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800A -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수신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수신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800A
KR20120090800A KR20120006394A KR20120006394A KR20120090800A KR 20120090800 A KR20120090800 A KR 20120090800A KR 20120006394 A KR20120006394 A KR 20120006394A KR 20120006394 A KR20120006394 A KR 20120006394A KR 20120090800 A KR20120090800 A KR 20120090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eamble
frames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06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479B1 (ko
Inventor
임인기
박형일
형창희
강성원
황정환
강태욱
김경수
김정범
김성은
김진경
박경환
최병건
강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06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479B1/ko
Priority to DE102012100986.4A priority patent/DE102012100986B4/de
Priority to JP2012024456A priority patent/JP5989349B2/ja
Priority to FR1251123A priority patent/FR2971382B1/fr
Priority to US13/369,214 priority patent/US8798049B2/en
Priority to CN201210124709.3A priority patent/CN102695047B/zh
Publication of KR20120090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800A/ko
Priority to FR1258057A priority patent/FR2977426A1/fr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H04B13/005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medium consists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H04B13/02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medium consists of the earth or a large mass of water thereon, e.g. earth tele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26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A61B5/0028Body tissue as transmission medium, i.e. transmission systems where the medium is the human bod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doscop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제어프레임과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프레임을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전극;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각각이 입력될 때마다,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각 제어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이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송프레임을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된 전송프레임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각각으로부터 제 1 프리앰블을 검출하여 각 제 1 프리앰블에 대한 프리앰블 상관값들을 생성하는 프리앰블 검출부; 및 상기 프리앰블 상관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 중 최종 수신전극쌍을 선택하도록 상기 스위칭제어부를 제어하는 상관값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수신기 및 그 방법{TRANSMITTER, RECEIVER AND THE METHOD THEREOF IN HUMAN BODY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수신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캡슐내시경 등에서 적용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서 두 개의송신 전극과 복수의 수신 전극들을 사용하는 경우 최적의 수신 전극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수신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0522132호(2005. 10. 10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인체 내부에서 의학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여러 가지 감지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정보수집기술 뿐만 아니라 수집된 정보를 인체외부로 전송하는 기술도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인 데이터전송방법으로는 위장의 내부 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내시경에 적용되는 통신케이블 방식이 있다. 통신케이블 방식에서는 도선 또는 광섬유로 이루어진 케이블을 주로 환자의 목구멍을 통해 인체 내부로 삽입한다. 이러한 통신케이블 방식은 신뢰성이 높고 인체 내부에서 수집한 데이터의 품질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내시경 시술을 받는 환자에게 큰 고통을 준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 이스라엘의 Given Imaging 사에서는 M2A라는 상품명의 캡슐형 내시경을 개발하였다. 이 캡슐내시경은 기존의 위내시경이나 대장내시경과는 달리 알약 형태로서, 사용자가 캡슐내시경을 입을 통해 먹으면 식도, 위, 소장, 대장 내부의 이미지를 캡슐내시경 내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촬영한다. 그리고, 캡슐내시경은 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인체 외부에 있는 수신기에 전달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신호 전송방식으로서 무선 전파 방식을 채용하고 있어서, 전력소모가 크고 이에 따라 동작시간이 짧아지고, 인체 외부의 각종 전자파의 간섭을 받아 수신감도가 열화되며, 영상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변조회로, 신호전송을 위한 안테나 등 무선송신기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부피가 커지고 생산비용이 상승하며, 고주파의 사용으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인체를 도체로 하여 저주파의 전류로 인체 내부의 데이터를 인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는 인체통신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인체 통신시스템에서는, 인체 내부에 투입된 캡슐형 내시경의 표면에 형성된 송신전극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여 인체를 통해 전류가 흐르면, 인체표면에 설치된 두 개의 수신전극 사이에 전압이 유기됨으로써 수신장치가 인체내부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두 개의 수신 전극만을 사용할 경우 전류의 방향이 수신전극 배치방향과 수직일 때, 수신전극에서 전압이 유기되지 않거나 작게 되어 인체 내부의 캡슐형 내시경이 송신한 신호를 인체외부의 수신장치가 정확히 수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의 송신전극 간의 전위차에 의해 발생한 전류가 인체를 통하여 수신 전극에 도달하면 송신 전극과 수신 전극과의 거리에 따라 전압이 유기되나, 실제로 인체 내부에서 전송하는 송신 신호가 인체를 통과하여 수신 전극에 도달되면 그 전압값이 수천배에서 수만배로 감쇄되고 인체에 유기되는 전자파 잡음에 의하여 신호간섭이 발생되기 때문에 송신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캡슐내시경 등에서 적용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서 두 개의 송신 전극과 복수의 수신 전극들을 사용하는 경우 최적의 수신 전극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수신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획득된 이미지에 관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입력받아 전송프레임을 생성하는 전송프레임 생성부; 및 상기 전송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송신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전송프레임은 수신기에서의 수신전극쌍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제어프레임과,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구비한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각각은 프레임의 동기와 상기 수신전극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제 1 프리앰블, 프레임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제 1 헤더, 상기 이미지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프레임정보, 및 상기 수신기에서의 전극 스위칭에 필요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한 스위칭타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의 각각은 프레임의 동기를 위한 제 2 프리앰블, 프레임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제 2 헤더, 및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갯수는 수신기에서의 수신전극의 갯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송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미리 설정된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 상기 제 1 및 제 2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프리앰블 생성부; 상기 제 1 및 제 2 헤더를 생성하는 헤더 생성부; 상기 프레임 정보를 생성하는 프레임정보 생성부; 및 상기 변조된 이미지 프레임, 제 1 및 제 2 프리앰블, 제 1 및 제 2 헤더, 상기 프레임 정보 및 상기 스위칭타임부를 다중화하여 상기 전송프레임을 생성하는 다중화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의 제어프레임과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프레임을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전극;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각각이 입력될 때마다,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각 제어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이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송프레임의 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제거를 위한 필터링을 수행하여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된 전송프레임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각각으로부터 제 1 프리앰블을 검출하여 각 제 1 프리앰블에 대한 프리앰블 상관값들을 생성하는 프리앰블 검출부; 및 상기 프리앰블 상관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 중 최종 수신전극쌍을 선택하도록 상기 스위칭제어부를 제어하는 상관값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리앰블 상관값은 검출된 상기 각각의 제 1 프리앰블을 미리 결정된 기준 프리앰블과 비트별로 비교하여 얻은 데이터의 상관도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관값 처리부는 미리 결정된 기준 상관값과 상기 프리앰블 상관값 간의 절대값이 가장 큰 제 1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2개의 수신전극을 상기 최종 수신전극쌍으로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각각은 프레임의 동기와 상기 최종 수신전극쌍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상기 제 1 프리앰블, 프레임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제 1 헤더, 이미지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정보, 및 상기 스위칭제어부에서의 스위칭 제어에 필요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한 스위칭타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의 각각은 프레임의 동기를 위한 제 2 프리앰블, 프레임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제 2 헤더, 및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갯수는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의 갯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호처리된 전송프레임에 대하여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역다중화기; 상기 역다중화기의 출력에서 헤더 부분을 복조하는 헤더처리부; 상기 헤더처리부에서 복조된 헤더의 판별결과 프레임 유형이 데이터 프레임인 경우, 상기 역다중화기의 출력에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복조하는 데이터 복조부; 및 상기 복조된 이미지 프레임을 처리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체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신방법으로서, 획득된 이미지에 관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송신전극을 통하여 상기 전송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송프레임은 수신기에서의 수신전극쌍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제어프레임과,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구비한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체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수신방법으로서, 복수의 수신전극을 통하여 복수의 제어프레임과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각각이 입력될 때마다,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각 제어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이 제 1 및 제 2 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 제어부가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는 단계; 신호처리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송프레임을 신호처리하는 단계; 프리앰블 검출부가 상기 신호처리된 전송프레임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각각으로부터 제 1 프리앰블을 검출하여 각 제 1 프리앰블에 대한 프리앰블 상관값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관값 처리부가, 상기 프리앰블 상관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 중 최종 수신전극쌍을 선택하도록 상기 스위칭제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슐내시경 등에서 적용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서 두 개의 송신 전극과 복수의 수신 전극들을 사용하는 경우 최적의 수신 전극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수신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에 적용되는 데이터 변조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데이터 변조부에 적용되는 서브 주파수 선택적 확산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전송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발명이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구성을, 도 2는 본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에 적용되는 데이터 변조부의 구성을, 도 3은 도 2의 데이터 변조부에 적용되는 서브 주파수 선택적 확산기의 구성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구성을,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전송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송신기와 수신기에서 적용되는 전송프레임은 수신기에서의 수신전극쌍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제어프레임(300)과, 이미지 프레임(500)을 구비한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300)의 각각은 프레임의 동기와 수신전극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제 1 프리앰블(P1), 프레임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제 1 헤더(H1), 이미지 프레임(500)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프레임정보, 및 수신기에서의 전극 스위칭에 필요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한 스위칭타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400)의 각각은 프레임의 동기를 위한 제 2 프리앰블(P2), 프레임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제 2 헤더(H2), 및 상기 이미지 프레임(50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는 이미지 센서부(100)에서 획득된 이미지에 관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프레임(500)을 생성하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110); 상기 이미지 프레임(500)을 입력받아 전송프레임을 생성하는 전송프레임 생성부(1000); 및 상기 전송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송신전극(16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송프레임 생성부(1000)는 상기 이미지 프레임(500)을 미리 설정된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140); 제 1 및 제 2 프리앰블(P1, P2)을 생성하는 프리앰블 생성부(120); 제 1 및 제 2 헤더(H1, H2)를 생성하는 헤더 생성부(130); 프레임 정보를 생성하는 프레임정보 생성부(180); 및 상기 변조된 이미지 프레임(500), 제 1 및 제 2 프리앰블(P1, P2), 제 1 및 제 2 헤더(H1, H2), 프레임 정보 및 스위칭타임부를 다중화하여 상기 전송프레임을 생성하는 다중화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수신기는 복수의 제어프레임(300)과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400)을 포함하는 전송프레임을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전극(1~n)을 포함하는 수신전극부(200);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1~n)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211, 212);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300)의 각각이 입력될 때마다,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각 제어프레임(300)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1~n)이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211, 21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211, 212)를 스위칭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250);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211, 212)로부터 출력되는 전송프레임의 신호를 증폭하고 잡음 제거를 위한 필터링을 수행하여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부(214); 상기 신호처리된 전송프레임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300)의 각각으로부터 제 1 프리앰블(P1)을 검출하여 각 제 1 프리앰블(P1)에 대한 프리앰블 상관값들을 생성하는 프리앰블 검출부(230); 및 상기 프리앰블 상관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1~n) 중 최종 수신전극쌍을 선택하도록 상기 스위칭제어부(250)를 제어하는 상관값 처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수신기는 신호처리된 전송프레임에 대하여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역다중화기(220); 상기 역다중화기(220)의 출력에서 헤더 부분을 복조하는 헤더처리부(260); 상기 헤더처리부(260)에서 복조된 헤더의 판별결과 프레임 유형이 데이터 프레임인 경우, 상기 역다중화기(220)의 출력에서 상기 이미지 프레임(500)을 복조하는 데이터 복조부(270); 및 상기 복조된 이미지 프레임(500)을 처리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280)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 및 작용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수신기 및 그 방법은 예를 들어 캡슐내시경용 송수신 방법 및 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전송 프레임 구조는 수신기의 복수의 수신전극(1~n) 중 수신 전극쌍 선택을 위한 짧은 길이로 반복되는 다수 개(C개)의 제어 프레임(300), 선택된 수신전극쌍을 사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다수개(D개)의 데이터 프레임(400)을 구비한다. 제어 프레임(300)의 각각은 제 1 프리앰블(P1), 제 1 헤더(H1), 프레임정보 및 스위칭 타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데이터 프레임(400)의 각각은 제 2 프리앰블(P2), 제 2 헤더(H2), 데이터,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서,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110)는 이미지 센서부(100)에 의하여 센싱된 이미지를 입력받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이 이미지 데이터에 이미지 라인 넘버 등과 같은 이미지 정보를 부가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A 바이트 B 라인의 이미지 프레임(500)을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프레임 생성부(1000)는 데이터 변조부(140), 프리앰블 생성부(120), 헤더 생성부(130), 프레임정보 생성부(180) 및 다중화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앰블 생성부(120)는 짧게 반복되는 복수의 제어프레임(300)의 시작과 데이터 프레임(400)의 시작 부분에 프레임의 동기를 위한 일정길이의 프리앰블(P1, P2)를 생성하는데, 제어프레임(300)에 사용되는 프리앰블(P1)과 데이터 프레임(400)에 사용되는 프리앰블(P2)을 구분하기 위하여 각각 제 1 프리앰블(P1)과 제 2 프리앰블(P2)로 나타낸다. 제어프레임(300)의 각각에 사용되는 제 1 프리앰블(P1)은 수신기에서의 수신전극쌍 선택을 위해서 사용된다.
헤더 생성부(130)는 제어 프레임(300)과 데이터 프레임(400)을 구분하기 위한 구분자와 프레임 제어비트를 갖는 헤더(H1, H2)를 생성한다. 제어프레임(300)에 사용되는 헤더(H1)와 데이터 프레임(400)에 사용되는 헤더(H2)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각 제 1 헤더(H1)과 제 2 헤더(H2)로 나타낸다.
그리고, 프레임 정보 생성부(180)는 프레임 정보를 생성한다. 이 프레임 정보는 이미지 프레임 넘버와 이미지 노출시간 등의 이미지 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변조부(140)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미리 설정된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하여 다중화기(150)에 제공하는데, 여기서 사용되는 변조방식으로는 통신방식이나 이미지 데이터의 포맷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변조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다중화기(150)는 생성된 제 1 프리앰블(P1), 제 1 헤더(H1) 및 프레임 정보에 스위칭타임을 부가하여 복수 개(C개)의 제어프레임(300)을 생성하고, 제 2 프리앰블(P2), 제 2 헤더(H2) 및 이미지 프레임인 데이터에 CRC를 부가하여 복수 개(D개)의 데이터 프레임(400)을 생성한다. 여기서, 스위칭 타임은 수신기의 2개의 스위치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수신 전극들을 스위칭하는 데에 사용되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추가된다. CRC는 복수개의 데이터 프레임(400)의 각각의 말미에 추가되는 주기적 덧붙임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를 나타낸다.
이렇게 생생된 제어프레임(300)과 데이터 프레임(400)을 포함하는 전송프레임은 송신전극(160)을 통하여 전송되며, 제어프레임(300)과 데이터 프레임(400)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한편, 상기 데이터 변조부(140)에서 적용되는 변조방식의 일 예로서, 데이터 변조부(140)는 도 2의 실시예와 같은 주파수 선택적 확산부호를 사용한 주파수 선택적 디지털 전송(FSDT: Frequency Selective Digital Transmission)방식에 의해 확산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 내 데이터 변조부(140)의 구성 예이다. 데이터 변조부(140)는 CRC 생성기(10), 직렬-병렬 변환기(20), 주파수 선택적 확산기(30) 및 다중화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프레임 데이터는 데이터 변조부(140) 내의 CRC 생성기(10)로 입력됨과 동시에 직렬-병렬 변환기(20)에 입력된다. 그리고, 직렬-병렬 변환기(20)에서의 직렬-병렬 변환 과정을 거쳐 생성된 12비트 병렬 심벌은 주파수 선택적 확산기(30)로 입력된다. 입력된 12비트 병렬 심벌은 상위부터 4비트씩 나누어져 서브 주파수 선택적 확산기(31, 41, 51)로 각각 입력된다. 주파수 선택을 위한 서브 주파수 선택적 확산기(31, 41, 51) 내의 SGN1, SGN2, SGN3 값을 각각 "101", "110", "111"로 가정하면, 서브 주파수 선택적 확산기 1(31)는 입력비트 b11, b10, b9, b8과 SGN1 값인 "101"에 의하여 서브그룹 5의 월시부호 8개(W40 ~ W47) 중의 하나를 b11, b10, b9의 3비트로 선택하며, 이 값을 b8과 XOR하여 1비트열의 형태로 64비트를 A로서 출력한다. 서브 주파수 선택적 확산기 2(41)는 입력비트 b7, b6, b5, b4와 SGN2 값인 "110"에 의하여 서브그룹 6의 월시부호 8개(W48 ~ W55) 중의 하나를 b7, b6, b5의 3비트로 선택하며, 이 값을 b4와 XOR하여 1비트열의 형태로 64비트를 B로서 출력한다. 서브 주파수 선택적 확산기 3(51)은 입력비트 b3, b2, b1, b0와 SGN3 값인 "111"에 의하여 서브그룹 7의 월시부호 8개(W56 ~ W63) 중의 하나를 b3, b2, b1의 3비트로 선택하며, 이값을 b0와 XOR하여 1비트열의 형태로 64비트를 C로서 출력한다.
이어서, 다수값 선택부(54)는 상기 각 서브주파수 선택적 확산기(31, 41, 51)로부터 출력되는 A, B 및 C의 3 비트열을 입력받아,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값 D를 다수값으로서 출력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or'은 OR 게이트를, 'and'는 AND 게이트를 나타낸다.
다중화기(40)는 데이터 프레임(400)의 구성에 따라 주파수 선택적 확산기(30)의 출력과 CRC 생성기(10)에서 생성된 CRC 값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서브 주파수 선택적 확산기1(31)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서브 주파수 선택적 확산기 1(31)은 6비트 카운터(80)를 가지며, 3비트의 주파수 선택 제어비트(s2, s1, s0), 4비트의 데이터 입력비트(b11, b10, b9, b8)를 가진다. 6비트 카운터는 0에서 63을 카운트하기 위해 심벌주기마다 초기값 '0'으로 리셋된다. 3비트의 주파수 선택 제어비트(s2, s1, s0)와 3비트의 데이터 입력비트(b11, b10, b9)는 8개의 월시부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생성하며, 입력비트 중에서 b8은 생성된 월시부호와 XOR연산됨으로써 1비트열 형태의 A가 출력된다. 또한, Gray 인덱싱을 위하여 5 개의 XOR(81, 82, 83, 84, 85) 논리회로가 제공된다. 그리고, 6비트 카운터 출력인 C5 ~ C0와 주파수 선택 제어비트의 최상위비트(s2)와 5개의 XOR 논리회로 출력비트를 각각 입력으로 하는 6개의 AND 논리회로(86, 87, 88, 89, 90, 91), 및 6개의 AND 논리회로 출력과 b8을 XOR 하기 위한 XOR 논리회로(92)가 제공된다. 서브 주파수 선택적 확산기2(41)와 서브 주파수 선택적 확산기3(51)은 동일한 방법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기, 예를 들어 캡슐내시경용 수신장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4에서 n개의 수신전극(1~n)을 포함하는 수신 전극부(200)는 인체의 각 부위에 부착되어 인체 내부의 송신장치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전극들(1~n)의 출력은 아날로그 수신부(210)의 제 1 스위치(211)와 제 2 스위치(212)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 1 스위치(211)와 제 2 스위치(212)는 스위칭 제어부(250)의 제어 신호를 받아 n개의 수신전극(1~n) 중에서 수신전극쌍과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스위치(211)의 출력은 차동증폭기(213)의 + 단자에 연결되고, 제 2 스위치(212)의 출력은 차동증폭기(213)의 - 단자에 연결되고, 차동증폭기(213)는 두 전극간의 전압값의 차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어서, 신호처리부(214)는 차동증폭기(213)의 출력인 수신전극쌍의 전압차를 입력받아, 그 입력 신호에 대하여 잡음제거를 위한 필터링, 신호 증폭 및 주파수와 타이밍 동기를 위한 CDR(Clock and Data Recovery) 등을 수행한다. 신호처리부(214)의 출력은 프리앰블 검출부(230)와 역다중화기(220)로 제공된다.
프리앰블 검출부(230)는 신호처리부(214)의 출력을 입력 받아 복수의 제어프레임(300)과 데이터 프레임(400)에 포함되어 있는 일정길이의 제 1 및 제 2 프리앰블(P1, P2)을 검출하여 프레임 동기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 제어프레임(300)의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제 1 프리앰블(P1)에 대하여 프리앰블 상관값을 생성한다. 여기서, 프리앰블 상관값이라 함은 상기 검출된 각각의 제 1 프리앰블을 미리 결정된 기준 프리앰블과 비트별로 비교하여 얻은 데이터의 상관도를 나타낸다.
가령, 10비트길이의 프리앰블을 예로 든다면, 미리 결정되어 있는 기준 프리앰블이 '1111100000'일 때 어떤 제 1프리앰블이 '1111100111'이라고 한다면, 값이 같은 비트의 수가 7이고 상이한 비트의 수가 3이므로 데이터의 상관도인 프리앰블 상관값은 7이 될 수 있다. 또한, 값이 같은 비트의 수가 2이고 상이한 비트의 수가 8이라고 한다면, 프리앰블 상관값은 2가 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제어프레임(300)의 각 제 1프리앰블(P1)에 대하여 프리앰블 상관값들을 계산하게 되면, 그 값이 커지면 커질수록 기준 프리앰블 대비 데이터의 정확도가 그만큼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1스위치(211)가 차동증폭기(213)의 (+)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제 2스위치(212)가 차동증폭기(213)의 (-) 단자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1스위치(211)와 제 2스위치(212)에 각 수신전극쌍이 연결되는 순서 또는 위치에 따라서는, 차동증폭기(213)의 출력과 신호처리부의 출력이 반전된 반전신호로 출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비록 프리앰블 상관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라 하더라도 그 값이 낮아지면 낮아질수록 이 또한 기준 프리앰블 대비 데이터의 정확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중간 정도 수준의 미리 결정된 기준 상관값과 상기 각 프리앰블 상관값 간의 차의 절대값을 산출하고, 그 절대값이 비교적 큰 제 1 프리앰블(P1)이 포함되어 있는 해당 제어프레임(300)을 수신한 수신전극쌍 조합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들은 그만큼 데이터 정확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이후 단계에서 수신전극(1~n)에서의 최종 수신전극쌍을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프리앰블 상관값의 계산시, 동일한 비트 개수와 상이한 비트 개수에 대하여 상기와는 다른 연산을 수행하여 상관값을 구할 수도 있을 것이며, 기준 프리앰블과 해당 프리앰블 간의 데이터 정확도를 나타낼 수 있는 상관값이라고 한다면 어떤 산출 방법에 의해서도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역다중화기(220)는 상기 신호처리된 전송프레임에 대하여 역다중화를 수행하고, 헤더 처리부(260)는 역다중화를 통해 얻어진 출력신호에서 제 1 헤더(H1)와 제 2 헤더(H2)를 추출하여 프레임 구분자와 프레임 제어비트를 복조한다. 이 때, 수신된 프레임 구분자가 제어 프레임인 경우 프리앰블 검출부(230)에서 생성된 프리앰블 상관값과 프레임 제어비트는 상관값 처리부(240)로 제공된다.
상관값 처리부(240)는, 프리앰블 상관값과 프레임 제어비트의 입력시마다 기본 수신전극쌍 조합에서 시작하여 수신전극 개수에 따라 정해진 순서에 의거하여 수신전극쌍의 조합을 계속 업데이트하면서 얻어지는 프리앰블 상관값을 프리앰블 검출부(230)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한 기준 상관값과 프리앰블 상관값 간의 절대값이 최대값인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수신전극쌍을 최종적으로 선택한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스위칭 제어부(250)의 스위칭제어가 필요한데, 스위칭 제어부(250)는 복수의 제어프레임(300)의 각각이 수신전극들(1~n)을 통해 수신될 때마다, 기본 수신전극쌍 조합에서 시작하여 수신전극(1~n)의 개수에 따라 정해진 순서에 의거하여 수신전극쌍의 조합을 계속 업데이트시키도록 제 1 스위치(211)와 제 2스위치(212)를 스위칭제어한다. 이를 위해, 스위칭 제어부(250)는 상관값 처리부(240)로부터 현재의 수신전극 조합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각 제어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스위칭 타임" 동안 아날로그 수신부(210) 내의 제 1 스위치(211)와 제 2 스위치(212)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기본 수신전극쌍 조합과 정해진 순서는 다수의 임상실험에 의하여 최적의 수신상태를 나타내는 수신전극 순서로 결정한다. 즉, 각각의 제어프레임 1개마다 이에 대응하여 수신전극쌍의 조합이 선택되므로, C개의 제어프레임에 대해 C개의 수신전극쌍이 선택되어 제 1 및 제 2 스위치(211, 2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가장 수신 감도 또는 정확도가 뛰어난 수신전극쌍이 결정되고, 헤더 처리부(260)에서 복조된 프레임 구분자가 데이터 프레임인 경우, 데이터 복조부(270)는 역다중화기(220)의 출력을 입력받아 복조를 수행한 후, 복조된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280)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280)는 복조된 이미지 프레임을 신호 처리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체 통신시스템 내에서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는 최적의 수신전극쌍을 통해 최적의 정확도를 갖는 이미지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프레임 구성도를 나타낸다.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110)는 이미지 센서부(100)로부터 읽어온 이미지 데이터와 이미지 정보를 부가하여 A 바이트 B 라인의 이미지 프레임(500)을 생성한다. 생성된 한 개의 이미지 프레임(500)을 전송하기 위해, 전송 프레임은 C개의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어 프레임(300)과 D개의 데이터 프레임(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 프레임(300)은 최적의 수신전극쌍을 선택하기 위한 제 1 프리앰블(P1), 제 1헤더(H1), 프레임정보, 스위칭 타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 1 프리앰블(P1)은 제어 프레임 동기와 상기 프리앰블 상관값의 계산 등에 사용된다. 그리고, 제 1 헤더(H1)는 프레임 구분자와 기타 프레임 제어비트 등을 포함하고, 수신된 프레임이 제어 프레임인지 데이터 프레임인지 여부를 알려준다. 프레임 정보는 이미지 프레임 넘버와 이미지 노출시간 등의 이미지 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정 길이의 스위칭 타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기에서의 제 1 스위치(211)과 제 2 스위치(212)에서 복수의 수신전극(1~n) 중 2개의 수신전극쌍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어 프레임(300)의 개수 C개는 복수의 수신전극(1~n)의 개수 n에 의해 결정되며, n개 중에서 서로 다른 2개의 수신전극을 선택하는 경우의 수를 의미하는 nC2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신기는 복수의 수신전극(1~n) 중에서 선택될 수 있는 가능한 수신전극쌍의 조합의 각각을 통하여 C개의 제어프레임(300) 각각을 수신할 수 있고, 이 수신한 C개의 제어프레임(300) 각각에 대한 프레임 상관값을 비교함으로써 가장 신호 수신 정확도나 수신감도가 뛰어난 최종 수신전극쌍의 조합을 최적의 수신전극쌍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최종 수신전극쌍의 조합을 선택하는 작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관값 처리부(240)에서 이루어지고, 이의 제어를 받는 스위칭 제어부(250)는 이 최종 수신전극쌍을 통하여 데이터 프레임(400)을 수신하도록 제 1 스위치(211)와 제 2 스위치(212)를 스위칭제어한다.
그리고, 데이터 프레임(400)은 상기 제어 프레임(300)에 의하여 결정된 최종 수신전극쌍을 사용하여 이미지 프레임(500)을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으로서, 제 2 프리앰블(P2), 제 2 헤더(H2), 데이터 및 CR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프리앰블(P2)은 제어 프레임(300)에서와 같은 프리앰블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 2 헤더(H2)는 데이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프레임 구분자와 데이터 라인 넘버와 같은 데이터 프레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E 바이트의 데이터는 이미지 프레임(500)으로부터 입력되며, 입력되는 데이터에는 CRC 값이 생성되어 E 바이트의 데이터 전송 뒤에 부가되어 전송된다. 데이터 프레임(400)의 개수 D와 데이터의 길이 E 바이트는 이미지 프레임의 A 바이트, B 라인에 대하여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은 관계식을 가진다.
Figure pat0000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캡슐내시경 등에서 적용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서 두 개의 송신 전극과 복수의 수신 전극들을 사용하는 경우 최적의 수신 전극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9)

  1. 획득된 이미지에 관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입력받아 전송프레임을 생성하는 전송프레임 생성부; 및
    상기 전송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송신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전송프레임은 수신기에서의 수신전극쌍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제어프레임과,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구비한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각각은
    프레임의 동기와 상기 수신전극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제 1 프리앰블,
    프레임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제 1 헤더,
    상기 이미지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프레임정보, 및
    상기 수신기에서의 전극 스위칭에 필요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한 스위칭타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의 각각은
    프레임의 동기를 위한 제 2 프리앰블,
    프레임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제 2 헤더, 및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갯수는 수신기에서의 수신전극의 갯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미리 설정된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
    상기 제 1 및 제 2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프리앰블 생성부;
    상기 제 1 및 제 2 헤더를 생성하는 헤더 생성부;
    상기 프레임 정보를 생성하는 프레임정보 생성부; 및
    상기 변조된 이미지 프레임, 제 1 및 제 2 프리앰블, 제 1 및 제 2 헤더, 상기 프레임 정보 및 상기 스위칭타임부를 다중화하여 상기 전송프레임을 생성하는 다중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기.
  5. 복수의 제어프레임과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프레임을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전극;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각각이 입력될 때마다,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각 제어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이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송프레임을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된 전송프레임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각각으로부터 제 1 프리앰블을 검출하여 각 제 1 프리앰블에 대한 프리앰블 상관값들을 생성하는 프리앰블 검출부; 및
    상기 프리앰블 상관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 중 최종 수신전극쌍을 선택하도록 상기 스위칭제어부를 제어하는 상관값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상관값은 검출된 상기 각각의 제 1 프리앰블을 미리 결정된 기준 프리앰블과 비트별로 비교하여 얻은 데이터의 상관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값 처리부는 미리 결정된 기준 상관값과 상기 프리앰블 상관값 간의 절대값이 가장 큰 제 1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2개의 수신전극을 상기 최종 수신전극쌍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각각은
    프레임의 동기와 상기 최종 수신전극쌍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상기 제 1 프리앰블,
    프레임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제 1 헤더,
    이미지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정보, 및
    상기 스위칭제어부에서의 스위칭 제어에 필요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한 스위칭타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의 각각은
    프레임의 동기를 위한 제 2 프리앰블,
    프레임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제 2 헤더, 및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수신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갯수는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의 갯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수신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된 전송프레임에 대하여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역다중화기;
    상기 역다중화기의 출력에서 헤더 부분을 복조하는 헤더처리부;
    상기 헤더처리부에서 복조된 헤더의 판별결과 프레임 유형이 데이터 프레임인 경우, 상기 역다중화기의 출력에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복조하는 데이터 복조부; 및
    상기 복조된 이미지 프레임을 처리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수신기.
  11. 인체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신방법으로서,
    획득된 이미지에 관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송신전극을 통하여 상기 전송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송프레임은 수신기에서의 수신전극쌍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제어프레임과,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구비한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신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각각은
    프레임의 동기와 상기 수신전극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제 1 프리앰블,
    프레임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제 1 헤더,
    상기 이미지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프레임정보, 및
    상기 수신기에서의 전극 스위칭에 필요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한 스위칭타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의 각각은
    프레임의 동기를 위한 제 2 프리앰블,
    프레임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제 2 헤더, 및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신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갯수는 수신기에서의 수신전극의 갯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신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미리 설정된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헤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된 이미지 프레임, 제 1 및 제 2 프리앰블, 제 1 및 제 2 헤더, 상기 프레임 정보 및 상기 스위칭타임부를 다중화하여 상기 전송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신방법.
  15. 인체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수신방법으로서,
    복수의 수신전극을 통하여 복수의 제어프레임과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각각이 입력될 때마다,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각 제어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이 제 1 및 제 2 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 제어부가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는 단계;
    신호처리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송프레임을 신호처리하는 단계;
    프리앰블 검출부가 상기 신호처리된 전송프레임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각각으로부터 제 1 프리앰블을 검출하여 각 제 1 프리앰블에 대한 프리앰블 상관값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관값 처리부가, 상기 프리앰블 상관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 중 최종 수신전극쌍을 선택하도록 상기 스위칭제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수신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상관값은 검출된 상기 각각의 제 1 프리앰블을 미리 결정된 기준 프리앰블과 비트별로 비교하여 얻은 데이터의 상관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수신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기준 상관값과 상기 프리앰블 상관값 간의 절대값이 가장 큰 제 1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2개의 수신전극이 상기 최종 수신전극쌍으로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수신방법.
  1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각각은
    프레임의 동기와 상기 최종 수신전극쌍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상기 제 1 프리앰블,
    프레임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제 1 헤더,
    이미지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정보, 및
    상기 스위칭제어부에서의 스위칭 제어에 필요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한 스위칭타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의 각각은
    프레임의 동기를 위한 제 2 프리앰블,
    프레임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제 2 헤더, 및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수신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프레임의 갯수는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의 갯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수신방법.
KR1020120006394A 2011-02-08 2012-01-19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1580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394A KR101580479B1 (ko) 2011-02-08 2012-01-19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수신기 및 그 방법
DE102012100986.4A DE102012100986B4 (de) 2011-02-08 2012-02-07 Sender, Empfänger und Verfahren dafür in einem Humanweg-Kommunikationssystem
JP2012024456A JP5989349B2 (ja) 2011-02-08 2012-02-07 人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機、受信機およびその方法
FR1251123A FR2971382B1 (fr) 2011-02-08 2012-02-07 Emetteur, recepteur et leur procede dans un systeme de communication avec le corps humain
US13/369,214 US8798049B2 (en) 2011-02-08 2012-02-08 Transmitter, receiver and method thereof in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CN201210124709.3A CN102695047B (zh) 2011-02-08 2012-02-08 人体通信系统中的发射机、接收机及其方法
FR1258057A FR2977426A1 (fr) 2011-02-08 2012-08-29 Emetteur, recepteur et leur procede dans un systeme de communication avec le corps hum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207 2011-02-08
KR20110011207 2011-02-08
KR1020120006394A KR101580479B1 (ko) 2011-02-08 2012-01-19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수신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800A true KR20120090800A (ko) 2012-08-17
KR101580479B1 KR101580479B1 (ko) 2015-12-29

Family

ID=4654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394A KR101580479B1 (ko) 2011-02-08 2012-01-19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수신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98049B2 (ko)
JP (1) JP5989349B2 (ko)
KR (1) KR101580479B1 (ko)
CN (1) CN102695047B (ko)
DE (1) DE102012100986B4 (ko)
FR (2) FR29713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517A (ko) * 2018-05-03 2019-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캡슐 내시경과 통신하기 위한 최적의 전극들을 선택하는 전극 선택 장치 및 전극 선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783B1 (ko) * 2008-04-28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통신에서 인체의 위상 응답특성을 측정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US20140051924A1 (en) * 2012-08-16 2014-02-20 Capso Vision, Inc In Vivo Capsule Device with Electrodes
WO2014177412A1 (en) * 2013-05-02 2014-11-06 Koninklijke Philips N.V. A receiver module, a transceiver module and a method of receiving signals via a body transmission channel in a receiver module
CN104168042B (zh) * 2014-01-20 2016-05-04 中国海洋大学 基于电感耦合的人体植入式通信方法和系统
US10045735B2 (en) * 2014-09-27 2018-08-14 Intel Corporation Biofeedback sensors in a body area network
EP3206557B1 (en) * 2014-10-17 2020-06-03 C Urchin Technologies LLC Lensless endoscope and other imaging devices
US10033491B2 (en) 2015-11-25 2018-07-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ata transmission device for human body communication, preamble generation method thereof, and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thereof
KR20180001043A (ko) * 2016-06-24 2018-0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캡슐 내시경, 그것을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및 그것에 포함되는 이미지 부호화 장치
KR101803317B1 (ko) * 2016-07-20 2017-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캡슐 내시경 송신기 및 캡슐 내시경 수신기,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인체 통신 방법
WO2018109981A1 (ja) * 2016-12-15 2018-06-2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及び内視鏡システム
US11055843B2 (en) 2017-06-14 2021-07-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apsule endoscope for determining lesion area and receiving device
US11607120B2 (en) 2018-04-09 2023-03-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apsule endoscopic receiving device, capsule endoscop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of capsule endoscopic receiving device
US11298009B2 (en) 2018-05-03 2022-04-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lectrode selection device for selecting optimal electrodes to communicate with capsule endoscop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1345768A (zh) * 2018-12-20 2020-06-30 重庆金山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图片完整性检验方法、通信装置及胶囊内窥镜系统
US11418267B2 (en) 2019-02-08 2022-08-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ceiver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human body communication
US11478137B2 (en) 2019-04-08 2022-10-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apsule endoscope image receiver and capsule endoscope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48927B1 (ko) * 2019-04-08 2022-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캡슐 내시경 영상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 내시경 장치
US11424775B2 (en) 2020-06-03 2022-08-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uman body communication receiv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6668462A (zh) * 2020-12-28 2023-08-29 武汉联影智融医疗科技有限公司 Hbc数据同步方法、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425A (ko) * 2003-01-25 2004-07-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체통신방법, 인체통신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감지장치
KR20040068424A (ko) * 2003-01-25 2004-07-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체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방법 및 수신장치
KR20100120041A (ko) * 2009-05-04 2010-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체 통신 시스템에서 저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방법 및 그 인체 통신 시스템
KR100994982B1 (ko) * 2008-02-01 2010-1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확산부호의 주파수 기저대역을 선택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적응형 주파수 선택적 스프레더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5125A1 (en) * 1995-10-19 1997-04-24 The University Of Melbourne Embedded data link and protocol
US6704602B2 (en) * 1998-07-02 2004-03-09 Medtronic, Inc. Implanted medical device/external medical instrument communication utilizing surface electrodes
JP2000174679A (ja) * 1998-12-09 2000-06-23 Nec Mobile Commun Ltd ダイバシティ受信機およびダイバシティ制御方法
KR20010011207A (ko) 1999-07-26 2001-02-15 김영환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US7918786B2 (en) * 2003-11-11 2011-04-05 Olympus Corporation Capsule type medical device system, and capsule type medical device
WO2006100808A1 (ja) * 2005-03-22 2006-09-28 Osaka University カプセル内視鏡画像表示制御装置
US7979111B2 (en) * 2006-06-15 2011-07-12 Angelo Joseph Acquista Wireless electrode arrangement and method for patient monitoring via electrocardiography
JP2008097186A (ja) * 2006-10-10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ロック供給装置、クロック供給方法、ストリーム処理装置
JP4914786B2 (ja) * 2007-08-28 2012-04-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被検体内位置検出システム
KR100876673B1 (ko) * 2007-09-06 2009-01-07 아이쓰리시스템 주식회사 촬영 속도 조절이 가능한 캡슐형 내시경
JP2010187729A (ja) * 2009-02-16 2010-09-02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システム
KR101141421B1 (ko) 2010-07-12 2012-05-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디지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425A (ko) * 2003-01-25 2004-07-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체통신방법, 인체통신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감지장치
KR20040068424A (ko) * 2003-01-25 2004-07-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체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방법 및 수신장치
KR100994982B1 (ko) * 2008-02-01 2010-1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확산부호의 주파수 기저대역을 선택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적응형 주파수 선택적 스프레더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장치
KR20100120041A (ko) * 2009-05-04 2010-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체 통신 시스템에서 저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방법 및 그 인체 통신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517A (ko) * 2018-05-03 2019-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캡슐 내시경과 통신하기 위한 최적의 전극들을 선택하는 전극 선택 장치 및 전극 선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89349B2 (ja) 2016-09-07
FR2971382A1 (fr) 2012-08-10
FR2971382B1 (fr) 2017-02-03
US20120201235A1 (en) 2012-08-09
DE102012100986B4 (de) 2016-02-25
US8798049B2 (en) 2014-08-05
CN102695047A (zh) 2012-09-26
KR101580479B1 (ko) 2015-12-29
DE102012100986A1 (de) 2013-01-03
JP2012165384A (ja) 2012-08-30
CN102695047B (zh) 2015-01-21
FR2977426A1 (fr)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479B1 (ko) 인체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522132B1 (ko) 인체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방법 및 수신장치
CN102283625B (zh) 内窥镜系统
JP2010531606A (ja) 周波数選択基底帯域を用いた変復調方法及びその装置
AU2006288211B2 (en) Receiver apparatus, monitor apparatus, and intra-subject information acquiring system using them
JP2008080007A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内視鏡システム
EP2654285B1 (en) Imaging system
EP4024796A1 (en) Encoding device, encoding method, decoding device, decoding method, and program
US84886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mbol error correctable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sing frequency selective baseband
US20210185254A1 (en) Imaging system
JP2015080702A (ja) 内視鏡装置
CN107072515A (zh) 图像数据传输系统
CN103491852A (zh) 摄像系统
US20210145250A1 (en) Imaging system and endoscopic device
KR102444491B1 (ko) 캡슐 내시경 수신 장치, 이를 포함하는 캡슐 내시경 시스템, 및 캡슐 내시경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US11962329B2 (en) Encoding device, encoding method, decoding device, decoding method, and program
US11996937B2 (en) Encoding device, encoding method, decoding device, decoding method, and program
CN110169053A (zh) 信号处理系统和内窥镜
US20220218181A1 (en) Processing apparatus,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220079416A1 (en) Single stream protocol for multiple sensor medical system
JP2010004443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2006075244A (ja) 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