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296B1 - 차광막 지지대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차광막 지지대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296B1
KR101146296B1 KR1020110068530A KR20110068530A KR101146296B1 KR 101146296 B1 KR101146296 B1 KR 101146296B1 KR 1020110068530 A KR1020110068530 A KR 1020110068530A KR 20110068530 A KR20110068530 A KR 20110068530A KR 101146296 B1 KR101146296 B1 KR 101146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oove
light source
lighting devic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주)뷰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뷰트론 filed Critical (주)뷰트론
Priority to KR1020110068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대용 조명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텐트 플라이, 천막 또는 파라솔과 같은 차광막의 지지대(또는, 폴대)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야간 또는 어두운 공간에 빛을 제공하는 지지대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 본체와, 일측부가 상기 제1 본체의 일측부와 힌지 결합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제2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타측부와 상기 제2 본체의 타측부를 체결 또는 분리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장착된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부와,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중앙부에 대향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그 사이로 삽입되는 지지대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상기 지지대에 체결되는 제1 및 제2 조임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한 제1 및 제2 본체와,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부로 삽입되는 지지대를 양방향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조이는 방식으로 체결되는 제1 및 제2 조임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차광막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설치 및 이설이 용이하면서 가스 또는 기름랜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광막 지지대용 조명장치{A LIGHTING APPARATUS FOR SUPPORT OF SHAD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대용 조명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텐트 플라이, 천막 또는 파라솔과 같은 차광막의 지지대(또는, 폴대)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야간 또는 어두운 공간에 빛을 제공하는 지지대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 발달에 힘입어 도시생활이 점차 기계화됨에 따라 사람들은 여가 활동을 야외에서 찾는 경향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중 하나가 캠핑(camping)이다. 캠핑이라 함은 야외의 자연속에서 서로의 인격에 접촉할 수 있는 소박한 협동생활을 영위함으로써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갖고, 또한 등산, 수영, 낚시 그 밖의 야외활동을 통하여 자연으로부터 배움과 동시에 몸을 단련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캠핑은 야외에서 일시적인 생활을 하기 위하여 방갈로 또는 오두막집과 같은 간단한 임시건물 등을 이용하거나, 혹은 휴대가 간편하고 자연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텐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텐트는 일반적으로 바닥 또는 측면과 상부를 연결하는 천과 이들을 특정 형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폴로 이루어지며, 야외 활동 중에 잠을 자거나 비바람을 피하거나 혹은 햇빛을 피하기 위한 장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텐트의 주변에는 우천을 대비해 텐트 플라이(텐트를 이중으로 싸기 위한 웃 덮개 또는 텐트 앞에 설치되는 천막)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텐트에는 야간 활동을 위해 랜턴이 설치된다. 랜턴은 텐트 내부 또는 텐트 플라이의 주변에 빛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텐트 내부에는 통상 랜턴걸이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손쉽게 랜턴을 설치할 수 있지만, 텐트 플라이에 랜턴을 설치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도 1은 일례로 종래의 텐트 플라이의 지지대에 랜턴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텐트 플라이의 지지대에 렌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지지대에 랜턴걸이(1)가 설치되어 있다. 랜턴걸이(1)는 랜턴을 걸 수 있도록 일단에 형성되는 걸이부(2)와, 지지대(P)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타단에 형성되는 고정부(3)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랜턴걸이(1)의 고정부(3)는 지지대(P)를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걸이부(2)에 걸리는 랜턴의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랜턴걸이(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랜턴이 랜턴걸이(1)의 길이만큼 지지대(P)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사람의 통행을 방해하는 등 텐트 주변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는 한편, 사람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랜턴에 부딪혀서 상해를 입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랜턴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하기 위해 랜턴걸이(1)를 지지대(P)로부터 분리시켜 이설해야 하는데, 랜턴걸이(1)의 고정부(3)가 지지대(P)를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설치됨에 따라 랜턴걸이(1)의 이설이 복잡하고 번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주로 가스나 기름랜턴(경유 또는 휘발유)이 많이 선호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가스나 기름랜턴의 경우 바람 또는 돌풍과 같은 자연환경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랜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자칫 화재가 발생할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KR 20-0354051 Y1, 2004. 06. 29. KR 10-2011-0018616 A, 2011. 02. 24. KR 20-2010-0009840 U, 2010. 10. 08.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차광막 지지대에 설치 및 이설이 용이하면서 가스 또는 기름랜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텐트 플라이, 천막 또는 파라솔과 같은 차광막의 지지대에 설치되어 차광막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재충전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상용전원과 광학전원 겸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제1 본체와, 일측부가 상기 제1 본체의 일측부와 힌지 결합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제2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타측부와 상기 제2 본체의 타측부를 체결 또는 분리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장착된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부와,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중앙부에 대향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그 사이로 삽입되는 지지대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상기 지지대에 체결되는 제1 및 제2 조임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본체에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체결시 중앙부에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도록 각각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본체에는 그 내부에 상기 제1 홈부로부터 연장된 제3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 본체에는 그 내부에 상기 제2 홈부로부터 연장된 제4 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조임부는 상기 지지대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지지대에 압력을 가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신장되고 일부가 상기 제3 홈부의 내부로 삽입된 제1 머리부와, 상기 제1 머리부로부터 신장되고 상기 제3 홈부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제1 가지부와, 상기 제1 가지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일측부는 상기 제1 머리부에 지지되며 타측부는 상기 제1 본체에 지지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임부는 상기 제1 접촉부와 대향하는 방향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지지대에 압력을 가하는 제2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신장되고 일부가 상기 제4 홈부의 내부로 삽입된 제2 머리부와, 상기 제2 머리부로부터 신장되고 상기 제4 홈부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제2 가지부와, 상기 제2 가지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일측부는 상기 제2 머리부에 지지되며 타측부는 상기 제2 본체에 지지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는 각각 상기 지지대와 접촉되는 면이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조임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각각 체결된 요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일측부는 상기 제1 본체에 삽입 체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2 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본체에 마련된 제5 홈부의 내부에서 유동하며, 상기 제2 본체가 회동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타측부의 종단부에 돌기가 형성된 회동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마련된 제6 홈부의 저부에 설치된 광원부재와, 상기 제6 홈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재로부터 발생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와, 상기 광원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광원부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제6 홈부를 덮도록 형성된 보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제공하는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와, 상기 SMPS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고, 내부전원을 제공하는 충전지와, 상기 SMPS 또는 상기 충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안정화부와, 상기 안정화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본체 또는 상기 제2 본체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상기 SMPS로 전달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전원공급장치는 아답터를 통해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상용전원공급장치 또는 솔라셀을 포함하는 광학전원공급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본체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시 전체 형상이 중앙부에 관통구멍을 구비한 원반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한 제1 및 제2 본체와,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부로 삽입되는 지지대를 양방향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조이는 방식으로 체결되는 제1 및 제2 조임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차광막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설치 및 이설이 용이하면서 가스 또는 기름랜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동시에 설치 및 이설이 용이함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에 제한을 두지 않고 중앙부로 삽입되는 지지대의 어느 부위에서도 설치가 용이하여 종래 기술 대비 차광막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본체 또는 제2 본체의 외측부에 상용전원 또는 광학전원 겸용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아답터를 통해 상용전원공급장치로부터 외부전원을 공급받거나 솔라셀을 포함하는 광학전원공급장치로부터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이 가능한 건전지, 즉 충전지를 통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가 용이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례로 종래의 텐트 플라이의 지지대에 랜턴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광막 지지대용 조명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광막 지지대용 조명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위에서 바라본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바라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체결 또는 분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가 파라솔의 지지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광막 지지대용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2는 제1 및 제2 본체(10, 2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 및 제2 본체(10, 2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제1 및 제2 본체(10, 20)를 포함한다. 제2 본체(20)는 일측부가 제1 본체(10)의 일측부와 힌지 결합(17) 되어 설치되며, 이를 통해 제1 및 제2 본체(10, 20)는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게 된다.
제1 및 제2 본체(10, 20)는 상호 대칭 구조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본체(10, 20)는 일례로 각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호 결합된 후에는 중앙부에 관통구멍(18)을 구비한 원반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호 결합된 후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구비되는 모든 형상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호 결합된 후 다각형(예를 들면,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구조 또는 특수 형상(예를 들면, 별, 도넛, 고리 등)이 가능하다.
제1 본체(10)는 제1 상부커버(11)와 제1 하부커버(12)를 포함한다. 제1 상부커버(11)는 제1 하부커버(12)와 체결되며, 이때 체결수단으로는 나사 체결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제1 상부커버(11)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빛을 발산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부(30)가 설치된다. 동도면에서는 2개의 광원부(30)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설계 조건(휘도, 소비전력, 크기 등)에 따라 그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제2 본체(20)는 제1 본체(10)와 동일하게 제2 상부커버(21)와 제2 하부커버(22)를 포함한다. 제2 상부커버(21)는 제2 하부커버(22)와 나사 체결되어 결합된다. 제2 상부커버(21)의 상부에는 제1 상부커버(11)와 동일하게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부(40)가 설치된다. 광원부(40) 또한 설계 조건(휘도, 소비전력 등)에 따라 그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는 체결부재(60)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체결부재(60)는 제1 본체(10), 바람직하게는 일측부가 제1 상부커버(11)의 일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게 된다. 체결부재(60)의 타측부에는 제2 본체(20), 바람직하게는 제2 상부커버(21)의 일측부에 형성된 걸쇠홈(21-1)에 삽입 체결되는 걸쇠돌기(60-1)가 형성되어 있다. 걸쇠돌기(60-1)가 걸쇠홈(21-1)에 삽입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부재(60)는 제1 상부커버(11)에 마련된 수납홈(11-1)에 수납되게 된다. 이러한 체결부재(60)는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체결 또는 분리되는데, 체결시에는 사용자가 체결부재(60)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걸쇠돌기(60-1)를 걸쇠홈(21-1)에 삽입 체결하고, 분리시에는 체결시보다 높은 압력을 가하여 걸쇠홈(21-1)에 체결된 걸쇠돌기(60-1)를 걸쇠홈(21-1)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제1 및 제2 본체(10, 20)에는 체결부재(60)에 의해 상호 결합시 중앙부에 관통구멍(18)이 형성되도록 각각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홈부(13, 23)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홈부(13, 23)는 반원형으로 함몰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10)에는 제1 홈부(13)로부터 그 내부로 연장된 제3 홈부(14)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2 본체(20)에는 제2 홈부(23)로부터 그 내부로 연장된 제4 홈부(24)가 마련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위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제1 및 제2 조임부(80, 9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조임부(80, 90)는 제1 및 제2 본체(10, 20)의 중앙부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 즉 대향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중앙부의 관통구멍(18)으로 삽입되는 지지대(100)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지지대(100)에 체결된다. 여기서, 지지대(100)는 외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을 갖는 봉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텐트 플라이, 천막 또는 파라솔과 같은 차광막을 지지하는 지지대이거나, 혹은 차광막 이외에 별도의 장소에 고정 또는 체결되어 설치되는 봉 형태의 구조물일 수도 있다.
제1 조임부(80)는 제1 접촉부(81), 제1 머리부(82), 제1 가지부(83) 및 제1 탄성부재(84)를 포함한다.
제1 접촉부(81)는 제1 홈부(13)로 노출되어 관통구멍(18)에 삽입되는 지지대(100)에 직접 접촉된다. 제1 접촉부(81)의 접촉면은 지지대(100)와의 마찰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제1 접촉부(81)와 지지대(100) 간에 발생될 수 있는 미끄러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부(81)는 양단에 절곡부가 각각 형성된 구조, 예를 들면 '
Figure 112011053055149-pat00001
'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내면에는 별도로 요철부(85)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머리부(82)는 제1 접촉부(81)로부터 신장되고 일부는 제3 홈부(14) 내부로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1 머리부(82)는 제1 가지부(83)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
제1 가지부(83)는 제1 머리부(82)로부터 신장되고 제3 홈부(14)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제3 홈부(14)의 깊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된다. 즉, 제1 머리부(82)와 제1 가지부(83)를 합한 총 길이는 제3 홈부(14)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한다.
제1 탄성부재(84)는 제1 가지부(83)의 외면을 감싸도록 제3 홈부(14)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부는 제1 가지부(83)보다 폭이 큰 제1 머리부(82)로부터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1 본체(10) 내부의 폐쇄부에 의해 지지된다. 제1 탄성부재(84)는 제1 본체(10)에 의해 타측부가 지지되어 항상 일정 압력으로 중앙부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제2 조임부(90)는 제2 접촉부(91), 제2 머리부(92), 제2 가지부(93) 및 제2 탄성부재(94)를 포함한다.
제2 접촉부(91)는 제2 홈부(23)로 노출되어 관통구멍(18)에 삽입되는 지지대(100)에 직접 접촉된다. 제2 접촉부(91)의 접촉면은 지지대(100)와의 마찰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제2 접촉부(91)와 지지대(100) 간에 발생될 수 있는 미끄러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촉부(91)는 양단에 절곡부가 각각 형성된 구조, 예를 들면 '
Figure 112011053055149-pat00002
'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내면에는 별도로 요철부(95)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머리부(92)는 제2 접촉부(91)로부터 신장되고 일부는 제4 홈부(24) 내부로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2 머리부(92)는 제2 가지부(93)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
제2 가지부(93)는 제2 머리부(92)로부터 신장되고 제4 홈부(24)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제4 홈부(24)의 깊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된다. 즉, 제2 머리부(92)와 제2 가지부(93)를 합한 총 길이는 제4 홈부(24)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한다.
제2 탄성부재(94)는 제2 가지부(93)의 외면을 감싸도록 제4 홈부(24)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부는 제2 가지부(93)보다 폭이 큰 제2 머리부(92)로부터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 본체(20) 내부의 폐쇄부에 의해 지지된다. 제2 탄성부재(94)는 제2 본체(20)에 의해 타측부가 지지되어 항상 일정 압력으로 중앙부로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조임부(80, 90) 간의 간격은 관통구멍(18)으로 삽입되는 지지대(100)의 지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이때, 제1 및 제2 조임부(80, 90) 간의 간격은 제1 및 제2 조임부(80, 90)와 지지대(100) 간의 체결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지지대(100)의 지름보다 가능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간격은 지지대(100)의 지름의 1/2~1/4 정도의 크기로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일측부가 제1 본체(10)(또는, 제2 본체)에 삽입 체결되고, 타측부가 제2 본체(20)(또는, 제1 본체)의 회동에 따라 제2 본체(20)(또는, 제1 본체)에 마련된 제5 홈부(미도시)의 내부에서 유동하며, 제2 본체(20)(또는, 제1 본체)가 회동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타측부의 종단부에 돌기(미도시)가 형성된 회동 제한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본체(10, 20)는 일측부가 상호 힌지 체결되어 회동하고, 타측부에 체결된 체결부재(60)에 의해 제1 및 제2 본체(10, 20)는 상호 결합된다. 제1 및 제2 본체(10, 20)의 상호 분리시에는 체결부재(60)에 의해 분리가 이루어지며, 이때 제2 본체(20)는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여 제1 본체(10)로부터 분리 이격된다. 이 과정에서 제2 본체(20)가 과도하게 분리되는 경우 힌지 체결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회동 제한부(70)를 두어 제2 본체(2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상부커버(11, 21)에 각각 설치되는 광원부(30, 40)는 도 2와 같이 광원부재(31, 41), 반사부재(32, 42) 및 보호커버(33, 43)를 포함한다. 또한, 광원부(30, 40)는 도 6에 도시된 구동부(34)에 의해 동시에 구동되거나,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광원부(30, 40)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스위치 수단을 더 구비하며, 스위치 동작을 통해 광원부(30, 4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
광원부재(31, 41)는 제1 및 제2 상부커버(11, 21)의 상부에 마련된 제6 홈부(미도시)의 저부에 설치되며, 그 개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러한 광원부재(31, 41)는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LED 칩, 할로겐 램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램프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효율성 측면에서는 LED 램프 또는 LED 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LED 칩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6 홈부의 저부에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이 더 설치되고, 그 상부에 LED 칩이 실장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배면에는 LED 칩에서 후방으로 발열된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판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반사부재(32, 42)는 상기 제6 홈부의 내측벽에 설치되며, 원추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재(32, 42)는 광원부재(31, 41)로부터 발생된 빛을 전방으로 전반사시키는 기능을 하며, 예를 들면, 금속 재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한다. 이외에도, 상기 제6 홈부의 내측벽에 금속 도료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반사부재(32, 42)의 재질이 금속재질, 예컨대 알루미늄 재질로 제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공지된 반사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도 사용될 수 있다.
보호커버(33, 43)는 광학부재(31, 41)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제6 홈부를 덮도록 제1 및 제2 상부커버(11, 21)에 각각 설치된다. 보호커버(33, 43)는 광학부재(31, 41)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투과되기 위하여 투명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원부(30, 4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부(34)는 광원부재(31, 41)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34-1), 충전지(34-2), 안정화부(34-3), 제어부(34-4)를 포함한다.
SMPS(34-1)는 제1 본체(10)(또는, 제2 본체)의 일측부에 설치된 커넥터(50)(또는 홀더)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Vin)을 공급받아 충전지(34-2)와 안정화부(34-3)로 제공한다.
충전지(34-2)는 이미 방출된 전류를 SMPS(34-1)로부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전압이 회복되는 전지, 즉 사용한 전지에 반대방향의 전류를 흘려 내용물을 되돌려 놓은 장치이다. 충전지(34-2)로는 니켈 카드뮴(Ni-Cd), 알카라인 전지, 니켈 수소(Ni-Mh), 밀폐형 납산(SLA), 리튬 이온(Li-ion), 리튬 폴리머(Li-polym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리튬 이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리튬 이온은 니켈 카드뮴이나 니켈 수소 건전지에 비해 가볍고 건전지의 수명이 길기 때문이다.
안정화부(34-3)는 SMPS(34-1) 또는 충전지(34-2)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안정화시켜 일정한 크기의 안정화된 직류전압을 제어부(34-4)로 공급한다. 이러한 안정화부(34-3)는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직류-직류 변환기는 SMPS(34-1) 또는 충전지(34-2)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광원부재에서 요구되는 전압으로 강압하거나 승압하여 공급한다. 여기서는 일례로 강압하여 출력한다.
제어부(34-4)는 안정화부(34-3)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공급받아 구동하여 광원부재(31, 41)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4-4)는 안정화부(34-3)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광원부재(31, 41) 또는 광원부재(31, 41)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으로 공급한다. 인쇄회로기판으로 공급된 전압은 광원부재로 공급되고, 이로 인해 광원부재는 구동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커버(12)(또는, 제2 하부커버)에는 충전지(34-2)가 수납되는 수납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으며, 충전지(34-2)가 수납된 후 덮개(15)에 의해 수납부는 밀폐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체결 또는 분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체결은 휴대시 또는 지지대(100)에 걸치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본체(10, 20)가 상호 체결되는 것을 의미하고, 분리는 지지대(100)로부터 조명장치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제2 및 제2 본체(10, 20)가 상호 분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60)를 해제하여 제1 및 제2 본체(10, 20)를 상호 분리시킨 후 지지대(100)를 제1 및 제2 본체(10, 20) 사이, 즉 중앙부로 삽입시킨다. 그런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60)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본체(10, 20)를 상호 결합시키며, 이 과정에서, 제1 및 제2 조임부(80, 90)는 자신들의 간격보다 큰 지름을 갖는 지지대(100)를 자체 탄성력을 이용하여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양방향에서 압박하고, 압박하는 힘에 의해 조명장치는 지지대(100)에 지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가 파라솔의 지지대(200)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라솔의 중심을 지지하는 지지대(20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조명장치는 제1 및 제2 조임부에 의해 일정한 압력으로 지지대에 지지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파라솔의 지지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봉 구조를 가지며 다양한 장소에 사용되는 지지대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10은 상용전원공급장치로부터 아답터(변압기)를 통해 공급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솔라셀을 포함하는 광학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용전원공급장치가 설비되어 있는 공간에서는 아답터(300)를 이용하여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상용전원공급장치가 설비되어 있지 않은 공간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라셀을 포함하는 광학전원공급장치(400)를 별도로 설치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광학전원공급장치(400)는 복수의 솔라셀이 실장된 솔라셀 어레이판(401)과, 솔라셀 어레이판(401)을 지지하는 받침대(402)와, 조명장치의 커넥터(50)와 접속되어 솔라셀 어레이판(401)에서 발생된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잭(403)을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독립적 또는 실시예들 간의 결합을 통해 구현이 가능하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제1 본체 20 : 제2 본체
11 : 제1 상부커버 12 : 제1 하부커버
14 : 힌지 결합부 18 : 관통구멍
21 : 제2 상부커버 22 : 제2 하부커버
30, 40 : 광원부 31, 41 : 광학부재
32, 42 : 반사부재 33, 43 : 보호커버
34 : 구동부 34-1 : SMPS
34-2 : 충전지 34-3 : 안정화부
34-4 : 제어부 50 : 커넥터
60 : 체결부재 70 : 회동제한부재
80 : 제1 조임부 81 : 제1 접촉부
82 : 제1 머리부 83 : 제1 가지부
84 : 제1 탄성부재 85 : 제1 요철부
90 : 제2 조임부 91 : 제1 접촉부
92 : 제1 머리부 93 : 제1 가지부
94 : 제1 탄성부재 95 : 제2 요철부
100, 200 : 지지대 300 : 어답터
400 : 광학전원공급장치 401 : 솔라셀 어레이판
402 : 받침대 403 : 연결잭

Claims (11)

  1. 제1 본체;
    일측부가 상기 제1 본체의 일측부와 힌지 결합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제2 본체;
    상기 제1 본체의 타측부와 상기 제2 본체의 타측부를 체결 또는 분리하는 체결부재;
    상기 제1 및 제2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장착된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중앙부에 대향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그 사이로 삽입되는 지지대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상기 지지대에 체결되는 제1 및 제2 조임부
    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본체에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체결시 중앙부에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도록 각각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본체에는 그 내부에 상기 제1 홈부로부터 연장된 제3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 본체에는 그 내부에 상기 제2 홈부로부터 연장된 제4 홈부가 마련된 조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임부는 상기 지지대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지지대에 압력을 가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신장되고 일부가 상기 제3 홈부의 내부로 삽입된 제1 머리부와, 상기 제1 머리부로부터 신장되고 상기 제3 홈부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제1 가지부와, 상기 제1 가지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일측부는 상기 제1 머리부에 지지되며 타측부는 상기 제1 본체에 지지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임부는 상기 제1 접촉부와 대향하는 방향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지지대에 압력을 가하는 제2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신장되고 일부가 상기 제4 홈부의 내부로 삽입된 제2 머리부와, 상기 제2 머리부로부터 신장되고 상기 제4 홈부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제2 가지부와, 상기 제2 가지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일측부는 상기 제2 머리부에 지지되며 타측부는 상기 제2 본체에 지지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는 각각 상기 지지대와 접촉되는 면이 요철 형상을 갖는 조명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조임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각각 체결된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부는 상기 제1 본체에 삽입 체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2 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본체에 마련된 제5 홈부의 내부에서 유동하며, 상기 제2 본체가 회동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타측부의 종단부에 돌기가 형성된 회동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마련된 제6 홈부의 저부에 설치된 광원부재;
    상기 제6 홈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재로부터 발생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
    상기 광원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광원부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제6 홈부를 덮도록 형성된 보호커버
    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제공하는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
    상기 SMPS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고, 내부전원을 제공하는 충전지;
    상기 SMPS 또는 상기 충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안정화부; 및
    상기 안정화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 또는 상기 제2 본체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상기 SMPS로 전달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공급장치는 아답터를 통해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상용전원공급장치 또는 솔라셀을 포함하는 광학전원공급장치인 조명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본체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시 전체 형상이 중앙부에 관통구멍을 구비한 원반형상을 갖는 조명장치.
KR1020110068530A 2011-07-11 2011-07-11 차광막 지지대용 조명장치 KR101146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530A KR101146296B1 (ko) 2011-07-11 2011-07-11 차광막 지지대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530A KR101146296B1 (ko) 2011-07-11 2011-07-11 차광막 지지대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296B1 true KR101146296B1 (ko) 2012-05-21

Family

ID=4627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530A KR101146296B1 (ko) 2011-07-11 2011-07-11 차광막 지지대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2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412A1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소셜빈 유아용 텐트
CN115638956A (zh) * 2022-10-27 2023-01-24 国网山东省电力公司荣成市供电公司 线路光学测试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4413A (ja) 1996-11-26 1998-06-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JP2002001582A (ja) 2000-06-23 2002-01-08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配管用走行レール装置
KR20080017020A (ko) * 2005-05-03 2008-02-25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휴대용 led 램프
KR20110014733A (ko) * 2009-08-06 2011-02-14 (주)파트라 엘이디 옥외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4413A (ja) 1996-11-26 1998-06-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JP2002001582A (ja) 2000-06-23 2002-01-08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配管用走行レール装置
KR20080017020A (ko) * 2005-05-03 2008-02-25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휴대용 led 램프
KR20110014733A (ko) * 2009-08-06 2011-02-14 (주)파트라 엘이디 옥외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412A1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소셜빈 유아용 텐트
CN115638956A (zh) * 2022-10-27 2023-01-24 国网山东省电力公司荣成市供电公司 线路光学测试平台
CN115638956B (zh) * 2022-10-27 2024-01-30 国网山东省电力公司荣成市供电公司 线路光学测试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1252B1 (en) Solar wind chime
WO2009105168A2 (en) An led based lighting system providing independently controllable light distribution patterns
US8684554B2 (en) Solar assembly having removable solar panel
US20180073719A1 (en) Slim-lined, solar-powered led lighting system and outdoor patio umbrella having the same
KR101146296B1 (ko) 차광막 지지대용 조명장치
KR101218372B1 (ko) 휴대용 랜턴
CN205001889U (zh) 一种便携应急照明装置
CN201047515Y (zh) 照明灯
CN210197219U (zh) 一种灯具安装支架组件
CN207252982U (zh) 一种新型导光休闲伞
CN202403149U (zh) 设有备用电源的水晶灯
CN100585265C (zh) 伞灯
CN207298733U (zh) 太阳能应急灯
CN2916359Y (zh) 电子节能灯
CN205101950U (zh) 悬浮灯具
CN205504818U (zh) 一种新型太阳能园林景观灯
CN213333776U (zh) 一种长寿命led灯
CN205102025U (zh) 组合式灯具
CN203249156U (zh) 一种led太阳能户外灯
CN201724133U (zh) 太阳能发光蛋
KR20120101958A (ko) 다목적 태양광 led 연등
CN202647552U (zh) 一种连接led灯泡的新型灯座
CN211822117U (zh) 一种节能型led筒灯
CN204554390U (zh) 一种多功能钓鱼灯
CN211822128U (zh) 一种室外光柱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