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2076A - 비가교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 Google Patents

비가교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2076A
KR20120092076A KR1020120013637A KR20120013637A KR20120092076A KR 20120092076 A KR20120092076 A KR 20120092076A KR 1020120013637 A KR1020120013637 A KR 1020120013637A KR 20120013637 A KR20120013637 A KR 20120013637A KR 20120092076 A KR20120092076 A KR 20120092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ethylene
molecular weight
propylene copolymer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1071B1 (ko
Inventor
김웅
남진호
김형준
유익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9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75Disposition of insulation comprising one or more extruded layers of ins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절연층은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물은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이용하여 결정화 온도를 관찰하였을 때 최고 결정화 온도가 110 ~ 125 ℃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0 내지 450,000이고, 수평균 분자량이 40,000 내지 100,000이며, 2 내지 8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가교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Cable Including Insulation Layer With Non-crosslinking Resin}
본 발명은 비가교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은 100 ~ 125 ℃의 녹는점을 갖고 있어서, IEC, ICEA 등의 대부분의 국제 규격에서 규정하고 있는 케이블의 연속 사용 온도 90℃를 만족할 수 없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을 가교시킨 가교 폴리에틸렌을 절연층의 성분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교 폴리에틸렌을 사용하게 될 경우, 가교 공정의 추가 및 이와 관련된 설비 투자에 따른 비용 증가 문제, 가교시에 발생하는 부산물 등의 이물에 의한 케이블의 절연 성능이 저하되는 등 새로운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교되지 않은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포함하면서도 케이블에 요구되는 여러가지 물성을 만족할 수 있는 케이블에 관한 필요성이 절실히 대두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가교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포함하면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층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물은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이용하여 결정화 온도를 관찰하였을 때 최고 결정화 온도가 110 ~ 125 ℃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0 내지 450,000이고, 수평균 분자량이 40,000 내지 100,000이며, 2 내지 8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은 종래에 절연층의 성분으로 사용하던 가교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가교 공정을 거침에 따른 비용 증가 문제, 가교 부산물에 의한 절연 성능 저하의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에 요구되는 기계적 물성 등을 만족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아래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케이블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절연 케이블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절연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체(11), 내부 반도전층(12), 절연층(13), 외부 반도전층(14), 차폐층(15) 및 시스층(16)이 차례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종래에는 상기 절연층(13)의 재료로서 주로 가교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였다.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13)이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의 혼합물은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이용하여 결정화 온도를 관찰하였을 때 최고(max) 결정화 온도가 110 ℃ 이상 12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고 결정화 온도가 110 ℃ 미만일 경우에는 IEC 국제 규격에서 요구하는 노화(aging) 시험 조건(135 ℃ 또는 150 ℃)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의 혼합물이 용융되어 케이블의 연속 사용 온도 90 ℃ 조건을 만족할 수 없으며, 상기 최고 결정화 온도가 125 ℃를 초과할 경우에는 냉각 중 결정화 속도가 빨라져 상온에서의 인장 신율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의 혼합물은 200,000 내지 450,000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이러한 중량평균 분자량과 관련하여 200,000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 및 가열후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불리하며, 450,000을 초과하면 높은 점도로 인하여 가공성이 저하되어 불리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의 혼합물은 40,000 내지 10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이러한 수평균 분자량과 관련하여 40,000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 및 가열후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불리하며, 100,000을 초과하면 높은 점도로 인하여 가공성이 저하되어 불리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의 혼합물은 2 내지 8의 분자량 분포를 가지며, 이러한 분자량 분포와 관련하여 2 미만이면 높은 점도로 인하여 가공성이 저하되어 불리하며, 8을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 및 가열후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불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혼합물은 녹는점이 155~165℃인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녹는점이 100~140℃인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수지를 양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상태에서 기계적으로 혼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혼합물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상기 에틸렌-프로필렌의 순차적인 중합반응을 통해서도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는 아래 실시예에 기재된 실시 태양 외에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할 따름이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아래 실시예 범위로 한정하기 위한 의도라고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프로필렌의 중합 반응과 에틸렌-프로필렌수지의 공중합 반응을 순차적으로 일으켜 녹는점이 162℃인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녹는점이 117℃인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수지의 혼합물(Basell, Q200F)을 제조하였다. 이때, 순차적인 공중합반응에 의해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31중량%,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69중량%가 생성된다. 이때, 이렇게 제조된 혼합물의 결정화 온도, 중량평균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하기 표 1과 같다.
<비교예 1>
녹는점이 165℃인 폴리프로필렌 수지(SK종합화학, H920Y) 65중량%와 녹는점이 107℃인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수지(DOW, DP2000.01) 35중량%를 양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한 상태에서 혼합하여 비교예 1의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이렇게 제조된 혼합물의 결정화 온도, 중량평균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하기 표 1과 같다.
<비교예 2>
녹는점이 165℃인 폴리프로필렌 수지(SK종합화학, H920Y) 25중량%와 녹는점이 107℃인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수지(DOW, DP2000.01) 75중량%를 양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한 상태에서 혼합하여 비교예 2의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이렇게 제조된 혼합물의 결정화 온도, 중량평균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하기 표 1과 같다.
<비교예 3>
녹는점이 160℃인 폴리프로필렌 수지(호남석유화학, B-310) 40중량%와 녹는점이 107℃인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수지(DOW, DP2000.01) 60중량%를 양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한 상태에서 혼합하여 비교예 3의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이렇게 제조된 혼합물의 결정화 온도, 중량평균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하기 표 1과 같다.
<비교예 4>
녹는점이 163℃인 폴리프로필렌 수지(SK종합화학, H360F) 40중량%와 녹는점이 108℃인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수지(DOW, DP3000) 60중량%를 양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한 상태에서 혼합하여 비교예 4의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이렇게 제조된 혼합물의 결정화 온도, 중량평균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하기 표 1과 같다.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의
혼합물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결정화 온도 (℃) 118 135 105 125 125
중량평균 분자량 370,000 320,000 340,000 650,000 180,000
분자량 분포 5.2 4.1 4.5 1.5 10
물성 측정 및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을 각각 제조한다. 이 케이블은 전형적으로 도 1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조된 케이블에 대해 상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인장 강도, 인장 신율), 가열후 기계적 물성(인장 강도, 신장 잔율) 및 압출기 수지 압력을 측정한 결과를 아래 표 2에 정리하였고, 간략한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상온 기계적 물성
케이블은 IEC 60811-1-1에 준하여 인장속도 250 mm/분으로 측정하였을 때 인장 강도는 1.27 kgf/mm2 이상, 인장 신율은 200% 이상이어야 한다.
㉡ 가열 후 기계적 물성
케이블을 150 ℃에서 168 시간 동안 가열 노화한 후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인장강도 잔율과 신장 잔율은 최소 75% 이상이어야 한다.
㉢ 압출기 수지 압력
통상적인 케이블 가공용 압출기에서 수지 압력은 낮을수록 우수한 생산성을 보장하며, 정상적인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수지 압력의 한계는 300bar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시험 항목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상온 인장 강도(kgf/mm2) 2.1 1.9 1.8 3.2 1.6
상온 인장 신율(%) 665 105 480 750 440
가열후
인장강도 잔율(%)
82 80 용융 91 63
가열후 신장 잔율(%) 81 450 용융 90 57
압출기 수지압력(bar) 160 150 130 430 130
표 2에 정리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경우 높은 결정화 온도(135℃)를 가지는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함에 따라 냉각 중 결정화 속도가 빨라져 상온에서의 인장 신율 저하를 나타냈으며, 오히려 150℃에서 가열 시험 중 어닐링(annealing) 효과에 의해 잠재된 신장 잔율을 회복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비교예 2의 경우 낮은 결정화 온도(105℃)를 가지는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함에 따라 고온에서 용융되어, 가열후 기계적 물성이 좋지 않았다.
비교예 3의 경우 높은 중량평균 분자량(650,000)과 좁은 분자량 분포(1.5 Mw/Mn)를 가지는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함에 따라 상온 및 가열후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였으나, 높은 수지 압력을 보여 가공 특성이 저하되었다.
비교예 4의 경우 넓은 분자량 분포(10 Mw/Mn)를 가지는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함에 따라 양호한 가공특성을 나타냈으나, 상기 혼합물의 낮은 중량평균 분자량(180,000)으로 인해 가열후 기계적 물성이 좋지 않았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상온 인장강도 및 상온 인장신율) 뿐만 아니라, 가열후 기계적 물성(가열후 인장강도 잔율 및 가열후 신장잔율)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최적의 물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에 기인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 : 도체
12 : 내부 반도전층
13 : 절연층
14 : 외부 반도전층
15 : 차폐층
16 : 시스층

Claims (4)

  1. 적어도 하나의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물은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이용하여 결정화 온도를 관찰하였을 때 최고 결정화 온도가 110 ℃ 이상 12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의 혼합물은 200,000 내지 450,000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의 혼합물은 40,000 내지 10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의 혼합물은 2 내지 8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KR1020120013637A 2011-02-10 2012-02-10 비가교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102121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1987 2011-02-10
KR1020110011987 2011-02-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010A Division KR20190011296A (ko) 2011-02-10 2019-01-18 비가교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1020200047263A Division KR102185799B1 (ko) 2011-02-10 2020-04-20 비가교 수지로 이루어진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제조용 혼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076A true KR20120092076A (ko) 2012-08-20
KR102121071B1 KR102121071B1 (ko) 2020-06-10

Family

ID=4688426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637A KR102121071B1 (ko) 2011-02-10 2012-02-10 비가교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1020190007010A KR20190011296A (ko) 2011-02-10 2019-01-18 비가교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1020200047263A KR102185799B1 (ko) 2011-02-10 2020-04-20 비가교 수지로 이루어진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제조용 혼합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010A KR20190011296A (ko) 2011-02-10 2019-01-18 비가교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1020200047263A KR102185799B1 (ko) 2011-02-10 2020-04-20 비가교 수지로 이루어진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제조용 혼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1210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5997A (zh) * 2019-11-28 2022-08-26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绝缘电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5868A (zh) * 2019-05-07 2019-11-05 广东筑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传输线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5604A (ja) * 1989-01-24 1990-08-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発泡絶縁電線
JPH052938A (ja) * 1991-06-25 1993-01-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発泡絶縁電線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で得られた発泡絶縁電線
KR20090010110A (ko) * 2006-07-10 2009-01-28 보레알리스 테크놀로지 오와이. 높은 전기 절연파괴 강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계 케이블 층
KR20090043198A (ko) * 2007-10-29 2009-05-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선박용 고강도 발포체 케이블
JP2010055849A (ja) * 2008-08-27 2010-03-11 Japan Polyethylene Corp 非架橋電線用ポリエチレン樹脂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WO2011004835A1 (ja) * 2009-07-07 2011-01-13 株式会社フジクラ 発泡電線及びこれを有する伝送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5604A (ja) * 1989-01-24 1990-08-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発泡絶縁電線
JPH052938A (ja) * 1991-06-25 1993-01-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発泡絶縁電線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で得られた発泡絶縁電線
KR20090010110A (ko) * 2006-07-10 2009-01-28 보레알리스 테크놀로지 오와이. 높은 전기 절연파괴 강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계 케이블 층
KR20090043198A (ko) * 2007-10-29 2009-05-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선박용 고강도 발포체 케이블
JP2010055849A (ja) * 2008-08-27 2010-03-11 Japan Polyethylene Corp 非架橋電線用ポリエチレン樹脂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WO2011004835A1 (ja) * 2009-07-07 2011-01-13 株式会社フジクラ 発泡電線及びこれを有する伝送ケーブ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5997A (zh) * 2019-11-28 2022-08-26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绝缘电线
CN114945997B (zh) * 2019-11-28 2024-02-27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绝缘电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071B1 (ko) 2020-06-10
KR20200058334A (ko) 2020-05-27
KR20190011296A (ko) 2019-02-01
KR102185799B1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366B1 (ko) 비가교 수지를 함유하는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제조용 혼합물
EP2622012B1 (en) Recyclable thermoplastic insulation with improved breakdown strength
EP2637178A2 (en) Insulating composition and electric cable comprising same
US11257607B2 (en) Electric cable with improved temperature ageing resistance
KR101576907B1 (ko) 유연성과 가교 특성이 뛰어난 전선용 절연 재료 및 이를 갖춘 전선
US10755832B2 (en) Medium- or high-voltage electric cable
EP3045496B1 (en) Crosslinked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US20140124238A1 (en) Polymer Composition for Electrical Devices
KR102185799B1 (ko) 비가교 수지로 이루어진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제조용 혼합물
EP3445820B1 (en) Fluoropolymer composition
US20200251251A1 (en) Water tree resistant electric cable
US20200283606A1 (en) Cable comprising an easily peelable semi-conductive layer
EP3228660B1 (en) Crosslinkable resin composition, and electric wire or cable
EP2521137A1 (en) Polymer composition for electrical and communication devices
EP2799485B9 (en) Polymer composition and a cable spacer comprising the polymer composition
KR20180113269A (ko) 내열성이 우수한 절연 케이블
KR20110100018A (ko) 내열 변형성을 갖는 절연재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15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116

Effective date: 202002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