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066A -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066A
KR20180113066A KR1020170044273A KR20170044273A KR20180113066A KR 20180113066 A KR20180113066 A KR 20180113066A KR 1020170044273 A KR1020170044273 A KR 1020170044273A KR 20170044273 A KR20170044273 A KR 20170044273A KR 20180113066 A KR20180113066 A KR 20180113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microprocessor
software
wall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영
송동현
이창우
김한나
이종배
Original Assignee
조민영
이종배
김한나
송동현
이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영, 이종배, 김한나, 송동현, 이창우 filed Critical 조민영
Priority to KR1020170044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3066A/ko
Publication of KR20180113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6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for light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04L65/406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칠판 시스템은,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빛을 조사하는 빔 프로젝터; 상기 벽에 필기하면서 적외선을 송출하는 적외선 펜; 상기 적외선 펜에서 송출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카메라;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 연결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서 수신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가 전송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는 상기 적외선 펜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를 분석하여 필기 내용을 생성하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SMART BOARD SYSTEM AND SMART WRI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 빔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자유롭게 필기할 수 있는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발전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일상생활에 사소하지만 큰 변화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학교 같은 강의 환경에서도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일반 학교에는 스마트 칠판이라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칠판이 개발되었는데, 기존 프로젝터를 사용하지 않고 새로 대형 터치스크린을 구입해야만 했다. 이는 가격적인 면이나 실용적인 면에서 소비자가 구매를 주저하게 되는 이유가 되어 보급화에 어려움이 생기고 제한적으로 학교의 몇몇 교실에만 보급된 상황이다.
따라서 기존 기기를 활용하고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 칠판 시스템에 대하여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어, 2016년 9월 20일에 출원된 KR 10-2016-0120051에는 '투명과 불투명 상태로 가변되는 스마트 전자칠판'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별도의 터치 패널이나 필기 가능한 칠판 없이도 기존의 빔 프로젝터를 이용해서 자유롭게 필기할 수 있는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빔 프로젝터, 적외선 카메라,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구성하여 휴대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필기 내용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어, 필기되는 벽으로부터 먼 위치에서도 필기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캡쳐 가능하여 필기에 소모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강의, 회의, 발표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는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필기 내용이 보존되어 학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기존 강의실 시스템을 활용하여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칠판 시스템은,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빛을 조사하는 빔 프로젝터; 상기 벽에 필기하면서 적외선을 송출하는 적외선 펜; 상기 적외선 펜에서 송출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카메라;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 연결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서 수신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가 전송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는 상기 적외선 펜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를 분석하여 필기 내용을 생성하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빔 프로젝터와 연동되어, 상기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이 상기 빔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재현되고, 상기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은 상기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와 동일한 좌표를 갖는 빔 조사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상기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필기 방법은, 필기하고자 하는 벽의 전방에 빔 프로젝터, 적외선 카메라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배치하는 단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빔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빛을 조사하는 단계; 적외선 펜으로 상기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필기하는 단계; 적외선 카메라에서 상기 적외선 펜에서 송출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프트웨어에서 상기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에 기초하여 필기 내용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이 상기 빔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재현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소프트웨어에서 상기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에 기초하여 필기 내용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적외선 펜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를 분석하며, 상기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은 상기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와 동일한 좌표를 갖는 빔 조사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앱과 연동되어, 상기 필기하고자 하는 생성된 필기 내용이 상기 빔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재현되는 단계에서, 상기 필기하고자 하는 생성된 필기 내용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터치 패널이나 필기 가능한 칠판 없이도 기존의 빔 프로젝터를 이용해서 자유롭게 필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에 의하면, 빔 프로젝터, 적외선 카메라,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구성하여 휴대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에 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필기 내용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어, 필기되는 벽으로부터 먼 위치에서도 필기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캡쳐 가능하여 필기에 소모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에 의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강의, 회의, 발표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에 의하면, 필기 내용이 보존되어 학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에 의하면, 기존 강의실 시스템을 활용하여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적외선 펜을 도시한다.
도 3은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2는 적외선 펜을 도시하고, 도 3은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칠판 시스템(10)은 빔 프로젝터(100), 적외선 펜(200), 적외선 카메라(300) 및 마이크로프로세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 프로젝터(100)는 필기하고자 하는 벽(A)의 전방에 이격 배치되어 필기하고자 하는 벽(A)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필기하고자 하는 벽(A)은 필기 가능한 칠판, 터치스크린, 일반 스크린뿐만 아니라 일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빔 프로젝터(100)와 필기하고자 하는 벽(A) 사이의 이격 거리 또는 배율을 조절함으로써 필기하고자 하는 벽(A) 또는 스크린에서 필기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좁은 영역 또는 넓은 영역에 대하여 필기 내용을 재현할 수 있다.
상기 필기하고자 하는 벽(A)에는 적외선 펜(200)에 의해 필기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적외선 펜(200)은 적외선 LED(미도시) 및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외선 펜(200)에 의해 필기하고자 하는 벽(A)에 필기가 되는 동안 적외선 펜(200)으로부터 적외선이 송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적외선 펜(200)에 의한 필기 내용에 따라서 적외선 펜(200)의 위치 또는 적외선 펜(200)에서 송출된 적외선의 경로가 변화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적외선 펜(200)으로부터 송출된 적외선은 적외선 카메라(300)에서 촬영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카메라(300)는 필기하고자 하는 벽(A)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빔 프로젝터(100)에 대하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카메라(300)는 적외선 펜(200)으로부터 송출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카메라(300)에서 수신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에는 적외선 펜(200)의 위치 또는 적외선 펜(200)에서 송출된 적외선의 경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카메라(300)는 일반적인 웹캠을 개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빔 프로젝터(100), 적외선 펜(200) 및 적외선 카메라(300)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4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400)는 예를 들어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빔 프로젝터(100)와 마이크로프로세서(400)는 빔 프로젝터(100)에 구비된 출력 HDMI 포트와 마이크로프로세서(400)에 구비된 HDMI 포트를 연결함으로써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400)의 Raspberry 리눅스 화면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400)에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로부터 생성된 필기 내용이 필기하고자 하는 벽(A)에 재현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펜(200)과 마이크로프로세서(400)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적외선 펜(200)에 대한 정보가 무선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400)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카메라(300)와 마이크로프로세서(400)는 예를 들어 USB를 통해 연결되어 적외선 카메라(300)에서 수신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가 USB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400)에 전달될 수 있다. 특히, 적외선 카메라(300)에서 수신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는 실시간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40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프로세서(400)에는 적외선 카메라(300)로부터 전송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로부터 적외선 펜(300)의 위치를 추적하고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를 분석하여 필기 내용을 생성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SW)가 내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적외선 카메라(300)로부터 전송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로부터 필기 내용이 생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400)는 빔 프로젝터(100)와 연동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400), 특히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이 빔 프로젝터(100)에 전달되고, 빔 프로젝터(100)를 통해 필기하고자 하는 벽(A)에 재현될 수 있다. 이때,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은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와 동일한 좌표를 갖는 빔 조사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마이크로프로세서(4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400), 특히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달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필기 내용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마이크로프로세서(400) 내 내장된 소프트웨어와 연동되는 앱(app.)이 내장될 수 있으며, 앱을 통해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필기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필기 내용을 임의로 저장 및 가공할 수 있어, 필기하고자 하는 벽(A)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필기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필기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특히,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외선 카메라(300) 및 마이크로프로세서(400)는 하우징(50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적외선 카메라(300)는 하우징(500)에서 필기하고자 하는 벽(A)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400)는 하우징(5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500)의 형상 또는 하우징(500) 내 적외선 카메라(300) 및 마이크로프로세서(400)의 배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적외선 카메라(300) 및 마이크로프로세서(400)가 장착되어 휴대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칠판 시스템은 빔 프로젝터, 적외선 카메라,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구성하여 휴대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별도의 터치 패널이나 필기 가능한 칠판 없이도 기존의 빔 프로젝터를 이용해서 자유롭게 필기할 수 있다.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칠판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며,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필기할 수 있다.
우선, 필기하고자 하는 벽의 전방에 빔 프로젝터, 적외선 카메라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배치한다(S10).
이때, 빔 프로젝터는 기존에 강의실 내에 비치된 빔 프로젝터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적외선 카메라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추가적으로 비치하면 된다.
그런 다음,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킨다(S20).
상기 소프트웨어는 추후 적외선 펜의 위치를 추적하고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를 분석하여 필기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된 소프트웨어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앱과 연동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앱 또한 구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빔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빛을 조사한다(S30).
이때,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필기 전이므로, 빔 프로젝터에 의해 소프트웨어의 리눅스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적외선 펜으로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필기하고(S40), 적외선 카메라에서 적외선 펜에서 송출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를 수신한다(S50).
이때, 적외선 펜으로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필기하기 전에 좌표 보정 또는 캘리브레이션 작업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 내 내장된 소프트웨어에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에 기초하여 필기 내용을 생성하고(S60),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이 빔 프로젝터를 통해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재현된다(S70).
마이크로프로세서 내 내장된 소프트웨어에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에 기초하여 필기 내용을 생성할 때, 소프트웨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외선 펜의 위치를 추적하고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를 분석하여 필기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필기 내용은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와 동일한 좌표를 갖는 빔 조사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된 소프트웨어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앱과 연동되는 경우,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이 빔 프로젝터를 통해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재현될 때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필기 방법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강의, 회의, 발표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필기 내용이 보존되어 학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스마트 칠판 시스템
100: 빔 프로젝터
200: 적외선 펜
300: 적외선 카메라
400: 마이크로프로세서
500: 하우징

Claims (7)

  1.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빛을 조사하는 빔 프로젝터;
    상기 벽에 필기하면서 적외선을 송출하는 적외선 펜;
    상기 적외선 펜에서 송출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카메라;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 연결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서 수신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가 전송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는 상기 적외선 펜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를 분석하여 필기 내용을 생성하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되는 스마트 칠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빔 프로젝터와 연동되어,
    상기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이 상기 빔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재현되고,
    상기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은 상기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와 동일한 좌표를 갖는 빔 조사 신호를 포함하는 스마트 칠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상기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는 스마트 칠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카메라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장착되는 하우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마트 칠판 시스템.
  5. 필기하고자 하는 벽의 전방에 빔 프로젝터, 적외선 카메라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배치하는 단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빔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빛을 조사하는 단계;
    적외선 펜으로 상기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필기하는 단계;
    적외선 카메라에서 상기 적외선 펜에서 송출된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프트웨어에서 상기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에 기초하여 필기 내용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이 상기 빔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재현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필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에서 상기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에 기초하여 필기 내용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적외선 펜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를 분석하며,
    상기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은 상기 적외선에 대한 영상신호의 좌표와 동일한 좌표를 갖는 빔 조사 신호를 포함하는 스마트 필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앱과 연동되어,
    상기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이 상기 빔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필기하고자 하는 벽에 재현되는 단계에서, 상기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필기 내용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는 스마트 필기 방법.
KR1020170044273A 2017-04-05 2017-04-05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 KR20180113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273A KR20180113066A (ko) 2017-04-05 2017-04-05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273A KR20180113066A (ko) 2017-04-05 2017-04-05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066A true KR20180113066A (ko) 2018-10-15

Family

ID=6386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273A KR20180113066A (ko) 2017-04-05 2017-04-05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30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628A (ko) * 2019-01-15 2020-07-23 임성민 접촉음 센싱 펜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강의 시스템
KR20210058248A (ko) * 2019-11-13 2021-05-24 핸디씨엔티 주식회사 야외 영상 출력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628A (ko) * 2019-01-15 2020-07-23 임성민 접촉음 센싱 펜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강의 시스템
KR20210058248A (ko) * 2019-11-13 2021-05-24 핸디씨엔티 주식회사 야외 영상 출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4766B2 (en) Integrated interactive space
US8827461B2 (en) Image generation device, projector, and image generation method
KR20140000436A (ko)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CN103376921A (zh) 激光标注系统及标注方法
US20110148824A1 (en) Optical pen
US20200387276A1 (en) Virtualization of physical activity surface
KR101530476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Chen et al. SciSketch: a tabletop collaborative sketching system
KR20180113066A (ko) 스마트 칠판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필기 방법
WO2020125501A1 (zh) 光标定位方法、交互投影装置及教育系统
KR101756948B1 (ko) 전자칠판 장치
US9153288B2 (en) Recordable display apparatus
JP6141887B2 (ja) 書き込まれた内容のための空間的に関係する注釈の表示
Summet et al. Tracking locations of moving hand-held displays using projected light
US9838657B2 (en) Projection enhancement system
JP2020003746A (ja) 電子機器、投影装置、投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21157B1 (ko) 전자칠판의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타블렛기능이 있는 프로젝트 시스템
CN203490845U (zh) 一种交互支架及数字化教学系统
Kellerman et al. Smart whiteboard for interactive learning
US20210132708A1 (en) Multifunctional electronic optical system for tactile interaction with screens and projectors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use, together with the optical system, in information processing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KR101692946B1 (ko) 프로젝트 시스템
Lee Projector-based location discovery and tracking
KR101700118B1 (ko) 모바일 연동형 인터렉티브 장치
CN111752376A (zh) 一种基于影像获取的标注系统
JP6312045B2 (ja) 情報出力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