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733A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733A
KR20120091733A KR1020110011689A KR20110011689A KR20120091733A KR 20120091733 A KR20120091733 A KR 20120091733A KR 1020110011689 A KR1020110011689 A KR 1020110011689A KR 20110011689 A KR20110011689 A KR 20110011689A KR 20120091733 A KR20120091733 A KR 20120091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over
fastening bracket
fasten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9951B1 (ko
Inventor
유상채
Original Assignee
유상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채 filed Critical 유상채
Priority to KR1020110011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95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1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4Garbage gr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쓰레기의 분쇄시 분쇄칼날의 회전력에 의해 분쇄실내에서 지속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시켜 분쇄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개폐시켜 주는 덮개가 견고하게 덮여진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싱크대의 저면으로부터 배수구측에 위치하게 되는 몸체를 갖추고, 상기 싱크대의 상면을 통해 배수구를 관통하여 몸체와 체결되는 체결브라켓를 갖추며, 상기 체결브라켓의 상면에 덮여지게 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직 하면에 위치하여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는 분쇄실과;
상기 분쇄실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모터의 구동에 의해 고속 회전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켜 주는 분쇄칼날로 이루어지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장치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몸체부를 형성하게 되는 몸체의 하단부 내주연에 분쇄시 분쇄실의 내주연을 따라 부상하게 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부상을 차단하는 차단편을 갖추고, 상기 차단편의 저면에 음식물쓰레기의 회류를 차단시켜 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류방지돌기를 갖추며, 상체결브라켓의 상면 내주연과 덮개의 외주연에 이들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요소를 갖추되, 상기 체결요소는 체결브라켓의 내주연에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는 제1경사돌기를 갖추고, 덮개의 외주면에는 상기 경사돌기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공간부를 갖는 제2경사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DISPOSAL EQUIPMENT FOR FOOD'S WASTE MATTERS}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쓰레기의 분쇄시 분쇄칼날의 회전력에 의해 분쇄실내에서 지속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시켜 분쇄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개폐시켜 주는 덮개가 견고하게 덮여진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측에 장착되어 버려지게 되는 음식물쓰레기가 물과 함께 싱크대의 배수구측에 설치되어 있는 분쇄기내로 유입되어 분쇄칼날에 의해 미세하게 분쇄된 이후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주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단순히 음식물쓰레기를 미세하게 분쇄시켜 준 이후 그대로 배수시켜 줌에 따라 하수관에서 분해가 되지 않은 음식물쓰레기에 의해 관로가 막히거나,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 된 역한 냄새가 외부로 올라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인해 하수종말처리장에서는 다시 분쇄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손실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각 가정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켜 줄 때 미생물을 투입시켜 준 상태에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소개된바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에서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가 분쇄실내로 투입되면 덮개를 덮어준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분쇄칼날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주므로서, 분쇄실내에 투입되어 있는 음식물쓰레기가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가 이루어지게 됨과 동시에 미생물통에 담수 되어 있는 미생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분쇄가 이루어지고, 상기 미생물과 함께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을 분쇄시켜 주는 분쇄실이 단순히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된 상태에서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모터의 회전으로 인해 고속회전하는 분쇄칼날과 함께 분쇄실 내부에서 회전을 수행하면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음식물쓰레기의 분쇄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오랜 시간 동안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켜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싱크대의 배수구측에 연결되는 몸체는 싱크대로부터 음식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몸체의 상면에 덮개를 덮어주는데, 이때 상기 덮개는 평상시 몸체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체결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는 처리장치는 몸체의 개방부에 단순히 덮개를 덮어주고 있는 실정이어서 순시로 덮개가 열리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쇄실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고속회전 하는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실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함과 아울러, 회전을 수시로 멈추어줄 수 있도록 하여 분쇄력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상면에 덮여지게 되는 덮개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덮개의 개폐시에는 취급이 용이함은 물론, 사용도중에는 덮개가 임의로 열리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싱크대의 저면으로부터 배수구측에 위치하게 되는 몸체를 갖추고, 상기 싱크대의 상면을 통해 배수구를 관통하여 몸체와 체결되는 체결브라켓를 갖추며, 상기 체결브라켓의 상면에 덮여지게 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직 하면에 위치하여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는 분쇄실과;
상기 분쇄실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모터의 구동에 의해 고속 회전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켜 주는 분쇄칼날로 이루어지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장치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몸체부를 형성하게 되는 몸체의 하단부 내주연에 분쇄시 분쇄실의 내주연을 따라 부상하게 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부상을 차단하는 차단편을 갖추고, 상기 차단편의 저면에 음식물쓰레기의 회류를 차단시켜 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류방지돌기를 갖추며, 상체결브라켓의 상면 내주연과 덮개의 외주연에 이들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요소를 갖추되, 상기 체결요소는 체결브라켓의 내주연에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는 제1경사돌기를 갖추고, 덮개의 외주면에는 상기 경사돌기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공간부를 갖는 제2경사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요소는 체결브라켓의 내주연에 돌출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돌기가 관통할 수 있도록 덮개의 외주면에 하단면을 기점으로 하여 수직과 수평으로 개방되는 걸림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요소는 덮개의 하면 외주연부에 걸림돌기를 갖추고, 상기 체결브라켓의 내주면에 갖추어진 걸림턱에 상기 걸림돌기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쇄실의 직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몸체의 하단 내주연에 차단편을 갖추어 주므로서, 분쇄실내에서 분쇄칼날의 고속 회전으로 인해 분쇄가 이루어지는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분쇄칼날의 고속 회전력에 의해 분쇄실의 내주연을 따라 회류하면서 부상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몸체의 내주연에 갖추어져 있는 차단편에 의해 부상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차단시켜 주게 되는 것이며, 상기 차단편의 저면에서 회류하게 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차단편의 저면에 갖추어져 있는 회류방지돌기에 걸려 더이상 회류를 하지 못하고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데, 하부로 떨어지는 음식물쓰레기는 분쇄칼날로 바로 떨어지게 됨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의 분쇄능력을 한층더 높여주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중 차단편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몸체의 저면 사시도
도 4a 는 본 발명인 차단편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몸체의 저면도.
도 4b 는 본 발명인 차단편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몸체의 저면도.
도 5 는 본 발명중 체결요소의 제1실시예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중 체결요소의 제2실시예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중 체결요소의 제3실시예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는 싱크대(1)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연결시켜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가 담수되는 분쇄실(30)과, 상기 분쇄실의 내부에 모터(40)의 구동력에 의해 고속회전하는 분쇄칼날부(5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20)는 상,하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싱크대(1)의 하면에 위치하게 되는 몸체(21)와, 싱크대의 상면으로 부터 배수구를 관통하여 몸체와 나선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브라켓(22)으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21)와 체결브라켓(22) 사이에 싱크대의 배수구 부분이 위치하도록 하여 몸체부(20)가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21)의 일측에는 미생물통(60)과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미생물통에 저장되어 있는 미생물이 몸체의 내부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될 때 소정량이 공급되어 음식물쓰레기에 접종된 상태에서 분쇄실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하부 내주연에는 분쇄실내에서 분쇄칼날의 고속 회전으로 인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 분쇄실의 내벽면을 타고 상부로 솟구치는 음식물쓰레기를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단편(23)을 갖추게 되는데, 상기 차단편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돌기(24)를 갖추어 준다.
이때, 상기 회전방지돌기(24)는 회전칼날에 의해 회류되는 음식물쓰레기의 회류방향을 기점으로 하여 경사면을 갖도록 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음식물쓰레기가 자연스럽게 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방지돌기(24)는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편(23)의 내주면측에서부터 몸체(21)의 내주면에까지 형성시켜 줄 수도 있으며,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의 내주면에 일정한 틈새(25)를 갖도록 하여 상기 틈새를 통해 음식물쓰레기와 혼합되어 있는 물이 회류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21)의 상면 개방부측에는 덮개(26)를 덮어주게 되는데, 상기 덮개(26)의 외주연과 체결브라켓(22)의 내주연에는 암,수로 체결되는 체결요소를 갖추어준다.
상기 체결요소의 제1실시예로서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브라켓(22)의 내주연에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는 제1경사돌기(71)를 갖추고, 덮개(26)의 외주면에는 상기 경사돌기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공간부를 갖는 제2경사돌기(72)로 형성한다.
상기 체결요소의 제2실시예로서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브라켓(22)의 내주연에 돌출돌기(73)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돌기가 관통할 수 있도록 덮개(26)의 외주면에 하단면을 기점으로 하여 수직과 수평으로 개방되는 걸림홈(74)을 갖추어 줄 수도 있으며, 제3실시예로서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의 하면 외주연부에 걸림돌기(75)를 갖추고, 상기 체결브라켓(22)의 내주면에 갖추어진 걸림턱에 상기 걸림돌기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홈(76)을 형성시켜 주어 상기 체결요소에 의해 덮개가 체결브라켓내에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체결요소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덮개가 체결 고정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분쇄실(30)의 일측면에는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관(81)과 오버플러워관(82)이 갖추어진다.
상기한 음식물쓰레기의 분쇄과정 및 미생물접종과정 등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하고,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쓰레기의 분쇄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소용돌이가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싱크대(1)에서 버려지게 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싱크대의 배수구측에 연결되어 있는 몸체부(20)의 체결브라켓(22)에 덮여져 있는 덮개(26)에 의해 싱크대내에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배출시켜 주고자 할때, 체결브라켓(22)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덮여져 있는 덮개(26)를 분리시켜 주게되면 음식물쓰레기는 몸체부(20)를 통해 이의 직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분쇄실(30)내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쓰레기가 분쇄실로 유입될때 미생물통(60)에 담수되어 있는 소정량의 미생물이 함께 투입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쓰레기의 유입이 완료되면 체결브라켓(22)의 상면을 덮개(26)를 이용하여 덮어준 상태에서 모터(40)의 구동으로 인해 분쇄실(30)내에 설치되어 있는 분쇄칼날(50)이 일측 방향으로 고속 회전을 수행하게 되므로서, 분쇄실내에 있는 음식물쓰레기가 분쇄칼날의 고속 회전력으로 인해 분쇄실(30)내에서 회류를 함과 아울러, 분쇄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분쇄칼날(50)의 고속 회전력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분쇄실(30)의 내주연을 따라 회류하게 됨과 동시에 회류력에 의해 상부로 부상되는데, 이때 상기 분쇄실(30)의 직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몸체부(20)의 몸체(21) 하단부 내주연에 갖추어진 차단편(23)에 의해 상부로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차단편(23)의 저면에 부딪힌 상태에서 회류를 수행하게 되는 분쇄가 이루어지는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차단편의 저면에 갖추어진 회류방지돌기(24)에 부딪혀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 회류방지돌기에 부딪혀 하부로 떨어지는 음식물쓰레기는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분쇄칼날(50)로 직접적으로 떨어지게 됨으로서, 음식물쓰레기의 분쇄능력을 한층더 높여주게 되는 것이다.
20:몸체부 21:몸체
22:체결부라켓 23:차단편
24:회류방지돌기 26:덮개
30:분쇄실 50:분쇄칼날

Claims (5)

  1. 싱크대의 저면으로부터 배수구측에 위치하게 되는 몸체를 갖추고, 상기 싱크대의 상면을 통해 배수구를 관통하여 몸체와 체결되는 체결브라켓를 갖추며, 상기 체결브라켓의 상면에 덮여지게 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직 하면에 위치하여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는 분쇄실과;
    상기 분쇄실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모터의 구동에 의해 고속 회전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켜 주는 분쇄칼날로 이루어지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장치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몸체부를 형성하게 되는 몸체의 하단부 내주연에 분쇄시 분쇄실의 내주연을 따라 부상하게 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부상을 차단하는 차단편을 갖추고, 상기 차단편의 저면에 음식물쓰레기의 회류를 차단시켜 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류방지돌기를 갖추며, 상체결브라켓의 상면 내주연과 덮개의 외주연에 이들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요소를 갖추되, 상기 체결요소는 체결브라켓의 내주연에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는 제1경사돌기를 갖추고, 덮개의 외주면에는 상기 경사돌기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공간부를 갖는 제2경사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요소는 체결브라켓의 내주연에 돌출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돌기가 관통할 수 있도록 덮개의 외주면에 하단면을 기점으로 하여 수직과 수평으로 개방되는 걸림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요소는 덮개의 하면 외주연부에 걸림돌기를 갖추고, 상기 체결브라켓의 내주면에 갖추어진 걸림턱에 상기 걸림돌기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편의 저면에 갖추어지는 회류방지돌기는 몸체의 내주면 사이에 물이 회류할 수 있을 정도의 틈새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류방지돌기는 분쇄칼날의 고속 회전으로 인해 차단편의 저면에 부상되어 회류하는 음식물쓰레기가 자연스럽게 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회류방향을 기점으로하여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10011689A 2011-02-10 2011-02-1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09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689A KR101309951B1 (ko) 2011-02-10 2011-02-1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689A KR101309951B1 (ko) 2011-02-10 2011-02-1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733A true KR20120091733A (ko) 2012-08-20
KR101309951B1 KR101309951B1 (ko) 2013-09-17

Family

ID=46884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689A KR101309951B1 (ko) 2011-02-10 2011-02-1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9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826B1 (ko) * 2013-07-01 2014-09-23 황세창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3431A (zh) * 2017-08-10 2017-12-01 无锡龙盈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家庭生活垃圾处理装置
KR102156525B1 (ko) * 2019-06-18 2020-09-16 황금맷돌 주식회사 스마트 디스포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811Y1 (ko) * 1997-08-16 1999-12-01 김수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를 부설한 싱크대용 배수전
KR100950792B1 (ko) * 2008-08-25 2010-04-02 주식회사 허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08762U (ko) * 2009-02-26 2010-09-03 박현우 싱크대 탈수배수구용 이중구조 다용도 캡
KR101005190B1 (ko) * 2010-08-28 2011-01-04 주식회사 허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826B1 (ko) * 2013-07-01 2014-09-23 황세창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951B1 (ko)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25655A (zh) 一种环保型垃圾处理器
KR20110029860A (ko) 멀티 고정 분쇄 칼날이 구비된 디스포저
KR10105142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10029859A (ko) 다단의 분쇄 돌기가 구비된 디스포저
KR10100519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42156B1 (ko) 싱크대용 디스포저
KR20120134896A (ko) 음식물 분쇄 배수장치
KR10130995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8325656A (zh) 一种具有环保功能的垃圾处理装置
KR20110100043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440415Y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분쇄처리장치
KR10079202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453527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7990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KR101237506B1 (ko) 음식물 분쇄기용 커버
KR101747946B1 (ko) 디스포저용 분쇄장치
CN207119418U (zh) 一种轻巧型家用粉碎机
KR101301569B1 (ko) 이중 분쇄날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장치
KR101365033B1 (ko) 설거지물 및 음식물 폐수와 음식물 쓰레기 분리형 처리장치
KR101601809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KR20140044843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배출 설비
KR10095079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899425B1 (ko) 음식물 처리기
KR20130003335U (ko) 싱크대설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133772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