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318A - 싱글 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싱글 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318A
KR20120091318A KR1020127014692A KR20127014692A KR20120091318A KR 20120091318 A KR20120091318 A KR 20120091318A KR 1020127014692 A KR1020127014692 A KR 1020127014692A KR 20127014692 A KR20127014692 A KR 20127014692A KR 20120091318 A KR20120091318 A KR 20120091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link channel
sector
downlink
feedback inform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6974B1 (ko
Inventor
조세프 제이. 브란즈
샤라드 디파크 삼브와니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83810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9131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91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04Channel estimation of multip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343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35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 H04L2025/0342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transmission using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777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2025/03802Signalling on the reverse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MTS 원격통신 시스템에 단일 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 다운링크 채널은 제 1 섹터로부터 제공되며, 제 2 다운링크 채널은 제 2 섹터로부터 제공되며, 여기서 제 1 다운링크 채널 및 제 2 다운링크 채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를 가진다. CQI 및/또는 PCI와 같은 피드백 정보는 개별 다운링크 채널들의 적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업링크 채널을 통해 제공된다. 여기서, 업링크 캐리어는 다운링크 채널들의 캐리어 주파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싱글 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INGLE FREQUENCY DUAL CELL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System and Method for Single Frequency Dual Cell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ess"라는 명칭으로 2009년 11월 9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259,510호의 이익을 청구하는데, 이 가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 명백하게 통합된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DC-HSDPA UMTS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전화,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방송들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널리 배치된다. 보통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인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통신들을 지원한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례는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이다. UTRAN은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 즉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에 의해 지원되는 3세대(3G) 모바일 전화 기술로서 정의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이다. 이동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 기술들에 대한 후속자인 UMTS는 광대역-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시분할-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CDMA) 및 시분할-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SCDMA)와 같은 다양한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들을 현재 지원한다. UMTS는 또한 연관된 UMTS 네트워크들에 더 높은 데이터 송신 속도들 및 용량을 제공하는 고속 패킷 액세스(HSDPA)와 같은 향상된 3G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한다.
모바일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성장하는 수요를 충족시킬 뿐만아니라 모바일 통신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진보시키고 향상시키기 위하여 UMTS 기술들을 진보시키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시스템 및 방법은 UMTS 원격통신 시스템에 단일 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제공한다. 제 1 다운링크 채널은 제 1 섹터로부터 제공되며, 제 2 다운링크 채널은 제 2 섹터로부터 제공되며, 여기서 제 1 다운링크 채널 및 제 2 다운링크 채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를 가진다. CQI 및/또는 PCI와 같은 피드백 정보는 개별 다운링크 채널들의 적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업링크 캐리어상에 제공된다. 여기서, 업링크 캐리어는 다운링크 채널들의 캐리어 주파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법은 제 1 섹터로부터 제 1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제 2 섹터로부터 제 2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다운링크 채널 및 제 2 다운링크 채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를 가진다. 상기 방법은 제 1 섹터에서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섹터에서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제 1 섹터로부터 제 1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그리고 제 2 섹터로부터 제 2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코드를 가지며, 제 1 다운링크 채널 및 제 2 다운링크 채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를 가진다.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제 1 섹터에서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및 제 2 섹터에서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섹터로부터 제 1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그리고 제 2 섹터로부터 제 2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다운링크 채널 및 제 2 다운링크 채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를 가진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섹터에서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며; 그리고 제 2 섹터에서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제 1 섹터로부터 제 1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그리고 제 2 섹터로부터 제 2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제 1 다운링크 채널 및 제 2 다운링크 채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를 가진다. 상기 장치는 제 1 섹터에서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섹터에서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리뷰할때 더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프로세싱 시스템을 사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예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UE와 통신하는 노드 B의 예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양상에 따라 SFDC-HSDPA 시스템을 예시하는 개념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양상에 따라 SFDC-HSDPA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여기에 기술된 개념들이 실시될 수 있는 구성들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이 이들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이러한 개념들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프로세싱 시스템(114)을 사용하는 장치(100)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 다이어그램이다. 이러한 예에서, 프로세싱 시스템(114)은 버스(102)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표현되는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 있다. 버스(102)는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프로세싱 시스템(114)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102)는 프로세서(104)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6)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현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102)는 또한 당업계에 공지되어 더이상 기술되지 않을 타이밍 소스들, 주변기기들, 전압 조절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108)는 버스(102) 및 트랜시버(110)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트랜시버(110)는 송신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다. 장치의 속성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112)(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6)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싱 및 버스(102)를 관리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104)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114)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 장치와 관련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6)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104)에 의하여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다양한 개념들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원격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에 걸쳐 구현될 수 있다. 제한 없는 예로서, 도 2에 예시된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W-CDMA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UMTS 시스템(200)과 관련하여 제시된다. UMTS 네트워크는 3개의 상호작용 도메인들, 즉 코어 네트워크(CN)(204),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M)(202), 및 사용자 장비(2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UTRAN(202)은 전화,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방송들 및/또는 다른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UTRAN(202)은 RNC(206)와 같은 개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에 의하여 각각 제어되는 RNS(207)와 같은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RNS)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TRAN(202)는 여기에서 예시된 RNC들(206) 및 RNS들(207) 외에 임의의 수의 RNC(206)들 및 RNS(207)들을 포함할 수 있다. RNC(206)는 무엇보다도, RNS(207) 내에서 무선 자원들을 할당, 재구성 및 해제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RNC(206)는 임의의 적절한 운반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직접 물리적 접속, 가상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UTRAN(202) 내의 다른 RNC들(도시안됨)에 상호 접속될 수 있다.
UE(210) 및 노드 B(208) 사이의 통신은 물리(PHY) 계층 및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게다가, 개별 노드 B(208)을 통한 UE(210)과 RNC(206)간의 통신은 무선 자원 제어(RRC) 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PHY 계층은 계층 1로 고려될 수 있으며, MAC 계층은 계층 2로 고려될 수 있으며, RRC 계층은 계층 3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하의 정보는 여기에 참조로 통합되는 RRC Protocol Specification, 3GPP TS 25.331 v9.1.0에서 도입된 용어를 활용한다.
SRNS(207)에 의해 커버되는 지리적 영역은 다수의 셀들로 분할될 수 있는데, 무선 트랜시버 장치는 각각의 셀을 서빙한다. 무선 트랜시버 장치는 보통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노드 B로서 지칭되나, 또한 기지국(BS),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무선 기지국, 무선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부, 기본 서비스 세트(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ESS),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서 당업자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명확화를 위하여, 각각의 SRNS(207)에 3개의 노드 B들(208)이 도시되나, SRNS들(207)은 임의의 수의 무선 노드 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노드 B들(208)은 임의의 수의 모바일 장치들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CN)(204)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제공한다. 모바일 장치의 예들은 셀룰라 전화, 스마트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랩탑, 노트북, 넷북, 스마트북, 휴대 정보 단말(PDA), 위성 라디오, 글로벌 위치측위 시스템(GPS) 디바이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는 보통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 UE로서 지칭되나, 또한 이동국(MS), 가입자 스테이션,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 스테이션, 액세스 단말(AT),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서 당업자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UMTS 시스템에서, UE(210)는 네트워크에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포함시키는 유니버셜 가입자 식별 모듈(USIM)(21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으로, 하나의 UE(210)는 다수의 노드 B들(208)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순방향 링크로서 또한 지칭되는 다운링크(DL)는 노드 B(208)로부터 UE(210)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며, 역방향 링크로 지칭되는 업링크(UL)는 UE(210)로부터 노드 B(208)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코어 네트워크(204)는 UTRAN(202)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인터페이싱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코어 네트워크(204)는 GSM 코어 네트워크이다. 그러나, 당업자가 인식하는 바와같이,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다양한 개념들은 UE들이 GSM 네트워크들 외의 다양한 타입들의 코어 네트워크들에 액세스하도록 RAN 또는 다른 적절한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204)는 회선-교환(CS) 도메인 및 패킷-교환(PS) 도메인을 포함한다. 회선 교환 엘리먼트들의 일부는 모바일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 및 게이트웨이 MSC이다. 패킷-교환 엘리먼트들은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 및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를 포함한다. EIR, HLR, VLR 및 AuC와 같은 일부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은 회선-교환 및 패킷-교환 도메인 둘다에 의하여 공유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코어 네트워크(204)는 MSC(212) 및 GMSC(214)를 사용하여 회선-교환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GMSC(214)는 미디어 게이트웨이(MGW)로 지칭될 수 있다. RNC(206)와 같은 하나 이상의 RNC들은 MSC(212)에 접속될 수 있다. MSC(212)는 통화 셋업, 통화 라우팅, 및 UE 모빌리티 기능들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MSC(212)는 또한 UE가 MSC(212)의 커버리지 영역에 있는 지속기간(duration) 동안 가입자-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를 포함한다. GMSC(214)는 UE가 회선-교환 네트워크(216)에 액세스하도록 하기 위하여 MSC(212)를 통해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GMSC(214)는 특정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들의 세부사항들을 반영하는 데이터와 같은 가입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홈 위치 레지스터(HLR)(215)를 포함한다. HLR은 또한 가입자-특정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증 센터(AuC)와 연관된다. 특정 UE에 대한 통화가 수신될때, GMSC(214)는 UE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HLR(215)에 질의하며, 그 위치를 서빙하는 특정한 MSC에 통화를 포워드(forward)한다.
코어 네트워크(204)는 또한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218) 및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220)를 사용하여 패킷-데이터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를 의미하는 GPRS는 표준 회선-교환 데이터 서비스들에 이용가능한 속도들보다 높은 속도들로 패킷-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GGSN(220)는 패킷-기반 네트워크(222)에 UTRAN(202)에 대한 접속을 제공한다. 패킷-기반 네트워크(222)는 인터넷, 개인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패킷-기반 네트워크일 수 있다. GGSN(220)의 주 기능은 패킷-기반 네트워크 접속을 UE들(210)에 제공하는 것이다. 데이터 패킷들은 SGSN(218)를 통해 GGSN(220)과 UE들(210)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으며, SGSN(218)은 MSC(212)가 회선-교환 도메인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들을 패킷-기반 도메인에서 주로 수행한다.
UMTS 무선 인터페이스는 스펙트럼 확산 직접-시퀀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DS-CDMA) 시스템이다. 스펙트럼 확산 DS-CDMA는 칩들이라 불리는 의사랜덤 비트들의 시퀀스에 의한 곱셈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확산시킨다. UMTS에 대한 W-CDMA 무선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기술에 기초하며, 부가적으로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을 필요로 한다. FDD는 노드 B(208)와 UE(210) 사이에서의 업링크(UL) 및 다운링크(DL)에 대해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한다. DS-CDMA를 활용하고 시분할 듀플렉싱을 사용하는 UMTS에 대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는 TD-SCDMA 무선 인터페이스이다. 당업자는 비록 여기에 기술된 다양한 예들이 WCDMA 무선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 있을지라도 이하의 원리들이 TD-SCDMA 무선 인터페이스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UTRAN 아키텍처의 액세스 네트워크(300)가 예시된다.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들(302, 304 및 306)을 포함하는 다수의 셀룰라 영역들(셀들)을 포함하며, 이 셀들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섹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섹터들은 셀의 일부분 내의 UE들과 통신하는 것을 담당하는 각각의 안테나를 가진 안테나들의 그룹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302)에서, 안테나 그룹들(312, 314, 및 316)은 각각 상이한 섹터에 대응할 수 있다. 셀(304)에서, 안테나 그룹들(318, 320 및 322)은 각각 상이한 섹터에 대응한다. 셀(306)에서, 안테나 그룹들(324, 326 및 328)은 각각 상이한 섹터에 대응한다. 셀들(302, 304 및 306)은 각각의 셀(302, 304 또는 306)의 하나 이상의 섹터들과 통신할 수 있는 여러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또는 U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들(330 및 332)은 노드 B(342)와 통신할 수 있으며, UE들(334 및 336)은 노드 B(344)와 통신할 수 있으며, UE들(338 및 340)은 노드 B(346)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노드 B(342, 344 및 346)는 개별 셀들(302, 304 및 306)의 모든 UE들(330, 332, 334, 336, 338 및 340)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204)(도 2 참조)에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UE(334)가 셀(304) 내의 예시된 위치로부터 셀(306)내로 이동할 때, 서빙 셀 변경(SCC) 또는 핸드오버가 발생할 수 있고, 이때 UE(334)와의 통신은 소스 셀로서 지칭될 수 있는 셀(304)로부터 목표 셀로서 지칭될 수 있는 셀(306)로 전환(transition)된다. 핸드오버 절차의 관리는 UE(334)에서, 개별 셀들에 대응하는 노드 B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206)(도 2 참조)에서, 또는 무선 네트워크내의 다른 적절한 노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셀(304)과의 통화(call) 동안 또는 임의의 다른 시간에, UE(334)는 소스 셀(304)의 다양한 파라미터들 뿐만아니라 셀들(306 및 302)과 같은 인접 셀들의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게다가, 이들 파라미터들의 품질에 따라, UE(334)는 인접 셀들 중 하나 이상의 셀들과의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시간 동안, UE(334)는 활성 세트, 즉 UE(334)가 동시에 접속되는 셀들의 리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즉, 다운링크 전용 물리 채널 DPCH 또는 부분적(fractional) 다운링크 전용 물리 채널 F-DPCH를 현재 UE(334)에 현재 할당하고 있는 UTRA 셀들이 활성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300)에 의하여 사용되는 변조 및 다중 액세스 방식은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는(deploy) 특정 원격통신 표준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예로서, 표준은 에벌루션-데이터 최적화(EV-DO: Evolution-Data Optimized) 또는 울트라 모바일 광대역(UMB: Ultra Mobile Broadband)을 포함할 수 있다. EV-DO 및 UMB는 CDMA2000 패밀리 표준들의 부분으로서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에 의하여 반포된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들이며, CDMA를 사용하여 이동국들에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표준은 대안적으로 광대역-CDMA(W-CDMA)및 TD-SCDMA와 같은 CDMA의 다른 변형들을 사용하는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UTRA); TDMA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 및 이벌브드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광대역(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및 OFDMA를 사용하는 플래시-OFDM일 수 있다. UTRA, E-UTRA, UMTS, LTE, LTE 어드밴스드 및 GSM은 3GPP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된다. CDMA2000 및 UMB는 3GPP2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된다. 채용되는 다중 액세스 기술 및 실제 무선 통신 표준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에 부여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를 것이다.
도 4는 UE(450)과 통신하는 노드 B(410)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며, 여기서 노드 B(410)는 도 2의 노드 B(208)일 수 있으며, UE(450)는 도 2의 UE(210)일 수 있다. 다운링크 통신에서, 송신 프로세서(420)는 데이터 소스(412)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440)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420)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 뿐만아니라 기준 신호들(예를 들어, 파일럿 신호들)에 대한 다양한 신호 처리 기능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송신 프로세서(420)는 에러 검출을 위한 순환 리던던시 검사(CRC) 코드들, 순방향 에러 정정(FEC)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다양한 변조 방식들(예를 들어, 2진 위상-시프트 키잉(BPSK), 직교 위상-시프트 키잉(QPSK), M-위상-시프트 키잉(M-PSK), M-직교 진폭 변조(M-QAM) 등)에 기초한, 신호 성상도들에의 매핑, 직교 가변 확산 인자(OVSF)들을 사용한 확산, 및 일련의 심볼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스크램블링 코드들을 곱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채널 프로세서(444)로부터의 채널 추정치들은 송신 프로세서(420)에 대한 코딩, 변조, 확산 및/또는 스크램블링 방식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어기/프로세서(440)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채널 추정치들은 UE(450)에 의하여 송신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또는 UE(450)로부터의 피드백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420)에 의하여 생성되는 심볼들은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기 위하여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430)에 제공된다.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430)는 제어기/프로세서(440)로부터의 정보와 심볼들을 곱하여 일련의 프레임들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러한 프레임 구조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프레임들은 안테나(434)를 통한 무선 매체를 통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프레임들을 증폭, 필터링 및 캐리어로의 변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컨디셔닝 기능들을 제공하는 송신기(432)에 제공된다. 안테나(434)는 예를 들어 빔 스티어링 양방향 적응 안테나 어레이들 또는 다른 유사한 빔 기술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450)에서, 수신기(454)는 안테나(452)를 통해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하며, 캐리어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를 처리한다. 수신기(454)에 의하여 복원된 정보는 각각의 프레임을 파싱(parse)하며 프레임들로부터의 정보를 채널 프로세서(494)에 제공하며 수신 프로세서(470)에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제공하는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460)에 제공된다. 다음으로, 수신 프로세서(470)는 노드 B(410)의 송신 프로세서(420)에 의하여 수행되는 프로세싱의 역(inverse)을 수행한다. 특히, 수신 프로세서(470)는 심볼들을 디스크램블링 및 역확산하며, 다음으로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노드 B(410)에 의하여 송신되는 가장 가능한 신호 성상도 점(point)들을 결정한다. 이들 소프트 결정들은 채널 프로세서(494)에 의해 계산된 채널 추정치들에 기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소프트 결정들은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복원하기 위하여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된다. 다음으로, CRC 코드들은 프레임들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검사된다. 다음으로,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하여 반송(carry)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싱크(472)에 제공될 것이며, 데이터 싱크(472)는 UE(450)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을 나타낸다.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하여 반송되는 제어 신호들은 제어기/프로세서(490)에 제공될 것이다. 프레임들이 수신기 프로세서(470)에 의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을 때, 제어기/프로세서(490)는 또한 이들 프레임들에 대한 재송신 요청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확인응답(ACK) 및/또는 부정 확인응답(NACK)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업링크에서, 데이터 소스(478)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490)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은 송신 프로세서(480)에 제공된다. 데이터 소스(478)는 UE(450)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 및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키보드)를 나타낼 수 있다. 노드 B(410)에 의한 다운링크 송신과 관련하여 기술된 기능과 유사하게, 송신 프로세서(480)는 CRC 코드들, FEC를 가능하게 하는 코딩 및 인터리빙, 신호 성상도들에의 매핑, OVSF들을 사용한 확산, 및 일련의 심볼들을 할당하기 위한 스크램블링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제공한다. 노드 B(410)에 의해 송신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또는 노드 B(410)에 의해 제공되는 피드백으로부터 채널 프로세서(494)에 의해 유도되는 채널 추정치들은 적절한 코딩, 변조, 확산 및/또는 스크램블링 방식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480)에 의하여 발생되는 심볼들은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기 위하여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482)에 제공될 것이다.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482)는 제어기/프로세서(490)로부터의 정보와 심볼들을 멀티플렉싱하여 이러한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여, 일련의 프레임을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프레임들은 송신기(456)에 제공되며, 송신기(456)는 안테나(452)를 통한 무선 매체상으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하여 프레임들을 증폭하고, 필터링하고 캐리어상으로 변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컨디셔닝 기능들을 제공한다.
업링크 송신은 UE(450)에서의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기술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노드 B(410)에서 처리된다. 수신기(435)는 안테나(434)를 통해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며, 캐리어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기 위하여 송신을 처리한다. 수신기(435)에 의하여 복원된 정보는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436)에 제공되며,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436)는 각각의 프레임을 파싱하며, 프레임들로부터의 정보를 채널 프로세서(444)에 제공하며 수신 프로세서(438)에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제공한다. 수신 프로세서(438)는 UE(450)의 송신 프로세서(48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싱의 역을 수행한다.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반송되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은 데이터 싱크(439) 및 제어기/프로세서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만일 프레임들 중 일부가 수신 프로세서에 의하여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았다면, 제어기/프로세서(440)는 또한 이들 프레임들에 대한 재송신 요청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ACK 및/또는 NACK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들(444 및 490)은 노드 B(410) 및 UE(450)에서의 동작을 각각 지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프로세서들(440 및 490)은 타이밍,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들, 전압 조절, 전력 관리 및 다른 제어 기능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들(442 및 492)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노드 B(410) 및 UE(450)에 대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노드 B(410)의 스케줄러/프로세서(446)는 UE들에 자원들을 할당하고 UE들에 대한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는 UMTS 다운링크에 대한 초기 개선으로서 3GPP 패밀리 표준들에서 정의된 3G 통신 프로토콜이다. HSDPA에서, 고속 다운링크 공유 채널(HS-DSCH) 이라 불리는 전송 채널이 활용된다. 여기서, HS-DSCH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HS-DPCCH) 및 고속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HS-PDSCH)을 포함하는 물리 채널들에 매핑된다. HS-PDSCH가 다운링크를 통해 실제 데이터를 반송하는 반면에, HS-SCCH는 대응하는 HS-PDSCH 상의 정보에 대한 제어 정보를 UE에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다. HS-DPCCH는 채널 품질 표시자(CQI), 프리코딩 제어 표시자(PCI) 및/또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확인응답 또는 비-확인응답(ACK/NACK)과 같은 피드백 정보를 노드 B에 제공하는 업링크 채널이다. 일반적으로, 피드백 정보는 노드 B에 의해 제공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노드 B에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노드 B는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에 따라 다운링크 채널을 통한 송신들에 적응할 수 있다.
듀얼 셀 또는 듀얼 채널 HSDPA(DC-HSDPA)는 다운링크상의 캐리어 집합(aggregation)을 활용하는 HSDPA에 대한 추가 개선이다. 즉, DC-HSDPA에서, 노드 B는 본질적으로 다운링크 스루풋을 2배로 하기 위하여 2개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통한 2개의 HS-DSCH 채널들을 UE에 제공할 수 있다. 특정한 바와같이, DC-HSDPA는 단일 섹터로부터 UE에 2개의 HS-DSCH 채널들을 제공하여, 그 UE에 대한 자원들의 스케줄링은 단일 섹터에 통합된다.
UE(334)(도 3 참조)가 2개의 인접 섹터들의 경계에서 HSDPA 서비스를 사용할 때, 이러한 서비스의 스루풋은 서빙 섹터로부터의 섹터간 간섭 또는 낮은 신호 품질로 인하여 종종 제한된다. 인접 섹터로부터의 간섭으로 인해 그리고/또는 서빙 섹터로부터의 약한 신호로 인해, 단말은 단지 매우 제한된 데이터 레이트로 서빙될 수 있다. 따라서, DC-HSDPA 시스템에서, HS-DSCH 채널들 중 하나 또는 둘다의 품질이 저하될때, 섹터는 단순히 다른 섹터로 핸드오버될 수 있으며, 이는 이후에 UE에 듀얼 셀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서, 도 5에 예시된 바와같이, UE가 적어도 특정 시간 기간 동안 다수의 섹터들에 의해 서빙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섹터들(514 및 516) 간의 지리적 중첩을 가지는 것이 이익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에 따른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은 단일 주파수 채널을 통해 다수의 섹터들로부터의 HSDPA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섹터들을 활용하는 셋업은 단일 주파수 듀얼 셀 HSDPA(SFDC-HSDPA)로서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용어가 자유롭게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섹터 경계들에 있는 사용자들 뿐만아니라 전체 시스템은 높은 스루풋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이한 섹터들은 동일한 노드 B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섹터들은 상이한 노드 B들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양상에 따른 SFDC-HSDPA 시스템을 예시하는 개념 다이어그램이다. 도 5에 예시된 방식으로, 2개의 노드 B들(502 및 504) 각각은 각각 다운링크 채널(506 및 508)을 제공하며, 여기서 다운링크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를 가진다. 물론,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다른 양상에서, 다운링크 캐리어들(506 및 508) 모두는 동일한 노드 B의 상이한 섹터들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UE(510)는 다운링크 채널들을 수신하고 업링크 채널(512)을 제공하며, 업링크 채널(512)은 노드 B들(502 및 504) 모두에 의해 수신된다. UE(510)로부터의 업링크 채널(512)은 예를 들어 대응하는 다운링크 채널들(506 및 508)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서, 섹터들 각각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CQI 및 PCI와 같은 피드백 정보는, 하나 이상의 노드 B 스케줄러들이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를 통해 2개의 상이한 섹터들에 의해 제공되는 다운링크 채널들(506 및 508)의 채널 상태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단일 업링크 채널(512)(예를 들어, HS-DPCCH)를 통해 UE(510)에 의해 각각의 노드 B에(예를 들어, 노드 B가 섹터들 각각에 대응할 때 하나의 노드 B에, 또는 섹터들이 상이한 개별 노드 B들에 의하여 제공될 때 다수의 노드 B들에) 주기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즉, UE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 신호(512)는 소프트 핸드오프와 일부 방법에 있어서 유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노드 B들(502 및 504)에서) 양(both) 섹터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이한 다운링크 채널들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는 시간 멀티플렉싱되거나 또는 코드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정보가 코드 멀티플렉싱될때, 피드백 정보는 예를 들어 개별 섹터들에 대응하는 UE 특정 채널화 코드들로 변조될 수 있다. 따라서, 섹터들 각각에 의해 수신되는, 업링크(예를 들어, HS-DPCCH)상의 피드백 신호들은 노드 B 수신기에서 소프트 결합될 수 있어서 업링크 보고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수의 다운링크 채널들(506 및 598)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가 코드 멀티플렉싱될때, 상이한 채널화 코드들은 피드백 정보가 관련되는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에 대하여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업링크 주파수 채널을 통해 다수의 다운링크 채널들에 대한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양상에서, 피드백 정보에 대하여 활용되는 채널화 코드들은 상이한 피드백 심볼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심볼-정렬될 수 있다. 즉, 피드백 심볼들이 멀티-코드 송신들을 활용할 때 서로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하기 위하여, 채널화 코드들은 심볼-정렬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서, 스크램블링 코드들은 서로 동기되지 않을수도 있다. 즉, 다수의 채널화 코드들 간의 동기화 또는 정렬은 다양한 구현들을 위해 필요치 않다. 그러나, 동기화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간섭 및 프로세싱 자원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다운링크로 송신되는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들과 업링크의 ACK/NACK 보고들의 매칭에서 임의의 모호성(ambiguity)이 감소되거나 또는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업링크 HS-DPCCH를 통한 CQI 보고에 대하여,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이 서브-프레임 동기화를 활용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서, 다수의 다운링크 채널들에 대응하는 단일 업링크 캐리어를 통한 피드백은 다운링크 채널들 각각에 대한 원하는 피드백을 인코딩하는 적절한 채널화 코드를 선택하기 위한 코드북을 활용하여 공동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즉, 코드북으로부터 선택된 단일 피드백 심볼은 다수의 다운링크 채널들에 대한 HARQ ACK/NACK 피드백을 인코딩하기 위한 채널화 코드로서 활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 양상은 다운링크 송신들에 대한 HS-PDSCH들의 서브-프레임 동기화를 제공한다. 비록 유익할지라도, 서브-프레임 레벨에서 HS-PDSCH 채널들의 동기화는 의무적이지 않다. 즉, HS-PDSCH들의 서브-프레임 동기화 없이 SFDC-HSDPA를 구현하기 위한 대안 방법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서브-프레임 동기화가 없다면, 특정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S-DPCCH 및 비동기 HS-PDSCH TTI들을 통한 공동 ACK/NACK 보고들 간의 매칭은 추가 프로세싱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게다가, HS-DPCCH를 통한 ACK/NACK 피드백 및 HS-PDSCH의 송신 간의 긴 지연으로 인하여 더 많은 HARQ 인스턴스들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섹터들에 대한 개별 HS-PDSCH TTI들 및 HS-DPCCH를 통한 CQI 보고들 사이에 다른 오프셋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서, 피드백 정보는 반드시 단일 업링크 캐리어 주파수를 통해 제공될 필요가 없다. 즉, 비록 단일 업링크 캐리어 주파수의 활용이 비용을 감소시킬지라도, 단지 단일 송신기 및 안테나를 필요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구현들은 다수의 업링크 캐리어 주파수들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일례에서, UE(450)는 2개 이상의 송신기(456),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482) 및/또는 송신 프로세서(480) 뿐만아니라 2개 이상의 안테나(45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례에서, SFDC-HSDPA를 수신하는 UE는 2개의 상이한 업링크 캐리어 주파수들상에서 2개의 다운링크 채널들(506 및 508)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업링크 캐리어 주파수들 중 하나의 주파수는 다운링크 송신을 제공하는 섹터들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는 반면에, 제 2 업링크 캐리어 주파수는 다운링크 송신을 제공하는 제 2 섹터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하는 피드백 심볼들이 심볼 정렬되게 하는데 이용되는 임의의 스크램블링 코드들에 대한 동기부여(motivation)는 적은편이며, 이는 심볼들은 그들이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을 통해 전송됨으로 인해 이미 직교하기 때문이다. 당업자는 이러한 일-대-일(one-to-one) 대응이 예로서 단지 여기에서 제공되고 업링크 주파수 채널들의 각각이 상이한 시간들에 다운링크 송신들의 둘 다에 대응하는 것 등과 같은 많은 다른 적절한 구현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SFDC-HSDPA 시스템에 대한 제어 채널 시그널링의 일 양상에서, 다운링크 채널을 제공하는 각각의 섹터로부터, UE는 UE가 스케줄링될때 섹터당 하나 이상의 HS-SCCH을 통해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서, 하나 이상의 HS-SCCH는 양 섹터들로부터 스케줄링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마스터 섹터인 것으로 고려되는 섹터상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HS-PDSCH 송신과 관련하여, 섹터들 간의 프레임들의 동기가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UE가 양 섹터들상에서 동시에 스케줄링될 때, UE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HS-PDSCH간 간섭 제거(또한, 셀간 간섭 제거로서 지칭됨)를 적용할 수 있어, 이들 섹터-경계 사용자들에 대한 스루풋 및 전체 시스템 스루풋을 추가로 개선시킨다. 당업자는 인접 섹터들로부터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는, HS-PDSCH간 간섭 제거의 개념에 익숙할 것이다. 즉, 상이한 확산 코드들을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상이한 섹터들로부터의 송신들이 비-직교이기 때문에, 하나의 섹터로부터의 신호는 다른 섹터로부터의 신호를 청취할때 잡음과 유사하게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신호는 사실상 단순히 잡음이 아니고, UE와 같은 수신기는 확산 코드들과 같은 신호가 활용된다는 등에 관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는 다른 섹터로부터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HS-PDSCH 간의 간섭 제거를 활용할 수 있다. 게다가, UE는 채널 상태에 관한 결과적인 피드백(예를 들어, CQI)을 결정할 때 섹터 간 간섭 제거로부터의 개선들을 취할 수 있다. 즉, 업링크 송신상에서 제공되는 CQI에 반영된 채널 품질은 HS-PDSCH간 간섭 제거에 의존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및 2차 섹터는 동적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1차 섹터에 대한 개별 HS-DPCCH상의 피드백 정보는 간섭 제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예를 들어, UE가 단지 단일 섹터상에서 스케줄링될때) 조차 이러한 피드백이 정확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2차 섹터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는 UE가 양 섹터들상에서 실제로 스케줄링되는 경우에만 정확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어 채널 시그널링의 추가 최적화는 종래의 선형 수신기들에 패널티를 가지지 않고 간섭 제거 기술들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당업자는 SFDC-HSDPA의 특정 양상들이 소프트-핸드오버와 유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즉, 사용자는 듀얼 섹터들로부터의 다운링크 정보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신할 수 있어서 스루풋 및 신뢰성 모두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반면에, 특정 업링크 송신들은 듀얼 섹터들 각각에 제공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2개의 섹터들의 경계에 있을 때, 예를 들어 섹터간 간섭으로부터 유발되는 예상된 좋지 못한 성능이 감소되거나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즉, 만일 사용자가 제 1 섹터에 의해 서빙되고 제 2 섹터가 개선되면, 서빙 섹터는 사용자가 양호하게 적응된 섹터에 의하여 서빙될 수 있도록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섹터들에 대응하는 영역들이 서로 중첩하거나 또는 접촉하는 특정한 지리적 위치에서, 어느 섹터가 양호한지를 결정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으며, 추가로 섹터가 양호하다는 지정은 가장자리(border)에서 시간에 대하여 빠르게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양 섹터들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사용자는 경계 영역에서 양호하게 서빙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양상에 따라 SFDC-HSDPA를 활용하는 프로세스(600)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예시적인 프로세스에서, 블록(610)에서는 제 1 섹터로부터 제 1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가 제공되며, 블록(620)에서는 제 2 섹터로부터 제 2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 1 다운링크 채널 및 제 2 다운링크 채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일례에서, 도 4에 예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다운링크 채널은 개별 노드 B(410)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430), 송신 프로세서(420) 및 제어기/프로세서(440)의 영향 하에서 송신기(432)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같이, 개별 다운링크 채널들은 단일 노드 B(410)의 다수의 섹터들에 의해 또는 개별 노드 B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블록(630)에서는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가 제 1 섹터에서 수신되며, 블록(640)에서는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가 제 2 섹터에서 수신된다. 일례에서, 도 4에 예시된 바와같이, 피드백 정보는 수신기(435)에 의해 수신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436), 수신 프로세서(438), 채널 프로세서(444) 및/또는 제어기/프로세서(440) 중 하나 이상에 송신되고 그리고 이들에 의해 처리된다. 블록(650)에서는 제 1 다운링크 채널을 통한 송신들이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에 따라 적응되며, 블록(660)에서는 제 2 다운링크 채널을 통한 송신들이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에 따라 적응된다. 도 4를 한번 더 참조하면, 제어기/프로세서(440)는 송신 프로세서(420),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430) 및/또는 송신기(432)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송신들을 적응시키도록 수신되는 피드백 정보에 따라 기능을 할 수 있다.
원격통신 시스템의 여러 양상들은 W-CDMA 시스템을 참조로 제시되었다. 당업자가 인식하는 바와같이,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기술된 다양한 양상들은 다른 원격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로 확장될 수 있다.
예로서, 다양한 양상들은 TD-SCDMA,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 고속 패킷 액세스 플러스(HSPA+) 및 TD CDMA와 같은 다른 UMTS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은 또한 롱 텀 에벌루션(LTE)(FDD, TDD 또는 이들 양 모드들에서), LTE-어스밴스드(LTE-A)(FDD, TDD, 또는 이들 양 모드들에서), CDMA2000, 에벌루션-데이터 최적화(EV-DO), 울트라 모바일 광대역(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울트라 광대역(UWB), 블루투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시스템들을 사용하는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 있다. 사용되는 실제 원격통신 표준,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또는 통신 표준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에 부여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의존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PLD)들, 상태 머신들, 게이트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기술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절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등으로 지칭되던지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킷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객체들, 실행가능물들, 실행 스레드들,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될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예로서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 디스크(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가능 ROM(PROM), 소거가능 PROM(E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EEPROM), 레지스터, 휴대용 디스크,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및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또한 예로서 캐리어파, 송신 라인,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및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송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싱 시스템내에 상주하거나, 프로세싱 시스템 외부에 상주하거나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엔티티들에 걸쳐 분배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에 내장될 수 있다. 예로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재료들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여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기술된 기능을 최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인식할 것이다.
개시된 방법들에서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 예시적 프로세스들의 예시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초하여, 방법들에서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첨부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시하며, 여기에서 특별하게 인용되지 않는 한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미되지 않는다.
이전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여기에 기술된 다양한 양상들을 실시하도록 제공된다. 이들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서 정의된 일반적 원리들은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여기에서 제시된 양상들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나, 청구항들의 언어와 일치하는 최대 범위를 따르며, 여기서 단수 엘리먼트는 그렇게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은 한 "하나 및 단지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오히려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달리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은한, 용어 "일부"는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아이템들의 리스트의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는 구는 단수 부재들을 포함하는 이들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예로서, "a, b 또는 c의 적어도 하나"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및 a, b,및 c를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당업자에게 공지되거나 또는 이후에 공지될,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들은 여기에 참조로 명백하게 통합되고 청구항들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어떠한 것도 이러한 개시내용이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인용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공중에 전용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위한 수단" 문구를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엘리먼트가 언급되거나, 방법 청구항의 경우에, "~위한 단계" 문구를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엘리먼트가 언급되지 않는 한, 어떠한 청구범위의 엘리먼트도 35 U.S.C. §112, 6번째 문단의 조문에 따라 해석되지 않는다.

Claims (40)

  1.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섹터로부터 제 1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제 2 섹터로부터 제 2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은 각각 제 1 캐리어 주파수상에서 반송(carry)됨 ?;
    상기 제 1 섹터에서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섹터에서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제 1 업링크 캐리어 주파수 상에서 각각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 1 업링크 캐리어 주파수상에서 업링크 채널에 대해 공동으로(jointly) 인코딩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다운링크 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고속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다운링크 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CQI 또는 PC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상의 송신들을 적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상의 송신들을 적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속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은 상기 제 1 및 제 2 섹터들 각각에 대한 업링크상에 활용되며, 개별 섹터들 각각에서 상기 제어 채널의 서브-프레임 타이밍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비동기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섹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채널들을 통해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섹터는 마스터 섹터이며, 상기 마스터 섹터는 상기 마스터 섹터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섹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터로부터의 간섭은 셀간 간섭 제거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 2 섹터로부터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을 청취할 때 감소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위한 방법.
  11.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제 1 섹터로부터 제 1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제 2 섹터로부터 제 2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은 제 1 캐리어 주파수상에서 반송(carry)됨 ?;
    상기 제 1 섹터에서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제 2 섹터에서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제 1 업링크 캐리어 주파수상에서 각각 제공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 1 업링크 캐리어 주파수상에서 업링크 채널에 대해 공동으로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다운링크 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고속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다운링크 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CQI 또는 PC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상의 송신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상의 송신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7. 제 1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속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은 상기 제 1 및 제 2 섹터들 각각에 대한 업링크상에서 활용되며, 개별 섹터들 각각에서 상기 제어 채널의 서브-프레임 타이밍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비동기인,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섹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채널들을 통해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섹터는 마스터 섹터이며, 상기 마스터 섹터는 상기 마스터 섹터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섹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터로부터의 간섭은 셀간 간섭 제거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 2 섹터로부터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을 청취할 때 감소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1.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섹터로부터 제 1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제 2 섹터로부터 제 2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며 ?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은 제 1 캐리어 주파수상에서 반송(carry)됨 ?;
    상기 제 1 섹터에서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제 2 섹터에서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제 1 업링크 캐리어 주파수상에서 각각 제공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 1 업링크 캐리어 주파수상에서 업링크 채널에 대해 공동으로 인코딩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다운링크 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고속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다운링크 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CQI 또는 PC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장치.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상의 송신들을 적응시키며; 그리고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상의 송신들을 적응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장치.
  27. 제 2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속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은 상기 제 1 및 제 2 섹터들 각각에 대한 업링크상에 활용되며, 개별 섹터들 각각에서 상기 제어 채널의 서브-프레임 타이밍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비동기인,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장치.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섹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채널들을 통해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섹터는 마스터 섹터이며, 상기 마스터 섹터는 상기 마스터 섹터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섹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제공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장치.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터로부터의 간섭은 셀간 간섭 제거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 2 섹터로부터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을 청취할 때 감소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장치.
  3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로서,
    제 1 섹터로부터 제 1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제 2 섹터로부터 제 2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은 제 1 캐리어 주파수상에서 반송(carry)됨 ?;
    상기 제 1 섹터에서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섹터에서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제 1 업링크 캐리어 주파수상에서 각각 제공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 1 업링크 캐리어 주파수상에서 업링크 채널에 대해 공동으로 인코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다운링크 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고속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다운링크 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CQI 또는 PC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상의 송신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상의 송신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37. 제 3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속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은 상기 제 1 및 제 2 섹터들 각각에 대한 업링크상에서 활용되며, 개별 섹터들 각각에서 상기 제어 채널의 서브-프레임 타이밍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비동기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섹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채널들을 통해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1 다운링크 채널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섹터는 마스터 섹터이며, 상기 마스터 섹터는 상기 마스터 섹터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섹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위한 방법.
  40.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터로부터의 간섭은 셀간 간섭 제거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 2 섹터로부터 상기 제 2 다운링크 채널을 청취할 때 감소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KR1020127014692A 2009-11-09 2010-11-09 싱글 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06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951009P 2009-11-09 2009-11-09
US61/259,510 2009-11-09
US12/941,781 US8867494B2 (en) 2009-11-09 2010-11-08 System and method for single frequency dual cell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US12/941,781 2010-11-08
PCT/US2010/056080 WO2011057296A2 (en) 2009-11-09 2010-11-09 System and method for single frequency dual cell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697A Division KR20140053411A (ko) 2009-11-09 2010-11-09 싱글 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318A true KR20120091318A (ko) 2012-08-17
KR101506974B1 KR101506974B1 (ko) 2015-03-31

Family

ID=438381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692A KR101506974B1 (ko) 2009-11-09 2010-11-09 싱글 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147009697A KR20140053411A (ko) 2009-11-09 2010-11-09 싱글 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697A KR20140053411A (ko) 2009-11-09 2010-11-09 싱글 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867494B2 (ko)
EP (2) EP3447950B1 (ko)
JP (1) JP5629780B2 (ko)
KR (2) KR101506974B1 (ko)
CN (2) CN102598571A (ko)
BR (1) BR112012010765B1 (ko)
CA (1) CA2778642C (ko)
HK (1) HK1247449A1 (ko)
MY (1) MY161477A (ko)
RU (1) RU2527209C2 (ko)
TW (1) TW201141170A (ko)
WO (1) WO201105729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4097B2 (en) 2009-06-04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for down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336193A1 (en) * 2012-06-19 2013-12-19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information for assisting user equipment
BR112012020260A2 (pt) * 2010-02-12 2016-05-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envio de realimentação para múltiplas portadoras de link de recepção
US9191867B2 (en) * 2010-09-09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switching between DC-HSDPA and SFDC-HSDPA
JP5653529B2 (ja) * 2011-09-29 2015-01-14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CN103036637B (zh) * 2011-09-30 2017-04-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激活多流传输的ue发送hs‑dpcch的方法及ue
US20130208706A1 (en) * 2011-10-04 2013-08-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ctor Based HS-DPCCH Transmission for Multi-flow HSDPA Transmissions
US20130088978A1 (en) * 2011-10-07 2013-04-11 Nokia Siemens Networks Oy Joint Encoding of Rank and CQI Feedback For Comp
BR112014011040B1 (pt) 2011-11-07 2023-03-28 Motorola Mobility Llc Método e aparelho para retorno de csi para esquemas de processamento conjunto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de multiplexação com divisão de frequência ortogonal com transmissão de ponto múltiplo coordenado
CN103391526A (zh) * 2012-05-10 2013-11-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边界确定方法、指示信息发送方法及其装置
US9882623B2 (en) * 2014-09-18 2018-01-30 Qualcomm Incorporated Dual thread feedback design for non-orthogonal channels
US10117120B2 (en) 2014-10-28 2018-10-30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feedback for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systems
JP6380071B2 (ja) 2014-12-11 2018-08-29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無線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80359011A1 (en) * 2017-06-13 2018-12-13 Intel IP Corporation Collaborative beamforming and scheduling in a wireles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37414A (en) 1998-05-14 1999-11-17 Fujitsu Ltd Soft handoff in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s
CN101137241B (zh) * 2002-04-05 2012-04-25 美商内数位科技公司 促进高速下行链路共享信道小区改变的用户设备和方法
US20040116122A1 (en) * 2002-09-20 2004-06-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Enhancing reception using intercellular interference cancellation
TWI342686B (en) * 2002-12-04 2011-05-21 Interdigital Tech Corp Reliability detect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and application to outer loop power control
US7218948B2 (en) * 2003-02-24 2007-05-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transmitting pilot tones in a multi-sector cell, including null pilot tones, for genera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s
KR100547878B1 (ko) 2003-06-23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이동통신시스템에서 효과적인 소프트 핸드오버를 수행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RU2262198C1 (ru) * 2004-05-18 2005-10-10 Гармонов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8331377B2 (en) 2004-05-05 2012-12-11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ed forward link schedulers for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US7738423B2 (en) * 2004-07-09 2010-06-15 Alcatel-Lucent Usa Inc. Cell switching and packet combin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50247B2 (en) * 2004-08-11 2014-06-10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device, and control device
WO2006034792A2 (en) 2004-09-27 2006-04-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rivation of optimal antenna weights during soft handover
US7319868B2 (en) 2004-09-27 2008-01-15 Telefon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rivation of optimal antenna weights during soft handover
DE602004025524D1 (de) * 2004-12-17 2010-03-25 Ericsson Telefon Ab L M Leistungsreserve für schnellen abwärtsstrecken-paketzugang
CN1969475B (zh) 2005-03-25 2012-07-04 桥扬科技有限公司 用于蜂窝广播和通信系统的方法和设备
JP4973948B2 (ja) 2005-07-06 2012-07-11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を使用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と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JP4993387B2 (ja) 2005-09-21 2012-08-0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結合されたデータレート制御ロックチャンネルをイネーブルする方法
KR100866225B1 (ko) * 2005-10-05 2008-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을 위한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WO2007091482A1 (ja) 2006-02-06 2007-08-16 Nec Corporation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制御装置、移動機及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765892B1 (ko) 2006-08-30 2007-10-1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간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US7986718B2 (en) * 2006-09-15 2011-07-26 Itron, Inc. Discovery phase in a frequency hopping network
JP2008098847A (ja) 2006-10-10 2008-04-24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JP4952240B2 (ja) * 2006-12-27 2012-06-1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基地制御局、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らに用いる優先セル選択方法
CN101159462A (zh) 2007-11-01 2008-04-09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多天线多小区系统中的有限反馈预编码干扰抑制方法
KR100936696B1 (ko) 2007-11-16 2010-01-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대역 분산적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US8457066B2 (en) 2008-03-21 2013-06-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feedback signaling
US8477734B2 (en) * 2008-03-25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Reporting of ACK and CQI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062177A (ko) * 2008-04-25 2014-05-22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셀 재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8208936B2 (en) * 2008-09-04 2012-06-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ell-edge data throughpu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411A (ko) 2014-05-07
US20110110239A1 (en) 2011-05-12
EP3447950A1 (en) 2019-02-27
EP3447950B1 (en) 2020-04-15
BR112012010765B1 (pt) 2021-02-17
WO2011057296A3 (en) 2011-06-30
CN107968675A (zh) 2018-04-27
WO2011057296A2 (en) 2011-05-12
JP5629780B2 (ja) 2014-11-26
RU2527209C2 (ru) 2014-08-27
MY161477A (en) 2017-04-14
JP2013510520A (ja) 2013-03-21
EP2499768B1 (en) 2018-10-03
US8867494B2 (en) 2014-10-21
HK1247449A1 (zh) 2018-09-21
KR101506974B1 (ko) 2015-03-31
CA2778642A1 (en) 2011-05-12
CN102598571A (zh) 2012-07-18
EP2499768A2 (en) 2012-09-19
CA2778642C (en) 2016-06-07
TW201141170A (en) 2011-11-16
RU2012124061A (ru) 2013-12-20
BR112012010765A2 (pt)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974B1 (ko) 싱글 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44748A (ko) Dsds 시나리오들에서의 데이터 스루풋 최적화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WO2016069193A1 (en) Transmitting data through partially available time slots
US20150280880A1 (en) Manag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buffer
US9137812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ing performance in multi-flow communication
KR20160048855A (ko) 사용자 장비에서 업링크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13769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inuous inter-frequency measurement reconfigurations of DC-HSUPA UE
US20130223239A1 (en) Irat measurement method when in td-scdma connected mode
US20120039261A1 (en) CQI Reporting of TD-SCDMA Multiple USIM Mobile Terminal During HSDPA Operation
US9271203B2 (en) Alternate transmission scheme for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US20160119917A1 (en) Scheduling downlink time slots in a high speed data network
EP27454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precoder information at the ue in closed loop transmit diversity
US20150327100A1 (en) Idle interval and dedicated channel measurement occasion configurations
US20130329575A1 (en) Channel quality reporting
US8718017B2 (en) Confirmation of base station identification to improve handover
US20140086076A1 (en) Idle time slot allocation for irat measurement in td-hsdp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411

Effective date: 201502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