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901A - 프로필렌/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멜트블로운 섬유로부터 형성된 코폼 부직 웹 - Google Patents

프로필렌/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멜트블로운 섬유로부터 형성된 코폼 부직 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901A
KR20120094901A KR1020127006638A KR20127006638A KR20120094901A KR 20120094901 A KR20120094901 A KR 20120094901A KR 1020127006638 A KR1020127006638 A KR 1020127006638A KR 20127006638 A KR20127006638 A KR 20127006638A KR 20120094901 A KR20120094901 A KR 20120094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nonwoven web
weight
fibers
co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빗 엠 잭슨
마이클 에이 슈미트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7589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9490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20094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1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ontaining granules other than absorbent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forming webs during fibre formation, e.g. flash-spinn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Melt-blown non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멜트블로운 섬유 및 흡수 물질의 매트릭스를 함유하는 코폼 부직 웹이 제공된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특정 단량체 함량, 밀도, 용융 유속 등을 갖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특정 유형의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선택은 생성된 조성물에 코폼 웹을 형성하기 위한 개선된 열 성질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조성물은 비교적 느린 속도로 결정화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형성 동안에 섬유가 약간 점착성을 가진 채로 잔류시킨다. 이러한 점착성은 다양한 이익을 제공하고, 예컨대 코폼 웹 형성 동안에 멜트블로운 섬유가 흡수 물질에 부착하는 능력을 증진시킨다.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코폼 웹에 또한 3차원 형성 표면을 이용해서 텍스처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는, 멜트블로운 섬유의 느린 결정화 속도가 3차원 형성 표면의 윤곽과 합치하는 그의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일단 섬유가 결정화하면, 멜트블로운 섬유는 통상의 폴리프로필렌과 유사한 강성도를 달성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멜트블로운 섬유가 그의 3차원 모양을 유지하고 코폼 웹에 고도로 텍스처된 표면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프로필렌/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멜트블로운 섬유로부터 형성된 코폼 부직 웹 {COFORM NONWOVEN WEB FORMED FROM MELTBLOWN FIBERS INCLUDING PROPYLENE/ALPHA-OLEFIN}
멜트블로운 섬유 및 흡수 물질(예: 펄프 섬유)의 매트릭스의 복합체인 코폼 부직 웹은 흡수용품, 흡수성 마른 와이프, 젖은 와이프 및 몹(mop)을 포함해서 매우 다양한 용도의 흡수층으로 이용되었다. 대부분의 통상의 코폼 웹은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로부터 형성된 멜트블로운 섬유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코폼 물질이 때때로 경험하는 한가지 문제는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섬유가 흡수 물질과 쉽게 결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생성되는 웹이 충분히 강하도록 보증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비교적 높은 백분율의 멜트블로운 섬유를 이용해서 멜트블로운 섬유의 교차점에서 결합 정도를 증진시킨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높은 백분율의 멜트블로운 섬유의 사용은 그 결과로 생기는 코폼 웹의 흡수도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통상의 코폼 웹이 때때로 경험하는 또 다른 문제는 텍스처된 표면 형성 능력과 관련 있다. 예를 들어, 텍스처된 표면은 멜트블로운 섬유를 3차원 표면 윤곽을 갖는 유공성 표면과 접촉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코폼 웹의 경우, 상대적으로 멜트블로운 섬유가 유공성 표면의 3차원 윤곽과 합치할 수 없기 때문에 때때로 요망되는 텍스처를 달성하기가 어렵다.
이러해서, 현재, 다양한 용도에 이용하기 위한 개선된 코폼 부직 웹이 필요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멜트블로운 섬유 및 흡수 물질의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코폼 부직 웹이 게재된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약 60 몰% 내지 약 99.5 몰%의 프로필렌 함량 및 약 0.5 몰% 내지 약 40 몰%의 α-올레핀 함량을 갖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추가로, 공중합체는 약 0.86 내지 약 0.90 g/㎤의 밀도를 가지고, 열가소성 조성물은 ASTM 시험 방법 D1238-E에 따라서 230℃에서 측정된 약 200 내지 약 6000 g/10분의 용융 유속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흡수 물질의 스트림과 멜트블로운 섬유의 스트림을 융합하여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코폼 부직 웹의 형성 방법이 게재된다. 이어서, 복합 스트림을 형성 표면 상에 수집해서 코폼 부직 웹을 형성한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측면을 아래에서 더 상세히 기술한다.
당업계 보통의 기술자를 겨냥한 최선의 양태를 포함해서 본 발명에 대한 충분하고 완전한 게재 내용을 첨부 도면을 언급하는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폼 웹의 형성 방법의 한 실시양태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장치의 특정 특징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형성된 텍스처된 코폼 부직 웹의 한 실시양태의 단면도.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 부호의 반복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 또는 유사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는 것을 의도한다.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직 웹"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편직포에서처럼 식별가능한 방식이 아닌 방식으로 얽혀진 개개의 섬유 또는 실의 구조를 갖는 웹을 의미한다. 적당한 부직포 또는 부직 웹의 예는 멜트블로운 웹, 스펀본드 웹, 본디드 카디드 웹, 에어레이드 웹, 코폼 웹, 수얽힘 웹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멜트블로운 웹"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다수의 미세하고 보통은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해 용융된 섬유로서 수렴 고속 기체(예: 공기) 스트림 안으로 압출하고 이 기체 스트림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섬유를 가늘게 하여 그의 직경을 마이크로섬유 직경이 될 수 있도록 감소시키는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부직 웹을 의미한다. 이어서,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기체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어 수집 표면 위에 침착되어서 랜덤하게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웹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부틴(Butin) 등의 미국 특허 제3,849,241호에 게재되어 있고, 이 특허는 모든 목적으로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멜트블로운 섬유는 실질적으로 연속 또는 불연속이고, 일반적으로 10 ㎛ 미만의 직경을 가지고, 수집 표면에 침착될 때 일반적으로 점착성인 마이크로섬유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스펀본드 웹"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작고 실질적으로 연속인 섬유를 함유하는 웹을 의미한다. 이 섬유는 예를 들어 유도적(eductive) 연신 및/또는 다른 잘 알려진 스펀본딩 메카니즘에서처럼,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방사구의 다수의 미세하고 보통은 원형인 모세관으로부터 압출시킨 후 압출된 섬유의 직경을 급속히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스펀본드 웹의 제조는 예를 들어 애펠(Appel) 등의 미국 특허 제4,340,563호, 도르쉬너(Dorschner) 등의 미국 특허 제3,692,618호, 마추키(Matsuki) 등의 미국 특허 제3,802,817호, 키니(Kinney)의 미국 특허 제3,338,992호, 키니의 미국 특허 제3,341,394호, 하르트만(Hartman)의 미국 특허 제3,502,763호, 레비(Levy)의 미국 특허 제3,502,538호, 도보(Dobo) 등의 미국 특허 제3,542,615호, 및 파이크(Pike) 등의 미국 특허 제5,382,400호에서 기술되고 예시되며, 이들 특허는 모든 목적으로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스펀본드 섬유는 그것이 수집 표면 상에 침착될 때는 일반적으로 점착성이 없다. 스펀본드 섬유는 때때로 약 40 ㎛ 미만의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종종 약 5 내지 약 20 ㎛의 직경을 갖는다.
상세한 설명
이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고, 이들 실시양태의 하나 이상의 예를 아래에서 밝힌다. 각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사실상,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경 및 변화를 가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계 보통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의 일부로서 도시되거나 또는 기술된 특징을 또 다른 실시양태에 이용해서 추가의 실시양태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러한 변경 및 변화를 망라하는 것을 의도한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본 발명은 멜트블로운 섬유 및 흡수 물질의 매트릭스를 함유하는 코폼 부직 웹에 관한 것이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특정 단량체 함량, 밀도, 용융 유속 등을 갖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특정 유형의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선택은 생성된 조성물에 코폼 웹을 형성하기 위한 개선된 열 성질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조성물은 비교적 느린 속도로 결정화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형성 동안에 섬유가 약간 점착성을 가진 채로 잔류시킨다. 이러한 점착성은 다양한 이익을 제공하고, 예컨대 웹 형성 동안에 멜트블로운 섬유가 흡수 물질에 부착하는 능력을 증진시킨다. 또한, 부분적으로는 증진된 결합 능력 때문에, 이전에 응집성 자기 지지형 코폼 구조 형성에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것보다 적은 양의 멜트블로운 섬유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멜트블로운 섬유는 코폼 웹의 약 2 중량% 내지 약 40 중량%,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4 중량% 내지 약 30 중량%,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5 중량% 내지 약 20 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흡수 물질은 코폼 웹의 약 60 중량% 내지 약 98 중량%,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70 중량% 내지 약 96 중량%,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80 중량% 내지 약 95 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멜트블로운 섬유의 결합 능력을 증진하는 것 이외에도,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조성물은 생성되는 코폼 구조에 다른 이익을 부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예를 들어, 코폼 웹에 3차원 형성 표면을 이용해서 텍스처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는, 멜트블로운 섬유의 비교적 느린 결정화 속도가 3차원 형성 표면의 윤곽과 합치하는 그의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일단 섬유가 결정화하면, 멜트블로운 섬유는 통상의 폴리프로필렌과 유사한 강성도를 달성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멜트블로운 섬유가 그의 3차원 모양을 유지하고 코폼 웹에 고도로 텍스처된 표면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형성 동안에 섬유가 장기간에 걸쳐 점착성을 가지는 것의 또 다른 이익은 다겹 코폼 부직 웹 층들 사이의 증가된 겹 부착 강도일 수 있고, 그 결과, 겹을 탈적층하는 데 추가의 전단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러한 증가된 겹 부착 강도는 시트 특성, 예컨대 두께 및 밀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엠보싱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없앨 수 있다. 증가된 겹 부착 강도는 다겹 코폼 부직 웹으로부터 제조된 와이퍼 분배 시에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본원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3차원 형성 표면을 이용함으로써 부여되는 텍스처는 겹 사이의 접촉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겹 부착 강도를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를 더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I. 열가소성 조성물
본 발명의 열가소성 조성물은 프로필렌 및 α-올레핀, 예컨대 C2-C20 α-올레핀, C2-C12 α-올레핀, 또는 C2-C8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하나 이상 함유한다. 적당한 α-올레핀은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C1-C3 알킬 분지쇄 또는 아릴기). 구체적인 예는 에틸렌, 부텐, 3-메틸-1-부텐, 3,3-디메틸-1-부텐, 펜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체를 갖는 펜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체를 갖는 헥센,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체를 갖는 헵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체를 갖는 옥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체를 갖는 노넨, 에틸, 메틸 또는 디메틸 치환 데센, 도데센, 스티렌 등을 포함한다. 특히 요망되는 α-올레핀 공단량체는 에틸렌, 부텐(예를 들어, 1-부텐), 헥센 및 옥텐(예를 들어, 1-옥텐 또는 2-옥텐)이다. 이러한 공중합체의 프로필렌 함량은 약 60 몰% 내지 약 99.5 몰%,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80 몰% 내지 약 99 몰%,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85 몰% 내지 약 98 몰%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α-올레핀 함량은 약 0.5 몰% 내지 약 40 몰%,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1 몰% 내지 약 20 몰%,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2 몰% 내지 약 15 몰%의 범위일 수 있다. α-올레핀 공단량체의 분포는 대표적으로 랜덤하고,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상이한 분자량 분율에 걸쳐서 균일하다.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는 α-올레핀의 길이 및 양의 함수일 수 있다. 즉, α-올레핀의 길이가 길고 α-올레핀의 양이 많을수록, 공중합체의 밀도는 낮아진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공중합체의 밀도가 높을수록 3차원 구조를 더 잘 보유할 수 있고, 공중합체의 밀도가 낮을수록 더 좋은 엘라스토머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텍스처와 신축성 사이에 최적 균형을 달성하기 위해, 보통,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약 0.86 g/㎤ 내지 약 0.90 g/㎤,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0.861 g/㎤ 내지 약 0.89 g/㎤,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0.862 g/㎤ 내지 약 0.88 g/㎤의 밀도를 갖도록 선택된다. 게다가, 열가소성 조성물의 밀도는 보통 약 0.86 g/㎤ 내지 약 0.94 g/㎤,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약 0.861 g/㎤ 내지 약 0.92 g/㎤,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약 0.862 g/㎤ 내지 약 0.90 g/㎤의 밀도를 갖도록 선택된다.
멜트블로운 섬유에 이용되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형성에는 일반적으로 어떠한 다양한 공지 기술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레핀 중합체는 자유 라디칼 또는 배위 촉매(예를 들어, 지글러-나타)를 이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는 단일 자리 배위 촉매, 예컨대 메탈로센 촉매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촉매계는 공단량체가 분자 사슬 내에 랜덤하게 분포되고 상이한 분자량 분율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포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생성한다. 메탈로센 촉매로 촉매된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다타(Datta) 등의 미국 특허 제7,105,609호, 다타 등의 미국 특허 제6,500,563호, 양(Yang) 등의 미국 특허 제5,539,056호, 및 레스코니(Resconi) 등의 미국 특허 제5,596,052호에서 기술되고, 이들 특허는 모든 목적으로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메탈로센 촉매의 예는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디클로라이드,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스칸디늄 클로라이드, 비스(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디클로라이드, 비스(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코발토센, 시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트리클로라이드, 페로센, 하프노센 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시클로펜타디에닐-1-플로우레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몰리브도센 디클로라이드, 니켈로센, 니오보센 디클로라이드, 루테노센, 티타노센 디클로라이드, 지르코노센 클로라이드 히드라이드, 지르코노센 디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해서 제조된 중합체는 대표적으로 좁은 분자량 범위를 갖는다. 예를 들어, 메탈로센 촉매로 촉매된 중합체는 4 미만의 다분산도 값(Mw/Mn), 조절된 단쇄 분지 분포, 및 조절된 이소탁틱도를 가질 수 있다.
특별한 실시양태에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멜트블로운 섬유를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50 중량% 이상,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약 60 중량% 이상,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약 75 중량% 이상을 구성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멜트블로운 섬유를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1 중량% 이상 약 49 중량% 미만, 특별한 실시양태에서는 약 1 중량% 이상 약 45 중량% 미만,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약 5 중량% 이상 약 45 중량% 미만, 다른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약 5 중량% 이상 약 35 중량% 미만을 구성한다. 물론, 다른 열가소성 중합체도 그것이 복합체의 요망되는 성질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멜트블로운 섬유를 형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멜트블로운 섬유는 다른 폴리올레핀(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멜트블로운 섬유는 추가의 프로필렌 중합체, 예컨대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추가의 프로필렌 중합체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약 10 중량% 이하의 다른 단량체를 함유하는, 즉 약 90 중량% 이상의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은 그래프트,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약 110℃ 초과,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115℃ 초과,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130℃ 초과의 날카로운 용융점을 가진다는 점에서 주로 결정성일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폴리프로필렌의 예는 다타 등의 미국 특허 제6,992,159호에서 기술되고, 이 특허는 모든 목적으로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특별한 실시양태에서, 추가의 중합체(들)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약 0.5 중량% 내지 약 40 중량%, 다른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약 1 중량% 내지 약 30 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9 중량%,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약 60 중량% 내지 약 99.5 중량%, 다른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약 75 중량% 내지 약 99 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추가의 중합체(들)는 약 50 중량% 초과, 특별한 실시양태에서는 약 50 중량% 내지 약 99 중량%, 선택된 실시양태에서는 약 55 중량% 내지 약 99 중량%,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약 55 중량% 내지 약 95 중량%, 다른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약 65 중량% 내지 약 95 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49 중량% 미만, 특별한 실시양태에서는 약 1 중량% 내지 약 49 중량%, 선택된 실시양태에서는 약 1 중량% 내지 약 45 중량%,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약 5 중량% 내지 약 45 중량%, 다른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약 5 중량% 내지 약 35 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멜트블로운 섬유를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열가소성 조성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은 다른 첨가제, 예컨대 용융 안정화제, 가공 안정화제, 열 안정화제, 빛 안정화제, 항산화제, 열 노화 안정화제, 증백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포스파이트 안정화제(예를 들어,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Ciba Specialty Chemicals; 미국 뉴욕주 테리타운)로부터 입수가능한 이가포스(IRGAFOS) 및 도버 케미칼 코포레이션(Dover Chemical Corp.; 미국 오하이오주 도버)로부터 입수가능한 도버포스(DOVERPHOS))가 예시적인 용융 안정화제이다. 추가로, 힌더드 아민 안정화제(예를 들어,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로부터 입수가능한 시마소브(CHIMASSORB))가 예시적인 열 및 빛 안정화제이다. 게다가, 힌더드 페놀이 항산화제로 흔히 사용된다. 일부 적당한 힌더드 페놀은 "이가녹스(등록상표)"(Irganox®)라는 상표명으로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로부터 입수가능한 것들, 예컨대 이가녹스(등록상표) 1076, 1010 또는 E201을 포함한다. 이러한 첨가제(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등)가 이용될 때, 이러한 첨가제는 각각 멜트블로운 섬유를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0.001 중량% 내지 약 15 중량%,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0.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특정 중합체 및 그의 함량의 선택을 통해서, 얻어지는 열가소성 조성물은 멜트블로운 웹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보다 우수한 열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조성물은 본래 멜트블로운 웹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보다 더 비결정성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열가소성 조성물의 "반결정화 시간", 즉 물질의 1/2이 결정성이 되는 데 요구되는 시간으로 측정되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결정화 속도가 더 느리다. 예를 들어, 대표적으로, 열가소성 조성물은 125℃의 온도에서 측정된 약 5분 초과,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5.25분 내지 약 20분,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5.5분 내지 약 12분의 반결정화 시간을 갖는다. 대조적으로, 통상의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종종 5분 이하의 반결정화 시간을 갖는다. 게다가, 열가소성 조성물은 약 100℃ 내지 약 250℃,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110℃ 내지 약 200℃,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140℃ 내지 약 180℃의 용융 온도("Tm")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조성물은 약 50℃ 내지 약 150℃,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80℃ 내지 약 140℃,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100℃ 내지 약 120℃의 결정화 온도("Tc")( 10℃/분의 냉각 속도에서 결정함)를 가질 수 있다. 반결정화 시간, 용융 온도 및 결정화 온도는 당업계 보통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아래에서 더 상세히 기술하는 시차 주사 열량법("DSC")을 이용해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융 유속은 얻어지는 멜트블로운 섬유의 성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어느 일정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용융 유속은 230℃에서 10분 이내에 2160 g의 힘을 받을 때 압출 레오미터 오리피스(직경: 0.0825 인치)를 강제로 통과될 수 있는 중합체의 중량(g)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용융 유속은 용융 가공성을 개선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높지만, 섬유와 흡수 물질의 결합 성질을 불리하게 손상시킬 정도로 높지는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부분의 실시양태에서, 열가소성 조성물은 ASTM 시험 방법 D1238-E에 따라서 측정된 10분 당 약 120 g 내지 약 6000 g,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10분 당 약 150 g 내지 약 3000 g,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10분 당 약 170 g 내지 약 1500 g의 용융 유속을 갖는다.
II. 멜트블로운 섬유
멜트블로운 섬유는 단성분 또는 다성분일 수 있다. 단성분 섬유는 일반적으로 단일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중합체 또는 중합체 블렌드로부터 형성된다. 다성분 섬유는 일반적으로 개별적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둘 이상의 중합체로부터 형성된다(예를 들어, 이성분 섬유). 중합체는 섬유의 단면 전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위치하는 뚜렷이 구별되는 대역에 배열될 수 있다. 성분들은 어떠한 요망되는 구성으로도 배열될 수 있고, 예컨대 쉬쓰-코어, 사이드-바이-사이드, 파이, 해도, 쓰리 아일랜드(three island), 불스아이(bull's eye),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다른 배열로 배열될 수 있다. 다성분 섬유를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타니구치(Taniguchi) 등의 미국 특허 제4,789,592호 및 스트랙(Strack) 등의 미국 특허 제5,336,552호, 카네코(Kaneko) 등의 미국 특허 제5,108,820호, 크루지(Kruege) 등의 미국 특허 제4,795,668호, 파이크(Pike) 등의 미국 특허 제5,382,400호, 스트랙(Strack) 등의 미국 특허 제5,336,552호, 및 마몬(Marmon) 등의 미국 특허 제6,200,669호에서 기술되고, 이들 특허는 모든 목적으로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불규칙 모양을 갖는 다성분 섬유도 예컨대 호글(Hogle) 등의 미국 특허 제5,277,976호, 힐스(Hills)의 미국 특허 제5,162,074호, 힐스의 미국 특허 제5,466,410호, 라그맨(Largman) 등의 미국 특허 제5,069,970호, 및 라그맨 등의 미국 특허 제5,057,36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고, 이들 특허는 모든 목적으로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III. 흡수 물질
일반적으로 코폼 부직 웹에는 어떠한 흡수 물질도 이용될 수 있고, 예컨대 흡수 섬유, 입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흡수 물질은 다양한 펄프화 방법에 의해 형성된 섬유, 예컨대 크라프트 펄프, 술파이트 펄프, 열기계적 펄프 등을 포함한다. 펄프 섬유는 길이 가중 평균 기준으로 1 ㎜ 초과, 특히 약 2 내지 5 ㎜의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연질 목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질 목재 섬유는 북부 연질 목재, 남부 연질 목재, 적색 목재, 붉은 삼나무, 솔송나무, 소나무(예를 들어, 남부 소나무), 가문비나무(예를 들어, 검은 가문비나무),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적당한 전형적인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펄프 섬유는 웨이어하우저 컴퍼니(Weyerhaeuser Co.; 미국 워싱턴주 페더럴 웨이)로부터 "웨이코 CF-405"(Weyco CF-405)라는 상표명으로 입수가능한 것들을 포함한다. 또한, 경질 목재 섬유, 예컨대 유칼립투스, 단풍나무, 자작나무, 사시나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유칼립투스 섬유가 웹의 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특히 요망될 수 있다. 또한, 유칼립투스 섬유는 백색도를 증진시킬 수 있고, 불투명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웹의 기공 구조를 변화시켜 그의 흡상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요망되면, 재활용 물질로부터 얻은 이차 섬유, 예를 들어 신문용지, 회수된 판지 및 사무용 폐물 같은 원천으로부터의 섬유 펄프가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다른 천연 섬유도 또한 이용될 수 있고, 예컨대 아바카, 사바이 그래스, 밀크위드 플로스, 파인애플 잎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일부 경우에서는, 합성 섬유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펄프 섬유 이외에 또는 펄프 섬유와 함께, 흡수 물질은 또한 섬유, 입자, 겔 등의 형태의 초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초흡수제는 0.9 중량%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그의 중량의 약 20배 이상, 일부 경우에는 그의 중량의 약 30배 이상을 흡수할 수 있는 수팽윤성 물질이다. 초흡수제는 천연, 합성 및 개질된 천연 중합체 및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합성 초흡수 중합체의 예는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메타크릴산)의 알칼리 금속 및 암모늄 염,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에테르), 비닐 에테르 및 알파-올레핀과의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모르폴리논), 폴리(비닐 알콜), 및 그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게다가, 초흡수제는 천연 및 개질된 천연 중합체, 예컨대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팅된 전분, 아크릴산 그래프팅된 전분, 메틸 셀룰로오스, 키토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천연 검, 예컨대 알기네이트, 크산탄 검, 로쿠스트콩 검을 포함한다. 또한, 천연 및 전부 또는 부분 합성 초흡수 중합체의 혼합물도 본 발명에 유용할 수 있다. 특히 적당한 초흡수 중합체는 하이소브(HYSORB) 8800AD(바스프(BASF; 미국 노쓰캐롤라이나주 샤로테)) 및 페이버(FAVOR) SXM 9300(데구사 슈퍼업소버(Degussa Superabsorber; 미국 노쓰캐롤라이나주 그린스보로))이다.
IV. 코폼 기술
본 발명의 코폼 웹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멜트블로운 다이 헤드(예: 2개)를 슈트 근처에 배열하고 웹이 형성되는 동안 이를 통해 흡수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러한 코폼 기술의 일부 예는 앤더슨(Anderson) 등의 미국 특허 제4,100,324호; 조저(Georger) 등의 미국 특허 제5,350,624호; 및 조저 등의 미국 특허 제5,508,102호, 뿐만 아니라 켁(Keck)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3/0200991호 및 던바(Dunbar)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049153호에 게재되어 있고, 이들 모든 문헌은 모든 목적으로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도 1에 대해 설명하면,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코폼 웹 형성 장치의 한 실시양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양태에서, 장치는 압출기 (14) 또는 (14') 각각의 펠렛 호퍼 (12) 또는 (12')를 포함하고, 이 호퍼 안으로 프로필렌/α-올레핀 열가소성 조성물이 도입될 수 있다. 각 압출기 (14) 및 (14')는 통상의 구동 모터(나타내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출 스크류(나타내지 않음)를 갖는다. 중합체가 압출기 (14) 및 (14')를 통해 전진할 때, 구동 모터에 의한 압출 스크류의 회전 때문에 중합체가 점진적으로 가열되어 용융 상태가 된다. 가열은 중합체가 압출기 (14) 및 (14')의 불연속 가열 대역을 통해 각각 2개의 멜트블로윙 다이 (16) 및 (18) 쪽으로 전진할 때 중합체의 온도가 점차 상승되는 다수의 불연속 단계로 달성될 수 있다. 멜트블로윙 다이 (16) 및 (18)는 열가소성 수지의 온도가 압출을 위해 상승된 수준에서 유지되는 또 다른 가열 대역일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것 같은 둘 이상의 멜트블로윙 다이 헤드가 이용될 때, 개개의 다이 헤드로부터 생성되는 섬유가 상이한 유형의 섬유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즉, 크기, 모양 또는 중합체 조성 중 하나 이상이 상이할 수 있고, 게다가, 섬유가 단성분 또는 다성분 섬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멜트블로윙 다이 헤드에 의해서는 더 큰 섬유, 예컨대 약 10 ㎛ 이상,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15 ㎛ 이상,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20 내지 약 50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섬유가 생성될 수 있는 반면, 제2 다이 헤드에 의해서는 더 작은 섬유, 예컨대 약 10 ㎛ 이하,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7 ㎛ 이하,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2 내지 약 6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섬유가 생성될 수 있다. 추가로, 각 멜트블로윙 다이 헤드로부터 얻어지는 코폼 부직 웹 물질의 기초중량의 상대 백분율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각 다이 헤드가 대략 동일한 양의 중합체를 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별법으로, 한 다이 헤드 또는 다른 한 다이 헤드가 기초중량의 면에서 코폼 웹의 대부분을 맡도록 상대 기초중량 생성이 편중되게 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한 특정한 예로서, 1.0 osy(ounce per square yard)(34 gsm(gram per square meter))의 기초중량을 갖는 멜트블로운 섬유 부직 웹 물질의 경우, 제1 멜트블로윙 다이 헤드가 멜트블로운 섬유 부직 웹 물질의 기초중량의 약 30%를 생성하고, 한편, 하나 이상의 다음 멜트블로윙 다이 헤드가 멜트블로운 섬유 부직 웹 물질의 기초중량의 나머지 70%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코폼 부직 웹의 전체 기초중량은 약 10 gsm 내지 약 350 gsm, 더 특히 약 17 gsm 내지 약 200 gsm, 더욱더 특히 약 25 gsm 내지 약 150 gsm이다.
각 멜트블로윙 다이 (16) 및 (18)는 한 다이 당 2개의 가늘어진 기체 스트림이 수렴해서 하나의 기체 스트림을 형성하고, 이 기체 스트림이 용융된 실 (20) 및 (21)이 각 멜트블로윙 다이의 작은 구멍 또는 오리피스 (24)를 나갈 때 용융된 실 (20) 및 (21)을 연행하여 가늘게 하도록 구성된다. 용융된 실 (20) 및 (21)은 보통 오리피스 (24)의 직경 미만의 작은 직경의 섬유, 또는 가늘기 정도에 따라서, 마이크로섬유로 형성된다. 따라서, 각 멜트블로윙 다이 (16) 및 (18)는 연행된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를 함유하는 상응하는 하나의 기체 스트림 (26) 및 (28)을 갖는다. 중합체 섬유를 함유하는 기체 스트림 (26) 및 (28)은 충돌 대역 (30)에서 수렴하도록 정렬된다. 대표적으로, 조저(Georger) 등의 미국 특허 제5,508,102호 및 제5,350,62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멜트블로윙 다이 헤드 (16) 및 (18)는 형성 표면에 대해 어느 일정 각도로 배열된다. 도 2에 대해 설명하면, 예를 들어, 멜트블로운 다이 (16) 및 (18)는 2개의 다이 (16) 및 (18)에 접하는 평면 "A"로부터 측정되는 각도 α로 배향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 "A"는 형성 표면 (58)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다(도 1). 대표적으로, 각 다이 (16) 및 (18)는 약 30°내지 약 75°,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35°내지 약 60°,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45°내지 약 55°의 범위의 각도로 설치된다. 다이 (16) 및 (18)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사실상, 코폼 웹의 텍스처는 실제로 한 다이를 또 다른 다이와 상이한 각도로 배향함으로써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에 대해 다시 설명하면, 흡수 섬유 (32)(예: 펄프 섬유)가 충돌 대역 (30)에서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 (20) 및 (21) 각각의 두 스트림 (26) 및 (28)에 첨가된다.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 (20) 및 (21) 각각의 두 스트림 (26) 및 (28)에 흡수 섬유 (32) 도입이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조합된 스트림 (26) 및 (28) 내에 흡수 섬유 (32)의 단계적 분포를 생성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흡수 섬유 (32)를 함유하는 이차 기체 스트림 (34)을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 (20) 및 (21)의 두 스트림 (26) 및 (28) 사이에 융합함으로써 세 기체 스트림이 모두 조절된 방식으로 수렴함으로써 달성된다. 멜트블로운 섬유 (20) 및 (21)는 형성 후 비교적 점착성이고 반용융된 채로 잔류하기 때문에, 그들은 흡수 섬유 (32)와 접촉할 때 흡수 섬유와 접착하고 그와 동시에 흡수 섬유와 얽혀서 응집성 부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섬유의 융합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통상의 장비도 이용될 수 있고, 예컨대, 흡수 섬유 매트 또는 배트 (40)를 개개의 흡수 섬유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이 (38)를 갖는 피커(picker) 롤 (36)의 배열이 이용될 수 있다. 섬유 (32)의 시트 또는 매트 (40)가 이용될 때, 그것은 롤러 배열 (42)에 의해 피커 롤 (36)에 공급된다. 피커 롤 (36)의 이 (38)가 섬유의 매트를 개별적인 흡수 섬유 (32)로 분리한 후, 개개의 섬유가 노즐 (44)을 통해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 스트림 쪽으로 운반된다. 하우징 (46)은 피커 롤 (36)을 에워싸고 하우징 (46)과 피커 롤 (36)의 이 (38) 표면 사이에 통로 또는 갭 (48)을 제공한다. 기체, 예를 들어, 공기가 기체 덕트 (50)를 통해 피커 롤 (36) 표면과 하우징 (48) 사이의 통로 또는 갭 (46)에 공급된다. 기체 덕트 (50)는 노즐 (44) 및 갭 (48)의 연접부 (52)에서 통로 또는 갭 (46)에 들어갈 수 있다. 기체는 흡수 섬유 (32)를 노즐 (44)을 통해 운반하기 위한 매질로 쓰이기에 충분한 양으로 공급된다. 또한, 덕트 (50)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는 피커 롤 (36)의 이 (38)로부터 흡수 섬유 (32)를 제거할 때 조제로 쓰인다. 기체는 예를 들어 공기 송풍기(나타내지 않음) 같은 어떠한 통상의 배열로도 공급될 수 있다. 흡수 섬유를 처리하기 위해 기체 스트림에 첨가제 및/또는 다른 물질이 첨가되거나 또는 연행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대표적으로 개개의 흡수 섬유 (32)는 대략 흡수 섬유 (32)가 피커 롤 (36)의 이 (38)를 떠나는 속도로 노즐 (44)을 통해 운반된다. 다시 말해서, 흡수 섬유 (32)가 피커 롤 (36)의 이 (38)를 떠나서 노즐 (44)에 들어갈 때, 흡수 섬유 (32)는 일반적으로 그것이 피커 롤 (36)의 이 (38)를 떠나는 지점으로부터 크기 및 방향에서 그의 속도를 유지한다. 이러한 배열은 앤더슨(Anderson) 등의 미국 특허 제4,100,324호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다.
요망되면, 이차 기체 스트림 (34)의 속도를 상이한 성질의 코폼 구조를 달성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 기체 스트림의 속도를 충돌 대역 (30)에서 접촉할 때의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 (20) 및 (21)의 각 스트림 (26) 및 (28)의 속도보다 크도록 조정할 때는, 흡수 섬유 (32)가 코폼 부직 웹에 구배 구조로 혼입된다. 즉, 흡수 섬유 (32)가 외부 표면에서보다 코폼 부직 웹의 외부 표면 사이에서 더 큰 농도를 갖는다. 한편, 이차 기체 스트림 (34)의 속도가 충돌 대역 (30)에서 접촉할 때의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 (20) 및 (21)의 각 스트림 (26) 및 (28)의 속도보다 작을 때는, 흡수 섬유 (32)가 코폼 부직 웹에 실질적으로 균질한 방식으로 혼입된다. 즉, 흡수 섬유의 농도가 코폼 부직 웹 전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것은 낮은 속도의 흡수 섬유 스트림이 높은 속도의 열가소성 중합체 스트림 내로 끌어당겨져서 난류 혼합이 증진되어 흡수 섬유의 일관된 분포가 초래되기 때문이다.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 (20), (21) 및 흡수 섬유 (32)의 복합 스트림 (56)을 코폼 부직 구조 (54)로 전환하기 위해, 복합 스트림 (56)의 경로에 수집 기구를 위치시킨다. 수집 기구는 도 1에서 화살표 (6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는 롤러 (60)에 의해 구동되는 형성 표면 (58)(예를 들어, 벨트, 드럼, 와이어, 직물 등)일 수 있다.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 및 흡수 섬유의 융합된 스트림을 형성 표면 (58)의 표면에 섬유의 응집성 매트릭스로서 수집하여 코폼 부직 웹 (54)을 형성한다. 요망되면, 진공 상자(나타내지 않음)를 이용해서 가까운 용융된 멜트블로운 섬유를 형성 표면 (58) 위로 끌어당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얻어진 텍스처된 코폼 구조 (54)는 응집성이고, 형성 표면 (58)으로부터 자기 지지형 부직 물질로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결코 상기 실시양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한 실시양태에서는, 예를 들어, 형성 표면의 이동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형성 표면을 실질적으로 가로질러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멜트블로윙 다이 헤드가 이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이 헤드는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로, 즉, 형성 표면과 직각을 이루게 배열될 수 있고, 따라서, 이렇게 생성된 멜트블로운 섬유를 형성 표면 위로 직접 불어 보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던바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049153호에서 더 상세히 기술한다. 게다가, 상기 실시양태들은 다수의 멜트블로윙 다이 헤드를 이용해서 상이한 크기의 섬유를 생성하지만, 하나의 다이 헤드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한 예는 예를 들어 라시그(Lassig)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136781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 문헌은 모든 목적으로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서는 텍스처된 코폼 웹을 형성하는 것이 요망된다. 다시 도 1에 대해 설명하면,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는 본래 유공성인 형성 표면 (58)을 이용하고, 따라서, 섬유가 표면의 개구를 통해서 끌어 당겨져서 형성 표면 (58)의 개구에 상응하는 물질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차원성 천 유사 터프트(tuft)를 형성할 수 있다. 유공성 표면은 섬유 중 일부가 침투하기에 충분한 개구를 제공하는 어떠한 물질로도 제공될 수 있고, 예컨대 고투과성 형성 와이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물질의 텍스처 또는 터프트를 변경하기 위해 와이어 제직 기하 및 가공 조건을 이용할 수 있다. 특정 선택은 요망되는 피크 크기, 모양, 깊이, 표면 터프트 "밀도"(즉, 단위 면적 당 피크 또는 터프트 수) 등에 의존할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어, 와이어는 약 35% 내지 약 65%,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40% 내지 약 60%,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45% 내지 약 55%의 개방 면적을 가질 수 있다. 한 전형적인 높은 개구 면적을 갖는 형성 표면은 알바니 인터내셔날 컴퍼니(Albany International Co.)(미국 뉴욕주 알바니)에 의해 제조된 형성 와이어 폼텍(등록상표)(FORMTECH™) 6이다. 이러한 와이어는 제곱 인치 당 약 6개 스트랜드 x 6개 스트랜드(제곱 센티미터 당 약 2.4개 스트랜드 x 2.4개 스트랜드)의 "메쉬 카운트"를 가지고, 즉, 결과적으로 제곱 인치 당 약 36개(제곱 센티미터 당 약 5.6개) 구멍 또는 "홀"(hole)이 생기고, 따라서, 물질에 제곱 인치 당 약 36개 터프트 또는 피크(제곱 센티미터 당 약 5.6개 피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폼텍(등록상표) 6은 약 1 ㎜ 폴리에스테르의 날실 직경, 약 1.07 ㎜ 폴리에스테르의 슈트 직경, 약 41.8 ㎥/분(1475 ft3/분)의 공칭 공기 투과도, 약 0.2 ㎝(0.08 인치)의 공칭 캘리퍼 및 약 51%의 개방 면적을 갖는다. 알바니 인터내셔날 컴퍼니로부터 입수가능한 또 다른 전형적인 형성 표면은 형성 와이어 폼텍(등록상표) 10이고, 이것은 제곱 인치 당 약 10개 스트랜드 x 10개 스트랜드(제곱 센티미터 당 약 4개 스트랜드 x 4개 스트랜드)의 메쉬 카운트를 가지고, 즉, 결과적으로 제곱 인치 당 약 100개 구멍 또는 "홀"(제곱 센티미터 당 약 15.5 개)이 생기고, 따라서 물질에 제곱 인치 당 약 100개 터프트 또는 피크(제곱 센티미터 당 약 15.5 개 피크)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적당한 형성 와이어는 폼텍(등록상표) 8이고, 이것은 47%의 개방 면적을 가지고 또한 알바니 인터내셔날로부터 입수가능하다. 물론, 다른 형성 와이어 및 표면(예를 들어, 드럼, 플레이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표면 변화는 번갈아 나타나는 제직 패턴, 번갈아 나타나는 스트랜드 치수, 이형 코팅(예를 들어, 실리콘, 불소 함유 화학물질 등), 정전기 소산 처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게다가,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적당한 유공성 표면은 던바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049153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용되는 특정 텍스처 부여 방법과 상관없이, 본 발명의 멜트블로운 섬유에 의해 형성된 터프트는 요망되는 모양 및 표면 윤곽을 더 잘 보유할 수 있다. 즉, 멜트블로운 섬유가 비교적 느린 속도로 결정화하기 때문에, 멜트블로운 섬유는 형성 표면에 침착될 때 연성이고, 이것은 멜트블로운 섬유가 표면 위에 걸쳐져서 표면의 윤곽과 합치할 수 있게 한다. 섬유가 결정화한 후, 이어서, 섬유는 모양을 유지하고 터프트를 형성할 수 있다. 얻어진 터프트의 크기 및 모양은 사용되는 형성 표면의 유형, 그 위에 침착된 섬유의 유형, 섬유를 형성 표면 위로 및 안으로 끌어당기는 데 이용되는 와이어 아래 공기 진공의 부피, 및 다른 관련 요인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터프트는 약 0.25 ㎜ 내지 약 5 ㎜ 이상,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0.5 ㎜ 내지 약 3 ㎜의 범위에서 물질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터프트는 섬유로 채워지고, 따라서 닦고 문지르는 데 유용한 바람직한 탄력성을 갖는다.
도 3은 제1 외부 표면 (122) 및 제2 외부 표면 (128)을 가지는 텍스처된 코폼 웹 (1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을 나타낸다. 외부 표면 중 하나 이상은 3차원 표면 텍스처된다. 도 3에서, 예를 들어, 제1 외부 표면 (122)은 코폼 물질의 평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터프트 또는 피크 (124)를 포함하는 3차원 표면 텍스처된다. 코폼 웹의 텍스처된 외부 표면(들)에서 3차원성의 크기를 나타내는 한 지시자는 전체 두께 "T"를 밸리 깊이 "D"로 나눈 비로 계산되는 피크 대 밸리 비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텍스처가 제공될 때, 코폼 웹은 대표적으로 약 5 이하,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0.1 내지 약 4,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0.5 내지 약 3의 피크 대 밸리 비를 갖는다. 터프트 (24)의 수 및 배열은 요망되는 최종 용도에 의존해서 폭넓게 다양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텍스처된 코폼 웹은 제곱 센티미터 당 약 2 내지 약 70개 터프트,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제곱 센티미터 당 약 5 내지 50개 터프트를 가질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텍스처된 코폼 웹은 제곱 미터 당 약 100 내지 약 20000개 터프트를 가질 것이고,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제곱 미터 당 약 200 내지 약 10000개 터프트를 가질 것이다. 또한, 텍스처된 코폼 웹은 웹의 제2 표면에 3차원 텍스처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이것은 "미러링"(mirroring) 때문에 더 낮은 기초중량을 갖는 물질, 예컨대, 약 70 gsm 미만의 기초중량을 갖는 물질의 경우에 적용될 것이고, 여기서는 물질의 제2 표면이 물질의 제1 외부 표면 상에 오프셋된 피크를 나타내거나 또는 물질의 제1 외부 표면의 피크 사이에서 피크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두 외부 표면에 대해 밸리 깊이 D를 측정하고 이어서 함께 더해서 전체 물질 밸리 깊이를 결정한다.
V. 용품
코폼 부직 웹은 매우 다양한 용품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은 물 또는 다른 유체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용품"에 혼입될 수 있다. 일부 흡수용품의 예는 개인 위생 흡수용품, 예컨대 기저귀, 배변 연습용 팬츠, 흡수 언더팬츠, 실금자용 용품, 여성 위생 제품(예를 들어, 생리대), 수영복, 아기 와이프, 미트 와이프 등; 의료용 흡수용품, 예컨대 가먼트, 개창 물질, 언더패드, 침대 패드, 붕대, 흡수 드레이프 및 의료용 와이프; 음식 서비스 와이퍼; 의류 용품; 파우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용품을 형성하는 데 적당한 물질 및 방법은 당업계 보통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한 특별한 실시양태에서, 코폼 웹은 와이프를 형성하는 데 이용된다. 와이프는 코폼 웹으로부터 전부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와이프는 다른 물질, 예컨대 필름, 부직 웹(예를 들어, 스펀본드 웹, 멜트블로운 웹, 카디드 웹 물질, 다른 코폼 웹, 에어레이드 웹 등), 종이 제품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는, 예를 들어, 코팩츠(Kopacz)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065643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텍스처된 코폼 웹 층 2개를 함께 적층해서 와이프를 형성할 수 있고, 이 문헌은 모든 목적으로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는, 층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본 발명의 코폼 웹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사용자 손과 와이프에 적용된 축축하게 하는 또는 흠뻑 적시는 액체 사이에 어느 일정 양의 분리를 제공하거나, 또는 와이프가 마른 와이퍼로서 제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손과 사용자가 닦아내고 있는 엎질러진 액체 사이에 분리를 제공하는 것이 요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추가의 부직 웹 또는 필름을 코폼 웹의 표면에 적층해서 물리적 분리를 제공하고/하거나 액체 차단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더 많은 엎질러진 액체를 흡수할 목적으로 또는 와이프에 더 큰 액체 용량을 제공할 목적으로 흡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른 섬유 웹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물질이 이용될 때, 그것은 당업계 보통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방법을 이용해서도 코폼 웹에 부착될 수 있고, 예컨대, 면대면 접촉 관계로 놓인 개개의 물질과 열 또는 접착제 적층 또는 결합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와이프를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물질 또는 방법과 상관없이, 와이프의 기초중량은 대표적으로 약 20 내지 약 200 gsm,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35 내지 약 100 gsm이다. 낮은 기초중량을 갖는 제품은 특히 경량(light duty) 와이프로 이용하기에 충분히 적합하고, 한편, 높은 기초중량을 갖는 제품은 산업용 와이프로 이용하도록 잘 구성될 수 있다.
와이프는 일반적으로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시각형 또는 불규칙 모양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개개의 와이프 각각을 접힘 구성으로 배열해서 차곡차곡 쌓아서 젖은 와이프의 스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접힘 구성은 당업계 보통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C형 접힘, Z형 접힘, 4등분 접힘 구성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와이프는 약 2.0 내지 약 80.0 ㎝,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10.0 내지 약 25.0 ㎝의 펼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와이프는 약 2.0 내지 약 80.0 ㎝,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약 10.0 내지 약 25.0 ㎝의 펼친 폭을 가질 수 있다. 접힌 와이프의 스택을 용기, 예컨대 플라스틱통 내부에 넣어서 궁극적으로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위한 와이프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별법으로, 와이프는 분배하기 위해 스택으로 배열될 수 있거나 또는 롤로 감길 수 있고 각 와이프 사이에 천공을 갖는 연속 스트립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적당한 분배기, 용기, 및 와이프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은 벅츠윈스키(Buczwinski) 등의 미국 특허 제5,785,179호; 잰더(Zander)의 미국 특허 제5,964,351호; 잰더의 미국 특허 제6,030,331호; 헤이네스(Haynes) 등의 미국 특허 제6,158,614호; 후앙(Huang) 등의 미국 특허 제6,269,969호; 후앙 등의 미국 특허 제6,269,970호; 및 뉴맨(Newman) 등의 미국 특허 제6,273,359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들 특허는 모든 목적으로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와이프는 그것이 세정, 살균, 소독 등을 위한 액체 용액을 함유한다는 점에서 "젖은" 또는 "미리 습하게 한" 와이프이다. 특정 액체 용액이 중요하지는 않고, 크르지식(Krzysik) 등의 미국 특허 제6,440,437호; 아먼드손(Amundson) 등의 미국 특허 제6,028,018호; 콜(Cole)의 미국 특허 제5,888,524호; 윈(Win) 등의 미국 특허 제5,667,635호; 및 코팩츠 등의 미국 특허 제5,540,332호에 더 상세히 기술되어 있고, 이들 문헌은 모든 목적으로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이용되는 액체 용액의 양은 이용되는 와이프 물질의 유형, 와이프 저장에 이용되는 용기의 유형, 세정 제제의 성질 및 와이프의 요망되는 최종 용도에 의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 와이프는 와이프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150 내지 약 60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300 내지 약 500 중량%의 액체 용액을 함유한다.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와 관련해서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시험 방법
용융 유속:
용융 유속("MFR")은 230℃에서 10분 이내에 2160 g의 하중을 받을 때 압출 레오미터 오리피스(직경: 0.0825 인치)를 통해 강제로 통과되는 중합체의 중량(g)이다. 달리 지시하지 않으면, 용융 유속은 ASTM 시험 방법 D1238-E에 따라서 측정한다.
열적 성질:
용융 온도, 결정화 온도, 및 반결정화 시간은 ASTM D-3417에 따라서 시차 주사 열량법(DSC)으로 측정한다. 시차 주사 열량계는 액체 질소 냉각 부속장치 및 유니버설 어낼러시스(UNIVERSAL ANALYSIS) 2000(버전 4.6.6) 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갖춘 DSC Q100 시차 주사 열량계이고, 둘 모두 티.에이.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T.A. Instruments Inc.)(미국 델라웨어주 뉴캐슬)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샘플을 직접적으로 취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핀셋 또는 다른 도구를 이용한다. 샘플을 알루미늄 팬에 넣어서 분석 저울로 0.01 ㎎까지의 정확도로 중량을 잰다. 팬 위의 물질 샘플 위에 뚜껑을 크림핑(crimping)하였다. 대표적으로, 수지 펠렛은 칭량 팬에 직접 놓고, 섬유는 칭량 팬에 놓고 뚜껑으로 덮을 수 있게 맞춰서 절단한다.
시차 주사 열량계는 인듐 금속 표준물을 이용해서 검정하고, 시차 주사 열량계의 작동 매뉴얼에 기술된 바와 같이 기저선 보정을 수행한다. 물질 샘플을 시험을 위해 시차 주사 열량계의 시험 챔버에 놓고, 빈 팬을 기준으로 이용한다. 모든 시험은 시험 챔버에서 55 ㎤/분 질소(산업용) 퍼지로 실행한다. 수지 펠렛 샘플의 경우, 가열 및 냉각 프로그램은 -25℃로 챔버를 평형시키는 것부터 시작해서, 이어서 10℃/분의 가열 속도로 200℃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제1 가열 기간이 뒤따르고, 200℃에서 3분 동안 샘플을 평형시키고, 이어서 10℃/분의 냉각 속도로 -25℃의 온도까지 냉각하는 제1 냉각 기간이 뒤따르고, 이어서, -25℃에서 3분 동안 샘플을 평형시키고, 이어서 10℃/분의 가열 속도로 200℃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제2 가열 기간이 뒤따르는 2-주기 시험이다. 모든 시험은 시험 챔버에서 55 ㎤/분 질소(산업용) 퍼지로 실행한다. 이어서, 결과를 유니버설 어낼러시스 2000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평가하고, 이것은 용융 온도 및 결정화 온도를 확인하고 정량화한다.
샘플을 200℃에서 5분 동안 용융하고, DSC에서 가능한 한 신속하게 용융물로부터 샘플을 미리 설정한 온도로 급랭하고, 샘플을 그 온도로 유지하고, 샘플이 등온 결정화하도록 둠으로써 별도로 반결정화 시간을 결정한다. 시험은 상이한 두 온도, 즉, 125℃ 및 130℃에서 수행한다. 각 시험 세트에 대해서, 샘플이 결정화하는 동안 열 발생을 시간 함수로 측정한다. 피크 아래 면적을 측정하고, 피크를 동일한 두 면적으로 나누는 시간을 반결정화 시간으로 정의한다. 다시 말해서, 피크 아래 면적을 측정하고, 시간 척도에 따라서 동일한 두 면적으로 나눈다. 피크 면적의 1/2에 도달하는 시간에 상응하는 경과 시간을 반결정화 시간으로 정의한다. 이 시간이 짧을수록, 주어진 결정화 온도에서 결정화 속도가 더 빠르다.
실시예 1
상기한 바와 같이 125℃ 및 130℃에서의 반결정화 시간(t1 /2), 결정화 온도(Tc), 및 용융 온도(Tm)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등급의 폴리프로필렌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1 바셀441은 0.91 g/㎤의 밀도 및 440 g/10분(230℃, 2.16 ㎏)의 용융 유속을 갖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고, 바셀 폴리올레핀즈(Basell Polyolefins)로부터 입수가능하다.
2 메토센 MF650X는 0.91 g/㎤의 밀도 및 1200 g/10분(230℃, 2.16 ㎏)의 용융 유속을 갖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고, 바셀 폴리올레핀즈로부터 입수가능하다.
3 보플로우 HL512는 0.91 g/㎤의 밀도 및 1200 g/10분(230℃, 2.16 ㎏)의 용융 유속을 갖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고, 보레알리스 에이/에스(Borealis A/S)로부터 입수가능하다.
4 [VM 7001-3]은 0.89 g/㎤의 밀도 및 540 g/10분(200℃, 2.16 ㎏)의 용융 유속을 갖는 75 중량%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어치브(Achieve) 6936G1)와 25 중량%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비스타맥스(Vistamaxx) 2370, 밀도 0.868 g/㎤, 용융 유속 200 g/10분(230℃, 2.16 ㎏)의 블렌드이고, 엑손모빌 코포레이션(ExxonMobil Corp.)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실시예 2
도 1에 나타내고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2개의 가열된 멜트블로운 섬유 스트림 및 1개의 섬유화된 펄프 섬유 스트림으로부터 코폼 웹의 다양한 샘플을 형성하였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실시예 1에 언급된 폴리프로필렌 샘플로부터 형성하였다. 펄프 섬유는 "CF-405"라는 상표명으로 웨이어하우저 컴퍼니(미국 워싱턴주 페더럴 웨이)로부터 얻은 완전 처리된 남부 연질 목재 펄프였다.
각 스트림의 폴리프로필렌을 시간 당 다이 팁 인치 당 1.5 내지 2.5 파운드 중합체의 속도로 각각의 멜트블로운 다이에 공급해서 25 중량% 내지 40 중량%의 범위의 멜트블로운 섬유 함량을 달성하였다. 충돌 대역에서부터 형성 와이어까지의 거리(즉, 형성 높이)는 약 8 인치이었고, 멜트블로운 다이의 팁 사이의 거리는 약 5 인치이었다. 펄프 섬유 스트림으로부터 상류에 위치하는 멜트블로운 다이는 펄프 스트림에 대해 50°각도로 배향되고, 한편, 다른 멜트블로운 다이(펄프 스트림으로부터 하류에 위치함)는 펄프 스트림에 대해 42°내지 45°의 각도로 배향되었다. 형성 와이어는 폼텍(FORMTECH™) 8(알바니 인터내셔날 컴퍼니)였다. 상이한 유형의 터프트를 달성하기 위해, 형성 와이어의 윗표면에 고무 매트를 배치하였다. 이러한 매트는 약 0.95 ㎝의 두께를 가지고, 육각형 배열로 배열된 홀을 함유하였다. 홀은 약 0.64 ㎝의 직경을 가지고, 약 0.95 ㎝(중심간 거리) 이격되었다. 또한, 다른 패턴(예를 들어, 구름)의 매트도 이용하였다. 웹 침착을 돕기 위해 진공 상자를 형성 와이어 아래에 위치시켰고, 30 인치의 물로 설정하였다.
본 발명을 그의 특정 실시양태에 관해서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당업계 보통의 기술자가 상기 내용을 이해할 때 이러한 실시양태에 대한 변경, 변화 및 균등물을 쉽게 생각해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 및 그의 균등물의 범위로 평가해야 한다.

Claims (35)

  1. 멜트블로운 섬유 및 흡수 물질의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멜트블로운 섬유가 약 60 몰% 내지 약 99.5 몰%의 프로필렌 함량 및 약 0.5 몰% 내지 약 40 몰%의 α-올레핀 함량을 갖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공중합체가 추가로 약 0.86 내지 약 0.90 g/㎤의 밀도를 가지고, 상기 조성물이 ASTM 시험 방법 D1238-E에 따라서 230℃에서 측정된 약 120 내지 약 6000 g/10분의 용융 유속을 갖는 코폼 부직 웹.
  2. 제1항에 있어서, α-올레핀이 에틸렌을 포함하는 코폼 부직 웹.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로필렌이 공중합체의 약 85 몰% 내지 약 98 몰%를 구성하고, α-올레핀이 공중합체의 약 2 몰% 내지 약 15 몰%를 구성하는 코폼 부직 웹.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약 0.861 g/㎤ 내지 약 0.89 g/㎤, 바람직하게는 약 0.862 g/㎤ 내지 약 0.88 g/㎤의 밀도를 갖는 코폼 부직 웹.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단일 자리 촉매화된 코폼 부직 웹.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용융 유속이 약 170 내지 약 1500 g/10분인 코폼 부직 웹.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조성물이 ASTM D-3417에 따라서 125℃에서 측정된 약 5분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5.5분 내지 약 12분의 반결정화 시간을 갖는 코폼 부직 웹.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75 중량% 이상을 구성하는 코폼 부직 웹.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1 중량% 이상 약 49 중량% 미만을 구성하는 코폼 부직 웹.
  10. 제9항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45 중량% 미만을 구성하는 코폼 부직 웹.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5 중량% 이상을 구성하는 코폼 부직 웹.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35 중량% 미만을 구성하는 코폼 부직 웹.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 물질이 펄프 섬유를 함유하는 코폼 부직 웹.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멜트블로운 섬유가 웹의 1 중량% 내지 약 40 중량%를 구성하고, 흡수 물질이 웹의 약 60 중량% 내지 약 99 중량%를 구성하는 코폼 부직 웹.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멜트블로운 섬유가 웹의 5 중량% 내지 약 20 중량%를 구성하고, 흡수 물질이 웹의 약 80 중량% 내지 약 95 중량%를 구성하는 코폼 부직 웹.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피크 및 밸리를 포함하는 3차원 텍스처된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코폼 부직 웹.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코폼 부직 웹을 포함하는 와이프.
  18. 제17항에 있어서, 와이프가 와이프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150 내지 약 600 중량%의 액체 용액을 함유하는 와이프.
  19. 흡수 물질의 스트림과 멜트블로운 섬유의 스트림을 함께 융합하여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고,
    이어서, 복합 스트림을 형성 표면 상에 수집해서 코폼 부직 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멜트블로운 섬유가 약 60 몰% 내지 약 99.5 몰%의 프로필렌 함량 및 약 0.5 몰% 내지 약 40 몰%의 α-올레핀 함량을 갖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공중합체가 추가로 약 0.86 내지 약 0.90 g/㎤의 밀도를 가지고, 상기 조성물이 ASTM 시험 방법 D1238-E에 따라서 230℃에서 측정된 약 120 내지 약 6000 g/10분의 용융 유속을 갖는 코폼 부직 웹의 형성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α-올레핀이 에틸렌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프로필렌이 공중합체의 약 85 몰% 내지 약 98 몰%를 구성하고, α-올레핀이 공중합체의 약 2 몰% 내지 약 15 몰%를 구성하는 방법.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약 0.861 g/㎤ 내지 약 0.89 g/㎤, 바람직하게는 약 0.862 g/㎤ 내지 약 0.88 g/㎤의 밀도를 갖는 방법.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단일 자리 촉매화된 방법.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용융 유속이 약 170 내지 약 1500 g/10분인 방법.
  25.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조성물이 ASTM D-3417에 따라서 125℃에서 측정된 약 5분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5.5분 내지 약 12분의 반결정화 시간을 갖는 방법.
  26. 제19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50 중량% 이상을 구성하는 방법.
  27. 제19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1 중량% 이상 약 49 중량% 미만을 구성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45 중량% 미만을 구성하는 방법.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5 중량% 이상을 구성하는 방법.
  30. 제27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35 중량% 미만을 구성하는 방법.
  31. 제19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 물질 스트림이 제1 멜트블로운 섬유 스트림 및 제2 멜트블로운 섬유 스트림과 함께 융합되는 방법.
  32. 제1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멜트블로운 섬유 스트림 및 제2 멜트블로운 섬유 스트림이 각각 제1 다이 헤드 및 제2 다이 헤드로부터 공급되고, 각 다이 헤드가 다이 헤드에 접하는 평면에 대해 약 45°내지 55°의 각도로 배향되는 방법.
  33. 제1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웹이 다수의 피크 및 밸리를 포함하는 3차원 텍스처된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방법.
  34. 제1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조성물이 약 0.86 g/㎤ 내지 약 0.94 g/㎤, 바람직하게는 약 0.861 g/㎤ 내지 약 0.92 g/㎤, 더 바람직하게는 약 0.862 g/㎤ 내지 약 0.90 g/㎤의 밀도를 갖는 방법.
  35.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조성물이 약 0.86 g/㎤ 내지 약 0.94 g/㎤, 바람직하게는 약 0.861 g/㎤ 내지 약 0.92 g/㎤, 더 바람직하게는 약 0.862 g/㎤ 내지 약 0.90 g/㎤의 밀도를 갖는 코폼 부직 웹.
KR1020127006638A 2009-09-15 2009-09-15 프로필렌/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멜트블로운 섬유로부터 형성된 코폼 부직 웹 KR20120094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9/057041 WO2011034523A1 (en) 2009-09-15 2009-09-15 Coform nonwoven web formed from meltblown fibers including propylene/alpha-olef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901A true KR20120094901A (ko) 2012-08-27

Family

ID=4375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638A KR20120094901A (ko) 2009-09-15 2009-09-15 프로필렌/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멜트블로운 섬유로부터 형성된 코폼 부직 웹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20171919A1 (ko)
EP (1) EP2478140B1 (ko)
KR (1) KR20120094901A (ko)
AU (1) AU2009352693B2 (ko)
BR (1) BR112012005821A2 (ko)
IL (1) IL218002A (ko)
MX (1) MX2012003113A (ko)
SG (1) SG178840A1 (ko)
WO (1) WO20110345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2920A (zh) * 2019-02-28 2019-04-19 嘉兴学院 一种三维结构熔喷非织造布的制备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0034A1 (en) 2003-06-19 2004-12-23 Haile William Alston Water-dispersible fibers and fibrous articles
US8513147B2 (en) 2003-06-19 2013-08-20 Eastman Chemical Company Nonwovens produced from multicomponent fibers
US7892993B2 (en) 2003-06-19 2011-02-22 Eastman Chemical Company Water-dispersible and multicomponent fibers from sulfopolyesters
US8512519B2 (en) 2009-04-24 2013-08-20 Eastman Chemical Company Sulfopolyesters for paper strength and process
US9260808B2 (en) 2009-12-21 2016-02-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coform nonwoven web
US9273417B2 (en) 2010-10-21 2016-03-01 Eastman Chemical Company Wet-Laid process to produce a bound nonwoven article
EP2602367B1 (en) 2011-12-06 2015-05-13 Borealis AG PP copolymers for melt blown/pulp fibrous nonwoven structures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lower hot air consumption
US8840757B2 (en) 2012-01-31 2014-09-23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es to produce short cut microfibers
CN104334783B (zh) * 2012-06-01 2016-10-05 日本喷丝板公司 无纺布制造装置和无纺布制造方法
US9617685B2 (en) 2013-04-19 2017-04-11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making paper and nonwoven articles comprising synthetic microfiber binders
US9598802B2 (en) 2013-12-17 2017-03-21 Eastman Chemical Company Ultrafilt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 sulfopolyester concentrate
US9605126B2 (en) 2013-12-17 2017-03-28 Eastman Chemical Company Ultrafiltratio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concentrated sulfopolyester dispersion
US10633774B2 (en) * 2014-05-07 2020-04-28 Biax-Fiberfilm Corporation Hybrid non-woven web an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aid web
JP6450145B2 (ja) * 2014-10-30 2019-01-09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対人ワイピング用不織布シート
US20170306540A1 (en) * 2014-11-25 2017-10-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form Nonwoven Web Containing Expandable Beads
WO2019006242A2 (en) 2017-06-30 2019-01-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OF MANUFACTURING COMPOSITE NONWOVEN STRIPS
WO2019104240A1 (en) 2017-11-22 2019-05-31 Extrusion Group, LLC Meltblown die tip assembly and method
EP4077776A1 (en) 2019-12-20 2022-10-2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 cleansing wipe formed from a nonwoven including ethylene/alpha-olefin interpolymer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9335A (en) * 1990-02-23 1992-09-22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structure
US5213881A (en) * 1990-06-18 1993-05-25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web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US5350624A (en) * 1992-10-05 1994-09-27 Kimberly-Clark Corporation Abrasion resistant fibrous nonwoven composite structure
US20020155776A1 (en) * 1999-10-15 2002-10-24 Mitchler Patricia Ann Particle-containing meltblown webs
US20050148261A1 (en) * 2003-12-30 2005-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webs having reduced lint and slough
KR101205639B1 (ko) * 2003-12-31 2012-11-2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단면 표면재가 신축 결합된 적층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7504347B2 (en) * 2004-03-17 2009-03-17 Dow Global Technologies Inc. Fibers made from copolymers of propylene/α-olefins
MXPA06010484A (es) * 2004-03-19 2006-12-1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opolimeros a base de propileno, metodo para elaborar las fibras y articulos elaborados de las fibras.
BRPI0509812A (pt) * 2004-04-30 2007-10-0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ano não tecido, fibra e artigo feito da fibra
US7910658B2 (en) * 2005-03-17 2011-03-2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ions of ethylene/α-olefin multi-block interpolymer for elastic films and laminates
CN101243221A (zh) * 2005-08-19 2008-08-13 陶氏环球技术公司 丙烯基熔喷无纺层及复合结构
US20070049153A1 (en) * 2005-08-31 2007-03-01 Dunbar Charlene H Textured wiper material with multi-modal pore size distribution
US20070135785A1 (en) * 2005-12-12 2007-06-14 Jian Qin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thermoplastic coated superabsorbent polymer materials
CN101395315B (zh) * 2006-02-21 2012-07-18 纤维网辛普森维利有限公司 可伸展的吸水性复合材料
WO2007140163A2 (en) * 2006-05-25 2007-12-06 Dow Global Technologies Inc. Soft and extensible polypropylene based spunbond nonwovens
EP2064261A1 (en) * 2006-12-15 2009-06-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degradable polylactic acids for use in forming fib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2920A (zh) * 2019-02-28 2019-04-19 嘉兴学院 一种三维结构熔喷非织造布的制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78840A1 (en) 2012-04-27
BR112012005821A2 (pt) 2016-02-23
EP2478140A4 (en) 2013-01-23
IL218002A (en) 2015-08-31
US20120171919A1 (en) 2012-07-05
AU2009352693B2 (en) 2015-06-11
WO2011034523A1 (en) 2011-03-24
IL218002A0 (en) 2012-04-30
EP2478140B1 (en) 2013-11-13
EP2478140A1 (en) 2012-07-25
AU2009352693A1 (en) 2012-03-01
MX2012003113A (es) 201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3338B2 (en) Resilient absorbent coform nonwoven web
KR20120094901A (ko) 프로필렌/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멜트블로운 섬유로부터 형성된 코폼 부직 웹
AU2010334492B2 (en) Flexible coform nonwoven web
US20090233049A1 (en) Coform Nonwoven Web Formed from Propylene/Alpha-Olefin Meltblown Fibers
AU2011241903B2 (en) Absorbent composite with a resilient coform layer
KR20130137611A (ko) 다중 텍스처를 갖는 코폼 부직 웹
US20120053547A1 (en) Absorbent Composite With A Resilient Coform Layer
KR102047905B1 (ko) 균일하게 방향성 있게 배향된 돌기를 갖는 섬유 부직 웹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장치
US20110152164A1 (en) Wet Wipe Having Improved Cleaning Cap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