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820A -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820A
KR20120090820A KR1020120011096A KR20120011096A KR20120090820A KR 20120090820 A KR20120090820 A KR 20120090820A KR 1020120011096 A KR1020120011096 A KR 1020120011096A KR 20120011096 A KR20120011096 A KR 20120011096A KR 20120090820 A KR20120090820 A KR 20120090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adhesive
polyolefin
adhesive layer
hydrox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이세끼
준 이와따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0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1Methods or arrangement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atteries o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imary Cel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 및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이며, 점착제층이 폴리올레핀(a),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 및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가교제(c)를 포함하는 점착제로 형성되는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ADHESIVE TAPE FOR NON-AQUEOUS BATTERY}
본 발명은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란, 비수계 전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를 의미하고, 「비수계 전지」란, 비수계 전해액이 밀봉되어 있는 전지를 의미한다.
리튬 이온 전지 등의 비수계 전지의 제조에서는, 코어 고정용, 전극 취출구의 절연용, 단자 고정용 또는 스페이서 절연용 등을 위해서, 전지 케이스 내에서의 전극의 패킹 적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또는 극판에 존재하는 버어(burr)가 세퍼레이터를 관통하는 것에 의한 전극 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점착 테이프가 사용된다. 이러한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 또는 천연 고무계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이하, 각각을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 또는 「천연 고무계 점착 테이프」라고도 약칭하는 경우가 있음)가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에서는, 기재로부터 점착제층이 밀려나오는 현상(소위 점착제 압출)이 문제가 된다. 상세하게는, 점착제 압출의 결과,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관능기, 또는 천연 고무계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이중 결합이, 때때로 전해액 중의 전해질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서, 비수계 전지의 열화를 일으킨다. 이러한 전지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폴리이소부틸렌 고무 및 포화 탄화수소 수지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폴리프로필렌 필름 기재 면에 갖는 전지용 점착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점착제(특히 폴리이소부틸렌 등의 고무를 함유하는 고무계 점착제)는 일반적인 기재(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기재, 폴리올레핀 기재)에 대한 점착성이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하, 「기재에 대한 점착성」을 「투묘성(anchor property)」이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음). 투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고무계 점착제층과 기재(지지체) 사이에 하도층을 개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9-16555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4-370179호 공보
점착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기재에 점착제 용액을 도포하고, 가열 건조에 의해 용매를 제거하여 기재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얻어진 점착 테이프를 롤로 권취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이러한 권취 시에는, 점착 테이프에 잔류 연신(elongation)이 발생할 것이다. 그 결과,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에서는, 잔류 연신에 의해 코어를 향해서 응력이 발생하여, 중심부가 압출되어 있는, 죽순과 같은 형상(현미경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죽순 현상이라고 불린다.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에 가교 구조가 없는 경우(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점착 테이프), 하기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는 죽순 현상에 의해 변형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계 점착제는 투묘성이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도층을 설치하는 것은, 그를 위한 공정 및 설비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의 죽순 현상에 의한 변형이 유효하게 방지되고, 하도층이 없더라도 점착제층이 기재에 충분히 부착되어 있는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폴리올레핀(a),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 및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가교제(c)를 함유하는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발견에 기초하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기재 및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이며,
점착제층이, 폴리올레핀(a),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 및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가교제(c)를 포함하는 점착제로 형성되는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2] 가교제(c)가 이소시아네이트인 상기 [1]에 기재된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3] 점착제 중의 가교제(c)의 함유량이,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50중량부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4] 하기 수학식 I로 표시되는 A값이 0.25 내지 14250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수학식 I>
A =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의 수산기값(mg KOH/g) ×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한 점착제 중의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의 중량부수
[5] 폴리올레핀(a)이 프로필렌, 부텐, 헥센 및 옥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중합체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6] 점착제층의 두께가 1 내지 100μm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7]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르보네이트의 중량비가 1:1인 전해액으로 추출했을 때의 점착제층의 겔 분율이, 75% 이상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8] 찌르기(piercing) 강도가 300gf 이상을 나타내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본 발명의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는, 죽순 현상에 의한 변형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양호한 투묘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는,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기 때문에,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 및 천연 고무계 점착 테이프에 비하여, 비수계 전지에 대한 악영향이 적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테이프의 투묘성 평가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에서 기재로부터 점착제층을 박리하는 방식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의 죽순 변형률 평가에 있어서, 측정을 위해서 사용된 ABS판을 도시하는 개략도(도 2의 (a)), 보관 전의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의 전체 폭(A0)을 도시하는 개략도(도 2의 (b)) 및 보관 후의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의 전체 폭(A1)을 도시하는 개략도(도 2의 (c)).
도 3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테이프의 찌르기 강도의 측정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본 발명의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는 기재 및 점착제층을 갖는다. 우선,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의 각 성분[폴리올레핀(a),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 가교제(c) 및 임의 성분]을 설명하고, 계속해서 점착제층 및 기재를 설명한다.
[폴리올레핀(a)]
점착제는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a)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올레핀」이란, 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의미하고, 「올레핀」에는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된 「중합체」란,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둘 다를 가리킨다. 폴리올레핀(a)은, 다른 성분과 함께 유기 용매 중의 용액으로서 기재에 도포 가능한 한, 임의의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a)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및 C4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단량체로부터 형성되는 α-올레핀 단독중합체를 들 수 있다. C4 -20의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어 1-부텐, 1-펜텐, 3-메틸-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등을 들 수 있다. α-올레핀 단독중합체로서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좁은 의미의 폴리프로필렌)가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몰퍼스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a)의 다른 예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C4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두 개의 단량체로 형성되는 α-올레핀 공중합체를 들 수 있으며, 에틸렌을 주 단량체로 포함하는 공중합체(즉, 에틸렌계 α-올레핀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을 주 단량체로 포함하는 공중합체(즉, 프로필렌계 α-올레핀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α-올레핀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및 그래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에틸렌계 α-올레핀 공중합체의 에틸렌 구성 단위량은, 예를 들어 50 내지 95몰%,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몰%이다. 에틸렌계 α-올레핀 공중합체에 함유되는 α-올레핀 구성 단위로서는, 1-부텐, 프로필렌, 1-헥센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로부터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에틸렌계 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는, 에틸렌 및 1-부텐 이외에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10몰% 이하로 함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 이외에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10몰% 이하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전이 금속 촉매 성분(예를 들어, 바나듐 화합물, 지르코늄 화합물)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촉매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α-올레핀을 공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프로필렌계 α-올레핀 공중합체의 프로필렌 구성 단위량은, 예를 들어 50몰% 초과 95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몰%이다. 프로필렌계 α-올레핀 공중합체에 함유되는 α-올레핀 구성 단위로서는, 에틸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프로필렌계 α-올레핀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이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및 에틸렌 이외에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10몰% 이하로 함유할 수 있다. 프로필렌계 α-올레핀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제2000-19186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탈로센계 촉매를 사용해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α-올레핀 공중합체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계 α-올레핀 공중합체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타프머(TAFMER) P 시리즈 및 타프머 A 시리즈(모두 미쯔이 케미컬즈, 인코포레이티드(Mitsui Chemicals, Inc.)제), 인게이지(ENGAGE)(다우 케미컬 컴파니(Dow Chemical Co.)제)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계 α-올레핀 공중합체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타프머 XM 시리즈(미쯔이 케미컬즈, 인코포레이티드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a)으로서, 폴리메틸펜텐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메틸펜텐으로서는, 4-메틸-1-펜텐의 단독중합체 및 4-메틸-1-펜텐과 그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메틸펜텐 공중합체의 4-메틸-1-펜텐 구성 단위량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5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몰%이다. 폴리메틸펜텐은 결정성 중합체일 수 있다. 폴리메틸펜텐 공중합체 중의 α-올레핀 구성 단위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1-데센, 1-테트라데센 또는 1-옥타데센 등의 C2 -20의 α-올레핀에서 유래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4-메틸-1-펜텐과의 양호한 공중합성을 나타내는 1-데센, 1-테트라데센 및 1-옥타데센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메틸펜텐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TPX-S(4-메틸펜텐-1-α-올레핀 공중합체, 미쯔이 케미컬즈, 인코포레이티드제)를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a)은, 유기 용매에 용해하는 폴리이소프렌 및 폴리부타디엔 등의 디엔계 고무의 임의의 수소 첨가물일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a)으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 비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이하, 「방향족 비닐 화합물 단위」라고도 약칭하는 경우가 있음)로 주로 구성되는 블록 A와, 이소프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이하, 「이소프렌 단위」라고도 약칭하는 경우가 있음) 및 1,3-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이하, 「1,3-부타디엔 단위」라고도 약칭하는 경우가 있음)로 이루어지는 블록 B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하, 「수소 첨가 TPE」로도 약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t-부틸스티렌, N,N-디메틸-p-아미노에틸스티렌, N,N-디에틸-p-아미노에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비닐피리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2종 이상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은 블록 A 중에서 블록 구조 또는 랜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블록 A는, 주로 방향족 비닐 화합물 단위로 구성되고, 이소프렌 또는 부타디엔 등의 디엔계 탄화수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디엔계 탄화수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량은, 블록 A 중에 2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이 20중량%를 초과하면,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저하된다. 그 결과, 점착 테이프의 피착체에 대한 접합이 한번의 시도로 완료되지 않고, 점착 테이프를 박리하여 다시 접합할 때에, 점착제층의 일부 또는 전부가 피착체에 잔류하는 현상(소위, 점착제 잔여)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들 디엔계 탄화수소는, 블록 A 중에서 블록 구조 또는 랜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블록 B는, 이소프렌 단위 및 1,3-부타디엔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소프렌 및 1,3-부타디엔의 중합 형태는, 랜덤 공중합, 블록 공중합 및 테이퍼진(tapered) 블록 공중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소프렌 단위 및 1,3-부타디엔 단위 각각의 에틸렌성 이중 결합은 수소 첨가되고, 그 수소 첨가율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 첨가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7% 이상이다. 수소 첨가율이 90% 미만인 경우에는, 비수계 전지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수소 첨가 TPE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수소 첨가 TPE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구라레이 컴파니(Kuraray Co.)제의 셉톤(SEPTON) 4030(스티렌-1,3-부타디엔-이소프렌-스티렌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공중합체 중의 스티렌 구성 단위량: 13중량%; 1,3-부타디엔-이소프렌-블록 중의 1,3-부타디엔 구성 단위량: 45중량%) 및 셉톤 4033(스티렌-1,3-부타디엔-이소프렌-스티렌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공중합체 중의 스티렌 구성 단위량: 30중량%; 1,3-부타디엔-이소프렌 블록 중의 1,3-부타디엔 구성 단위량: 50중량%)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a)으로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비수계 전지의 성능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수소 첨가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소 첨가물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SEB),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SEP), 스티렌-부틸렌 공중합체 등의 AB형 디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스티렌-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스티렌(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스티렌(SEPS), 스티렌-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스티렌-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SEBSEB), 스티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ABA형 트리블록 공중합체 또는 ABAB형 테트라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스티렌-에틸렌-부틸렌 랜덤 공중합체(HSBR)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등의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스티렌-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올레핀 결정(SEBC) 등의 ABC형 스티렌-올레핀 결정계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수소 첨가 TPE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혼합물을 폴리올레핀(a)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은 수소 첨가 TPE 및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합계 중,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이다. 이 함유량이 50중량% 이하이면, 재접합 시에 피착체에 대한 점착제 잔여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a)으로서는 이소부틸렌계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소부틸렌계 중합체는 이소부틸렌 단독중합체 또는 이소부틸렌 공중합체(즉, 이소부틸렌과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중의 이소부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량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이다. 이소부틸렌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부틸렌과 n-부틸렌의 랜덤 공중합체, 및 이소부틸렌과 이소프렌의 공중합체(레귤러 부틸 고무, 염소화 부틸 고무, 브롬화 부틸 고무, 부분 가교 부틸 고무 등), 및 이들의 가황물 및 변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이소부틸렌계 중합체로서 단독중합체인 폴리이소부틸렌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a)은,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부텐(부틸렌이라고도 알려져 있음), 헥센 및 옥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중합체(이하, 「폴리올레핀(a-1)」이라고 기재함)이다. 부텐, 헥센 및 옥텐은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a-1)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a-1)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협의의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계 α-올레핀 공중합체, 수소 첨가 TPE,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폴리프로필렌), 수소 첨가 TPE 및 이소부틸렌계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프로필렌 단독중합체(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이소부틸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a)의 수 평균 분자량(Mn)은,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1,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내지 800,000이다. 수 평균 분자량이 3,000 미만이면, 응집력이 저하하고, 테이프의 재접합 시에 피착체에 대하여 점착제 잔여가 잔류하는 경우가 있다. 수 평균 분자량이 1,000,000을 초과하면, 점착력이 감소하여, 원하는 점착력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폴리올레핀(a)의 함유량은, 점착제 중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9.9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9.5중량%이다. 이 함유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점착력이 감소하여, 원하는 점착력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함유량이 99.95중량%를 초과하면, 기재에 대한 점착성이 나빠질 수 있다. 함유량 계산 시에 기준이 되는 「점착제」 중에는, 유기 용매의 양은 포함되지 않는다.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
점착제는 1종 이상의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을 함유한다.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은, 점착제층의 형성 시에 가교제(c)와 반응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으로서는, 폴리올레핀과의 상용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의 수 평균 분자량(Mn)은,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5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 내지 150,000이다.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의 수 평균 분자량이 500,000을 초과하면, 가교제(c)와의 용해성이 낮기 때문에, 점착제층에서 가교제(c)를 주 성분으로 하는 층[즉, 폴리올레핀(a)의 함유량이 적은 층]에 대부분 용해할 수 없지만, 대부분의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이 폴리올레핀(a)을 주 성분으로 하는 층에 용해하므로, 가교제(c)와 반응하기 어려워지고, 그 결과 충분한 투묘성이 얻어지기 어려워질 수 있다. 반대로,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의 수 평균 분자량이 500 미만이면, 고온 시에 점착제층의 표면에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이 블리드 아웃(bleed-out)하기 쉬워지고, 그 결과 점착 특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계 폴리올,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올, 폴리부타디엔 폴리올, 수소 첨가 폴리부타디엔 폴리올, 폴리이소프렌 폴리올 및 수소 첨가 폴리이소프렌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올레핀(a)과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수소 첨가 폴리이소프렌 폴리올, 폴리이소프렌 폴리올, 폴리부타디엔 폴리올 및 수소 첨가 폴리부타디엔 폴리올이 바람직하다.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올 등을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비수계 전지에 대한 악영향을 피하기 위해서, 그 함유량은,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8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의 수산기값(mg KOH/g)은, 점착제층의 강도의 관점에서,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점착력의 관점에서, 수산기값은 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의 수산기값(mg KOH/g)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이다.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으로서,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Poly bd R-45HT(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액상 폴리부타디엔, 수 평균 분자량 2800, 수산기값 46.6mg KOH/g, 이데미쯔 고산 컴파니, 리미티드(Idemitsu Kosan Co., Ltd.)제), Poly ip(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액상 폴리이소프렌, 수 평균 분자량 2500, 수산기값 46.6mg KOH/g, 이데미쯔 고산 컴파니, 리미티드제), 에폴(Epole)(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액상의 수소 첨가 폴리이소프렌, 수 평균 분자량 2500, 수산기값 50.5mg KOH/g, 이데미쯔 고산 컴파니, 리미티드제), GI-1000(수산기를 갖는 액상 폴리부타디엔, 수 평균 분자량 1500, 수산기값 60 내지 75mg KOH/g, 닛본 소다 컴파니, 리미티드(Nippon Soda Co., Ltd.)제), GI-2000(수산기를 갖는 액상의 수소 첨가 폴리부타디엔, 수 평균 분자량 2100, 수산기값 40 내지 55mg KOH/g, 닛본 소다 컴파니, 리미티드제), GI-3000(수산기를 갖는 액상 폴리부타디엔, 수 평균 분자량 3000, 수산기값 25 내지 35mg KOH/g, 닛본 소다 컴파니, 리미티드제), 유니스톨(UNISTOLE) P-801(수산기를 갖는 폴리올레핀, 수 평균 분자량 5000 이상, 수산기값 40mg KOH/g, 미쯔이 케미컬즈, 인코포레이티드제), 유니스톨 P-901(수산기를 갖는 폴리올레핀, 수 평균 분자량 5000 이상, 수산기값 50mg KOH/g, 미쯔이 케미컬즈, 인코포레이티드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중의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의 함유량은, 하기 수학식 I로 표시되는 A값이,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4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2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00으로 되도록 설정된다.
<수학식 I>
A =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의 수산기값(mg KOH/g) ×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한 점착제 중의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의 중량부수
A값이 0.25보다 작으면, 점착제층의 강도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 값이 14250보다 크면, 점착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가교제(c)]
점착제는 1종 이상의 가교제(c)를 함유한다. 가교제(c)는 점착제층의 형성 시에,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과 반응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 때문에, 가교제(c)는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가져야 한다.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기(이소시아네이토기라고도 칭함) 및 카르복시기를 들 수 있다. 반응성의 관점에서,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는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이다. 즉, 가교제(c)는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이다.
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및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이다.
점착제층의 강도 등의 관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1 분자 중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3개 이상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다가 알코올과의 부가물 및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다가 알코올과의 부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반응성 및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투묘성의 관점에서,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1,5-펜탄 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1,5-펜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반응성 및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투묘성의 관점에서,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트리메틸올프로판,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의 지방족 다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트리메틸올프로판이 바람직하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다가 알코올과 과잉량의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가교제(c)의 함유량은,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5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중량부이다. 함유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점착제층의 투묘성 (즉, 기재에 대한 점착성)이 감소할 수 있다. 함유량이 15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제 용액의 가사 시간이 짧아지고 점착제층의 점착성(즉, 피착체에 대한 점착성)이 낮아지는 등의 악영향이 일어날 수 있다.
[점착제의 임의 성분]
점착제는 1종 이상의 임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임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과 이소시아네이트[즉, 가교제(c)]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우레탄화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는 1종 이상의 우레탄화 촉매를 함유할 수 있다. 우레탄화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옥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등의 주석 화합물; 아연, 코발트, 구리, 비스무트 등의 금속 카르복실레이트;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등의 아민 화합물; 철, 티타늄, 지르코늄 등의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의 비스무트 염(아비에트산, 네오아비에트산, d-피마르산, 이소-d-피마르산, 또는 포도카르프산,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을 주 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지산의 비스무트 염 등의 지환족계 유기산의 비스무트 염; 벤조산, 신남산, p-옥시신남산 등의 방향족계 유기산의 비스무트 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점착제와의 상용성 및 우레탄화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철 킬레이트 화합물,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옥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및 수지산의 비스무트 염이 바람직하고, 이들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철 킬레이트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철 킬레이트 화합물의 예로는, 니혼 가가꾸 상교 컴파니, 리미티드(NIHON KAGAKU SANGYO CO., LTD.)제의 「나셈 페릭 아이론(Nacem Ferric Iron)」(Fe(C5H7O2)3)을 들 수 있다.
우레탄화 촉매의 함유량은,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 내지 1.0중량부이다. 함유량이 0.001중량부 미만이면, 촉매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다. 함유량이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제 용액의 가사 시간이 짧아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촉매의 함유량은, 촉매(즉, 유효 성분)만의 양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시판되는 촉매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용매량을 제외한 촉매만의 양을 의미한다.
점착제는, 필요에 따라, 상기 폴리올레핀(a) 및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 이외의 수지,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 등의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카본 블랙,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실리카,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등의 충전제, 안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점착제층]
점착제층은, 예를 들어 상술한 점착제 성분을 용매에 용해시켜 점착제 용액을 얻고, 얻어진 점착제 용액을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 용액의 고형분은 본 발명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 내지 50중량%의 범위 내이다.
점착제 성분을 균일하게 용해할 수 있는 것인 한, 용매의 선택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단, 본 발명의 점착제는 폴리올레핀(a)을 함유하므로,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1종만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2종 이상의 탄화수소계 용매의 혼합 용매, 또는 탄화수소계 용매와 그 밖의 용매의 혼합 용매이다.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탄화수소계 용매의 함유량은 혼합 용매 중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탄화수소계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탄화수소;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그 밖의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아세틸아세톤 등의 케톤류; 에틸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용액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모든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키스-롤 코터, 비드 코터, 로드 코터, 메이어 바 코터, 다이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을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 용액의 건조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모든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건조 방법은 열풍 건조이다. 열풍 건조의 온도는, 기재의 내열성에 의해서 변경할 수 있지만, 통상 약 60 내지 150℃이다.
점착 테이프에서의 점착제층의 두께(즉, 건조 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0μm이다. 두께가 1μm 미만이면, 점착성(즉, 점착제층의 피착체에 대한 점착성)이 불충분해질 수 있다. 한편, 두께가 100μm를 초과하면, 테이프의 재접합 시에 피착체에 대한 점착제 잔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는 비수계 전지의 제조에 사용되기 때문, 비수계 전해액과 접촉할 수 있다. 비수계 전지의 성능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비수계 전해액(예를 들어,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르보네이트의 혼합액)에 대하여, 점착제층은 덜 용출되는(즉, 겔 분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은,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르보네이트의 중량비가 1:1인 전해액으로 추출했을 때에 겔 분율이,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다. 겔 분율이 75% 미만이면, 전해액에 점착제층이 지나치게 용출되어, 비수계 전지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곤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점착제층의 겔 분율은, 다음과 같이 측정 및 산출한다. 우선, 점착 테이프로부터 약 0.2g 이하의 점착제층을 채취하고, 전해액에 침지하기 전의 점착제층의 중량(W0)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채취된 점착제층을, 전해액(에틸렌 카르보네이트:디에틸 카르보네이트=1:1(중량비), 온도 60℃, 체적 50mL)에 3일간 침지하고, 점착제층의 용해물을 추출한다. 침지 후에, 용해되지 않은 점착제층을 제거하고, 이 점착제층을 120℃에서 1시간 가열함으로써, 점착제층으로부터 전해액을 제거한 후, 전해액에 침지한 후의 점착제층의 중량(W1)을 측정한다. 하기 식에 의해 겔 분율을 산출한다.
겔 분율(%) = 100 × W1/W0
W0: 전해액 침지 전의 점착제층의 중량(g)
W1: 전해액 침지 후의 점착제층의 중량(g)
상기와 같이, 겔 분율을 3회 측정 및 산출하고, 그 평균값을 본 발명의 겔 분율 값으로 채용한다.
[기재]
본 발명에서, 기재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각종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천, 부직포, 펠트, 네트 등의 섬유계 기재; 각종 종이 등의 종이계 기재; 금속박, 금속판 등의 금속계 기재; 각종 수지로 제조된 필름, 시트 등의 플라스틱계 기재; 고무 시트 등의 고무계 기재; 발포 시트 등의 발포체; 및 이들의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계 기재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셀룰로오스류, 불소계 수지,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아미드, 폴리페닐렌 술피드, 폴리스티렌계 수지(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술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이미드, 폴리페닐렌 술피드, 폴리올레핀(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계 기재가, 전해액에서 분해 및 열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기재는 단층 또는 복층일 수 있다.
또한, 투묘성(즉, 점착제층과 기재의 점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기재 표면은, 필요에 따라 공지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표면 처리(예를 들어, 크롬산염 처리, 오존 폭로, 화염 폭로, 고압 전기 폭로, 이온화 방사선 처리 등)가 실시될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약 8 내지 100μm,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50μm이다. 기재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점착 테이프의 강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실용성을 손상시킬 수 있다. 한편, 기재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비수계 전지 내에 차지하는 점착 테이프의 체적이 지나치게 커져서, 전지의 고용량화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기재로서는, 저 흡수성의 기재가 바람직하다. 고 흡수성의 기재를 사용하면, 비수계 전해액 중의 용질 성분의 분해를 촉진하여, 비수계 전지의 특성 및 수명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저 흡수성의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폴리페닐렌 술피드,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제조된 플라스틱계 기재를 들 수 있다.
기재로서는, 전기 저항이 높은 기재,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폴리페닐렌 술피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제조된 플라스틱계 기재가 바람직하다.
기재로서는, 찌르기 강도가 높은 기재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찌르기 강도가 높은 점착 테이프를 얻을 수 있다. 찌르기 강도가 낮은 점착 테이프는, 극판에 존재하는 버어 및 혼입 이물질로부터 세퍼레이터를 충분히 보호 할 수 없고, 세퍼레이터에 구멍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비수계 전지에서 정의 전극판과 부의 전극판의 단락(쇼트)를 방지할 수 없다.
점착 테이프의 찌르기 강도 및 기재의 찌르기 강도는, 모두 바람직하게는 300gf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50gf 이상이다. 이들 찌르기 강도의 상한은, 예를 들어 1400 gf이다. 찌르기 강도가 높은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폴리페닐렌 술피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제조된 플라스틱계 기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점착 테이프의 찌르기 강도는 다음과 같이 측정 및 산출한다. 우선, 원형 구멍(직경 11±0.5mm)을 갖는 2매의 고정판으로 점착 테이프를 고정한다. 온도 23±2℃의 분위기 하에서, 원형 구멍의 중앙부로부터 찌르기 바늘(바늘 직경 0.5mm)을 2mm/s의 속도로 찌르고, 찌르기 바늘이 점착 테이프를 관통할 때의 최대 하중(gf)을 측정한다. 최대 하중을 10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찌르기 강도」로 취한다. 기재의 찌르기 강도의 측정 및 산출법은, 점착 테이프를 기재로 바꾸는 것 이외에는, 상기 점착 테이프의 찌르기 강도의 측정 및 산출법과 동일하다.
[박리제층]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해서, 박리제층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과 반대측의 기재 상에, 박리제층을 가질 수 있다(즉, 「점착제층/기재/박리제층」의 구성). 상기 구성에서, 박리제층은 배면 코팅층으로도 지칭되고, 점착 테이프는 배면 코팅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도 지칭된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해서, 기재 상에 박리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박리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과, 박리재의 박리제층을 서로 접촉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을 보호할 수 있다(즉, 「점착 테이프의 기재/점착제층/박리제층/박리재의 기재」의 구성). 상기 구성의 점착 테이프는, 박리재를 갖는 점착 테이프로도 지칭된다.
[용도]
본 발명의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는, 비수계 전지(즉, 비수계 전해액이 밀봉되어 있는 전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비수계 전해액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환상 카르보네이트(예를 들어,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PC), 에틸렌 카르보네이트(EC) 등)와, 쇄상 카르보네이트(예를 들어, 디메틸 카르보네이트(DMC), 에틸메틸 카르보네이트(EMC), 디에틸 카르보네이트(DEC) 등)의 혼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틸렌 카르보네이트와 디에틸 카르보네이트의 혼합액이 대표적이다. 본 발명의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는, 리튬 이온 전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성, 특성 등]
본원에서 물성값, 특성값 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측정값이다.
(1) 수 평균 분자량
ASTM D2503에 준거해서 측정한 값이다.
(2) 수산기값
JIS K1557:1970에 준거해서 측정한 값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점착제 용액의 제조]
표 1 및 2에 나타내는 부수로 각 성분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톨루엔에 용해시켜, 고형분이 10중량%인 점착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표 1에 나타내는 각 성분의 부수에는, 용매는 포함되지 않는다. 즉, 입수한 성분이 용액일 경우, 표 1에 나타내는 부수는, 그 용액 중에 함유되는 성분 자체(고형분)의 부수를 나타낸다. 또한, 표 1에는 상기 수학식 I에서의 A값을 기재한다.
표 1에서의 각 성분의 약칭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
(1) 폴리올레핀(a)
B80: 바스프 재팬 리미티드(BASF Japan Ltd.)제의 「옵파놀(Oppanol) B80」 (폴리이소부틸렌, 수 평균 분자량 180,000)
B12: 바스프 재팬 리미티드제의 「옵파놀 B12」(폴리이소부틸렌, 수 평균 분자량 13,000)
(2)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
에폴: 이데미쯔 고산 컴파니, 리미티드제의 「에폴」(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액상의 수소 첨가 폴리이소프렌, 수 평균 분자량 2500, 수산기값 50.5mg KOH/g)
(3) 가교제(c)
C/L: 닛본 폴리우레탄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제의 「코로네이트(CORONATE) L」(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과의 부가물의 75중량%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 1 분자 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수: 3개)
[점착 테이프의 제조]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점착제 용액을 펌프에 의해 송출하고, 리버스 롤 코터를 사용해서 권취된 기재의 내면에 도포한다. 점착제 용액이 도포된 기재를, 건조 탑에서 80℃로 건조시켜서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점착제층이 형성된 기재를 권취하는 것에 의해, 원판(original fabric)(즉, 제품 형상으로 가공하기 전의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을 얻었다.
점착 테이프의 기재로서는, 「도레이판(Torayfan) BO2548」(양면 코로나 방전 처리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두께 30μm, 도레이 인더스트리즈, 인포코레이티드(Toray Industries, Inc.)제)을 사용하였다.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의 건조 후의 두께(즉, 점착제 두께)가 7μm가 되도록, 점착제 용액을 도포하였다. 또한, 원판은 700m 권취하였다. 권취 시에, 기재의 외면에 장쇄 알킬계 박리제를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박리제층(배면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원판을, 피치를 15mm로 조정한 슬릿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하면서 코어(3인치 코어, 폭 15mm, 내경 76mm) 주위에 권취하는 것에 의해,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폭 15mm)를 제조하였다. (500m 권취된)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를, 후술하는 죽순 변형률의 평가용 샘플로서 사용하였다.
[점착 테이프의 평가]
얻어진 점착 테이프의 투묘성, 죽순 변형률 및 찌르기 강도, 및 점착제층의 겔 분율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1) 투묘성
점착 테이프(폭 15mm)의 기재에,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지지체로서 SUS판을 부착하였다. 이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에, 폭 14mm로 절단된 No. 315 테이프(닛토덴코 코포레이션(NITTO DENKO CORPORATION)제의 고무계 점착제)의 풀면이 접촉하도록, 샘플 점착 테이프와 No. 315 테이프를 서로 접합하였다. 이 조작 시에, 이들 테이프 사이에 필러지 끈을 끼웠다. 필러지 끈을 패스너에 의해 담지하면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No. 315 테이프를 180° 방향으로 100m/min의 속도로 인장하여, 점착 테이프로부터 점착제층을 박리하였다. 박리에 필요한 힘(즉, 기재로부터 점착제층을 박리하는데 필요한 투묘력)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점착 테이프의 기재로부터 점착제층을 박리하는 방식의 개략을 도 1에 도시한다.
기재로부터 점착제층의 박리 형태에 대해, 점착제층을 박리한 후의 점착 테이프 기재 표면의 감촉으로 감각 측정을 행하였다. 점착제의 감촉이 있는 경우(즉, 박리 시에 점착제층의 일부가 기재에 남은 것), 샘플을 「응집 파괴」라고 판정하였다. 기재의 감촉만 있는 경우(즉, 점착제층이 모두 박리된 것), 샘플을 「투묘 파괴」라고 판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2) 죽순 변형률
상기와 같이 해서 제조된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폭 15mm, 길이 500m)의 코어에 끈을 통과시키고, 이 끈에 점착 테이프를 공중에 매달았다. 공중에 매달린 점착 테이프를, 온도 40℃ 및 습도 92% RH의 분위기 하에서 32일간 보관하였다. 보관 전후의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의 전체 폭을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죽순 변형률(%)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죽순 변형률(%) = 100 × (A1-A0)/A0
A0: 보관 전의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의 전체 폭(mm)
A1: 보관 후의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의 전체 폭(mm)
또한, 보관 전후의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의 전체 폭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우선, 2매의 ABS판(2mm × 210mm × 297mm)을 준비하고, 이들 ABS판의 중심부에 정사각형 구멍(4cm × 4cm)을 내었다(도 2의 (a)). 이들 ABS판 사이에 보관 전후의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를 끼우고(도 2의 (b) 및 도 2의 (c)), ABS판의 정사각형 구멍의 네 개의 코너에서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의 전체 폭을 측정하였다. 네 개의 측정값을 평균함으로써,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의 전체 폭을 산출하였다.
(3) 찌르기 강도
압축 시험기(상품명 「KES-G5」, 가토 테크 컴파니, 리미티드(Kato tech Co., LTD.)제, 고정판의 원형 구멍의 직경 11.28mm)를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점착 테이프의 찌르기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찌르기 강도의 측정법의 개략을 도 3에 도시한다.
(4) 점착제층의 겔 분율
점착 테이프로부터 점착제층을 약 0.0700g 채취하고,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점착제층의 겔 분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표 1로부터, 폴리올레핀(a),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 및 가교제(c)를 함유하는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실시예 1)에서는, 기재와 점착제층의 박리 형태가 응집 파괴이며; 이들 테이프는 투묘성이 우수하였다. 이에 대해,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 및 가교제(c)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을 함유하지 않는 점착제층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투묘 파괴가 발생하고; 이들 테이프는 투묘성이 불량하였다.
또한, 죽순 변형률이 실시예 1의 점착 테이프에서는 1%인 것에 반해, 비교예 1의 점착 테이프에서는 11%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죽순 현상에 의한 변형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는, 비수계 전지, 특히 리튬 이온 전지의 제조에 있어서 유용하다.
1: SUS판
2: 피착체
3: 점착제층
4: 점착 테이프
5: 닛토덴코 코포레이션제의 「No. 315 테이프」
6: 필러지 끈
7: ABS판
8: 정사각형 구멍
9: 보관 전의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
10: 보관 후의 롤 형상의 점착 테이프
11: 고정판
12: 원형 구멍의 직경(11.28mm)
13: 찌르기 바늘

Claims (8)

  1. 기재 및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이며,
    점착제층이, 폴리올레핀(a),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 및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가교제(c)를 포함하는 점착제로 형성되는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가교제(c)가 이소시아네이트인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점착제 중의 가교제(c)의 함유량이,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50중량부인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I로 표시되는 A값이 0.25 내지 14250인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수학식 I>
    A =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의 수산기값(mg KOH/g) ×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한 점착제 중의 수산기 함유 폴리올레핀(b)의 중량부수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a)이 프로필렌, 부텐, 헥센 및 옥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중합체인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6. 제1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두께가 1 내지 100μm인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7.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르보네이트의 중량비가 1:1인 전해액으로 추출했을 때의 점착제층의 겔 분율이, 75% 이상인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8. 제1항에 있어서, 찌르기 강도가 300gf 이상인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KR1020120011096A 2011-02-04 2012-02-03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KR201200908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23222 2011-02-04
JP2011023222A JP2012164489A (ja) 2011-02-04 2011-02-04 非水系電池用粘着テー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820A true KR20120090820A (ko) 2012-08-17

Family

ID=4658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096A KR20120090820A (ko) 2011-02-04 2012-02-03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202051A1 (ko)
JP (1) JP2012164489A (ko)
KR (1) KR20120090820A (ko)
CN (1) CN1026279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97750A (zh) * 2022-03-30 2022-05-13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2131B2 (ja) * 2011-02-28 2016-08-31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池用粘着テープ、及び該粘着テープを使用した電池
TWI513082B (zh) * 2012-11-16 2015-12-11 Lg Chemical Ltd 用以塡充溝之膨脹性帶
CN104812863B (zh) * 2012-11-30 2017-05-17 琳得科株式会社 粘接剂组合物、粘接片和电子设备
JP5954283B2 (ja) * 2013-09-20 2016-07-20 Dic株式会社 ラミネート積層体用接着剤組成物、これを使用した積層体、および二次電池
DE102014206890A1 (de) * 2014-04-10 2015-10-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mindest teilumfänglichen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Energiespeicherzelle
TWI496332B (zh) * 2014-05-14 2015-08-11 Synergy Scientech Corp Curved battery and its making method
DE102014221493A1 (de) * 2014-10-23 2016-04-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batteriemodul
CN113402999A (zh) * 2015-05-29 2021-09-17 琳得科株式会社 粘着片
CN108615924B (zh) * 2015-12-14 2021-04-27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芯及采用电芯的锂离子电池
JP2017171849A (ja) * 2016-03-25 2017-09-2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粘着フィルムの巻きずれを抑制する方法並びに粘着フィルムの巻きずれの大きさを予測する方法
WO2018174565A1 (ko) * 2017-03-22 2018-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고체 전지용 전극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12280494B (zh) * 2020-10-29 2022-05-17 烟台德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锂电池用pi基材热熔单面胶带及其制备方法
CN113736394B (zh) * 2021-08-20 2024-04-12 东莞澳中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耐电解液树脂组合物及应用其的胶水和胶带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3929B2 (ja) * 1995-12-15 2003-12-08 株式会社寺岡製作所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粘着テープ
JPH11297302A (ja) * 1998-04-13 1999-10-29 Mitsubishi Chemical Corp 電 池
JP2003147325A (ja) * 2001-11-14 2003-05-21 Nitto Denko Corp 表面変性粘着剤および粘着剤の表面変性方法並びに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CN100346506C (zh) * 2003-04-09 2007-10-31 日东电工株式会社 电池隔板用的负载粘接剂的多孔膜及其利用
JP2004323827A (ja) * 2003-04-09 2004-11-18 Nitto Denko Corp 電池用セパレータのための接着剤担持多孔質フィルムとその利用
JP4646508B2 (ja) * 2003-10-01 2011-03-09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04007B2 (ja) * 2005-01-13 2011-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製品
JP5000126B2 (ja) * 2005-11-15 2012-08-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剥離剤組成物および剥離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97750A (zh) * 2022-03-30 2022-05-13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27921A (zh) 2012-08-08
JP2012164489A (ja) 2012-08-30
US20120202051A1 (en)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0820A (ko)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JP5982131B2 (ja) 電池用粘着テープ、及び該粘着テープを使用した電池
EP2484736A1 (en) Adhesive and adhesive tape
KR101544685B1 (ko) 점착 테이프
JP5463228B2 (ja) 剥離剤、離型材および粘着テープ
EP2832810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JP4850421B2 (ja) 燃料電池の固体電解質膜に貼着されるマスキングフィルム
EP3375834A1 (en) Adhesive tape
MX2010012898A (es) Adhesivo sensible a la presion compuesto de resina de polip&#39;ropileno.
US20110281067A1 (en) Surface protective film
US20110287253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EP2481784B1 (en) Laminate for nonaqueous battery
US20110244227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5514066B2 (ja) 剥離剤、離型材および粘着テープ
US20110287240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2011024422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20120202052A1 (en) Adhesive tape for surface protection
WO2012105340A1 (ja) 剥離剤、離型材および粘着テープ
WO2012105339A1 (ja) 剥離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離型材および粘着テープ
WO2013121854A1 (ja) 粘着テープ
JP2010006925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2105342A1 (ja) 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