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882A -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 - Google Patents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882A
KR20120090882A KR1020120069993A KR20120069993A KR20120090882A KR 20120090882 A KR20120090882 A KR 20120090882A KR 1020120069993 A KR1020120069993 A KR 1020120069993A KR 20120069993 A KR20120069993 A KR 20120069993A KR 20120090882 A KR20120090882 A KR 20120090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plate
heating
heat
slots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398B1 (ko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김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식 filed Critical 김대식
Priority to KR1020120069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398B1/ko
Publication of KR20120090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30Thermophotovoltaic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05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combined with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4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발전기로 발전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보일러를 구동시켜서 열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고, 난방용 열에너지를 저렴하게 생상할 수 있으며, 친환경 열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ENVIRONMENT-FRIENDLY BOILER USING SOLAR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태양광발전기로 발전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보일러를 구동시켜서 열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고, 난방용 열에너지를 저렴하게 생상할 수 있으며, 친환경 열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터보버너를 이용한 고효율 저공해 보일러로서는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97180호(공고일자 ; 2003년 09월 06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97180호에 개시되어 있는 터보버너를 이용한 고효율 저공해 보일러는 버너로 연소실내에 배치된 피가열체를 가열시키기 위한 산업용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버너에는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해 택일적으로 사용되는 송풍기 유입구와 압축공기 유입구를 갖고, 상기 연소실에 연통된 배기가스 통로측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배기가스 통로로 배기되는 고온 연소가스의 유체 운동에너지를 받도록 원둘레상에 다수의 깃을 갖는 회전차와, 이 회전차를 회전 지지하고 회전차 내로 배기가스를 유도한 후 다수의 깃을 거치도록 한 후 대기로 배출시키는 케이싱을 갖는 회전식 터빈과; 상기 로터리식 터빈의 회전차 축에 직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회전차를 갖고, 상기 회전차를 수용 회전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차에 원둘레로 배치된 다수의 깃에 의해 대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깃에 의해 생긴 원심력의 운동에너지를 갖는 흡입 공기를 상기 버너의 압축공기유입구로 유도하는 케이싱을 갖는 공기공급용 원심압축기; 및 상기 버너의 초기 기동시에만 필요한 공기를 상기 버너로 송풍하기 위해 상기 송풍기 유입구와 연결된 송풍기를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터보버너를 이용한 고효율 저공해 보일러는 터보버너 시스템을 적용하여 별도의 동력없이 대기압보다 높은 고압의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고, 또 보일러 출구의 배기가스를 버너로 재순환시켜서 보일러의 콤팩트화 및 에너지 절감 그리고 질소산화물의 배출을 저감할 수는 있으나, 산업용 보일러는 고압의 스팀을 얻기 위한 설비로서, 버너로부터 공급되는 열량을 이용하여 물을 스팀으로 전환시킬 때, 보일러 연소실의 압력은 특정값 이상의 고압으로 대기압과 비슷하여 연소실은 버너로부터 공급되는 열량의 열전달을 위하여 어느 정도 이상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용 공기 압력을 높여야 정상적인 운전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동력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최근에는 환경규제가 엄격하여지고 있으며 특히, 질소산화물(NOx)의 저감을 위하여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송풍기 및 배관 등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설치비 및 운용비가 상승하여 실제 적용할 경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발전기로 발전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보일러를 구동시켜서 열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방용 열에너지를 저렴하게 생상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친환경 열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는 태양광을 받아서 직류전원을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모듈과;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에서 발전한 직류전원을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의 분배스위치의 슬라이더가 M에 설정되고 절환스위치가 C방향 또는 C·D방향으로 절환되었을 경우에 상기 분배기에서 분배되는 직류전원을 받아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직류모터와; 상기 직류모터의 샤프트가 결합되어 상기 직류모터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열교환실 내에 도입된 유체를 가열하는 열발생 유니트와; 상기 열발생 유니트의 열교환실에서 가열된 가열유체를 가열유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순환된 후 온도가 떨어진 가열유체를 상기 열교환실의 유체 도입구를 통해 상기 열교환실로 도입될 동안에 내부의 충진된 물을 따뜻하게 가열하는 판형 열교환기와; 물도입구를 통해 온수 및 난방수로 사용하도록 가열할 물을 저장하고,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제1 온수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가열 온수를 제1 온수도입구를 통해 도입되어 다시 가열하도록 저장하는 가열 물탱크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제2 온수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가열 온수의 일부는 샤워할 수 있도록 온수를 배출하는 샤워기와; 상기 가열 물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제2 온수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가열 온수의 나머지는 제1 펌프의 펌핑에 따라 순환되면서 상기 가열 물탱크에 저장된 온수용 및 난방용 물을 가열한 후에 온도가 떨어진 물을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제1 물도입구를 통해 도입하도록 배출하는 가열용 온수배관과; 상기 가열 물탱크에 설치되어 태양열 수집판에서 수집된 열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를 제2 펌프의 펌핑에 의해 순환되면서 상기 가열 물탱크에 저장된 온수용 및 난방용 물을 가열한 후에 온도가 떨어진 열매체를 다시 가열하도록 상기 태양열 수집판 측으로 순환시키는 가열용 열매체배관과; 분배스위치의 슬라이더가 M에 설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가열 물탱크 내에 저장된 온수용 및 난방용 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분배기에서 분배되는 직류전원을 받아 열을 방사하는 히터와; 상기 가열 물탱크내에서 가열된 온수를 제3 펌프의 펌핑에 의해 제3 온수배출구에서 배출되어 라디에이터 또는 난방용 배관을 가열한 후에 온도가 떨어진 물을 다시 가열하도록 제3 물도입구를 통해 상기 가열 물탱크에 도입하는 난방용 배관과; 상기 가열 물탱크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와; 상기 분배기에서 분배되는 직류전원을 분배스위치의 슬라이더가 M에 설정되고, 절환스위치가 C방향 또는 C·D방향으로 절환되었을 경우에 상기 분배기에서 분배되는 직류전원을 받아 직류전원을 축전하는 축전지와;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에 의하면, 태양광발전기로 발전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보일러를 구동시켜서 열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고, 난방용 열에너지를 저렴하게 생상할 수 있으며, 친환경 열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에 의해 온수 및 난방수의 순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에 있어서 직류모터와 열 발생 유니트 및 열 발생 유니트와 판형열교환기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치관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에 있어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에 있어서 샤프트로부터 다수의 열발생 임펠러를 분해하여 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에 있어서 열발생 임펠러를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일부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의 제1 및 제2 간격유지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서 좌측 원형판을 제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 원형판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에 있어서 우측 원형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에 있어서 좌측 원형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는 태양광을 받아서 직류전원을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모듈(1)과;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1)에서 발전한 직류전원을 분배하는 분배기(3)와; 상기 분배기(3)의 분배스위치(43)의 슬라이더(43a)가 M에 설정되고 절환스위치(5)가 C방향 또는 C·D방향으로 절환되었을 경우에 상기 분배기(3)에서 분배되는 직류전원을 받아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직류모터(101)와; 상기 직류모터(101)의 샤프트(101a)가 결합되어 상기 직류모터(101)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열교환실(100a) 내에 도입된 유체를 가열하는 열발생 유니트(100)와; 상기 열발생 유니트(100)의 열교환실(100a)에서 가열된 가열유체를 가열유체 배출구(100c)를 통해 배출되어 순환된 후 온도가 떨어진 가열유체를 상기 열교환실(100a)의 유체 도입구(100d)를 통해 상기 열교환실(100a)로 도입될 동안에 내부의 충진된 물을 따뜻하게 가열하는 판형 열교환기(11)와; 물도입구를 통해 온수 및 난방수로 사용하도록 가열할 물을 저장하고, 상기 판형 열교환기(11)의 제1 온수배출구(11a)에서 배출되는 가열 온수를 제1 온수도입구(13a)를 통해 도입되어 다시 가열하도록 저장하는 가열 물탱크(13)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11)의 제2 온수배출구(11b)에서 배출되는 가열 온수의 일부는 샤워할 수 있도록 온수를 배출하는 샤워기(14)와; 상기 가열 물탱크(13)에 설치되어 상기 판형 열교환기(11)의 제2 온수배출구(11b)에서 배출되는 가열 온수의 나머지는 제1 펌프(16a)의 펌핑에 따라 순환되면서 상기 가열 물탱크(13)에 저장된 온수용 및 난방용 물을 가열한 후에 온도가 떨어진 물을 상기 판형 열교환기(11)의 제1 온수도입구(11c)를 통해 도입하도록 배출하는 가열용 온수배관(16)과; 상기 가열 물탱크(13)에 설치되어 태양열 수집판(18)에서 수집된 열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를 제2 펌프(20a)의 펌핑에 의해 순환되면서 상기 가열 물탱크(13)에 저장된 온수용 및 난방용 물을 가열한 후에 온도가 떨어진 열매체를 다시 가열하도록 상기 태양열 수집판(18) 측으로 순환시키는 가열용 열매체배관(20)과; 상기 분배기(3)에서 분배되는 직류전원을 분배스위치(43)의 슬라이더(43a)가 M에 설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에 저장된 온수용 및 난방용 물을 가열하도록 직류전원을 받아 열을 방사하는 히터(22)와; 상기 가열 물탱크(13)내에서 가열된 온수를 제3 펌프(24a)의 펌핑에 의해 제3 온수배출구(13d)에서 배출되어 라디에이터 또는 난방용 배관(24)을 가열한 후에 온도가 떨어진 물을 다시 가열하도록 제3 물도입구(13b)를 통해 상기 가열 물탱크(13)에 도입하는 난방용 배관(24)과;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25)와; 상기 분배스위치(43)의 슬라이더(43a)가 M에 설정되고, 절환스위치(5)가 C방향 또는 C·D방향으로 절환되었을 경우에 상기 분배기(3)에서 분배되는 직류전원을 받아 직류전원을 축전하는 축전지(26)와;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4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는 태양광 모듈(1)에서 발전된 직류전원이 남을 경우, 전력회사(33)에 매도하기 위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1)에서 발전된 직류전원을 받거나 또는 상기 축전지(26)에 축전된 직류전원을 받아서 일정 레벨로 승압하는 승압트랜스포머(28)와; 상기 승압트랜스포머(28)에서 일정 레벨로 승압된 직류전압을 받아 교류전원(60Hz 주파수)으로 변환해서 적산전력계(31)를 통해서 전력회사(33)에 출력하는 하는 DC/AC 컨버터(30)와; 상기 태양광 모듈(1)에서 직류전원을 발전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전력회사(33)에서 발전한 교류전원을 상기 적산전력계(31)를 통해 받아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컨버터(35)와; 상기 AC/DC컨버터(35)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받아서 일정 레벨로 다운하여 상기 축전지(26)에 축전하거나 상기 절환스위치(5)에 출력하여 상기 직류모터(101) 또는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에 설치된 히터(22)에 인가하는 다운트랜스포머(37);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어 유니트(40)는 직류전원의 인가 및 차단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치(41)와;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에 저장된 물의 가열 온도를 증가시키는 온도증가스위치(42a)와;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에 저장된 물의 가열 온도를 2도 내지 5도씩 감소시키는 온도감소스위치(42b)와;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1)에서 발전된 직류전원을 온수용(또는 난방용) 또는 전력회사(33)에 매도할 것인지를 설정분배하는 분배스위치(43)와; 상기 직류모터(101)를 정회전시키는 정회전 설정 스위치(45a)와; 상기 직류모터(101)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 설정 스위치(45b)와; 상기 축전지(26)에 축전된 직류전원을 전력회사(33)에 매도할 경우를 설정하는 방전스위치(46)와; 상기 히터(22)에 직류전원의 인가를 단속하는 히터 온/오프 스위치(47)와; 전원스위치(41)의 온/오프 상태, 온도증가 스위치(42a) 및 온도증가 스위치(42b)에 의해 설정된 온도 및 온도검출센서(25)에 의해 가열 물탱크(13) 내의 온수온도를 검출한 신호를 받아서 표시하는 표시수단(4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표시수단(48)은 7-세그먼트 표시기 또는 액정표시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발생 유니트(100)는 상기 직류모터(101)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열을 발생하도록 상기 샤프트(101a)에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101a)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열을 발생하는 다수개의 열발생 임펠러(1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열발생 임펠러(150)는 일정 각도를 두고 제1 유체배출구(151f)가 형성되고, 일정 각도를 두고 3개의 슬롯(151a,151b,151c)이 중심으로부터 원주방향을 향해서 일직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3개의 슬롯(151a,151b,151c) 중 원주방향의 슬롯(151b,151c)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평행하게 형성된 한쌍의 슬롯(151d,151e)이 각각 형성된 우측 원형판(151)과; 상기 우측 원형판(151)의 슬롯(151a,151b,151c)에 대응되게 3개의 슬롯(152a,152b,152c)이 형성되는 형성되고, 상기 3개의 슬롯(152a,152b,152c) 중 원주방향의 2개의 슬롯(152b,152c)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평행하게 형성된 한쌍의 슬롯(152d,152e)이 각각 형성된 좌측 원형판(152)과; 상기 우측 원형판(151)과 상기 좌측 원형판(152)이 일정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유체의 인입 및 배출을 규제하도록 상기 우측 원형판(151)에 각각 형성된 슬롯(151a,151b,151c)과 상기 좌측 원형판(152)에 각각 형성된 슬롯(152a,152b,152c)에 각각 끼워지도록 제1 내지 제3 돌기(153a,153b,153c)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ㄱ자 형상의 제1 간격유지부재(153)와; 상기 우측 원형판(151)과 상기 좌측 원형판(152)이 일정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유체의 인입 및 배출을 규제하도록 상기 우측 원형판(151)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슬롯(151d,151e)과 상기 좌측 원형판(152)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슬롯(152d,152e)에 각각 끼워지도록 제4 및 제5 돌기(154a,154b)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ㄴ자 형상의 제2 간격유지부재(154)와; 상기 좌측 원형판(152) 및 상기 우측 원형판(151)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중앙 관통공(부호 표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상기 좌측 원형판(152) 및 우측 원형판(151)에 순차적으로 끼워져서 유체와 충돌하여 열교환되도록 외주면에 요철부(155a)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우측 원형판(151)의 좌측면에 헤드부(155b)가 당접되며, 상기 우측 원형판(151)의 우측으로 돌출된 삼각형 형상 보스(155c)의 외주면에 스페이서(155d)가 끼워지며 나사부(155e)에 너트(155f)가 끼워지는 제2 결합부재(15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우측 원형판(151)과 상기 좌측 원형판(152) 사이에는 열교환실(100a) 내에 공급된 유체를 도입하여 가열하도록 ㄱ자 형상의 상기 제1 간격유지부재(153)와 ㄴ자 형상의 상기 제2 간격유지부재(154)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유체유입구(A)가 더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1 유체유입구(A)를 통해 도입되는 유체가 제2 결합부재(155)의 요철부(155a)에 충돌되면서 가열되어 상기 좌측 원형판(152)을 통과하면서 충돌됨에 따라 가열되어 좌측 원형판(152)의 좌측(도 3 및 도 5 참조)으로 배출된 가열 유체를 ㄱ자 형상의 상기 제1 간격유지부재(153)와 ㄴ자 형상의 상기 제2 간격유지부재(154)들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로 투입되도록 상기 좌측 원형판(152)에 제2 유체유입구(152f)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측 원형판(152)의 좌측에 유체의 가열을 효율을 증가시키도록 돌기부(152g)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측 원형판(151)에는 상기 좌측 원형판(152)에 형성된 상기 제2 유체유입구(152f)를 통해 ㄱ자 형상의 상기 제1 간격유지부재(153)와 ㄴ자 형상의 상기 제2 간격유지부재(154)들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로 투입된 가열 유체를 배출하도록 제1 유체배출구(151f)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 원형판(151)의 우측면에는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키도록 돌기(151g)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재(155)에는 상기 좌측 원형판(152) 및 우측 원형판(151)에 순차적으로 끼워져서 유체와 충돌하여 열교환되도록 외주면에 요철부(155a)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우측 원형판(151)의 좌측면에 헤드부(155b)가 당접되며, 상기 우측 원형판(151)의 우측으로 돌출된 삼각형 형상 보스(155c)의 외주면에 스페이서(155d)가 끼워지며 나사부(155e)에 너트(155f)가 끼워져 있음과 동시에, 상기 직류모터(101)의 축(101a)에 제1 결합부재(111)를 개재하여 샤프트(101a)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우측 원형판(151)과 상기 좌측 원형판(152)은 서로 같은 형상을 이루는 대칭 구조이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113a는 상기 열발생 유니트(150)의 좌측을 지지하는 받침대이고, 113b는 상기 열발생 유니트(150)의 좌측을 지지하는 받침대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분배스위치(43)의 슬라이더(43a)가 M에 설정되고 절환스위치(5)가 C방향 또는 C·D방향으로 절환되었을 경우에 상기 분배기(3)에서 분배되는 직류전원을 직류모터(101)에서 받아 P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직류모터(101)의 회전에 연동되어 샤프트(101a)가 P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샤프트(101a)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개의 상기 열발생 임펠러(150)가 회전되면서 열을 발생하여 열발생 유니트(100)에 도입되어 있는 유체(공기, 열매체, 냉매 또는 물 등)를 가열한다.
상기 열발생 유니트(100)에서 따뜻하게 가열된 유체는 상기 열발생 유니트(100)에 형성된 가열유체 배출구(100c)를 통해서 배출되어 판형 열교환기(11)의 외주면을 순환하면서 상기 판형 열교환기(11) 내에 주입된 물을 따뜻하게 가열한 후에, 온도가 떨어진 유체는 유체도입구(100d)를 통해 상기 열발생 유니트(100)에 도입되어 다시 따뜻하게 가열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판형 열교환기(11) 내에서 가열된 온수는 상기 판형 열교환기(11)의 제1 온수배출구(11a)에서 배출된 가열 온수는 제1 밸브(16b) 및 가열 물탱크(13)의 제1 온수도입구(13a)를 통해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한다.
또한, 상기 판형 열교환기(11) 내에 주입되어 따뜻하게 가열된 온수는 상기 판형 열교환기(11)의 제2 온수배출구(11b)에서 제2 밸브(14a)를 통해 샤워기(14)에 배출되어 샤워용 온수로 일부가 사용되고, 나머지 가열 온수는 제1 펌프(16a)의 펌핑에 의해 가열 물탱크(13) 내에 설치된 가열용 온수배관(16)을 순환하면서 가열 물탱크(13) 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고, 온도가 떨어진 물은 상기 제1 펌프(16a)를 통해 상기 판형 열교환기(11)의 제1 물도입구(11c)를 통해 상기 판형 열교환기(11)에 도입되어 다시 가열한다.
이때, 가열 물탱크(13) 내의 물은 제4 펌프(25a)의 펌핑에 의해 제4 물배출구(13e)에서 배출되어 상기 제4 펌프(25a)를 통해 상기 판형 열교환기(11)의 제2 물도입구(11d)를 통해 상기 판형 열교환기(11) 내로 도입되어 다시 가열된다.
또한,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에 저장된 물은 태양열 수집판(18)에서 수집된 열에 의해 가열용 냉매배관(20 ; 또는 열매체) 내에 도입된 냉매 또는 열매체를 따뜻하게 가열된 후에 제2 펌프(24a)의 펌핑에 의해 상기 가열용 냉매배관(20) 내를 순환하면서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에 저장된 물을 더욱 따뜻하게 가열한 후 온도가 떨어진 냉매 또는 열매체는 제3 밸브(20b)를 통해 상기 태양열 수집판(18)의 주변에 배성된 배관(부호 표시하지 않음)으로 배출되어 상기 태양열 수집판(18)에 수집된 열에 의해 다시 가열되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용 냉매배관(20) 내로 다시 순환된다.
또한,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에 저장된 물은 상기 분배스위치(43)의 슬라이더(43a)가 M에 설정되고, 상기 절환 스위치(5)가 D방향 또는 C·D방향으로 절환되었을 경우에 상기 분배기(3) 및 상기 절환 스위치(5)의 C·D방향에서 인가되는 직류전원이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에 설치된 히터(22)에 인가되어 상기 히터(22)가 열을 방사하여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에 저장된 물을 더욱 따뜻하게 가열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에 저장된 물이 더욱 따뜻하게 가열된 온수는 제3펌프(24a)의 팜핑에 의해 상기 가열 물탱크(13)의 제3 온수 배출구(13d)에서 온수가 배출되어 상기 제3펌프(24a) 및 제4 밸브(24b)를 통해서 난방용 배관(24)을 순환하면서 라디에이터 또는 난방용 배관(24)을 따뜻하게 가열하고, 온도가 떨어진 난방수는 상기 가열 물탱크(13)의 물도입구(13b)를 통해서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로 도입되어 다시 가열된다.
한편, 상기 태양열 모듈(1)에서 발전된 직류전원을 전력회사(33)에 납품하고 싶을 경우에는 상기 분배기(5)의 분배스위치(43)의 슬라이더(43a)를 N에 설정하면 태양광 모듈(1)에서 발전된 직류전원을 승압트랜스포머(37)에서 받아 일정 레벨로 승압하고, 상기 승압트랜스포머(37)에서 일정 레벨로 승압된 DC/AC컨버터(30)에서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적산 전력계(31)를 통해 전력회사(33)에 납품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니트(40)의 방전 스위치(46)를 스위칭 온하면 상기 제어 유니트(40)에서 전류가 릴레이코일(RY1)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릴레이의 가동접점(a)이 고정접점(b)에 접속되어 축전지(26)에 축전된 직류전원을 승압트랜스포머(37)에서 받아서 상기 승압트랜스포머(37)에서 일정 레벨로 승압된 DC/AC컨버터(30)에서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적산 전력계(31)를 통해 전력회사(33)에 납품할 수 있다.
그리고, 장시간 동안 상기 태양광 모듈(1)에서 직류전원을 발전할 수 없을 경우에는 상기 전력회사(33)의 적산 전력계(31)를 통해 교류전원을 AC/DC컨버터(35)에서 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AC/DC컨버터(35)에서 직류전원으로 변환된 직류전원은 다운트랜스포머(37)에서 일정레벨로 다운하여 절환스위치(5)의 E단자를 통해서 절환스위치(5)를 C방향 또는 CD방향으로 절환하여 축전지(26)에 축전할 수도 있으며, 직류모터(101)를 회전시킬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에 설치된 히터(22)에 직류전원을 인가되어 상기 히터(22)가 열을 방사함에 따라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에 저장된 물을 따뜻하게 가열할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유니트(40)의 전원스위치(41)를 스위칭 온하면, 전원스위치(41)가 스위칭 온되었음을 표시수단(48)에 표시하고, 온도증가스위치(42a)와 온도감소스위치(42b)에 의해 설정된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에 저장된 물의 가열 온도를 표시수단(48)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48)은 정회전 설정 스위치(45a)에 의해 설정된 상기 직류모터(101)가 정회전되고 있음을 표시하고, 역회전 설정 스위치(45b)에 의해 설정된 상기 직류모터(101)가 역회전되고 있음을 표시하고, 분배스위치(43)의 슬라이더(43a)가 M의 위치에 설전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1)에서 발전된 직류전원이 축전지(6)를 축전하거나 또는 상기 직류모터(101)가 구동되고 있음을 표시하고, 또한 히터(22)에 직류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1)에서 발전된 직류전원을 온수용(또는 난방용) 또는 전력회사(33)에 매도할 것인지를 분배스위치(43)에 의해 설정하면, 상기 표시수단(48)에 온수용(또는 난방용) 또는 전력회사(33)에 매도함을 표시되고, 온도검출센서(25)에 의해 가열 물탱크(13) 내의 온수온도를 검출한 신호를 받아서 상기 표시수단(48)에 표시한다.
유체도입관(102)을 통해서 열교환 유니트(100)의 열교환실(100a) 내에 유체를 공급한 다음, 직류모터(101)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직류모터(101)가 특정방향(예를 들면 화살표 P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직류모터(101)의 축에 제1 결합부재(111)를 개재하여 샤프트(101a)가 회전되기 시작한다.
샤프트(101a)가 회전되기 시작되면서 상기 샤프트(101a)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되게 각각 병렬로 배설된 다수개의 열발생 임펠러(150)가 상기 직류모터(101)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열발생 임펠러(150)의 우측 원형판(151) 및 좌측 원형판(151) 사이에 배설된 ㄱ자 형상의 제1 간격유지부재(153)과 ㄴ자 형상의 제2 간격유지부재(154)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제1 유체유입구(A)를 통해서 상기 열교환실(100a) 내에 공급된 유체를 흡입한다.
상기 열발생 임펠러(150)에 각각 형성된 제1 유체유입구(A)를 통해서 흡입된 유체는 상기 샤프트(101a)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샤프트(101a)에 설치된 상기 열발생 임펠러(150)가 함께 회전되므로, 상기 열발생 임펠러(150)로부터 고온의 열이 방사됨에 따라 상기 제1 간격유지부재(153), 제2 간격유지부재(154) 및 제2 결합부재(155)에 형성된 요철부(155a)와 충돌함에 따라 가열되면서 상기 열발생 임펠러(150)의 제2 결합부재(155)와 상기 열발생 임펠러(150)의 좌측 원형판(152)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상기 열발생 임펠러(150)의 좌측 원형판(152) 좌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열발생 임펠러(150)의 좌측 원형판(152) 좌측으로 배출된 가열된 유체는 상기 좌측 원형판(152) 좌측에 돌출형성된 돌기부(152g)에도 충돌하면서 더욱 가열되어 상기 좌측 원형판(152)에 일정 각도를 두고 형성된 제2 유체유입구(152f)를 통해 상기 좌측 원형판(152)과 상기 우측 원형판(151) 사이에 제1 간격유지부재(153)와 제2 간격유지부재(154)에 의해 각각 형성된 공간 내로 투입되어 상기 우측 원형판(151)에 형성된 제1 유체배출구(151f)를 통해서 다음의 상기 좌측 원형판(152)으로 배출되며, 이와 같이 반복적으로 동작함에 따라 고온으로 가열된 유체는 가열유체 배출구(100c)를 통해 배출되어 판형 열교환기(11) 외주면을 순환하면서 상기 판형 열교환기(11) 내에 도입되어 있는 물을 따뜻하게 가열한다.
상기 직류모터(101)를 P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분자의 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며, 이 열에너지가 상기 열발생 임펠러(150)에 축적되며, 상기 열발생 임펠러(150)의 좌측 원형판(152) 및 우측 원형판(151)와 사이에 형성된 제1 유체유입구(A)를 통해 도입되는 유체가 제2 결합부재(155)의 요철부(155a) 및 돌기부(152g) 등에 충돌되면서 유체가 가열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는 태양광발전기로 발전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보일러를 구동시켜서 열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고, 난방용 열에너지를 저렴하게 생상할 수 있으며, 친환경 열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와 같이 설계 변경하는 것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1:태양광 발전모듈 3:분배기
5:절환스위치 11:판형 열교환기
11a:제1 온수배출구 11b:제2 온수배출구
11c:제1 온수도입구 11d:제2 물도입구
13:가열 물탱크 13a:제1 온수도입구
13b:제3 물도입구 13c:제4 물배출구
13d:제3 온수배출구 14:샤워기
14a:제2 밸브 16:가열용 온수배관
16a:제1 펌프 16b:제1 밸브
18:태양열 수집판 20a:제2 펌프
20:가열용 열매체배관 20b:제3 밸브
43:분배스위치 43a:슬라이더
22:히터 24:난방용 배관
24a:제3 펌프 24b:제4 밸브
25:온도검출센서 25a:제4 펌프
26:축전지 28:승압트랜스포머
30:DC/AC 컨버터 31:적산전력계
33:전력회사 35:AC/DC컨버터
37:다운트랜스포머 40:제어 유니트
41:전원스위치 42a:온도증가스위치
42b:온도감소스위치 43:분배스위치
43a:슬라이더 45a:정회전 설정 스위치
45b:역회전 설정 스위치 46:방전스위치
47:히터 온/오프 스위치 48:표시수단
100:열발생 유니트 100a:열교환실
100c:가열유체 배출구 100d:유체 도입구
101:직류모터 101a:샤프트
150:열발생 임펠러 151:우측 원형판
151a,151b,151c:슬롯 151d,151e:슬롯
151f:제1 유체배출구 151g:돌기
152:좌측 원형판 152a,152b,152c:슬롯
152d,152e:슬롯 152f:제2 유체유입구
153:제1 간격유지부재 153a:제1 돌기
153b:제2 돌기 153c:제3 돌기
154:제2 간격유지부재 154a:제4 돌기
154b:제5 돌기 155:제2 결합부재
155a:요철부 155b:헤드부
155c:보스 155d:스페이서
155e:나사부 155g:관통구멍
155f:너트 152g:돌기부

Claims (5)

  1. 태양광을 받아서 직류전원을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모듈(1)과;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1)에서 발전한 직류전원을 분배하는 분배기(3)와;
    분배스위치(43)의 슬라이더(43a)가 M에 설정되고 절환스위치(5)가 C방향 또는 C·D방향으로 절환되었을 경우에 상기 분배기(3)에서 분배되는 직류전원을 받아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직류모터(101)와;
    상기 직류모터(101)의 샤프트(101a)가 결합되어 상기 직류모터(101)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열교환실(100a) 내에 도입된 유체를 가열하는 열발생 유니트(100)와;
    상기 열발생 유니트(100)의 열교환실(100a)에서 가열된 가열유체를 가열유체 배출구(100c)를 통해 배출되어 순환된 후 온도가 떨어진 가열유체를 상기 열교환실(100a)의 유체 도입구(100d)를 통해 상기 열교환실(100a)로 도입될 동안에 내부의 충진된 물을 따뜻하게 가열하는 판형 열교환기(11)와;
    물도입구를 통해 온수 및 난방수로 사용하도록 가열할 물을 저장하고, 상기 판형 열교환기(11)의 제1 온수배출구(11a)에서 배출되는 가열 온수를 제1 온수도입구(13a)를 통해 도입되어 다시 가열하도록 저장하는 가열 물탱크(13)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11)의 제2 온수배출구(11b)에서 배출되는 가열 온수의 일부는 샤워할 수 있도록 온수를 배출하는 샤워기(14)와;
    상기 가열 물탱크(13)에 설치되어 상기 판형 열교환기(11)의 제2 온수배출구(11b)에서 배출되는 가열 온수의 나머지는 제1 펌프(16a)의 펌핑에 따라 순환되면서 상기 가열 물탱크(13)에 저장된 온수용 및 난방용 물을 가열한 후에 온도가 떨어진 물을 상기 판형 열교환기(11)의 제1 물도입구(11c)를 통해 도입하도록 배출하는 가열용 온수배관(16)과;
    상기 가열 물탱크(13)에 설치되어 태양열 수집판(18)에서 수집된 열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를 제2 펌프(20a)의 펌핑에 의해 순환되면서 상기 가열 물탱크(13)에 저장된 온수용 및 난방용 물을 가열한 후에 온도가 떨어진 열매체를 다시 가열하도록 상기 태양열 수집판(18) 측으로 순환시키는 가열용 열매체배관(20)과;
    상기 분배기(3)에서 분배되는 직류전원을 분배스위치(43)의 슬라이더(43a)가 M에 설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에 저장된 온수용 및 난방용 물을 가열하도록 직류전원을 받아 열을 방사하는 히터(22)와;
    상기 가열 물탱크(13)내에서 가열된 온수를 제3 펌프(24a)의 펌핑에 의해 제3 온수배출구(13d)에서 배출되어 라디에이터 또는 난방용 배관(24)을 가열한 후에 온도가 떨어진 물을 다시 가열하도록 제3 물도입구(13b)를 통해 상기 가열 물탱크(13)에 도입하는 난방용 배관(24)과;
    상기 가열 물탱크(13)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25)와;
    상기 분배스위치(43)의 슬라이더(43a)가 M에 설정되고, 절환스위치(5)가 C방향 또는 C·D방향으로 절환되었을 경우에 상기 분배기(3)에서 분배되는 직류전원을 받아 직류전원을 축전하는 축전지(26)와;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3)는 상기 제어유니트(40)의 분배스위치(43)의 슬라이더(43a)가 N에 위치할 때에 상기 태양광 모듈(1)에서 발전된 직류전원을 전력회사(33)에 납품하기 위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1)에서 발전된 직류전원을 받거나 또는 상기 축전지(26)에 축전된 직류전원을 받아서 일정 레벨로 승압하는 승압트랜스포머(28)와;
    상기 승압트랜스포머(28)에서 일정 레벨로 승압된 직류전압을 받아 교류전원으로 변환해서 적산전력계(31)를 통해서 전력회사(33)에 출력하는 하는 DC/AC 컨버터(30)와;
    상기 태양광 모듈(1)에서 직류전원을 발전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전력회사(33)에서 발전한 교류전원을 상기 적산전력계(31)를 통해 받아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컨버터(35)와;
    상기 AC/DC컨버터(35)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받아서 일정 레벨로 다운하여 상기 축전지(26)에 축전하거나 또는 상기 절환스위치(5)에 출력하여 상기 직류모터(101) 또는 상기 가열물탱크(13) 내에 설치된 히터(22)에 인가하는 다운트랜스포머(3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유니트(100)는 상기 직류모터(101)의 샤프트(101a)에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101a)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열을 발생하는 다수개의 열발생 임펠러(15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열발생 임펠러(150)는 일정 각도를 두고 제1 유체배출구(151f)가 형성되고, 일정 각도를 두고 3개의 슬롯(151a,151b,151c)이 중심으로부터 원주방향을 향해서 일직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슬롯(151a,151b,151c) 중 원주방향의 슬롯(151b,151c)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평행하게 형성된 한쌍의 슬롯(151d,151e)이 각각 형성된 우측 원형판(151)과;
    상기 우측 원형판(151)의 슬롯(151a,151b,151c)에 대응되게 3개의 슬롯(152a,152b,152c)이 형성되는 형성되고, 상기 3개의 슬롯(152a,152b,152c) 중 원주방향의 2개의 슬롯(152b,152c)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평행하게 형성된 한쌍의 슬롯(152d,152e)이 각각 형성된 좌측 원형판(152)과;
    상기 우측 원형판(151)과 상기 좌측 원형판(152)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우측 원형판(151)에 각각 형성된 슬롯(151a,151b,151c)과 상기 좌측 원형판(152)에 각각 형성된 슬롯(152a,152b,152c)에 각각 끼워지도록 제1 내지 제3 돌기(153a,153b,153c)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ㄱ자 형상의 제1 간격유지부재(153)와;
    상기 우측 원형판(151)과 상기 좌측 원형판(152)이 일정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유체의 인입 및 배출을 규제하도록 상기 우측 원형판(151)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슬롯(151d,151e)과 상기 좌측 원형판(152)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슬롯(152d,152e)에 각각 끼워지도록 제4 및 제5 돌기(154a,154b)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ㄴ자 형상의 제2 간격유지부재(154)와;
    상기 좌측 원형판(152) 및 상기 우측 원형판(151)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중앙 관통공을 통해서 상기 좌측 원형판(152) 및 우측 원형판(151)에 순차적으로 끼워져서 유체와 충돌하여 열교환되도록 외주면에 요철부(155a)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우측 원형판(151)의 좌측면에 헤드부(155b)가 당접되며, 상기 우측 원형판(151)의 우측으로 돌출된 삼각형 형상 보스(155c)의 외주면에 스페이서(155d)가 끼워지며 나사부(155e)에 너트(155f)가 끼워지는 제2 결합부재(155);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발생 임펠러(150)는 일정 각도를 두고 제1 유체배출구(151f)가 형성되고, 일정 각도를 두고 3개의 슬롯(151a,151b,151c)이 중심으로부터 원주방향을 향해서 일직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슬롯(151a,151b,151c) 중 원주방향의 슬롯(151b,151c)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평행하게 형성된 한쌍의 슬롯(151d,151e)이 각각 형성된 우측 원형판(151)과;
    상기 우측 원형판(151)의 슬롯(151a,151b,151c)에 대응되게 3개의 슬롯(152a,152b,152c)이 형성되는 형성되고, 상기 3개의 슬롯(152a,152b,152c) 중 원주방향의 2개의 슬롯(152b,152c)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평행하게 형성된 한쌍의 슬롯(152d,152e)이 각각 형성된 좌측 원형판(152)과;
    상기 우측 원형판(151)과 상기 좌측 원형판(152)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우측 원형판(151)에 각각 형성된 슬롯(151a,151b,151c)과 상기 좌측 원형판(152)에 각각 형성된 슬롯(152a,152b,152c)에 각각 끼워지도록 제1 내지 제3 돌기(153a,153b,153c)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ㄱ자 형상의 제1 간격유지부재(153)와;
    상기 우측 원형판(151)과 상기 좌측 원형판(152)이 일정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유체의 인입 및 배출을 규제하도록 상기 우측 원형판(151)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슬롯(151d,151e)과 상기 좌측 원형판(152)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슬롯(152d,152e)에 각각 끼워지도록 제4 및 제5 돌기(154a,154b)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ㄴ자 형상의 제2 간격유지부재(154)와;
    상기 좌측 원형판(152) 및 상기 우측 원형판(151)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중앙 관통공을 통해서 상기 좌측 원형판(152) 및 우측 원형판(151)에 순차적으로 끼워져서 유체와 충돌하여 열교환되도록 외주면에 요철부(155a)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우측 원형판(151)의 좌측면에 헤드부(155b)가 당접되며, 상기 우측 원형판(151)의 우측으로 돌출된 삼각형 형상 보스(155c)의 외주면에 스페이서(155d)가 끼워지며 나사부(155e)에 너트(155f)가 끼워지는 제2 결합부재(155);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원형판(151)과 상기 좌측 원형판(152) 사이에는 열교환실(100a) 내에 공급된 유체를 도입하여 가열하도록 ㄱ자 형상의 상기 제1 간격유지부재(153)와 ㄴ자 형상의 상기 제2 간격유지부재(154)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유체도입구(A)가 더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1 유체도입구(A)를 통해 도입되는 유체가 제2 결합부재(155)의 요철부(155a)에 충돌되면서 가열되어 상기 좌측 원형판(152)을 통과하면서 충돌됨에 따라 가열되어 좌측 원형판(152)의 좌측으로 배출된 가열 유체를 ㄱ자 형상의 상기 제1 간격유지부재(153)와 ㄴ자 형상의 상기 제2 간격유지부재(154)들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로 투입되도록 상기 좌측 원형판(152)에 제2 유체유입구(152f)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측 원형판(152)의 좌측에 유체의 가열을 효율을 증가시키도록 돌기부(152g)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
KR1020120069993A 2012-06-28 2012-06-28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 KR101329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993A KR101329398B1 (ko) 2012-06-28 2012-06-28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993A KR101329398B1 (ko) 2012-06-28 2012-06-28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882A true KR20120090882A (ko) 2012-08-17
KR101329398B1 KR101329398B1 (ko) 2013-11-14

Family

ID=4688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993A KR101329398B1 (ko) 2012-06-28 2012-06-28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3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121B1 (ko) * 2013-04-30 2013-07-10 유한회사 이티 축열식 보일러
KR101384519B1 (ko) * 2012-08-21 2014-04-14 주식회사 스페샬화인 소방서 친환경 에너지 관리시스템
KR102399581B1 (ko) * 2021-11-05 2022-05-18 주식회사 금철 하이브리드형 친환경 보일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898B1 (ko) * 2012-09-25 2014-01-02 김대식 3상 모터를 이용한 온수보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519B1 (ko) * 2012-08-21 2014-04-14 주식회사 스페샬화인 소방서 친환경 에너지 관리시스템
KR101284121B1 (ko) * 2013-04-30 2013-07-10 유한회사 이티 축열식 보일러
KR102399581B1 (ko) * 2021-11-05 2022-05-18 주식회사 금철 하이브리드형 친환경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398B1 (ko)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398B1 (ko) 태양광발전기를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
CN102374689B (zh) 太阳能光伏空调冷热机组
US20040007879A1 (en) End point power production
KR20170105257A (ko) 지열과 태양광 연계 제어를 통한 냉난방 온수 보일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10105235A (ko) 멀티 에너지 시스템
CA2997792C (en) Solar fueling station
KR20090093856A (ko) 발전 겸용 급탕 시스템
KR101391611B1 (ko) 태양에너지와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복합 발전장치
KR101316491B1 (ko) 친환경 열에너지 발생장치
GB2387641A (en) Combined heat and power unit
CN103401478A (zh) 一种燃气燃烧热发电与供电的装置
DK179466B1 (en) Portable Heating Apparatus
KR101346959B1 (ko) Bldc 모터를 이용한 온수보일러
JP6036016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システム
CN202229460U (zh) 太阳能光伏空调冷热机组
JP2010270660A (ja) 発電装置およびこの発電装置を備えるエネルギー回収システム
RU2494312C1 (ru) Агрегатированная горелка
CN220931094U (zh) 低温余热发电装置
KR200405185Y1 (ko) 전기보일러용 가열장치
CN202503424U (zh) 太阳能光伏发电系统水冷装置
EP2499433A2 (en) Energy efficient heating installation
ES2753221B2 (es) Circuito electrico para alimentacion de bombas centrifugas
CN106257047A (zh) 一种水能源冷热风机组及其发电装置
KR20140111563A (ko) 회전 발열기
KR20130076631A (ko) 열병합 발전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