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288A - 노천 광산의 개선된 경사면 - Google Patents

노천 광산의 개선된 경사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288A
KR20120091288A KR1020127014476A KR20127014476A KR20120091288A KR 20120091288 A KR20120091288 A KR 20120091288A KR 1020127014476 A KR1020127014476 A KR 1020127014476A KR 20127014476 A KR20127014476 A KR 20127014476A KR 20120091288 A KR20120091288 A KR 20120091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ehole
reinforcement
batter
depth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하일레
Original Assignee
비에이치피 빌리톤 에스에스엠 디벨롭먼트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9905382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9905382A0/en
Application filed by 비에이치피 빌리톤 에스에스엠 디벨롭먼트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비에이치피 빌리톤 에스에스엠 디벨롭먼트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2009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41/00Methods of underground or surface mining; Layouts therefor
    • E21C41/26Methods of surface mining; Layout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노천 광산(open cup min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천 광산의 개선된 경사면(slope)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경사면은, 그 정상(crest)으로부터 이격된 복수의 보강재(reinforcing members)(10)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수직인(substantially vertical) 배터면(batter face)(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노천 광산의 개선된 경사면{Improved slope of an open cut mine}
본 발명은 노천 광산(open cut mine)의 개선된 경사면(slope) 및 노천 광산에 강화된 암반 경사면(reinforced rock slope)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노천 광산에 적용되도록 개발되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특정한 경우에 적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채석장(quarry)과 같이, 노천 채굴 환경(open excavation environment)에 있어서 다른 적용예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광산에서만 이용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
채굴 회사(mining company)들은 지면(ground)으로부터 광물(ore)을 추출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며, 노천 광산(open cut mine)은 원료(material)의 실질적인 부피(substantial volume)의 제거(removal)를 위해 요구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원료의 채굴(excavation)은 바닥(floor)을 가지는 갱도(pit)와 바닥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extending up) 경사면(slope)을 개발한다. 상기한 경사면은, 배터(batter)들을 이격하는(spacing) 평지(berms)를 가지는 일련의 배터(series of batters)로 구성되고, 낙석방지체(rockfall catchment) 또는 갱도 바닥(pit floor)에 접근하는(accessing) 채광 운송(mining traffic)을 위한 경사로(ramp)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경사면의 각도는, 폐기물(waste material)의 추출을 최소화하고 광물의 추출은 최대화하는 가능성(potential)을 가지도록, 최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는 일반적으로, 암반(rock)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연적으로 안정적인(naturally stable) 각도로 채굴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70°보다 크지 않고, 일반적으로, 50 °내지 70°의 범위이다. 배터의 상단(top)의 평지(berms)는 경사로로서 기능하며, 또는, 환기 설비(vent stack) 또는 펌프 설비(pumping stations)와 같은, 다른 주요 광산 시설(critical mine infrastructure)을 수용하고(accommodating), 추가적인 부하(load)나 위험(risk)을 위해 각도를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0° 이외의 각도는 일반적으로 비효율적인 결과를 야기할 것임이 인정되어야 한다. 배터가 채광되는 광석에 형성되면, 90°보다 작은 배터는 평지(berms) 위에 남아있는 채로 유지되는 결과를 야기할 것이다. 배터가 폐기물에 형성되면, 90°보다 작은 배터는, 특히, 광물을 적재하는(deposit) 구역의 외부에서, 불필요하게 제거되는 폐기물을 야기할 것이다. 이러한 비효율성에도 불구하고, 노천 광산은 여전히 자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70°보다 작은 각도로 배터면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노천 광산의 안전 문제는 배터의 표면으로부터 평지 아래의 운송 또는 인부(personal) 위로 낙석에 관한 것이다. 이는, 배터가 90°보다 작으면 배터면에서 암석이 튕겨나와(bounce off) 평지(berms) 상의 배터의 끝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또는, 평지를 지나쳐 광산의 더 아래쪽 작업 구역으로 들어가는 것과 같이, 악화된다. 약 60°의 각도의 배터로, 일반적으로 배터의 끝으로부터 2m 내지 9m 사이에서 낙석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졌으나 이를 초과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평지(berms)는 약 10m인 것이 널리 통용된다.
상기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배경(context)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본 명세서에 포함되었다. 종래 기술 기반의 일부를 형성하고 또는 본 발명의 우선일 이전에 호주에 존재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상식적인 이러한 사항들을 제안하거나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노천 갱도(open pit)" 및 노천(open cut)이라는 용어는 상호 교체 가능하게(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노천 광산(open cut mine)의 개선된 경사면(slope)에 있어서, 각각 그 끝(toe)으로부터 연장하는(extending) 평지(berm)를 가지는 복수의 배터(batters); 및 상기 배터면의 굴착 전에 상기 정상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강수단(reinforcing means)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는, 각각 실질적으로 수직이며(substantially vertical) 상기 끝으로부터 상기 배터의 정상(crest)까지 연장하는 굴착된(excavated) 배터면(batter face)을 가지며,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정상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실질적으로 수직인 시추공(borehole)에 각각 위치되는 복수의 보강재(reinforcing members)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시추공은, 적어도 상기 정상과 상기 끝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깊이로 연장하며, 각각의 상기 보강재는, 실질적으로 상기 시추공의 깊이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경사면이 제공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시추공의 깊이는 상기 정상과 상기 끝 사이의 거리의 15%를 초과하는(exceed)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시추공은 인접하는 시추공과 1000mm 내지 5000mm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각의 보강재(reinforcing menber)는 20mm 내지 100mm의 직경을 가지는 바(bar) 또는 케이블(cabl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 또는 케이블은 강철(steel)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선택적으로, 각각의 보강재는 유리섬유(fiberglass)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재는 상기 시추공 내의 위치에 그라우트되는(grouted)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재의 길이는 상기 시추공의 깊이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보강재는 복수의 시추공 사이에 연장하는 안전펜스(safty fence)와 연동하도록(interact) 상기 시추공의 외부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보강재의 길이는 상기 보강재가 상기 시추공의 구멍을 카운터싱크(countersink) 하도록 상기 시추공의 길이보다 작다.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은 75° 내지 9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시추공은 상기 정상으로부터 800mm 이상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노천 광산(open cup mine)의 강화된 암반 경사면(reinfoeced rock slope)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추공 깊이(borehole depth)까지 복수의 수직 시추공을 드릴링하는(drilling) 단계; 실질적으로 시추공 깊이의 길이의 보강재를 각 시추공에 위치하는(locating) 단계; 상기 시추공에 보강 바(reinforcing bar)를 그라우팅하는(grouting) 단계; 상기 시추공으로부터 이격된 배터의 정상을 위치하는(locating) 단계; 및 상기 배터에 상기 시추공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면을 굴착하는(excavating)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상으로부터 끝까지의 상기 배터면의 높이는 상기 면에 인접하는 시추공의 깊이보다 크며, 상기 면의 굴착은 상기 보강재가 상기 시추공의 위치에 그라우트 된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각각의 시추공은 300mm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드릴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재는 상기 배터의 정상의 800mm 이상 뒤에 위치하도록 각각의 시추공으로부터 상기 배터의 정상을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각의 시추공은 인접하는 시추공으로부터 1000mm 이상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보강 바의 형성시 400mm 이상의 직경으로 보강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의 상기 면의 높이를 적어도 15% 초과하도록 시추공 깊이를 드릴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강재가 상기 시추공의 구멍을 카운터싱크(countersink) 하도록 상기 시추공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의 보강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면을 굴착하는 방법은 75° 내지 90°의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을 생성하도록 드릴링 및 블래스팅(blasting)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천 광산(open cut mine)의 개선된 경사면(slope)에 있어서, 각각 그 끝(toe)으로부터 연장하는(extending) 평지(berm)를 가지는 복수의 배터(batters); 및 상기 배터면의 굴착 전에 상기 정상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강수단(reinforcing means)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는, 각각 실질적으로 수직이며(substantially vertical) 상기 끝으로부터 상기 배터의 정상(crest)까지 연장하는 굴착된(excavated) 배터면(batter face)을 가지며,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정상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실질적으로 수직인 시추공(borehole)에 각각 위치되는 복수의 보강재(reinforcing members)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시추공은, 적어도 상기 정상과 상기 끝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깊이로 연장하며, 각각의 상기 보강재는, 실질적으로 상기 시추공의 깊이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경사면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천 광산(open cup mine)의 강화된 암반 경사면(reinfoeced rock slope)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추공 깊이(borehole depth)까지 복수의 수직 시추공을 드릴링하는(drilling) 단계; 실질적으로 시추공 깊이의 길이의 보강재를 각 시추공에 위치하는(locating) 단계; 상기 시추공에 보강 바(reinforcing bar)를 그라우팅하는(grouting) 단계; 상기 시추공으로부터 이격된 배터의 정상을 위치하는(locating) 단계; 및 상기 배터에 상기 시추공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면을 굴착하는(excavating)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상으로부터 끝까지의 상기 배터면의 높이는 상기 면에 인접하는 시추공의 깊이보다 크며, 상기 면의 굴착은 상기 보강재가 상기 시추공의 위치에 그라우트 된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상세(particularity) 및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반적인 정의(broad definition)의 보편성(generality)을 대체하지(supersending)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경사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배터의 굴착 전에 개선되지 않은 경사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굴착된 배터를 가지는 개선된 경사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노천 갱도(open cut pit)의 개선된 경사면(2)을 생성하기 위해 굴착된 지면 레벨(natural surface level)(1)을 나타내고 있다. 개선된 경사면(2)은, 수직 배터(vertical batter)(4)에 의해 각각 이격된 복수의 수평 평지(horizontal berm)(3)를 포함한다. 각각의 배터는, 배터의 끝(toe)(6)으로부터 정상(crest)(7)까지 연장하는 면(face)을 가진다. 경사면은 지면 레벨로부터 갱도(pit)의 바닥(floor)(8)까지 연장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굴착 전의 노천 광산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안된 배터(4)의 정상(7)이 선택되고, 정상(7)으로부터 이격된 일련의 시추공(borehole)이 시추공 깊이(borehole depth)로 드릴링된다. 이러한 간격(spacing)은 바람직하게는 800mm 이상이나, 이러한 간격(X)은 단지 선택적이다. 다른 거리의 이격(X)도 명백히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배터가 굴착될 때 시추공이 노출될(exposed) 가능성을 감소하기에 충분하도록 간격(X)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의 면(face)(5)은 정상(7)을 파쇄할(crumble) 수 있는 드릴링 및 블래스팅(blasting) 기술에 의해 노출된다. 따라서 시추공(9)은, 블래스팅시 구멍이 노출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정상으로부터 1500mm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시추공(9)은 300mm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치수는 단지 선택적이다. 시추공(9)의 기능(function)은 보강재(reinforcing member)(10)를 수용하는 것이고, 따라서 시추공(9)의 깊이는 보강재(10)의 특성에 의해 몇 가지의 크기(extent)로 정해진다(dictated) 더욱이, 보강재(10)는 시추공(9) 내의 위치에 그라우트되는(grouted)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시추공(9)의 직경은, 특히, 보강재가 강철 바(steel bar)일 때, 최소 커버 요구(minimum cover requirements)를 만족시키도록 선택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시추공(9)의 직경은 변경될 수 있음에 유념해야 하나, 일반적으로, 직경은 3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시추공(9)은, 바람직하게는, 2000mm 이상 인접하는 시추공으로부터 이격하기 위하여 간격(y)으로 정상 뒤에 드릴링되고, 평지는 주요 광산 시설(critical mine infrastructure)을 지지하지 않는다. 평지가 램프(ramp)로서 기능하거나, 또는, 펌프 설비(pump station)나 환기 샤프트(ventilation shaft)과 같은 주요 광산 시설을 지지하므로, 시추공의 간격은 2000mm 이하가 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각각의 시추공이 인접하는 시추공으로부터 2000 내지 5000mmm 사이의 간격(y)으로 이격된다. 이러한 간격(y)은 특히 보강재(10)에 의해 보강되는 암반 구조(rock structure)의 특성 및 경사면 안정성(slope stability)의 원하는 레벨의 신뢰성(reliability)에 의해 좌우된다. 예를 들면, 암반 구조가 단층(fault), 절리(joint) 또는 파면(fracture)과 같은 다수의 근접하여 이격된 연약한 평면(planes of weakness)을 포함하면, 각각의 인접하는 시추공의 간격(y)은 상대적으로 가까울 것이다. 반대로, 암반 구조가 매우 적은 연약한 평면을 포함하면, 간격(y)은 상대적으로 더 멀어질 것이다. 어느 경우에도, 간격(y)은 지질 조사(geological survey) 및 인접하는 시추공(9) 사이의 변동(variable)에 나타내지는(revealed) 정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시추공(9)에 위치되는 보강재(10)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강재의 바람직한 형태는 강철(steel)로 이루어진 바(bar) 또는 케이블(cable) 이나, 선택적으로, 유리섬유 로드(fiberglass rod)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보강재(10)가 강철 바이면, 바의 직경은 20mm 내지 100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의 직경은 암반의 특성, 시추공의 깊이 및/또는 원하는 레벨의 경사면 안정성의 신뢰도에 따라 선택된다. 상기한 바는 원래 위치에(in situ) 위치되고 그라우트 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보강재(10)는 시추공(9)의 깊이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보강재(10) 및 그라우트는 보강재(10)의 상단(top)이 노출될 가능성을 감소하도록 카운터싱크(countersink)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재(10)의 상단은 정상(7)이 파쇄되면, 즉, 배터면(5)의 블래스팅의 결과로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1000mm 이상으로 카운터싱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보강재(10)가 시추공(9)의 깊이를 초과하는 특정한 경우에 있어서, 이는 보강재(10)가 시추공(9)으로부터 돌출하는(project)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돌출하는 보강재(10)는 임의의 적합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복수의 인접하는 시추공(9) 사이에 연장하는 안전 펜스(safty fence)(11)와 연동하는(interacts)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선택적인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다.
정상(7) 너머의(beyond) 굴착될 원료(material)(12)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굴착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람직한 수단은 배터(4)의 정상(7)에서, 정상 너머로 복수의 추가적인 시추공(13)을 드릴링하는 것을 수반한다. 화물(charges)이 그 후 시추공(13)에 위치될 수 있고, 원료는 이러한 산업에 종사하는 자들에 자명하고 알려진 드릴 및 블래스트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된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평지(3) 아래에 90°로 연장하는 노출된 배터면(5)을 가지는 개선된 경사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면(5)은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5)은 75° 내지 90°의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10)를 포함하는 시추공(9)은 배터면(5)이 정상(7)과 끝(6) 사이의 거리와 적어도 동일한 깊이로 연장한다. 도 3으로부터, 시추공 깊이는 끝을 지나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끝의 15%를 넘어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거리로 보강된 시추공(9)을 연장함으로써 배터의 끝에서 배터의 전단 파괴(shear failure)의 가능성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개선된 경사면(2)이 70°보다 작은 배터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에 관련된 비효율성을 감소하는 것은 상기한 내용으로부터 명백하다 할 것이다. 아울러, 이는 낙석이 발생하는 끝으로부터의 거리를 감소하고, 더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더욱이, 배터면(5)을 굴착하기 전에 배터(4)를 보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안전한 작업이 고려될 수 있다.
다양한 변경, 수정 및/또는 추가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규정된 의도(spirit) 또는 범위(ambit)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노천 광산(open cut mine)의 개선된 경사면(slope)에 있어서,
    각각 끝(toe)으로부터 연장하는(extending) 평지(berm)를 가지는 복수의 배터(batters); 및
    상기 배터면의 굴착 전에 상기 정상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강수단(reinforcing means)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는, 각각 실질적으로 수직이며(substantially vertical) 상기 끝으로부터 상기 배터의 정상(crest)까지 연장하는 굴착된(excavated) 배터면(batter face)을 가지며,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정상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실질적으로 수직인 시추공(borehole)에 각각 위치되는 복수의 보강재(reinforcing members)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시추공은, 적어도 상기 정상과 상기 끝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깊이로 연장하며,
    각각의 상기 보강재는, 실질적으로 상기 시추공의 깊이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경사면.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시추공의 깊이는 상기 정상과 상기 끝 사이의 거리의 15%를 초과하는(exce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경사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시추공은 인접하는 시추공과 1000mm 내지 5000mm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경사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보강재는 20mm 내지 100mm의 직경을 가지는 바(bar) 또는 케이블(cab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경사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 또는 케이블은 강철(steel)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경사면.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보강재는 유리섬유(fiberglass)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경사면.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시추공 내의 위치에 그라우트되는(grout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경사면.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길이는 상기 시추공의 깊이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경사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복수의 시추공 사이에 연장하는 안전펜스(safty fence)와 연동하도록(interact) 상기 시추공의 외부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경사면.
  10.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길이는 상기 보강재가 상기 시추공의 구멍을 카운터싱크(countersink) 하도록 상기 시추공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경사면.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은 75° 내지 90°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경사면.
  12. 제 1항 내지 제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시추공은 상기 정상으로부터 800mm 이상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경사면.
  13. 노천 광산(open cup mine)의 강화된 암반 경사면(reinfoeced rock slope)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추공 깊이(borehole depth)까지 복수의 수직 시추공을 드릴링하는(drilling) 단계;
    실질적으로 시추공 깊이의 길이의 보강재를 각 시추공에 위치하는(locating) 단계;
    상기 시추공에 보강 바(reinforcing bar)를 그라우팅하는(grouting) 단계;
    상기 시추공으로부터 이격된 배터의 정상을 위치하는(locating) 단계; 및
    상기 배터에 상기 시추공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면을 굴착하는(excavating)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상으로부터 끝까지의 상기 배터면의 높이는 상기 면에 인접하는 시추공의 깊이보다 크며,
    상기 면의 굴착은 상기 보강재가 상기 시추공의 위치에 그라우트 된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시추공이 300mm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드릴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가 상기 배터의 정상의 800mm 이상 뒤에 위치하도록 각각의 시추공으로부터 상기 배터의 정상을 이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3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시추공을 인접하는 시추공으로부터 1000mm 이상 이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3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 바의 형성시 400mm 이상의 직경으로 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3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의 상기 면의 높이를 적어도 15% 초과하도록 시추공 깊이를 드릴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3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가 상기 시추공의 구멍을 카운터싱크(countersink) 하도록 상기 시추공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의 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3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을 굴착하는 방법은 75° 내지 90°의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을 생성하도록 드릴링 및 블래스팅(blasting)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7014476A 2009-11-04 2010-11-04 노천 광산의 개선된 경사면 KR201200912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9905382 2009-11-04
AU2009905382A AU2009905382A0 (en) 2009-11-04 Improved Slope Of An Open Cut M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288A true KR20120091288A (ko) 2012-08-17

Family

ID=4396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476A KR20120091288A (ko) 2009-11-04 2010-11-04 노천 광산의 개선된 경사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20230776A1 (ko)
EP (1) EP2496773A1 (ko)
JP (1) JP2013509517A (ko)
KR (1) KR20120091288A (ko)
CN (1) CN102597379A (ko)
AU (1) AU2010314803A1 (ko)
CA (1) CA2779674A1 (ko)
RU (1) RU2012122782A (ko)
WO (1) WO20110540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0334A (zh) * 2021-06-30 2021-10-26 中冶成都勘察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矿山边坡稳定梯级台阶布置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3003B (zh) * 2013-02-25 2015-10-21 中国矿业大学 露天矿端帮靠帮开采方法
CN110924398B (zh) * 2019-10-28 2021-07-23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保通条件下高强岩质边坡拓宽开挖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735775A1 (ru) * 1973-02-12 1980-05-25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горной геомеханики и маркшейдерского дела Способ укреплени уступов
US4466669A (en) * 1981-12-18 1984-08-21 Gordon Sellers Method of open cut mining
SU1265331A1 (ru) * 1985-04-23 1986-10-23 Свердловский горный институт им.В.В.Вахрушева Транспортный уступ карьера
JPH0874260A (ja) * 1994-09-05 1996-03-19 Fujita Corp もたれ式擁壁による切土斜面補強法
CN1052525C (zh) * 1997-10-23 2000-05-17 北京矿冶研究总院 一种露天高台阶采矿方法
RU2127809C1 (ru) * 1998-05-12 1999-03-20 Руслан Борисович Юн Способ открытой разработки месторождений р.б.юна
US6299386B1 (en) * 1999-06-09 2001-10-09 R. John Byrne Method and apparatus for a shoring wall
US6800164B2 (en) * 2000-04-06 2004-10-05 Randel Brandstrom Method of making a fiber reinforced rod
ITMI20032154A1 (it) * 2003-11-07 2005-05-08 Uretek Srl Procedimento per incrementare la resistenza di un volume
CN1217068C (zh) * 2004-02-20 2005-08-31 中国科学院力学研究所 一种边坡加固排桩设计方法
RU2294434C1 (ru) * 2005-09-27 2007-02-27 Акционерная компания "АЛРОСА"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пособ открытой разработки крутопадающих месторождений
US8424852B2 (en) * 2009-01-28 2013-04-23 Benjamin Anson Kit for a barrie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0334A (zh) * 2021-06-30 2021-10-26 中冶成都勘察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矿山边坡稳定梯级台阶布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09517A (ja) 2013-03-14
RU2012122782A (ru) 2013-12-10
WO2011054035A1 (en) 2011-05-12
CA2779674A1 (en) 2011-05-12
AU2010314803A1 (en) 2012-05-31
EP2496773A1 (en) 2012-09-12
CN102597379A (zh) 2012-07-18
US20120230776A1 (en)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90956B (zh) 遥控掘进机巷道式开采端帮煤工艺
WO2011103620A1 (en) A method of reducing subsidence or windblast impacts from longwall mining
Sandbak et al. Ground support strategies at the turquoise ridge joint venture, Nevada
EA000562B1 (ru) Способ р.б. юна открытой разработки месторождений
RU2309253C1 (ru) Способ слоевой отработки кимберлитовой трубки в восходящем порядке с закладкой
US20230228193A1 (en) Raise caving method for mining an ore from an ore body, and a mining infrastructure, monitoring system, machinery, control system and data medium therefor
KR20120091288A (ko) 노천 광산의 개선된 경사면
CN106440980A (zh) 一种多边界基坑爆破方法
RU2371579C1 (ru) Способ разработки маломощных крутопадающих жил
RU2569122C1 (ru) Способ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открыто-подземной) разработки месторождений полезных ископаемых в гористой и холмистой местности
RU2248448C1 (ru) Способ разработки мощных крутопадающих залежей слабых руд
CA2295230C (en) Method for the combined exploitation of mining fields
Rutty et al. The evolution of pre-driven recovery roadways at crinum mine
Gustafsson Wire cutting as a complement to drill and blast in vibration sensitive environments
AU2015204338A1 (en) A high wall mining method
RU2400625C1 (ru) Способ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разработки месторождений полезных ископаемых
Spearing et al. A new automated, saf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and high extraction soft-rock underground mining method
Valgma et al. Low depth mining in Estonian oil shale deposit-Abbau von Ölschiefer in Estland
US1178841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underhand closed bench mining
Schissler Coal mining, design and methods of
RU2232894C1 (ru) Способ подземной разработки месторождений полезных ископаемых камерно-столбовым методом
CN112012743B (zh) 一种胶结充填采矿方法
Marepalli et al. Optimum utilization of continuous miner used for pillar extraction in bord and pillar mining method and support requirement in various roof conditions
Bartlett Planning Mechanised Cave with Coarse Fragmentation in Kimberlite
Van Khau Determination of parameters of the underground inclined coal seam mining in Quang Ninh basin under protected objects on the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