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161A - 해충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161A
KR20120096161A KR1020110015396A KR20110015396A KR20120096161A KR 20120096161 A KR20120096161 A KR 20120096161A KR 1020110015396 A KR1020110015396 A KR 1020110015396A KR 20110015396 A KR20110015396 A KR 20110015396A KR 20120096161 A KR20120096161 A KR 20120096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s
stopper
mounting member
container body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4928B1 (ko
Inventor
이남용
Original Assignee
이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용 filed Critical 이남용
Priority to KR1020110015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9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96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농작물이 재배되는 논이나 밭 또는 농사용 비닐하우스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농작물이 재배되는 쪽으로는 농작물의 생육에 좋은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벌 등의 유익한 곤충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백색 LED(Light Emitting Diode) 빛이 조사되도록 하고, 반대쪽으로는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파좀나방, 배추좀나방 등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색상의 LED 빛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농작물에 유해한 해충만을 선택적으로 포획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해충 포집장치가 제안된다.
본 발명은 상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입구부가 형성되며, 마개에 의하여 개폐되는 투명한 용기본체와; 상기 마개의 저면 중심부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다각통 형상의 LED장착부재와; 상기 LED장착부재의 횡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어느 일측의 다각면중 가운데에 위치한 면상에서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전류의 인가에 따라 붉은 색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레드(Red) LED와; 상기 레드 LED가 설치된 면의 좌우 양쪽에 해당되는 다각면상에서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전류의 인가에 따라 청색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블루(Green) LED와; 상기 LED장착부재의 횡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일측의 다각면상에 서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전류의 인가에 따라 백색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화이트(White)LED와; 상기 투명한 용기본체의 윗쪽으로부터 씌워져 그 내주면 상단부가 마개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용기본체의 상부면에 걸리면서 용기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며, 표면(表面)과 이면(裏面) 및 표면과 이면사이의 공극에 해충이 달라붙게 하는 점착제가 도포된 포집망과; 상기마개의 외측으로부터 마개의 내부를 통하여 인입된 후 다각통형상의 LED장착부재의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각각의 L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측단에 외부전원과의 접속을 위한 코드가 연결된 전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해충 포집장치{DEVICE FOR EXTERMINATION OF HARMFUL INSECT}
본 발명은 해충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작물이 재배되는 논이나 밭 또는 농사용 비닐하우스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농작물이 재배되는 쪽으로는 농작물의 생육에 좋은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벌 등의 유익한 곤충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백색 LED(Light Emitting Diode) 빛이 조사되도록 하고, 반대쪽으로는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파좀나방, 배추좀나방 등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색상의 LED 빛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농작물에 유해한 해충만을 선택적으로 포획할 수 있도록 한 해충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은 각종 병원균을 옮기는 전염체로 사람은 물론 가축에게도 막대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은 파리나 모기 이외에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다양한 해충이 번성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담배거세미나방, 파밤나방은 그 기주(寄主)범위가 매우 넓어 두류(豆類) 등 잡곡류는 물론, 각종 시설작물 뿐만 아니라 노지작물에도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있으며, 방제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Figure pat00001
그림 1. 파밤나방(성충)의 이미지
실제로, 상기 그림 1에 나타낸 파밤나방의 기주로는 파, 양파, 배추, 양배추, 무, 시금치, 고추, 수박, 오이, 쑥갓 등의 채소류와, 콩, 땅콩, 팥, 녹두, 강남콩, 완두, 동부, 감자, 들깨, 옥수수, 고구마 등의 식량작물과, 국화, 안개초, 카네이션, 글라디올러스, 접시꽃, 맨드라미 등의 화훼류와, 엉겅퀴, 익모초, 자주개자리, 차나무, 쇠비름, 개비름, 명아주 등의 식물에 미치고 있으며, 기주에 발생되는 경우 잎에 구멍을 뚫고 가해하며, 심하면 줄기만 남겨 고사(枯死)시키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 다음의 그림 2에 나타낸 담배거세미나방은 채소 재배지 인접 과수원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과수(果樹)의 가지가 늘어져 잡초에 닿은 곳을 유충이 타고 올라간 후 주로 잎을 식해하여 피해를 주며, 하우스밀감원의 과실을 갉아 먹는 경우도 있다.
특히, 하우스밀감원은 밀폐되어 있고, 노지에 비해 온도가 높아서 일단 성충이 유입되면 밀도가 급속히 증가하여 많은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데, 남부 지방에는 5월 상순? 9월 하순 사이에 5회 발생하고, 8월 말경 나타나는 4번째 세대가 과실의 꽃받침 주변을 가해하여 낙과를 일으킨다.
Figure pat00002
그림 2. 담배거세미나방(성충)의 이미지
이와 같은 파밤나방이나 담배거세미나방 이외에 파좀나방, 배추좀나방 같은 다양한 해충이 특정 농작물을 기주로 하여 피해를 입히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각종 해충을 퇴치하기 위하여 해충에 따른 여러가지 살충제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살포되고 있으나, 대다수가 스프레이 방식으로 이루어져 한정된 공간에서 유충에게는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으나, 논과 밭 같이 개방된 장소에서는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은 물론, 성충을 방제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살충제에는 인체 해로운 독성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농작물에 살포하는 경우 잔류 농약성분에 의하여 인체에 매우 해롭고, 동식물에도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으며, 토양 및 하천 등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살충제가 아닌 포집장치를 이용하여 모기나 파리, 농작물 해충을 포집하고자 하는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제10-537635호에는 '유인등에 의하여 유인등갓으로 유인되는 해충을 포집하고자 몸체부 내측에 설치된 흡입휀과, 상기 흡입휀에 의하여 해충이 포집되는 필터로 이루어진 해충 포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상측의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된 원추형 유도구의 재치환턱이 재치되고 상기 원추형 유도구의 하부에 형성된 안내공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록킹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안내공의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환홈에는 필터 상측의 걸림환턱이 끼움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축에는 복수개의 날개부를 갖는 흡입휀을 결합구성하되 상기 몸체부의 상측 외주연에는 후크가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대를 설치하여 유인등갓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클립과 결합하여 연결구성된 포집장치.'가 선행기술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해충 포집장치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흡입력을 이용하는 해충을 포획하는 것으로, 흡입휀이 작동될 때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고, 해충이 흡입휀이 점착되면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흡입휀의 설치에 따른 각종 구성 요소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농작물이 재배되는 논이나 밭 또는 농사용 비닐하우스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농작물이 재배되는 쪽으로는 농작물의 생육에 좋은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벌 등의 유익한 곤충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백색 LED(Light Emitting Diode) 빛이 조사되도록 하고, 반대쪽으로는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파좀나방, 배추좀나방 등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각종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색상의 LED 빛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농작물에 유해한 해충만을 선택적으로 포획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해충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는 상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입구부가 형성되며, 마개에 의하여 개폐되는 투명한 용기본체와; 상기 마개의 저면 중심부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다각통 형상의 LED장착부재와; 상기 LED장착부재의 횡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어느 일측의 다각면중 가운데에 위치한 면상에서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전류의 인가에 따라 붉은 색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레드(Red) LED와; 상기 레드 LED가 설치된 면의 좌우 양쪽에 해당되는 다각면상에서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전류의 인가에 따라 청색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블루(Green) LED와; 상기 LED장착부재의 횡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일측의 다각면상에 서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전류의 인가에 따라 백색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화이트(White)LED와; 상기 투명한 용기본체의 윗쪽으로부터 씌워져 그 내주면 상단부가 마개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용기본체의 상부면에 걸리면서 용기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며, 표면(表面)과 이면(裏面) 및 표면과 이면사이의 공극에 해충이 달라붙게 하는 점착제가 도포된 포집망과; 상기마개의 외측으로부터 마개의 내부를 통하여 인입된 후 다각통형상의 LED장착부재의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각각의 L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측단에 외부전원과의 접속을 위한 코드가 연결된 전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투명한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LED장착부재상의 한쪽면에는 붉은 색의 빛을 발광하는 레드 LED와 청색의 빛을 발광하는 블루 LED가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고, 반대쪽면에는 백색의 빛을 발광하는 화이트 LED가 설치되기 때문에 논이나 밭 또는 농사용 비닐하우스 등의 주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레드 LED와 블루 LED로부터 발광되어 조사(照射)되는 빛과 그들의 합성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주황색의 빛에 의하여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각종 해충이 유인된 후 포집망에 도포된 점착제에 달라붙게 되어 포획되기 때문에 살충제의 살포에 따른 환경의 오염 없이 매우 효율적으로 해충을 방제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화이트 LED로부터 발광되어 조사되는 백색의 빛에 의하여 농작물이 생장이 유익하고, 벌 등 농사에 유익한 곤충이 무분별하게 포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의 결합상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에서 LED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조사(照射)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가 논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가 농사용 비닐하우스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가 농사용 비닐하우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10)에서는 상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입구부가 형성되며, 마개(12)에 의하여 개폐되는 투명한 용기본체(14)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개(12)의 저면 중심부에는 용기본체(14)의 내부에 수용되는 다각통 형상의 LED장착부재(16)가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LED장착부재(16)의 횡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어느 일측의 다각면중 가운데에 위치한 면상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붉은 색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레드(Red) LED(18)가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드 LED(18)가 설치된 면의 좌우 양쪽에 해당되는 다각면상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청색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블루(Blue) LED(20)가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LED장착부재(16)의 횡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일측의 다각면상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백색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화이트(White) LED(22)가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명한 용기본체(14)의 윗쪽으로부터 아랫쪽으로는 별도의 포집망(24)이 씌워져 결합되는데, 상기 포집망(24)은 용기본체(14)에 씌워질 수 있도록 저면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주면 상단부는 마개(12)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용기본체(14)의 상부면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용기본체(14)에 씌워진 상태에서는 용기본체(14)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포집망(24)의 표면(表面)과 이면(裏面) 및 표면과 이면 사이의 공극에는 해충이 달라붙게 하는 점착제(26)가 도포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개(12)의 외측으로부터 마개(12)의 내부로는 전선(28)이 인입되는데, 상기 전선(28)의 내측단은 마개(12)의 내부로 인입된 후 다각통형상의 LED장착부재(16)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LED장착부재(16)상에 설치된 각각의 LED(18)(20)(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선(28)의 외측단에는 외부전원과의 접속을 위한 코드(30)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LED장착부재(16)의 어느 일측 다각면중 가운데 면에 설치되는 레드 LED(18)로부터 발광되는 붉은 색의 빛과 레드 LED(18)가 설치된 면의 좌우 양쪽면에 설치된 블루 LED(20)로부터 발광되는 청색의 빛은 조사(照射)되는 과정에서 서로 겹쳐지면서 빛의 합성이 이루어지는데, 이 때 붉은 색의 빛과 청색의 빛의 합성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주황색의 빛은 해충을 유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LED장착부재(16)의 반대쪽 다각면상에 설치된 화이트 LED(22)로부터 발광되는 흰색의 빛은 농작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면서 벌 등 농작물에 유익한 곤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명한 용기본체(14)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부를 막아주는 마개(12)의 내부에는 성(性)페로몬향 과 같은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향이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해충을 유인하는 향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한 용기본체(14)상에는 다수개의 통공(1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10)는 농작물이 경작되는 밭이나 논(3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농사용 비닐하우스(34)의 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10)가 밭이나 논(32) 또는 농사용 비닐하우스(34)에 배치되는 경우, LED장착부재(16)상의 화이트 LED(22)가 설치된 면이 농작물이 재배되는 쪽을 향하도록 하고, 레드 LED(18)와 블루 LED(20)가 설치된 면은 그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전선(28)의 외측단에 연결된 코드(30)를 외부전원의 콘센트에 접속시키고, 전원스위치를 "ON"상태로 조작하면, 외부의 전원이 전선(28)을 통하여 다각통형상의 LED장착부재(16)상에 설치된 각각의 LED(18)(20)(22)로 인가되어 상기 각각의 LED가 동시에 발광된다.
이 때, 상기 LED장착부재(16)의 일측 다각면상에 설치된 레드 LED(18)로부터는 붉은 색의 빛이 발광되고 블루 LED(20)로부터는 청색의 빛이 발광되는데, 상기 붉은색의 빛과 청색의 빛은 외측으로 조사되면서 서로 겹쳐지는 범위내에서는 합성되면서 해충을 유인하는 주황색의 빛이 만들어진다.
이에 따라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각종 나방류의 해충이 빛을 따라 유인된 후 포집망(24)에 부딪히게 되며, 상기 포집망(24)의 표면과 이면 및 표면과 이면 사이에 도포된 점착제(26)에 의하여 달라붙게 되면서 포획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LED장착부재(16)의 반대쪽면에 설치된 화이트 LED(22)로부터 농작물이 심어진 쪽으로 발광?조사되는 백색의 빛은 야간에 농작물의 생장, 특히 수확기의 곡식이나 과일의 숙성에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벌과 같이 농작물에 유익한 곤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마개(12)에 해충을 유인하는 향이 수납된 경우, 상기 해충 유인향은 용기본체(14)에 형성된 통공(14a)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면서 해충을 유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10)는 밭이나 논(32) 또는 농사용 비닐하우스(34)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각종 과수원, 축사는 물론, 일반 가정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 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해충 포집장치 12 : 마개
14 : 용기본체 16 : LED장착부재
18 : 레드 LED 20 : 블루 LED
22 : 화이트 LED 24 : 포집망
26 : 점착제 28 : 전선.

Claims (1)

  1. 상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입구부가 형성되며, 마개(12)에 의하여 개폐되는 투명한 용기본체(14)와;
    상기 마개(12)의 저면 중심부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용기본체(14)의 내부에 수용되는 다각통 형상의 LED장착부재(16)와;
    상기 LED장착부재(16)의 횡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어느 일측의 다각면중 가운데에 위치한 면상에서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전류의 인가에 따라 붉은 색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레드(Red) LED(18)와;
    상기 레드 LED(18)가 설치된 면의 좌우 양쪽에 해당되는 다각면상에서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전류의 인가에 따라 청색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블루(Blue) LED(20)와;
    상기 LED장착부재(16)의 횡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일측의 다각면상에서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전류의 인가에 따라 백색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화이트(White) LED(22)와;
    상기 투명한 용기본체(14)의 윗쪽으로부터 씌워져 그 내주면 상단부가 마개(12)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용기본체(14)의 상부면에 걸리면서 용기본체(14)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며, 표면(表面)과 이면(裏面) 및 표면과 이면사이의 공극에 해충이 달라붙게 하는 점착제(26)가 도포된 포집망(24)과;
    상기 마개(12)의 외측으로부터 마개의 내부를 통하여 인입된 후 다각통형상의 LED장착부재(16)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각각의 LED(18)(20)(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측단에 외부전원과의 접속을 위한 코드(30)가 연결된 전선(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집장치.
KR1020110015396A 2011-02-22 2011-02-22 해충 포집장치 KR101194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396A KR101194928B1 (ko) 2011-02-22 2011-02-22 해충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396A KR101194928B1 (ko) 2011-02-22 2011-02-22 해충 포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161A true KR20120096161A (ko) 2012-08-30
KR101194928B1 KR101194928B1 (ko) 2012-10-25

Family

ID=4688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396A KR101194928B1 (ko) 2011-02-22 2011-02-22 해충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9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8777A (zh) * 2012-11-22 2014-06-04 马秀吉 发光粘虫板
EP3287006A1 (de) * 2016-08-23 2018-02-28 IS Insect Services GmbH Blattflohfalle
EP3772279A1 (en) * 2019-08-06 2021-02-10 Universidade de Évora Device and process for massive capture of olive flies - adhesive model
KR20210097860A (ko) * 2020-01-30 2021-08-10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비가림과 태양광 발전을 병행할 수 있는 포도밭용 스마트 팜 시스템
KR20220026134A (ko) * 2020-08-25 2022-03-04 김민정 해충몰이 망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020A (ko) 2021-07-10 2023-01-17 박진 이동형 벌 포획장치
KR102402875B1 (ko) * 2021-10-05 2022-05-31 (주)다목에코텍 다색광을 이용한 미세해충 유인 포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4855B2 (ja) 2002-06-06 2008-07-09 東京ライン株式会社 照明具
JP2004201519A (ja) 2002-12-24 2004-07-22 Kansai Santec:Kk 発光ダイオード発光色を利用した防蛾&捕虫灯及びその制御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8777A (zh) * 2012-11-22 2014-06-04 马秀吉 发光粘虫板
EP3287006A1 (de) * 2016-08-23 2018-02-28 IS Insect Services GmbH Blattflohfalle
EP3772279A1 (en) * 2019-08-06 2021-02-10 Universidade de Évora Device and process for massive capture of olive flies - adhesive model
KR20210097860A (ko) * 2020-01-30 2021-08-10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비가림과 태양광 발전을 병행할 수 있는 포도밭용 스마트 팜 시스템
KR20220026134A (ko) * 2020-08-25 2022-03-04 김민정 해충몰이 망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928B1 (ko) 201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928B1 (ko) 해충 포집장치
BR102013017279B1 (pt) Armadilha de observação mata insetos para a captura massiva e controle do bicudo do algodoeiro
US20120055075A1 (en) Insect Controlling Devices and Methods
KR101533629B1 (ko) 포획트랩
WO2020081031A2 (en) A catcher device developed for harmful flies and insects
CN201577436U (zh) 一种果实蝇诱捕器
Jayanthi et al. Aromatic fruits as baits for the management of fruit-piercing moths in pomegranate: exploiting olfaction
CN105325386A (zh) 一种物理捕捉昆虫的方法及其专用捕虫器
KR20120017511A (ko) 친환경 해충 포집기
JP2005013232A (ja) 田・畑の飛翔性害虫捕獲器
CN201167528Y (zh) 一种果实蝇诱捕器
KR101168513B1 (ko) 끈끈이 해충 포집기
KR20200140454A (ko) 다중 해충유인등과 해충유인향 발산기구가 구비된 끈끈이 해충포획 트랩
CN115024294A (zh) 一种农业植保害虫防治诱虫装置
Jeon et al. Phototactic behavior 4: attractive effects of Trialeurodes vaporariorum adults to light-emitting diode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Messing Managing fruit flies on farms in Hawaii
Gill et al. Brown marmorated stink bug (Halyomorpha halys)
NL1033726C2 (nl) Gewasbeschermingssysteem.
JP2006180805A (ja) 害虫の殺虫方法及び装置
Broughton Managing Mediterranean fruit fly in backyards
CN114304101B (zh) 一种保护自然天敌瓢虫的荧光保益灯
Nancarrow et al. Dead snails leave no trails: natural pest control for home and garden
KR102208426B1 (ko) 포충기
Dekker et al. Pest Management Guidelines
Oseto Physical control of ins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