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836A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836A
KR20120094836A KR1020120009524A KR20120009524A KR20120094836A KR 20120094836 A KR20120094836 A KR 20120094836A KR 1020120009524 A KR1020120009524 A KR 1020120009524A KR 20120009524 A KR20120009524 A KR 20120009524A KR 20120094836 A KR20120094836 A KR 20120094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visual function
information
predetermined
tissu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4365B1 (ko
Inventor
히로시 이마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72Tomographic images
    • G06T2207/10101Optical tomograph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41Eye; Retina; Ophthalm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41Medic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화상 처리 장치는, 피검체의 안부의 단층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 단층상으로부터 소정의 부위의 정보와 소정의 조직 구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정보 취득 유닛, 및 소정의 부위의 정보와 소정의 조직 구조의 위치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평가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된 산출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생활 습관에 관련된 병 및 실명의 유발 전에 발생하는 각종 질병의 조기 진단을 목적으로 안과의 검사가 널리 행해지고 있다.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광 간섭 단층 촬영) 등의 안부 단층상 촬상 장치(ophthalmic tomography apparatus)는, 망막층들 내부의 상태를 3차원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질병의 진단을 더 적절하게 행하는 데에 유효하다고 기대된다. 층의 두께를 정량적으로 계측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하여 단층상(tomogram)으로부터 망막의 각 층의 경계가 검출된다. 예를 들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계막(inner limiting membrane) B1, 내망상층 경계(inner plexiform layer boundary) B2, 시세포 내절과 외절 간의 경계(boundary between photoreceptor inner and outer segments) B3, 및 망막 색소 상피층 경계(retinal pigment epithelium boundary) B4가 검출되어, 망막 두께 T1과 GCC(Ganglion Cell Complex) 두께 T2를 계측한다.
OCT를 이용하여 촬상된 안부의 단층상은 시기능에 영향을 주는 영역(세포, 조직, 부위)을 포함하고, 의사는 시기능의 회복 가능성 및 예후를 예측할 때 해당하는 세포의 손상 상황, 층의 두께, 및 중심와(fovea centralis) F1(도 10a) 등의 부위와의 위치 관계를 관찰한다. 예를 들어, 도 10b는 도 10a의 영역 Ro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망막에 도달한 광은, 시세포(photoreceptor cells) C1의 외절 L1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쌍극 세포 C2, 신경절 세포(ganglion cell) C3, 및 시신경(도시 생략)을 차례로 경유해서 대뇌의 시각 피질(도시 생략)에 의해 지각된다. 시세포 외절 L1이 손상되면, 더 이상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손상 부위에서 시기능이 저하해버린다. 시세포 C1은 추체(petrosa)와 봉체(rod)를 포함하고, 추체는 밝은 장소에서 시기능을 제어한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체는 중심와 F1에 가까울수록 고밀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시세포 외절 손상의 단위 면적당 시기능에의 영향은 그것이 중심와 F1에 가까울수록 커진다. 시축은 주시되는 물체와 중심와 F1을 연결하는 선이라는 것을 유의한다. 따라서, 시세포 외절 손상의 시기능에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시세포 외절 손상의 위치에서의 손상의 정도(외절의 길이), 손상 영역의 존재 범위(면적), 및 중심와로부터 손상 영역의 거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세포 C1은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락막 혈관 V1으로부터 영양을 수취하기 때문에, 시세포 외절 L1과 망막 색소 상피층 L2 사이에 망막 박리 RD 등의 병변이 존재하면 시세포 C1에 영양을 공급할 수 없다. 따라서, 망막 박리 RD가 존재하면, 장래에 시기능이 저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망막 박리 RD의 존재가 장기화되면, 시세포 C1이 사멸되어, 시기능을 더 이상 회복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 따라서, 망막 형상으로부터 시기능에의 영향을 추정하거나, 시기능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 간단히 세포 및 층의 두께들을 계측할 뿐만 아니라 중심와 F1 등의 부위와의 위치 관계, 및 망막 박리 RD 등의 병변의 유/무 또는 존재 기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녹내장 및 시신경 질병의 진단 지원을 목적으로, 시기능 중 하나인 시야와 관련되는 GCC 두께 T2를 계측하고, 건강한 눈의 GCC 두께 T2와의 차를 맵으로서 표시하는 기술이 WO/2008/157406호 공보(이하, 문헌 1이라고 칭함)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녹내장에의 응용을 상정한 것이며, 황반 질환의 경우에 고려되어야 할 중심와 F1과의 임의의 위치 관계 및 삼출성 병변에 의한 시기능에의 임의의 영향은 고려되지 않는다. 또한,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시기능의 회복 가능성과 예후의 예측에 대해 1개 이상의 층 두께 맵들을 (병렬로) 제시할 뿐이며, 시기능의 회복 가능성 및 예후에 대해서는 해당 맵으로부터 시각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제2009-34480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시야계에 의한 검사 결과의 존재를 전제로 하며, 시야 검사에 의해 이상이 드러난 부위의 층 두께를 계측해서 시야 검사에 의한 시기능 평가값과의 대응성을 조사한다.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망막 형상의 변화는 시기능의 변화 전에 발생하고, 안부 단층상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만을 기초로 하여 예후를 예측하는 것이 망막 질환의 조기 검출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소정의 부위와의 위치 관계 및 병변 위치의 분포 상황을 정량화함으로써 안부 단층상만을 이용해서 시기능에의 영향도를 판정하고, 이 판정 결과를 진단 지원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는 화상 처리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피검체의 안부의 단층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 단층상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부위의 정보와 미리 결정된 조직 구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정보 취득 유닛, 및 미리 결정된 부위의 정보와 미리 결정된 조직 구조의 위치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평가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된 산출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소정의 부위와의 위치 관계 및 병변 위치의 분포 상황을 정량화함으로써 안부 단층상만을 이용해서 시기능에의 영향도를 판정하고,이 판정 결과를 진단 지원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제1 실시예에서의 화상 처리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단계 S24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단계 S25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서의 화상 처리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3 실시예에서의 화상 처리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단계 S24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단계 S25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OCT에 의해 촬상된 망막의 황반 영역의 단층상에 관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화상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1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시세포 외절 두께가 박화된 영역과 중심와 F1 간의 위치 관계, 및 망막 박리 RD의 유/무 등에 기초하여 시기능에의 영향 및 시기능의 예후를 예측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화상 처리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PU(1201)는 화상 처리 장치(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ROM(1203) 및 외부 저장 디바이스(1204)는, 화상 처리 장치(10)가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RAM(1202)은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사용되는 워크 에어리어로서 기능한다. 모니터(1205)는 출력 유닛으로서 기능하고, 화상 처리의 결과 및 산출 처리의 결과를 표시한다. 키보드(1206) 및 마우스(1207)는 입력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유저는, 키보드(1206) 및 마우스(1207)를 통해 각종 커맨드를 화상 처리 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08)는 화상 처리 장치(10)를 네트워크(LAN)(30)에 접속한다. 도 12에 도시된 각 컴포넌트는 버스(1209)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도 11은 화상 처리 장치(10)에 접속 가능한 장치들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층상 촬상 장치(20)는 데이터 서버(40)에 Ethernet® 등의 네트워크(LAN)(30)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화상 처리 장치(10)는 단층상 촬상 장치(20)에, 네트워크(LAN)(30), 또는 광파이버, USB, 또는 IEEE1394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단층상 촬상 장치(20)는 안부 단층상을 촬상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면, 시간 도메인 또는 푸리에 도메인의 OCT이다. 단층상 촬상 장치(20)는 조작자(도시 생략)에 의한 조작에 응답하여, 피검안(도시 생략)의 단층상을 3차원적으로 촬상한다. 촬상된 단층상은 화상 처리 장치(10)에 송신된다. 데이터 서버(40)는 피검안의 단층상 및 피검안의 화상 특징량 등을 유지하는 서버이며, 단층상 촬상 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피검안의 단층상 및 화상 처리 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해석 결과를 저장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10)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데이터 서버(40)는 피검안에 연관된 과거의 데이터를 화상 처리 장치(10)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처리 장치(10)가, 시세포 내절과 외절 간의 경계 B3과, 망막 색소 상피층 경계 B4를 계측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상 처리 장치(10)는 다른 층 경계(외경계막(도시 생략) 및 안구 색소 상피층의 내경계(도시 생략) 등)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화상 처리 장치(10)의 기능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화상 처리 장치(10)는 단층상 취득 유닛(110), 저장 유닛(120), 화상 처리 유닛(130), 진단 지원 정보 출력 유닛(140), 및 지시 취득 유닛(150)을 포함한다. 화상 처리 유닛(130)은 안부 특징 취득 유닛(131), 병변 검출 유닛(132), 및 시기능 영향도 판정 유닛(133)을 포함한다. 시기능 영향도 판정 유닛(133)은 시기능 회복 가능성 판정 유닛(1331) 및 시기능 예후 예측 유닛(1332)을 포함한다. 진단 지원 정보 출력 유닛(140)은 시기능 영향도 정보 출력 유닛(141), 시기능 회복 가능성 정보 출력 유닛(142), 및 시기능 예후 예측 정보 출력 유닛(143)을 포함한다.
화상 처리 장치(10)에 포함되는 각 블록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 2의 흐름도에 나타낸 화상 처리 장치(10)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방법의 구체적인 실행 시퀀스에 관련해서 하기에서 설명된다. 단계 S210에 있어서, 단층상 취득 유닛(110)은 단층상 촬상 장치(20)에 대하여 단층상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 단층상 촬상 장치(20)는 취득 요구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단층상을 송신한다. 단층상 취득 유닛(110)은 단층상 촬상 장치(20)로부터 네트워크(30)를 통해 취득 요구에 대응하는 단층상을 수신한다. 단층상 취득 유닛(110)은 수신된 단층상을 저장 유닛(120)에 저장한다.
단계 S220에 있어서, 안부 특징 취득 유닛(131)은, 단층상으로부터 소정의 부위의 정보 및 소정의 조직 구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안부 특징 취득 유닛(131)은 단층상으로부터 소정의 세포, 조직, 또는 부위를 나타내는 안부의 특징(해부학적 특징)을 취득한다. 안부 특징 취득 유닛(131)은, 저장 유닛(120)에 저장된 단층상으로부터 안부의 특징으로서, 예를 들면, 내경계막 B1, 시세포 내절과 외절 간의 경계 B3, 망막 색소 상피층 경계 B4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안부 특징 취득 유닛(131)은 검출된 특징을 저장 유닛(120)에 저장한다.
하기에서 구체적인 안부 특징 취득 시퀀스를 설명한다. 우선, 각 망막 층의 경계 검출을 위한 처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처리 대상인 볼륨(volume) 화상을 2차원 단층상(B 스캔 화상)의 집합으로서 생각하고, 각 2차원 단층상들에 대하여 다음의 처리를 적용한다. 주목하는 2차원 단층상에 평활화 처리를 행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다. 그 다음으로, 2차원 단층상으로부터 엣지 성분을 검출하고, 그의 연결성에 기초해서 몇개의 선분을 층 경계의 후보로서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층 경계 후보 중에서 최상부의 선분을 내경계막 B1으로서 선택한다. 또한, 내경계막 B1의 외층측(도 10a에 있어서, z 좌표가 더 큰 측)에 있고, 콘트라스트가 최대인 선분을 시세포 내절과 외절 간의 경계 B3으로서 선택한다. 또한, 추출된 후보 중에서 최하부의 선분을 망막 색소 상피층 경계 B4로서 선택한다.
또한, 이 선분들을 초기값들로서 갖는 Snakes 또는 레벨 세트 방법 등의 가변 형상 모델을 적용하여, 층 경계들이 정밀하게 추출될 수 있다. 또한, 그래프 컷트 방법에 의해 층의 경계를 검출할 수 있다. 가변 형상 모델 또는 그래프 컷트 방법을 이용한 경계 검출은 볼륨 화상에 대하여 3차원적으로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2차원 단층상에 대하여 2차원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안부 단층상으로부터 층 경계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인 한, 임의의 층 경계 검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단계 S230에 있어서, 병변 검출 유닛(132)은, 단계 S220에서 취득된 안부의 특징에 의해 정해지는 영역, 예를 들면, 시세포 내절과 외절 간의 경계 B3과 망막 색소 상피층 경계 B4 사이에 샌드위치된 영역 내에서 병변 후보(망막 박리)의 유/무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와 아래에 망막 박리 RD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망막 박리 RD는 마리오트 맹점(Mariotte blind spot) 이외의 안저의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망막 박리 RD가 단층상의 촬상 범위 내의 임의의 위치(마리오트 맹점은 제외)에서 발생했을 경우에도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망막 박리 RD의 검출 방법에 대해서 하기에서 설명한다. 안부의 특징(해부학적 특징)에 의해 정해지는 영역 내의 휘도 레벨과 미리 정해진 휘도 임계값 Trd를 비교함으로써 병변 후보 영역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임계값보다 낮은 휘도값을 갖는 영역을 병변 후보로서 검출한다.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x-z 평면 위의 x축 방향의 각 A 스캔 선 위에서, 시세포 내절과 외절 간의 경계 B3의 외층측(z 좌표가 더 큰 측)과, 망막 색소 상피층 경계 B4의 내층측(z 좌표가 더 작은 측)에 있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저휘도 영역을 병변 후보 영역으로서 추출한다. 추출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추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영역 내의 휘도 임계값 Trd보다 낮은 휘도값을 갖는 영역을 망막 박리 후보 영역(병변 후보 영역)으로서 검출한다.
병변 검출 유닛(132)은, 안부의 특징(중심와 F1, 내경계막 B1, 시세포 내절과 외절 간의 경계 B3, 및 망막 색소 상피층 경계 B4)과, 병변 후보(망막 박리 RD)의 위치에 기초하여, 시기능을 담당하는 부위의 사이즈를 정량화한다. 병변 검출 유닛(132)은, 위치와 사이즈 간의 관계로서, x-y 평면 내의 각 좌표점에 있어서의 시세포 외절 L1의 두께(시세포 외절 두께) Tp(x, y)를 계측(정량화)한다. 시기능을 담당하는 시세포 외절 L1은, 피검체의 안부의 망막에 도달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시기능을 제어한다. 이 경우, Tp(x, y)의 간단한 계측 방법으로서, x-z 평면상의 x축 방향의 각 A 스캔 선 위에 있어서 시세포 내절과 외절 간의 경계 B3과 망막 색소 상피층 경계 B4 사이의 z축 방향의 거리로부터 망막 박리 영역의 z축 방향의 거리를 감산함으로써 얻은 값을 이용한다. 시세포 외절 L1의 두께의 계측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단계 S220에서 안구 색소 상피층의 내경계(도시 생략)를 추출할 수 있고, 시세포 내절과 외절 간의 경계 B3과 안구 색소 상피층의 내경계(도시 생략) 사이의 거리로부터 망막 박리 두께를 감산함으로써 얻은 값을 Tp(x, y)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병변 검출 유닛(132)은, 데이터 서버(40)로부터 시세포 외절 두께의 정상값 Tn 및 x-y 평면 내의 시세포의 밀도 분포 ω(a) [세포 개수/mm2]에 관한 정상값 데이터(도 3b 참조)를 취득한다. 이 경우, 병변 검출 유닛(132)은 시세포의 추체에 연관된 데이터를 취득한다. 횡축은 시축(결정체 렌즈와 중심와를 연결하는 선)으로부터의 시각도(visual angle) [°]이다.
단계 S240에 있어서, 시기능 영향도 판정 유닛(133)은, 소정의 부위의 정보와 소정의 조직 구조의 위치 간의 관계로부터 평가값을 산출한다. 시기능 영향도 판정 유닛(133)은, 시기능을 담당하는 부위에 연관해서 정량화된 시세포 외절 L1의 두께(시세포 외절 두께) Tp(x, y)를 이용해서 시기능에 대한 영향도를 산출한다. 이 단계에서, 시기능의 회복 가능성의 판정, 및 시기능 저하 가능성(예후 예측)의 판정도 함께 행할 수 있다. 본 단계의 상세 내용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 S250에 있어서, 진단 지원 정보 출력 유닛(140)은 시기능 영향도 판정 유닛(133)의 판정 결과를 진단 지원 정보로서 출력한다. 진단 지원 정보 출력 유닛(140)은 판정 단계 S240에서 산출된 영향도의 값을 단층상의 화소값으로서 갖는 2차원 좌표의 맵(시기능 영향도 맵)을 생성하고, 그 맵을 진단 지원 정보로서 출력한다. 또한, 진단 지원 정보 출력 유닛(140)은, 시기능의 회복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값)를 단층상의 화소값으로서 갖는 2차원 좌표의 맵(시기능 회복 가능성 맵)을 생성할 수 있고, 그 맵을 진단 지원 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단 지원 정보 출력 유닛(140)은, 시기능 저하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값)를 단층상의 화소값으로서 갖는 2차원 좌표의 맵(시기능 저하 위험도 맵)을 생성할 수 있고, 그 맵을 진단 지원 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기능 영향도 맵, 시기능 회복 가능성 맵, 및 시기능 저하 위험도 맵은 진단 지원 정보에 포함되며, 시기능 영향도 판정 유닛(133)의 판정 결과는 2차원 좌표의 맵 위에 그 판정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에 의해 가시화된다.
단계 S260에 있어서, 지시 취득 유닛(150)은, 피검안에 연관된 금회의 처리 결과를 데이터 서버(40)에 저장할 것인지의 여부에 관한 지시를 외부로부터 취득한다. 이 지시는,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키보드(1206) 및 마우스(1207)를 통해 조작자에 의해 입력된다. 처리 결과 저장 지시가 발행되면, 처리는 단계 S27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는 단계 S280으로 점프한다.
단계 S270에 있어서, 진단 지원 정보 출력 유닛(140)은 검사 일시, 피검안을 식별하기 위해 필요한 식별 정보, 단층상, 화상 처리 유닛(130)의 해석 결과, 및 진단 지원 정보 출력 유닛(140)에 의해 얻어진 진단 지원 정보를 서로 연관지어서 데이터 서버(40)에 송신한다.
단계 S280에 있어서, 지시 취득 유닛(150)은 화상 처리 장치(10)에 의한 단층상 해석 처리를 종료할지 여부에 관한 지시를 외부로부터 취득한다. 이 지시는, 도 12에 도시된 키보드(1206) 및 마우스(1207)를 통해 조작자에 의해 입력된다. 처리 종료 지시를 취득하면, 해석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처리 계속 지시를 취득하면, 처리는 단계 S210으로 복귀되어, 다음 피검안에 대한 처리(또는 동일한 피검안에 대한 재처리)를 행한다.
(시기능 영향도 판정 처리)
하기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단계 S24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S410에서, 시기능 영향도 판정 유닛(133)은, 병변 검출 유닛(132)에 의해 사이즈가 정량화된 시기능을 담당하는 부위의 사이즈 Tp(x, y)에 대한, 그 부위의 사이즈에 연관된 정상값 데이터 Tn의 비율(Tn/Tp)를 산출한다. 그리고, 시기능 영향도 판정 유닛(133)은 이 비율에 시세포의 밀도 분포를 나타내는 정상값 데이터(ω(a))를 승산해서 영향도를 나타내는 값을 산출한다. 시기능 영향도 판정 유닛(133)은, 시기능을 담당하는 부위의 사이즈에 연관된 정상값 데이터(Tn)와 시세포의 밀도 분포를 나타내는 데이터(ω(a))를, 예를 들면, 데이터 서버(40)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시기능 영향도 판정 유닛(133)은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시기능에의 영향도 S1을 산출한다. 시기능에의 영향도를 나타내는 값의 산출은 단계 S230에서 검출된 x-y 평면 위의 각 점에 있어서의 시세포 외절 두께 Tp(x, y)와, 시세포 외절의 위치 및 형상(예를 들면, 두께)에 연관된 정상값 Tn, 및 x-y 평면 내의 시세포의 밀도 분포 ω(a)에 연관된 정상값 데이터를 이용한다. 이 경우, 시기능으로서 시력이 검사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Tp(x, y)/Tn은 추체 외절의 박화의 정도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에서 Tn = 60㎛이다. 수학식 1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추체 외절의 박화 영역이 넓을수록, 또한 박화 영역과 중심와 사이의 거리가 작을수록, 시기능에의 영향도가 커진다.
단계 S420에 있어서, 시기능 회복 가능성 판정 유닛(1331)은, 단계 S230에서 얻어진 시세포 외절 두께와 시세포 외절 두께의 정상값 간의 비율로부터,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x-y 평면 위의 각 점 (x, y)에 있어서 시기능 회복 가능성 R1을 판정한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
Figure pat00003
여기에서, RD(t)는 망막 박리의 존재 기간이다.
비율 Tp/Tn이 그 비율에 연관된 임계값 미만(< Tr)이면, 시기능 회복 가능성 판정 유닛(1331)은, 시세포 외절의 재생이 어렵다고 판정하고, 그 위치(x, y)에 있어서의 시기능의 회복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값)를 제로로서 산출한다. Tp/Tn이 그 비율에 연관된 임계값 이상(≥ Tr)이면, 시기능 회복 가능성이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된다. 또한, 병변 후보의 존재 기간(망막 박리 RD의 존재 기간 RD(t))이 길수록 시세포의 영양 상태가 나쁘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R1은 (1/병변 후보의 존재 기간(RD(t)))으로 곱해지므로 작은 값이라고 생각된다. 망막 박리의 존재 기간 RD(t)의 정보가 데이터 서버(40)로부터 입수할 수 없는 경우, 수학식 2'에 있어서 RD(t)=1로 하면서 R1을 산출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단계 S430에 있어서, 시기능 예후 예측 유닛(1332)은, 시기능의 예후 예측에 연관된 지표(값)로서 시기능 저하 위험도 P1을 산출한다. 이 위험도는, 장래에 시기능이 저하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값)이다. RDe(x, y)는 x-y 평면 위의 각 점 (x, y)에 있어서의 병변 후보(망막 박리)의 유/무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다. 예를 들면, 병변 검출 유닛(132)은 위치 좌표(x, y)에 있어서 망막 박리가 검출되면, RDe(x, y)=1로 설정하고, 망막 박리가 검출되지 않으면, RDe(x, y)=0으로 설정한다. 시기능 예후 예측 유닛(1332)은, 시세포의 밀도 분포를 나타내는 정상값 데이터(ω)와, 병변 후보의 유/무에 따라 설정되는 설정 데이터(RDe)를 취득하고, 다음의 수학식에 의한 연산을 행한다.
Figure pat00004
x-y 평면 위의 각 점 (x, y)에 있어서의 망막 박리의 존재 기간 RD(t)가 이용 가능할 경우, 시기능 저하 시기의 추정값 P1'을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5
여기에서, Td는 시세포 외절이 맥락막으로부터의 임의의 영양 공급 없이 생존 가능한 최대 기간을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데이터 서버(40) 또는 저장 유닛(120)으로부터 취득될 수 있다.
(진단 지원 정보 출력 처리)
하기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단계 S25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S510에 있어서, 진단 지원 정보 출력 유닛(140)은, 화상 처리 유닛(130)으로부터 시기능 영향도, 시기능 회복 가능성, 및 시기능 저하 위험도에 연관된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진단 지원 정보 출력 유닛(140)은, 각각의 정보를 시기능 영향도 정보 출력 유닛(141), 시기능 회복 가능성 정보 출력 유닛(142), 및 시기능 예후 예측 정보 출력 유닛(143)에 송신한다.
단계 S520에 있어서, 시기능 영향도 정보 출력 유닛(141)은, 단계 S410에서 산출된 x-y 평면 위의 각 점에서의 시기능에의 영향도, 즉 ω(a)ㆍTn/Tp(x, y)를 값으로서 갖는 맵을 생성한다. 이 맵은 시기능에의 영향도를 가시화한 것으로, 촬영 시점에서의 각 점 (x, y)에 있어서의 시기능 영향도를 나타낸다. 또한, 모니터(1205)(도 12)에는 시기능 영향도 맵 뿐만 아니라, 단계 S410에서 산출된 영향도 S1도 동시에 출력된다.
단계 S530에 있어서, 시기능 회복 가능성 정보 출력 유닛(142)은, 단계 S420에서 산출된 x-y 평면 위의 각 점에서의 시기능 회복 가능성의 값((Tp(x, y)/Tn)ㆍ(1/RD(t)) 또는 0)을 갖는 맵을 생성한다. 또한, 시기능 예후 예측 정보 출력 유닛(143)은, 단계 S420에서 산출된 시기능 저하 위험도의 값(ω(a)ㆍRDe(x, y))을 갖는 맵을 생성한다.
이 경우, x-y 평면 위의 각 점 (x, y)에 있어서의 망막 박리의 존재 기간 RD(t)가 이용 가능한 경우, 각 점 (x, y)에 있어서의 시기능 저하 시기의 추정값, 즉, ω(a)ㆍ(Td - RD(t))를 값으로서 갖는 맵을 생성한다. Td는 시세포 외절이 맥락막으로부터의 임의의 영양 공급 없이 생존 가능한 최대 기간을 나타낸다는 것을 유의한다.
모니터(1205)에는, 전술한 맵 외에도, 시기능 회복 가능성에 연관된 지표 R1, 시기능 저하 위험도에 연관된 지표 P1, 및 시기능 저하 시기 추정값에 연관된 지표 P1'도 출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처리 장치는, 시세포 외절 두께의 박화 영역과 중심와 간의 위치 관계에 따라 시기능에의 영향도를 나타내는 값을 산출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는 망막 박리의 유/무를 조사하고, 시세포 외절 두께 및 망막 박리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해서 시기능의 저하 위험도도 산출한다. 이에 의해, 화상 처리 장치는 황반 질병의 단층상으로부터 병변 후보의 시기능에의 영향 및 시기능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시기능에의 영향이 발생하는 경우로서 층 형상 이상 대신에, 백반(leukomas) EX 등의 삼출성 병변이 중심와 F1 아래에 집적되는 경우를 고찰한다. 백반 EX를 추출하고, 백반 EX의 분포와 중심와 F1 등의 안부 특징 간의 위치 관계에 기초해서 시기능에의 영향 및 시기능의 예후를 예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에 접속 가능한 장치들의 구성 및 화상 처리 장치(10)의 기능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시퀀스는, 도 2의 단계 S230, S240, 및 S250에 있어서의 처리를 제외하면, 제1 실시예의 것(도 2)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단계 S230, S240, 및 S250에 있어서의 처리만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뇨병 망막증을 앓는 망막 내에는 망막 혈관으로부터 누출되는 지방질 및 단백질이 집적되기 때문에, 백반 EX라고 불리는 대량의 고휘도 영역이 형성된다. 백반 EX는 통상 외 망상 층 부근에 형성된다. 백반 EX의 위치에서는 입사광이 차단되어 광이 시세포 C1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시력이 저하한다. 특히, 백반 EX의 위치가 중심와 F1에 가까울수록, 추체 밀도가 높기 때문에, 시기능에의 영향이 심각하다.
망막 박리 RD가 중심와 F1 아래에 존재하면, 망막 박리 RD 쪽으로 백반 EX가 집적되기 쉬운 것이 경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일단 중심와 F1 아래에 백반 EX가 집적되면, 시력이 현저하게 저하해서, 시력의 회복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백반 EX와 망막하(subretina) 간의 거리, 및 백반 EX가 망막하 쪽으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아는 것은, 중심와 아래에 병변의 집적에 기인한 시기능의 저하를 예방할 목적을 위해 유용하다.
(단계 S230의 처리)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계 S230의 처리에서, 병변 검출 유닛(132)은 안부 단층상에 있어서 백반 EX를 병변 후보로서 검출한다. 이 경우, 휘도값과, 대량의 구조를 강조하는 점 집중도 필터(point convergence filter) 등의 필터의 출력값의 정보를 조합해서 백반 EX가 다음과 같이 식별된다. 즉, 점 집중도 필터의 출력이 임계값 Ta 이상이고, 단층상에 있어서 휘도값이 임계값 Tb 이상인 영역을 백반 EX로서 식별한다. 백반 EX의 검출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공지된 병변 검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계 S220에서 검출된 시세포 내절과 외절 간의 경계 B3과 망막 색소 상피층 경계 B4 사이에 샌드위치된 영역 내에 망막 박리 RD의 유/무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병변 검출 유닛(132)은 검출된 병변(백반 EX 및 망막 박리 RD)에 기초하여 망막 내의 백반 EX의 분포를 정량화한다. 더 구체적으로, 병변 검출 유닛(132)은 검출된 백반 EX의 라벨링을 행한다. 라벨링의 결과로서, 백반 EX 각각에 라벨 값이 설정된다. 이 경우, 라벨링 방법으로서 영역 확장 방법을 이용한다. 라벨링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공지된 라벨링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유의한다. 다음으로, 동일한 라벨 값을 갖는 백반 EX의 체적을 산출한다. 망막 내에 망막 박리 RD가 존재할 경우, 라벨 n의 백반 EX의 망막 박리 RD까지의 최단 거리 dn을 산출한다.
(단계 S240의 처리)
하기에서는 도 6 및 도 4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의 단계 S24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S410에 있어서, 시기능 영향도 판정 유닛(133)은, 하기의 수학식 4를 이용해서 시기능에의 영향도를 나타내는 값 S2를 산출한다. 이 경우, 시기능으로서 시력을 검사한다.
Figure pat00006
여기에서, ω(a)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인 추체 밀도[세포 개수/mm2]이고, area는 동일한 라벨을 갖는 백반 EX를 x-y 평면에 투영할 경우의 면적을 나타내고, n은 촬상 영역 내에 존재하는 백반 EX의 개수를 나타낸다.
단계 S420에 있어서, 시기능 회복 가능성 판정 유닛(1331)은,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해서 시기능 회복 가능성에 연관된 지표 R2를 산출한다.
Figure pat00007
여기에서, n은 검출된 백반 EX의 총 수이고, vn은 라벨 n의 백반 EX의 체적이고, dn은 라벨 n의 백반 EX의 무게 중심점과 망막 박리 RD 간의 거리이다.
단계 S430에 있어서, 시기능 예후 예측 유닛(1332)은,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해서 시기능 저하 위험도, 즉 중심와 F1 아래의 병변 집적 위험도 P2를 산출한다.
Figure pat00008
(단계 S250의 처리)
하기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단계 S25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S510은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단계 S520에 있어서, 시기능 영향도 정보 출력 유닛(141)은, 단계 S410에서 산출된 x-y 평면 위의 각 점 (x, y)에서의 시기능에의 영향도를 나타내는 값을 갖는 맵(시기능 영향도 맵)을 생성한다. 도 12에 도시된 모니터(1205)에는, 시기능 영향도 맵 뿐만 아니라, 단계 S410에서 산출된 시기능 영향도를 나타내는 값 S2도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단계 S530에 있어서, 시기능 회복 가능성 정보 출력 유닛(142) 및 시기능 예후 예측 정보 출력 유닛(143)은, 단계 S420에서 산출된 x-y 평면 위의 각 점에서의 시기능 회복 가능성을 나타내는 값을 갖는 맵, 및 단계 S430에서 산출된 시기능 저하 위험도를 나타내는 값을 갖는 맵을 생성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모니터(1205)에는, 시기능 회복 가능성 맵 및 시기능 저하 위험도 맵 뿐만 아니라, 시기능 회복 가능성에 연관된 지표 R2 및 시기능 저하 위험도 P2도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화상 처리 장치(10)는 병변으로서 백반 EX 및 망막 박리 RD를 추출하고, 중심와 F1 등의 안부 특징과의 위치 관계에 기초해서 시기능에의 영향 및 시기능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시신경 유두의 심층에 존재하는 사상판(cribrosa lamina) L3이라고 불리는 조직의 형상 이상에 기인한 시기능에의 영향이 나타날 경우를 고찰한다. 망막의 층 경계 및 사상판 L3의 추출 및 형상 계측을 행하고, 중심와 F1 뿐만 아니라 마리오트 맹점 등의 안부 특징과의 위치 관계의 정보를 이용해서 시기능에의 영향 및 시기능의 예후를 예측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신경 유두 아래에는 사상판 L3이라고 불리는 체(cribrum) 형상의 막이 존재한다. 사상판 L3은 x-y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면, 원반 형상이며, 약 600 내지 700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시신경 섬유 다발, 즉, 시세포 C1의 축색 돌기의 집합체가 이 구멍을 통과해서, 뇌를 향해 연장된다. 안압이 상승하면, 사상판 L3이 만곡해서 구멍의 위치가 어긋나고, 축색 돌기가 압박되어 시세포 C1이 사멸되어버린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에 접속 가능한 장치들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10)의 기능 구성은, 시기능 영향도 판정 유닛(133)이 시기능 회복 가능성 판정 유닛(1331)을 포함하지 않고, 진단 지원 정보 출력 유닛(140)이 시기능 회복 가능성 정보 출력 유닛(142)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이것은, 시세포 C1이 일단 사멸되어 시기능에 영향을 미치면, 시기능이 더 이상 회복될 수 없다는 것을 반영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처리 시퀀스는, 도 2에 도시된 단계 S220, S230, S240, 및 S250에 있어서의 처리를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것(도 2)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단계 S220, S230, S240, 및 S250에 있어서의 처리만을 설명한다.
(단계 S220의 처리)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계 S220의 처리에서, 안부 특징 취득 유닛(131)은, 단층상으로부터 와(fovea)를 검출함으로써 시신경 유두 및 중심와 F1을 검출한다. 또한, 안부 특징 취득 유닛(131)은 단층상의 투영 화상에서 망막 혈관을 추출하고, 망막 혈관을 포함하는 부위를 시신경 유두로서 판정하고, 임의의 망막 혈관을 포함하지 않는 부위를 중심와 F1로서 판정한다. 망막 혈관 추출 방법은 임의인 공지의 선 강조 필터를 이용한다. 시신경 유두와는 임의의 시세포 C1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지각 불능이며, 마리오트 맹점이라고 불린다.
다음으로, 안부 특징 취득 유닛(131)은 층 경계로서 내경계막 B1, 신경 섬유층 경계 B5, 및 망막 색소 상피층 경계 B4를 취득한다. 층 경계 추출 방법은 제1 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안부 특징 취득 유닛(131)은 다음의 시퀀스에 있어서 사상판 L3을 검출한다. 즉, x-y 평면 위에서 망막 색소 상피층 경계 B4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마리오트 맹점) 내의 각 점 (x, y)에 있어서, 내경계막 B1의 심층측(z축의 양의 방향 측)에 위치하고 휘도값이 특정 임계값 Tx 이상인 고휘도 영역을 검출한다. 사상판 L3은 x-y 평면 위에서 다공성 원반 형상 영역으로서 검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경 섬유층 경계 B5를 이용한다. 그 대신, 내망상층 경계 B2를 취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단계 S230에 있어서 신경 섬유층 두께 대신에 GCC(Ganglion Cell Complex) 두께를 계측한다.
(단계 S230의 처리)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계 S230의 처리에서, 병변 검출 유닛(132)은, 단계 S220에서 취득된 내경계막 B1 및 신경 섬유층 경계 B5를 이용해서 신경 섬유층 두께를 계측한다. 다음으로, 병변 검출 유닛(132)은 데이터 서버(40)로부터 신경 섬유층 두께의 정상값의 범위를 취득하고, 신경 섬유층 두께가 정상값의 범위 밖에 해당하는 마리오트 맹점 외부의 점들 (x', y')을 병변 위치들로서 검출한다. 또한, 병변 검출 유닛(132)은, 사상판 두께 및 사상판 경계의 요철 패턴을 계측하고, 데이터 서버(40)로부터 취득되는 사상판 두께 및 요철 패턴의 정상값 범위 밖에 해당하는 마리오트 맹점 내부의 점들 (x, y)를 병변 위치들로서 검출한다.
(단계 S240의 처리)
하기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단계 S24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S810에 있어서, 시기능 영향도 판정 유닛(133)은, 단계 S230에서 취득된 신경 섬유층 두께로부터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시기능 영향도를 나타내는 값 S3을 산출한다.
Figure pat00009
여기에서, Tn (x, y)은 x-y 평면 위의 점 (x, y)에 있어서의 신경 섬유층 두께의 정상값(그 중앙값)이다. Tl (x, y)은 단계 S230에 있어서 신경 섬유층 두께 이상으로서 판정된 x-y 평면 위의 점 (x, y)에 있어서의 신경 섬유층 두께이다. α(x, y)는 중심 마리오트 맹점에서 0이고, 그 이외의 지점에서 1인 변수이다.
단계 S820에 있어서, 시기능 예후 예측 유닛(1332)은, 단계 S230에서 취득된 사상판 L3의 두께 및 요철 패턴으로부터 다음의 식에 따라 시기능 저하 위험도 P3을 산출한다.
Figure pat00010
여기에서, θx,y는 사상판의 경계를 구성하는 제어 점들 중 이웃하는 3개의 점(x축 방향에 대해서는 x-1, x, x+1의 3개의 점, y축 방향에 대해서는 y-1, y, y+1의 3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각도[rad]이다. 또한, k는 비례 상수이다.
(단계 S250의 처리)
하기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단계 S25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S910에 있어서, 진단 지원 정보 출력 유닛(140)은 화상 처리 유닛(130)으로부터 시기능 영향도 및 시기능 저하 위험도에 연관된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들을 각각 시기능 영향도 정보 출력 유닛(141) 및 시기능 예후 예측 정보 출력 유닛(143)에 송신한다.
단계 S920에 있어서, 시기능 영향도 정보 출력 유닛(141)은, 단계 S810에서 산출된 x-y 평면 위의 각 점 (x, y)에서의 시기능에의 영향도를 나타내는 값을 갖는 맵(시기능 영향도 맵)을 생성한다. 도 12에 도시된 모니터(1205)에는, 시기능 영향도 맵 뿐만 아니라, 단계 S810에서 산출된 시기능 영향도의 지표(값)도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단계 S930에 있어서, 시기능 예후 예측 정보 출력 유닛(143)은, 단계 S820에서 산출된 x-y 평면 위의 각 점에서의 시기능 저하 위험도를 나타내는 값을 갖는 맵을 생성한다. 또한, 도 12의 모니터(1205)에는 시기능 저하 위험도 맵 뿐만 아니라, 단계 S820에서 산출된 시기능 저하 위험도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화상 처리 장치(10)는 시신경 유두에 있어서의 사상판의 형상 이상(박화 또는 요철화) 영역을 추출하고, 중심와 및 마리오트 맹점과의 위치 관계에 따라 시기능에의 영향도 및 시기능 저하 위험도를 산출한다. 이에 의해, 초기의 녹내장의 경우, 시신경 유두의 안부 단층상으로부터 망막 아래의 병변의 분포에 기초하여 시기능에의 영향 및 시기능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특징들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예를 들면,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록 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기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모든 그러한 변형과, 등가의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도록 최광의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
10: 화상 처리 장치
20: 단층 촬상 장치
30: 네트워크(LAN)
40: 데이터 서버
110: 단층상 취득 유닛
120: 저장 유닛
130: 화상 처리 유닛
131: 안부 특징 취득 유닛
132: 병변 검출 유닛
133: 시기능 영향도 판정 유닛
1331: 시기능 회복 가능성 판정 유닛
1332: 시기능 예후 예측 유닛
140: 진단 지원 정보 출력 유닛
141: 시기능 영향도 정보 출력 유닛
142: 시기능 회복 가능성 정보 출력 유닛
143: 시기능 예후 예측 정보 출력 유닛
150: 지시 취득 유닛

Claims (13)

  1. 화상 처리 장치이며,
    피검체의 안부의 단층상(tomogram)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
    상기 단층상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부위의 정보와 미리 결정된 조직 구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정보 취득 유닛, 및
    상기 미리 결정된 부위의 정보와 상기 미리 결정된 조직 구조의 위치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평가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된 산출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부위의 정보는, 상기 단층상에 있어서의 시세포의 밀도 분포의 정보이며,
    상기 산출 유닛은, 상기 미리 결정된 조직 구조에 있어서의 시세포의 밀도 분포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값을 산출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직 구조는 망막 박리의 영역인, 화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부위의 정보는, 상기 단층상에 있어서의 시세포의 밀도 분포의 정보이고,
    상기 산출 유닛은 상기 미리 결정된 조직 구조의 두께 분포에 기초해서 상기 평가값을 산출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직 구조는 시세포 내절과 외절 간의 경계와 망막 색소 상피층 경계 사이의 영역인, 화상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부위는 중심와(fovea centralis) 아래의 부위이며,
    상기 산출 유닛은, 상기 미리 결정된 조직 구조와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값을 산출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직 구조는 백반(leukoma)인, 화상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부위는 마리오트 맹점(Mariotte blind spot)이며,
    상기 산출 유닛은, 상기 미리 결정된 조직 구조와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값을 산출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직 구조는 사상판(cribrosa lamina)인, 화상 처리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유닛은, 상기 망막 박리의 존재 기간으로부터 상기 안부의 시기능의 회복 가능성을 상기 평가값으로서 산출하는, 화상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유닛은 상기 평가값을 상기 단층상의 2차원 좌표에 연관지어 산출하고,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단층상의 2차원 좌표에 연관지어진 상기 평가값을 맵으로서 표시 유닛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12. 화상 처리 방법이며,
    피검체의 안부의 단층상을 취득하는 취득 단계,
    상기 단층상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부위의 정보와 미리 결정된 조직 구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부위의 정보와 상기 미리 결정된 조직 구조의 위치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의 각 단계들을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120009524A 2011-02-01 2012-01-31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1484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20089A JP5904711B2 (ja) 2011-02-01 2011-02-01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1-020089 2011-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836A true KR20120094836A (ko) 2012-08-27
KR101484365B1 KR101484365B1 (ko) 2015-01-19

Family

ID=4556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09524A KR101484365B1 (ko) 2011-02-01 2012-01-31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840248B2 (ko)
EP (1) EP2482249A1 (ko)
JP (1) JP5904711B2 (ko)
KR (1) KR101484365B1 (ko)
CN (1) CN1026263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9378B2 (ja) 2009-06-02 2012-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702991B2 (ja) 2010-11-19 2015-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665655B2 (ja) * 2011-05-24 2015-0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6025311B2 (ja) 2011-08-01 2016-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診断支援装置および方法
JP5955163B2 (ja) 2011-09-06 2016-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6146952B2 (ja) * 2012-01-27 2017-06-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47561B2 (ja) 2012-02-20 2016-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6114495B2 (ja) 2012-02-20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撮影システム
JP6101048B2 (ja) 2012-02-20 2017-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4083285A (ja) * 2012-10-25 2014-05-1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6147001B2 (ja) * 2012-12-28 2017-06-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6200168B2 (ja) 2013-02-28 2017-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6198410B2 (ja) 2013-02-28 2017-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6092659B2 (ja) 2013-02-28 2017-03-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WO2014184887A1 (ja) * 2013-05-15 2014-1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診断支援システム
RU2536712C1 (ru) * 2013-11-29 2014-12-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Межотраслевой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Микрохирургия глаза"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С.Н. Федор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вторичной глаукомы у пациентов с сосудистым бельмом
JP5937163B2 (ja) 2014-07-23 2016-06-22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眼底解析装置及び眼底観察装置
WO2016039188A1 (ja) * 2014-09-08 2016-03-17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眼底解析装置及び眼底観察装置
US9943223B2 (en) 2015-02-13 2018-04-17 University Of Miami Retinal nerve fiber layer volume analysis for detection and progression analysis of glaucoma
KR101667279B1 (ko) * 2015-02-25 2016-10-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빛 간섭 단층촬영을 이용한 망막 내 병변 검출 장치 및 방법
JP6470604B2 (ja) 2015-03-25 2019-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48434B2 (ja) * 2016-01-18 2020-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推定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6419832B (zh) * 2016-08-22 2018-03-02 宁波远志立方能源科技有限公司 智能眼疾检测眼镜
CN106599804B (zh) * 2016-11-30 2019-07-05 哈尔滨工业大学 基于多特征模型的视网膜中央凹检测方法
US10973406B2 (en) 2018-03-06 2021-04-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28060B2 (en) * 1997-02-12 2001-01-04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Non-invasive measurement of intracranial pressure
US7768652B2 (en) * 2006-03-16 2010-08-03 Carl Zeiss Meditec, Inc. Methods for mapping tissue with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data
US7971998B2 (en) * 2006-11-16 2011-07-05 Rsem, Limited Partnership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displacement within an eye in vivo in situ, and method of assessment
WO2008124009A2 (en) * 2007-04-02 2008-10-16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Treating glaucoma
CN101778593B (zh) 2007-06-15 2013-03-20 南加州大学 用于分析光学相干断层照相图像的方法
US20080312552A1 (en) 2007-06-18 2008-12-18 Qienyuan Zhou Method to detect change in tissue measurements
US7641339B2 (en) 2007-07-31 2010-01-05 Kabushiki Kaisha Topcon Ophthalmologi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phthalmologic examination apparatus
CA2743458C (en) * 2008-06-18 2016-08-16 Eyelab Group,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olume-related parameters of ocular and other biological tissues
EP3884844A1 (en) * 2008-07-18 2021-09-29 Doheny Eye Institut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based ophthalmic testing methods, devices and systems
JP4810562B2 (ja) 2008-10-17 2011-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US7905599B2 (en) 2009-04-30 2011-03-15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ethods for diagnosing glaucoma utilizing combinations of FD-OCT measurements from three anatomical regions of the eye
JP4909378B2 (ja) 2009-06-02 2012-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582772B2 (ja) 2009-12-08 2014-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702991B2 (ja) 2010-11-19 2015-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04711B2 (ja) 2016-04-20
US10307055B2 (en) 2019-06-04
US20120194782A1 (en) 2012-08-02
KR101484365B1 (ko) 2015-01-19
EP2482249A1 (en) 2012-08-01
JP2012157591A (ja) 2012-08-23
US8840248B2 (en) 2014-09-23
CN102626305A (zh) 2012-08-08
CN102626305B (zh) 2016-08-10
US20140362344A1 (en)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4836A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US994322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09874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05353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a tomogram of an eye region
KR101478598B1 (ko)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267755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단층상 촬상 장치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
US2011013715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50366450A1 (en) Ophthalmic Imaging System with Automatic Retinal Feature Detection
EP2779095B1 (en) Optic disc image segmentation method
JP201020092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3417401B1 (en) Method for reducing artifacts in oct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JP623902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19958A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661177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