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143A - 중계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카드 결제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카드 결제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143A
KR20120095143A KR1020110014641A KR20110014641A KR20120095143A KR 20120095143 A KR20120095143 A KR 20120095143A KR 1020110014641 A KR1020110014641 A KR 1020110014641A KR 20110014641 A KR20110014641 A KR 20110014641A KR 20120095143 A KR20120095143 A KR 20120095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car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182B1 (ko
Inventor
박경양
정훈준
박효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Priority to KR1020110014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182B1/ko
Priority to CN201810862955.6A priority patent/CN109102275A/zh
Priority to US13/985,969 priority patent/US20130325712A1/en
Priority to PCT/KR2012/001222 priority patent/WO2012112005A2/ko
Priority to CN2012800092784A priority patent/CN103380435A/zh
Publication of KR20120095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카드 결제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카드 결제 시스템은 가맹점 식별자 및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관련정보를 전송하는 가맹점 단말, 및 가맹점 단말로부터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며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를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결제관련정보를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고객은 가맹점에 결제카드를 제시하지 않고서도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신용거래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계산대로의 불필요한 이동 없이 자신의 금융정보를 노출하지 않으면서도 가맹점 내 원하는 자리에서 신용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계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카드 결제를 위한 방법{Card payment system inclu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relay device, apparatuses in the system and method for card payment in the apparatuses}
본 발명은 카드 결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카드 결제 방식은 가맹점 단말이 고객의 결제카드 고유번호를 획득하여 가맹점 정보 및 결제금액과 함께 VAN사를 경유하여 금융사 서버로 승인을 요청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러나 이러한 카드 결제 방식은 고객으로 하여금 계산대로 이동하여 자신의 결제카드를 점원에게 건네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피하기 위해, 예를 들어 레스토랑 등에서 고객은 자신의 좌석에서 결제카드만을 점원에게 건네줘 결제를 해오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점원이 카드 결제를 위해 계산대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고객의 심리를 불안하게 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종래와 같은 카드 결제 방식에 따르면, 고객의 결제카드 고유번호를 포함한 금융정보가 가맹점에 노출될 수 있고, 고객의 카드 정보를 이용한 금융사고 발생, 제3자에 의한 결제카드 정보 복제 복제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승인 프로세스에 있어서도 고객의 결제카드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이 이루어지므로, 그 과정에서 고객의 결제카드 정보가 해킹당할 위험의 소지도 있다.
본 발명은 보안이 유지되어야 하는 고객의 결제카드 정보를 가맹점에 제시하지 않고서도 또한 고객으로 하여금 계산대로의 이동 없이도 카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카드 결제 시스템은 가맹점 식별자 및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관련정보를 전송하는 가맹점 단말, 및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며,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를 위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결제관련정보를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를 위한 중계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저장부, 및 고객 이동통신 단말의 카드 결제 수행을 위해 필요한 결제관련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카드 결제용 이동통신 단말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수단을 갖는 통신부, 및 카드 결제 승인 요청을 위해, 결제카드정보와 중계 장치로부터 획득된 결제관련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카드 결제를 위한 지불 게이트웨이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수단을 갖는 통신부, 회원별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가맹점 식별자 및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관련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해당 결제카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결제카드정보와 상기 수신된 결제관련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해당 금융사 서버로 전송하여 카드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카드 결제를 위한 지불 게이트웨이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수단을 갖는 통신부, 회원별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하나의 결제카드정보 및 가맹점 식별자와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관련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해당 금융사 서버로 전송하여 카드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중계 장치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지원 방법은 가맹점 단말로부터 가맹점 식별자 및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결제관련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결제관련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단계, 및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를 위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결제관련정보를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중계 장치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지원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결제금액을 입력받는 단계, 및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를 위해, 가맹점 식별자와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관련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카드 결제 방법은 중계 장치로부터 가맹점 식별자 및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 소유인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카드 결제 승인 요청을 위해, 상기 표시된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결제카드정보와 상기 결제관련정보를 지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지불 게이트웨이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지원 방법은 카드 결제하고자 하는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가맹점 식별자 및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관련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회원의 결제카드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결제관련정보 및 상기 검색된 결제카드정보를 해당 금융사 서버로 전송하여 카드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지불 게이트웨이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지원 방법은 카드 결제하고자 하는 회원 소유의 결제카드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를 상기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 중 상기 회원에 의해 선택된 결제카드정보와, 가맹점 식별자 및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결제카드정보 및 결제관련정보를 해당 금융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객으로 하여금 가맹점에 결제카드를 제시하지 않고서도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신용거래를 수행할 수 있게 함은 물론, 계산대로의 불필요한 이동 없이 자신의 금융정보를 노출하지 않으면서도 가맹점 내 원하는 자리에서 신용거래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이 각별히 요구되는 결제카드 정보(고유번호, 유효기간 등)가 네트워크상에 노출될 염려가 없으므로, 신용거래의 안전성이 확실히 보장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결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불 게이트웨이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과 중계 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 간에 수행되는 카드 결제를 위한 절차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과 지불 게이트웨이 및 금융사 서버 간에 수행되는 카드 결제를 위한 절차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과 지불 게이트웨이 및 금융사 서버 간에 수행되는 카드 결제를 위한 절차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과 지불 게이트웨이 및 금융사 서버 간에 수행되는 카드 결제를 위한 절차도.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결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결제 시스템은 가맹점 단말(100), 중계 장치(200), 이동통신 단말(300), 지불 게이트웨이(Payment Gateway)(400), 및 금융사 서버(500)를 포함하며, 이 중 둘 이상의 일부 구성만을 포함하는 것도 카드 결제 시스템으로 명한다. 가맹점 단말(100)은 CAT 단말이나 POS 단말일 수 있다. 이 가맹점 단말(100)의 내무 메모리에는 가맹점 식별자가 저장된다. 또한 이 가맹점 단말(100)은 고객이 구매한 물품 혹은 이용 서비스에 대한 결제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숫자키 버튼을 구비한다. 숫자키 버튼은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되어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가맹점 단말(100)은 후술할 중계 장치(200)와의 접촉 혹은 비접촉 통신을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 단말(100)은 외부와 유선 혹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글(dongle) 접속 수단을 구비한다. 동글 접속 수단은 USB 포트일 수 있다. 그리고 가맹점 단말(100)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모듈, RF 통신 모듈, 블루투스 모듈, WiFi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유선 통신으로는 USB 통신, 시리얼 통신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가맹점 단말(100)은 접촉, 유선 혹은 무선(비접촉) 통신을 통해 가맹점 식별자 및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관련정보를 중계 장치(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맹점 단말(100)은 지불 게이트웨이(400)와도 유선전화가입자망이나 인터넷망 혹은 무선통신망과 같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가맹점 단말(100)은 이 같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카드결제승인정보인 승인번호를 수신하고, 결제관련정보 및 승인번호를 포함하는 매출전표 데이터를 생성 및 인쇄할 수 있다. 아니면 가맹점 단말(100)은 중계 장치(200)에서의 매출전표 인쇄를 위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수신된 승인번호를 중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중계 장치(200)는 접촉, 유선 혹은 무선(비접촉) 통신 가능한 소형의 장치로, 휴대 가능하여 점원에 의해 휴대 이용될 수 있다. 중계 장치(200)가 휴대용인 경우, 중계 장치(200)는 접촉, 유선, 무선(비접촉) 통신 중 적어도 일부를 지원한다. 아니면 중계 장치(200)는 레스토랑과 같은 가맹점 내 고객용 테이블에 고정 부착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중계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중계 장치(200)가 고객용 테이블에 고정 부착되는 장치인 경우, 중계 장치(200)는 편의 기능으로써 이동통신 단말(300)에 대한 충전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중계 장치(200)는 카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중계 장치(200)가 카드 형태인 경우, 중계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콤비칩 혹은 NFC 칩이 부착된 플라스틱 카드이거나 칩 자체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중계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착되고 무선 통신이 가능한 패드나 탭 PC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중계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구비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가맹점 단말(100) 및 고객이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3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중계 장치(200)는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가맹점 식별자와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결제관련정보를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중계 장치(200)는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가맹점 식별자와 결제금액을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가맹점 식별자와 결제금액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가맹점 식별자의 경우에는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가맹점 식별자 입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나아가 중계 장치(200)는 인쇄 수단을 포함한다. 이 경우, 중계 장치(200)는 가맹점 단말(100)이나 이동통신 단말(300) 또는 지불 게이트웨이(400)나 금융사 서버(500)로부터 승인번호를 전송받고, 결제관련정보와 승인번호를 포함하는 매출전표 데이터를 생성하여 인쇄 수단을 통해 매출전표를 인쇄한다.
이동통신 단말(300)은 가맹점 고객이 소지한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 피처폰(featur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PDA 단말 등이 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300)은 중계 장치(200)와의 통신, 바람직하게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지불 게이트(400)와의 원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모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이 같은 이동통신 단말(300)은 카드 결제를 위한 결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동통신 단말(300)은 결제 프로세스 수행을 위해 필요한 결제관련정보를 중계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하여 카드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300)은 카드 결제 승인 요청을 위해 중계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결제관련정보를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하고, 결제카드정보는 전송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300)은 카드 결제 승인 요청을 위해 결제카드정보와 결제관련정보 모두를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결제카드정보는 결제카드 고유번호(현재 16자리로 부여되는 결제카드번호)가 포함된 정보일 수 있으며, 아니면 어떤 결제카드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결제카드명칭 혹은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일 수 있다.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이동통신망 등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300)과 통신 연결되며, 전용 패킷망 등을 통해 금융사 서버(500)와 통신 연결된다. 이러한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이동통신 단말(3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결제 서비스를 위해,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결제 서비스 가입 회원들에 대한 정보가 등록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고, 결제 프로그램을 실행한 이동통신 단말(300)과 연동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회원의 결제카드정보를 추출하여 결제관련정보와 함께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하여 카드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카드정보와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제카드정보와 결제관련정보를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하여 카드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들에 의한 카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금융사 서버(500)로부터 카드 결제에 대한 승인번호가 수신되면,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수신된 승인번호를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한다. 또한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가맹점 단말(100)로도 승인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중계 장치(200)로 직접 승인번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금융사 서버(500)는 카드 결제 승인을 위한 신용카드사 서버 혹은 은행 서버 등을 지칭한다. 금융사 서버(500)는 회원별 등록된 결제카드에 대한 정보를 가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카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른 승인 여부를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데이터베이스에는 결제카드별 부여된 고유 식별자에 대한 정보도 저장된다. 나아가 이 데이터베이스에는 결제카드별 소유자에 의해 설정된 개인식별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도 저장된다. 이 같은 금융사 서버(500)는 지불 게이트웨이(400)로부터 결제카드정보 및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카드 거래 승인 처리를 수행하며, 카드 거래가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되면 카드결제승인정보인 승인번호를 생성하여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하는 일련의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와 달리 금융사 서버(500)는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직접 결제카드정보 및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카드 거래 승인 처리를 수행하며, 카드 거래가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되면 승인번호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하는 일련의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 블록도이다.
중계 장치(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하나 이상의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접촉, 유선, 무선(비접촉)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한다. 무선 통신 방식의 경우, 통신부(210)는 NFC 통신 모듈, RF 통신 모듈, 블루투스 모듈, WiFi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로서,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ce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니면 저장부(220)는 단지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일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CPU(Central Process Unit) 등으로 구성되어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일 수 있다.
중계 장치(200)는 통신부(210)를 통해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한다. 이 결제관련정보에는 적어도 가맹점 식별자와 결제금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나아가 결제관련정보에는 구매 상품이나 음식 혹은 결제가 요구되는 서비스 항목 등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수신된 결제관련정보를 제어부(230)로 출력한다. 제어부(230)는 입력된 결제관련정보를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이후, 중계 장치(200)가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300)과 무선 통신 연결되면, 제어부(23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결제관련정보를 읽어들여 통신부(2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맹점 단말(100)은 중계 장치(200)가 접촉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근거리 통신 범위에서 검색되면, 검색된 중계 장치(200)로 결제관련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가맹점 단말(100)은 점원의 키 입력에 의해 지정된 중계 장치(200)로 결제관련정보를 전송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가맹점 단말(100)로 결제관련정보를 요청하고, 가맹점 단말(100)은 그 요청에 따라 중계 장치(200)로 결제관련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가맹점 단말(100)에서 중계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도록, 중계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중계 장치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를 결제관련정보 요청시 함께 통신부(210)를 통해 가맹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가맹점 단말(100)은 중계 장치(200)를 식별하고, 중계 장치(200)에 전송해야 할 결제관련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결제관련정보를 전송한다. 마지막 실시예는 중계 장치(200)가 고객용 테이블에 부착된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즉, 고객용 테이블에 부착된 중계 장치(200)에서 결제관련정보가 요청되면, 가맹점 단말(100)이 해당 고객에 대한 결제관련정보를 중계 장치(200)로 전송토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중계 장치(200)는 표시부(240)를 더 포함한다. 표시부(24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혹은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결제관련정보를 표시부(240)로 출력한다. 이는 고객으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표시부(240)에 표시되는 결제관련정보 항목에는 가맹점명, 구매 상품명, 결제 금액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중계 장치(200)는 입력부(250)를 더 포함한다. 입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입력부(250)는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된 키 버튼일 수도 있고, 아니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어 표시부(240)에 표시되는 키 버튼일 수도 있으며, 둘 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부(250)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어 표시부(240)에 표시되는 키 버튼인 경우, 표시부(240)와 입력부(250)는 터치스크린이라는 단일의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구현된다. 제어부(230)는 입력부(250)를 통한 사용자 키 입력에 따라 결제관련정보를 표시부(24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입력부(250)를 통한 사용자 키 입력에 따라 저장부(220)에 저장된 결제관련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한다. 즉,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특정 키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통신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300)로 결제관련정보를 전송토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점원이 혹은 고객이 직접 중계 장치(200)를 조작하여 이동통신 단말 결제를 선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결제관련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하는 것이다.
한편, 중계 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입력부(250)를 통해 가맹점 식별자와 결제금액을 입력받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가맹점 식별자는 입력부(250)를 통해 별도로 입력받지 않고, 저장부(200)에 이미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나아가 중계 장치(200)는 인쇄부(260)를 더 포함한다. 인쇄부(260)는 매출전표를 인쇄하기 위한 구성이다. 가맹점 단말(100) 혹은 이동통신 단말(300) 혹은 지불 게이트웨이(400)나 금융사 서버(500)로부터 통신부(210)를 통해 승인번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30)는 승인번호를 표시부(240)로 출력하여 고객이 알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결제관련정보와 승인번호를 포함하는 매출전표 데이터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230)는 고객으로부터 터치스크린을 통해 서명을 입력받고, 입력된 서명이 추가된 매출전표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230)는 생성된 매출전표 데이터를 인쇄부(260)로 출력하여 인쇄되도록 한다. 이에 인쇄부(260)는 매출전표를 인쇄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블록도이다.
입력부(310) 및 표시부(320)는 통상적인 주지된 구성이 될 수 있다. 입력부(310) 및 표시부(320)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단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 가능하다. 저장부(330)는 ROM, RA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30)에는 이동통신 단말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330)에는 카드 결제를 위한 결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결제 프로그램은 이동통신 단말(300)에 장착되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칩에 저장될 수도 있다. 아니면, 결제 프로그램은 이동통신 단말(300)에 탈착 가능한 외부 메모리 카드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하, USIM 칩 및 외부 메모리 카드 또한 저장부(33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 설명한다.
통신부(340)는 하나 이상의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통신부(340)는 NFC 통신 모듈, RF 통신 모듈, 블루투스 모듈, WiFi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이동통신이나 TCP/IP를 이용한 인터넷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출력부(350)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또는 그 역의 변환을 처리하며, 오디오 증폭회로나 필터와 같은 부가회로를 포함하는 주지된 구성이다. 제어부(360)는 통신을 처리하는 전용의 하드웨어와, 디지털 신호처리기 및 범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60)를 구성하는 각 부분들은 전용의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이들의 혼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결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 결제 프로그램 실행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300)과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상호 연동한다. 결제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제어부(360)는 중계 장치(200)로부터 통신부(340)를 통해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360)는 수신된 결제관련정보를 표시부(320)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360)는 결제관련정보만을 통신부(340)를 통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360)는 결제카드정보와 결제관련정보를 통신부(340)를 통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결제카드정보는 결제카드 고유번호를 포함한 정보일 수 있고, 결제카드명칭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아니면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하, 결제카드정보가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해 실시예를 나누어 설명한다.
결제카드정보는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330)에 저장된 결제카드정보는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이다. 따라서 결제하고자 하는 카드가 선택되어야 한다. 만일 하나의 결제카드정보만이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다면, 카드 선택 절차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둘 이상의 결제카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더라도, 어느 하나의 결제카드가 주(primary) 카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카드 선택 절차는 생략 가능하다. 주 카드는 사용자의 입력부(310)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변경 또한 가능하다. 카드 선택 절차가 수반되어야 하는 경우, 저장부(330)에 저장된 결제카드별 정보에는 ‘결제카드명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결제카드별 정보에는 ‘결제카드 고유번호’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결제카드 고유번호’정보 대신에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고유 식별자는 그 자체로는 개인금융정보라 할 수 없어, 제3자에게 노출되더라도 결제카드 고유번호와 달리 자신의 금융재산이 위험에 처할 소지는 없다.
제어부(360)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결제카드정보 중 결제카드명칭으로 표현되는 결제카드 리스트를 표시부(320)로 출력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60)는 선택된 결제카드에 대한 인증코드 입력을 요구할 수도 있다. 이 인증코드는 PIN으로써, 지불 게이트웨이(400) 혹은 금융사 서버(500)에서 결제카드별 등록된 개인식별번호가 맞는지를 인증하기 위해 이용된다. 사용자가 입력부(310)를 통해 어느 하나의 결제카드를 선택하면, 제어부(360)는 선택된 결제카드에 대응하는 카드 고유번호 혹은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를 저장부(330)에서 읽어들여 통신부(340)를 통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360)는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PIN도 통신부(340)를 통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360)는 중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결제관련정보를 통신부(340)를 통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 결제카드정보와 PIN 및 결제관련정보는 각각 전송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는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360)는 지불 게이트웨이(400)로부터 통신부(340)를 통해 결제 승인 정보인 승인번호를 수신하고, 표시부(320)로 출력하여 정상적으로 승인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나아가 제어부(360)는 승인번호를 통신부(340)를 통해 중계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는 중계 장치(200)에서 매출전표를 인쇄하는 데 사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제카드정보는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360)는 결제관련정보만을 통신부(340)를 통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360)는 통신부(340)를 통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결제카드정보를 요청하고, 지불 게이트웨이(400)로부터 통신부(340)를 통해 결제카드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결제카드정보 요청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300)이 결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지불 게이트웨이(400)와 연동하게 되면,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이동통신 단말(300)의 요청 없이도 이동통신 단말(300)로 결제카드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지불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300)로 제공되는 결제카드정보는 결제카드 리스트이며, 추가로 결제카드별 부여된 고유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수신된 결제카드정보인 결제카드 리스트를 표시부(320)로 출력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60)는 선택된 결제카드에 대한 PIN 입력을 요구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310)를 통해 어느 하나의 결제카드를 선택하면, 제어부(360)는 선택된 결제카드명칭 혹은 그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를 통신부(340)를 통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360)는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개인 식별 번호도 통신부(340)를 통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360)는 중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결제관련정보를 통신부(340)를 통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 결제카드정보와 PIN 및 결제관련정보는 각각 전송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는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360)는 지불 게이트웨이(400)로부터 통신부(340)를 통해 승인번호를 수신하고, 표시부(320)로 출력하여 정상적으로 승인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나아가 제어부(360)는 승인번호를 통신부(340)를 통해 중계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는 중계 장치(200)에서 매출전표를 인쇄하는 데 사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불 게이트웨이 블록도이다.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통신부(410), 데이터베이스(420), 및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둘 이상의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30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구성과, 전용 패킷망 등을 통해 금융사 서버(5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이 통신 구성들은 동일한 것일 수도 있으며, 동일할 경우 중복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데이터베이스(420)에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회원들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420)에는 회원별 ‘회원명, 이동통신 단말 전화번호, 회원 소유의 결제카드정보’가 저장되며, 이 중 회원 소유의 결제카드정보에는 결제카드별 ‘금융사에 대한 정보와, 결제카드명칭칭과 결제카드 고유번호 및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포함된다. 나아가 데이터베이스(420)에는 결제카드별 PIN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430)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이다. 이하 제어부(430)의 결제 프로세스 수행에 대해 실시예를 나누어 설명한다.
지불 게이트웨이(400)가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결제관련정보는 수신하나, 결제카드정보는 수신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된 회원 소유의 결제카드 정보에는 금융사 정보와, 결제카드 고유번호 혹은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다. 그리고 회원 소유의 결제카드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결제카드가 실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주 카드로 설정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주 카드 설정은 회원에 의해 사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430)는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통신부(410)를 통해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한다. 결제관련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430)는 데이터베이스(420)를 조회하여 해당 회원 소유의 결제카드정보를 확인한다. 해당 회원 소유의 결제카드정보가 확인되면, 제어부(430)는 수신된 결제관련정보와 결제카드정보(결제카드 고유번호 혹은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를 통신부(410)를 통해 해당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한다. 이후, 금융사 서버(500)로부터 통신부(410)를 통해 승인번호가 수신되면, 제어부(430)는 수신된 승인번호를 통신부(4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430)는 수신된 승인번호를 통신부(410)를 통해 가맹점 단말(100)로도 전송한다.
지불 게이트웨이(400)가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결제카드정보와 결제관련정보를 모두 수신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다시 지불 게이트웨이(400)가 결제카드정보인 결제카드 리스트를 이동통신 단말(300)로 제공하는 경우와 제공하지 않는 경우로 나뉜다. 실시예 4에서는 지불 게이트웨이(400)가 결제카드 리스트를 이동통신 단말(300)로 제공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고, 실시예 5에서 지불 게이트웨이(400)가 결제카드 리스트를 이동통신 단말(300)로 제공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어부(430)는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통신부(410)를 통해 결제카드정보와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한다. 이 정보들은 각각 수신될 수도 있으며, 함께 수신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신된 결제카드정보는 결제카드명칭일 수 있으며, 아니면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일 수 있다. 수신된 결제카드정보가 결제카드명칭일 경우, 제어부(430)는 데이터베이스(420)를 통해 해당 고유 식별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고유 식별자를 읽어들여 결제관련정보와 함께 통신부(410)를 통해 해당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한다. 수신된 결제카드정보가 고유 식별자일 경우, 제어부(430)는 수신된 결제카드정보와 결제관련정보를 통신부(410)를 통해 해당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430)는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통신부(410)를 통해 PIN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430)는 데이터베이스(420)를 통해 PIN을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만 결제카드정보와 결제관련정보를 통신부(410)를 통해 해당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430)는 PIN을 인증하지 않고 해당 금융사 서버(500)에서 인증하도록 결제카드정보 및 결제관련정보와 함께 해당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한다. 이후, 금융사 서버(500)로부터 통신부(410)를 통해 승인번호가 수신되면, 제어부(430)는 수신된 승인번호를 통신부(4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430)는 수신된 승인번호를 통신부(410)를 통해 가맹점 단말(100)로도 전송한다.
제어부(430)는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결제카드정보 요청이 있으면, 데이터베이스(420)로부터 해당 회원의 결제카드정보를 읽어들여 통신부(4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한다. 혹은, 제어부(430)는 결제 프로세스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300)과 연동이 이루어지면, 이동통신 단말(300)의 결제카드정보 요청이 없어도 이동통신 단말(300)로 결제카드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되는 결제카드정보에는 결제카드명칭에 대한 리스트가 포함되며, 결제카드별 부여된 고유 식별자를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결제카드 고유번호는 포함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어부(430)는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통신부(410)를 통해 결제카드정보와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한다. 이 정보들은 각각 수신될 수도 있으며, 혹은 함께 수신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신된 결제카드정보는 결제카드명칭일 수 있으며, 아니면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일 수 있다. 수신된 결제카드정보가 결제카드명칭일 경우, 제어부(430)는 데이터베이스(420)를 통해 해당 고유 식별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고유 식별자를 읽어들여 결제관련정보와 함께 통신부(410)를 통해 해당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한다. 수신된 결제카드정보가 고유 식별자일 경우, 제어부(430)는 수신된 결제카드정보와 결제관련정보를 통신부(410)를 통해 해당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430)는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통신부(410)를 통해 개인식별번호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430)는 데이터베이스(420)를 통해 PIN을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만 결제카드정보와 결제관련정보를 통신부(410)를 통해 해당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430)는 PIN을 인증하지 않고 해당 금융사 서버(500)에서 인증하도록 결제카드정보 및 결제관련정보와 함께 해당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한다. 이후, 금융사 서버(500)로부터 통신부(410)를 통해 승인번호가 수신되면, 제어부(430)는 수신된 승인번호를 통신부(4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430)는 수신된 승인번호를 통신부(410)를 통해 가맹점 단말(100)로도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과 중계 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 간에 수행되는 카드 결제를 위한 절차도이다.
점원은 가맹점 단말(100)을 조작하여 고객이 결제할 금액을 입력한다. 가맹점 단말(100)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가맹점 식별자와 입력된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관련정보를 중계 장치(200)로 전송한다(S5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장치(200)가 휴대용인 경우에 가맹점 단말(100)은 접촉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근거리 영역에서 무선 통신 검색된 중계 장치(200)로 결제관련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장치(200)가 고객용 테이블에 부착된 경우, 가맹점 단말(100)은 점원의 키 입력 조작에 따라 지정된 중계 장치(200)로 결제관련정보를 전송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장치(200)로부터 결제관련정보 요청이 있으면, 가맹점 단말(100)은 요청한 해당 결제관련정보를 검색하여 중계 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중계 장치(200)의 결제관련정보 요청은 고객 혹은 점원의 명령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즉, 고객 혹은 점원의 중계 장치(200)에 구비된 입력부(250)를 통한 키 입력에 따라, 중계 장치(200)가 가맹점 단말(100)로 결제관련정보를 요청하는 것이다.
중계 장치(200)는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한다. 중계 장치(200)는 수신된 결제관련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며(S510), 또한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한다(S520). 여기서 메모리는 결제관련정보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일 수 있다. 고객은 중계 장치(200) 화면에 표시된 결제관련정보를 확인하고, 결제금액이 맞으면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300)을 조작하여 결제 프로그램 실행을 명한다. 이동통신 단말(300)은 메모리에 저장된 결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결제 프로그램 실행 하에, 이동통신 단말(300)은 중계 장치(200)로 결제관련정보를 요청한다(S530). 그러나 이 요청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중계 장치(200)는 이동통신 단말(300)의 결제관련정보 요청에 따라 혹은 요청이 없이도 이동통신 단말(300)로 결제관련정보를 전송한다(S540). 한편, 중계 장치(200) 측에서도 이동통신 단말 결제 방식이 선택된 경우에 한해서, 중계 장치(200)가 이동통신 단말(300)로 결제관련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300)은 중계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의 절차가 수행된 후에, 이동통신 단말(300)은 지불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카드결제승인정보인 승인번호를 수신한다(S550). 이동통신 단말(300)은 수신된 승인번호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화면 표시한다(S560).
나아가 이동통신 단말(300)은 승인번호를 중계 장치(200)로 전송한다(S570). 아니면 도시된 바와 달리 이동통신 단말(300)은 S570을 수행하지 않고, 대신에 가맹점 단말(100)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수신한 승인번호를 중계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중계 장치(200)는 이동통신 단말(300) 혹은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승인번호를 수신한다. 승인번호가 수신되면, 중계 장치(200)는 결제관련정보와 승인번호를 포함하는 매출전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매출전표 데이터가 반영된 매출전표를 인쇄한다(S580).
한편, 전술한 과정 중에서 중계 장치(200)는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결제관련정보를 입력받는 것일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중계 장치(200)의 입력부(250)를 통해 가맹점 식별자와 결제 금액을 입력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아니면 사용자는 결제 금액만을 입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결제 금액만 입력하는 경우는 중계 장치(200)의 메모리에 가맹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이다. 즉, 중계 장치(200)는 결제관련정보를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취득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과 지불 게이트웨이 및 금융사 서버 간에 수행되는 카드 결제를 위한 절차도이다.
이동통신 단말(300)은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결제관련정보를 전송한다(S600).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해당 회원의 결제카드정보를 검색한다(S610). 해당 회원에 대해 둘 이상의 결제카드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기지정된 하나의 결제카드정보가 실제 결제를 위한 결제카드정보로 검색된다.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결제카드정보와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결제관련정보를 해당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한다(S620). 여기서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되는 결제카드정보는 결제카드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정보이거나, 아니면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일 수 있다. 고유 식별자의 경우, 전술하였듯이 그 자체로는 개인금융정보라 할 수 없어 네트워크상에서 해킹당하더라도 회원의 금융재산이 위험에 처할 소지는 없다.
금융사 서버(500)는 지불 게이트웨이(400)로부터 결제카드정보 및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한다. 금융사 서버(500)는 카드 회원별 등록된 결제카드에 대한 정보를 가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카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른 승인 여부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금융사 서버(500)는 수신된 결제카드정보 및 결제관련정보를 각각 자사의 회원자료 또는 가맹점 자료와 비교하여 결제카드 이용자와 가맹점 간에 발생하는 거래가 타당한지를 확인한다. 이때, 수신된 결제카드정보에 결제카드 고유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단지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에 대한 정보만 존재한다 하더라도, 데이터베이스에 이미 결제카드별 고유 식별자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므로, 금융사 서버(500)는 카드 거래 승인 처리를 유효하게 수행할 수 있다. 금융사 서버(500)는 결제카드 이용자와 가맹점 간에 발생하는 거래가 타당한 경우에 거래 승인을 위한 승인번호를 생성하고(S630), 생성된 승인번호를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S640).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금융사 서버(500)로부터 승인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승인번호를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한다(S650). 또한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승인번호를 가맹점 단말(100)로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승인번호를 중계 장치(200)로도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승인번호를 중계 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해, 중계 장치(200)의 IP 주소 등을 알아야 하는데, 이는 중계 장치(200)에서 결제관련정보와 함께 이동통신 단말(300)에 전달하고, 다시 이동통신 단말(300)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달함에 의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과 지불 게이트웨이 및 금융사 서버 간에 수행되는 카드 결제를 위한 절차도이다.
이동통신 단말(300)은 지불 게이트웨이로 결제카드 리스트를 요청한다(S700). 그러나 이 요청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결제카드 리스트 요청에 따라 혹은 요청이 없이도, 해당 회원의 결제관련정보 중 일부인 결제카드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결제카드 리스트를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한다(S705). 이때,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해당 회원의 결제카드별 부여된 고유 식별자를 더 검색하여 결제카드 리스트와 함께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참고로, S700 ~ S705 과정은 도 5의 S530 ~ S540 과정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그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단말(300)은 지불 게이트웨이(400)로부터 결제카드 리스트를 수신하고, 그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S7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제카드 리스트는 회원 소유의 결제카드명칭에 대한 리스트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 화면을 통해 원하는 결제카드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300)은 지불 게이트웨이로부터 결제카드 리스트를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300)의 메모리에 결제카드 리스트를 포함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300)은 지불 게이트웨이(400)로부터 결제카드 리스트를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에 저장된 결제카드 리스트를 읽어들여 화면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300)에 결제카드 리스트를 포함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전술한 S700 및 S705 과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다.
결제카드 리스트가 화면 표시된 이후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결제카드가 선택되면, 이동통신 단말(300)은 선택된 결제카드에 대한 PIN 입력을 요구한다. 그러나 PIN 입력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즉, 결제 프로세스에서 PIN 인증 절차가 없다면, PIN 입력 절차 또한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PIN 인증 절차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동통신 단말(30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결제카드정보를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S715).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되는 결제카드정보는 결제카드명칭이거나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이다. 그리고 PIN이 입력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300)은 입력된 PIN 또한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S720). 결제카드정보와 PIN은 함께 전송될 수도 있고 각각 전송될 수도 있다. PIN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된 경우,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수신된 PIN과 데이터베이스에 기등록된 해당 결제카드에 대한 PIN을 비교하여 인증한다(S725). 인증에 성공하면,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이동통신 단말(300)로 결제관련정보를 요청한다(S730). 이에 이동통신 단말(300)은 중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결제관련정보를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S735).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결제카드정보와 결제관련정보를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한다(S740). 이때 전송되는 결제카드정보는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임이 바람직하다. 만일,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결제카드정보가 결제카드명칭이라면,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회원의 결제카드명칭에 해당하는 고유 식별자를 검색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도 7에서는 PIN이 인증된 후, 결제관련정보가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PIN 인증 전에 결제관련정보도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결제관련정보와 결제카드정보는 함께 전송될 수도 있고, 각각 전송될 수도 있다. 그리고, PIN 인증에 실패하면,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이동통신 단말(300)로 PIN 입력을 새로이 요청하거나, 이동통신 단말(300)로 카드 결제 실패를 알리며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금융사 서버(500)는 지불 게이트웨이(400)로부터 결제카드정보 및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한다. 금융사 서버(500)는 카드 회원별 등록된 결제카드에 대한 정보를 가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카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른 승인 여부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금융사 서버(500)는 수신된 결제카드정보 및 결제관련정보를 각각 자사의 회원자료 또는 가맹점 자료와 비교하여 결제카드 이용자와 가맹점 간에 발생하는 거래가 타당한지를 확인한다. 이때, 수신된 결제카드정보에 결제카드 고유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단지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에 대한 정보만 존재한다 하더라도, 데이터베이스에 이미 결제카드별 고유 식별자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므로, 금융사 서버(500)는 카드 거래 승인 처리를 유효하게 수행할 수 있다. 금융사 서버(500)는 결제카드 이용자와 가맹점 간에 발생하는 거래가 타당한 경우에 거래 승인을 위한 승인번호를 생성하고(S745), 생성된 승인번호를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S750).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금융사 서버(500)로부터 승인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승인번호를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한다(S755). 또한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승인번호를 가맹점 단말(100)로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승인번호를 중계 장치(200)로도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승인번호를 중계 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해, 중계 장치(200)의 IP 주소 등을 알아야 하는데, 이는 중계 장치(200)에서 결제관련정보와 함께 이동통신 단말(300)에 전달하고, 다시 이동통신 단말(300)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달함에 의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과 지불 게이트웨이 및 금융사 서버 간에 수행되는 카드 결제를 위한 절차도이다.
이동통신 단말(300)은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결제카드 리스트를 요청한다(S800). 그러나 이 요청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결제카드 리스트 요청에 따라 혹은 요청이 없이도, 해당 회원의 결제관련정보 중 일부인 결제카드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결제카드 리스트를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한다(S805). 이때,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해당 회원의 결제카드별 부여된 고유 식별자를 더 검색하여 결제카드 리스트와 함께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참고로, S800 ~ S805 과정은 도 5의 S530 ~ S540 과정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그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단말(300)은 지불 게이트웨이(400)로부터 결제카드 리스트를 수신하고, 그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S8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제카드 리스트는 회원 소유의 결제카드명칭에 대한 리스트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 화면을 통해 원하는 결제카드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300)은 지불 게이트웨이로부터 결제카드 리스트를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300)의 메모리에 결제카드 리스트를 포함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300)은 지불 게이트웨이(400)로부터 결제카드 리스트를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에 저장된 결제카드 리스트를 읽어들여 화면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300)에 결제카드 리스트를 포함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전술한 S800 및 S805 과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다.
결제카드 리스트가 화면 표시된 이후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결제카드가 선택되면, 이동통신 단말(300)은 선택된 결제카드에 대한 PIN 입력을 요구한다. 그러나 PIN 입력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즉, 결제 프로세스에서 PIN 인증 절차가 없다면, PIN 입력 절차 또한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PIN 인증 절차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동통신 단말(30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결제카드정보를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S815).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되는 결제카드정보는 결제카드명칭이거나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이다. 그리고 PIN이 입력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300)은 입력된 PIN 또한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S820). 또한 이동통신 단말(300)은 중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결제관련정보를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S825). 결제카드정보와 PIN 및 결제관련정보는 각각 전송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는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결제카드정보와 PIN 및 결제관련정보를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한다(S830). 이때 전송되는 결제카드정보는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임이 바람직하다. 만일,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결제카드정보가 결제카드명칭이라면,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회원의 결제카드명칭에 해당하는 고유 식별자를 검색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금융사 서버(500)는 지불 게이트웨이(400)로부터 결제카드정보와 PIN 및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한다. 금융사 서버(500)는 수신된 PIN과 데이터베이스에 기등록된 해당 결제카드에 대한 PIN을 비교하여 인증한다(S835). 한편, 지불 게이트웨이(400)에서 금융사 서버(500)로의 결제관련정보 전송은 금융사 서버(500)에서 PIN이 인증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지불 게이트웨이(400)가 S835를 통해 PIN을 인증하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결제관련정보를 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라 지불 게이트웨이(400)가 결제관련정보를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하는 것이다.
S835를 통해 PIN 인증이 성공하면, 금융사 서버(500)는 카드 회원별 등록된 결제카드에 대한 정보를 가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카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른 승인 여부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금융사 서버(500)는 수신된 결제카드정보 및 결제관련정보를 각각 자사의 회원자료 또는 가맹점 자료와 비교하여 결제카드 이용자와 가맹점 간에 발생하는 거래가 타당한지를 확인한다. 이때, 수신된 결제카드정보에 결제카드 고유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단지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에 대한 정보만 존재한다 하더라도, 데이터베이스에 이미 결제카드별 고유 식별자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므로, 금융사 서버(500)는 카드 거래 승인 처리를 유효하게 수행할 수 있다. 금융사 서버(500)는 결제카드 이용자와 가맹점 간에 발생하는 거래가 타당한 경우에 거래 승인을 위한 승인번호를 생성하고(S840), 생성된 승인번호를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S845).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금융사 서버(500)로부터 승인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승인번호를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한다(S850). 또한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승인번호를 가맹점 단말(100)로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승인번호를 중계 장치(200)로도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승인번호를 중계 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해, 중계 장치(200)의 IP 주소 등을 알아야 하는데, 이는 중계 장치(200)에서 결제관련정보와 함께 이동통신 단말(300)에 전달하고, 다시 이동통신 단말(300)이 지불 게이트웨이(400)로 전달함에 의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이동통신 단말(300)이 지불 게이트웨이(400)와 연동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이동통신 단말(300)이 금융사 서버(500)와 직접 연동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일 수도 있다. 즉, 지불 게이트웨이(400)의 역할을 금융사 서버(500)가 직접 수행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도 1에서 지불 게이트웨이(400)는 생략되고 이동통신 단말(300)과 금융사 서버(500)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통신 연결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가맹점 단말 200 : 중계 장치
210 : 통신부 220 : 저장부
230 : 제어부 240 : 표시부
250 : 입력부 260 : 인쇄부
300 : 이동통신 단말 310 : 입력부
320 : 표시부 330 : 저장부
340 : 통신부 350 : 음성 입출력부
360 : 제어부 400 : 지불 게이트웨이
410 : 통신부 420 : 데이터베이스
430 : 제어부 500 : 금융사 서버

Claims (38)

  1. 가맹점 식별자 및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관련정보를 전송하는 가맹점 단말; 및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며,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를 위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결제관련정보를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중계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테이블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상기 가맹점 단말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카드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결제관련정보 및 상기 카드결제승인정보를 포함하는 매출전표를 인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
  4.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저장부; 및
    고객 이동통신 단말의 카드 결제 수행을 위해 필요한 결제관련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를 위한 중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할 상기 결제관련정보는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를 위한 중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매출전표 인쇄를 위한 인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카드결제승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관련정보 및 상기 카드결제승인정보를 포함하는 매출전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매출전표 데이터가 반영된 매출전표가 인쇄되도록 상기 인쇄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를 위한 중계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관련정보에는 가맹점 식별자 및 결제 금액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를 위한 중계 장치.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 표시를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객의 확인을 위해 상기 결제관련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를 위한 중계 장치.
  9.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키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한 특정 키 입력에 따라 상기 결제관련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를 위한 중계 장치.
  10.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수단을 갖는 통신부; 및
    카드 결제 승인 요청을 위해, 결제카드정보와 중계 장치로부터 획득된 결제관련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용 이동통신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관련정보에는 가맹점 식별자 및 결제 금액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용 이동통신 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카드정보는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이거나 결제카드명칭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용 이동통신 단말.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카드정보와 상기 결제관련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금융사 서버로 전송하거나 지불 게이트웨이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용 이동통신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 및
    정보 표시를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 소유인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며,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 중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하나의 결제카드정보를 상기 금융사 서버 또는 상기 지불 게이트웨이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용 이동통신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 정보를 상기 금융사 서버 또는 상기 지불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용 이동통신 단말.
  16.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수단을 갖는 통신부;
    회원별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가맹점 식별자 및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관련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해당 결제카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결제카드정보와 상기 수신된 결제관련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해당 금융사 서버로 전송하여 카드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카드 결제를 위한 지불 게이트웨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사 서버로 전송되는 결제카드정보는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카드 결제를 위한 지불 게이트웨이.
  18.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수단을 갖는 통신부;
    회원별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하나의 결제카드정보 및 가맹점 식별자와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관련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해당 금융사 서버로 전송하여 카드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카드 결제를 위한 지불 게이트웨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결제카드정보는 그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이거나 결제카드명칭이며, 상기 금융사 서버로 전송되는 결제카드정보는 그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카드 결제를 위한 지불 게이트웨이.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결제 프로그램 실행시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카드 결제를 위한 지불 게이트웨이.
  21. 가맹점 단말로부터 가맹점 식별자 및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결제관련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결제관련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단계; 및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를 위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결제관련정보를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지원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관련정보에 대응하는 카드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관련정보 및 상기 카드결제승인정보를 포함하는 매출전표를 인쇄하는 단계; 및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지원 방법.
  23. 사용자로부터 결제금액을 입력받는 단계; 및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를 위해, 가맹점 식별자와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관련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지원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식별자를 입력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지원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식별자는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지원 방법.
  26. 중계 장치로부터 가맹점 식별자 및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 소유인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카드 결제 승인 요청을 위해, 상기 표시된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결제카드정보와 상기 결제관련정보를 지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카드 결제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사용자 소유인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지불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를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카드 결제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결제카드에 대한 인증코드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입력된 인증코드를 상기 지불 게이트웨이로 더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카드 결제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에서 상기 결제카드정보의 전송과 상기 결제관련정보의 전송은 각각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카드 결제 방법.
  30. 제2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게이트웨이로 전송되는 결제관련정보는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이거나 결제카드명칭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카드 결제 방법.
  31. 카드 결제하고자 하는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가맹점 식별자 및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관련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회원의 결제카드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결제관련정보 및 상기 검색된 결제카드정보를 해당 금융사 서버로 전송하여 카드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불 게이트웨이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지원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발생 금융사 서버로 전송되는 결제카드정보는 그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불 게이트웨이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지원 방법.
  33. 카드 결제하고자 하는 회원 소유의 결제카드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를 상기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결제카드정보 중 상기 회원에 의해 선택된 결제카드정보와, 가맹점 식별자 및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결제카드정보 및 결제관련정보를 해당 금융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불 게이트웨이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지원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결제카드정보와 상기 결제관련정보는 각각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불 게이트웨이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지원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되는 결제카드정보에는 결제카드 리스트가 포함되며, 상기 금융사 서버로 전송되는 결제카드정보는 그 결제카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불 게이트웨이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지원 방법.
  36.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금융사 서버에서의 인증을 위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선택된 결제카드에 대한 인증코드를 상기 금융사 서버로 더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불 게이트웨이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지원 방법.
  37.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선택된 결제카드에 대한 인증코드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관련정보는 상기 인증이 성공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불 게이트웨이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지원 방법.
  38.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선택된 결제카드에 대한 인증코드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융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이 성공되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불 게이트웨이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지원 방법.
KR1020110014641A 2011-02-18 2011-02-18 중계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카드 결제를 위한 방법 KR101195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641A KR101195182B1 (ko) 2011-02-18 2011-02-18 중계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카드 결제를 위한 방법
CN201810862955.6A CN109102275A (zh) 2011-02-18 2012-02-17 卡结算系统和中继装置及其卡结算协助方法
US13/985,969 US20130325712A1 (en) 2011-02-18 2012-02-17 Card payment system inclu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relay device, apparatuses in the system and method for card payment in the apparatuses
PCT/KR2012/001222 WO2012112005A2 (ko) 2011-02-18 2012-02-17 중계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카드 결제를 위한 방법
CN2012800092784A CN103380435A (zh) 2011-02-18 2012-02-17 包括中继装置和移动通信终端的卡结算系统和该系统所包括的装置及用于该装置中执行的卡结算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641A KR101195182B1 (ko) 2011-02-18 2011-02-18 중계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카드 결제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143A true KR20120095143A (ko) 2012-08-28
KR101195182B1 KR101195182B1 (ko) 2012-10-29

Family

ID=46673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641A KR101195182B1 (ko) 2011-02-18 2011-02-18 중계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카드 결제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325712A1 (ko)
KR (1) KR101195182B1 (ko)
CN (2) CN109102275A (ko)
WO (1) WO2012112005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5162A1 (en) * 2012-12-27 2014-07-0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generating nfc-transaction remotely
KR20150088768A (ko) * 2015-07-13 2015-08-03 이도훈 기기와 생체 인증을 병용하는 중개 서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WO2017074146A3 (ko) * 2015-10-29 2018-03-08 천정서 난수와 지문 정보를 이용하는 보안 결제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90077074A (ko) * 2017-01-06 2019-07-02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지불 서비스 실행 시스템, 방법 및 디바이스
WO2021006477A1 (ko) * 2019-07-10 2021-01-14 주식회사 샵온에어 커넥터 장치의 결제 관리 방법 및 동일 방법을 수행하는 커넥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4355B2 (en) 2008-09-22 2017-11-21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Method of performing transactions with contactless payment devices using pre-tap and two-tap operations
US10706402B2 (en) 2008-09-22 2020-07-07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Over the air update of payment transaction data stored in secure memory
US8977567B2 (en) 2008-09-22 2015-03-10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Recordation of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 information
US20160132873A1 (en) * 2013-06-14 2016-05-12 Point Of Pay Pty Ltd Secure data entry and display for a communication device
FR3023663B1 (fr) * 2014-07-11 2016-08-05 Sagemcom Broadband Sas Passerelle residentielle relais entre un dispositif terminal et un serveur
WO2016129863A1 (en) 2015-02-12 2016-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ymen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5933891B (zh) * 2015-02-27 2021-03-16 三星电子株式会社 使用电子设备提供卡服务的方法和装置
WO2016137277A1 (en) 2015-02-27 2016-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providing electronic payment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60459B1 (ko) 2015-02-27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를 이용한 카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EP3062270B1 (en) * 2015-02-27 2021-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rd service using electronic device
US10193700B2 (en) 2015-02-27 2019-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ust-zone-based end-to-end security
US9936337B2 (en) 2015-05-23 2018-04-03 Square, Inc. Tuning a NFC antenna of a device
US11410154B2 (en) 2015-06-05 2022-08-09 Block, Inc.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payment proxy information
US10482440B1 (en) 2015-09-18 2019-11-19 Square, Inc. Simulating NFC experience
US10861003B1 (en) * 2015-09-24 2020-12-08 Square, Inc.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coupling system
EP3262584A1 (en) * 2016-02-04 2018-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providing electronic payment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80055209A (ko) * 2016-11-16 2018-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대리 장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JP6837875B2 (ja) * 2017-03-13 2021-03-03 セイコ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決済処理システム及び決済端末
US11182770B1 (en) 2018-12-12 2021-11-23 Squ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nsing locations of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s
US11138486B1 (en) 2019-09-20 2021-10-05 Wells Fargo Bank N.A. Cardholder sleeve with selectable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ies
US11176334B1 (en) 2019-10-16 2021-11-16 Wells Fargo Bank, N.A. Cardholder sleeve and near-field communication proxy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integrated circuit chip card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7067A (en) * 1994-02-22 1996-11-19 Comsonics, Inc. Data acquisition and storage system for telecommunication equipment to facilitate alignment and realignment of the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US6282522B1 (en) * 1997-04-30 2001-08-28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Internet payment system using smart card
US5903881A (en) * 1997-06-05 1999-05-11 Intuit, Inc. Personal online banking with integrated online statement and checkbook user interface
US6296205B1 (en) * 1999-03-11 2001-10-02 Aeroastro, Inc. RF inspection satellite
US6308201B1 (en) * 1999-04-08 2001-10-23 Palm, Inc.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ata among a plurality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s
US6648222B2 (en) * 1999-06-02 2003-11-18 Mcdonald Ian Internet-based zero intrinsic value smart card with value data accessed in real time from remote database
US20010037290A1 (en) * 2000-02-24 2001-11-01 Tony Lai Method and system for secured web-based escrowed transactions
CN100492420C (zh) * 2000-03-16 2009-05-27 哈瑞克思信息科技公司 光学支付发射机
US6362772B1 (en) * 2000-05-27 2002-03-26 Loral Spacecom Corporation Transponder plot system and method
US7540015B2 (en) * 2001-05-11 2009-05-26 Privacy Shield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privacy in internet transactions and communications
US20030046231A1 (en) * 2001-08-31 2003-03-06 Robert Wu Access terminal for telecommunication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services
KR20030033876A (ko) * 2001-10-25 2003-05-01 주식회사 세이브코리아 인터넷과 휴대폰을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67211B1 (ko) * 2001-11-24 2005-01-24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휴대형 중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US20070174141A1 (en) * 2004-07-09 2007-07-26 Shokei Suda Buyer terminal, buying representative method, consignment buying system and consignment buying method
CN101018130B (zh) * 2007-02-15 2010-09-08 物方恒德(北京)投资咨询有限公司 金融业务系统及金融业务处理方法
EP2075751A1 (fr) * 2007-12-17 2009-07-01 Axalto S.A. Procédé pour communiquer depuis un terminal de transaction à un serveur, terminal, serveur et système électroniques correspondants
US20090193338A1 (en) * 2008-01-28 2009-07-30 Trevor Fiatal Reducing network and battery consumption during content delivery and playback
CN101499080A (zh) * 2008-02-01 2009-08-05 网秦无限(北京)科技有限公司 在移动终端上快捷获取信息服务的方法和系统
KR101136507B1 (ko) * 2008-09-23 2012-04-17 주식회사 솔버스 카드결제 중계 시스템
WO2010036014A2 (ko) * 2008-09-23 2010-04-01 주식회사 솔버스 카드결제 중계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카드결제 단말 장치
KR20100060707A (ko) * 2008-11-28 2010-06-07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구매자에 의한 결제 승인, 정산 및 멤버십가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1420311B (zh) * 2008-11-28 2011-10-05 中国移动通信集团四川有限公司 一种电信级支付结算网关系统
CN101567110A (zh) * 2009-05-26 2009-10-28 杨敏耀 一种消费者进行社会化零现金支付的方法和系统
KR20100128404A (ko) *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잉스랜드 매장의 고객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20631A (ko) * 2010-10-28 2010-11-16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구매자에 의한 결제 승인, 정산 및 멤버십가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5162A1 (en) * 2012-12-27 2014-07-0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generating nfc-transaction remotely
US10750340B2 (en) 2012-12-27 2020-08-1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generating NFC-transaction remotely
KR20150088768A (ko) * 2015-07-13 2015-08-03 이도훈 기기와 생체 인증을 병용하는 중개 서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WO2017074146A3 (ko) * 2015-10-29 2018-03-08 천정서 난수와 지문 정보를 이용하는 보안 결제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90077074A (ko) * 2017-01-06 2019-07-02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지불 서비스 실행 시스템, 방법 및 디바이스
WO2021006477A1 (ko) * 2019-07-10 2021-01-14 주식회사 샵온에어 커넥터 장치의 결제 관리 방법 및 동일 방법을 수행하는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2005A2 (ko) 2012-08-23
KR101195182B1 (ko) 2012-10-29
CN103380435A (zh) 2013-10-30
WO2012112005A3 (ko) 2012-11-22
CN109102275A (zh) 2018-12-28
US20130325712A1 (en)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182B1 (ko) 중계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카드 결제를 위한 방법
US11232437B2 (en) Transaction token issuing authorities
US11010747B2 (en) Processing a transaction using multiple application identifiers
US9639837B2 (en) Transaction token issuing authorities
JP6128565B2 (ja) 取引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90066089A1 (en) Secure transactions using digital barcodes
US10445724B2 (en) System for performing payment in mobile terminal
CA2898205C (en) Transaction token issuing authorities
US11887105B2 (en) Transaction token issuing authorities
JP2014513825A5 (ko)
KR20210056436A (ko) 고객 개시 지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58046A1 (en) Method for managing a transaction
JP2023057160A (ja) 取引支援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KR101413971B1 (ko) Otp 카드를 이용한 본인인증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1067B1 (ko) 브이오아이피 단말을 통한 온라인 티켓 예약(또는 예매)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42716A (ko) 입금내역 조회 기능이 구비된 결제단말과 결제단말을 이용한 입금내역 조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