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258A -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258A
KR20120095258A KR1020110014810A KR20110014810A KR20120095258A KR 20120095258 A KR20120095258 A KR 20120095258A KR 1020110014810 A KR1020110014810 A KR 1020110014810A KR 20110014810 A KR20110014810 A KR 20110014810A KR 20120095258 A KR20120095258 A KR 20120095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touch
electrode
input
touch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원
오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디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디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디윈텍
Priority to KR1020110014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5258A/ko
Publication of KR20120095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돔 스위치의 접촉에 의해 신호 입력을 인식하는 돔전극 사이의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인식하는 다수의 돔간 터치 전극을 설치하여 통상적인 돔 스위치를 이용한 조작뿐만 아니라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조작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에서 두 가지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터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에 있어 액정디스플레이나 LCD 컨트롤러 등을 배제하여 저렴하면서도 외부 충격 등에 대한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킨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DIGITAL DEVICE CONTROLLER WITH TOUCH TYPE INTERFACE USING TOUCH ELECTRODE BETWEEN DOME SWITCHES}
본 발명은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돔 스위치의 접촉에 의해 신호 입력을 인식하는 돔전극 사이의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인식하는 다수의 돔간 터치 전극을 설치하여 통상적인 돔 스위치를 이용한 조작뿐만 아니라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조작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에서 두 가지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터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에 있어 액정디스플레이나 LCD 컨트롤러 등을 배제하여 저렴하면서도 외부 충격 등에 대한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킨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출시되는 전자기기들, 특히 가정용 디지털 기기들은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이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이 구비된 형태로 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리모컨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던 전자기기들이 과거에는 수시로 채널과 음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텔레비전이나 오디오 등에 국한되었으나, 근래에는 에어컨이나 선풍기와 같은 냉난방시설의 경우에도 사람들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화를 추구하게 되면서, 풍향, 온도, 냉방정도 등 단순한 특정 온도의 설정을 벗어나 다양한 조작이 요구됨에 따라 리모컨에 의한 다양한 조작이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다양한 가정용 영상 및 음향기기 등을 하나의 리모콘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제조사와 제어하고자 하는 디지털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다수의 커스텀 코드와 제어명령인 데이터 코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여 하나의 리모콘으로 다수의 디지털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하는 통합 리모컨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버튼식 리모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버튼식 리모컨(10)에는 TV, VCR, CATV 등 제어하고자 하는 디지털기기를 선택하는 기기 선택키와, 선택된 디지털기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와 숫자 키 등 다수의 키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종래의 버튼식 리모컨(10)에 구비된 다수의 선택키와 기능키 및 숫자 키 등은 개별적인 선택과 입력이 가능하도록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버튼부가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각 버튼부의 하부에는 입력 전극판이 구비된 돔 스위치가 형성되며, 상기 돔 스위치의 하부에는 상기 입력 전극판과 접촉하면서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리모컨의 제어부로 해당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판이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근래에는 핸드폰이나 PDA와 같은 다양한 핸드헬드(handheld) 단말기들이 개발되면서 종래의 돔스위치를 이용한 인터페이스를 벗어나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돔 스위치를 이용한 버튼식 입력에 더하여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게 한 복합 입력장치가 제안되었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등 핸드헬드 단말기에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전면에 액정디스플레이(LCD)를 설치하고, 이러한 액정디스플레이로 입력되는 압력신호나 전기신호 등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를 인식하고 해당 위치에의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적합한 입력신호로 처리하는 LCD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단말기의 전면에 액정디스플레이(LCD)와 LCD 컨트롤러를 설치할 경우에는 제조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에 취약하게 되어 취급이나 조작시 주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액정디스플레이의 보호를 위한 강화유리 등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돔 스위치와 같은 다른 입력방식의 인터페이스를 동일면상에 함께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근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디스플레이(LCD)나 LCD 컨트롤러를 구비하지 않고 터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조작이 빈번한 영역에는 내구성이 우수한 돔 스위치로 이루어진 버튼입력부를 구비하여 하나의 단말기에서 두 가지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돔 스위치를 이용한 버튼식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버튼입력부(20)와,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모션을 인식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조작하는 터치입력부(31,32), 및 상기 버튼입력부와 터치입력부에서의 누름 또는 터치조작 여부에 따라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입력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때, 상기 버튼입력부(20)는 외부로 노출되면서 버튼이 다수 구비된 키패드(21)와, 상기 키패드 하부에 위치하며 다수의 돔 스위치(24)가 형성된 돔시트(23)와, 상기 돔 스위치와의 접촉에 의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전극인 접촉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부는 상기 버튼입력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일방향으로 간극을 이루며 배열 형성된 전도성의 제1전극을 포함하는 제1전극패널(31)과, 상기 제1전극패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극을 이루며 배열 형성된 전도성의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제2전극패널(32)과, 터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전용량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는 단말기의 동일 면상에서 돔 스위치를 이용한 버튼 입력과 터치 입력이 모두 가능하게 구현한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의 버튼 조작 신호를 용이하게 인식하기 위해 다수의 돔 스위치가 형성된 돔시트를 상부에 형성하고, 이러한 돔시트의 하부에 터치입력부를 이루는 제1전극패널과 제2전극패널을 독립된 별도의 층으로 설치하는 적층구조로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 신호가 돔시트를 통과한 후 제1 및 제2전극패널로 전송되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터치 조작 신호를 용이하게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폰과 같은 고가의 단말기에서나 적용되던 터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리모컨과 같은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에도 적용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047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액정디스플레이 패널(LCD)을 설치하고, 제어부에는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패널로 입력되는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LCD 컨트롤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 일체형 통합 리모컨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액정디스플레이 패널과 LCD 컨트롤러를 입력수단으로 채택할 경우 리모컨의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됨은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작은 충격에도 쉽게 고장나거나 파손되어 올바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한 사람이 자신 소유의 휴대폰 등 고가의 핸드헬드 단말기를 조작하게 되어 사용시 스스로 주의하게 되는 것과 달리, 리모컨은 한 집안에 거주하는 다수의 사람이 수시로 이용하게 되며, 특히 어린이도 손쉽게 접근하여 조작하게 되는 사용 환경상의 차이점이 있는바, 리모컨의 경우에는 휴대폰과 같은 다른 핸드헬드 단말기보다 외부의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견고함과 내구성이 더욱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견고함과 내구성이 보다 강하게 요청되는 사용상의 차이점이 명확히 있는 리모컨에 외부 충격에 취약한 고가의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나 LCD 컨트롤러를 부착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에 따라 LCD 컨트롤러가 부착된 리모컨을 찾아보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리모컨은 텔레비전과 같은 디지털기기를 구입할 때에 무상으로 제공되는 보조 장치이므로, 외부의 큰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사용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고 구매하는 통합 리모컨을 제외하고 따로 구매하지는 않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것이다.
이처럼 디지털기기와 함께 무상 제공되는 리모컨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제조비용을 낮추는 것이 다른 제품들보다 더욱 요청됨은 필연적이라 할 것이며, 그에 따라 터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리모컨과 같은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에 구현하기 위해 외부 충격에 취약한 고가의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나 LCD 컨트롤러를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에 부착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대하여 쉽게 고장 나거나 파손되지 않을 정도로 견고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고, 돔 스위치를 이용한 버튼 입력과 터치 입력이 모두 가능하게 구현되며, LCD 컨트롤러를 배재하면서도 터치 입력을 위해 가해지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쉽게 반응하여 해당 키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한 새로운 입력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리모콘 등 디지털기기 컨트롤러가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돔 스위치의 접촉에 의해 신호 입력을 인식하는 돔전극 사이의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인식하는 다수의 돔간 터치 전극을 설치하여 통상적인 돔 스위치를 이용한 조작뿐만 아니라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조작도 가능하게 하여 하나의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에서 두 가지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고가의 액정디스플레이나 LCD 컨트롤러 등을 배제하여 저렴하면서도 외부 충격 등에 대한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킨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식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돔시트를 지지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고 인쇄회로기판을 통하여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돔전극; 상기 돔전극 사이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통하여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돔간 터치 전극;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의해 상기 돔전극에 접촉하여 입력신호를 인식하는 다수의 돔 스위치가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돔전극을 상부에서 덮는 돔시트; 숫자나 기능과 같은 키 값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돔시트 상부에서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며 결합되는 키패드 필름; 및 상기 키패드 필름에 인쇄된 키 값의 선택에 의해 상기 돔전극이나 돔간 터치 전극으로 전송된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커스텀 코드와 데이터 코드에 대한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적외선신호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돔간 터치 전극은 돔전극 사이의 각 공간에 하나의 동판을 부착시키고 이러한 하나의 전극에 하나의 키 값을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하여 동판으로 흐르게 되는 미세전류에 반응할 수 있는 미량의 전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에 의해 흐르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키패드 필름은 터치 입력시 사용자의 손가락 끝에서 흐르는 미세 전류를 상기 돔간 터치 전극으로 전송하는 도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돔간 터치 전극 각각의 식별코드를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돔간 터치 전극 각각의 식별코드에 설정하고자 하는 키 영역 값을 매치시키는 터치 전극 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돔전극과 돔간 터치 전극을 입력 수단으로서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입력수단 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력수단 선택부는 버튼 방식의 돔전극만을 입력수단으로 활성화시킬 경우 사용자의 조작과정 중 상기 키패드 필름을 통하여 돔간 터치 전극으로 전송되는 미세전류에 의해 야기되는 전기적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시키고, 터치 방식의 돔간 터치 전극만을 입력수단으로 활성화시킬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과정 중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눌리는 돔 스위치와 돔전극 간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디지털기기 컨트롤러를 형성함에 있어 버튼 방식의 돔 스위치와 터치 방식의 돔간 터치 전극을 모두 구비하고 돔간 터치 전극에 식별코드와 그에 매치되어 있는 키 값을 설정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전극을 배제함과 아울러, 고가의 액정디스플레이나 외부 충격에 취약한 LCD 컨트롤러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그러한 고가의 터치스크린을 채택하는 것 못지않게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민감하고 빠르게 반응할 수 있는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버튼 방식의 인터페이스와 함께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튼식 리모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돔전극과 돔간 터치 전극이 동일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돔 스위치가 구비된 돔시트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키 값이 인쇄된 키패드 필름을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돔 스위치가 구비된 돔시트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키 값이 인쇄된 키패드 필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식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돔시트를 지지하는 인쇄회로기판(10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돔전극(210)과, 상기 돔전극 사이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돔간 터치 전극(300)과,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의해 상기 돔전극에 접촉하는 다수의 돔 스위치가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돔전극을 상부에서 덮는 돔시트(200)와, 숫자나 기능과 같은 키 값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돔시트 상부에서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며 결합되는 키패드 필름(400)과, 상기 키패드 필름에 인쇄된 키 값의 선택에 의해 상기 돔전극이나 돔간 터치 전극으로 전송된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커스텀 코드와 데이터 코드에 대한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적외선신호 생성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PCB)(100)은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인 리모컨의 외장을 이루는 외부하우징(미도시)에 수납되며, 사용자의 조작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에서 적외선을 생성하고 송출하기 위한 돔시트 등 여러 구성요소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통상적인 기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돔전극(2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 설치된 금속 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돔시트(200) 저면에 구비된 돔 스위치(220)와 함께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루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돔전극(210)은 상기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에서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자 하는 버튼의 개수에 따라 적합한 수만큼 형성된다.
상기 돔시트(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돔전극과의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감싸도록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다수의 돔 스위치(220)가 저면에 구비되어 있는 얇은 시트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돔 스위치(220)가 구비되어 있는 돔시트(200)와 상기 돔전극(210)으로 이루어지는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극과 같은 충격 또는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자극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상기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의 사용시 반복적인 사용이 예상되는 숫자 키, 또는 음량이나 채널 등의 조절을 위한 기능 키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돔 스위치를 누르는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해 돔 스위치(220)가 아래로 눌리면서 돔전극(210)과 접촉하게 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돔 스위치를 선택한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된 제어부(700)로 전송되고, 이러한 입력신호를 수신한 제어부에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적외선신호 생성부(600)로 전송하게 됨은 돔 스위치가 구비된 통상적인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와 동일하게 된다.
상기 돔간 터치 전극(300)은 상기 돔 스위치(220)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00) 상면에 직접 부착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00)의 배선을 통하여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돔간 터치 전극(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 스위치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는 터치 센서로서, 돔 스위치(220) 사이의 각 공간에 하나의 동판을 부착시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돔 스위치(220) 사이의 각 공간에 작은 도체로 이루어진 다수의 동판을 부착시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돔 스위치를 누르는 입력신호와 상기 돔간 터치 전극을 통하여 입력하는 신호를 명확히 구분하여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돔간 터치 전극이 상기 돔전극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에 따라, 도 4에서는 돔전극 상호간을 연결하는 와이어와, 돔간 터치 전극 상호간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서로 연결되지 않게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돔간 터치 전극(300)이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됨으로써,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돔전극(210)과 돔간 터치 전극(300)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면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돔 스위치의 조작에 영향 받지 않으면서도 터치 입력 신호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지털기기 컨트롤러는 상기 돔간 터치 전극이 설치된 위치와, 해당 위치에서 입력받기 위한 숫자나 기능 등의 키 값을 설정하기 위한 터치 전극 설정부(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 전극 설정부(320)는 상기 돔 스위치 사이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돔간 터치 전극(300) 각각의 식별코드를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된 메모리(750)에 저장하고, 상기 돔간 터치 전극(300) 각각에 특정한 숫자나 문자 또는 기능과 같은 키 영역 값을 설정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설정하고자 하는 키 영역 값에 상기 돔간 터치 전극(300)의 식별코드를 직접 할당하여 메모리(750)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선택된 돔간 터치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에서 즉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선택된 돔간 터치 전극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별도의 LCD 컨트롤러를 구비하지 않고도 돔간 터치 전극을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의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돔간 터치 전극(300)이 다수의 작은 도체들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일정한 영역에서 인접하게 위치하는 다수의 돔간 터치 전극들에 동일한 키 영역 값을 설정하여 구성하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 키패드 필름(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숫자나 문자 또는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키 값이 인쇄되어 있는 얇은 필름으로 구성되며, 상기 돔시트 상부에 위치하여 돔간 터치 전극과 돔전극 및 돔시트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상부 전체를 덮으면서 부착된다.
또한, 상기 키패드 필름은 사용자가 상부에서 가하는 터치 입력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 끝에서 흐르는 미세 전류에 의해 상기 키패드 필름 하부에 위치하는 소전극에서 사용자의 선택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약간의 도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패드 필름은 숫자 등이 인쇄된 단일의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돔 스위치를 통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키 값이 위치하는 영역에는 외부로 돌출 형성된 버튼부를 구비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고, 그 상부에 통상적인 버튼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는 입력 수단의 인터페이스로서 버튼 방식의 돔전극과 터치 방식의 돔간 터치 전극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거나, 두 방식을 함께 활성화시켜 입력수단으로서 활성화되는 방식을 조절하는 입력수단 선택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입력수단 선택부(500)는 버튼 방식의 돔전극(210)만을 입력수단으로 활성화시킬 경우 사용자의 조작과정 중 상기 키패드 필름을 통하여 돔간 터치 전극으로 전송되는 미세전류에 의해 야기되는 전기적 신호가 제어부(700)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시켜 불필요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며, 이와 마찬가지로 터치 방식의 돔간 터치 전극(300)만을 입력수단으로 활성화시킬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과정 중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눌리는 돔 스위치와 돔전극 간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가 제어부(700)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되어,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에 구비된 입력수단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수단 선택부(500)는 돔 스위치와 돔간 터치 전극을 모두 활성화시켜 두 가지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모든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다양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적외선신호 생성부(600)는 무선 리모컨과 같은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에 통상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제어하고자 하는 디지털기기만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할당된 커스텀 코드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소전극에 할당되어 있는 키 값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인 데이터 코드를 포함하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적외선신호 발생기로 구성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는 돔전극(210)과 돔간 터치 전극(300)을 인쇄회로기판(100) 상에 설치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00)을 통하여 상기 돔전극과 돔간 터치 전극을 제어부(70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돔전극과 돔시트를 결합하여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상기 돔전극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돔간 터치 전극에 의해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돔간 터치 전극(300)은 상기 돔전극 사이의 영역에 독립적인 전극인 동판의 형태로 부착되고, 각 부착 위치를 제어부 등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터치 전극 설정부(320)에서 돔간 터치 전극 각각에 식별코드를 부여함과 아울러 숫자나 문자 또는 기능과 같은 키 영역 값을 설정하여 메모리(750)에 저장하여 터치 방식의 입력수단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돔시트 상부에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숫자, 문자 또는 기능 등의 키 값이 인쇄된 버튼부가 구비된 키패드 필름을 설치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돔간 터치 전극(300)은 전체가 하나의 동판 등으로 이루어진 패드가 아니라 개별적인 전극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전극이 하나의 입력신호를 인식하거나, 다수의 작은 전극들의 그룹이 하나의 입력신호를 인식하게 되며, 사용자의 터치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각 전극은 식별코드를 통하여 제어부에서 인식하게 되며, 그러한 식별코드에 매치되어 저장된 키 값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가해진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연산과정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복잡한 컨트롤러를 구비하지 않고도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기기 컨트롤러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수단을 버튼 방식 또는 터치 방식 중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거나, 두 방식을 모두 활성화시킨 후, 활성화된 방식에 적합한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버튼 방식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돔 스위치(220)를 누르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돔전극과 접촉하면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버튼에 설정되어 있는 키 값에 대한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터치 방식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키패드 필름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될 때 상기 키패드 필름(400)을 통하여 상기 돔간 터치 전극(300)으로 전달되는 미세전류에 반응할 수 있는 미량의 전류가 인쇄회로기판(100)으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에 흐르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돔간 터치 전극으로 전달되는 미세전류에 의해 돔간 터치 전극에서 흐르던 미량의 전류가 변경되었음을 제어부에서 인식하여 해당 돔간 터치 전극이 선택됨을 인식하게 된다. 돔간 터치 전극을 인식한 제어부에서는 해당 키 값에 해당하는 적외선 신호를 적외선신호 생성부에서 생성하여 송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디지털기기 컨트롤러를 형성함에 있어 버튼 방식의 돔 스위치와 터치 방식의 돔간 터치 전극을 동일한 인쇄회로기판 상면에 형성하고, 돔간 터치 전극에 식별코드와 그에 매치되어 있는 키 값을 설정하여 저장함으로써, 고가의 액정디스플레이나 외부 충격에 취약한 LCD 컨트롤러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그러한 고가의 터치스크린을 채택하는 것 못지않게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민감하고 빠르게 반응할 수 있는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버튼 방식의 인터페이스와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인쇄회로기판 200 - 돔시트
210 - 돔전극 220 - 돔 스위치
300 - 돔간 터치 전극 320 - 터치 전극 설정부
400 - 키패드 필름 500 - 입력수단 선택부
600 - 적외선신호 생성부 700 - 제어부
750 - 메모리

Claims (6)

  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식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돔시트를 지지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고 인쇄회로기판을 통하여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돔전극;
    상기 돔전극 사이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통하여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돔간 터치 전극;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의해 상기 돔전극에 접촉하여 입력신호를 인식하는 다수의 돔 스위치가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돔전극을 상부에서 덮는 돔시트;
    숫자나 기능과 같은 키 값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돔시트 상부에서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며 결합되는 키패드 필름; 및
    상기 키패드 필름에 인쇄된 키 값의 선택에 의해 상기 돔전극이나 돔간 터치 전극으로 전송된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커스텀 코드와 데이터 코드에 대한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적외선신호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돔간 터치 전극은 돔전극 사이의 각 공간에 하나의 동판을 부착시키고, 이러한 하나의 전극에 하나의 키 값을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돔간 터치 전극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하여 동판으로 흐르게 되는 미세전류에 반응할 수 있는 미량의 전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에 의해 흐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필름은 터치 입력시 사용자의 손가락 끝에서 흐르는 미세 전류를 상기 돔간 터치 전극으로 전송하는 도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돔간 터치 전극 각각의 식별코드를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돔간 터치 전극 각각의 식별코드에 설정하고자 하는 키 영역값을 매치시키는 터치 전극 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돔전극과 돔간 터치 전극을 입력 수단으로서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입력수단 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력수단 선택부는 버튼 방식의 돔전극만을 입력수단으로 활성화시킬 경우 사용자의 조작과정 중 상기 키패드 필름을 통하여 돔간 터치 전극으로 전송되는 미세전류에 의해 야기되는 전기적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시키고, 터치 방식의 돔간 터치 전극만을 입력수단으로 활성화시킬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과정 중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눌리는 돔 스위치와 돔전극 간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
KR1020110014810A 2011-02-18 2011-02-18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 KR20120095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810A KR20120095258A (ko) 2011-02-18 2011-02-18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810A KR20120095258A (ko) 2011-02-18 2011-02-18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258A true KR20120095258A (ko) 2012-08-28

Family

ID=4688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810A KR20120095258A (ko) 2011-02-18 2011-02-18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52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1443E1 (en) Input device which allows button input operation and coordinate input operation to be performed in the same operation plane
US6518958B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plural entry switches
KR100786429B1 (ko) 3차원 포인팅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무선식 입력 장치 및방법
US8116831B2 (en)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with auxiliary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9285837B2 (en) Temporary keyboard having some individual keys that provide varying levels of capacitive coupling to a touch-sensitive display
EP2165247B1 (en) Data input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799655B2 (ja) 小型機器
JP5138815B2 (ja) 遠隔制御装置及びマルチメディア電化製品の遠隔制御方法
CA2824594C (en) Temporary keyboard having some individual keys that provide varying levels of capacitive coupling to a touch-sensitive display
US8378796B2 (en) Portable terminal
WO2005076117A1 (ja) タッチスクリーン式入力装置
EP1829009B1 (en) Universal remote control or universal remote control/telephone combination with touch operated user interface having tactile feedback
US20080174565A1 (en) Touch pad device
US20090140982A1 (en) Navigation input mechanism,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switching mode thereof
JP2006504154A (ja) 電子デバイスで使用する両面キーボード
US20080185281A1 (en) Touch input device
US20090033514A1 (en) Remote controller
US20070139394A1 (en) Flat panel display having touch panel for controlling on screen display thereof
KR20140110607A (ko) 키버튼 어셈블리 및 그 운용 방법
KR10158700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95258A (ko) 돔간 터치 전극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
KR100718988B1 (ko) 전자기기의 입력장치
JP4214874B2 (ja) 電子機器
CN101729633B (zh) 按键装置
KR20120095259A (ko) 다수의 소전극을 이용한 터치 기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털기기 컨트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