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201A -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 Google Patents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201A
KR20120088201A KR1020110009390A KR20110009390A KR20120088201A KR 20120088201 A KR20120088201 A KR 20120088201A KR 1020110009390 A KR1020110009390 A KR 1020110009390A KR 20110009390 A KR20110009390 A KR 20110009390A KR 20120088201 A KR20120088201 A KR 20120088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main body
cover
unit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8485B1 (ko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이뉴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이뉴정보통신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09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485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맨홀의 입구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맨홀 내의 계측장비와 진단장비에 의해 검침된 데이터를 무선모듈에 의한 근거리 및 유무선통신으로 수집하고 축적하는 데이터처리부; 상기 계측장비와 진단장비를 원격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근거리 및 유무선통신부;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맨홀의 위치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지피에스(GPS);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수집되고 축적된 데이터와 상기 지피에스(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통합한 후 중앙관제서버로 무선통신에 의해 압축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원활한 무선통신을 보조하는 안테나;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작동전원을 공급하도록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고 충전하는 전원공급부;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고휘도 엘이디(LED)로 표면에 표시되고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강화유리 덮개; 및 상기 본체와 강화유리 덮개를 맨홀에 고정하는 잠금장치;로 이루어져, 맨홀 내 지하매설물을 원격으로 상기 맨홀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LED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광고 및 홍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MANHOLE COVER FOR MANHOLE CONTROL}
본 발명은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맨홀에 설치되는 맨홀뚜껑이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데이터처리부, 근거리 및 유무선통신부, 전송부, GPS, 제어부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강화유리 덮개로 이루어져, 맨홀 내의 지하시설물을 상기 GPS로 위치를 확인하면서 원격으로 관리하고, 원격관리를 위한 작동전원을 태양광을 이용하여 공급하며, 상기 강화유리 덮개에는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고휘도 LED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맨홀뚜껑에 의해 맨홀 내 지하시설물의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에 관한 것이다.
국가의 주요 자원인 수력, 전력, 가스 등의 자원은 대부분 지하에 매설되는 관로를 통해 이동하도록 운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관로는 일반적인 시야에 보이지 않아 도시 미관이나 자원의 도난은 방지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관로들이 지하에 매설되면서 해당 관로의 상태나 자원의 전송량 등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단점도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예로 현재 수자원과 관련된 상수도관 망의 관리는 국가에서 전사적으로 관리 및 효율적인 운영 방법을 찾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1999년부터 Eco-Star Project(수처리선진화사업)를 운영하여 지하에 매설된 관망을 관리 및 감독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및 정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2004년부터 환경부 훈령 제486호 [상수도 유수율 제고 업무 처리 규정]을 제정하고, 해당 관망에 유량계, 수압계 등을 설치하여 상수도의 누수 및 시설물에 대한 상시 관리를 의무화하고 있다.
상기한 지하매설물의 관리를 위해서 설치된 맨홀은 특히, 초고속 정보 통신이 널리 적용됨에 따라, 통신 맨홀의 관리가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떠오르고 있다. 통신기반 시설에서 통신 맨홀 내의 통신 시설의 고장은 서비스의 중단과 직결되며, 그 피해는 사회적 및 경제적으로 방대하다. 이와 같은 맨홀의 중요성은 통신 설비뿐만 아니라, 지하에 매설된 전력 설비, 가스 설비, 상하수 설비 등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현재 각지에 설치된 맨홀은 단지 철제의 맨홀 뚜껑을 덮어놓은 상태로 관리되며, 출입자 관리나 작업자 관리가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지자체별 또는 관리 사업체별로 임의로 맨홀을 설치 및 관리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 및 유지가 필요하다.
또한, 맨홀 내부의 각종 환경 상태에 대해서는 적절한 감시 체계가 없으므로, 맨홀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고에 대해서는 조기 대응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맨홀 내 지하매설물인 계측장비와 진단장비를 근거리 및 유무선 통신에 의해 원격으로 검침하고, 검침한 데이터를 무선통신에 의해 중앙관제서버로 압축전송하여 상기 계측장비와 진단장비에 의해 검침되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맨홀뚜껑을 구성하고, 상기 맨홀뚜껑에 GPS를 내장하여 맨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관리하며, 상기 맨홀뚜껑을 구성하는 본체와 덮개를 다수개의 고정볼트로 고정하되 상기 고정볼트의 최종 조임 지점에 접촉스위치를 설치하여 맨홀뚜껑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강화유리로 된 상기 덮개 표면에 LED로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한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은, 맨홀의 입구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맨홀 내의 계측장비와 진단장비에 의해 검침된 데이터를 무선모듈에 의한 근거리 및 유무선통신으로 수집하고 축적하는 데이터처리부; 상기 계측장비와 진단장비를 원격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근거리 및 유무선통신부;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맨홀의 위치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지피에스(GPS);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수집되고 축적된 데이터와 상기 지피에스(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통합한 후 중앙관제서버로 무선통신에 의해 압축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원활한 무선통신을 보조하는 안테나;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작동전원을 공급하도록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고 충전하는 전원공급부;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고휘도 엘이디(LED)로 표면에 표시되고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강화유리 덮개; 및 상기 본체와 강화유리 덮개를 맨홀에 고정하는 잠금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무선모듈은 계측장비와 진단장비의 정보를 입출력으로써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I/O 포트(PORT)와 상기 계측장비와 진단장비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장치(MEMORY)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근거리 및 유무선통신부에서 계측장비와 진단장비와의 근거리통신은 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W-CDMA),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유무선통신은 시리얼(Serial) 인터페이스를 가진 디바이스 및 데이터 교류를 위한 시리얼(SERIAL)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전송부의 무선통신은 3G 모뎀(MODEM) 또는 4G LTE(Long Term Evolution)에 의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어부는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내의 장치들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관장하는 중앙처리장치(CPU)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부인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및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에 공급할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부로써 강화유리 덮개의 상부에 설치되는 솔라패널과, 상기 솔라패널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상기 배터리 및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에 공급하는 충전부인 솔라 컨트롤러와, 상기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에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회로(power circui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잠금장치는 맨홀뚜껑의 하단부 테두리를 상기 맨홀뚜껑이 설치되는 맨홀에 잠금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맨홀뚜껑을 맨홀에 고정하며, 상기 잠금수단은 본체의 하단부 테두리와 맨홀 사이에 체결되는 다수개의 잠금볼트와 각 잠금볼트의 최종 조임 지점인 맨홀에 설치된 접촉스위치로 이루어져, 상기 잠금볼트의 최종 조임 지점에서 접촉스위치가 작동하여 맨홀뚜껑과 맨홀과의 분리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강화유리 덮개는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각 고정볼트의 최종 조임 지점인 상기 본체에 접촉스위치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트의 최종 조임 지점에서 접촉스위치가 작동하여 강화유리 덮개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에 의하면, 기술적인 측면에서 각 분야별로 개별 운영되는 지하 매설물 장치들의 통합 운영 및 통합 DB구축이 가능하고, 중앙관제서버의 요구에 따른 시간 스케줄링을 통해 지능화된 장치 운용이 가능하며,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환경에서 맨홀뚜껑은 소형 서버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맨홀뚜껑은 원격 계측을 위한 각 장치의 운용 서버로 활용이 가능하고, 정부 기관 및 각 기관이 개별사용하고 있는 지하 매설물 등에 대해 장치의 설정을 통해 즉시 이식 및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제?산업적인 측면에서 지하 매설물의 실시간 상태 모니터링 및 데이터 취득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고, 관련 맨홀의 지역의 담당자가 배치되어 유지보수 및 관련 데이터를 취득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맨홀뚜껑의 사용을 위한 전원 공급을 위해 대규모 공사로 인한 비용 발생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광을 이용한 친환경 시스템 적용을 통한 신 재생에너지 공급으로 환경오염 방지할 수 있고, 지하 매설물과 연계된 각종 측정치의 특성과 관계없이 통신환경구축이 가능하며, 지하 매설물의 실시간 상태 모니터링을 통해 중장기적인 DB 구축 및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GPS에 의해 지역별, 장치별, 기능별로 맨홀뚜껑의 위치와 각 기능을 세분화하여 개별관리 운용할 수 있고, 고정볼트에 의해 맨홀의 개폐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맨홀뚜껑의 표면에 표시되는 LED 이미지에 의해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다양한 광고효과를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맨홀뚜껑에 내장된 지그비(ZIGBEE)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유지보수를 위한 전용 어플리캐이션(APP)이 저장된 전용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맨홀뚜껑의 상세 점검 및 실제 현장 점검시 상기 맨홀뚜껑 내에 설치된 장치들의 상태를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기능을 통해 맨홀뚜껑의 효율적인 유지보수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뚜껑를 이용하여 맨홀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내의 각 하드웨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이 설치된 맨홀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뚜껑를 이용하여 맨홀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은 내장된 제어부로 각 구성들을 제어하면서 무선모듈로 맨홀 내의 계측장비와 진단장비를 원격검침하여 무선통신에 의해 전송하고, 원활한 무선통신을 위해 안테나를 내장하며, 내장된 GPS에 의해 맨홀을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관리하고, 내장된 솔라패널에 의해 제어하고 전송 등을 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며, 별도의 잠금장치에 의해 맨홀에 고정됨으로써 맨홀뚜껑의 도난 등을 방지하는 것을 기본개념으로 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내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본개념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맨홀뚜껑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와 강화유리 덮개(2)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 내에 데이터처리부, 무선통신부, GPS, 전송부, 안테나, 전원공급부, 제어부가 설치되고, 상긴 본체(1)와 강화유리 덮개(2)는 별도의 잠금장치에 의해 맨홀에 고정된다.
상기 본체(1)는 맨홀의 입구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낮은 높이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고리형 테두리부(1a)가 형성되어 테두리 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6개의 볼트구멍(5a)이 형성되며, 재질은 스테인리스스틸(SUS)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맨홀 내의 지하에 매설되는 수도관과 가스관 등의 관로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설치되는 계측장비와 진단장비가 검침하여 데이터를 산출하면, 이 데이터를 무선모듈에 의해 원격으로 실시되는 근거리 유무선통신으로 수집하고 축적을 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무선모듈은 자가 진단 및 검침을 위한 지능형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상기 계측장비와 진단장비의 정보를 입출력으로써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I/O 포트(PORT)와 상기 계측장비와 진단장비로부터 원격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장치(MEMORY)로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처리부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데이터 수집서버로 사용되어 원거리의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게 된다.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근거리 및 유무선통신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계측장비와 진단장비를 무선모듈에 의해 원격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계측장비및 진단장비와 유무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로 개발된 것으로서, 상기 계측장비와 진단장비와의 근거리통신은 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W-CDMA),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계측장비와 진단장비와의 유무선통신은 시리얼(Serial) 인터페이스를 가진 디바이스 및 데이터 교류를 위한 시리얼(SERIAL)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근거리 및 유무선통신부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DNP3 마스터 스테이션(Master Station)부로 각 맨홀의 데이터와 실시간 데이터를 DNP3 전송방식을 통해 DNP3 아웃 스테이션(Out Station)에서 수신한 후 관리 및 모니터링을 하게 된다.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지피에스(GPS)는 각 맨홀의 위치를 확인하고 관리하게 되며, 지리정보시스템과 중앙관제서버를 관리하는 중앙관리시스템에서 지역별, 장치별, 기능별로 맨홀뚜껑의 위치와 각 기능을 세분화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전송부는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수집되고 축적된 데이터와 지피에스(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통합한 후 중앙관제서버로 무선통신에 의해 압축전송을 하게 된다.
상기 전송부에서 무선통신은 3G 모뎀(MODEM) 또는 4G LTE(Long Term Evolution)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게 되며,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원거리 데이터 송신부로 이동통신사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거리에 있는 데이터를 VPN으로 암호화한 후 중앙관제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안테나는 상기 전송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무선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보조역할로 사용한다.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제어부는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이 맨홀을 관리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것을 전체적으로 관장하여 제어하도록 한 것으로서, 보통 CPU라고 하는 중앙처리장치로 설치되어 상기 소프트웨어 명령의 실행이 이루어지면서 작동하도록 하는 기능을 내장한 반도체 칩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데이터 로깅 및 장치 제어부로 맨홀 내에 설치된 각종 장치들의 상태(온도와 습도, 배터리 량 등)를 시간을 기준으로 저장하고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 로깅 및 장치 제어부에 의해 수집된 정보는 근거리 및 유무선통신부에서 소프트웨어로 사용되는 데이터 송수신부로 근거리 네트워크(ZIGBEE, BLUETOOTH, Ethernet)를 이용하여 중앙관제서버와 송수신한다.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전원공급부는 상기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전원을 공급하도록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고 충전을 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배터리, 솔라패널(3), 솔라 컨트롤러 및, 전원회로(power circuit)로 이루어져, 상기 배터리는 전지부로써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된 전기를 저장하여 상기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고, 상기 솔라패널(3)은 발전부로써 다수개의 솔라셀로 이루어져 일조시간에 상기 배터리에 저장하고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에 공급할 전력을 생성하게 되며, 상기 솔라 컨트롤러는 충전부로써 솔라패널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상기 배터리 및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에 공급하게 되며, 상기 전원회로(power circuit) 상기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에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는 태양광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전기를 저장하기도 하지만 일조시간 외에는 태양광과 상관없이 저장된 전기를 상기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전원으로 공급하기도 한다.
또한, 전원공급부에는 배터리의 충전량 및 사용량의 감지기능을 내장하여 상기 제어부가 하는 기능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화유리 덮개(2)는 본체(1)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덮개테두리 내에 2개의 둥근 유리판을 겹쳐 배치하여 각 유리판의 사이의 중심부에는 본체(1) 내의 제어부와 연결된 고휘도 엘이디(LED)를 설치하고, 상기 고휘도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표면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4)를 표시함으로써 고휘도 엘이디(LED) 이미지(4)로 항상 도로상에 노출되어 있어 광고와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미지(4)는 예컨대 주간에는 기업이나 공기업의 브랜드 이미지로 표현되고, 야간에는 고휘도 LED에 의한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하게 된다.
상기 강화유리 덮개(2)는 맨홀뚜껑의 상부를 이루어 도로상에 노출되기 때문에 차량으로 인한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 강화유리를 사용하게 되며, 강화유리 덮개(4)를 구성하고 있는 유리판의 아래에는 상기 솔라패널(3)을 구성하기 위한 다수개의 솔라셀을 배치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화유리 덮개(2)의 덮개테두리에는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8개의 볼트구멍(5b)이 형성되어, 상기 각 볼트구멍(5b)을 통해 삽입되는 8개의 고정볼트(6)가 본체(1)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볼트삽입공(7a)에 삽입되어 조여짐으로써, 상기 본체(1)와 강화유리 덮개(2)가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며, 각 고정볼트(6)가 삽입되는 상기 본체(1)의 볼트삽입공(7a)의 바닥부에는 접속스위치(8)를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각 고정볼트(6)가 최종 조임 지점에서 볼트삽입공(7a) 내의 접촉스위치(8)에 닿으면 상기 접촉스위치(8)가 작동하여 본체(1)에 강화유리 덮개(2)가 결합되어 있는지 분리되어 있는지를 제어부에 입력하여 표면에 LED로 표시하도록 하고,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전송부를 통해 중앙관제서버에 이를 전송함으로써 도난방지용 등의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잠금장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와 강화유리 덮개(2)로 구성된 맨홀뚜껑을 맨홀(9)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수단으로써 잠금볼트(10)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본체(1)의 고리형 테두리부(1a)에 형성된 볼트공(5a)을 통해 상기 잠금볼트(10)를 삽입하여 조여줌으로써 맨홀(9)에 맨홀뚜껑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잠금장치에서도 상기 잠금볼트(10)가 삽입되는 맨홀(9)의 볼트삽입공(7b) 내에도 접촉스위치(8)를 설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도난방지용 등의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잠금장치에 맨홀뚜껑의 방수나 방습을 위한 장치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맨홀뚜껑 내에는 수자원에 대한 수질, 수압, 유속, 유량, 그리고 맨홀뚜껑의 침수감지 등을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맨홀뚜껑 내에 설치되는 장치들은 각각의 검침기능에 맞는 미들 하드웨어 개념의 중간관제서버로 구축되며, 상기 중간관제서버를 통해 최종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여 제어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관제서버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맨홀뚜껑은 각각이 개인웹서버를 구축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이 독립된 개체(서버)로 운영?관리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맨홀뚜껑을 효율적인 유지보수 및 관리를 위해 상기 맨홀뚜껑에 내장된 지그비(ZIGBEE)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유지보수를 위한 전용 어플리캐이션(APP)이 저장된 전용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맨홀뚜껑의 상세한 점검 및 실제 현장에서의 점검시 상기 맨홀뚜껑 내에 설치된 장치들의 상태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본체 1a : 고리형 테두리부
2 : 강화유리 덮개 3 : 솔라패널
4 : LED 이미지 5a,5b : 볼트구멍
6 : 고정볼트 7a,7b : 볼트삽입공
8 : 접촉스위치 9 : 맨홀
10 : 잠금볼트

Claims (9)

  1. 맨홀의 입구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맨홀 내의 계측장비와 진단장비에 의해 검침된 데이터를 무선모듈에 의한 근거리 및 유무선통신으로 수집하고 축적하는 데이터처리부;
    상기 계측장비와 진단장비를 원격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근거리 및 유무선통신부;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맨홀의 위치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지피에스(GPS);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수집되고 축적된 데이터와 상기 지피에스(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통합한 후 중앙관제서버로 무선통신에 의해 압축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원활한 무선통신을 보조하는 안테나;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작동전원을 공급하도록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고 충전하는 전원공급부;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고휘도 엘이디(LED)로 표면에 표시되고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강화유리 덮개; 및
    상기 본체와 강화유리 덮개를 맨홀에 고정하는 잠금장치;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무선모듈은 계측장비와 진단장비의 정보를 입출력으로써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I/O 포트(PORT)와 상기 계측장비와 진단장비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장치(MEMOR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및 유무선통신부에서 계측장비와 진단장비와의 근거리통신은 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W-CDMA),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유무선통신은 시리얼(Serial) 인터페이스를 가진 디바이스 및 데이터 교류를 위한 시리얼(SERIAL)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의 무선통신은 3G 모뎀(MODEM) 또는 4G LTE(Long Term Evolution)에 의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내의 장치들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관장하는 중앙처리장치(CPU)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부인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및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에 공급할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부로써 강화유리 덮개의 상부에 설치되는 솔라패널과, 상기 솔라패널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상기 배터리 및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에 공급하는 충전부인 솔라 컨트롤러와, 상기 데이터처리부와 전송부 등에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회로(power circu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맨홀뚜껑의 하단부 테두리를 상기 맨홀뚜껑이 설치되는 맨홀에 잠금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맨홀뚜껑을 맨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본체의 하단부 테두리와 맨홀 사이에 체결되는 다수개의 잠금볼트와 각 잠금볼트의 최종 조임 지점인 맨홀에 설치된 접촉스위치로 이루어져, 상기 잠금볼트의 최종 조임 지점에서 접촉스위치가 작동하여 맨홀뚜껑과 맨홀과의 분리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 덮개는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각 고정볼트의 최종 조임 지점인 상기 본체에 접촉스위치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트의 최종 조임 지점에서 접촉스위치가 작동하여 강화유리 덮개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KR1020110009390A 2011-01-31 2011-01-31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KR101278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390A KR101278485B1 (ko) 2011-01-31 2011-01-31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390A KR101278485B1 (ko) 2011-01-31 2011-01-31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201A true KR20120088201A (ko) 2012-08-08
KR101278485B1 KR101278485B1 (ko) 2013-07-02

Family

ID=4687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390A KR101278485B1 (ko) 2011-01-31 2011-01-31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48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136B1 (ko) * 2012-12-06 2014-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통신을 이용한 맨홀 내부의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
GB2514079A (en) * 2013-01-20 2014-11-19 Adam Geoffrey Huggett Hugslock system phase 2
KR101519560B1 (ko) * 2014-11-24 2015-05-14 홍천웅 맨홀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맨홀 관리 방법
CN104790433A (zh) * 2015-04-21 2015-07-22 成都深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gps定位跟踪系统的防盗井盖
KR20170023967A (ko) * 2014-06-20 2017-03-0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데이터 통신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7613000A (zh) * 2017-09-20 2018-01-19 昆明理工大学 一种基于Zigbee自组网的嵌入式井盖状态自检系统
CN107761781A (zh) * 2017-12-01 2018-03-06 秦皇岛市华勘智能科技有限公司 城市管廊井盖控制系统
CN108444520A (zh) * 2018-04-27 2018-08-24 北海和思科技有限公司 一种井盖防盗跟踪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001765A (zh) * 2018-06-07 2018-12-14 贵港市厚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井盖防盗跟踪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433351B1 (ko) * 2022-03-08 2022-08-18 동양특수콘크리트(주) 스마트 콘크리트 맨홀 및 그의 관리 운영 시스템
KR102559153B1 (ko) * 2023-04-03 2023-07-25 주식회사 동양이엔지 맨홀 역류시 유실 방지용 맨홀 뚜껑 및 그를 이용한 맨홀 운영 관리 시스템
KR102619464B1 (ko) * 2022-10-21 2024-01-02 주식회사 호남금속 수압 조절 및 추락 방지 안전 맨홀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86992B (zh) * 2016-01-26 2017-08-08 国网浙江省电力公司台州供电公司 一种电缆工井盖
KR102256113B1 (ko) 2020-11-30 2021-05-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직 연결체 및 고정걸쇠 어셈블리를 구비한 맨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6616A (ja) * 2001-06-08 2002-12-20 Hakko Co Ltd マンホール情報の管理方法及び管理システム
KR100429769B1 (ko) 2001-12-24 2004-05-03 주식회사 자라다 지하 공동구의 원격 감시 시스템
JP3089260U (ja) 2002-04-11 2002-10-18 株式会社ヨドキャスチング マンホール蓋及びマンホールの照明装置並びにマンホールの標識具
KR20100086182A (ko) * 2009-01-22 2010-07-30 (주)지인프라 맨홀 뚜껑 및 맨홀 관리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136B1 (ko) * 2012-12-06 2014-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통신을 이용한 맨홀 내부의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
GB2514079A (en) * 2013-01-20 2014-11-19 Adam Geoffrey Huggett Hugslock system phase 2
KR20170023967A (ko) * 2014-06-20 2017-03-0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데이터 통신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519560B1 (ko) * 2014-11-24 2015-05-14 홍천웅 맨홀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맨홀 관리 방법
CN104790433A (zh) * 2015-04-21 2015-07-22 成都深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gps定位跟踪系统的防盗井盖
CN107613000B (zh) * 2017-09-20 2024-01-09 昆明理工大学 一种基于Zigbee自组网的嵌入式井盖状态自检系统
CN107613000A (zh) * 2017-09-20 2018-01-19 昆明理工大学 一种基于Zigbee自组网的嵌入式井盖状态自检系统
CN107761781A (zh) * 2017-12-01 2018-03-06 秦皇岛市华勘智能科技有限公司 城市管廊井盖控制系统
CN108444520A (zh) * 2018-04-27 2018-08-24 北海和思科技有限公司 一种井盖防盗跟踪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001765A (zh) * 2018-06-07 2018-12-14 贵港市厚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井盖防盗跟踪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433351B1 (ko) * 2022-03-08 2022-08-18 동양특수콘크리트(주) 스마트 콘크리트 맨홀 및 그의 관리 운영 시스템
KR102619464B1 (ko) * 2022-10-21 2024-01-02 주식회사 호남금속 수압 조절 및 추락 방지 안전 맨홀커버
KR102559153B1 (ko) * 2023-04-03 2023-07-25 주식회사 동양이엔지 맨홀 역류시 유실 방지용 맨홀 뚜껑 및 그를 이용한 맨홀 운영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8485B1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485B1 (ko)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CN107680359B (zh) 一种一体化物联网智能井盖
JP5673593B2 (ja) 漏水検知方法および漏水検知装置
CN106017560A (zh) 电缆井状态综合监测及预警系统
CN110264637A (zh) 一种共享单车管理系统及其使用方法
HRP20120603A2 (hr) Telemetrijski hidrant za mjerenje, prikupljanje i bežiäśno slanje izmjerenih vrijednosti u bazu podataka na udaljeno raäśunalo
CN205561907U (zh) 一种城市地下管网监测装置
KR102196719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해외유입미세먼지가 국내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미세먼지측정 및 예보시스템
CN112217897A (zh) 一种基于物联网平台的智慧水资源管理系统
CN104864935A (zh) 一种实时监测城市排水管道的系统及方法
KR101440136B1 (ko) 이동통신을 이용한 맨홀 내부의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
KR101366759B1 (ko) 하이브리드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진단 감시 시스템
CN108845601A (zh) 基于NB-IoT的城市地下水道监控系统
Sempere-Payá et al. ICT as an enabler to smart water management
KR100901176B1 (ko) 지중 유체 관로 관리장치 및 방법
CN106368289A (zh) 排水管网远程监测系统
CN206189558U (zh) 排水管网远程监测系统
CN205540231U (zh) 一种城市综合管控系统
CN107727156A (zh) 一种电缆沟监测预警设备
CN105513246B (zh) 判定基站蓄电池组和线缆被盗的装置、方法及系统
CN104692005A (zh) 智能环卫亭
CN208459287U (zh) 一种高压交流输电线路湿度自动监测装置
CN203911580U (zh) 一种电力设备远程智能环境监控报警装置
CN208072477U (zh) 一种智能井盖状态监测管理系统
CN206638804U (zh) 一种智能电表监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