상기 상부교정롤을 하강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키업 정보 검출부는, 압연교정기의 입측 전방 이송롤에 대해 상향 배치되어, 상기 이송롤에 의해 진입되는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높이 데이터 형태로 검출하는 레이저 비전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키업 정보 검출부는, 강판 선단부 쪽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상기 광조사부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광의 반사광을 수렴하여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된 변형 형상에 대한 높이 데이터를 계측하는 광계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스키업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입력 받는 데이터 입력부; 입력된 스키업 정보를 통해 상기 상부교정롤의 승강 높이를 연산하는 데이터 연산부; 및 상기 데이터 연산부에서 연산된 승강 높이로 상기 상부교정롤을 승강시키고, 강판 선단부가 압연교정기 내부로 진입한 후에 상기 상부교정롤을 하강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연교정기의 하부교정롤의 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교정롤의 하강 구동 시점을 파악하도록, 압연교정기 내부로 진입된 강판 선단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연 강판 교정 방법은, (a) 압연교정기의 입측으로 진입되는 강판의 교정 조건을 미리 계산하여 설정하는 단계; (b) 압연교정기의 입측 전방에서 진입되는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검출된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통해 압연교정기의 상부교정롤을 승강 구동시키는 단계; (d) 강판 선단부가 압연교정기의 내부로 진입한 후 상기 승강된 상부교정롤을 하강 구동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설정된 교정 조건으로 강판의 교정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강판 선단부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조사된 레이저 광의 반사광을 수렴하여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된 변형 형상에 대한 높이 데이터를 계측함으로써,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열연 강판 교정 장치에 따르면, 강판 선단부에서 유발된 스키업 변형을 사전에 검출하고, 검출된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변형 크기에 대응하여 열간교정기를 오픈 구동시킴으로써, 열연 강판 교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연 강판 교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연 강판 교정 장치에서 강판 선단부의 진입을 위해 상부교정롤이 승강 구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연 강판 교정 장치에서 강판 선단부의 진입 후 상부교정롤이 하강 구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연 강판 교정 방법의 개략적인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강판 선단부 스키업 정보 검출 단계(S200)의 세부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연 강판 교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연 강판 교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1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되는 부분만을 분명하게 명시한 것으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열연 강판 교정 장치는 압연교정기(101)로 진입되는 강판(S)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검출하는 스키업 정보 검출부(110)와, 압연교정기(101)의 상부교정롤(102)을 승하강 구동하는 구동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열연 강판(S), 특히 후판은 공정에 따라 목표하는 치수로 후판공정에서 압연이 실시된다. 그리고 압연이 완료되면, 가속냉각장치(C)를 통과한 다음 열간교정기(101)로 이송되어 교정이 이루어진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강판(S)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최종 압연이 마무리된 강판(S)은 선단부가 상향으로 구부러지는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스키업 변형이라 한다.
선단부에서 스키업 변형이 발생된 강판(S)을 효과적으로 압연교정기(101) 내에 치입시키기 위해서는, 압연교정기(101)의 상부교정롤(102)을 승강 구동시키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상부교정롤(102)의 승강 높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해야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를 위해 스키업 정보 검출부(110)가 활용된다.
먼저, 스키업 정보 검출부(11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스키업 정보 검출부(110)는, 강판(S) 선단부의 스키업 변형 정보(이하, '스키업 정보'라 함)를 검출하는 센싱 수단이다.
즉, 스키업 정보 검출부(110)는 압연교정기(101)의 입측으로 진입되는 강판(S) 선단부 상에 발생된 스키업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스키업 정보 검출부(110)는, 압연교정기(101)의 입측 전방 이송롤(R)의 상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압연교정기(101)의 입측을 통해 진입되는 강판(S)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거리 또는 높이 데이터 형태로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스키업 정보 검출부(110)의 구체적이 실시 형태로서, 레이저 비전 센서(Laser Vision Sensor)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키업 정보 검출부(110)의 세부 구성으로는 광조사부(120)와 광계측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광조사부(112)는, 강판(S) 선단부 쪽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발광 수단이다. 이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예로서 레이저 광다이오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계측부(114)는, 상기 광조사부(112)로부터 조사된 광의 반사광을 수렴하여 그 사이의 지연 시간을 검출하여 거리를 계측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은 광조사부(112) 및 광계측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키업 정보 검출부(110)를 통해, 강판(S) 선단부의 스키업 된 변형 영역으로 광을 조사하고, 조사된 광의 반사광을 수렴함으로써, 그 사이의 거리(d)를 계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획득된 거리(d) 값을 통해 강판(S) 선단부의 스키업 된 높이(h)를 계측할 수 있다.
즉, 스키업 정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강판(S)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는, 강판(S) 선단부의 스키업 된 높이(h) 데이터의 형태로 획득되어 진다. 또한, 이와 같이 획득된 높이(h) 데이터를 통해 상부교정롤(102R)의 승강 높이를 연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동제어부(120)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구동제어부(120)는, 전술된 스키업 정보 검출부(110)로부터 검출된 스키업 정보, 즉 강판(S) 선단부의 스키업 된 높이(h)를 입력받아, 압연교정기(101)의 상부교정롤(102)을 승강 또는 하강 구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다시 말해, 상기 구동제어부(120)는 강판(S) 선단부의 진입 전에는 상부교정롤(102)을 승강시키며, 강판(S) 선단부의 진입 후에는 상부교정롤(102)을 하강시키도록 구동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교정기(101)를 구성하는 상부교정롤(102R) 및 하부교정롤(104R)은 상호 대향하여 각각 분리 형성된 상부몸체(102) 및 하부몸체(104)에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상부교정롤(102R)은 후측으로 갈수록 상향 틸팅(tilting)된 자세를 취하는데, 이는 강판(S) 선단부가 보다 원활하게 압연교정기(101) 내부로 치입되어, 교정이 더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부몸체(102)는 구동제어부(120)의 지령에 연동하여 일정 높이까지 승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부몸체(102)의 저부에 구비된 상부교정롤(102R)은 구동제어부(120)의 작동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 구동된다.
이러한 상부교정롤(102R)의 승강 동작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제어부(120)는 데이터 입력부(122), 데이터 연산부(124) 및 구동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122)는, 상기 스키업 검출부(110)로부터 검출된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 즉 높이(h) 데이터를 입력 받는 기능부이다.
그리고 데이터 연산부(124)는, 데이터 입력부(122)로부터 높이(h) 데이터를 전달받아, 강판(S) 선단부의 스키업 된 변형부분이 압연교정기(101) 내부로 원활하게 치입될 수 있도록 상부교정롤(102R)의 승강 높이를 연산하는 기능부이다.
또한, 구동부(126)는 데이터 연산부(124)에서 연산된 승강 높이로 상부교정롤(102R)을 승강시키고, 이후 강판(S) 선단부가 압연교정기(101) 내부로 진입되고 난 다음 상부교정롤(102R)을 하강시키도록 구동 조절된다.
이러한 구동부(126)의 구동 메커니즘은 실시예마다 다르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상부몸체(102)를 위로 들어 올려주거나, 또는 아래로 내려주는 형태의 동작을 구현한다.
다시 말해, 상기 구동부(126)의 구동 메커니즘에 필요한 동력 발생 장치 또는 동력 전달 장치는 굳이 특정 형태로 제한할 필요가 없으며, 관용적으로 알려진 유공압 또는 전기 구동 방식 등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동부(126)의 작동에 의해 상부교정롤(102R)이 승강되고 나면, 강판(S) 선단부는 압연교정기(101)의 내부로 진입되고, 그 다음으로, 다시 구동부(126)의 작동에 의해 상부교정롤(102)이 하강된다. 이로써, 선단부에서 스키업 된 강판(S)의 경우에도, 압연교정기(101)로 원활하게 치입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강판(S) 선단부가 압연교정기(101) 내부로 진입된 시점을 파악하여, 상부교정롤(102R)이 효과적으로 하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센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압연교정기(101)의 하부교정롤(104R)의 입측에는 압연교정기(101) 내부로 진입된 강판(S) 선단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130)가 구비된다.
도 1에서의 위치검출센서(130)는 하부교정롤(104R)의 첫 번째 롤과 두 번째 롤 사이에서 위쪽을 향하여 배치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상기 위치검출센서(130)의 배치 형태는 조금씩 달라져도 무방하다.
이러한 위치검출센서(130)로 이용 가능한 구체적인 예로는, 핫 메탈 디텍터(hot metal detector) 또는 라이트 베리어(light barri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핫 메탈 디텍터는, 이송 중인 열연 강판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그리고 라이트 베리어는, 베리어 레이저(barrier laser)라고도 통칭되는 센서 장비로서, 이 역시 이송 중인 열연 강판의 위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핫 메탈 디텍터 및 라이트 베리어는 제철 제강 기술분야에서 주지된 센서 장비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열연 강판 교정 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압연교정기(101)의 입측 전방 이송롤의 상부에는 레이저 비전 센서 형태의 스키업 정보 검출부(110)가 구비되어, 압연교정기(101)의 입측으로 진입되는 강판(S)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검출되는 스키업 정보는, 강판(S) 선단부의 스키업 된 변형 부분의 높이(h) 데이터이다.
그리고 스키업 정보 검출부(110)를 통해 검출된 스키업 정보, 즉 높이(h) 데이터는 구동제어부(120)로 입력된다.
구동제어부(120)에서는, 스키업 정보 검출부(110)로부터 입력받은 스키업 정보를 이용하여 상부교정롤(102R)의 승강 높이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승강 높이만큼 상부교정롤(102R)을 승강 구동시켜 열간교정기(101)의 입측을 개방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교정롤(R)이 승강 구동되어 압연교정기(101)의 입측이 개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간판(S)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가 검출되면, 이를 이용하여 산출된 승강 높이까지 상부교정롤(102R)은 승강된다. 이때의 상부교정롤(102R)의 승강은 상부몸체(102)의 승강 구동에 의해 가능해진다. 그리고 난 다음 입측이 개방된 압연교정기(101)로 강판(S)은 원활하게 진입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열연압연기(102)의 입측을 통해 강판(S) 선단부가 진입하게 되면, 재차 상부교정롤(102R)이 하강하여 강판(S)의 교정이 시작되게 된다. 이때의 상부교정롤(102R)의 하강 역시 상부몸체(102)의 하강 구동에 의해 가능해진다.
이로써, 선단부가 스키업 된 변형 형태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강판(S)은 압연교정기(101)의 상부교정롤(102R) 및 하부교정롤(104R) 사이로 효과적으로 치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압연교정기(101)의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 강판(S) 선단부에 스키업 변형이 발생된 경우에도 강판(S)은 별도의 시간 지연 없이 연속적으로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연 강판 교정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연 강판 교정 방법의 개략적인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열연 강판, 특히 후판은 공정에 따라 목표하는 치수로 압연이 실시된다.
압연이 완료된 강판은 이송롤을 따라 이동하는 데, 가속냉각장치를 통과하여 냉각이 이루어진 후, 열간교정기로 치입되어 교정이 이루어지는 통상의 열연 프로세스를 거치게 된다. 다만, 최종 압연이 마무리된 강판은 선단부가 상향으로 돌출되게 구부러지는 변형, 즉 스키업 변형이 유발되기도 한다.
이러한 강판의 교정을 위해서는, 먼저, 압연교정기의 입측으로 진입되는 강판의 교정 조건을 제품 규격대로 미리 계산하여 설정해 두는 단계(S100)가 요구된다.
다음으로, 강판 선단부에서 유발된 스키업 정보를 검출하여야 한다(S200).
이러한 스키업 정보 검출은, 압연교정기의 입측 전방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송 시간의 경과에 따라 검출된 스키업 정보가 달라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후 단계에서 승강 구동되는 상부교정롤의 승강 높이를 정확하게 산출해 내기 위함이다.
본 단계(S200)에서,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비전 센싱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 비전 센싱 방식에 따른 세부 단계는 도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압연교정기의 입측 전방에서 강판 선단부 쪽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한다(S220).
이 단계(S220)에서 조사된 레이저 광은 강판 선단부에 반사되는데, 이때의 반사광을 다시 수렴하는 방식으로,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된 변형 형상에 대한 높이 데이터를 계측한다. 그리고 계측된 높이 데이터를 스키업 정보로 인지한다.
그 다음으로, 검출된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통해 압연교정기의 상부교정롤을 승강 구동시킨다(S300).
여기서, 상부교정롤의 승강 구동시키는 것은 압연교정기의 입측을 개방하여, 압연교정기의 내부로 강판을 진입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다만, 앞서 검출된 스키업 정보를 통해, 강판 선단부가 충분히 진입될 수 있는 높이까지 상부교정롤을 승강시킴으로써, 강판의 이송을 정지시키거나 별도의 대기 시간을 소요하지 않으면서, 강판의 교정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으로, 압연교정기 내부로 강판 선단부가 진입된 시점을 감지하여, 이전 단계(S300)에서 승강시킨 상부교정롤을 다시 하강 구동시킨다(S400).
본 단계(400)에서, 상부교정롤이 하강 구동되는 시점의 판단은, 압연교정기의 입측에서 내부로 진입되는 강판 선단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특히, 고온금속감지 기능을 갖는 핫 메탈 디텍터 또는 광 계측 방식의 라이트 베리어 등을 위치검출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앞서 계산된 교정조건에 따라 압연교정기의 간격이 설정되는데, 이로써, 열연 강판의 교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열연 강판 교정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강판 선단부에서 유발된 스키업 변형을 사전에 검출하고, 검출된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변형 크기에 대응하여 열간교정기를 상하로 틸팅 시키는 방식을 적용한다. 이로써, 생산공정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열연 강판 교정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특히,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강판
C: 가속냉각장치
R: 이송롤
101: 압연교정기
102R: 상부교정롤 104R: 하부교정롤
110: 스키업 정보 검출부
112: 광조사부 114: 광계측부
120: 구동제어부
122: 데이터 입력부 124: 데이터 연산부
126: 구동부 130: 위치검출센서

Claims (9)

  1. 압연교정기의 입측으로 진입되는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검출하는 스키업 정보 검출부; 및
    상기 스키업 정보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스키업 정보를 입력받아, 강판 선단부의 진입 전에는 압연교정기의 상부교정롤을 승강시키며, 강판 선단부의 진입 후에는 상기 상부교정롤을 하강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열연 강판 교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업 정보 검출부는,
    압연교정기의 입측 전방 이송롤에 대해 상향 배치되어, 상기 이송롤에 의해 진입되는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높이 데이터 형태로 검출하는 레이저 비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 교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업 정보 검출부는,
    강판 선단부 쪽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상기 광조사부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광의 반사광을 수렴하여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된 변형 형상에 대한 높이 데이터를 계측하는 광계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 교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스키업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입력 받는 데이터 입력부;
    입력된 스키업 정보를 통해 상기 상부교정롤의 승강 높이를 연산하는 데이터 연산부; 및
    상기 데이터 연산부에서 연산된 승강 높이로 상기 상부교정롤을 승강시키고, 강판 선단부가 압연교정기 내부로 진입한 후에 상기 상부교정롤을 하강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 교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압연교정기의 하부교정롤의 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교정롤의 하강 구동 시점을 파악하도록, 압연교정기 내부로 진입된 강판 선단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 교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센서는,
    핫 메탈 디텍터(hot metal detector) 또는 라이트 베리어(light barr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 교정 장치.
  7. (a) 압연교정기의 입측으로 진입되는 강판의 교정 조건을 미리 계산하여 설정하는 단계;
    (b) 압연교정기의 입측 전방에서 진입되는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검출된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통해 압연교정기의 상부교정롤을 승강 구동시키는 단계;
    (d) 강판 선단부가 압연교정기의 내부로 진입한 후 상기 승강된 상부교정롤을 하강 구동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설정된 교정 조건으로 강판의 교정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연 강판 교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강판 선단부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조사된 레이저 광의 반사광을 수렴하여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된 변형 형상에 대한 높이 데이터를 계측함으로써, 강판 선단부의 스키업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 교정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승강된 상부교정롤이 하강 구동되는 시점의 판단은,
    압연교정기의 입측에서 내부로 진입되는 강판 선단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되, 고온금속감지 또는 광 계측 방법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 교정 방법.
KR1020110016582A 2011-02-24 2011-02-24 열연 강판 교정 장치 및 방법 KR20120097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582A KR20120097178A (ko) 2011-02-24 2011-02-24 열연 강판 교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582A KR20120097178A (ko) 2011-02-24 2011-02-24 열연 강판 교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178A true KR20120097178A (ko) 2012-09-03

Family

ID=4710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582A KR20120097178A (ko) 2011-02-24 2011-02-24 열연 강판 교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71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399B1 (ko) * 2015-03-25 2016-09-13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8153250A (zh) * 2016-12-02 2018-06-12 宝钢特钢有限公司 一种热矫直机智能模型系统及其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399B1 (ko) * 2015-03-25 2016-09-13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8153250A (zh) * 2016-12-02 2018-06-12 宝钢特钢有限公司 一种热矫直机智能模型系统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1361B2 (ja) 金属ストリップの矯正方法
CN206131746U (zh) 一种应用于轧钢生产线的加热炉上料装置
KR20120097178A (ko) 열연 강판 교정 장치 및 방법
US7325427B2 (en) Machine for bending of long products and a method to control such a machine
JP2012228706A (ja) 矯正プレス
KR101344333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US11766706B2 (en) Spark recognition-based hot-rolled coiling side guide plate control method
KR100856276B1 (ko) 압연 소재 두께 측정 장치
KR101466169B1 (ko) 강판 선단부 벤딩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JPH04251614A (ja) プレスブレーキ
KR101008034B1 (ko) 바 센터링 교정장치
KR101726088B1 (ko) 스트립 형상 교정장치 및 방법
JP3411145B2 (ja) 下反り矯正機の制御装置
KR102408351B1 (ko) 교정공정의 강판 교정방법
KR101370505B1 (ko) 가열로 추출 슬라브의 위치 교정 장치
KR102401994B1 (ko) 철강제품 운반장치 및 철강제품 운반방법
CN111434784A (zh) 加热炉内板坯的跑偏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101694453B1 (ko) 롤러 테이블 자동 제어 장치
WO2024085076A1 (ja) プレスブレーキ及びプレスブレーキ制御方法
KR101714879B1 (ko) 도유량 측정장치 및, 도유량 측정방법
KR20120032846A (ko) 캐리 오프 공정의 플레이트 위치 정렬 장치
CN103213535A (zh) 可评价驻车状态的驻车引导系统及驻车状态评价方法
KR102331118B1 (ko) 히터 보호 장치 및 히터 보호 장치 제어 방법
JP7348156B2 (ja) 角棒体寸法測定装置および該方法
KR20130002405A (ko) 열간압연설비의 슬라브 형상 측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