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210A -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210A
KR20120096210A KR1020110015473A KR20110015473A KR20120096210A KR 20120096210 A KR20120096210 A KR 20120096210A KR 1020110015473 A KR1020110015473 A KR 1020110015473A KR 20110015473 A KR20110015473 A KR 20110015473A KR 20120096210 A KR20120096210 A KR 20120096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pharmacy
sales amount
inventory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2959B1 (ko
Inventor
최종열
오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to KR1020110015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9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9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은 약국 단말로부터 약품과 연관된 판매량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판매량이 상기 약품과 연관된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약국 단말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함으로써, 유통사에서 효율적으로 약국의 약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TOCK MEDICINE OF PHARMACY}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약국에 보관된 약품의 재고를 관리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약국에서는 약품 판매 시 약품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약품의 판매량을 입력하여 약품의 재고량을 관리하고 있으며, 약품의 현 재고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품에 대한 발주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약국에서는 현 재고량이 선정된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약품 발생 시 부족한 약품량을 발주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약품을 소규모로 빈번하게 주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약국에서 취급하는 수많은 약품 별로 판매량과 재고량이 상이하고, 약품을 수용하는 용기 내 약품량(포장단위)이 상이하기 때문에, 약품구매자는 약품에 대한 적절한 발주시점과 발주량을 결정하기 어려워 약품 발주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종래에는 단지 현 재고를 기준으로 하여 소규모의 주문량으로 약품에 대한 발주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약품의 발주횟수 및 물류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약품에 관한 판매량이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약국 또는 시스템 관리자에게 효율적으로 약품을 주문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약품에 관한 판매량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의 이용빈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용빈도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의 유효기간을 확인함으로써, 유효기간 전에 약품을 반품할 수 있도록 통보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약품에 관한 판매량이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주문서를 작성함으로써, 작성된 주문서로 약국에서 약품을 주문할 수 있도록 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약품에 관한 판매량으로부터 상기 약품에 관한 일일 평균 판매량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일일 평균 판매량과 상기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약품 소모 주기를 산출함으로써, 약품 소모 주기가 도래하면 약국으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할 수 있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은 약국 단말로부터 약품과 연관된 판매량을 수집하는 판매량 수집부, 상기 수집된 판매량이 상기 약품과 연관된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약국 단말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하는 약품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판매량 수집부는 상기 약국 단말로부터 일일 처방 조제량 또는 약품 거래 내역을 상기 판매량으로서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은 상기 판매량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의 이용빈도를 산출하는 이용빈도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품 관리부는 상기 산출된 이용빈도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의 유효기간을 확인하고, 상기 유효기간이 현재시간으로부터 선정된 시점 이내인 경우, 상기 약품의 반품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재고량은 상기 약품과 연관된 기초 재고량으로부터 재고일수 및 리드기간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약품 관리부는 상기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의 주문서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주문서를 상기 약국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약품 관리부는 상기 판매량으로부터 상기 약품에 관한 일일 평균 판매량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일일 평균 판매량과, 상기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약품 소모 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약품 관리부는 상기 산출된 약품 소모 주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약국 단말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약품 관리부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로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였음을 통보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이 상기 약국 단말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은 약국 단말로부터 약품과 연관된 판매량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판매량이 상기 약품과 연관된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약국 단말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약품에 관한 판매량이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약국 또는 시스템 관리자에게 효율적으로 약품을 주문할 수 있도록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약품에 관한 판매량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의 이용빈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용빈도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의 유효기간을 확인함으로써, 유효기간 전에 약품을 반품할 수 있도록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약품에 관한 판매량이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주문서를 작성함으로써, 작성된 주문서로 약국에서 약품을 주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약품에 관한 판매량으로부터 상기 약품에 관한 일일 평균 판매량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일일 평균 판매량과 상기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약품 소모 주기를 산출함으로써, 약품 소모 주기가 도래하면 약국으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약품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작성된 주문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약국 단말(110)은 약국에 설치된 단말기로서, 컴퓨터와 같은 전자장치일 수 있다. 요즘, 인터넷을 통한 상품 구매가 일반화되어 있기 때문에, 약국의 관리자(약사)는 약국 단말(110)을 이용하여 약품을 주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약국의 관리자는 판매된 약품에 대한 정보를 약국 단말(110)에 입력할 수 있다. 참고로, 약국 단말(110)은 '보험청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보험청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판매된 약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약국 단말(110)은 약품과 관련된 판매량을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100, 이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이라 함)은 약국 단말(110)로부터 상기 약품과 관련된 판매량을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판매량은 일일 처방 조제량 또는 약품 거래 내역일 수 있다.
일일 처방 조제량은 상기에서 설명한 보험청구 프로그램에 입력되는 것으로, 약국 단말(110)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건강 보험 공단으로부터 수집할 수도 있다. 약품 거래 내역은 약국에서 약품을 주문할 때 작성하는 주문서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수집된 판매량이 상기 약품과 연관된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로,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유통사(제약사 또는 도매상)에서 운영하는 시스템으로, 유통사의 직원이 약국으로 약품을 공급한 후, 상기 직원으로부터 상기 공급된 약품에 대한 기초 재고량을 등록받을 수 있다. 안전 재고량은 상기 기초 재고량으로부터 재고일수 및 리드기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A 약품'에 대한 안전 재고량은 기초 재고량(1000 (정))으로부터 재고일수(5일) 및 리드기간(약품을 발송한 시점으로부터 배송받는 시점까지, 2일)에 기초하여 '200(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판단결과,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약국 단말(110)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알람음을 출력하고,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하는 '경고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로,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판단결과,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도시하지 않음)로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였음을 통보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는 유통사의 직원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통보에 따라 약국 단말(110)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의 주문서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주문서를 약국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판매량으로부터 상기 약품에 관한 일일 평균 판매량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일일 평균 판매량과 상기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약품 소모 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산출된 약품 소모 주기가 도래한 경우, 약국 단말(110)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판매량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의 이용빈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용빈도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의 유효기간을 확인하고, 상기 유효기간이 현재시간으로부터 선정된 시점 이내인 경우, 상기 약품의 반품을 유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200)은 판매량 수집부(210), 판단부(220), 약품 관리부(230), 및 이용빈도 산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량 수집부(210)는 약국 단말(110)로부터 약품과 연관된 판매량을 수집한다. 판매량은 일일 처방 조제량 또는 약품 거래 내역일 수 있다. 일일 처방 조제량은 약국 단말(110)에 설치된 보험청구 프로그램에 입력되는 것으로, 약국 단말(110)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건강 보험 공단으로부터 수집할 수도 있다. 약품 거래 내역은 약국에서 약품을 주문할 때 작성하는 주문서에 대한 것일 수 있다.
판단부(220)는 상기 수집된 판매량이 상기 약품과 연관된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로,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200)은 유통사(제약사 또는 도매상)에서 운영하는 시스템으로, 유통사의 직원이 약국으로 약품을 공급한 후, 상기 직원으로부터 상기 공급된 약품에 대한 기초 재고량을 등록받을 수 있다. 안전 재고량은 상기 기초 재고량으로부터 재고일수 및 리드기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C 약품'에 대한 안전 재고량은 기초 재고량(500(정))으로부터 재고일수(3일) 및 리드기간(2일)에 기초하여 '30(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약품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약품 관리부(230)는 'OO약국'에서 판매하는 약품(A, B, C)에 대하여, 상기 직원이 등록한 기초 재고량(1000(정), 100(개), 500(정), 안전 재고량(200(정), 30(개), 100(정)), 판매량(500(정), 50(개), 100(정))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200)의 구성요소로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실시예에 따라,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200) 내부 또는 외부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약품 관리부(2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OO약국'의 약품 재고를 관리해줄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약품 관리부(230)는 약국(은혜약국, 인후종로약국, 메디팜 송정약국)별 원가, 공급가, 판매가, 판매 약품수, 반품 약품수, 공급사 이익, 공급사 이익율, 약국이익, 약국 이익율 등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는 은혜약국에 대하여, 원가(247,989), 공급가(366,750), 판매가(271,500), 판매 약품수(24), 반품 약품수(1), 공급사 이익(118,761), 공급사 이익율(32.38%), 약국이익(-95,250), 약국 이익율(-35.08%)를 기록할 수 있다. 실시예로, 약품 관리부(230)는 도 3B에 도시한 데이터베이스 화면에서 '은혜약국'이 선택되면, 도 3A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도 3C의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C를 참고하면, 데이터베이스는 약품별 중요도, 상품코드, 제약사, 상품명, 바코드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는 '피부건강-염색약'에 대하여, 상품코드(83053), 제약사(세븐플러스), 상품명(세븐플러스(자연갈색)), 바코드(8809271860908)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베이스는 '골관절/통증-진통소염제'에 대하여, 상품코드(93130), 제약사(녹십자), 상품명(플토신플라스타(캔)), 바코드(18806616027023)를 포함할 수 있다.
약품 관리부(230)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약국 단말(110)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약품 관리부(230)는 알람음을 출력하고,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하는 '경고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약국 단말(110)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할 수 있다.
또는, 약품 관리부(230)는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도시하지 않음)로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였음을 통보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는 유통사의 직원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통보에 따라 약국 단말(110)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용빈도 산출부(240)는 상기 판매량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의 이용빈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용빈도는 일정 기간 동안 약품이 얼마나 사용되는지 여부에 관한 것이다. 이용빈도 산출부(240)는 상기 판매량으로부터 각각의 약품에 대한 이용빈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이용빈도 산출부(240)는 일정 기간(1일, 7일, 15일, 30일 등) 동안 'A 약품'이 얼마나 판매되는지 여부를 통계냄으로써, 이용빈도를 산출할 수 있다.
약품 관리부(230)는 상기 산출된 이용빈도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의 유효기간을 확인할 수 있다. 약품 관리부(230)는 약국으로 판매된 약품에 대한 유효기간을 기록하고, 기록된 유효기간 내에 상기 약품이 모두 소진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약품 관리부(230)는 상기 유효기간이 현재시간으로부터 선정된 시점 이내인 경우, 상기 약품의 반품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약품 관리부(230)는 상기 이용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기간 내에 상기 약품을 모두 소진하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약품의 반품을 유도함으로써, 약품을 버리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선정된 시점은 상기 유효기간을 고려하여 상기 유효기간으로부터 6개월 또는 3개월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품에 대한 유효기간이 '2010년 12월 31일' 인 경우, 약품 관리부(230)는 2010년 7월 1일에도 상기 약품의 이용빈도가 낮아 잘 판매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약품의 반품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약국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로, 약품 관리부(230)는 상기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의 주문서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주문서를 약국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포장단위는 하나의 용기에 들어가는 약품의 개수일 수 있다.
예컨대, 'A 약품'에 대하여, 1통에 100(정)이 들어가는 용기와, 1통에 300(정)이 들어가는 용기와, 1통에 500(정)이 들어가는 용기가 구비된 경우, A약품에 대한 포장단위는 100(정), 300(정), 500(정)이 될 수 있다.
약품 관리부(230)는 상기 판매량과 상기 안전 재고량에 기초하여 상기 포장단위를 설정하거나, 약국으로부터 미리 선호하는 포장단위를 설정받을 수도 있다. 약품 관리부(230)는 상기 설정된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의 주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예컨대, 필요한 약품의 양이 '300(정)'인 경우, 약품 관리부(230)는 상기 설정된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100(정)'짜리 용기 3개를 주문하거나. '300(정)'짜리 용기 1개를 주문할 수 있다.
도 4는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작성된 주문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약품 관리부(230)는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A약품(포장단위(100(정)), 2개)과 B약품(포장단위(50(개)), 3개)에 대한 주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주문서에는 약국의 주소(서울시 강남구 ... XX약국), 연락처(도시하지 않음) 등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성된 주문서는 약국 단말(110)로 전송되고, XX약국의 관리자는 상기 전송된 주문서로 바로 약품을 주문함으로써, 소규모로 약품을 구매하거나, 약품 주문 시점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약품 관리부(230)는 상기 판매량으로부터 상기 약품에 관한 일일 평균 판매량을 연산할 수 있다.
예컨대, 약품 관리부(230)는 A약품에 대한 판매량을 분석하여 일일 평균 판매량을 '26(정)'으로 연산하거나, B약품에 대한 판매량을 분석하여 일일 평균 판매량을 7(개)으로 연산하며, 또는 C약품에 대한 판매량을 분석하여 일일 평균 판매량을 '50(정)'으로 연산할 수 있다.
약품 관리부(230)는 상기 연산된 일일 평균 판매량과, 상기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약품 소모 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약품 관리부(230)는 A약품에 대한 일일 평균 판매량(26(정))과 포장단위(100(정))을 고려하여 약품 소모 주기를 '약 4일'로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약품 관리부(230)는 B약품에 대한 일일 평균 판매량(7(개))과 포장단위(10(개))을 고려하여 약품 소모 주기를 '약 1일'로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약품 관리부(230)는 C약품에 대한 일일 평균 판매량(50(정))과 포장단위(300(정))을 고려하여 약품 소모 주기를 '약 6일'로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약품 관리부(230)는 상기 산출된 약품 소모 주기가 도래한 경우, 약국 단말(110)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약품 관리부(230)는 상기 판매량 및 상기 안전 재고량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 소모 주기에 따라 약품이 소모되는 경우, 현재시간이 상기 약품 소모 주기인 경우, 약국 단말(110)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하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단계 501에서,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200)은 약국 단말(110)로부터 약품과 관련된 판매량을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판매량은 일일 처방 조제량 또는 약품 거래 내역일 수 있다. 일일 처방 조제량은 약국 단말(110)에 설치된 보험청구 프로그램에 입력되는 것으로, 약국 단말(110)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건강 보험 공단으로부터 수집할 수도 있다. 약품 거래 내역은 약국에서 약품을 주문할 때 작성하는 주문서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단계 502에서,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수집된 판매량이 상기 약품과 연관된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200)은 유통사(제약사 또는 도매상)에서 운영하는 시스템으로, 유통사의 직원이 약국으로 약품을 공급한 후, 상기 직원으로부터 상기 공급된 약품에 대한 기초 재고량을 등록받을 수 있다. 안전 재고량은 상기 기초 재고량으로부터 재고일수 및 리드기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단계 503에서,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200)은 판단결과,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의 주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포장단위는 하나의 용기에 들어가는 약품의 개수일 수 있다. 또는,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200)은 알람음을 출력하고,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하는 '경고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504에서,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작성된 주문서를 약국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판매량으로부터 상기 약품에 관한 일일 평균 판매량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일일 평균 판매량과 상기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약품 소모 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산출된 약품 소모 주기가 도래한 경우, 약국 단말(110)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판매량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의 이용빈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용빈도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의 유효기간을 확인하고, 상기 유효기간이 현재시간으로부터 선정된 시점 이내인 경우, 상기 약품의 반품을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웹서버(620), 주문장 수집 서버(630), 및 인디케이터 웹서버(640)와 의약품 제약사(660) 및 도매상(661)은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다.
약국 단말(U Pharm System Client, 610, 611)은 웹서버(620)에 접속하여 일 1회 일일 처방 조제량, 약품 거래 내역 또는 약품 재고량을 등록할 수 있다.
웹서버(U Pharm Autobill Web Server, 620)는 상기 등록된 일일 처방 조제량, 약품 거래 내역 또는 약품 재고량을 주문장 수집 서버(630)에 등록할 수 있다.
주문장 수집 서버(U Pharm Autobill DB Server, 630)는 인디케이터 웹서버(Indicator Web Server, 640)와 의약품 제약사(660) 및 도매상(661)과 연동하여 상기 등록된 일일 처방 조제량, 약품 거래 내역 또는 약품 재고량을 제공할 수 있다.
약품 재고 관리자 단말(650)은 인디케이터 웹서버(640)를 통해 약국 단말(610, 611)의 안전 재고량을 파악하여, 실제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한 경우, 약국 단말(610, 611)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할 수 있다.
의약품 제약사(660) 및 도매상(661)은 주문장 수집 서버(630)를 통해 약국 단말(610, 611)로 입고된 약품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제약사(660) 및 도매상(661)은 약국 단말(610, 611)의 안전 재고량을 파악하여, 실제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한 경우, 약국 단말(610, 611)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
110: 약국 단말

Claims (16)

  1. 약국 단말로부터 약품과 연관된 판매량을 수집하는 판매량 수집부;
    상기 수집된 판매량이 상기 약품과 연관된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약국 단말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하는 약품 관리부
    를 포함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량 수집부는,
    상기 약국 단말로부터 일일 처방 조제량 또는 약품 거래 내역을 상기 판매량으로서 수집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량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의 이용빈도를 산출하는 이용빈도 산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품 관리부는,
    상기 산출된 이용빈도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의 유효기간을 확인하고, 상기 유효기간이 현재시간으로부터 선정된 시점 이내인 경우, 상기 약품의 반품을 유도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재고량은,
    상기 약품과 연관된 기초 재고량으로부터 재고일수 및 리드기간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관리부는,
    상기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의 주문서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주문서를 상기 약국 단말로 전송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관리부는,
    상기 판매량으로부터 상기 약품에 관한 일일 평균 판매량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일일 평균 판매량과, 상기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약품 소모 주기를 산출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관리부는,
    상기 산출된 약품 소모 주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약국 단말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관리부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로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였음을 통보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이 상기 약국 단말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하도록 제어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
  9. 약국 단말로부터 약품과 연관된 판매량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판매량이 상기 약품과 연관된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약국 단말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약국 단말로부터 약품과 연관된 판매량을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약국 단말로부터 일일 처방 조제량 또는 약품 거래 내역을 상기 판매량으로서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량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의 이용빈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이용빈도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의 유효기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기간이 현재시간으로부터 선정된 시점 이내인 경우, 상기 약품의 반품을 유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재고량은,
    상기 약품과 연관된 기초 재고량으로부터 재고일수 및 리드기간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상기 약품의 주문서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작성된 주문서를 상기 약국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량으로부터 상기 약품에 관한 일일 평균 판매량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일일 평균 판매량과, 상기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하여 약품 소모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약국 단말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약품 소모 주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약국 단말로 상기 약품의 주문을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로 상기 판매량이 상기 안전 재고량을 초과하였음을 통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KR1020110015473A 2011-02-22 2011-02-22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52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473A KR101252959B1 (ko) 2011-02-22 2011-02-22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473A KR101252959B1 (ko) 2011-02-22 2011-02-22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210A true KR20120096210A (ko) 2012-08-30
KR101252959B1 KR101252959B1 (ko) 2013-04-15

Family

ID=4688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473A KR101252959B1 (ko) 2011-02-22 2011-02-22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9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513A (ko) * 2015-01-08 2016-07-18 주식회사 유비케어 약품 주문 관리 방법 및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WO2019164308A1 (ko) * 2018-02-22 2019-08-29 주식회사 은성 의약품 판매관리 방법, 판매관리 시스템,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의약품 정보 시트
KR20190101267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은성 의약품 판매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의약품 정보 시트
KR20190132953A (ko) * 2018-05-21 2019-11-29 주식회사 은성 의약품 판매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195B1 (ko) * 2014-10-24 2016-11-08 이정화 약국의 보유약 정보 수집 및 관리 시스템
KR101978449B1 (ko) 2018-12-31 2019-05-14 주식회사 은성 조제 의약품 판매관리 방법, 조제 의약품 판매관리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90825B1 (ko) * 2021-10-22 2022-04-27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정보 제공을 위한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593419B1 (ko) * 2022-08-02 2023-10-24 주식회사 바로팜 자동적 처방의약품 투약량정보 제공에 기반한 의약품 주문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6605B2 (ja) * 2000-03-27 2010-09-1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在庫管理システム
KR20020016890A (ko) * 2002-02-21 2002-03-06 조현정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의 의료 물품 자동 발주 장치 및 방법
KR100730695B1 (ko) * 2005-05-13 2007-06-21 루 리―치 자동 재고관리 시스템
KR20100104515A (ko) * 2009-03-18 2010-09-29 주식회사 유비케어 약품 주문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513A (ko) * 2015-01-08 2016-07-18 주식회사 유비케어 약품 주문 관리 방법 및 약품 주문 관리 시스템
WO2019164308A1 (ko) * 2018-02-22 2019-08-29 주식회사 은성 의약품 판매관리 방법, 판매관리 시스템,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의약품 정보 시트
KR20190101267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은성 의약품 판매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의약품 정보 시트
KR20190132953A (ko) * 2018-05-21 2019-11-29 주식회사 은성 의약품 판매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2959B1 (ko) 201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959B1 (ko) 약국의 약품 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6253254B2 (ja) 薬剤在庫管理システム
US20110257991A1 (en) Pharmacy Product Inventory Control or Redistribution
JP6415498B2 (ja) 医薬品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医薬品在庫管理方法
US20210225479A1 (en) System and method of pharmaceutical operations for post-acute care facilities long-term care facilities
KR101822617B1 (ko)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Yadav et al. The world medicines situation 2011
JP4303900B2 (ja) 医薬品自動補充システム
JP2016024621A (ja) 介護施設入居者管理システム
JP6708342B2 (ja) 医薬品在庫管理システム
US862652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risk evaluation and mitigation strategies (REMS) compliance
JP4316129B2 (ja) 薬品卸業務管理システム
JP2020166591A (ja) 在庫管理装置、在庫管理方法、在庫管理プログラム
Hidayat et al. The importance of inventory management in pharmaceutical practice
KR101978449B1 (ko) 조제 의약품 판매관리 방법, 조제 의약품 판매관리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4287833A (ja) 調剤業務支援システムと医薬品備蓄システムと医薬品流通管理システム
US20140350946A1 (en) Methods for Tracking Workflow in Pharmacies Involving Compound Operations
JP2018045424A (ja) 医薬品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医薬品の請求額の決定方法
CN109272277A (zh) 医院药品库存管理系统
Gizaw et al. Tracer pharmaceuticals availability and distribution trends prior to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comparative study
Strykowski et al. Bar-code-assisted medication administration: A method for predicting repackaging resource needs
CN113808721A (zh) 一种标准化药品的智能供采方法及系统
Buyurgan et al. Supply chain-related adverse events and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JP2003095439A (ja) 薬品の物流システム
Ingersoll Inventory management for the pharmacy technici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