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801A - 무도금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 - Google Patents

무도금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3801A
KR20120093801A KR1020120081542A KR20120081542A KR20120093801A KR 20120093801 A KR20120093801 A KR 20120093801A KR 1020120081542 A KR1020120081542 A KR 1020120081542A KR 20120081542 A KR20120081542 A KR 20120081542A KR 20120093801 A KR20120093801 A KR 20120093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antenna
feed line
reflecto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일나르 바타로브
오건석
정민석
오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2008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3801A/ko
Publication of KR20120093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06Particular feedin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제조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면서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안테나, 특히 무도금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가 개시된다. 상기 안테나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일면 위에 배열된 절연부, 및 상기 절연부 위에 위치되며, 급전부, 상기 급전부와 연결된 제 1 방사 부재, 발룬부 및 상기 발룬부와 연결된 제 2 방사 부재를 가지는 제 1 방사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급전부에는 제 1 공간이 형성되며, 제 1 급전 선로가 상기 제 1 공간 내에 배열된다.

Description

무도금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ANTENNA INCLUDING A RADIATOR WITHOUT PLATING}
본 발명은 안테나, 특히 기지국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RF 신호(Radio Frequency)를 송수신하는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아래의 도 1에 도시된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안테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테나는 반사판(100), 제 1 방사체(102), 제 2 방사체(104), 전력 분배기(120) 및 전력 케이블(130)을 포함한다.
제 1 방사체(102)는 제 1 방사 부재(110), 제 2 방사 부재(112), 급전부(114),발룬부(116) 및 급전 선로(118)를 포함한다.
급전부(114) 및 발룬부(11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100)을 관통하여 반사판(100)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전력 분배기(12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은 납땜에 의해 이루어진다.
급전 선로(118)는 반사판(100)을 관통하여 발룬부(116)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즉 납땜된다.
또한, 급전부(114) 및 발룬부(116)는 접지인 반사판(100)에 납땜 연결된다.
즉, 상기 안테나에서 각 방사체(102 및 104)를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10개의 납땜(도 1에서 점으로 표시됨)이 수행되고, 전력 케이블(130)을 전력 분배기(120)에 연결하기 위하여 2개의 납땜이 수행된다. 결론적으로, 총 12개의 납땜이 수행된다.
도 1에서는 단편파가 구현될 때를 도시하였으나, 복편파를 구현할 때는 22개의 납땜이 요구된다.
즉, 많은 납땜 수행으로 인하여 상기 안테나의 제조 공정 시간이 증가하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급전 선로(118)가 급전부(116)에 납땜되어야 하므로, 상기 납땜을 위해 방사체(102 또는 104)를 구리 및 주석의 합금물질로 도금하여야만 했다.
정리하면, 상기 안테나를 구현하기 위하여는 고비용이 요구되었고 제조 공정 시간이 증가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안테나는 빔 포인팅 에러(Beam pointing error), 빔 트랙킹 에러(Beam tracking error) 및 편파간 격리도(Isolation)를 조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면서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안테나, 특히 무도금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 위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 1 방사체, 제 2 방사체 및 제 3 방사체; 상기 제 1 방사체와 상기 제 2 방사체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초크 부재; 및 상기 제 2 방사체와 상기 제 3 방사체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초크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방사체의 가상의 중심선과 상기 제 1 초크 부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중심선과 상기 제 2 초크 부재 사이의 거리와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에서 급전 선로는 방사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용량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의 방사체를 도금할 필요가 없으며, 그 결과 상기 안테나의 제조 비용 및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에서 방사체들이 반사판의 상면에만 위치하므로, 납땜을 수행하여야할 부분이 상당히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의 제조 비용 및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안테나는 방사체들 사이에 초크 부재들을 배열하여 빔 포인팅 에러, 빔 트랙킹 에러 및 편파간 격리도를 허용 범위 내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안테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분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안테나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안테나로부터 출력되는 ±45°편파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안테나는 예를 들어 기지국에 사용되는 안테나로서, 반사판(200), 제 1 방사체(202), 제 2 방사체(204), 절연부(206), 전력 분배기(220) 및 전력 케이블(240)을 포함한다.
반사판(200)은 도체로 이루어지며, 반사체 및 접지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반사판(200)은 전력 케이블(240)의 외부 도체(244)와 연결되어 접지로서 동작한다.
제 1 방사체(202)는 방사 패턴을 발생시키는 소자로서, 복수의 방사 부재들, 예를 들어 단편파를 위해 2개의 방사 부재들(210 및 212), 급전부(214), 발룬부(216) 및 제 1 급전 선로(218)를 포함한다. 물론, 복편파를 구현할 경우에는 4개의 방사 부재들, 4개의 급전부들 및 2개의 급전 선로들이 요구되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안테나가 단편파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가정한다.
급전부(214)는 전력의 급전 통로로서,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급전부(214)에는 길이 방향, 즉 반사판(200)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 1 공간(예를 들어, 요부)이 형성되어 있다.
발룬부(216)는 전력의 급전 통로로서,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발룬부(216)에는 제 2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급전 선로(218)는 급전부(214)의 제 1 공간 및 발룬부(216)의 제 2 공간에 배열된다. 즉, 제 1 급전 선로(218)는 상기 제 1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공간으로 배열된다. 특히, 제 1 급전 선로(218)는 급전부(214) 및 발룬부(216)와 물리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며, 즉 발룬부(216)와 용량 결합(coupling)된다.
제 2 방사체(204)는 소정 방사 패턴을 출력하는 소자로서, 방사 부재들(230 및 232), 급전부(234), 발룬부(236) 및 제 2 급전 선로(238)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방사체(204)의 구조 및 배열은 제 1 방사체(202)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절연부(206)는 절연체로서, 제 1 방사체(202)와 반사판(200) 사이 및 제 2 방사체(204)와 반사판(200) 사이에 배열된다. 즉, 제 1 방사체(202) 및 제 2 방사체(204)가 동일한 절연부(206) 위에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제 1 방사체(202)와 반사판(200)은 용량 결합되고, 제 2 방사체(204)와 반사판(200)도 용량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방사체(202)는 제 1 절연부 위에 배열되고, 제 2 방사체(204)는 제 2 절연부 위에 배열될 수도 있다. 즉, 방사체들(202 및 204)을 지지하는 절연부들이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전력 분배기(220)는 반사판(200)의 배면측에 배열되며,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력, 예를 들어 전력 케이블(240)을 통하여 입력된 전력을 방사체들(202 및 204)로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전력 분배기(220)는 전력을 분배할 수 있는 한 그의 구조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급전 선로들(218 및 23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분배기(220)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급전 선로들(218 및 238)은 전력 분배기(220)의 분배 선로의 종단에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력 케이블(240)의 내부 도체(242)가 전력 분배기(220)의 입력 포트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전력 케이블(240)을 통하여 입력된 전력이 급전 선로들(218 및 238)로 분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급전 선로(21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200) 및 절연부(206)를 관통하여 급전부(214) 및 발룬부(216)의 공간들로 배열된다. 따라서, 반사판(200) 및 절연부(206) 상에는 제 1 급전 라인(218)이 통과할 수 있는 홀이 각기 형성된다. 또한, 제 2 급전 선로(238)는 반사판(200) 및 절연부(206)를 관통하여 급전부(234) 및 발룬부(236)의 공간들로 배열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안테나는 종래의 안테나와 다른 특성들을 가진다.
첫번째, 종래의 안테나에서는 방사체가 반사판의 상면으로부터 배면으로 관통하여 배열되었으나, 본 발명의 안테나에서는 방사체(202 또는 204)는 반사판(200)을 관통하지 않고 반사판(200)의 상면에만 위치한다. 반사판의 홀이 커질수록 안테나의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안테나의 특성이 종래 안테나보다 우수할 수 있다.
두번째, 종래의 안테나에서는 급전 선로가 방사체의 급전부에 직접적으로 연결(납땜)되었다. 이 경우, 상기 급전 선로를 상기 급전부에 납땜하기 위하여 상기 방사체를 도금 물질, 예를 들어 구리와 주석의 화합물질로 도금하여야 했다. 결과적으로, 도금 비용 및 도금 공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안테나에서는 급전 선로(218 또는 238)가 발룬부(216 또는 236)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발룬부(216 또는 236)와 용량 결합한다. 즉, 급전 선로(218 또는 238)가 발룬부(216 또는 236)에 납땜으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방사체(202 또는 204)를 도금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를 제조하는 공정이 간단하여지고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세번째, 종래의 안테나 구조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편파를 구현하기 위해서 최소 12개의 부분(점으로 표시된 부분)이 납땜되어야 했고 복편파를 구현하는 구조에서는 최소 22개의 부분이 납땜되어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안테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편파를 구현하기 위해서 4개 부분만 납땜되어도 되고 복편파를 구현하기 위하여 8개 부분만 납땜되어도 충분하다. 즉, 종래의 안테나에 비하여 본 발명의 안테나에서의 납땜 부분이 약 67%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납땜으로 인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납땜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안테나는 종래의 안테나에 비하여 제조 공정 단계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안테나는 저가로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안테나는 광대역을 구현한다.
또한, 반사판(200) 위에는 3개 이상의 방사체들, 예를 들어 10개의 방사체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전력 분배기는 2개의 방사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안테나의 구체적인 구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분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4(A)를 참조하면, 반사판(200)의 상면 위에는 절연부(206A 또는 206B) 및 방사체(202 또는 204)가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제 1 방사체(202)의 구조를 도 3(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 1 방사체(202)는 복편파를 출력할 수 있는 구조이며, 예를 들어 부채꼴 형상을 가지는 방사 부재들(210, 212, 320 및 322), 급전부들(214 및 330) 및 발룬부들(216 및 332)을 포함한다. 여기서, 급전부들(214 및 330) 및 발룬부들(216 및 332)에는 각기 공간(310, 314, 312 또는 316)이 형성되고, 급전 선로(218)는 급전부(214) 및 발룬부(216)의 공간들(310 및 312) 내로 배열되며, 급전 선로(300)는 급전부(330) 및 발룬부(332)의 공간들(314 및 316) 내로 배열된다. 다만, 급전 선로들(218 및 30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교차적으로 배열되기는 하나 물리적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제 2 방사체(204)는 제 1 방사체(202)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겠다.
전력 분배기(220)의 구조를 도 3(B) 및 도 4(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전력 분배기(220)는 제 1 지지부(360), 제 1 입력 지지부(362), 제 1 분배 선로(364) 및 제 1 입력 포트(366), 제 2 지지부(370), 제 2 입력 지지부(372), 제 2 분배 선로(374) 및 제 2 입력 포트(376)를 포함한다.
지지부들(360 및 370)은 전력 분배기(220)가 반사판(200)의 배면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반사판(200)과 결합된다.
입력 지지부들(362 및 372)은 입력 포트들(366 및 376)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분배 선로들(364 및 374)은 전력 케이블(240)을 통하여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며, 분배된 전력을 급전 선로들(218, 300, 238 및 340)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급전 선로(218)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분배 선로(364)의 일단에 연결되고, 급전 선로(300)는 제 2 분배 선로(374)의 일단에 연결되며, 급전 선로(238)는 제 1 분배 선로(364)의 타단에 연결되고, 급전 선로(340)는 제 2 분배 선로(374)의 타단에 연결된다. 물론, 급전 선로들(218, 300, 238 및 340)이 분배 선로들(364 및 37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분배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 1 입력 포트(366)에는 제 1 전력 케이블이 연결되며, 제 2 입력 포트(376)에는 제 2 전력 케이블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력 케이블들의 내부 도체들은 입력 포트들(366 및 376)을 통하여 분배 선로들(364 및 37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만, 상기 전력 케이블들의 외부 도체들은 지지부들(360, 362, 370 및 3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 결과 지지부들(360 및 370)과 물리적으로 연결된 반사판(200)이 접지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다만, 본 실시예의 안테나의 구성 요소들 중 제 1 실시예의 안테나에서와 동일한 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안테나는 반사판(200), 복수의 방사체들(202 및 204), 절연부들(206A 및 206B) 및 복수의 초크 부재들(510, 512 및 514)을 포함한다.
반사판(200)의 양종단들에는 수직 부재들(500 및 50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 부재들(500 및 502)은 안테나의 전후방비 및 빔 폭 등에 영향을 미친다.
초크 부재들(510, 512 및 514)은 복사 소자들(202, 204 등) 사이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크 부재(510, 512 또는 514)는 반사판(200)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즉 반사판(200)과 용량 결합된다. 또한, 초크 부재(510, 512 또는 514)는 수직 부재들(500 및 502)과도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열된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예를 들어 방사체(204)는 초크 부재들(512 및 514) 및 수직 부재들(500 및 502)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 경우, 안테나의 빔 포인팅 에러(beam pointing error)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초크 부재들만으로 방사체(202 또는 204)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초크 부재들은 반사판(20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크 부재들(510 및 512)의 중간 라인(602)과 방사체(202)의 중심선(600)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초크 부재(510)와 방사체(202)의 중심선(600)의 사이의 거리는 초크 부재(512)와 방사체(202)의 중심선(600) 사이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안테나의 빔 포인팅 에러와 빔 트랙킹 에러(beam tracking error)를 조절하기 위해서이다. 즉, 본 발명의 안테나는 초크 부재들(510 및 512)의 중간 라인(602)과 방사체(202)의 중심선(600) 사이의 간격(D1)을 조정하여 빔 포인팅 에러 및 빔 트랙킹 에러를 조절한다. 특히, 안테나의 경사각에 따라 빔 포인팅 에러 및 빔 트랙킹 에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구현하고자 하는 경사각에 맞춰서 초크 부재들(510 및 512)의 중간 라인(602)과 방사체(202)의 중심선(600) 사이의 간격(D1)을 적절하게 설정한다.
위에서는 하나의 방사체(202)만을 언급하였지만, 복수의 방사체들과 관련 초크 부재들의 설계가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일부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테나는 도 5에서 L1과 L2의 비율과 초크 부재(510, 512 또는 514)와 반사판(2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편파간 격리도(Isolation)를 제어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안테나는 반사판(200) 위에 방사체들 사이에 초크 부재들을 설치하고 방사체와 해당 초크 부재들 사이의 거리, 반사판(200)과 해당 초크 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빔 포인팅 에러, 빔 트랙킹 에러 및 상기 방사체들 사이의 격리도를 제어한다.
위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초크 부재들(510, 512 및 514)은 반사판(20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플라스틱 지지체(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반사판(200)과 초크 부재들(510, 512 및 514)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상호 변조 왜곡(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PIMD)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크 부재들(510, 152 및 514)의 하단 부분에는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안테나들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안테나는 저가로 구현되면서 우수한 안테나 특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PIMD가 방지되고 빔 포인팅 에러, 빔 트랙킹 에러 및 격리도를 허용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안테나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안테나로부터 출력되는 ±45°편파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여기서, 반사판 위에 10개의 방사체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방사체들 사이에 초크 부재들이 존재하는 안테나에 대한 특성 실험을 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테나는 원하는 주파수 대역, 즉 1710㎒ 내지 2170㎒의 주파수 대역을 구현하였으며, 특히 다중 대역이 구현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710㎒ 내지 2170㎒의 주파수 대역에서 반사 손실(Return Loss)이 20㏈ 이상임을 S22 그래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편파간 격리도가 30㏈ 이상임을 S12 그래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안테나는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구현하면서 우수한 반사 손실 특성 및 격리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수평 반치각 빔폭이 60°내지 70°이고, 수평 빔 지향각이 ±2°이며, 수평 빔 지향비(tracking error)가 1.5㏈ 미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안테나가 허용 범위 내의 작은 빔 트랙킹 에러를 가짐이 확인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00 : 반사판 202 : 제 1 방사체
204 : 제 2 방사체 206 : 절연부
210, 212, 230, 232 : 방사 부재 214 : 급전부
216 : 발룬부 234 : 급전부
236 : 발룬부 218 : 제 1 급전 선로
234 : 제 2 급전 선로 220 : 전력 분배기
240 : 전력 케이블 300 : 급전 선로
310, 312, 314, 316 : 공간 320, 322 : 방사 부재
330, 332 : 방사 부재 340 : 급전 선로
360, 370 : 지지부 362, 372 : 입력 지지부
364, 374 : 분배 선로 366, 376 : 입력 포트
500, 502 : 수직 부재 510, 512, 514 : 초크 부재
600 : 중심선 602 : 중간 라인

Claims (3)

  1. 반사판;
    상기 반사판 위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 1 방사체, 제 2 방사체 및 제 3 방사체;
    상기 제 1 방사체와 상기 제 2 방사체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초크 부재; 및
    상기 제 2 방사체와 상기 제 3 방사체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초크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방사체의 가상의 중심선과 상기 제 1 초크 부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중심선과 상기 제 2 초크 부재 사이의 거리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들과 상기 반사판 사이에는 절연부가 존재하며, 상기 제 1 초크 부재와 상기 제 2 초크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반사판과 용량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체는 제 1 급전부, 상기 제 1 급전부와 연결된 제 1 방사 부재, 제 1 발룬부 및 상기 제 1 발룬부와 연결된 제 2 방사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 2 방사체는 제 2 급전부, 상기 제 2 급전부와 연결된 제 3 방사 부재, 제 2 발룬부 및 상기 제 2 발룬부와 연결된 제 4 방사 부재를 가지되,
    상기 제 1 급전부, 상기 제 1 발룬부, 상기 제 2 급전부 및 상기 제 2 발룬부에는 제 1 공간, 제 2 공간, 제 3 공간 및 제 4 공간이 각기 형성되고, 제 1 급전 선로가 상기 제 1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 2 공간으로 배열되며, 제 2 급전 선로가 상기 제 3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 4 공간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급전 선로는 상기 제 1 발룬부와 용량 결합되며, 상기 제 2 급전 선로는 상기 제 2 발룬부와 용량 결합되고, 상기 제 1 급전 선로 및 상기 제 2 급전 선로는 상기 반사판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전력 분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KR1020120081542A 2012-07-26 2012-07-26 무도금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 KR20120093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542A KR20120093801A (ko) 2012-07-26 2012-07-26 무도금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542A KR20120093801A (ko) 2012-07-26 2012-07-26 무도금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677A Division KR20120082279A (ko) 2011-01-13 2011-01-13 무도금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801A true KR20120093801A (ko) 2012-08-23

Family

ID=46885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542A KR20120093801A (ko) 2012-07-26 2012-07-26 무도금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38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3165B2 (en) Antenna arrays having shared radiating elements that exhibit reduced azimuth beamwidth and increased isolation
US10910700B2 (en) Omnidirectional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10790576B2 (en) Multi-band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multi-layer feed boards
US8860622B2 (en) Antenna having a choke member
WO2017070952A1 (zh) 一种天线系统
KR20030014363A (ko) 이중편파 다이폴 배열안테나
JP5060588B2 (ja) 偏波ダイバーシチアンテナ
US9368877B2 (en) Multi-array antenna
US10333228B2 (en) Low coupling 2×2 MIMO array
US11264730B2 (en) Quad-port radiating element
US20220416406A1 (en) Slant cross-polarized antenna arrays composed of non-slant polarized radiating elements
CN107275757A (zh) 用于多频基站天线中的低剖面宽频双极化辐射装置
KR20120082279A (ko) 무도금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
KR101798628B1 (ko) 기지국용 배열 안테나
JP2017188850A (ja) 多周波共用アンテナ装置
US11888234B2 (en) Zig-zag antenna array and system for polarization control
KR101333460B1 (ko) 무도금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
US11563271B2 (en) Antenna array with ABFN circuitry
KR101333383B1 (ko) 무도금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
US20230019212A1 (en) Antenna assembly and base station antenna
CN211376931U (zh) 天线组件和基站天线
KR20130047870A (ko) 슬롯이 형성된 초크 박스를 가지는 안테나
JP2005203841A (ja) アンテナ装置
KR20120093801A (ko) 무도금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
KR101477354B1 (ko) 다중 배열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