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527A -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3527A
KR20120093527A KR1020110013141A KR20110013141A KR20120093527A KR 20120093527 A KR20120093527 A KR 20120093527A KR 1020110013141 A KR1020110013141 A KR 1020110013141A KR 20110013141 A KR20110013141 A KR 20110013141A KR 20120093527 A KR20120093527 A KR 20120093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rared
terminal
electronic pe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1157B1 (ko
Inventor
권돌
Original Assignee
권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돌 filed Critical 권돌
Priority to KR1020110013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157B1/ko
Publication of KR20120093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32Overhead projectors, i.e. capable of projecting hand-writing or drawing during a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송신부를 갖는 전자펜과, 영프로젝션모듈 통신부 전자펜위치 추정모듈부 투사영역좌표설정부 전자펜위치 추적모듈부 적외선신호수신부 위치추정부로 구성되는 프로젝터와, 통신부 위치정보분석부 이미지적용부로 구성된 단말기와, 상기 프로젝터(20)의 이미지가 적용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프로젝터에 설치된 적외선수신부에서 전자펜에서 발생되는 적외선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전자펜의 위치를 구하고 프로젝터의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되는 영상의 영역에서 기준좌표를 설정하여 프로젝터가 전자펜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위치에 따른 이미지를 현재 단말기에 출력되는 영상에 전자펜으로 판서 및 마우스모드기능을 갖도록 한 새로운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interactive projecte system with wireless tablet function}
본 발명은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젝터에 설치된 적외선수신부에서 전자펜에서 발생되는 적외선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전자펜의 위치를 구하고 프로젝터의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되는 영상의 영역에서 기준좌표를 설정하여 프로젝터가 전자펜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위치에 따른 이미지를 현재 단말기에 출력되는 영상에 전자펜으로 판서 및 마우스모드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학원 및 회의 등에서 다수의 수강자를 상대로 강의를 하는 경우에는 첫번째로 칠판에 판서를 하면서 강의를 진행하는 방식, 두번째로 LCD 프로젝터와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을 통하여 강의를 진행하는 방식 등이 이용된다.
칠판에 직접 판서를 하면서 강의 진행을 하는 경우에는 강의자가 판서하고 그 내용을 지워야하는 불편함과 함께 분진 등이 발생되기 때문에 강의자가 불편하였다. 또한, 칠판에 판서를 하면서 강의를 진행하는 방식은 칠판에 판서된 내용을 수강자가 일일이 필기하여야 하며, 판서된 내용을 프린트해야 하는 경우에는 종이에 다시 옮겨 적어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그리고, LCD 프로젝터를 이용한 강의 방법은 LCD 프로젝터와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대형 스크린을 통하여 강의 또는 발표를 할 경우 스크린 상의 내용 위에 레이저 지시봉을 비추어 강의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LCD 프로젝터를 이용한 강의 방법은 스크린 상에 레이저 지시봉을 비추어 강의를 하고 있으나 미리 준비된 강의 내용을 그대로 스크린상에 비추기 때문에 강의 도중에 추가로 설명되어야 할 내용 등은 음성 정보로만 전달될 수 밖에 없어 수강자는 강의 내용을 기억에 의존하여야 했고, LCD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강의를 할 경우, 강의자가 수강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보충 설명이 필요한판서와 줄긋기 등의 표현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LCD 프로젝터를 이용한 강의방법이외에 프로젝터로 영사가 투영되는 전자칠판에서 전자펜으로 회의 및 강의시 전자칠판의 대형프레임 구조에 하드웨어 형태의 센서를 전자칠판의 내외각에 설치하여 좌표인식하도록 하여 전자펜을 사용하여왔다. 이러한 전자칠판은 그 크기가 제한되어 있고, 장소에 많은 구애를 많이 받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설치된 적외선수신부에서 전자펜에서 발생되는 적외선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전자펜의 위치를 구하고 프로젝터의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되는 영상의 영역에서 기준좌표를 설정하여 프로젝터가 전자펜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위치에 따른 이미지를 현재 단말기에 출력되는 영상에 전자펜으로 판서 및 마우스모드기능을 갖도록 한 새로운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모듈과, 통신부와, 상기 적외선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펜의 위치를 구하는 전자펜위치 추정모듈부와, 상기 전자펜위치 추정모듈부는 상기 전자펜의 파원온이 감지되면, 상기 프로젝션모듈에 의해 투사되는 영역에서 기존좌표를 설정하고, 그 영역 전체를 상기 설정된 기존좌표를 기준으로 좌표를 설정하는 투사영역좌표설정부와, 상기 적외선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펜의 위치를 구하는 전자펜위치 추적모듈부와, 상기 전자펜의 움직임에 의한 상기 적외선발진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신호수신부와, 상기 적외선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적외선발진신호에 대해 삼각 측정법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펜의 위치를 구하고, 구해진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단말기에 전송하는 위치추정부로 구성되는 프로젝터와; 상기 단말기는 상기 프로젝터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연결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위치정보분석부와, 상기 위치정보분석부에 생성된 이미지가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해당영역에 표시되도록 적용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프로젝터에 전송하는 이미지적용부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젝터의 이미지가 적용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투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스크린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은 40인치 내지 150인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펜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판서할 수 있는 펜모드 또는 포인트만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의 마우스모드중 선택된 어느하나로 설정되는 펜모드설정부와, 움직임에 따라 적외선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송신부를 내장한 본체와, 상기 펜모드설정부와 적외선송수신부의 온 및 오프를 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15)와 연결되는 전원부가 상기 본체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압력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력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하부내주연에 형성된 단턱과, 상기 단턱상에 설치된 -단자와, 상기 단턱하부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하부에 상부돌기가 삽입되는 포인트를 구비한 스위치부와, 상기 상부돌기상에 +단자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포인트의 내주연에 +단자와, 상기 포인트가 삽입되는 상기 본체의 하부내주연에 -단자가 설치되어 상기 포인트를 직각으로 하여 누를시 상기 포인트의 +단자가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 -단자에 휘어 단락되게 하여 상기 펜모드설정부 및 상기 적외선송수신부를 온오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인트의 상부에 설치된 +단자와, 상기 본체의 하부내측에 설치된 -단자로 구성되어, 상기 포인트의 상부가 상기 본체의 하부내측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포인트의 +단자가 상기 본체의 하부내측에 설치된 -단자에 승강되어 단락되게 하여 상기 펜모드설정부 및 상기 적외선송수신부를 온오프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외선 송수신부는 제 1적외선발진기와 제 2적외선발진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설치된 적외선수신부에서 전자펜에서 발생되는 적외선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전자펜의 위치를 구하고 프로젝터의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되는 영상의 영역에서 기준좌표를 설정하여 프로젝터가 전자펜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위치에 따른 이미지를 현재 단말기에 출력되는 영상에 전자펜으로 판서 및 마우스모드기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는 자유롭게 조정되고 본 발명의 시스템을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설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의 스위치부의 제1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의 스위치부의 제2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의 스위치부의 제3실시예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의 개략도ㅇl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의 스위치부의 제2실시예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의 스위치부의 제3실시예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은 전자펜(10)과, 프로젝트(20)와, 단말기(30)와, 디스플레이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펜(10)은 도 1 및 도 2, 도 3,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자펜(10)은 적외선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송신부(1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자펜(1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판서할 수 있는 펜모드 또는 포인트만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의 마우스모드중 선택된 어느하나로 설정되는 펜모드설정부(12)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펜(10)의 움직임에 따라 적외선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송신부(13)를 내장한 본체(14)로 구성된다.
상기 펜모드설정부(12)와 적외선송수신부(13)의 온 및 오프를 하는 스위치부(15)와 상기 스위치(15)와 연결되는 전원부(16)가 상기 본체(14)내에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15)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스위치부(15)는 상기 본체(14)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부(15)는 압력스위치(14a)로 구성된다.
상기 압력스위치(14a)는 상기 본체(14)의 하부내주연에 형성된 단턱(14b)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턱(14b)상에 설치된 -단자(14c)로 구성된다.
상기 단턱(14b)하부에 설치된 스프링(14d)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14d)의 하부에 상부돌기(14e)가 삽입되는 포인트(15a)를 구비한 스위치부(15)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돌기(14e)상에 +단자(14f)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단자(14c)와 상기 +단자(14f)는 상기 스위치부(15)가 대상물이 맞닿아 눌려질때 상기 -단자(14c)와 상기 +단자(14f)가 서로 붙어서 상기 펜모드설정부(12) 및 상기 적외선송수신부(13)를 온시키며, 상기 -단자(14c)와 상기 +단자(14f)가 서로 떨어질경우 상기 펜모드설정부(12) 및 상기 적외선송수신부(13)는 오프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15)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스위치부(15)는 포인트(15a)의 내주연에 +단자(15b)로 구성된다.
상기 포인트(15a)가 삽입되는 상기 본체(14)의 하부내주연에 -단자(15c)가 설치되어 상기 포인트(15a)를 직각으로 하여 누를시 상기 포인트(15a)의 +단자(15b)가 상기 본체(14)의 하부 내측 -단자(15c)에 휘어 단락되게 하여 상기 펜모드설정부(12) 및 상기 적외선송수신부(13)를 온오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자(15b)와 상기 -단자(15c)는 상기 스위치부(15)가 대상물이 맞닿아 직각으로 눌려질때 상기 +단자(15b)와 상기 -단자(15c)를 서로 붙어서 상기 펜모드설정부(12) 및 상기 적외선송수신부(13)를 온시키며, 상기 +단자(15b)와 상기 -단자(15c)가 상기 +단자(15b)와 상기 -단자(15c)가 서로 떨어질경우 상기 펜모드설정부(12) 및 상기 적외선송수신부(13)는 오프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15)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포인트(15a)의 상부에 설치된 +단자(15b')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4)의 하부내측에 설치된 -단자(15c')로 구성되어, 상기 포인트(15a)의 상부가 상기 본체(14)의 하부내측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포인트(15a)의 +단자(15b')가 상기 본체(14)의 하부내측에 설치된 -단자(15c')에 승강되어 단락되게 하여 상기 펜모드설정부(12) 및 상기 적외선송수신부(13)를 온오프되게 구성된다.
상기 +단자(15b')와 상기 -단자(15c')는 상기 스위치부(15)를 상기 본체(14)내에서 상승시켜 상기 +단자(15b')와 상기 -단자(15c')를 서로 붙어서 상기 펜모드설정부(12) 및 상기 적외선송수신부(13)를 온시키며, 상기 +단자(15b')와 상기 -단자(15c')가 상기 스위치부(15)를 상기 본체(14)의 하부로 하강시켜서 서로 상기 +단자(15b')와 상기 -단자(15c')가 떨어질경우 상기 펜모드설정부(12) 및 상기 적외선송수신부(13)는 오프된다.
또한, 상기 적외선 송수신부(13)는 제 1적외선발진기와 제 2적외선발진기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젝트(2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젝션모듈(21)과, 통신부(22)와, 전자펜위치 추정모듈부(23)와, 투사영역좌표설정부(24)와, 전자펜위치 추적모듈부(25)와, 적외선신호수신부(26)와, 위치추정부(27)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젝션모듈(21)은 영상을 투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22)는 후술되는 상기 단말기(30)의 통신부(31)와 서로 송수신되게 구성된다.
전자펜위치 추정모듈부(23)는 상기 적외선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펜(10)의 위치를 구하도록 구성된다.
투사영역좌표설정부(24)는 상기 전자펜(10)의 파원온이 감지되면, 상기 프로젝션모듈(21)에 의해 투사되는 영역에서 기존좌표를 설정하고, 그 영역 전체를 상기 설정된 기존좌표를 기준으로 좌표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전자펜위치 추적모듈부(25)는 상기 적외선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펜의 위치를 구하도록 구성된다.
적외선신호수신부(26)는 상기 전자펜(10)의 움직임에 의한 상기 적외선 발진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위치추정부(27)는 적외선신호수신부(26)를 통해 수신된 적외선 발진신호에 대해 삼각 측정법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펜(10)의 위치를 구하고, 구해진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부(22)를 통해 단말기(3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3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부(31)와, 위치정보분석부(32)와, 이미지적용부(33)로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31)는 상기 프로젝터(20)와 통신을 위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치정보분석부(32)는 통신부(31)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20)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연결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게 구성된다.
상기 이미지적용부(33)는 상기 위치정보분석부(32)에 생성된 이미지가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해당영역에 표시되도록 적용하여 상기 통신부(31)를 통해 상기 프로젝터(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프로젝터(20)의 이미지가 적용된 영상을 투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스크린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은 40인치 내지 150인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 전자칠판의 대형프레임 구조에 하드웨어 형태의 센서를 전자칠판의 내외각에 설치하여 좌표인식하도록 하여 전자펜을 사용하였고, 이러한 전자칠판은 그 크기가 제한되어 있고, 장소에 많은 구애를 많이 받는 불편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스크린은 장소에 구애받음 없이 그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전자펜 11: 적외선송신부
12: 펜모드설정부 13: 적외선송수신부
14: 본체 14:압력스위치
14b: 단턱 14c: -단자
14d: 스프링 14e: 상부돌기
14f: -단자 15a: 포인트
15b, 15b': +단자 15c, 15c':-단자
20: 프로젝터 21: 프로젝션 모듈
22: 통신부 23: 전자펜위치 추적모듈부
24: 투시영역 좌표설정부 25: 전자펜위치 추적모듈
26: 적외선신호수신부 27: 위치추정부
30: 단말기 31: 통신부
32: 위치정보 분석부 33: 이미지 적용부
40: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움직임에 따라 적외선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송신부(11)를 구비한 전자펜(10)과;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모듈(21)과, 통신부(22)와, 상기 적외선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펜(10)의 위치를 구하는 전자펜위치 추정모듈부(23)와, 상기 전자펜위치 추정모듈부(23)는 상기 전자펜(10)의 파원온이 감지되면, 상기 프로젝션모듈(21)에 의해 투사되는 영역에서 기존좌표를 설정하고, 그 영역 전체를 상기 설정된 기존좌표를 기준으로 좌표를 설정하는 투사영역좌표설정부(24)와, 상기 적외선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펜(10)의 위치를 구하는 전자펜위치 추적모듈부(25)와, 상기 전자펜(10)의 움직임에 의한 상기 적외선발진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신호수신부(26)와, 상기 적외선신호수신부(26)를 통해 수신된 적외선발진신호에 대해 삼각 측정법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펜(10)의 위치를 구하고, 구해진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부(22)를 통해 단말기(30)에 전송하는 위치추정부(27)로 구성되는 프로젝터(20)와;
    상기 단말기(30)는 상기 프로젝터(20)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31)와, 상기 통신부(31)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20)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연결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위치정보분석부(32)와, 상기 위치정보분석부(32)에 생성된 이미지가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해당영역에 표시되도록 적용하여 상기 통신부(31)를 통해 상기 프로젝터(20)에 전송하는 이미지적용부(33)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젝터(20)의 이미지가 적용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에 투시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스크린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은 40인치 내지 150인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1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판서할 수 있는 펜모드 또는 포인트만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의 마우스모드중 선택된 어느하나로 설정되는 펜모드설정부(12)와, 움직임에 따라 적외선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송신부(13)를 내장한 본체(14)와, 상기 펜모드설정부(12)와 적외선송수신부(13)의 온 및 오프를 하는 스위치부(15)와, 상기 스위치(15)와 연결되는 전원부(16)가 상기 본체(14)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15)는 상기 본체(14)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부(15)는 압력스위치(14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스위치(14a)는 상기 본체(14)의 하부내주연에 형성된 단턱(14b)과, 상기 단턱(14b)상에 설치된 -단자(14c)와, 상기 단턱(14b)하부에 설치된 스프링(14d)과, 상기 스프링(14d)의 하부에 상부돌기(14e)가 삽입되는 포인트(15a)를 구비한 스위치부(15)와, 상기 상부돌기(14e)상에 +단자(14f)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15)는 포인트(15a)의 내주연에 +단자(15b)와, 상기 포인트(15a)가 삽입되는 상기 본체(14)의 하부내주연에 -단자(15c)가 설치되어 상기 포인트(15a)를 직각으로 하여 누를시 상기 포인트(15a)의 +단자(15b)가 상기 본체(14)의 하부 내측 -단자(15c)에 휘어 단락되게 하여 상기 펜모드설정부(12) 및 상기 적외선송수신부(13)를 온오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15a)의 상부에 설치된 +단자(15b')와, 상기 본체(14)의 하부내측에 설치된 -단자(15c')로 구성되어, 상기 포인트(15a)의 상부가 상기 본체(14)의 하부내측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포인트(15a)의 +단자(15b')가 상기 본체(14)의 하부내측에 설치된 -단자(15c')에 승강되어 단락되게 하여 상기 펜모드설정부(12) 및 상기 적외선송수신부(13)를 온오프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송수신부(13)는 제 1적외선발진기와 제 2적외선발진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KR1020110013141A 2011-02-15 2011-02-15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KR101221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141A KR101221157B1 (ko) 2011-02-15 2011-02-15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141A KR101221157B1 (ko) 2011-02-15 2011-02-15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527A true KR20120093527A (ko) 2012-08-23
KR101221157B1 KR101221157B1 (ko) 2013-01-10

Family

ID=46884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141A KR101221157B1 (ko) 2011-02-15 2011-02-15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1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986B1 (ko) * 2014-02-21 2015-05-04 주식회사 아이에스엘코리아 적외선 광원을 이용한 모바일 장치에서의 가상 좌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530476B1 (ko) * 2014-02-17 2015-06-19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WO2015137544A1 (ko) * 2014-03-14 2015-09-17 주식회사 아이에스엘코리아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482B1 (ko) * 2008-03-04 2009-10-13 주식회사 다날시스템 프로젝터를 이용한 강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판서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476B1 (ko) * 2014-02-17 2015-06-19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KR101515986B1 (ko) * 2014-02-21 2015-05-04 주식회사 아이에스엘코리아 적외선 광원을 이용한 모바일 장치에서의 가상 좌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WO2015137544A1 (ko) * 2014-03-14 2015-09-17 주식회사 아이에스엘코리아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157B1 (ko)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482B1 (ko) 프로젝터를 이용한 강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판서방법
CN106373455B (zh) 一种微投临摹显示装置及显示方法
KR20170051481A (ko) 터치 칠판, 터치 칠판 프레임, 터치 올인원 장비 및 통합형 칠판
KR20140000436A (ko)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US20140160089A1 (en) Interactive input system and input tool therefor
KR101530476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CN102221933A (zh) 电子白板中失真投影面内触摸点屏幕坐标的精确计算方法
KR101221157B1 (ko)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CN111240524A (zh) 激光雷达触摸屏
US9153288B2 (en) Recordable display apparatus
CN104635989A (zh) 一种基于点对点双向传输会议写字板的压力轨迹处理方法
CN211791765U (zh) 固态激光雷达触摸电视
JP4502896B2 (ja) 投写型表示装置
US20180341366A1 (en) Non-edge projection and integrated touch electronic whiteboard
CN214846669U (zh) 大尺寸显示系统
JP2020003746A (ja) 電子機器、投影装置、投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11787035U (zh) 固态激光雷达智能白板
CN211787036U (zh) 激光雷达触摸屏
CN201903865U (zh) 一种交互式投影仪
KR20180113066A (ko)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
US20110244442A1 (en) Video whiteboard apparatus and method
CN111273818A (zh) 固态激光雷达智能白板
KR20100003661U (ko) 디스플레이와 필기가 가능한 칠판
CN210039169U (zh) 一种智能共享黑板
WO2015137544A1 (ko)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