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552A - 폐수처리용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수처리용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552A
KR20120091552A KR1020110011378A KR20110011378A KR20120091552A KR 20120091552 A KR20120091552 A KR 20120091552A KR 1020110011378 A KR1020110011378 A KR 1020110011378A KR 20110011378 A KR20110011378 A KR 20110011378A KR 20120091552 A KR20120091552 A KR 20120091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device
counterclockwise
wastewater
clockwise
mix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수
Original Assignee
(주)유노미아
정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노미아, 정태수 filed Critical (주)유노미아
Priority to KR1020110011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1552A/ko
Publication of KR20120091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 중의 유해물을 약품과 혼합시켜 슬러지로 응집, 제거시킬 때 응집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폐수 처리약품 및 폐수와의 교반장치 및 이를 적용한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원의 관형 교반장치는 혼합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장착된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결착되며, 혼합수 유동방향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및 반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및 이들 스크루 플레이트들을 이격시키며 와류를 형성시키는 와류형성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폐수처리용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A mixing apparatus for treating effluents and a treatment using it}
본 발명은 폐수 중의 유해물을 약품과 혼합시켜 슬러지로 응집, 제거시킬 때 응집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폐수 처리약품 및 폐수와의 교반장치 및 이를 적용한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 정화처리는 복수의 탱크를 마련하고 폐수가 각 탱크를 통과하면서 폭기 및 침전 처리를 하게 되는 슬러지 침전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반복적인 폐수의 폭기 및 침전 처리방식은 폐수를 정화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장치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면적이 커서 처리비용이 많이 들고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또 다른 폐수처리방법으로는 폐수의 유해물을 슬러지로 응집시켜 수면 위로 부상시켜 부상된 슬러지를 회수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폐수처리장치에서 처리약품 (통상 무기고분자 응집제 및 유기고분자 응집제를 함유한 폐수처리약품)을 폐수와 혼합시켜 슬러지 입자 (플록)로 응집시키기 위하여는 폐수 및 처리약품과의 고른 혼합 및 교반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폐수처리를 위하여 약품을 투입할 때 사용되는 교반장치로는 별도의 중간탱크를 마련하여 여기에 폐수와 약품을 일정비율로 투입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팬 등의 장치를 설치한 후 팬의 회전에 의해 폐수와 약품을 교반한 후 별도의 펌프장치를 구동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그 구조가 복잡하고 장치의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를 따라 이송되는 동안에 자연적으로 폐수와 약품이 혼합되도록 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교반효율이 낮고 또한 교반효율을 높이기 위하여는 공정 사이를 연결하는 이송파이프를 길게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면적을 크게 필요로 하는 반면 층류 유동에 의해 교반효율의 큰 상승은 기대하기 힘들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폐수 및 처리약품을 혼합시켜 폐수 중에 존재하는 유해물을 슬러지로 응집시킬 때 슬러지 응집효율을 높기기 위하여 강력한 와류 형성에 따른 폐수 및 처리약품 혼합효과를 달성하며, 그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 규모가 작아 장치의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폐수 및 처리약품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수에 처리약품을 혼합하여 유해물을 슬러지로 응집시켜 제거하는 폐수처리장치 중 입구 및 출구를 가지는 혼합수 진행방향 수직 관형 교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장치는 혼합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장착된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결착되며, 혼합수 유동방향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및 반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및 이들 스크루 플레이트들을 이격시키며 와류를 형성시키는 와류형성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제한적이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구비한다.
스크루 플레이트 조합들은 와류형성 플레이트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 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는 강한 압력으로 진행되는 혼합수가 시계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시계방향 나선형태로 구성되며, 반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는 강한 압력으로 유입되는 혼합수가 시계방향과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반시계방향 나선형태로 구성된다. 와류형성 플레이트는 혼합수 진행에 최소한의 장애를 제공하면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혼합수와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및 반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교반장치 내면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교반장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교반장치에 유입되는 처리약품 및 폐수를 예비적으로 혼합하기 위한 교반펌프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약품투입구 및 오수유입구가 구비된 교반펌프조는 일측에 펌프가 장착된 예비저장부 및 상기 예비저장부로 이어지는 경사진 하면 및 양 측면들을 가지고, 상기 하면에는 다수의 격판들이 형성되되, 각각의 격판은 양 측면에 교대로 고정된다.
비-제한적으로 상기 예비저장부에 장착된 펌프는 혼합수가 일정 수위에 도달되면 자동으로 혼합수를 교반장치 입구로 이송할 수 있는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교반장치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폐수처리장치는 교반장치와 직렬 연결되는 반응관, 상기 반응관과 직렬 연결되는 회전고액분리장치, 상기 회전고액분리장치에서 배출되는 부상물 및 침전물을 탈수하기 위한 스크루 탈수장치를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처리약품 및 폐수는 교반펌프조에서 예비적으로 혼합되고, 강한 압력으로 교반장치로 이송되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교번 선회하되, 시계방향 및 반시계 스크루 플레이트 사이 와류형성 플레이트에 의해 폐수 유동이 교란되면서 와류형성에 의해 강력하고도 고른 혼합 및 교반이 가능하여 교반효과를 극대화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의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 교반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교반장치 상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교반펌프조 개략 측면도 (a) 및 평면도 (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한다. 본 발명은 폐수 및 처리약품의 효율적인 혼합을 유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원에서 '혼합수'라 함은 교반장치 입구로 유입되는 폐수 및 처리약품 혼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혼합수'는 양측면에 교대로 장착된 격판 구성의 교반펌프조에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교반장치를 통과한 혼합수는 '교반혼합수'라고 칭한다. 본원에서 혼합수 '진행방향'이라 함은, 입구에서 출구로 혼합수가 이송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이는 '유동방향'과 구별된다. '유동방향'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루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과 같은 선회에 의한 혼합수 이동방향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스크루 플레이트 조합'이란 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및 반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일조를 의미한다. 혼합수, 교반혼합수를 포함한 유체 흐름을 기준으로, '상류'는 지정하는 요소 앞 또는 전 위치를 의미하고, '하류'는 지정하는 요소 뒤 또는 후 위치를 의미한다. 예를들면 본원에서 교반펌프조 구성은 교반장치 상류에 위치하며, 반응관은 교반장치 하류에 배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폐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계략 도면이다. 개락적으로 살펴보면, 폐수처리장치는 교반펌프조 (100), 제1 교반장치 (200), 제2 교반장치 (300), 반응관 (400), 회전고액분리장치(500), 스크루 탈수장치 (600) 및 탈수여액조 (650)로 구성되며, 도 1에서 폐수처리장치에 오수 (폐수)를 공급하는 오수조는 별도의 부호가 부여되지 않는다. 오수조에는 정화처리되어야 할 폐수가 수집되어 저장되며, 오수조에 저장된 폐수는 펌프 구동에 의하여 이송관을 통하여 교반펌프조 (100) 오수유입구 (110)로 유입되며, 본원 교반펌프조에서 예비적으로 혼합된 혼합수는 펌프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 (200, 300)로 강한 압력으로 유입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폐수처리장치는 하나 이상의 교반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성은 이하 대표적으로 설명될 교반장치 (200)와 동일하며, 단지 교반장치 관 직경에 있어서 차별된다. 상세하게는, 제1 교반장치 (200)는 고속 교반장치, 제2 교반장치 (300)는 저속 교반장치로 명명될 수 있으며, 이들은 관 직경에 있어서 구별된다. 고속 교반장치는 저속 교반장치 직경 대비 약 1/2 정도로 구성되어 교반펌프조 (100)에서 펌프에 의해 이송되는 혼합수는 제1 교반장치를 통과할 때 고속으로 진행되며, 제1 교반장치 (200) 출구를 통하여 유출된 교반혼합수는 제2 교반장치 (300) 입구를 거쳐 직경이 넓은 제2 교반장치 (300)를 통과할 때에는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통과된다.
도 2 및 도 3은 교반장치 (200)를 도시한 것이며,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 (200)는 입구 (201) 및 출구 (202)를 가지며 혼합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관 형상으로 구성된다. 교반펌프조로부터 혼합수가 입구 (201)를 통하여 강한 압력으로 분사되며, 하기 설명될 정방향 또는 역방향 선회 및 와류 형성 과정을 거쳐 출구 (202)를 통하여 교반혼합수가 유출된다. 상기 교반장치 내부에는 혼합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장착된 지지봉(205)이 직립된다. 지지봉은 이하 설명될 스크루 플레이트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관 내부 중앙에 설치된다. 지지봉 (205)에는 일조의 스크루 플레이트들 (210, 210')이 고정된다. 지지봉은 스크루 플레이트들 중앙 삽입구를 관통하여 플레이트들을 지지봉에 고착시킨다. 일조의 스크루 플레이트는 혼합수 유동방향을 각각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210') 및 반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210)로 이루어지며, 이들 선회 유도 플레이트 사이에는 와류형성 플레이트 (220)가 설치된다. 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210')는 강한 압력으로 진행되는 혼합수를 시계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일체형 시계방향 나선형태로 구성되며, 반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는 강한 압력으로 유입되는 혼합수가 시계방향과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는 일체형 반시계방향 나선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루 플레이트들은 나선방향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와류형성 플레이트 (220)는 혼합수 진행에 최소한의 장애를 제공하면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혼합수와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지지봉과 평행한 봉 형상 또는 교반장치 관 프로파일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말굽 형상과 같은 환형 구성을 이루며, 와류형성 플레이트 (220)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상부에 위치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및 하부에 위치한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 방향) 스크루 플레이트와 접하도록 장착된다. 와류형성 플레이트 (또는 봉)는 관 내부에 스크루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관 내면과 접하도록 장착되어, 혼합수 진행을 보장하면서도 관을 따라 선회 유동되는 혼합수와 충돌 장애를 제공하여 일정한 와류를 형성시키도록 구성된다. 본원에서 이러한 와류형성 교반영역은 부호 225로 표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지지봉, 스크루 플레이트들 및 와류형성 플레이트는 유입되는 혼합수와의 충돌에 의해 진동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단단히 교반장치 내에 부착된다. 또한, 도 2 및 3을 참조하면, 3 조의 스크루 플레이트 조합 및 1개의 단일 스크루 플레이트가 도시되어 있으나, 스크루 플레이트 개수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함은 명백하다. 즉 처리되어야 하는 폐수 종류, 오염 정도 등에 따라 1조 이상의 스크루 플레이트가 장착될 수 있는 것이며, 조합의 개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소는 아니다. 그러나, 1조 이상의 스크루 플레이트가 설계될 때에는, 각 조합들 사이에도 상기와 동일한 와류형성 플레이트 (22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또한, 약품투입구 및 오수유입구가 구비된 교반펌프조(100)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교반펌프조는 하면이 경사진 용기로 구성되며, 일측에 펌프 (140)가 장착된 예비저장부 (101) 및 상기 예비저장부로 이어지는 경사진 하면 (102) 및 양 측면 (103)들을 가지고, 상기 하면에는 다수의 격판(130)이 형성되되, 각각의 격판은 양 측면에 교대로 고정된다. 상기 펌프 (140)는 혼합수가 예비저장부에서 일정 수위에 도달되면 자동으로 혼합수를 교반장치 입구 (201)로 이송, 분사할 수 있는 펌프일 수 있다. 양측에 교대로 설치된 격판 (130)으로 인하여 약품투입기 (120) 및 오수조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예비저장조 도달 유동거리는 연장되어 교반장치에 유입되는 혼합수는 예비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오수조에 저장된 폐수가 펌프에 의해 교반펌프조 (100) 입구 (110)를 통하여 급송되는 동안 동시에 약품투입기 (120)로부터 처리약품이 교반펌프조 (100)로 낙하된다. 여기서 처리약품은 무기고분자 응집제 및/또는 유기고분자 응집제일 수 있으며, 피처리 폐수 종류 및 성상에 따라 다양한 처리약품이 도입될 수 있다. 교반펌프조 (100)에 도입된 폐수 및 처리약품은 하면 (102)을 따라 예비저장부 (101)로 흐르지만, 하면에 설치된 교번 장착 격판들로 인하여 굽이 (지그제그) 유동이 형성된다. 이러한 굽이 형태의 유동으로 인하여 폐수 및 처리약품은 고르게 혼합되어 이후 전개될 교반장치에서의 처리약품 및 폐수와의 교반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예비저장부 (101)에서 혼합수 일정한 수위가 감지되면 펌프 (140)가 작동하여 혼합수는 상기 구성을 가지는 교반장치 (200)의 입구 (201)로 강하게 분사된다. 혼합수는 일조의 스크루 플레이트들을 통과하는데 예시로 반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210) 및 시계방향 플레이트 (21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혼합수가 좁은 간격으로 설치된 반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210) 공간을 통과하면 혼합수는 반시계방향으로 강하게 선회된다. 관을 따라 강한 선회속도로 반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210) 공간 (215)을 빠져나온 혼합수는 와류형성 플레이트 (220)와 충돌되어 강한 와류를 형성한다. 형성된 와류는 동일 공간에 후속 도입되는 혼합수에 밀려 계속하여 관 내부에서 진행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번에는 좁은 간격으로 설치된 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210') 공간 (215')을 통과하면 혼합수는 시계반향으로 강하게 선회된다. 관을 따라 상승하는 강한 선회속도로 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210') 공간 (215')을 빠져나온 혼합수는 또 다른 와류형성 플레이트 (220)와 충돌되어 강한 와류를 형성하며, 이러한 정회전, 와류, 역회전 유동을 반복하면서 궁극적으로 출구 (202)로 유출된다. 도 1에서 도시되고, 상기된 바와 같이, 교반장치 (200) 구성과 동일하되, 직경이 더욱 넓은 제2 교반장치 (300)가 교반장치 (200)와 직렬로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반장치 (200) 출구에서 탈출되는 교반혼합수는 제2 교반장치로 유입되어 저속으로 교반혼합수를 더욱 교반할 수 있다. 이후 교반혼합수는 반응관 (400), 회전고액분리장치 (500)를 통하여 처리수가 외부로 방류되고 스크루 탈수장치(600)에 의해 슬러지가 회수되어 제거 또는 이용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처리약품 및 폐수는 교반펌프조에서 예비적으로 혼합되고, 강한 압력으로 교반장치로 이송되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교번 선회하되, 시계방향 및 반시계 스크루 플레이트 사이 와류형성 플레이트에 의해 폐수 유동이 교란되면서 와류형성에 의해 강력하고도 고른 혼합 및 교반이 가능하여 교반효과를 극대화하고 슬러지 응집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10 : 폐수처리장치, 100: 교반펌프조, 110: 오수유입구, 120: 약품투입기, 140: 펌프, 130: 격판, 200: 제1 교반장치, 205: 지지봉, 210, 210': 스크루 플레이트, 215, 215': 회전영역, 220: 와류형성 플레이트 (또는 봉), 225: 와류형성 교반영역, 300: 제2 교반장치, 400: 반응관, 500: 회전고액분리장치, 600: 탈수장치, 650: 탈수여액조

Claims (10)

  1. 폐수에 처리약품을 혼합하여 유해물을 슬러지로 응집시켜 제거하는 폐수처리장치 중 입구 및 출구를 가지는 혼합수 진행방향 수직 관형 교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장치는 혼합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장착된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결착되며, 혼합수 유동방향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및 반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및 이들 스크루 플레이트들을 이격시키며 와류를 형성시키는 와류형성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관형 교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는 혼합수가 시계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일체형 시계방향 나선형태로 구성되는, 관형 교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반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는 혼합수가 시계방향과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일체형 반시계방향 나선형태로 구성되는, 관형 교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와류형성 플레이트는 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및 반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사이에 지지봉과 평행하게 부착되는 봉 형상으로 구성되는, 관형 교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와류형성 플레이트는 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및 반시계방향 스크루 플레이트 사이 교반장치 내면 일측에 부착되며, 교반장치 관 프로파일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말굽 형상으로 구성되는, 관형 교반장치.
  6. 폐수처리장치 중 교반장치에 유입되는 처리약품 및 폐수를 예비적으로 혼합하기 위한 교반펌프조에 있어서, 일측에 펌프가 장착된 예비저장부 및 상기 예비저장부로 이어지는 경사진 하면 및 양 측면들을 가지고, 상기 하면에는 다수의 격판이 형성되되, 각각의 격판은 양 측면에 교대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펌프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저장부에 장착된 펌프는 혼합수가 일정 수위에 도달되면 자동으로 혼합수를 제1항의 교반장치 입구로 이송할 수 있는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펌프조.
  8. 제1항의 관형 교반장치를 포함하는, 폐수에 처리약품을 혼합하여 유해물을 슬러지로 응집시켜 제거하는 폐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6항의 교반펌프조가 관형 교반장치 상류에 더욱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에 처리약품을 혼합하여 유해물을 슬러지로 응집시켜 제거하는 폐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관형 교반장치와 하류에서 연결되는 반응관, 상기 반응관과 연결되는 회전고액분리장치, 상기 회전고액분리장치에서 배출되는 부상물 및 침전물을 탈수하기 위한 스크루 탈수장치를 더욱 포함하는, 폐수에 처리약품을 혼합하여 유해물을 슬러지로 응집시켜 제거하는 폐수처리장치.
KR1020110011378A 2011-02-09 2011-02-09 폐수처리용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20120091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378A KR20120091552A (ko) 2011-02-09 2011-02-09 폐수처리용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378A KR20120091552A (ko) 2011-02-09 2011-02-09 폐수처리용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552A true KR20120091552A (ko) 2012-08-20

Family

ID=4688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378A KR20120091552A (ko) 2011-02-09 2011-02-09 폐수처리용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15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4699A (zh) * 2019-05-27 2019-08-09 广东中天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布水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4699A (zh) * 2019-05-27 2019-08-09 广东中天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布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8270B2 (en) High-rate sedimentation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4765022B2 (ja) 固液分離装置
KR100882200B1 (ko)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
KR100808289B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KR200395184Y1 (ko) 경사판 모듈 및 이를 갖는 고속 침전장치
KR100646042B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KR101020238B1 (ko) 나노 입자 공기 부상을 이용한 하ㆍ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637920B1 (ko)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KR101964830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KR101430104B1 (ko) 오폐수 처리 장치
KR100379745B1 (ko) 급속반응조와 완속응집조가 연결된 고속응집 경사판침전장치
KR101652158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20160094883A (ko) 고도 처리 장치
KR101014870B1 (ko) 하수고도처리 장치
KR101049253B1 (ko) 급속 교반기를 구비한 오폐수 정화장치
KR101867781B1 (ko) Febt조가 설치된 오폐수 침전 시스템
KR20120091552A (ko) 폐수처리용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JP6640837B2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JP2005305271A (ja) 汚濁水処理装置
KR101461592B1 (ko) 난류날개가 구비된 오폐수 처리 장치
CN110831683A (zh) 压载絮凝和倾析集成式的水处理设备及相应方法
KR100209938B1 (ko) 슬러지 부상 방식의 폐수처리방법
KR102116925B1 (ko) 응결핵 반송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200384139Y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CN212655650U (zh) 一种石油化工废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