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950A -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 Google Patents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950A
KR20120090950A KR1020127005144A KR20127005144A KR20120090950A KR 20120090950 A KR20120090950 A KR 20120090950A KR 1020127005144 A KR1020127005144 A KR 1020127005144A KR 20127005144 A KR20127005144 A KR 20127005144A KR 20120090950 A KR20120090950 A KR 20120090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ibers
cellulose
weight
vis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3329B1 (ko
Inventor
인고 베른트
월터 로젠스타인
캘빈 우딩스
하이오 함스
Original Assignee
켈하임 피브레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켈하임 피브레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켈하임 피브레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90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51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structure of the inner absorbing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247Discontinuous hollow structure or microporous structur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2/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 D01F2/0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from visc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365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47Fibre dimension, e.g. denier or te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63Absorbenc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20Cellulose-derived artificial fibres
    • D10B2201/22Cellulose-derived artificial fibres made from cellulose solutions
    • D10B2201/24Viscos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04Staple length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73Particular cross section
    • Y10T428/2975Tubular or cell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특성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에 관한 것이다:
- 섬유는 그것의 건조 상태에서 무너진 중공 단면 구조를 가짐
- 섬유는 그것의 습윤 상태에서 구멍이 있는 단면 구조를 가짐
- 섬유는 분할벽에 의해 종방향으로 분리됨
- 섬유에 흡수 폴리머, 특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가 조합됨.
섬유는 탄산염 및 흡수 폴리머, 특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비스코스 도프에 혼합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Regenerated cellulose fibre}
본 발명은 비스코스법에 의해 제조된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너진 중공 단면 구조를 갖는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컨대 탐폰 또는 흡수 코어와 같은 위생 용도를 위해서, 섬유가 필요하고, 이것은 위생 용품의 가능한 높은 흡수 용량을 허용하기 위해서 특히 높은 수분 저장 용량을 갖는다.
종래의 고흡수성 재료는 대개 물과 접촉시 겔을 형성하여 흡수 코어의 완전성을 감소시키고, 또한 흡수 코어를 통한 다른 액체의 이동을 억제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흡수 코어의 완전성은 이들 용도에서 중요하며, 이 재료를 사용하여 흡수 재료의 이탈 및 따라서 예컨대 상처의 오염이 억제된다.
또한 상처 드레싱은 흡수 재료가 상처와 응집되지 않아서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상처로부터 드레싱을 제거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된다.
이들 용도의 분야에서 섬유 재료에 대한 또 다른 요구는 플리스(fleece) 제조를 위한 종래의 제조 기술에서 무결점 공정성이다.
높은 비율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를 갖는 비스코스 섬유가 알려져 있다. 이것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비스코스 도프로 방사(spinning)하여 얻어지는 혼합 섬유이다. 이러한 섬유는 또한 상업적으로 제조된다(US 4,199,367 A, US 4,289,824 A).
탄산나트륨을 비스코스 도프로 방사에 의한 중공 단면 구조를 갖는 비스코스 섬유("중공 섬유")의 제조는 1920년부터 이미 공지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섬유는 다양한 제조사에 의해 이미 상업적으로 제조되었다. 높은 수분 보유 용량을 갖는 "슈퍼인플레이티드(superinflated)" 타입의 중공 섬유가 특히 위생 용도를 위해 제조되어 왔다.(GB 1,333,047 A, GB 1,393,778 A).
중공 비스코스 섬유의 개발 및 역사에 대한 종합적 조사는 C.R. Woodings, A. J. Bartholomew; "The manufacture properties and uses of inflated viscose rayon fivres"; TAPPI Nonwovens Symposium; 1985; pp. 155-165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비스코스-CMC 혼합 섬유는 그들의 제조에서 그들의 높은 흡수성 및 습윤 상태에서 서로에 대한 섬유의 강한 밀착성 때문에 (섬유 표면에 대한 겔 효과) 종래의 비스코스법에서 섬유는 셀룰로오스에 기반하여 약 15% CMC의 통합성으로부터 후속 처리의 배스에서 가라앉는 경향이 있고 종래의 비스코스 섬유와 같이 뜨지 않는다는 단점을 나타낸다. 이것은 통상의 상업적 프로세스에서 이들 섬유의 제조를 실질적으로 방해한다.
이들 섬유의 요망되는 효과는 습윤 상태에서 그들의 겔-유사 표면 일관성이다. 그러나 이 효과는 이들 섬유가 종래의 비스코스 섬유와 유사한 매우 그루브한(grooved) 표면 구조를 갖는다는 사실에 의해 부분적으로 감소된다.
이러한 섬유의 수분 보유 용량의 최대 증가는 제한되며, >50 % CMC의 방사 동안 그것의 가공 단계에서 큰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중공 비스코스 섬유로 수분 보유 용량의 증가는 제한된다. 섬유의 더 강한 팽창 때문에, 특정 수준으로부터 어떤 더 높은 수분 보유 용량이 얻어지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낮은 수분 보유 용량을 갖는 편평한 단면을 갖는 밴드-유사 섬유가 형성되고, 이때 스테이플(staple) 섬유 방법으로 그것의 후처리는 오히려 그들의 크고 부드러운 표면 및 그것과 관련된 높은 섬유-섬유 결합 용량 때문에 문제들과 연관된다.
다른 공지된 카르복시메틸화된 섬유, 즉 비스코스 섬유의 후속 카르복시메틸화에 의해 제조된 섬유가 있다 (Convatec사의 "Aquacell"로서 시중에서 이용가능; US 6,548,730 B1; AU 757461 B; WO00/01425 A1; EP 1 091 770 A1). 이 섬유는 다량의 수분 흡수가 가능하지만 물과의 접촉시 섬유 구조의 동시적 완전한 손실과 함께 겔을 형성하고, 이는 모든 가능한 용도에 바람직하지 않다.
US 3,318,990는 편평한 비스코스 섬유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며, 여기서 비스코스에 한쪽에서는 탄산나트륨이 혼합되고, 다른 한쪽에서는 물에서 팽창하는 고분자 물질, 예컨대 CMC가 혼합된다.
얻어진 섬유는 완전하게 편평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무너진 단면 구조는 그것의 형태를 습윤 상태에서도 유지한다. US 3,318,990에 따르면 이 섬유는 종이의 제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높은 수분 보유 용량, 압축하에서 가능한 높은 흡수성 및 추가의 표면 겔 효과를 갖는 비스코스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섬유는 비스코스 섬유의 제조를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플리스(fleece)의 제조를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 처리된다 (예컨대 카딩(carding), 니들링에 의한 고체화, 수류결합(hydro-entanglement), 열적 고체화, 칼란드레이션(calandration)).
본 과제는 청구항 1에 따른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항 11에 따른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종속항에 기재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종단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더욱 확대된 종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물과 접촉시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섬유의 관형 단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무너진 중공 단면 구조를 갖는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를 제공하며, 이것은 하기 특징의 조합을 특징으로 한다:
- 섬유는 그것의 건조 상태에서 무너진 중공 단면 구조를 가짐.
- 섬유는 그것의 습윤 상태에서 구멍이 있는 단면 구조를 가짐.
- 섬유는 분할벽에 의해 종방향으로 분리됨.
- 섬유로 흡수 폴리머가 조합됨.
흡수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이다. 다른 적합한 흡수 폴리머는 예를 들어 비스코스 카르바메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기네이트 또는 아크릴산의 호모폴리머 및 코폴리머와 같은 비스코스법과 양립가능한 폴리머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4399255에 기재됨).
본 발명을 사용하여, 우선,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중공 비스코스 섬유의 조합을 제공하며, 이것은 재-습윤시 다시 구멍이 있는 관형 구조를 갖고, CMC와 함께 비스코스 혼합된 섬유이다.
당업자는 무너진 중공 단면 구조를 갖는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가 비스코스 섬유라는 것을 이해하며, 그것의 단면은 강하게 팽창하여 단면 구조가 그 자체로 무너진다. (탄산나트륨의 혼합을 통한) 이러한 섬유의 제조는 GB 1,333,047 A 및 GB 1,393,778 A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는 그것의 건조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불규칙한 멀티로발(multilobal) 단면 또는 불규칙하게 그루브한(grooved)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섬유는 또한 "SI" 섬유(슈퍼인플레이티드)로서 표기된다. US 3,318,990 A에 기재된 섬유와는 반대로, 단면은 섬유의 습윤시 재-오픈될 것이며, 그것의 관형 형태가 회복될 것이며 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는 특히 분할벽의 결과로서 종방향으로 분리된 부분의 존재 때문에 US 3,318,990 A에 설명된 섬유와는 상이하다.
따라서 분할벽 사이의 간격은 섬유 길이에 걸쳐 평균낸 섬유 폭의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 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배이다. 이들 분할벽의 존재는 부분적으로 섬유의 습윤시 구멍이 있는 관형 구조가 재형성되는 것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관형 구조는 아마도 재습윤시 편평하게 남아있는 US 3,318,990의 섬유에 비하여 우수한 흡수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의 원인이 될 것이다.
흡수 폴리머, 특히 CMC를 섬유로 조합하는 수단에 의해 당업자는 (섬유의 재생시) 비유도체화 셀룰로오스의 매트릭스에서 흡수 폴리머, 예컨대 CMC가 통합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것은 - 이미 제조된 섬유로 CMC의 적용과 대비하여 - CMC를 비스코스 도프로 방사하는 것에 의해 특히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섬유는 매우 높은 수분 보유 용량을 갖고; 그러나 섬유 특성은 여전히 그것의 습윤 상태에서와 동일하게 남아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는 종래의 비스코스-CMS 혼합 섬유와 비교하여 잘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종래의 비스코스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에서 흡수 폴리머, 특히 CMC의 비율은 비유도체화(underivatised) 셀룰로오스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이플 섬유의 형태로 이용가능하고 모든 일반적인 섬도(titre) 범위에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섬유 섬도는 0.5 dtex 내지 8 dtex,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6 dtex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의 섬유 길이는 2 mm 내지 80 mm일 수 있고 특히 용도의 분야에 의존한다. 습식(wet-laid) 프로세스에 대하여, 특히 2 내지 20 mm의 섬유 길이가 적절하고, 카딩(carding) 프로세스에 대하여, 20 내지 80 mm 섬유 길이가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의 강도(tenacity)는 통상적으로 10cN/tex 이상이고; 파단 신장율은 15%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섬유는 DIN 53814에 따른 측정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0%의 수분 보유 용량을 갖는다.
예를 들어 35중량% CMC 비율로 최대 400% WRC의 수분 보유 용량이 본 발명에 따른 섬유에서 측정되었다.
2.72 g의 질량, 44 mm의 길이 및 13 mm의 직경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로 제조된 원통형 탐폰은 각각 Nonwovens and Related Industries ERT 350.0 or WSP 350.1에 대하여 EDANA/INDA Standard Test Methods에 따른 측정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2 g/g의 Syngina 값을 갖는다
이 방식으로, 섬유는 현재 시중에서 가장 중요한 상표 "Galaxy"®하에 판매되는 정규 트리로벌(regular trilobal) 단면을 갖는 흡수 비스코스 섬유보다 더 높은 Syngina 값을 갖는다(EP 0 301 874 A1).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를 위해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 비스코스 도프를 제공
- 비스코스와 양립가능한 탄산염을 비스코스 도프로 혼합
- 흡수 폴리머를 비스코스 도프로 혼합
- 비스코스 도프를 방사조에서 방사하여 섬유를 형성.
여기서
- 방사 전 비스코스 도프의 숙성 정도는 15°Hottenroth 미만, 바람직하게는 10°내지 14°Hottenroth이고
- 방사조 내의 H2SO4 함량은 8% 내지 10%이고
- 방사조 내의 ZnSO4 함량은 0.3% 내지 0.5%이고
- 방사조 내의 Na2SO4 함량은 25% 내지 30%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현재 공지된 중공 단면 제조를 위한 탄산염, 특히 탄산나트륨 방사 단계와 흡수 폴리머 방사 단계를 조합한다.
US 3,318,990에 설명된 방법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비스코스는 더 낮은 숙성 정도(Hottenroth로 표시됨)로 방사되고 방사조는 더 작은 H2SO4 및 ZnSO4 비율을 갖는다. 이들 상이한 과정은 특히 단면 구조의 관점에서 또한 다른 특성들의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섬유와 US 3,318,990에 기재된 섬유 사이에 상기 설명한 차이점을 가져오는 것으로 추정된다.
흡수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CMC이다. 하기 실시형태는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되며; 그러나 이들은 mutatis mutandis를 비스코스법과 양립가능한 다른 흡수 폴리머에 적용한다.
탄산염으로서, 적절한 임의의 탄산염, 특히 알칼리 금속 탄산염이 존재하고, 이들은 비스코스법의 조건과 양립가능하다. 특히 적절한 것은 탄산나트륨이다. 다른 적절한 탄산염은 탄산칼륨, 탄산칼슘 및 일반적으로 산의 영향하에서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모든 탄산염이다.
예를 들어 방사조 내의 적절한 조건 선택, 온도 및 물론 첨가되는 탄삼염의 선택에 의해 섬유의 단면 형태(팽창 및 무너짐)에 대한 영향을 발휘하여 무너진 중공 단면 구조를 발현하는 것은 특히 상기 언급한 특허 문헌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산염은 비스코스 도프 내의 셀룰로오스를 기준으로 11중량% 내지 23중량% ((CO3)2-로서 계산)의 양으로 첨가된다. 탄산나트륨의 특정한 경우에, 바람직한 양은 셀룰로오스를 기준으로 20중량% 내지 40중량%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흡수 폴리머, 특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비스코스 도프 내의 셀룰로오스를 기준으로 5중량% 내지 5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중량% 내지 4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혼합된다.
탄산염 및/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특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2중량% 내지 9중량%, 바람직하게는 3중량% 내지 5중량% NaOH 및 5중량%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6중량% 내지 12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알칼리성 용액의 형태로 혼합될 수 있다.
탄산염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또한 특히 결합 용액의 형태로 함께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를 위해서, 종래의 비스코스 도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통상적이 실시형태는 하기 수단을 포함한다:
종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비스코스 도프에 (셀룰로오스 함량 = 9-10%, NaOH 함량 5-6%; 점도 30-50 falling ball seconds, 숙성 정도 10-15°Hottenroth) 비스코스 도프 내의 셀룰로오스를 기준으로 25-35중량% Na2CO3 (섬유 섬도에 따라 변경됨)를 20% Na2CO3 용액의 형태로 첨가한다. 비스코스 도프 내의 셀룰로오스를 기준으로 5중량% 내지 45중량%,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30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알칼리성 용액 (2-9중량% NaOH; 바람직하게는 3-5중량%)의 형태로 도프에 첨가한다. 용액의 농도는 5중량%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8-12중량% 이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0.6 - 1.2, 바람직하게는 0.65 - 0.85의 DS 치환도 및 30-800 mPas; 바람직하게는 50-100 mPas의 점도(2% 용액; 25℃)를 갖는 시중에서 이용가능한 제품이다.
첨가 용액(탄산염 및 CMC)는 바람직하게는 미리 방사가능 비스코스 도프에, 특히 방사 직전에 주입한다. 비스코스는 이어서 다이나믹 믹서를 통해 균질화된다.
비스코스는 방사되고 직물 섬유에 대한 일반적인 파라미터로 후처리된다.
실시예:
하기에 설명하는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를 위해서 종래의 비스코스 도프를 사용하였다.
실험 A: 첨가제 없이 비스코스 도프의 방사
실험 B: 셀룰로오스를 기준으로 30% Na2CO3와 함께 비스코스 도프의 방사
실험 C(본 발명에 따름): 각각 비스코스 도프에 존재하는 셀룰로오스를 기준으로 30% Na2CO3 및 20% CMC (DS=0.81; 점도 2% = 53 mPas, Type Blanose 7M1F, 제조사: company Aqualon France (Hercules))와 함께 비스코스 도프의 방사.
도프를 동일한 방사 파라미터로 4.4 dtex의 섬도로 섬유로 방사하였다.
실험 D: 첨가제 없이 비스코스 도프의 방사
실험 E: 셀룰로오스를 기준으로 20% CMC와 함께 비스코스 도프의 방사 (실험 C와 동일한 명세).
실험 F: 셀룰로오스를 기준으로 30% CMC와 함께 비스코스 도프의 방사 (실험 C와 동일한 명세)
도프를 동일한 방사 파라미터로 3 dtex의 섬도로 섬유로 방사하였다.
제조한 섬유의 형태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섬유 B 및 C는 SI 타입(슈퍼인플레이티드, 분리됨)의 중공 섬유이다. 섬유 A, D, E 및 F는 비스코스 섬유에 통상적인 그루브하고 둥근 단면을 갖는 섬유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섬유 C의 종단면도 및 단면도는 도 1, 2 및 3에 나타낸다.
도 1 및 2에서, 종단면에서 분리된 부분을 명확하게 볼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에 일반적이다. 분리된 부분은 분할벽의 결과이며, 이것은 도 2에서 확대하여 인식가능하듯이 사실상 단단하고 멤브레인-유사 서브-분할을 가져온다.
도 3에서 무너진 중공 단면 구조를 볼 수 있으며, 이것은 "SI" 섬유에 일반적이고, 복수의 측면 또는 불규칙하게 그루브한 단면을 형성한다.
도 4는 건조 섬유의 습윤시 본 발명에 따른 섬유의 관형 단면을 나타낸다.
방사 성능:
모든 섬유는 종래의 파라미터로 방사할 수 있다. 반면 섬유 E 및 F는 섬유의 후처리조에서 침전하는 경향이 있고, 이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 C에서 관찰되지 않는다.
수분 보유 용량:
모든 섬유에 대하여 수분 보유 용량을 DIN 53814에 따라 %로 측정하였다.
섬유 A: 80 %
섬유 B: 220 %
섬유 C: 335 %
섬유 D: 93 %
섬유 E: 149 %
섬유 F: 193%
결과가 나타내듯이, 절대적 관점에서 수분 보유 용량은 셀룰로오스를 기준으로 20% CMC 방사에 의해 약 50% 증가하고, 30% CMC 방사에 의해 100% 증가할 수 있다. (섬유의 비교 D -> E -> F).
셀룰로오스를 기준으로 30% Na2CO3 방사에 의해, 수분 보유 용량은 140% 증가할 수 있다. (퍼센트의 비교, 섬유 A -> B).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를 기준으로 20% CMC 및 30% Na2CO3 방사에 의해, 수분 보유 용량은 255% 증가할 수 있다. 이것은 두가지 첨가제의 효과가 추가적으로 증가하지 않지만 오히려 상승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CMC 단독 또는 Na2CO3 단독의 첨가 효과는 각각
A->B = +140%
D ->E = +56%
가 된다.
그러므로 섬유 C에 대한 예상 값은 80 + 140 + 56 = 276%일 수 있다.
335%가 되는 섬유의 측정된 수분 보유 능력이 인자 1.2 만큼 더 높으므로, 두개의 첨가제 성분은 놀랍게도 상승적으로 작용한다.
겔 효과:
표면 겔 효과 (끈적이고 비누 같은 터치)는 비교예 시료 E (동일한 함량의 CMC)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섬유 C에서 어느 정도 더 강하다. 이 겔 효과는 오직 습윤 상태에서 발현된다.
섬유 값:
본 발명에 따른 섬유 C는 4.4 dtex의 섬도에서 13.1 cN/tex의 강도와 22.9 %의 장력이 얻어지며, 이것은 플리츠 프로세싱의 분야에서의 사용에 허용가능하다.
압축하에서의 흡수:
섬유 A, B 및 C로부터 각각 2.72g에 달하는 탐폰 플러그를 압축하였으며, WSP 351.0에 따라 Syngina 측정을 행하였다. 추가 참조로서, 100% 시중의 트리로벌 비스코스 섬유("Galaxy"®)로 만들어진 동일한 플러그를 제조하였다.
결과:
섬유 A: 4.56 g/g
섬유 B: 4.75 g/g
섬유 C: 5.73 g/g
100% Galaxy: 5.05 g/g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를 가지고 시중의 트리로벌 섬유와 비교하여 현저히 더 높은 Syngina 흡수가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는 특히 흡수 제품, 위생 용품, 특히 탐폰, 실금용 위생 보조품, 생리대 및 팬티 라이너, 음식물 특히 육류 제품용 포장재, 종이, 특히 여과지, 의류(예컨대 다른 섬유와 조합하여 또는 다층 구조로서 수분 관리를 위한 의류 직물) 및 상처 드레싱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18)

  1. 하기 특성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 섬유는 그것의 건조 상태에서 무너진 중공 단면 구조를 가짐
    - 섬유는 그것의 습윤 상태에서 구멍이 있는 단면 구조를 가짐
    - 섬유는 분할벽에 의해 종방향으로 분리됨
    - 섬유에 흡수 폴리머가 조합됨
  2. 제1항에 있어서, 건조 상태에서 섬유의 단면은 멀티로벌(multilobal) 및/또는 불규칙하게 그루브한(groov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섬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할벽 사이의 간격은 섬유 길이에 걸쳐서 평균낸 폭의 0.3 내지 3 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섬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 중의 흡수 폴리머의 비율은 비유도체화 셀룰로오스를 기준으로 5중량%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5중량% 내지 4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섬유.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 폴리머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섬유.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테이플 섬유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섬유.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 섬도(titre)는 0.5 dtex 내지 8 dtex,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6 dte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섬유.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 길이는 2 mm 내지 8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섬유.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분 보유 용량은 적어도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섬유.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량 2.72 g, 길이 44 mm 및 직경 13 mm의 섬유로 제조된 원통형 탐폰은 Syngina 값이 적어도 5.2 g/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섬유.
  11. - 비스코스 도프를 제공하는 단계
    - 비스코스와 양립가능한 탄산염을 비스코스 도프에 혼합하는 단계
    - 흡수 폴리머를 비스코스 도프에 혼합하는 단계
    - 방사조에서 비스코스 도프를 방사하여 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서
    - 방사 전 비스코스 도프의 숙성 정도는 15°Hottenroth 미만, 바람직하게는 10°내지 14°Hottenroth이고,
    - 방사조에서 H2SO4 함량은 8% 내지 10%이고,
    - 방사조에서 ZnSO4 함량은 0.3% 내지 0.5%이고,
    - 방사조에서 Na2SO4 함량은 25% 내지 30%인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탄산염을 비스코스 도프 중의 셀룰로오스를 기준으로 11중량% 내지 23중량% ((CO3)2-로서 계산)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흡수 폴리머는 비스코스 도프 중의 셀룰로오스를 기준으로 5중량%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5중량% 내지 4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산염 및/또는 흡수 폴리머는 용액의 형태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 폴리머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2중량% 내지 9중량%, 바람직하게는 3중량% 내지 5중량% NaOH 및 5중량%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8중량% 내지 12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알칼리성 용액의 형태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탄산염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특히 결합 용액의 형태로 함께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흡수 용품, 위생 용품, 특히 탐폰, 실금 위생 보조품, 생리대 및 팬티 라이너, 음식물 특히 육류 제품용 포장재, 종이, 특히 여과지, 의류 및 상처 드레싱에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의 용도.
KR1020127005144A 2009-07-31 2010-07-09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KR101683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450139A EP2280098A1 (de) 2009-07-31 2009-07-31 Regenerierte Cellulosefaser
EP09450139.2 2009-07-31
PCT/EP2010/059870 WO2011012424A1 (de) 2009-07-31 2010-07-09 Regenerierte cellulosefa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950A true KR20120090950A (ko) 2012-08-17
KR101683329B1 KR101683329B1 (ko) 2016-12-06

Family

ID=4142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144A KR101683329B1 (ko) 2009-07-31 2010-07-09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279196B2 (ko)
EP (2) EP2280098A1 (ko)
JP (1) JP5735964B2 (ko)
KR (1) KR101683329B1 (ko)
CN (1) CN102639767B (ko)
CA (1) CA2767933C (ko)
WO (1) WO20110124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176A (ko) * 2017-03-03 2019-10-17 켈하임 피브레스 게엠베하 비스코스 섬유의 용도
KR102446659B1 (ko) * 2022-04-05 2022-09-23 김민영 영구적인 항균성을 갖는 축발열섬유 원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80100A1 (de) * 2009-07-31 2011-02-02 Kelheim Fibres GmbH Verwendung einer regenerierten Zellulosefaser in einem flammhemmenden Produkt
JP5885961B2 (ja) * 2010-08-12 2016-03-16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扁平レーヨン繊維、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繊維集合体
EP2546395A1 (de) * 2011-07-15 2013-01-16 Kelheim Fibres GmbH Regenerierte Cellulosefaser
EP2546397A1 (de) * 2011-07-15 2013-01-16 Kelheim Fibres GmbH Regenerierte Cellulosefaser
EA020360B1 (ru) * 2012-01-19 2014-10-30 Джамал Вейс оглы Мамедов Реакционноспособная целлюлоз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DE102013218412A1 (de) 2013-09-13 2015-03-19 Kelheim Fibres Gmbh Filterhilfsmittel und Filterschicht
CN104264278B (zh) * 2014-09-25 2016-04-20 哈尔滨欧替药业有限公司 一种具有吸湿卷曲回潮性能用于栓剂载体的粘胶纤维
WO2016115637A1 (en) 2015-01-23 2016-07-28 Fpinnovations Absorbent fibres produced from low-substituted carboxymethyl cellulose and the process thereof
DE102015121383B4 (de) * 2015-12-08 2017-10-12 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 Modifizierte Cellulosefaser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ren Verwendung, Filterhilfsmittel oder Filterplatten und Verfahren zur künstlichen Klärung von trüben Flüssigkeiten
US10383369B2 (en) 2017-06-07 2019-08-20 Rai Strategic Holdings, Inc. Fibrous filtration material for electronic smoking article
CN112695415B (zh) * 2020-12-28 2022-11-01 潍坊欣龙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高吸水性再生纤维素纤维及其制备方法
US11795624B2 (en) 2021-11-01 2023-10-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rough-air dried tissue products comprising regenerated cellulose fiber
CN115337148A (zh) * 2022-08-19 2022-11-15 露乐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吸收芯体及卫生用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6293A (en) * 1944-10-03 1949-07-19 American Viscose Corp Artificial fiber
US3318990A (en) * 1962-08-18 1967-05-09 Kurashiki Rayon Co Method of manufacturing flat viscose fibers
US3699965A (en) * 1970-11-10 1972-10-24 Int Playtex Corp Tampon for absorbing body fluid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3769A (en) * 1948-04-08 1959-11-24 Kastli Leo Process of puffing dry regenerated cellulose and cellulose acetate textile fibers by generating oxygen in situ and precipitating barium sulphate within the fibers
GB758651A (en) * 1952-07-11 1956-10-10 Rayonier Inc Hollow filament yarn formed in the viscose process
US2835551A (en) * 1955-04-09 1958-05-20 Toyo Rayon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hollow viscose filaments
GB1086496A (en) * 1963-10-28 1967-10-11 Kurashiki Rayon Kk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flat and hollow rayon fibre suitable for the manufacture of glossy paper
GB1333047A (en) 1969-11-27 1973-10-10 Courtaulds Ltd Process for making filaments
GB1393778A (en) 1972-08-09 1975-05-14 Courtaulds Ltd Regenerated cellulose filaments
US4199367A (en) 1975-11-07 1980-04-22 Avtex Fibers Inc. Alloy rayon
US4289824A (en) 1977-04-22 1981-09-15 Avtex Fibers Inc. High fluid-holding alloy rayon fiber mass
JPS53143722A (en) * 1977-05-17 1978-12-14 Asahi Chem Ind Co Ltd Hollow viscose filament yarns and their production
US4182735A (en) * 1978-05-25 1980-01-08 International Paper Company Production of high crimp, high strength, hollow rayon fibers
JPS569418A (en) * 1979-07-06 1981-01-30 Avtex Fibers Inc Alloy rayon fiber with high fluid holding property
AT363578B (de) * 1979-10-18 1981-08-10 Chemiefaser Lenzing Ag Mischfasern auf basis regenerierter cellulose von hoher saugfaehigkeit und hohem fluessigkeitsrueckhaltevermoeg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US4399255A (en) 1980-12-22 1983-08-16 Avtex Fibers Inc. Alloy rayon fibers of regenerated cellulose and copolymeric acrylic acid salts
JPS5818408A (ja) * 1981-07-23 1983-02-03 Japan Exlan Co Ltd 制電性を備えた吸水性アクリル繊維
GB2208277B (en) 1987-07-30 1991-11-13 Courtaulds Plc Cellulosic fibre
US5124197A (en) * 1989-07-28 1992-06-23 Kimberly-Clark Corporation Inflated cellulose fiber web possessing improved vertical wicking properties
JP2002519153A (ja) 1998-07-01 2002-07-02 アコーディス スペシャリティー ファイバーズ リミティド 傷手当用品及びその製造並びにその使用に適切な材料の製造
RU2147524C1 (ru) 1999-06-29 2000-04-20 Князев Евген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CN100558951C (zh) * 2007-06-14 2009-11-11 山东海龙股份有限公司 一种高性能中空纤维素纤维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6293A (en) * 1944-10-03 1949-07-19 American Viscose Corp Artificial fiber
US3318990A (en) * 1962-08-18 1967-05-09 Kurashiki Rayon Co Method of manufacturing flat viscose fibers
US3699965A (en) * 1970-11-10 1972-10-24 Int Playtex Corp Tampon for absorbing body flui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176A (ko) * 2017-03-03 2019-10-17 켈하임 피브레스 게엠베하 비스코스 섬유의 용도
KR102446659B1 (ko) * 2022-04-05 2022-09-23 김민영 영구적인 항균성을 갖는 축발열섬유 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2424A1 (de) 2011-02-03
CA2767933C (en) 2017-01-10
US9279196B2 (en) 2016-03-08
US20150354095A1 (en) 2015-12-10
US20120209234A1 (en) 2012-08-16
CN102639767B (zh) 2015-04-29
KR101683329B1 (ko) 2016-12-06
EP2280098A1 (de) 2011-02-02
CA2767933A1 (en) 2011-02-03
CN102639767A (zh) 2012-08-15
JP2013501151A (ja) 2013-01-10
JP5735964B2 (ja) 2015-06-17
EP2459782A1 (de) 2012-06-06
US10047458B2 (en) 2018-08-14
EP2459782B1 (de)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0950A (ko)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US10220111B2 (en) Highly absorbent polysaccharide fiber and use thereof
KR0157410B1 (ko) 수직 워킹 특성을 개선한 팽창된 셀룰로오스 섬유 웹
KR20160020515A (ko) 폴리사카라이드 섬유 및 이의 생산 방법
JP6134327B2 (ja) 再生セルロース繊維
WO1995015342A1 (en) Treatment of cellulose
CA2839146C (en) Regenerated cellulose fibre
KR102477727B1 (ko) 피브릴화가 용이한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37209A (ko)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
JP2014520973A (ja) 繊維束
US3796629A (en) Self-bonding rayon
Uzun et al. Development of novel yarns containing carboxymethyl cellulose and alginate fibers for wound dressing applications
JP3983088B2 (ja) セルロース極細長繊維不織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