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245A - 방수플래시라이트 - Google Patents

방수플래시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245A
KR20120096245A KR1020110015541A KR20110015541A KR20120096245A KR 20120096245 A KR20120096245 A KR 20120096245A KR 1020110015541 A KR1020110015541 A KR 1020110015541A KR 20110015541 A KR20110015541 A KR 20110015541A KR 20120096245 A KR20120096245 A KR 20120096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lens
heat dissipation
ma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6838B1 (ko
Inventor
전호연
김수식
Original Assignee
골드파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골드파인(주) filed Critical 골드파인(주)
Priority to KR1020110015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838B1/ko
Publication of KR2012009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6Refractors for light sources applied to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압이 높은 수중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완벽한 방수기능을 갖는 방수플래시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방수플래시라이트는, 본체(10)의 상단부 내부에 하단부를 제1 패킹부재(10a)가 개재되게 나사결합하며 고정 및 가동접점(20a)(20b)이 내부에 설치된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부 외면에 결합하며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에 접속시켜 주는 자석(31)이 장착된 링 형태의 개폐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의 상단부를 제2 패킹부재(10b)가 개재되게 하단부의 내부에 나사결합하는 방열부재(40)와,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부 내부에 장착하는 격판부재(50)와, 상기 격판부재의 상면에 결합하며 LED(61)가 부착된 방열판재(60)와,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부 내부에 결합하며 하면에는 상기 LED의 수용홈(72)이 형성된 렌즈부재(70)와,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부를 제3 패킹부재(10c)가 개재되게 하단부의 내부에 나사결합하며 상면 중앙에는 반사공(81)이 형성된 렌즈캡(80)과, 상기 렌즈부재의 상면 주연부와 반사공의 하단 사이에 개재되게 장착되는 제4~6 패킹부재(10d~10f)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단부를 제7 패킹부재(10g)가 개재되게 상단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는 하부캡(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수플래시라이트{Waterproof flashlight}
본 발명은 방수플래시라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압이 높은 수중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완벽한 방수기능을 갖는 방수플래시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래시라이트는 야간이나 빛이 없는 어두운 장소 또는 야간훈련이나 전투 등과 같은 비상시에도 간편?용이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인데, 종래의 이러한 플래시라이트는 완벽한 방수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우천시 빗물에 많이 젖게 되거나 물에 빠트렸을 때에는 물론이고 특히 수압이 높지 않은 수중에서도 내부가 쉽게 침수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플래시라이트는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장착할 수 없었기 때문에 플래시라이트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별도로 카메라를 휴대하고 있어도, 특히 야간이나 수중에서는 즉시 촬영하여 사진이나 영상기록을 남길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가 매우 간편?용이하고 특히 수압이 높은 수중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방수플래시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해?조립이 간단하고 1회용 배터리는 물론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방수플래시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도 야간에는 물론 수중에서도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한 방수플래시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며 1회용이나 충전용 배터리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며 하단부를 제1 패킹부재가 개재되게 상기 본체의 상단부 내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며 내부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고정접점과 자체 탄성에 의해 고정접점과 격리되는 가동접점이 부설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부 외면에 정?역회전하게 결합하며 일 측에는 자력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에 접속시켜 주는 자석이 장착된 링 형태의 개폐부재와,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상단부를 제2 패킹부재가 개재되게 하단부의 내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는 방열부재와,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부 내부에 장착하며 배선공이 형성된 원판형의 격판부재와, 상기 요입면에 결합하며 상면에는 LED가 부착된 방열판재와,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부 내부에 하부를 결합하며 하면의 중앙에는 상기 LED의 수용홈이 형성된 렌즈부재와,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부를 제3 패킹부재가 개재되게 개방된 하단부의 내부로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며 상면 중앙에는 상단으로 갈수록 내면지름이 커지게 형성된 반사공을 구비하는 렌즈캡과, 상기 렌즈부재의 상면 주연부와 반사공의 하단 사이에 개재되게 장착되는 제4~6 패킹부재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단부를 제7 패킹부재가 개재되게 개방된 상단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는 하부캡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LED로 공급되는 것을 개폐하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은 연결부재의 내부에 설치하고 자력에 의해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에 접속시켜 전원이 공급되게 하는 자석이 장착된 개폐부재는 연결부재의 외면에 정?역회전하게 결합설치하여 외부에서 자력에 의해 가동접점이 접속되게 함과 동시에 각 결합부위에 개재되는 패킹부재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결합부위의 내측에 압착내장되게 함으로써 수압이 높아도 모든 결합부위의 밀폐상태가 매우 긴밀하게 유지되어 완벽한 방수기능을 갖도록 한 방수플래시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해?조립은 물론 전원공급의 개폐조작과 배터리의 교체 등이 매우 간편?용이하게 되는 방수플래시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충전용인 배터리를 사용할 때에는 본체의 하단부 내부에 충전플러그를 장착하여 용이하게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방수플래시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중카메라를 부설하여 야간에는 물론 특히 수중에서도 신속?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게 함은 물론 렌즈부재의 전면에 집속렌즈를 간단히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불빛이 비추는 거리나 범위를 조절할 수도 있게 하는 방수플래시라이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실시 예에 따른 방수플래시라이트는, 배터리의 전원이 LED로 공급되는 것을 개폐하게 되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은 연결부재의 내부에 설치하고 자력에 의해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에 접속시켜 전원이 공급되게 하는 자석이 장착된 개폐부재는 연결부재의 외면에 정?역회전하게 결합설치하여 외부에서 가동접점을 접속시켜 주게 함과 동시에 각 결합부위에 개재되는 패킹부재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결합부위의 내측으로 내장되게 함으로써 모든 결합부위의 밀폐상태가 매우 긴밀하게 유지되어 완벽한 방수기능을 갖게 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어떠한 악조건하에서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은 물론 수압이 높은 수중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 그 사용범위를 다양화시켜 주는 효과도 얻게 된다.
또한, 분해?조립 및 전원공급의 개폐조작과 배터리의 교체 등이 매우 간편?용이하며, 충전용인 배터리를 사용할 때에는 본체의 하단부 내부에 간단히 충전플러그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계속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은 물론 불빛이 비추는 거리나 면적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수중카메라를 부설함으로써 별도의 수중카메라를 휴대할 필요가 없이 수중에서도 원하는 장면을 신속?용이하게 촬영하여 사진이나 영상을 남길 수 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수플래시라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를 일부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분리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를 확대하여 보인 종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를 분리하여 보인 종 단면도
도 6a,b는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에서 개폐부재의 작동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평 단면도
도 7은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에서 본체와 연결부재의 결합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확대 종 단면도
도 8은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에서 연결부재와 방열부재의 결합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확대 종 단면도
도 9는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에서 방열부재와 렌즈캡의 결합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확대 종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에서 본체와 하부캡의 결합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확대 종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수플래시라이트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방수플래시라이트를 확대하여 보인 종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방수플래시라이트를 분리하여 보인 종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방수플래시라이트에서 개폐부재를 발췌하여 확대 분리한 사시도
도 15a~c는 도 14에서 개폐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 제3 실시 예에 따른 방수플래시라이트를 일부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방수플래시라이트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분리한 종 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요부를 조립하여 확대한 종 단면도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방수플래시라이트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에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수플래시라이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를 일부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를 확대하여 보인 종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를 분리하여 보인 종 단면도이고, 도 6a,b는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에서 개폐부재의 작동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에서 본체와 연결부재의 결합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확대 종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에서 연결부재와 방열부재의 결합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확대 종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에서 방열부재와 렌즈캡의 결합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확대 종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방수플래시라이트에서 본체와 하부캡의 결합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확대 종 단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방수플래시라이트는,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며 1회용이나 충전용 배터리(B)를 수용하는 본체(10)와,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며 하단부를 제1 패킹부재(10a)가 개재되게 상기 본체의 상단부 내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며 내부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고정접점(20a)과 자체 탄성에 의해 고정접점과 격리되는 가동접점(20b)이 부설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부 외면에 정?역회전하게 결합하며 일 측에는 자력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에 접속시켜 주는 자석(31)이 장착된 링 형태의 개폐부재(30)와,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상단부를 제2 패킹부재(10b)가 개재되게 하단부의 내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는 방열부재(40)와,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부 내부에 장착하며 배선공(51)이 형성된 원판형의 격판부재(50)와, 상기 요입면에 결합하며 상면에는 LED(61)가 부착된 방열판재(60)와,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부 내부에 하부를 결합하며 하면의 중앙에는 상기 LED의 수용홈(72)이 형성된 렌즈부재(70)와,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부를 제3 패킹부재(10c)가 개재되게 개방된 하단부의 내부로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며 상면 중앙에는 상단으로 갈수록 내면지름이 커지게 형성된 반사공(81)을 구비하는 렌즈캡(80)과, 상기 렌즈부재의 상면 주연부와 반사공의 하단 사이에 개재되게 장착되는 제4~6 패킹부재(10d~10f)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단부를 제7 패킹부재(10g)가 개재되게 개방된 상단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는 하부캡(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체(10)는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 금속으로 되며, 그 상단부의 내면에는 상측의 내면지름이 큰 평면부(11)와 상기 평면부보다 내면지름이 작은 중간의 암나선부(12)와 상기 암나선부보다 내면지름이 작은 단턱부(13)가 형성되고, 하단부의 외면에는 하측의 외면지름이 작은 수나선부(14)와 상기 수나선부보다 외면지름이 큰 상측의 받침부(15)가 형성되며, 하단부의 내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빙 둘러 돌출되는 배터리(B)의 지지편(16)이 돌출형성된다.
연결부재(20)는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 금속으로 되며, 그 내면에는 설치홈(21)을 수직으로 종단하게 형성하여 고정접점(20a)과 자체 탄성에 의해 고정접점과 격리되는 가동접점(20b)을 부설한다.
그리고, 중간부(201)보다 외면지름이 작은 하단부의 외면에는 본체(10)의 암나선부(12)에 나사결합하는 하부 수나선(22)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상기 외면지름의 차이에 의해 중간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 단턱(23)의 하면 내주와 상기 하부 수나선의 상단 사이에는 외면지름이 하부 단턱보다 조금 작은 제1 패킹부재(10a)를 결합한다.
따라서, 연결부재(20)의 하단부를 본체(10)의 상단부에 삽입하여 암나선부(12)에 하부 수나선(22)을 나사결합하여 평면부(11)의 상단이 하부 단턱(23)의 하면 외주에 밀착되게 하면, 제1 패킹부재(10a)는 상기 평면부의 상단 내면과 하부 단턱의 하면 내주와 하부 수나선의 상단 사이에 압착내장되기 때문에 이들 결합부분은 완벽하게 방수된다.
또한, 연결부재(20)의 상단부 상측 외면에는 상부 수나선(22')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수나선의 하단과 중간부(201)의 상단 사이에는 외면지름이 상기 중간부보다 조금 작고 상부 수나선보다는 조금 큰 결합부(202)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상기 중간부와 결합부의 각 상단에는 각각의 지름차이에 따라 중간 및 상단 단턱(23a)(23b)이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결합부(202)에 내면지름이 동일한 개폐부재(30)를 결합하면, 상기 개폐부재의 하면은 중간 단턱(23a)에 받쳐지게 되고, 상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20)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방열부재(40)의 하단면에 받쳐지는 상태로 결합되어 정?역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개폐부재(30)는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 금속으로 되며, 도 6a에서와 같이 정회전시키면 자석(31)이 가동접점(20b)의 위치로 이동하여 자력에 의해 고정접점(20a)에 접속되고, 도 6b에서와 같이 역회전시키면 상기 자석이 가동접점의 위치에서 자력이 미치지않게 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므로 가동접점은 자체 탄성에 의해 고정접점과 격리되게 한다.
이와 같은 작동을 하는 개폐부재(30)는, 그 정?역회전하는 간격을 제한하여 가동접점(20b)을 신속?정확하게 개폐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설치홈(21)의 고정접점(20a)과 가동접점(20b)이 부설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결합부(202)의 외면에는 제1 정지홈(24)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정지홈과 소정간격으로 격리된 위치의 외면에는 제2 정지홈(24')을 형성하며, 자석(31)이 가동접점(20b)의 위치에 있을 때 개폐부재(30)의 상기 제2 정지홈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나선공(32)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형성하여 구체(331)와 스프링(332) 및 고정나사(333)로 되는 스토퍼(33)를 장착한다.
이렇게 하면, 개폐부재(30)를 정회전시켜서 도 6a에서와 같이 자석(31)이 가동접점(20b)의 위치로 이동되게 하였을 때에는 구체(331)의 선단부는 스프링(332)의 탄성에 의해 제2 정지홈(24')에 걸어지게 되고, 반대로 역회전시켜서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구체가 제1 정지홈(24)에 걸어지게 하였을 때에는 상기 자석은 그 자력이 가동접점에 미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자석(31)이 가동접점(20b)의 위치로 이동하면 그 자력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은 고정접점(20a)에 접속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판(62)에 연결된 배선을 통해 배터리(B)의 전원이 LED(61)로 공급되어 점등이 되게 하고, 반대로 이동하여 상기 가동접점의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자력이 미치지않게 되므로 자체 탄성에 의해 고정접점으로부터 즉시 격리되어 소등되게 한다.
이러한 작동과정에서 구체(331)는, 스프링(332)의 탄성에 의해 제1,2 정지홈(24)(2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지게 되는 반면에 상기 제1 또는 제2 정지홈에서 벗어날 때에는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후진하게 되므로 개폐부재(3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아울러 상기 제1,2 정지홈들 중 해당 위치의 정지홈에 도달하면 구체는 압축되었던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순간적으로 전진하여 해당 정지홈에 걸어지면서 부딪치므로 "딸칵"소리가 발생함과 동시에 개폐부재의 회전이 멈춰지기 때문에 가동접점(20b)을 정확하게 개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내부에 부설되는 가동접점(20b)을 외부에 설치하는 개폐부재로 고정접점(20a)에 접속시켜 LED(61)로 전원이 공급되게 하였기 때문에 전원의 공급과 차단을 위한 구조가 완벽한 방수구조로 되는 특징이 있다.
방열부재(40)는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 금속으로 되며, 상단부의 외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랜즈캡(80)의 하단부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암나선(82)에 나사결합하는 상측 수나선(41)이 형성되고, 그 직 하면으로부터 하단 사이에는 외면지름이 상측 수나선보다 크며 LED(61)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 주는 다수개의 방열핀(42)이 일정간격으로 빙 둘러 형성된다.
그리고, 상단부의 내면에는 렌즈부재(70)의 받침편(43)과 상기 받핌편보다 내면지름이 큰 격판부재(50)의 받침편(43')이 상하에 빙 둘러 돌출형성되며, 하단에서 소정간격으로 격리되는 하단부의 내면에는 연결부재(20)의 상부 수나선(22')과 나사결합하는 하측 암나선(44')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열부재(40)를 연결부재(20)에 연결할 때에는, 상부 단턱(23b)에 외면지름이 조금 작은 제2 패킹부재(10b)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단부를 상기 방열부재의 하단부 내부로 삽입하여 상부 수나선(22')과 하측 암나선(44)을 완전히 나사결합하면 된다.
이렇게 결합하면, 상부 단턱(23b)이 방열부재(40)의 하면 내주에 밀착되면서 제2 패킹부재(10b)를 상기 방열부재의 하단 내부로 압입하게 되므로 제2 패킹부재는 방열부재의 하단 내면과 상부 단턱의 상면과 상부 수나선(22')의 하단 사이에서 압착내장되기 때문에 이들 결합부분은 완벽하게 방수된다.
격판부재(50)는 알루미늄 등의 비전도성 금속으로 되며, 그 지름은 받침편(43')의 상면 외주와 동일하게 하여 상기 받침편의 상면에 받쳐지게 방열부재(40)의 상단부 내부에 삽입결합하면 유동하지 않게 안착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LED(61)가 점등되어 열이 발생하면 방열판재(60)에 의해 방열부재(40)로 전도되어 방열핀(42)들에 의해 신속하게 방출된다.
한편, 2개의 배선공(51)으로는 LED(61)에 "+.-" 전원을 공급하는 각 전선을 격판부재(50)의 하방으로 배선하여 방열부재(40)의 내부 상측에 고정나사로 부착하는 기판(62)에 구비되어 있는 "+,-" 단자에 각각 접속하고, 상기 "+"단자는 배터리(B)의 "+"전극에 연결하여 LED(61)로 항상 공급되게 하며, "-"단자는 가동접점(20b)에 연결하고 고정접점(20a)은 상기 배터리의 "-"전극에 연결하여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속되면 LED로 공급되게 한다.
렌즈부재(70)는 그 하단의 지름이 받침편(43)의 상면 외주와 동일하게 하며, 이에 따라 상기 받침편에 받쳐지게 방열부재(40)의 상단부 내부에 삽입결합하면 유동하지 않게 안착이 된다.
이렇게 하면 렌즈부재(70)의 하면은 방열판재(60)의 상면과 밀착하게 되는데, 이때 LED(61)는 하면의 수용홈(72)에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렌즈부재에 의해 눌려지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렌즈부재(70)는 상면의 중앙부(71)를 상향 만곡되게 형성함으로써 LED(61)가 발광하는 빛이 모이게 하여 비교적 넓고 멀리 비추게 한다.
아울러, 렌즈부재(70)의 하면에는 실리콘으로 되며 중앙에는 LED(61)의 관통공(71a)이 형성되고 상면 외주에는 빙 둘러 결합편(71b)이 상향연장된 원판형태의 완충부재(70a)를 결합하여 방열판재(60) 및 격판부재(50)와의 접촉면들과 밀착되게 함으로써 외부충격이 가해져도 상기 렌즈부재가 유동 또는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접촉면들을 밀폐시켜 이들 사이도 완벽한 방수가 유지되게 한다.
렌즈캡(80)은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 금속으로 되며. 하단부의 내면에 하단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방열부재(40)의 상측 수나선(41)에 나사결합하는 내면 암나선(82)과, 반사공(81)의 하단에 빙 둘러 하향연장되는 가압편(83)을 더 구비하여 된다.
이러한 렌즈캡(80)을 방열부재(40)의 상단부에 결합할 때에는, 먼저 상측 수나선(41)의 하단과 상단 방열핀(42)의 상면 내주 사이에 상기 상측 수나선보다 외면지름이 조금 큰 제3 패킹부재(10c)를 결합하고, 하부에 완충부재(70a)를 결합한 렌즈부재(70)를 받침편(43)에 받쳐지게 안착한 다음, 상기 렌즈부재의 상면 외주측에는 제5,6 패킹부재(10e)(10f)를 가압편(83)의 외주측에는 제4 패킹부재(10d)를 각각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부를 렌즈캡의 하단부 내부로 삽입하여 상측 수나선을 내면 암나선(82)에 나사결합하면 된다.
이렇게 결합하면, 제3 패킹부재(10c)는 렌즈캡(80)의 하단 내면과 상단 방열핀(42)의 상면 내주 및 상측 수나선(41)의 하단 사이에 압착되고, 제4~6 패킹부재(10d)~(10f)들은 렌즈부재(70)의 상면 외주측과 이에 대응하는 부위인 가압편(83)과 그 외주측의 하면 사이에 압착내장되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게 하므로 이들 결합부분이 완벽하게 방수되도록 한다.
이렇게 개재되는 제4 패킹부재(10d)는 단면의 상하지름이 가압편(83)의 높이보다 큰 타원형 링 형태로 되고, 제5 패킹부재(10e)는 지름이 렌즈부재(70)의 상면 외주보다 조금 작은 평판 링 형태로 되며, 제6 패킹부재(10f)는 지름이 가압편의 하면과 동일한 오링으로 된다.
이와 같은 제4~6패킹부재(10d)~(10f)가 개재되게 렌즈캡(80)을 방열부재(40)에 나사결합하면, 제4 패킹부재(10d)와 제6 패킹부재(10f)는 각각 제5 패킹부재(10e)의 상면 내주측과 외주측의 상면에 압착되면서 서로 한 몸체와 같이 밀착된다.
하부캡(90)은, 내면의 하부에 본체(10)의 수나선부(14)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선(91)과, 외면 하부에 형성되어 연결로프나 휴대용 끈 등을 결속하는 결속공(92)을 구비하여 된다.
이러한 하부캡(90)을 본체(10)의 하단부에 결합할 때에는, 수나선부(14)의 상단부와 받침부(15)의 하면 내주부에 제7 패킹부재(10g)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나선부를 하부캡의 상단부 내부로 삽입하여 암나선(91)과 나사결합하면 된다.
이렇게 결합하여 하부캡(90)의 상단면이 받침턱(15)의 하면에 접촉하게 되면, 제7 패킹부재(10g)는 상기 하부캡의 상단부 내면과 받침턱의 하면 및 수나선부(14)의 상단부 사이에 압착되면서 밀착되게 내부에 개재되기 때문에 이들 사이가 완벽하게 방수되도록 한다.
한편, 본체(10)에 1회용이 아닌 충전용 배터리(B)를 장착하여 사용할 때에는 지지편(16)에는 수개의 나선공(161)을 수직으로 관통하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편의 하면과 본체의 하단 사이의 내부에는 주연부에 나선공에 대응하는 결합공들이 형성된 충전플러그(100)를 결합한 다음 상기 각 결합공을 통해 각 나선공에 고정나사(102)를 각각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
도 11은 본 발명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수플래시라이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방수플래시라이트를 확대하여 보인 종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방수플래시라이트를 분리하여 보인 종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방수플래시라이트에서 개폐부재를 발췌하여 확대 분리한 사시도이며, 도 15a~c는 도 14에서 개폐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 단면도이다.
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수플래시라이트는,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며 1회용이나 충전용 배터리(B)를 수용하는 본체(10)와,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며 하단부를 제1 패킹부재(10a)가 개재되게 상기 본체의 상단부 내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부 외면에 정?역회전하게 결합하며 자석(31)이 장착된 링 형태의 개폐부재(30)와,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상단부를 제2 패킹부재(10b)가 개재되게 하단부의 내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는 방열부재(40)와,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부 내부에 장착하며 배선공(51)이 수직관통하게 형성된 원판형의 격판부재(50)와, 상기 격판부재의 상면에 결합하며 상면에는 LED(61)가 부착된 방열판재(60)와,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부 내부에 하부를 결합하며 하면의 중앙에는 LED의 수용홈(72)이 형성된 렌즈부재(70)와, 상기 렌즈부재의 하면과 외면 하단을 감싸주게 결합하며 외주에는 결합편(71b)이 빙 둘러 상향연장되고 중앙에는 상기 LED의 관통공(71a)이 형성된 실리콘으로 되는 완충부재(70a)와,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부를 제3 패킹부재(10c)가 개재되게 개방된 하단부의 내부로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며 상면 중앙에는 상단으로 갈수록 내면지름이 커지게 형성되는 반사공(81)을 구비하는 렌즈캡(80)과, 상기 렌즈부재의 상면 주연부와 반사공의 하단부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게 장착되는 제4~6 패킹부재(10d~10f)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단부를 제7 패킹부재(10g)가 개재되게 개방된 상단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는 하부캡(90) 및 상기 본체(10)의 하단부 내에 장착되는 배터리충전용 충전플러그(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방열부재의 외면에 장착하는 수중카메라(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수중카메라(110)는 방열부재(40)의 외면에 형성된 장착부(40a)에 렌즈가 전방을 향하게 간단히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게 장착되는 것임은 물론 배터리와 메모리카드 및 셔터 등을 구비하여 자체 촬영과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게 되는 초소형의 카메라나, 전원은 본체(10)의 내부에 장착하는 배터리(B)에서 공급받고 충전플러그(100)에는 메모리카드(111)를 꽂는 핀커넥터(101)를 부설하여 촬영된 영상이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초소형의 카메라로 된다.
그리고, 수중카메라(110)가 후자인 경우에는, 상기 수중카메라를 설치하게 형성된 장착부(40a)와 방열부재(40)의 사이 벽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중카메라의 케이블을 내부로 방수되게 배선하고, 그 선단의 연결잭을 받침편(43')의 하면에 부착한 기판(62)의 직 하방에 위치하게 함께 부착하는 기판(62')에 구비되어 있는 플러그에 연결하여 배터리(B)의 전원공급과 촬영된 영상이 전송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핀커넥터(101)의 케이블도 기판(62')에 연결하여 전송된 영상이 메모리카드(111)에 저장되게 한다.
한편, LED(61)의 점?소등과 수중카메라(110)의 "온?오프"를 위해 연결부재(20)의 내면에는 소정간격으로 격리되게 설치홈(21)(21')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설치홈(21)에는 상기 LED의 점?소등용 고정 및 가동접점(20a)(20b)을 설치하며, 설치홈(21')에는 상기 LED와 수중카메라의 "온?오프"용 고정 및 가동접점(20a')(20b')을 설치한다.
또한, 기판(62)의 "+"단자에는 배터리(B)의 "+"전극을 연결하여 LED(61)로 항상 공급되게 하며, "-"전극은 고정접점(20a)에 연결하고 가동접점(20b)은 상기 기판의 "-"단자에 연결하여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속되면 LED로 공급되어 점등되게 한다.
아울러, 기판(62')의 "+"단자에는 충전배터리(B)의 "+"전극을 연결하여 LED(61)와 핀커넥터(101)로 항상 공급되게 하며, "-"전극은 고정접점(20a')에 연결하고 가동접점(20b')은 기판(62')의 "-"단자에 연결하여 상기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속되면 LED와 핀커넥터로 공급되어 점등과 동시에 수중카메라(110)의 촬영이 수행되게 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카메라 특히 고가의 수중카메라를 휴대하지 않고도 주?야간에는 물론 수중에서도 간편하고도 신속?용이하게 촬영을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고정 및 가동접점(20a)(20b)과 고정 및 가동접점(20a')(20b')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켜 주기 위해 설치홈(21)(21')의 간격에 비례하여 설치홈(21)의 전 방과 그 좌측방 위치에 해당하는 중간단턱(23a)의 상면에는 제1~3 정지홈(24)(24')(24")을 형성하고, 자석(31)이 가동접점(20b)의 위치에 있을 때 개폐부재(30)의 제1 정지홈(24)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수용홈(32a)을 하단이 개방되게 수직으로 형성하여 하부가 상기 제1~3 정지홈 중 어느 하나에 걸어지게 하는 구체(331)와 스프링(332)을 장착한다.
한편, 이 제2 실시 예에서의 상단부 내면에 형성되는 내면지름이 큰 상측의 평면부(11)와 그 하측의 상기 평면부보다 내면지름이 작은 중간의 암나선부(12) 및 하단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외면지름이 작은 하측의 수나선부(14)와 상기 수나선부보다 외면지름이 큰 그 상측의 받침부(15)와 하단부의 내면에 하단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빙 둘러 돌출형성되는 배터리의 지지편(16)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중간부(201)보다 외면지름이 작은 하단부의 외면에 상기 암나선부에 나사결합하게 형성되는 하부 수나선(22)과 상기 외면지름의 차이에 의해 중간부(201)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 단턱(23)과 상단부 상측 외면에 형성되는 상부 수나선(22')과 상기 상부 수나선의 하단과 중간부의 상단 사이에 외면지름이 중간부보다는 조금 작고 상부 수나선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결합부(202)와 상기 중간부와 결합부의 각 상단에 지름차이에 따라 형성되는 단턱(23a)(23b)을 구비하는 연결부재(20)와, 상단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상측 수나선(41)과 외면지름이 상기 상측 수나선보다 크며 그 직 하면으로부터 하단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빙 둘러 형성되는 방열핀(42)과 상단부의 내면 상측에 빙 둘러 형성되는 렌즈부재(70)의 받침편(43)과 그 하측에 내면 지름이 상기 받침편보다 크게 빙 둘러 형성되는 격판부재(50)의 받침편(43')과 하단에서 소정간격으로 격리되는 하단부의 내면에 상기 상부 수나선과 나사결합하게 형성되는 하측 암나선(44)을 구비하는 방열부재(40) 및 상면의 중앙부(71)를 상향 만곡되게 연장형성한 렌즈부재(70)와, 외주에는 상기 렌즈부재의 결합편(71b)이 빙 둘러 상향연장되고 중앙에는 상기 LED(61)의 관통공(71a)이 구비되게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70a)와, 하단부의 내면에 하단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상측 수나선(41)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선(82)과 반사공(81)의 하단에 빙 둘러 하향연장되는 가압편(83)을 구비하는 상기 렌즈캡(80)과, 내면의 하부에 상기 수나선부(14)와 나사결합하게 형성되는 암나선(91)과 외면 하부에 형성되는 결속공(92)을 구비하는 하부캡(90)의 기본적인 구성들은 모두 상기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오링으로 되는 제1 패킹부재(10a)는 하부 단턱(23)의 하면 내주와 하부 수나선(22)의 상단 사이에 결합설치하고, 오링으로 되는 제2 패킹부재(20b)는 상부 단턱(23b)의 상면에 결합설치하며, 오링으로 되는 제3 패킹부재(20c)는 상측 수나선(41)의 하단과 상단 방열핀(42)의 상면 내주 사이에 결합설치하고, 단면의 상하지름이 상기 가압편(83)의 높이보다 큰 타원형인 링 형태로 되는 제4 패킹부재(10d)는 가압편(83)의 외측 하면에 결합설치하며, 지름이 렌즈부재(70)의 상면 외주보다 작고 평판 링 형태로 되는 제5 패킹부재(10e)는 렌즈부재(70)의 상면 외주측에 결합설치하고, 오링으로 되는 제6 패킹부재(10f)는 상기 제5 패킹부재의 상면 내주측에 결합설치하며, 오링으로 되는 제7 패킹부재(10g)는 수나선부(14)의 상단부와 받침턱(15)의 하면 내주부위에 결합설치하는 구성 역시 상기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수플래시라이트는, LED(61)만 점등할 때에는 도 15a에서와 같이 개폐부재(30)를 역회전시켜 자석(31)이 가동접점(20b)의 위치로 이동되게 하면 스토퍼(33)의 구체(331)는 스프링(332)의 탄성에 의해 제1 정지홈(24)에 걸어지게 되어 회전이 정지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가동접점이 고정접점(20a)에 접속되어 "-"전원도 공급되기 때문에 점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LED(61)를 소등할 때에는 도 15b에서와 같이 개폐부재(30)를 정회전시켜 구체(331)가 제2 정지홈(24')에 걸어지게 하면 자석(31)이 제3 정지홈(24")의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자력이 가동접점(20b)은 물론 가동접점(20b')에도 미치지 않게 되므로 전원공급이 "오프"되어 소등된다.
다음에 LED(61)와 수중카메라(110)를 동시에 "온" 시킬 때에는, 도 15c에서와 같이 개폐부재(30)를 더 정회전시켜 구체(331)가 제3 정지홈(24')에 걸어지게 하면 자석(31)이 가동접점(20b')의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자력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이 고정접점(20a')에 접속되어 "-"전원도 상기 LED와 수중카메라에 공급되므로 점등과 촬영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 제3 실시 예에 따른 방수플래시라이트를 일부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방수플래시라이트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분리한 종 단면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요부를 조립하여 확대한 종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방수플래시라이트는,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며 1회용이나 충전용 배터리(B)를 수용하는 본체(10)와,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며 하단부를 제1 패킹부재(10a)가 개재되게 상기 본체의 상단부 내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부 외면에 정?역회전하게 결합하며 자석(31)이 장착된 링 형태의 개폐부재(30)와,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상단부를 제2 패킹부재(10b)가 개재되게 하단부의 내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는 방열부재(40)와,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부 내부에 장착하며 배선공(51)이 수직관통하게 형성된 원판형의 격판부재(50)와, 상기 격판부재의 상면에 결합하며 상면에는 LED(61)가 부착된 방열판재(60)와,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부 내부에 하부를 결합하며 하면의 중앙에는 LED의 수용홈(72)이 형성된 렌즈부재(70)와, 상기 렌즈부재의 하면과 외면 하단을 감싸주게 결합하며 외주에는 결합편(71b)이 빙 둘러 상향연장되고 중앙에는 상기 LED의 관통공(71a)이 형성된 실리콘으로 되는 완충부재(70a)와,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부를 제3 패킹부재(10c)가 개재되게 개방된 하단부의 내부로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며 상면 중앙에는 상단으로 갈수록 내면지름이 커지게 형성되는 반사공(81)을 구비하는 렌즈캡(80)과, 상기 렌즈부재의 상면 주연부와 반사공의 하단부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게 장착되는 제4~6 패킹부재(10d~10f)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단부를 제7 패킹부재(10g)가 개재되게 개방된 상단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는 하부캡(90) 및 상기 본체(10)의 하단부 내에 장착되는 배터리충전용 충전플러그(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제1,2 실시 예와 동일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렌즈부재의 직 상측에 위치하게 설치하는 집속렌즈(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집속렌즈(70')는, 렌즈부재(70)의 주연부를 통과하여 주변으로 퍼지게 되는 빛을 직진방향으로 모이게 굴절시켜 줌으로써 빛이 최대한 멀리 비추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에 따라, 집속렌즈(70')는 빛이 범위가 넓은 근거리를 비추게 할 때에는 렌즈부재(70)의 직 상면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반면에, 원거리를 비추게 할 때에는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집속렌즈(70')는 상?하면이 개방된 상부 렌즈캡(80')으로 렌즈캡(80)의 상단부에 결합설치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렌즈캡의 외면 지름이 하부보다 작은 상단부에는 외면 수나선(84)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렌즈캡의 내주면 하부에는 외면 수나선에 나사결합하는 내부 암나선(85)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상부 렌즈캡의 개방된 상단 내주면에는 집속렌즈의 외주면을 걸어주는 걸이편(86)을 빙 둘러 돌출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되는 상부 렌즈캡(80')으로 집속렌즈(70')를 설치할 때에는, 상기 집속렌즈를 그 외주면 상하에 제8~9 패킹부재(10h)(10i)가 개재되게 상기 상부 렌즈캡의 내부 상단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부 렌즈캡을 렌즈캡(80)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내부 암나선(85)을 외면 수나선(84)에 나사결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나사결합하면, 제8~9 패킹부재(10h)(10i)가 렌즈캡(80)의 상단과 걸이편(86)의 하면 및 집속렌즈(70')의 외주면 상하 사이에 압착되면서 밀착 개재되며, 이에 따라 이들 결합부분이 완벽하게 방수됨은 물론 상기 집속렌즈는 렌즈캡의 상단에 안정되게 결합설치된다.
이렇게 집속렌즈(70')를 결합설치하면, LED(61)의 점등으로 발광하는 빛 중에서 렌즈부재(70)의 주연부를 통과하여 주변으로 퍼지게 되는 빛을 직진방향으로 모이게 굴절시켜 주기 때문에 빛이 최대한 먼 거리까지 비추게 한다.
그리고, 집속렌즈(7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부 렌즈캡(80')을 풀어주면 간단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상기 제1,2 실시 예에서와는 달리 결속부재(70b)로 렌즈부재(70)를 렌즈캡(80)의 내부에 결속설치함으로써 설치상태가 더욱 안정되도록 한 특징도 있다.
결속부재(70b)는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 금속으로 원판형태로 되는 것으로서, 중앙에는 LED(61)의 관통공(71a)을 형성하고, 상면의 외주에는 결합편(71b)을 상향 연장하며, 상기 결합편의 외면에는 내면 암나선(82)에 나사결합하는 결속나선(71c)을 형성하고, 바닥면에는 복수의 지그결합공(71d)을 형성하여 된다.
이러한 결속부재(70b)로 렌즈부재(70)를 렌즈캡(80)의 내부에 결속설치할 때에는, 상기 렌즈부재의 상면 외주측에 평판 링 형태의 제5 패킹부재(10e)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렌즈캡의 하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하여 제5 패킹이 결합된 부분이 반사공(81)의 하단 내주에 걸쳐지게 결합한 다음 상기 렌즈부재의 하면 외주와 결속부재의 바닥면 외주 사이에 평판 링 형태의 패킹(70c)이 개재되게 상기 결속부재를 렌즈캡의 하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하여 지그결합공(71d)에 지그를 결합하고 결속부재를 조여서 결속나선(71c)이 내부 암나선(85)의 상부에 이르게 나사결합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렌즈부재(70)는 결속부재(70b)에 의해 렌즈캡(80)의 내부에 안정되게 장착됨과 동시에 제5 패킹(10e)은 반사공(81)의 내단 하면과 상기 렌즈부재의 상면 외주측 사이에 압착 개재되고 패킹(70c)은 상기 렌즈부재의 하면 외주와 결속부재의 바닥면 외주 사이에 압착 개재되기 때문에 이들 결합부분이 완벽하게 방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상기 제1,2 실시 예에서와는 달리 격판부재(50)의 외주면에는 나선공(53)들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열부재(40)의 받침편(43) 상면에는 체결공(45)을 형성하여 상기 격판부재를 고정나사로 받침편에 고정함으로써 격판부재가 유동하지 않게 고정되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
10 : 본체 15 : 받침턱
16 : 지지편 10a~10g : 제1~7 패킹부재
10h,10i 제8,9 패킹부재 20 : 연결부재
21,21' : 설치홈 24~24" : 제1~3 정지홈
20a,20a' : 고정접점 20b,20b' : 가동접점
30 : 개폐부재 31 : 자석
33 : 스토퍼 331 : 구체
40 : 방열부재 42 : 방열핀
43,43' ; 받침편 50 : 격판부재
51 : 배선공 52 ; 요입면
60 ; 방열판재 61 : LED
62, 62' : 기판 70 : 렌즈부재
70' : 집속렌즈 72 ; 수용홈
70a : 완충부재 70b : 결속부재
71b : 결합편 80 : 렌즈캡
81 : 반사공 83 : 누름편
86 : 걸이편 90 : 하부캡
100 ; 충전플러그 110 : 방수카메라
101 : 핀커넥터 111 : 메모리카드

Claims (14)

  1.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는 본체(10)와;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며, 하단부를 제1 패킹부재(10a)가 개재되게 상기 본체(10)의 상단부 내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며, 내부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고정접점(20a)과,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20a)과 격리되는 가동접점(20b)이 부설된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상단부 외면에 정?역회전하게 결합하며, 일 측에는 자력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20a)을 고정접점(20b)에 접속시켜 주는 자석(31)이 장착된 링 형태의 개폐부재(30)와;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며, 상기 개폐부재(30)의 상단부를 제2 패킹부재(10b)가 개재되게 하단부의 내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는 방열부재(40)와;
    상기 방열부재(40)의 상단부 내부에 장착하며, 배선공(51)이 수직관통하게 형성된 원판형의 격판부재(50)와;
    상기 격판부재(50)의 상면에 결합하며, 상면에는 LED(61)가 부착된 방열판재(60)와;
    상기 방열부재(40)의 상단부 내부에 하부를 결합하며, 하면의 중앙에는 LED(61)의 수용홈(72)이 형성된 렌즈부재(70)와;
    상기 방열부재(40)의 상단부를 제3 패킹부재(10c)가 개재되게 개방된 하단부의 내부로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며, 상면 중앙에는 상단으로 갈수록 내면지름이 커지게 형성되는 반사공(81)을 구비하는 렌즈캡(80)과;
    상기 렌즈부재(80)의 상면 주연부와 반사공(81)의 하단부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게 장착되는 제4~6 패킹부재(10d~10f); 및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하단부를 제7 패킹부재(10g)가 개재되게 개방된 상단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는 하부캡(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플래시라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재(70)의 하면과 외면 하단을 감싸주게 결합하며, 외주에는 결합편(71b)이 빙 둘러 상향연장되고, 중앙에는 상기 LED(61)의 관통공(71a)이 구비되게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70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플래시라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단부 내부에 장착하는 배터리충전용 충전플러그(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플래시라이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단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내면지름이 큰 상측의 평면부(11)와 그 하측의 상기 평면부(11) 보다 내면지름이 작은 중간의 암나선부(12) 및 하단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외면지름이 작은 하측의 수나선부(14)와 상기 수나선부(14) 보다 외면지름이 큰 상측의 받침부(15)와, 하단부의 내면에 하단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빙 둘러 돌출형성되는 배터리의 지지편(16)을 구비하여 되고;
    상기 연결부재(20)는, 내면 일측에 수직으로 종단하게 형성되는 고정접점(20a)과 가동접점(20b) 및 배선의 설치홈(21)과, 중간부(201)보다 외면지름이 작은 하단부의 외면에 상기 암나선부(12)에 나사결합하게 형성되는 하부 수나선(22)과, 상기 외면지름의 차이에 의해 중간부(201)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 단턱(23)과, 상단부 상측 외면에 형성되는 상부 수나선(22')과, 상기 상부 수나선(22')의 하단과 중간부(201)의 상단 사이에 외면지름이 상기 중간부(201)보다는 조금 작고 상부 수나선(22')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결합부(202)와, 상기 중간부(201)와 결합부(202)의 각 상단에 지름차이에 따라 형성되는 단턱(23a)(23b)을 구비하여 되며;
    상기 개폐부재(30)는, 상기 설치홈(21)의 고정접점(20a)과 가동접점(20b)이 설치된 위치에 해당하는 결합부(202)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 정지홈(24)과, 상기 제1 정지홈(24)과 소정간격으로 격리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정지홈(24')과, 상기 자석(31)이 가동접점(20b)의 위치에 있을 때 제2 정지홈(24')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수평으로 관통하게 형성한 나선공(32) 및 상기 나선공(32)에 결합하며 선단부가 제1,2 정지홈(24)(2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지게 하는 구체(331)와 스프링(332)과 고정나사(333)로 되는 스토퍼(33)를 구비하여 되고;
    상기 방열부재(40)는, 상단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상측 수나선(41)과, 외면지름이 상기 상측 수나선(41)보다 크며 그 직 하면으로부터 하단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빙 둘러 형성되는 방열핀(42)과, 상단부의 내면 상측에 빙 둘러 형성되는 상기 렌즈부재(70)의 받침편(43)과, 그 하측에 내면 지름이 상기 받침편(43)보다 크게 빙 둘러 형성되는 격판부재(50)의 받침편(43') 및 하단에서 소정간격으로 격리되는 하단부의 내면에 상기 상부 수나선(22')과 나사결합하게 형성되는 하측 암나선(44)을 구비하여 되며;
    상기 방열판재(60)의 LED(61)는, "+.-" 전원을 공급하는 각 전선을 상기 2개의 배선공(51)을 통해 하방으로 배선하여 방열부재(40)의 내부 상측에 고정나사로 부착하는 기판(62)에 구비되어 있는 "+,-" 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단자는 배터리의 "+"전극에 "-"전극은 가동접점(20b)에 각각 연결하며, 고정접점(20a)은 배터리의 "-"전극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게 설치되고;
    상기 렌즈캡(80)은, 하단부의 내면에 하단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상측 수나선(41)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선(82)과, 반사공(81)의 하단에 빙 둘러 하향연장되는 가압편(83)을 구비하여 되고;
    상기 하부캡(90)은, 내면의 하부에 상기 수나선부(14)와 나사결합하게 형성되는 암나선(91)과, 외면 하부에 형성되는 결속공(92)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플래시라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킹부재(10a)는 오링으로 되며, 상기 하부 단턱(23)의 하면 내주와 하부 수나선(22)의 상단 사이에 결합설치하며;
    상기 제2 패킹부재(20b)는 오링으로 되며, 상기 상부 단턱(23b)의 상면에 결합설치하고;
    상기 제3 패킹부재(20c)는 오링으로 되며, 상기 상측 수나선(41)의 하단과 상단 방열핀(42)의 상면 내주 사이에 결합설치하며;
    상기 제4 패킹부재(10d)는 단면의 상하지름이 상기 가압편(83)의 높이보다 큰 타원형인 링 형태로 되며, 가압편(83)의 외측 하면에 결합설치하고;
    제5 패킹부재(10e)는 지름이 상기 렌즈부재(70)의 상면 외주보다 작고 단면이 평판인 링 형태로 되며, 렌즈부재(70)의 상면 외주측에 결합설치하고;
    상기 제6 패킹부재(10f)는 오링으로 되며, 상기 제5 패킹부재(10e)의 상면 내주측에 결합설치하며,
    상기 제7 패킹부재(10g)는 오링으로 되며, 상기 수나선부(14)의 상단부와 받침턱(15)의 하면 내주부위에 결합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플래시라이트.
  6.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는 본체(10)와;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며, 하단부를 제1 패킹부재(10a)가 개재되게 상기 본체(10)의 상단부 내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며, 내부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고정접점(20a)(20a')과,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20a)(20a')과 격리되는 가동접점(20b)(20b')이 각각 부설된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상단부 외면에 정?역회전하게 결합하며, 일 측에는 자력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20a)(20a')과 고정접점(20b)(20b')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주는 자석(31)이 장착된 링 형태의 개폐부재(30)와;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 되며, 상기 개폐부재(30)의 상단부를 제2 패킹부재(10b)가 개재되게 하단부의 내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는 방열부재(40)와;
    상기 방열부재(40)의 상단부 내부에 장착하며, 배선공(51)이 수직관통하게 형성된 원판형의 격판부재(50)와;
    상기 격판부재(50)의 상면에 결합하며, 상면에는 LED(61)가 부착된 방열판재(60)와;
    상기 방열부재(40)의 상단부 내부에 하부를 결합하며, 하면의 중앙에는 LED(61)의 수용홈(72)이 형성된 렌즈부재(70)와;
    상기 렌즈부재(70)의 하면과 외면 하단을 감싸주게 결합하며, 외주에는 결합편(71b)이 빙 둘러 상향연장되고, 중앙에는 상기 LED(61)의 관통공(71a)이 구비되게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70a)와;
    상기 방열부재(40)의 상단부를 제3 패킹부재(10c)가 개재되게 개방된 하단부의 내부로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며, 상면 중앙에는 상단으로 갈수록 내면지름이 커지게 형성되는 반사공(81)을 구비하는 렌즈캡(80)과;
    상기 렌즈부재(80)의 상면 주연부와 반사공(81)의 하단부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게 장착되는 제4~6 패킹부재(10d~10f)와;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하단부를 제7 패킹부재(10g)가 개재되게 개방된 상단부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는 하부캡(90); 및
    상기 본체(10)의 하단부 내에 장착되는 배터리충전용 충전플러그(100)와;
    상기 방열부재(40)의 외면에 장착되는 수중카메라(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플래시라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카메라(110)는 자체 촬영과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초소형의 카메라로 되며, 상기 방열부재(40)의 외면에는 수중카메라(110)를 간단히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장착부(40a)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플래시라이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단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내면지름이 큰 상측의 평면부(11)와 그 하측의 상기 평면부(11) 보다 내면지름이 작은 중간의 암나선부(12) 및 하단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외면지름이 작은 하측의 수나선부(14)와 상기 수나선부(14) 보다 외면지름이 큰 상측의 받침부(15)와, 하단부의 내면에 하단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빙 둘러 돌출형성되는 배터리의 지지편(16)을 구비하여 되고;
    상기 연결부재(20)는, 내면에 소정간격으로 격리되게 수직으로 종단하게 요입형성되는 설치홈(21)(21')과, 상기 설치홈(21)에 설치되는 고정 및 가동접점(20a)(20b)과, 설치홈(21')에 설치되는 고정 및 가동접점(20b')과, 중간부(201)보다 외면지름이 작은 하단부의 외면에 상기 암나선부(12)에 나사결합하게 형성되는 하부 수나선(22)과, 상기 외면지름의 차이에 의해 중간부(201)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 단턱(23)과, 상단부 상측 외면에 형성되는 상부 수나선(22')과, 상기 상부 수나선(22')의 하단과 중간부(201)의 상단 사이에 외면지름이 상기 중간부(201)보다는 조금 작고 상부 수나선(22')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결합부(202)와, 상기 중간부(201)와 결합부(202)의 각 상단에 지름차이에 따라 형성되는 단턱(23a)(23b)을 구비하여 되며;
    상기 개폐부재(30)는, 상기 설치홈(21)(21')과 이들 설치홈(21)(21')의 간격에 비례하여 설치홈(21)의 전 측방위치에 해당하는 중간부(202)의 상면에 차례로 요입형성하는 제1~3 정지홈(24)(24')(24")과, 상기 자석(31)이 가동접점(20b)의 위치에 있을 때 제1 정지홈(24)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하단이 개방되게 수직으로 요입형성한 수용홈(32a) 및 상기 수용홈(32a)에 삽입하며 선단부가 제1~3 정지홈(24)(24')(2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지게 하는 구체(331)와 스프링(332)을 구비하여 되고;
    상기 방열부재(40)는, 상단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상측 수나선(41)과, 외면지름이 상기 상측 수나선(41)보다 크며 그 직 하면으로부터 하단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빙 둘러 형성되는 방열핀(42)과, 상단부의 내면 상측에 빙 둘러 형성되는 상기 렌즈부재(70)의 받침편(43)과, 그 하측에 내면 지름이 상기 받침편(43)보다 크게 빙 둘러 형성되는 격판부재(50)의 받침편(43') 및 하단에서 소정간격으로 격리되는 하단부의 내면에 상기 상부 수나선(22')과 나사결합하게 형성되는 하측 암나선(44)을 구비하여 되며;
    상기 방열판재(60)의 LED(61)는, "+.-" 전원을 공급하는 각 전선을 상기 2개의 배선공(51)을 통해 하방으로 배선하여 받침편(43')의 하면에 고정나사로 부착하는 기판(62)에 구비된 "+,-" 단자에 각각 연결하고, 상기 "+"단자는 배터리의 "+"전극에 "-"단자는 가동접점(20b)에 각각 연결하며, 상기 고정접점(20a)은 배터리의 "-"전극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게 설치되고;
    상기 렌즈캡(80)은, 하단부의 내면에 하단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상측 수나선(41)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선(82)과, 반사공(81)의 하단에 빙 둘러 하향연장되는 가압편(83)을 구비하여 되고;
    상기 하부캡(90)은, 내면의 하부에 상기 수나선부(14)와 나사결합하게 형성되는 암나선(91)과, 외면 하부에 형성되는 결속공(92)을 구비하여 되며;
    상기 충전플러그(100)는 지지편(16)의 하면에 고정나사로 설치되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카드(111)를 꽂는 핀커넥터(101)를 구비하여 되고;
    상기 수중카메라(110)는 상기 방열부재(40)의 외면에 형성된 장착부(40a)에 장착되며, 상기 방열부재(40)와 장착부(40a)의 사이 벽면을 관통하게 배선되는 케이블의 연결잭을 기판(62)의 직 하방에 고정나사로 부착되는 기판(62')에 부설된 플러그에 연결하여 배터리전원의 공급과 촬영된 영상이 전달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플래시라이트.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킹부재(10a)는 오링으로 되며, 상기 하부 단턱(23)의 하면 내주와 하부 수나선(22)의 상단 사이에 결합설치하며;
    상기 제2 패킹부재(20b)는 오링으로 되며, 상기 상부 단턱(23b)의 상면에 결합설치하고;
    상기 제3 패킹부재(20c)는 오링으로 되며, 상기 상측 수나선(41)의 하단과 상단 방열핀(42)의 상면 내주 사이에 결합설치하며;
    상기 제4 패킹부재(10d)는 단면의 상하지름이 상기 가압편(83)의 높이보다 큰 타원형인 링 형태로 되며, 가압편(83)의 외측 하면에 결합설치하고;
    제5 패킹부재(10e)는 지름이 상기 렌즈부재(70)의 상면 외주보다 작은 평판 링 형태로 되며, 렌즈부재(70)의 상면 외주측에 결합설치하고;
    상기 제6 패킹부재(10f)는 오링으로 되며, 상기 제5 패킹부재(10e)의 상면 내주측에 결합설치하며,
    상기 제7 패킹부재(10g)는 오링으로 되며, 상기 수나선부(14)의 상단부와 받침턱(15)의 하면 내주부위에 결합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플래시라이트.
  10. 제1항 내지 제2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재(70)는, 상면의 중앙부(71)를 상향 만곡되게 연장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플래시라이트.
  11.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재(70)의 직 상측에 위치하게 렌즈캡(80)의 상단에 결합설치되는 집속렌즈(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플래시라이트.
  12. 제11항에 있어서,
    렌즈부재(70)는, 중앙에 형성되는 LED(61)의 관통공(71a)과 상면의 외주에 상향연장되는 결합편(71b) 및 상기 결합편(71b)의 외면에 내면 암나선(82)에 나사결합하게 형성되는 결속나선(71c)과 바닥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그결합공(71d)을 구비하는 결속부재(70b)로 상기 렌즈캡(80)의 내부에 결속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플래시라이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집속렌즈(70')는, 외면의 지름이 하부보다 작은 상단부에 형성되는 외면 수나선(84)을 더 구비하는 상기 렌즈캡(80)과, 상?하면이 개방되며 내주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외면 수나선(84)에 나사결합하는 내부 암나선(85)과 상기 개방된 상단의 내주면에 빙 둘러 돌출형성되어 집속렌즈(70')의 외주면을 걸어주는 걸이편(86)을 구비하는 상부 캡부재(80')로 상기 렌즈캡(80)의 상단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플래시라이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집속렌즈(70')의 외주면 하부와 렌즈캡(80)의 상단 사이에 개재되는 제8 패킹부재(10h)와, 상기 집속렌즈(70')의 외주면 상부와 걸이편(86)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9 패킹부재(10i)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플래시라이트.
KR1020110015541A 2011-02-22 2011-02-22 방수플래시라이트 KR101186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541A KR101186838B1 (ko) 2011-02-22 2011-02-22 방수플래시라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541A KR101186838B1 (ko) 2011-02-22 2011-02-22 방수플래시라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245A true KR20120096245A (ko) 2012-08-30
KR101186838B1 KR101186838B1 (ko) 2012-10-02

Family

ID=4688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541A KR101186838B1 (ko) 2011-02-22 2011-02-22 방수플래시라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83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354Y1 (ko) * 2013-11-28 2014-04-18 윤세환 방수용 손전등
WO2014092891A1 (en) * 2012-12-11 2014-06-19 Coast Cutlery Co Two piece focusing optic for flashlight
US9416937B2 (en) 2012-06-06 2016-08-16 Coast Cutlery Co. Thin profile lens for flashlight
US9416938B2 (en) 2012-06-06 2016-08-16 Coast Cutlery Co. Integrated optic and bezel for flashlight
KR20190085338A (ko) * 2018-01-10 2019-07-18 피디아이주식회사 가압 고정식 조명등
CN111238449A (zh) * 2020-01-16 2020-06-05 中国科学院西安光学精密机械研究所 一种适用于深海环境的全反射式水下相机
US11236900B2 (en) * 2017-12-01 2022-02-01 Ledlenser GmbH & Co. KG Torc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5642B2 (ja) * 2012-10-10 2016-12-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灯具
KR101572607B1 (ko) * 2013-10-10 2015-11-27 윤삼걸 발광장치 및 렌즈의 개별적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수중랜턴
CN105042351A (zh) * 2015-09-07 2015-11-11 江苏达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多灯头led头灯
KR102546683B1 (ko) * 2021-06-01 2023-06-23 주식회사 캠스퀘어 휴대용 수중 조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005Y1 (ko) 2002-04-22 2002-07-31 주식회사 동양엔지니어링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손전등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6937B2 (en) 2012-06-06 2016-08-16 Coast Cutlery Co. Thin profile lens for flashlight
US9416938B2 (en) 2012-06-06 2016-08-16 Coast Cutlery Co. Integrated optic and bezel for flashlight
WO2014092891A1 (en) * 2012-12-11 2014-06-19 Coast Cutlery Co Two piece focusing optic for flashlight
KR200472354Y1 (ko) * 2013-11-28 2014-04-18 윤세환 방수용 손전등
US11236900B2 (en) * 2017-12-01 2022-02-01 Ledlenser GmbH & Co. KG Torch
KR20190085338A (ko) * 2018-01-10 2019-07-18 피디아이주식회사 가압 고정식 조명등
CN111238449A (zh) * 2020-01-16 2020-06-05 中国科学院西安光学精密机械研究所 一种适用于深海环境的全反射式水下相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838B1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838B1 (ko) 방수플래시라이트
US10648627B2 (en) Rechargeable lighting devices
CN205655134U (zh) 一种可摄像拍照的led手电筒
US7014335B2 (en) Flashlight with wave spring electrical connection
CN107924109B (zh) 水底摄影照明装置
KR20150049802A (ko) 전원 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KR101751030B1 (ko) 집어등용 전원공급장치
US8371868B2 (en) Illumination device with a connector having a retainer with a rotary member and four elastic pieces
JP6887111B2 (ja) 照明器具
CN211574817U (zh) 一种无线充电口袋灯
US8366467B2 (en) Illumination device with a connector having a retainer with a rotary member
KR101559134B1 (ko) 회전각도 조절이 용이한 led 조명기기
KR101146296B1 (ko) 차광막 지지대용 조명장치
CN218099886U (zh) 一种球形led影视灯组件
CN203703633U (zh) 便携式发光装置及其充电接头
US20050174784A1 (en) Pumpkin light
KR200472966Y1 (ko) 배터리 탈착형 스트로보
CN205795637U (zh) 口腔照明灯
CN203176749U (zh) 一种带移动电源装置的便携式摄影摄像照明灯
CN103062634A (zh) 一种带移动电源装置的便携式摄影摄像照明灯
CN209054455U (zh) 配电房应急照明灯设备
CN210800961U (zh) 一种补光灯
JP3236247U (ja) 懐中電灯
CN213546720U (zh) 一种具有照明功能的充电枪
KR20110033889A (ko) 카메라와 빛 분산 방지 장치가 내장된 태양광 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