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680A -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속 균주 및 이의 배양방법과 배양물을 이용한 제제 - Google Patents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속 균주 및 이의 배양방법과 배양물을 이용한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680A
KR20120091680A KR1020110011601A KR20110011601A KR20120091680A KR 20120091680 A KR20120091680 A KR 20120091680A KR 1020110011601 A KR1020110011601 A KR 1020110011601A KR 20110011601 A KR20110011601 A KR 20110011601A KR 20120091680 A KR20120091680 A KR 20120091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reptomyces
kacc91629p
culture
cultur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정
우춘택
이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강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강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강바이오
Priority to KR1020110011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1680A/ko
Publication of KR2012009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8Streptomy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38Chemical stimulation of growth or activity by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which are not essential growth factors; Stimulation of growth by removal of a chemical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23/00Culture proces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병원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미생물 수탁 번호 : KACC91629P(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및 이의 배양 방법과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 균주의 균사, 포자, 배양액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제에 관한 것으로, 강원도 태백지역 토양으로부터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고, 이를 대량 배양한 후, 균주의 균사, 포자, 배양액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제를 제조하여 적용함으로써 친환경농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속 균주 및 이의 배양방법과 배양물을 이용한 제제{New Strepomyces sp. A1009 having the excellent antibiotic activity and its fermentation method, and a medicine using the its culture}
본 발명은 식물병원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미생물 수탁 번호 : KACC91629P(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및 이의 배양 방법과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 균주의 균사, 포자, 배양액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강원도 태백지역 토양으로부터 고추탄저병과 벼도열병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고, 이를 대량 배양한 후, 균주의 균사, 포자, 배양액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제를 제조하여 적용함으로써 친환경농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물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속 균주 및 이의 배양방법과 배양물을 이용한 제제에 관한 것이다.
고추탄저병, 벼도열병, 담배깨씨무늬병(brown spot), 고추역병, 시들음병 등은 콜레토트리큠 글로에오스포리오이디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마그나포르테 그라이시아(Magnaporthe grisea), 알터나리아 로지프스(Alternaria logipes) 파이토프소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보트리티스 시네리에(Botrytis cinerea) 등에 의해 각각 발병되는 식물병으로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병해 중 하나로 고추와 벼의 생산량에 큰 감소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식물병 방제를 위해 저항성 품종의 개발, 윤작, 생물농약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지만 살균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제가 가장 효율적인 방제법이다.
그러나, 화학농약 사용은 적은양으로 효과가 좋고 가격이 저렴하여 농가소득에 큰 역할을 하여왔으나 암유발 가능성, 잔류독성, 식물병원균의 화학농약에 대한 저항성 증가, 토양의 산성화, 생태계 파괴 등 심각한 사회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고추탄저병과 벼도열병 방제를 위해 개발된 생물농약은 가스가마이신(Kasugamycin)과 바실루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루스 푸밀루스(Bacillus pumilus) 등의 균주를 이용한 수준이다.
그러나, 기 개발된 1세대 생물농약의 경우 몇몇의 문제점으로 인한 생물농약으로서 한계성 때문에 시장의 전개가 활발히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여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적극적인 대책이 요구된다(Samuel G. M. & Graham, A. M., 2003; Copping, L. G., 2001).
즉, 생물농약은 생물농약 개발기간과 개발의 어려움 때문에 제품가격이 화학농약에 비해 2 ? 3배 이상 더 비싼 문제점이 있고, 약효는 일부 제품의 경우 화학농약 대비 방제가가 60%에도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일부 제품은 유효성분의 안정성 보증에 문제가 있어, 냉장보관 및 냉장유통과 같은 저온유통체계(cold chain)을 이용해야만 하는 유통상의 문제점이 있다(Burges, H. D., 1998).
또한, 중복기생균을 포함한 일부 균주의 경우에는 약제 살포시기와 살포간격 등에 대한 제한이 있고 살포 후에도 후처리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아울러, 일부 균주의 경우 독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인간을 포함한 포유독성의 문제, 유용생물에 대한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Browun, 1978; 배영석, 2009).
현재 생물농약시장을 주도했던 BT제를 포함한 바실러스속(Bacillus sp.) 균을 이용한 제품의 경우에는 이미 저항성에 대한 보고가 있어 새로운 균주를 이용한 차세대 미생물농약의 개발이 절실하다(Samuel G. M. & Graham, A. M., 2003).
또한, 미생물농약을 이용한 환경친화적인 농법이나 관리를 권장하기 위하여 2003년 친환경농업육성법과 2007년 친환경농자재 관련법이 시행되어 환경농업의 중요 소재인 미생물농약의 개발에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 개발된 1세대 생물농약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저가이면서 약효가 우수하고(화학농약 대비 80% 이상), 환경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 성분의 안정성이 뛰어난 제2세대 생물농약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 병원균에 대한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A1009(Streptomyces sp.)(미생물 수탁 번호 : KACC91629P(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의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A1009(Streptomyces sp. : KACC91629P) 균주의 대량 배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병원균인 콜레토트리큠 글로에오스포리오이디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와 마그나포르테 그라이시아(Magnaporthe grisea), 알터나리아 로지프스(Alternaria logipes) 파이토프소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보트리티스 시네리에(Botrytis cinerea)에 의해 각각 발병되는 고추탄저병, 벼도열병, 담배깨씨무늬병(brown spot), 고추역병, 시들음병 등을 효율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A1009(Streptomyces sp. : KACC91629P) 균주의 배양물을 주재로 하는 제제 및 이를 이용한 생물적 방제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되는 또 다른 목적들을 용이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강원도 태백지역 토양으로부터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고, 이를 대량 배양한 후, 균주의 균사, 포자, 배양액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제를 제조하여 적용함으로써 친환경농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토양에서 분리한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KACC91629P)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균 방제제를 제공함으로 친환경농업의 발전과 저탄소 녹생성장의 환경산업에도 매우 유용하고, 미생물의 대량 배양 기술과 생물농약으로의 제제화 기술을 제공함으로 농약산업의 발전에도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KACC91629P)의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1002bp)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KACC91629P)의 벼도열병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KACC91629P)의 고추탄저병에 대한 생물활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KACC91629) 균주는 배양물이 식물병원균인 콜레토트리큠 글로에오스포리오이디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와 마그나포르테 그라이시아(Magnaporthe grisea), 알터나리아 로지프스(Alternaria logipes) 파이토프소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보트리티스 시네리에(Botrytis cinerea)에 의해 각각 발병되는 고추탄저병, 벼도열병, 담배깨씨무늬병(brown spot), 고추역병, 시들음병 등을 효율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먼저, 길항방선균을 선발하기 위하여 강원도 태백지역의 토양 표토로부터 10cm 깊이의 토양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 1g을 멸균수에 넣고 29℃에서 30분간 진탕한 후 토양 희석 한천평판법으로 10-5배까지 희석하여 희석액 0.1㎖를 배넷평판배지(Bennet,s media: 1.0중량% 포도당, 0.2중량% 펩톤, 0.1중량% 소고기 추출물, 0.1중량% 효모추출물, 1.5중량% 한천, 5ppm 니스타틴(Nystatin), 잔량의 증류수)에 도말하여 29℃에서 7일간 배양하고, 단일 균총(single colony)을 순수 분리하여 배넷사면배지에 옮겨 4℃에서 보관하였다. 각각의 균주는 식물병원균에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고, 그 중에서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 균주를 선발하여 2011년 1월 21일에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하였다(미생물 수탁 번호 : KACC91629P).
선별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KACC91629P)의 배지 조성 및 물리적 조건을 검토하고, 통계적 방법에 의해 배지 성분비를 최적화한 결과, 대량 배양을 위한 배지 조건은 대두박(soybean meal) 0.4중량%, 효모추출물(yeast extrct) 0.3중량%, 글루코오스(glucose) 1.5중량%, 염화암모늄(ammonium choride, NH4Cl) 0.2중량%, CaCO3 0.1중량%, NaCl 0.1중량% 및 잔량의 증류수 비율이 가장 적합하였고, 기타 물리적 조건으로 종균(seed) 접종량은 3 ? 10중량%, 교반속도 100 ? 300rpm, 통기량 0.5 ? 1.0vvm, 온도 29℃±1.0, 초기 pH는 6.5가 가장 적합하였다. 또, 배양 중에는 pH조절을 하지 않고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양액의 전처리는 발효조의 온도를 15℃±1.0로 유지하면서 12시간동안 냉각(cold shock) 후 2차 대사산물의 생산을 유도하였다. 냉각 후 발효조의 온도를 60℃±5.0로 유지하면서 배양액을 30분간 열처리하여 영양세포(vagetative cell)과 기타 소수 발효물질을 제거하였다.
전처리가 끝난 배양액은 콜로이달 밀러(colloidal miller)를 이용하여 균체를 분쇄한 후, 액상형태의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 CAS No. 68412-54-4)를 배양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7중량% 첨가하고, 보조제로 비타민 C(ascobic acid)와 글리세롤(glycerol)을 배양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각각 0.2중량%, 1중량%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액상수화제 형태로 제제화 하였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길항방선균의 선발
길항방선균을 선발하기 위하여 강원도 태백지역의 토양 표토로부터 10cm 깊이의 토양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 1g을 멸균수에 넣고 29℃에서 30분간 진탕한 후 토양 희석 한천평판법으로 10-5배까지 희석하여 희석액 0.1㎖를 배넷평판배지(Bennet,s media: 1.0중량% 포도당, 0.2중량% 펩톤, 0.1중량% 소고기 추출물, 0.1중량% 효모추출물, 1.5중량% 한천, 5ppm 니스타틴(Nystatin), 잔량의 증류수)에 도말하여 29℃에서 7일간 배양하고, 단일 균총(single colony)을 순수 분리하여 배넷사면배지에 옮겨 4℃에서 보관하였다. 각각의 균주는 식물병원균에 항균활성을 나타내거나, 각각의 해충에 활성을 나타내는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고, 그 중에서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 균주를 선발하여 2011년 1월 21일에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하였다(미생물 수탁 번호 : KACC91629P).
실시예 2 :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Streptomyces sp.) A1009(KACC91629P) 균주의 동정
16S rDNA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계통학적 분석결과, A1009균주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의 종을 포함하는 계통학적 그룹에 속하는 균주로서, Streptomyces violascens isolate XSD, Actinomycetales bacterium N02, Streptomyces griseus strain 45H, Streptomyces vinaceus strain CGMCC, Streptomyces sp. ACT-0093, Streptomyces albidoflavus strain HS1, Streptomyces albus strain AS 4.1845 등과 99%의 상동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3 :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Streptomyces sp.) A1009(KACC91629P) 균주 배양액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균주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클리어 존 방법(clear zone method)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즉, 고추탄저병, 벼도열병, 담배깨씨무늬병(brown spot), 고추역병, 시들음병 등을 유발하는 콜레토트리큠 글로에오스포리오이디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마그나포르테 그라이시아(Magnaporthe grisea), 알터나리아 로지프스(Alternaria logipes), 파이토프소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보트리티스 시네리에(Botrytis cinerea) 등의 식물병원균을 공지의 감자덱스트로스한천배지에서 배양하였고, 이들 균주를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각 식물병원균의 플레이트(plate)에 멸균수를 첨가하여 포자만 회수한 다음, 이를 0.5% 소프트 아가(soft agar)에 포자수가 1.0E + 6 포자/㎖ 수준이 되도록 혼합한 후, PDA 배지에 중층배지를 만들어 약 2시간가량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검정시료는 배양이 완료된 배양액에 동량의 메탄올을 첨가한 후, 24시간 메탄올 추출하여 상등액만 시험에 사용하였다. 배양상등액 60㎕를 페이퍼 디스트(paper disc)에 흡수시켜 건조한 후, 건조된 중층배지위에 올려놓고 25℃에서 배양하면서 항균활성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고, 벼도열병에 대한 항균활성을 실험한 사진을 도 2에 도시하였다.
(단위 : mm)
병원균 A1009 + 대조구 + 대조구의 품명
콜레토트리큠
글로에오스포리오이디스
22 20 Azocxystrobin, Sygenta
마그나포르테 그라이시아 43 30 Kasugamycin, Sigma
알터나리아 로지프스 15 15 Kasugamycin, Sigma
파이토프소라 캡사이시 14 15 Azocxystrobin, Sygenta
보트리티스 시네리에 15 15 Procymidone(프로파수화제),
동방아그로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 배양액은 콜레토트리큠 글로에오스포리오이디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마그나포르테 그라이시아(Magnaporthe grisea) 등의 식물병원균에 대하여서는 강한 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알터나리아 로지프스(Alternaria logipes) 파이토프소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보트리티스 시네리에(Botrytis cinerea)에 대해서는 다소 약한 활성을 보인다. 하지만 위의 3개의 균주에도 약하지만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은 다른 균주와 구분할 수 있는 균주 자체의 특성이 되고, 이 식물병원균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Streptomyces sp .) A1009(KACC91629P) 균주의 배양조건
선별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KACC91629)의 배지 조성 및 물리적 조건을 검토하고, 통계적 방법에 의해 배지 성분비를 최적화한 결과, 대량 배양을 위한 배지 조건은 대두박(soybean meal) 0.4중량%, 효모추출물(yeast extrct) 0.3중량%, 글루코오스(glucose) 1.5중량%, 염화암모늄(ammonium choride, NH4Cl) 0.2중량%, CaCO3 0.1중량%, NaCl 0.1중량% 및 잔량의 증류수의 비율이 가장 적합하였고, 기타 물리적 조건으로 종균(seed) 접종량은 3 ? 10%, 교반속도 100 ? 300rpm, 통기량 0.5 ? 1.0vvm, 온도 29℃±1.0, 초기 pH는 6.5가 가장 적합하였다. 또, 배양 중에는 pH조절을 하지 않고 48시간 배양하였다.
실시예 5 :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Streptomyces sp.) A1009(KACC91629P) 균주 배양물의 제제화
배양 종료 후 배양액의 전처리는 발효조의 온도를 15℃±1.0로 유지하면서 12시간동안 냉각쇼크(cold shock)를 줘서 2차 대사산물의 생산을 유도하였다. cold shock 후 발효조의 온도를 60℃±5.0 유지하면서 배양액을 30분간 열처리하여 영양세포(vagetative cell)과 기타 소수 발효물질을 제거하였다.
전처리 하지 않은 배양액과 전처리한 배양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활성과 균수 보존성을 측정하여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A1009 배양액을 전처리 한 경우와 전처리 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 시 항균활성과 포자수 보존성이 좀 더 안정적으로 보존되는 것으로 나타나, 생물농약으로 개발 시 유통기한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전처리가 끝난 배양액은 콜로이달 밀러(colloidal miller)를 이용하여 균체를 분쇄한 후, 액상형태의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 CAS No. 68412-54-4)를 배양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7중량% 첨가하고, 보조제로 비타민 C(ascobic acid)와 글리세롤(glycerol)을 배양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각각 0.2중량%, 1중량%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액상수화제 형태로 제제화 하였다.
제조된 액상수화제 제제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활성과 균수 보존성을 측정하여 표 3에 기재하였다.
즉, 각 식물병원균의 플레이트(plate)에 멸균수를 첨가하여 포자만 회수한 다음, 이를 0.5% 소프트 아가(soft agar)에 포자수가 1.0E + 6 포자/㎖ 수준이 되도록 혼합한 후, PDA 배지에 중층배지를 만들어 약 2시간가량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검정시료는 배양이 완료된 배양액에 동량의 메탄올을 첨가한 후, 24시간 메탄올 추출하여 상등액만 시험에 사용하였다. 배양상등액 60㎕를 페이퍼 디스트(paper disc)에 흡수시켜 건조한 후, 건조된 중층배지위에 올려놓고 25℃에서 배양하면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시간(월) 0 2 4 6 8 10 12

배양액
포자수
(cfu/mL)
5.4E+7 3.2E+7 1.9E+7 8.3E+6 7.1E+6 5.0E+6 3.7E+6
항균활성
(mm)
24 21 17 16 15 16 13

전처리배양액
포자수
(cfu/mL)
2.0E+7 1.4E+7 1.2E+7 9.3E+6 9.0E+6 8.4E+6 7.2E+6
항균활성
(mm)
24 21 19 18 17 16 16
시간(월) 0 2 4 6 8 10 12

액상수화제(S.C.)
포자수
(cfu/mL)
3.2E+7 3.1E+7 2.2E+7 1.5E+7 1.0E+7 9.1E+6 8.5E+6
항균활성
(mm)
25 22 23 20 18 18 17
실시예 6 :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Streptomyces sp.) A1009(KACC91629P) 시제품의 생물검정
생물검정은 고추열매를 이용하여, 고추탄저병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생물검정에 사용된 뚜껑이 있는 플라스틱 상자는 멸균 후 여지를 여러 겹 깔고 멸균된 증류수를 뿌려 상자 안이 완전 수분으로 차도록 미리 처리하였다.
고추열매는 물로 세척한 후 1% NaOCl(차아염소산나트륨, sodium hypochloride)과 70% EtOH(엔탄올)로 표면을 깨끗이 닦아서 말린 후 멸균된 코르크보러로 8mm 정도의 구멍을 낸다.
고추탄저병원균인 콜레토트리큠 글로에오스포리오이디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회수액을 50㎕(1.0E+6 spore/mL↑)씩 페이퍼 디스트(paper disc)에 처리한 후 완전히 말려서 고추열매에 올려놓고, 멸균된 프라스틱 상자에 넣어 뚜껑을 닫고, 28℃, 75%의 습도가 유지되는 생장상(growth chamber)에서 24시간 처리하여 병원균이 고추열매에 미리 침투하도록 한다.
약제처리는 제제화된 방선균 배양액을 1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대조구는 azoxystrobin(syngenta)를 500배 희석하여 고추의 페이퍼 디스트(paper disc)에 50㎕씩 각각 처리하였고, 무처리구는 약제처리하지 않았다.
약제 처리 후 28℃, 75%의 습도가 유지되는 생장상(growth chamber)에서 7일간 처리 후 병의 발병정도를 관찰하였다.
제조된 제제의 고추탄저병에 대한 생물검정은 도 3에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01

Claims (5)

  1. 식물병원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미생물 수탁 번호 : KACC91629P(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2. 대두박(soybean meal) 0.4중량%, 효모추출물(yeast extrct) 0.3중량%, 글루코오스(glucose) 1.5중량%, 염화암모늄(ammonium choride, NH4Cl) 0.2중량%, CaCO3 0.1중량%, NaCl 0.1중량% 및 잔량의 증류수로 구성되는 배지에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미생물 수탁 번호 : KACC91629P)를 접종하되 종균(seed) 접종량은 3 ? 10중량%, 교반속도 100 ? 300rpm, 통기량 0.5 ? 1.0vvm, 온도 29℃±1.0, 초기 pH는 6.5로 배양하며, 배양 중에는 pH조절을 하지 않고 48시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미생물 수탁 번호 : KACC91629P)의 배양방법.
  3.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미생물 수탁 번호 : KACC91629P) 배양액을 콜로이달 밀러(colloidal miller)를 이용하여 균체를 분쇄한 후, 액상형태의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 CAS No. 68412-54-4)를 배양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7중량% 첨가하고, 보조제로 비타민 C(ascobic acid)와 글리세롤(glycerol)을 배양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각각 0.2중량%, 1중량%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미생물 수탁 번호 : KACC91629P) 배양액 주제의 액상수화제.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배양액을 발효조의 온도를 15℃±1.0로 유지하면서 12시간동안 냉각쇼크(cold shock)를 줘서 2차 대사산물의 생산을 유도하고, 냉각 후 발효조의 온도를 60℃±5.0 유지하면서 배양액을 30분간 열처리하여 영양세포(vagetative cell)과 기타 소수 발효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A1009(미생물 수탁 번호 : KACC91629P) 배양액 주재의 액상수화제.
  5. 청구항 3항 및 청구항 4항 중 어느 한 항의 수화제를 이용하여 콜레토트리큠 글로에오스포리오이디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마그나포르테 그라이시아(Magnaporthe grisea), 알터나리아 로지프스(Alternaria logipes) 파이토프소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보트리티스 시네리에(Botrytis cinerea)에 의해 각각 발병하는 고추탄저병, 벼도열병, 담배깨씨무늬병(brown spot), 고추역병, 시들음병 중 1종 이상을 방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원균 방제 방법.
KR1020110011601A 2011-02-09 2011-02-09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속 균주 및 이의 배양방법과 배양물을 이용한 제제 KR20120091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601A KR20120091680A (ko) 2011-02-09 2011-02-09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속 균주 및 이의 배양방법과 배양물을 이용한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601A KR20120091680A (ko) 2011-02-09 2011-02-09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속 균주 및 이의 배양방법과 배양물을 이용한 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680A true KR20120091680A (ko) 2012-08-20

Family

ID=4688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601A KR20120091680A (ko) 2011-02-09 2011-02-09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속 균주 및 이의 배양방법과 배양물을 이용한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168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651B1 (ko) * 2013-07-31 2015-06-0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시우스 s4-7''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CN110684684A (zh) * 2019-06-28 2020-01-14 大连理工大学 一株耐高温生防链霉菌及其应用
CN114891698A (zh) * 2022-06-21 2022-08-12 玉林师范学院 一种链霉菌及其在防治甘蔗凤梨病中的应用
CN114933980A (zh) * 2022-02-21 2022-08-23 中国科学院西双版纳热带植物园 一种防治黄精根腐病的浅紫链霉菌hjb-xtbg45及其应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651B1 (ko) * 2013-07-31 2015-06-0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시우스 s4-7''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CN110684684A (zh) * 2019-06-28 2020-01-14 大连理工大学 一株耐高温生防链霉菌及其应用
CN110684684B (zh) * 2019-06-28 2022-01-04 大连理工大学 一株耐高温生防链霉菌及其应用
CN114933980A (zh) * 2022-02-21 2022-08-23 中国科学院西双版纳热带植物园 一种防治黄精根腐病的浅紫链霉菌hjb-xtbg45及其应用
CN114933980B (zh) * 2022-02-21 2024-02-20 中国科学院西双版纳热带植物园 一种防治黄精根腐病的浅紫链霉菌hjb-xtbg45及其应用
CN114891698A (zh) * 2022-06-21 2022-08-12 玉林师范学院 一种链霉菌及其在防治甘蔗凤梨病中的应用
CN114891698B (zh) * 2022-06-21 2023-11-21 玉林师范学院 一种链霉菌及其在防治甘蔗凤梨病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4476B2 (en) Pure culture of strain AH2 of the Bacillus velezensis species and a product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phytopathogenic fungi
Verma et al. Bio‐control and plant growth promotion potential of siderophore producing endophytic Streptomyces from Azadirachta indica A. Juss.
AU735602B2 (en) Antifungal biocontrol agents, a process for preparing and treating the same
KR101569737B1 (ko) 벼 근권에서 분리된 신규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오리지콜라 및 이를 이용한 천연식물 보호 및 식물 강화제 개발
Tiwari et al. Endophytic bacteria from Ocimum sanctum and their yield enhancing capabilities
US20080267937A1 (en) Compositions for Preventing Plant Disease Comprising Bacillus Subtilis Kccm 10639 or Kccm 10640 and Methods of Preventing Plant Disease by Using Them
KR101101783B1 (ko) 항균활성과 살충력이 우수한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속 균주 및 이의 배양방법과 배양물을 이용한 제제
KR100812649B1 (ko)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속vsv-12 kctc10936bp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균 방제제
Vásconez et al. Evaluation of Bacillus megaterium strain AB4 as a potential biocontrol agent of Alternaria japonica, a mycopathogen of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KR100735572B1 (ko) 주요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스트렙토마이세스 파다누스 vsp-32 및 이를 이용한식물 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20090105149A (ko) 식물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는 신규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b1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Qian et al. Biocontrol of citrus canker with endophyte Bacillus amyloliquefaciens QC-Y.
KR20120091680A (ko)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속 균주 및 이의 배양방법과 배양물을 이용한 제제
Tozlu et al. The investigation of the biological control of Icerya purchasi Maskell, 1878 (Hemiptera: Margarodidae) with entomopathogenic fungi and bacteria
KR101005484B1 (ko)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포로클리바투스 cjs-49 kctc 11109bp 및 이를 포함하는 생물농약
KR20080045346A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엠27 균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한 식물 균핵병 방제 방법
Yadav et al. Endophytes and their applications as biofertilizers
Chen Management with biological methods
KR20100116023A (ko) 슈도모나스 제니큘라타 mh102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Naglaa et al. Efficacy of free and formulated arbuscular mycorrhiza, Trichoderma viride and Pseudomonas fluorescens on controlling tomato root rot diseases
KR100705777B1 (ko)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코스타리카너스 vsc-67
KR100726864B1 (ko)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그리세오푸스쿠스 vsg―16 kctc 10930bp 및이를 이용한 식물 병원균 방제제
KR101952421B1 (ko) 신규한 셀라티아 에스피 im2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100961786B1 (ko) 버크홀데리아 파이로시니아 씨에이비08106-4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KR101027082B1 (ko)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미조넨시스 cjs-7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병원균방제용 미생물 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