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261A -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이동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이동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261A
KR20120095261A KR1020110014818A KR20110014818A KR20120095261A KR 20120095261 A KR20120095261 A KR 20120095261A KR 1020110014818 A KR1020110014818 A KR 1020110014818A KR 20110014818 A KR20110014818 A KR 20110014818A KR 20120095261 A KR20120095261 A KR 20120095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link
service devi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영
공동건
장용
임형규
부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4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5261A/ko
Publication of KR20120095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이동 단말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과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나타내는 컨텐츠를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한 상기 컨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에 따라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가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하여, 이동 단말에 끊어짐이 없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이동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SERVICE DEVICE FOR PROVIDING CONTENTS AND METHOD THEREOF, MOBILE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서비스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이동 단말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통신 링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이동 단말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 단말을 통한 음성 서비스는 물론 전자 결제 서비스,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의 각종 응용 서비스의 이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스마트 폰과 같이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과, 콘텐츠의 이용이 자유로운 이동 단말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상기 이동 단말을 통해 각종 응용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 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레거시 망(legacy network)을 통한 통신 접속 이외에 상기 응용 서비스를 위해 이동 단말은 상기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통신 기기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효율적인 통신 방식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에게 안정적으로 각종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 장치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과 서비스 장치와의 거리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장치 및 그 제공방법, 이동단말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에 다수의 이동단말에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유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장치 및 그 제공방법, 이동단말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과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나타내는 컨텐츠를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한 상기 컨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에 따라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가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서비스 장치와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와;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나타내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한 상기 컨텐츠의 수신 가능 여부에 대응하여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제1 통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된 이동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나타내는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한 상기 컨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에 대응하여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가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제1 통신부와;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제2 통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서비스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선택한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나타내는 컨텐츠를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하도록 하며,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한 상기 컨텐츠의 수신 가능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동 단말은 서비스 장치와 근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고, 서비스 장치와 원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는 끊어짐이 없는 상태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비스 장치는 다수의 이동 단말이 연결되는 경우 이동 단말 각각에 대하여 동시에 통신할 수 있어 멀티 유저 기능을 지원하므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장치 및 이동 단말 사이에서 전송되는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매니지먼트 메시지 유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 단말에게 적어도 하나의 통신 경로를 통해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방식(또는 통신망)으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예컨대, 10 cm 거리 내에서 이루어지는 비접촉식 무선 통신 기술, 와이 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그리고 3G 망과 같은 레거시 통신망을 통해 광대역 무선 통신 기술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통신 방식(또는 통신망)이 NFC, Wi-Fi, 3G 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NFC는 RFID와 관련된 근거리 비접촉식 데이터 전송 기술이다. 상기 NFC는, 유럽 및 일본에서, NFC 인터페이스가 내장된 휴대 전화를 사용하는 대중 교통 지불 시스템 및 POS 구매에 대한 상업적 성공을 실현하여 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에게 다양한 통신 경로를 통해 각종 응용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이하, “서비스 장치”)는 근거리 통신 태그를 포함하는 스마트 포스터(Smart Poster)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포스트의 구체적인 예로 영화용 스마트 포스터는 상영 시간, 영화 상품 등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근거리 통신 태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종 상품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품광고를 게재한 포스터나 전단 등을 전시 또는 배포하고 할인쿠폰이나 마일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서비스를 위해 상기 스마트 포스터는 다양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NFC 인터페이스가 내장된 이동 단말을 소유한 사용자가 스마트 포스터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그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포스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응용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으며, 스마트 포스터는 선택된 컨텐츠를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NFC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 포스터에서 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편리하게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으나, NFC 인터페이스가 내장된 이동 단말이 스마트 포스터와 NFC 통신이 가능한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NFC를 통한 통신 연결이 해제되므로 컨텐츠의 제공이 중단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스마트 포스트는 멀티 유저(Multi-user)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므로 다수의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동 단말과, 상기한 서비스 장치간의 통신 경로를 이동 단말의 통신 환경에 따라 설정하고, 이동 단말의 통신 환경에 변화가 있는 경우 변화된 통신 환경에 따라 통신 경로를 재설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은 이동단말(100a, 100b), 서비스 장치(110), 서버(120)를 포함한다. 도 1은 서비스 장치(110) 및 서버(120)를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서비스 장치(110)와 서버(120)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장치(110)는 서버(120)의 기능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도 1에서 이동 단말(100a, 100b )은 서비스 장치(110)와 근거리 무선통신(130)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데, 여기서 근거리 무선통신(130)은 NFC 통신을 포함하며, 이동 단말(100a, 100b) 및 서비스 장치(110)는 NFC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100a, 100b) 및 서비스 장치(11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통신은 비접촉식 무선통신(130) 중 NFC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동 단말(100a)은 서비스 장치(110)와 NFC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며, 점선으로 도시된 이동 단말(100b)는 서비스 장치(110)로부터 멀어져 NFC 통신이 어려운 경우를 나타내는데, 본 실시예에서 NFC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을 구분하지 않는 한 이동 단말(100a) 및 이동 단말(100b)는 이동 단말(100)으로 통칭하도록 한다.
서비스 장치(110)는 다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나타내는 컨텐츠를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서비스 장치(110)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또는 아이콘들) 중 선택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또는 아이콘)에 사용자의 이동단말(100a)가 NFC 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로 위치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110)는 선택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또는 아이콘)가 나타내는 컨텐츠를 확인하여 실행한다.
한편, 서비스 장치(110)는 이동단말(100a) 이외에 NFC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이동 단말이 다수 연결되어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에도 각 이동 단말이 선택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서버(120)는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서비스 장치(110)에서 다수의 컨텐츠를 나타내는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나타내는 컨텐츠를 서버에서(120)에서 서비스 장치(110)로 제공하여 서비스 장치(110)에서 이동 단말(100a)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버(120)는 통신망(140)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100b)과 통신할 수 있는데, Wi-Fi, 3G, Bluetooth등의 근거리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110)로부터 NFC 통신을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100a)이 서비스 장치(110)로부터 멀어져 NFC 통신이 어려운 경우, 이동 단말(100b)은 서버(120)로부터 통신망(140)을 통하여 컨텐츠를 계속해서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서비스 장치(110)가 Wi-Fi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AP(Access Point)를 포함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b)은 상기 서버(12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상기 서비스 장치(110)를 통해 근거로 무선 통신으로 제공 받을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장치(110)가 서버(120)의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110)는 이동 단말(100a)과 NFC 통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장치(110)는 NFC 통신(130)이 가능한 경우에는 NFC 통신(130)을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다가, 이동 단말(100a)과의 거리가 멀어져 NFC 통신(130)이 어려운 경우에는 통신망(140)을 통하여 계속해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장치(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비스 장치(110)는 다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컨텐츠에 관한 정보는 상품, 광고, 음식, 관광/여행, 쿠폰, 엔터테인먼트, 홈 네트워킹에 관한 각종 장치등에 관한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음식점의 경우, 서비스 장치(110)는 각종 음식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이동 단말(100)을 이용하여 원하는 음식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음식이 주문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110)는 사용자가 결제할 수 있도록 결제 수단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데, 음식 주문 및 결제등을 위해 서비스 장치(110)는 음식 주문 또는 결제를 위한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장치(110)는 예컨대, 카드 결제를 위한 결제 단말기의 기능을 포함하며, 정해진 통신망을 통해 신용 결제를 위한 결제 대행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신용 결제를 처리한다.
또한, 관광/여행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사용자가 특정 관광/여행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110)는 해당 내용을 이동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동영상과 같은 영상 및 음성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각종 쿠폰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특정 쿠폰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쿠폰을 이동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110)는 음악 또는 영화와 같은 엔터테인먼트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컨턴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장치(110)는 결제수단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구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에 영상 및 음성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 단말(100)이 서비스 장치(110)에 근접해 있어 NFC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서비스 장치(110)로부터 NFC 통신을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받다가, 이동 단말(100)이 서비스 장치(110)로부터 멀어져 NFC 통신이 어려운 경우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계속해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장치(110) 및 이동 단말(100) 사이에서 전송되는 프레임(3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되는 프레임(300)은 프레임의 시작점을 나타내는 스타트 플래그(Start Flag; 305), 제어정보(Control info; 310) 및 타수의 타임슬롯(315, 320, 325, 330)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312)를 포함한다.
제어정보(310)는 서비스 장치(110) 및 이동 단말(100)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제어정보(310)의 포맷을 설명하면, 상기 제어정보(310)는 서비스 장치 ID (Transmitter ID; 340), 이동 단말 ID (Device ID; 345), 타임 슬롯 ID (Time slot ID; 350), PII(Priority interface information; 360), 매니지먼트 메시지 유형인 MMT(Management Message Type; 365)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장치 ID (Transmitter ID; 340)는 이동 단말(100)과 통신하는 서비스 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a 비트로 구성되며, 이동 단말 ID (Device ID; 345) 및 타임 슬롯 ID (Time slot ID; 350)는 서비스 장치(110)와 이동 단말(100)이 NFC 통신을 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110)에서 이동 단말(100)에 할당하는 것으로, 각각 b 비트, c 비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타임 슬롯 ID는 서비스 장치(110)가 멀티 유저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각 이동 단말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이동 단말 각각에 할당하는 것으로, 제1 이동단말에 관하여는 제1 타임슬롯(315), 제2 이동단말에 관하여는 제2 타임슬롯(320), 제3 이동단말에 관하여는 제3 타임슬롯(325), 제n 이동단말에 관하여는 제n 타임슬롯(330)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PII(Priority interface information; 360)는 d 비트로 구성되는데, 다수의 무선 통신망 중에서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무선 통신망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서비스 장치(110)와 이동 단말(100)이 NFC 통신이 어려운 경우, 이동 단말(10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계속해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데, 이때, 이동 단말(100)은 무선 통신망을 선택하거나, 자동으로 최적의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이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무선 통신망은 Wi-Fi 또는 3G를 고려해 볼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Wi-Fi, 3G,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선택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
매니지먼트 메시지 유형인 MMT(Management Message Type; 365)는 서비스 장치(110)와 이동 단말(10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관리 메시지에 관한 것인데, 도 4는 매니지먼트 메시지 유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타입 0(400)은 null(400)를 의미하며 메시지가 없는 경우이다. 타입 1(410)은 PARQ(PII association request)를 나타내며 NFC 통신이 어려워 무선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필요한 경우 서비스 장치(110)가 이동 단말(100)에게 우선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무선 통신망의 선택을 요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타입 2(420)는 PARP(PII association response)를 나타내며, 서비스 장치(110)의 무선 통신망 선택에 대한 이동 단말(100)의 응답을 의미한다. 타입 3(430)은 DARQ(Disassociation request)를 나타내며, 서비스 장치(110)가 이동 단말(100)에 NFC 연결의 해제를 요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타입 4(440)는 DARP(Disassociation response)를 나타내며 서비스 장치(110)의 NFC 해제 요청에 대한 이동 단말(100)의 응답을 의미한다. 타입 5(450)은 PACK(PII association ack)를 나타내며, 이동 단말(100)의 무선 통신망 선택에 대한 서비스 장치(110)의 확인을 의미한다. 타입 6(460)은 DACK(Disassociation ack)를 나타내며, 서비스 장치(110)의 NFC 연결 해제의 확인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이동 단말(100)이 서비스 장치(110)에 근접하면 이동 단말(100)은 NFC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비스 장치(110)에 연결된다(500). 연결 후 사용자가 이동 단말(100)을 이용하여 서비스 장치(110)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면(505) 서비스 장치(110)는 이동 단말(100)에 서비스 장치 ID 및 이동 단말 ID를 전송하고(510), 이동 단말(100)에 할당된 타임 슬롯 ID를 전송한다(515). 이후 서비스 장치(110)는 이동 단말(100)에 이용하고자 하는 무선 통신망을 요청하면(520), 이동 단말(100)은 선호하는 무선 통신망을 선택한다(525). 무선 통신망 선택을 위해 도 4에서 살펴본 메시지 유형 중 PARQ, PARP, PACK를 이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망 선택을 위해 서비스 장치(110)는 자동으로 최적의 무선 통신망을 선택하고 이동 단말(100)에 통보해주는 방안도 가능하다.
무선 통신망을 선택하면(525) 서비스 장치(110)는 선택된 무선 통신망을 설정하여(527) 이동 단말(100)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서비스 장치(110)와 무선 통신을 통한 연결 상태에서 선택된 무선 통신망(550)과 접속할 수 있다(555). 따라서, 이동 단말(100)은 서비스 장치(11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다가 무선 통신이 어려운 경우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계속해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 Wi-Fi를 이용하는 경우, 이동 단말은 AP(Access Point)를 통해 무선 통신망에 연결할 수 있는데, AP는 서비스 장치(110) 내에 구비되거나, 서비스 장치(110)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AP가 서비스 장치(110) 내에 구비된 경우에는 서비스 장치(110) 외부에 구비된 경우 보다 동작이 더 용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서비스 장치(110)는 이동 단말(100)과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과의 무선 통신 환경을 확인하는데(530), 510 단계에서 할당한 이동 단말 ID가 검출되지 않거나, 이동 단말(100)이 선택한 컨텐츠 용량이 서비스 장치(110)에서 미리 설정한 데이터 기준 용량을 초과한 경우, 서비스 장치(110)와 이동 단말(100) 사이의 신호 세기가 약하여 무선 통신이 어려운 경우에는 서비스 장치(110)는 해당 이동 단말(100)과의 무선 통신을 해제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장치(110)가 이동 단말(100)에 무선 통신의 연결 해제 요청을 하고(535), 이동 단말(100)이 연결 해제 응답을 하면(540) 서비스 장치(110)는 무선 통신을 해제한다(545). 무선 통신 연결 해제를 위해 도 4에서 살펴본 메시지 유형 중 DARQ, DARP, DACK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장치(11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에서 서비스 장치(110)와 이동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중 NFC를 통해 통신하며, 무선 통신망은 Wi-Fi 또는 3G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이동 단말(100)이 서비스 장치(110)에 근접하면 이동 단말(100)과 서비스 장치(110)는 NFC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다(600). 사용자가 서비스 장치(110)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에 이동 단말(100)을 위치하여 해당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면, 서비스 장치(110)는 선택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확인한다(605). 이후, 서비스 장치(110)는 서비스 장치 ID, 이동 단말에 할당된 이동 단말 ID 및 타임 슬롯 ID를 이동 단말에 전송한다(610).
한편, 서비스 장치(110)는 이동 단말(100)에 선호하는 무선 통신망을 요청하고 이동 단말(100)로부터 선택된 무선 통신망에 관하여 수신하는데(615), 이때, NFC 연결 상태에서 무선 통신망이 연결됨을 가정한다. 이동 단말(100)에서 Wi-Fi를 선택하는 경우(620의 YES), 서비스 장치(110)는 Wi-Fi를 설정하고(625), 그렇지 않은 경우(620의 NO)에는 서비스 장치(110)는 3G를 설정한다(630). 무선 통신망의 설정 이후 서비스 장치(110)는 NFC 통신 환경을 확인하는데, 이동 단말(100)에 있는 서비스 장치ID 및 이동 단말 ID가 서비스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장치ID 및 할당된 이동 단말 ID인 경우(635의 YES), NFC 통신에서의 신호의 세기가 통신하기에 적합하면(645의 YES) 서비스 장치(110)와 이동 단말(100)은 계속해서 NFC 통신을 한다(650). 즉, NFC 통신을 통해 서비스 장치(110)는 이동 단말(100)에 컨텐츠를 제공한다.
반면, NFC 통신 설정 후, 해당 이동 단말 ID가 검출되지 않거나 (635의 NO) 또는 NFC 통신에서의 신호의 세기가 약하여 통신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645의 NO) 서비스 장치(110)는 해당 이동 단말(100)과의 NFC 통신을 해제하고(655), 이동 단말(100)은 Wi-Fi 또는 3G 중 이동 단말(100)이 선택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는다(660). 이때, 서비스 장치(110)가 서버(12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1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100)에 컨텐츠를 제공하고, 컨텐츠가 별도의 서버(120)로부터 제공되는 경우에는 서버(120)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에서 서비스 장치(110)와 이동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중 NFC를 통해 통신하며, 무선 통신망은 Wi-Fi 또는 3G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도 7를 참고하면, 이동 단말(100)이 서비스 장치(110)에 근접하면 이동 단말(100)과 서비스 장치(110)는 NFC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다(700). 사용자가 서비스 장치(110)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에 이동 단말(100)을 위치하여 해당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면(705), 이동 단말(100)은 서비스 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장치 ID, 이동 단말(100)에 할당된 이동 단말 ID 및 타임 슬롯 ID를 수신한다(710). 서비스 장치(110)로부터 무선 통신망 요청을 수신받는 경우(715), 사용자가 Wi-Fi를 선택하면(720의 YES), 무선 통신망은 Wi-Fi로 설정되며(725),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720의 NO) 무선 통신망은 3G로 설정된다(730). 한편, NFC 통신이 유효한 경우에는 이동단말은 NFC 통신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으나, NFC 통신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Wi-Fi 또는 3G를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 받는다(735).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장치(1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장치(110)는 제1 통신부(800), 디스플레이부(820) 및 제어부(830)를 포함하며, 제2 통신부(810) 및 저장부(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80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일 예로 NFC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 2통신부(810)는 서비스 장치(110)가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서비스 장치(110)가 외부의 서버(120)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경우에는 서버(12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82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840)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데, 서비스 장치(110)는 저장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830)는 이동 단말(100)이 근접하여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8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 중 선택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컨텐츠를 이동 단말(10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 앞서 살펴본 바와같이, 서비스 장치 ID, 이동 단말 ID, 타임 슬롯 ID 등을 제1 통신부를 통해 이동 단말(100)에 전송하며, NFC 통신 환경을 확인하여 NFC 통신의 해제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무선 통신망의 연결을 위해 이동 단말(100)에 선호하는 무선 통신망을 선택하도록 하고 NFC 통신 유지가 어려운 경우, 선택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도록 하거나, 자동으로 최적의 무선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 제어부(830)는 본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장치(1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100)은 제 1통신부(900), 제2 통신부(910) 및 제어부(930)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90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일 예로 NFC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2 통신부(9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920)는 서비스 장치(110) 또는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30)는 제1 통신부(900)를 통해 서비스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장치 ID, 이동 단말 ID, 타임 슬롯 ID 등을 관리하며, 특히 타임 슬롯 ID를 기초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이동 단말(100)에 할당되는 타임슬롯을 확인한다. 타임 슬롯이 확인되면, 제어부(930)는 해당 타임슬롯을 기초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외에 제어부(930)는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1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0: 이동 단말
110: 서비스 장치 130: 비접촉식 무선통신
140: 통신망 300: 프레임

Claims (17)

  1. 서비스 장치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과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나타내는 컨텐츠를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한 상기 컨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에 따라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가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링크는 비접촉식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링크는 Wi-Fi 기반의 무선 통신과 레거시 망을 통한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무선 통신 방법 중 상기 이동 단말이 선택한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해 상기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장치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서비스 장치 식별 정보, 상기 이동 단말 식별정보, 상기 이동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링크 설정 후, 상기 이동 단말의식별정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제2 통신링크를 통해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데이터 식별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데이터 중 상기 서비스 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가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한 통신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0. 이동 단말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서비스 장치와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와;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나타내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한 상기 컨텐츠의 수신 가능 여부에 대응하여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장치 식별 정보, 상기 이동 단말 식별정보, 상기 서비스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다수의 무선 통신 방법 중 상기 이동 단말이 선택한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방법.
  13.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제1 통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된 이동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나타내는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한 상기 컨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에 대응하여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가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제2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장치.
  15.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에 있어서,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제1 통신부와;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제2 통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서비스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선택한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나타내는 컨텐츠를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하도록 하며,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한 상기 컨텐츠의 수신 가능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무선 통신 방법 중 선호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장치에서 제 1 통신 링크에서 제 2통신 링크를 변경함에 있어서 제 1통신 링크에서 할당 된 단말 ID 정보가 수신되지 않았거나 또는 제 1 통신 링크에서 수신되는 신호 세기가 기준값 이하일 때 제 2통신 링크를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장치에서 제 1통신 링크에서 제 2통신 링크를 변경하는 과정에 있어서 이동 단말이 선택한 컨텐츠 용량이 서비스 장치에서 사전 설정한 데이터 기준용량 크기를 초과하였을 때 컨텐츠 용량에 따라 제 1통신 링크에서 제 2통신 링크를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서빗스 장치에서 다중 이동 단말을 서비스 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이동 단말에 다른 시간 슬롯을 할당하고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컨텐츠를 할당된 시간 슬롯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방법.
KR1020110014818A 2011-02-18 2011-02-18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이동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095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818A KR20120095261A (ko) 2011-02-18 2011-02-18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이동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818A KR20120095261A (ko) 2011-02-18 2011-02-18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이동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261A true KR20120095261A (ko) 2012-08-28

Family

ID=46885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818A KR20120095261A (ko) 2011-02-18 2011-02-18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이동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52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086A1 (en) * 2013-08-16 2015-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advertising expense in multi-screen servic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086A1 (en) * 2013-08-16 2015-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advertising expense in multi-screen servic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9084B (zh) 用於銷售訊息傳送及傳遞系統之信標訊息傳送點之方法及裝置
US894262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JP2019501602A5 (ko)
CN103385013A (zh) 用于使能设备间的无线安全通信的方法
EP29860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devices or short-range communication
US103831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133290B2 (ja) 無線通信装置の装置識別情報を用いるコンテンツ表示方法、コンテンツ提供方法、前記コンテンツ表示方法を行うユーザ端末及び前記コンテンツ提供方法を行う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CN104902434A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101847282B1 (ko)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20160224960A1 (en) Order and payment system
KR101576233B1 (ko) 복합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JP5400076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配信中継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中継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3195568A1 (en) A method,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KR102616289B1 (ko) 비콘을 이용한 일행을 확인하기 위한 단말, pos 단말, 비콘 관리 서버, 비콘 신호 송출기, 일행 관리 서버 및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20095261A (ko)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이동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CN104022787B (zh) 用于音频流传输的音频系统和相关联的方法
KR101553830B1 (ko)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개인화된 모바일 게임 아이템 제공 방법
KR20180031105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102180736B1 (ko) 모바일 게임 아이템 제공을 위한 오프라인 매장용 단말 및 모바일 게임 아이템 제공 방법
KR102171530B1 (ko) 오프라인 매장용 모바일 게임 아이템 중계 방법
CN104010017A (zh) 终端设备和用于其的信息处理方法
JP2002247045A (ja) 限定的情報提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移動情報端末、移動情報端末を用いた集客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263316B1 (ko) 오프라인 매장용 모바일 게임 아이템 제공 방법
KR101868947B1 (ko) 직렬통신과 투웨이 무선 접속 기능을 구비한 중계장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KR101726797B1 (ko) 오프라인 매장용 모바일 게임 아이템 중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