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158A -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158A
KR20120088158A KR1020110009306A KR20110009306A KR20120088158A KR 20120088158 A KR20120088158 A KR 20120088158A KR 1020110009306 A KR1020110009306 A KR 1020110009306A KR 20110009306 A KR20110009306 A KR 20110009306A KR 20120088158 A KR20120088158 A KR 20120088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ater
partition wall
partition
mat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서
Original Assignee
박경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서 filed Critical 박경서
Priority to KR102011000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8158A/ko
Publication of KR2012008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5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liquid type, e.g. filled with water or g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10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는, 물과 공기를 충진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제 1 격벽과, 상기 커버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제 2 격벽에 의하여 커버 내 공간을 격자형으로 구획하며, 상기 커버의 상판부와 접하는 상기 제 2 격벽 부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상부 유통공 및 상기 커버의 하판부와 접하는 상기 제 1,2 격벽 부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하부 유통공을 포함하는 격벽 어셈블리; 상기 커버 내에 포함된 것으로, 상기 커버에 충진된 물을 흡착하는 흡착성 겔; 상기 커버의 하부에 장착된 것으로, 상기 커버 내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에 의하면,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 및 상부/하부 유통공에 의하여 물의 이동에 의한 출렁임과 울렁거리는 현상을 차단하면서도 커버 자체의 기립성은 물론 물 매트리스 특유의 부드러움과 쿠션감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WATER MATRESS HAVING GRID - PATTERN BULKHEAD ASSEMBLY}
본 발명은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매트리스의 커버 내부 공간을 바둑판 형태로 구획하는 제 1,2 격벽으로 이루어진 격벽 어셈블리에 의하여 물의 조류 현상을 차단하되 물의 이동을 차단함으로 발생되는 매트리스의 경직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2 격벽의 특정 부위에 유통공을 형성하여 물 매트리스 특유의 안락함도 충분히 제공하도록 하는 물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물 매트리스는 매트리스에 물을 충진한 것으로, 일명 물침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물침대는 환자용 건강기구로 처음 고안된 이후, 사람의 하중을 버틸 수 있는 재질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다가 현재에는 얇고 가벼우면서도 사람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우수한 재질은 물론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과 구성을 부가하면서 발전이 계속되고 있다.
환자 치유 목적으로 태동된 물 매트리스는 열선 또는 냉매를 이용하여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제공하면서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량이 되었고, 특히 의학적으로는 물 특유의 유연한 쿠션감과 안락감에 의하여 불면증 퇴치 및 복통과 관졀염 감소 효과를 제공한다는 특성이 있으며 머리카락, 비듬, 기타 이물질이 매트 내에 잔류하게 되는 유공성 스프링 매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위생적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물 매트리스 특유의 물이 유동되는 성질에 대해 거부감을 갖는 사용자도 적지 않는바, 그 이유는 매트 위에서 사람이 움직일 때마다 물이 출렁이거나 유동되어 어지러움 또는 울렁거림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 제 890835호 물 매트리스는, "내부에 물 저장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 매트리스 커버와 하부 매트리스 커버로 이루어지는 매트리스 커버; 상기 상부 매트리스 커버와 상기 하부 매트리스 커버에 부착되어 다수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구비됨으로서 상기 상부 매트리스 커버와 상기 하부 매트리스 커버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상기 매트리스 커버의 팽창을 방지하며 물의 유동을 상쇄시키는 팽창 방지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활성탄섬유 발열선을 포함하여 상기 매트리스 커버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높이는 전기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활성탄섬유 발열선은 실리카겔 절연 보호층에 의해 삼중으로 피복되고, 별도로 PVC 절연 보호층에 의해 피복되어 누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여기서 팽창 방지근이 커버의 팽창을 방지하면서 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의 팽창 방지근은 첨부된 도면을 보아 알 수 있듯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자 형태로 연장되어 있어 매트리스 커버의 내부 공간을 다수로 구획한다고는 되어 있지만 오히려 팽창 방지근의 사이 공간을 따라 물의 조류(즉, 팽창 방지근 사이로 물의 흐름이 발생하고 팽창 방지근 사이가 좁을수록 물살이 빨라지는 현상)가 발생됨으로 사용자에게 울렁거림을 전달하거나 매트리스 커버의 상하를 완전히 차폐하기 때문에 팽창 방지근 사이로 수압이 집중되어 이를 통해 조류가 발생될 개연성이 높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팽창 방지근이 매트리스 커버의 팽창을 방지한다고 설명되어 있으나, 팽창 방지근이 매트리스 커버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매트리스 커버와 동일하게 팽창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매트리스 커버의 팽창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한계를 갖게 된다.
따라서 매트리스 커버 내의 물이 특정 방향으로 흐르는 문제를 차단할 뿐 아니라 보다 실효성 있게 매트리스 커버의 팽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물 매트리스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매트리스 커버의 내부 공간을 격자형으로 구획하는 격벽 어셈블리를 제공함과 아울러 격벽 어셈블리의 상하 부위에 일정한 유통공을 형성하여 상부 유통공으로는 공기가 흐르고 하부 유통공으로는 물이 흐르도록 하여 울렁거림을 차단하면서 물 특유의 부드러운 안락감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격벽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 1,2 격벽 중 제 2 격벽이 제 1 격벽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결합의 용이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격벽 어셈블리에 의한 다양한 패턴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 상판부의 상부 표면에 팽창계수가 작은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매트리스의 팽창 방지 밀 결로 현상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커버의 하부에 위치한 가열부의 상부에 격자형으로 함입 형성된 홈을 제공하고 이 홈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결로 현상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자연스러운 커버의 팽창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는, 물과 공기를 충진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제 1 격벽과, 상기 커버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제 2 격벽에 의하여 커버 내 공간을 격자형으로 구획하며, 상기 커버의 상판부와 접하는 상기 제 2 격벽 부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상부 유통공 및 상기 커버의 하판부와 접하는 상기 제 1,2 격벽 부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하부 유통공을 포함하는 격벽 어셈블리; 상기 커버 내에 포함된 것으로, 상기 커버에 충진된 물을 흡착하는 흡착성 겔; 상기 커버의 하부에 장착된 것으로, 상기 커버 내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2 격벽에는 결합 슬릿이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 슬릿에 의하여 상기 제 1,2 격벽이 상호 퍼즐식 끼움 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커버의 상판부 상측 표면에는, 상기 커버보다 팽창계수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진 비팽창 유도 코팅층;이 추가로 적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가열부의 상판 부위에는, 네트 형상의 리세스(recess)가 함입 형성되어, 상기 커버와 일정 간극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에 의하면,
1)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 및 상부/하부 유통공에 의하여 물의 이동에 의한 출렁임과 울렁거리는 현상을 차단하면서도 커버 자체의 기립성은 물론 물 매트리스 특유의 부드러움과 쿠션감을 제공하고,
2) 온도 변화에 따른 커버의 팽창 시 커버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로 현상 및 커버에 대한 팽창에 따른 이물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3) 결합 슬릿 등의 끼움 방식에 의하여 제 1,2 격벽을 조립하도록 하여 제 1격벽 어셈블리에 대한 시공의 용이성을 보장할 뿐 아니라 제 1,2 격벽의 결합 부위로 자연스럽게 소량의 물의 유통을 허용하여 매트리스의 경직성을 차단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 중 커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 매트리스 중 격벽 어셈블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 매트리스 중 격벽 어셈블리의 변형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상부 표면에 비팽창 유도 코팅층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와 가열부의 결합 관계 및 가열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및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도 5 참조)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물 매트리스(10)는 물이 수용될 수 있는 밀폐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20) 내에 길이/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수직하게 연장된 복수 개의 제 1,2 격벽(31,32)으로 이루어진 격벽 어셈블리(30)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커버(20)의 일 측부에 위치하여 커버(20) 내의 물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부(90) 및, 커버(20)에 충진된 물속에 위치하는 것으로 물의 출렁임을 방지하는 흡착성 겔(7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커버(20)는 공지의 직육면체 또는 이에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여 스프링 매트리스 쿠션형과 달리 물이 공지의 쿠션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커버(20)의 내부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 공간을 구비하되, 이러한 중공 공간은 격벽 어셈블리(30)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20) 각 부위의 위치의 이해를 돕기 위해 편의상, 상부 면을 상판부(21), 하부 면을 하판부(22), 측면을 측판부(23)라 명명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는 격벽 어셈블리(30)는 커버(20)의 중공 공간에서 상판부(21)와 하판부(22)를 연결하여 복수 개의 중공 공간을 구획하되, 바둑판 또는 격자형으로서 커버(2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연장된 복수 개의 격벽으로 구성이 되고, 여기서 커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연장된 격벽을 제 1 격벽(31), 커버(2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연장된 격벽을 제 2 격벽(32)이라 정의한다.
즉, 격벽 어셈블리(30)는 제 1 격벽(31)과 이러한 제 1 격벽(31)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격벽(32)의 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와 형상을 가진 제 1,2 격벽(31,32)은 일자형으로 연장된 공지의 격벽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개선한 것이다.
즉 길이 방향(또는 폭 방향)으로 상판부 및 하판부에 밀착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공지의 격벽의 경우, 격벽이 없을 경우에 비하여 물론 랜덤에 가까운 물의 출렁임을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하나, 격벽 사이로 특정 패턴(즉 일자 형으로 뻗은 패턴)이 형성되기 때문에 오히려 이러한 격벽 사이 공간을 따라 특정 수압을 갖고 물이 흐르면서 길이 방향으로의 일률적 흐름 또는 와류가 형성되는 것을 조장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울렁거림을 제공하게 된다는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방향으로 물이 흘러감으로 조류 현상이 발생되는 것까지 차단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격벽(31)에 수직하게 연장이 되는 제 2 격벽(32)에 의하여 소정 물 블록(25)이 제 1,2 격벽(31,32) 사이의 소형 공간 각각 내에 잔류하게 함으로써, 가열부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커버(20)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출렁임 내지 울렁거림이 발생되는 현상마저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하고 안락함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다만, 제 1,2 격벽(31,32)에 의하여 격자형으로 커버 내부 공간을 차폐할 경우 오히려 물 고유의 부드러움과 안락함이 느껴지지 않고 제 1,2 격벽(31,32)에 갇힌 물 블록(25)에 의한 딱딱한 느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2 격벽(31,32)이 완전하게 상판부(21) 및 하판부(22)에 밀착되어 있지 않도록 특정 간극, 즉 간헐적으로 상판부(21) 및 하판부(22)와 이격된 부위를 포함하는바, 상판부(21) 측에서 이격되는 부위는 상부 유통공(40)이라 명명하고, 하판부(22) 측에서 이격되는 부위는 하부 유통공(50)이라 명명한다.
다시 말해, 상부 유통공(40)은 제 1,2 격벽(31,32) 중 제 2 격벽(32)만의 상부에서 상판부(21)와 이격되도록 반원형, 반타원형 내지 이에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 홈이고, 하부 유통공(50)은 제 1,2 격벽(31,32) 모두의 하부에서 하판부(22)와 이격되도록 역시 반원형, 반타원형 내지 이에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 홈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유통공(40)과 하부 유통공(50)은 기본적으로 제 1,2 격벽(31,32)이 상판부(21) 및 하판부(22)와 완전 밀착되는 현상을 막게 되는바, 이 경우 제 1,2 격벽(31,32)이 상판부(21)와 하판부(22) 사이에서 기립되어 있되 상하로 형성된 상부 유통공(40)과 하부 유통공(50)에 의하여 경직되지 않고 유연하게 기립될 수 있도록 하여 물(액체) 특유의 부드러움과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물이 이러한 유통공(40,50)을 따라 일정 부분(물론 많은 양은 아님)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제 1,2 격벽(31,32)에 의하여 물 블록(25)이 획일적으로 갇히게 되어 경직되거나 딱딱해지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상부 유통공(40)은 커버(20) 내에 물을 주입하였을 때 커버(20)의 상부 공간까지 가득 물이 차지 않는 일반적인 상황, 물을 가득 채울지라도 커버(20) 상부에 공기가 유통되는 공간이 발생되는 상황을 가정하여 커버(20) 내 수면 상부에 잔류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상부 유통공(40)은 커버(20) 내에 잔류한 공기가 역시 경직되어 갇히지 않고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비단 제 2 격벽(32)에만 형성된 이유는 제 1 격벽(31)이 상판부(21)를 보다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제 2 격벽(32) 상부에 형성시킨 것으로 상술한 목적을 만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부 유통공(50)은 물은 물론 후술할 흡착성 겔(70)이 자연스럽게 제 1,2 격벽(31,32)의 하부에서 일정 부분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하중이 매트리스에 작용할 때 하부 유통공(50)으로 물과 흡착성 겔(7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반동을 제공함과 동시에 매트리스 자체가 딱딱해지는 느낌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제 1,2 격벽(31,32)의 하부에 형성된 이유는 제 1,2 격벽(31,32)의 중간 부위 내지 상부에 작용하였을 때보다 물의 흐름을 사용자가 최대한 느끼지 않도록 하면서 자연스러운 물의 이동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격벽 어셈블리(30)에 의하여, 사용자는 출렁임 또는 특정 방향으로 물이 흘러가는 느낌 또는 울렁임을 받지 않으면서도 딱딱하지 않고 최대한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받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20)는 이러한 상부 유통공(40)과 하부 유통공(50)과 별개로, 흡착성 겔(70) 및 물/공기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주입공(61)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커버(20)의 양 단에 1쌍의 물/공기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주입공(61)을 형성하고 커버(20)의 일 측에 겔 투입공(62)과 겔 배출공(63)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20) 내에 물이 충진되었을 때 물 속에 위치하게 되는 흡착성 겔(70)은 물을 흡착할 수 있는 성질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구 형태의 초기 겔 상태에서 물을 흡수할 경우 물을 흡수하여 작은 구 형태로 분할되면서 점성이 있는 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성질을 제공하여, 물과 접촉할 때 물을 겔(gel)과 같은 상태로 변환하여 물의 출렁임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흡착성 겔(70)은 다양한 성분 조합으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한바, 예를 들어 감자, 고구마 등의 식물을 통해 제조한 녹말/전분 성분 등이 존재하며 이는 이미 공지된 성분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흡착성 겔(70)은 물을 흡착하되, 상술하였듯이 제 자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작은 체적의 겔 상태로 분할이 되어 상기 하부 유통공(50)을 통해 유동이 될 수 있게 되며, 물을 함유한 흡착성 겔(70)의 유동에 의하여 매트리스(10) 자체가 경직성을 갖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0)의 일 측, 바람직하게는 커버(20)의 하부(하판부 아래쪽)에는 전기 가열식 열선을 포함한 가열부(90)가 형성되어 있어, 물을 적정 온도로 가열할 수가 있고 보온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온도 조절을 위한 컨트롤러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 설정에 따라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할 수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 매트리스 중 격벽 어셈블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술한 상부 유통공(40)과 하부 유통공(50)은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하부 유통공(50)의 수평 방향 연장 길이(a)는 하부 유통공(50) 사이의 간극(b)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즉, a〉b)
즉, 하부 유통공(40) 자체의 연장 길이보다 이 사이의 간극이 길 경우 물과 흡착성 겔(70)이 유동되도록 한다는 기본적인 취지가 상쇄되어 매트리스(10)에서 딱딱한 느낌을 전달한다는 문제를 가질 수 있다는 실험적 결과를 얻게 되었는바, 제 1,2 격벽(31,32)에 의하여 기본적으로 상판부(21)와 하판부(22) 사이를 구획함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충분한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간극(b)보다 하부 유통공(50)의 연장 길이(a)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즉, 도 2의 실시예는 제 1,2 격벽(31,32)이 물의 조류 발생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특히 사용자에서 멀리 이격된 위치인 매트리스(10)의 하부 측에서 물과 흡착성 겔(70)의 충분한 유통을 허용하도록 하여 매트리스(10)에 묵직한 느낌을 부여하면서도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느낌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는 특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 매트리스 중 격벽 어셈블리의 변형 실시예의 평면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에 따른 격벽 어셈블리(30)는 제 1,2 격벽(31,32)이 상호 부착된 상태를 가정하여 도시하였으나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제 2 격벽(32)이 제 1 격벽(31) 사이에서 끼움 결합을 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즉, 제 1,2 격벽(31,32)의 제작상의 편의는 물론 사용자의 주관적 성향에 따라 제 2 격벽(32)의 배치의 자유로움을 부가하기 위하여, 우선 제 1 격벽(31)을 커버의 상판부(21)와 하판부(22)에 밀착되도록 제작한 다음 제 2 격벽(32)의 부분 구성을 이루는 제 2 격벽 블록(33)을 제 1 격벽(31) 사이에 제 1 격벽(31)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끼움 결합을 하고, 결합의 견고함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2 격벽(32)을 제 1 격벽(31)에 접착제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하여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격벽(32)의 상하면에만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판부(21) 및 하판부(22)와 밀착하도록 하고 측판부(23) 또는 제 1 격벽(31)과는 접착이 아니라 접촉하도록 하여 제 2 격벽(32)이 상판부(21) 및 하판부(22) 사이에서 전체적인 매트리스 지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는 충실하도록 하되 제 1 격벽(31)과는 미세 틈이 자연스럽게 발생하도록 하여 물의 흐름을 일정 부분 허용하여 매트리스 자체의 경직성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 경우, 특정한 제 1 격벽(31) 사이에는 제 2 격벽 블록(33)을 삽입하지 않도록 하여 바둑판 형태가 아니라 보다 다양한 패턴 형태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제 1,2 격벽(31,32)에 의한 형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결합의 견고함 및 탈부착의 자유로움을 동시에 추구하기 위하여 도 3의 부분 확대 사시도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2 격벽(32)과 접하는 부위인 제 1 격벽(31)의 일 부위와 역시 제 1 격벽(31)과 접하는 부위인 제 2 격벽(32)의 일 부위 각각에 결합 슬릿(35)을 형성하고 이를 마치 퍼즐 결합식으로 끼움 결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 1,2 격벽(31,32)은 반드시 바둑판 형식의 밀폐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근본적인 목적이 아니라 제 1,2 격벽(31,32)에 의해 발생되는 단위 공간에 물을 충분히 가두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결합 슬릿(35) 사이의 틈으로 물이 흘러가도 상관없을 뿐 아니라 오히려 이러한 결합 슬릿(35)에 의한 제 1,2 격벽(31,32)의 결합 관계에 의하여 격벽 어셈블리(30) 자체에 일정한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어 상술한 물의 흐름을 일정 부분 허용한다는 본 발명의 기본 취지에도 부합한다.
이와 같이 결합 슬릿(35)에 의하여 제 1,2 격벽(31,32)이 결합하는 경우에는 제 2 격벽(32)을 제 2 격벽 블록(33)으로 분할할 필요가 없이 제 1 격벽(31)의 결합 슬릿(35)을 따라 삽입하는 방식으로 끼워 넣을 수가 있고, 이 때 제 2 격벽(32)은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는 중공 공간을 구비한 튜브 형태로 구성을 하여 제 2 격벽(32)에 공기를 주입하지 않은 상태로 우선 제 1 격벽(31)과 결합을 시킨 다음 제 2 벽벽에 공기 주입을 위해 별도로 형성된 주입공에 공기를 불어 넣어 제 2 격벽(32)이 제 1 격벽(31)의 결합 슬릿(35)과 결합된 상태에서 팽창되도록 제 2 격벽(32)의 위치를 조절할 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상부 표면에 비팽창 유도 코팅층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커버(20)의 상판부(21) 상측 표면에는 비팽창 유도 코팅층(80)이 추가로 적층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비팽창 유도 코팅층(80)은 커버(20)보다 팽창 계수(expansion coefficient)가 작은 재질로 제작된 것으로 온도 변화에 따라 커버(20)보다 체적 변화가 더 작은 성질을 갖게 된다.
즉, 가열부(90)에 의하여 물이 가열될 때 물의 온도 증가에 의하여 이를 감싸는 커버(20) 역시 상승된 온도에 영향을 받아 팽창이 될 수 있는바, 이는 커버(20) 자체, 특히 사용자와 1차적으로 접하는 상판부(21) 부위가 온도 변화에 의해 쉽사리 자체 체적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뿐 아니라 커버(20)의 상하 온도 차이에 의하여 커버(20)의 상판부(21) 외부 부위에 이슬 맺힘, 즉 결로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재로서의 역할을 제공하도록 한다.
커버(20)에 가열부(90)에 의한 열이 작용할 때, 커버(20)가 팽창을 하려는 순간 커버(20)보다 낮은 팽창성을 갖는 비팽창 유도 코팅층(80)에 의하여 커버(20)는 마치 팽창계수가 다른 2개의 금속을 붙인 바이메탈과 같이 휘려는 성질을 가질 수 있으나, 매트리스(10) 자체의 체적이 일반적으로 작은 체적이 아니기 때문에 특히 상판부(21) 자체에서 휘어지는 성질이 발현되지 않을 뿐 아니라 상판부(21)와 견고하게 부착된 비팽창성 유도 코팅층(80)에 의하여 상판부(21) 자체의 팽창을 강제적으로 막고 이러한 팽창 성질을 측판부(23)로 유도하여 측판부(23)에서 팽창될 수 있도록 커버(20)의 팽창 부위를 전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와 가열부의 결합 관계 및 가열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상술하였듯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부(90)는 커버(20)의 하측에 위치하여 커버(20) 내의 물에 온기를 공급, 즉 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역할을 제공하고, 별도의 온도 조절 컨트롤러를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온도로 세팅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가열부(90)는 외부 전원에 의하여 구동이 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 때, 가열부(90)의 상판 부위에는 네트(바둑판) 형상의 리세스(recess)(100)가 함입 형성되어 있다.
리세스(100)는 가열부(90)에서 제공된 열에 의하여 커버(20)가 자체 팽창을 할 때 팽창 계수의 차이에 의해 가열부(90)와 커버(20) 사이 접촉 부위가 떨어지거나 커버(20)의 내측 부위가 외부 공기와의 차단에 의하여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 다시 말해 커버(20)가 팽창될 수 있는 여분의 공간을 제공하는 1차적 기능은 물론, 외부 공기가 이러한 리세스(100)에 의해 발생된 공간을 따라 커버(20)의 중앙 부위까지 제공되도록 하여 내외 습도 차이에 의하여 측부에서 이격된 커버(20)의 중앙 부위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2차적인 기능을 제공한다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리세스(100)는 도 4에 따른 비팽창 유도 코팅층(80)에서 커버(20)의 상판부(21)와 접하는 하측 면에도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물 매트리스 20: 커버
21: 상판부 22: 하판부
23: 측판부 25: 물 블록
30: 격벽 어셈블리 31: 제 1 격벽
32: 제 2 격벽 33: 제 2 격벽 블록
35: 결합 슬릿 40: 상부 유통공
50: 하부 유통공 61: 주입공
62: 배출공 63: 겔 배출공
70: 흡착성 겔 80: 비팽창 유도 코팅층
90: 가열부 100: 리세스

Claims (6)

  1.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로서,
    물과 공기를 충진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제 1 격벽과, 상기 커버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제 2 격벽에 의하여 커버 내 공간을 격자형으로 구획하며, 상기 커버의 상판부와 접하는 상기 제 2 격벽 부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상부 유통공 및 상기 커버의 하판부와 접하는 상기 제 1,2 격벽 부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하부 유통공을 포함하는 격벽 어셈블리;
    상기 커버 내에 포함된 것으로, 상기 커버에 충진된 물을 흡착하는 흡착성 겔;
    상기 커버의 하부에 장착된 것으로, 상기 커버 내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통공은,
    상기 제 1,2 격벽에서 하부 유통공 사이 간극보다 수평 방향 연장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분할된 제 2 격벽 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격벽에는 결합 슬릿이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 슬릿에 의하여 상기 제 1,2 격벽이 상호 퍼즐식 끼움 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판부 상측 표면에는,
    상기 커버보다 팽창계수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진 비팽창 유도 코팅층;이 추가로 적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상판 부위에는,
    네트 형상의 리세스(recess)가 함입 형성되어, 상기 커버와 일정 간극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
KR1020110009306A 2011-01-31 2011-01-31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 KR20120088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306A KR20120088158A (ko) 2011-01-31 2011-01-31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306A KR20120088158A (ko) 2011-01-31 2011-01-31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158A true KR20120088158A (ko) 2012-08-08

Family

ID=46873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306A KR20120088158A (ko) 2011-01-31 2011-01-31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81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189A1 (ko) * 2014-08-28 2016-03-03 김경임 쿠션조립체
KR20180003551U (ko) * 2017-06-09 2018-12-19 노동욱 3d 매쉬 원단을 이용한 물충진방식 매트
KR20210153936A (ko) * 2020-06-11 2021-12-20 (주)메덱스힐링 냉온수 매트 및 냉온수 매트가 구비된 모션 베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189A1 (ko) * 2014-08-28 2016-03-03 김경임 쿠션조립체
KR20180003551U (ko) * 2017-06-09 2018-12-19 노동욱 3d 매쉬 원단을 이용한 물충진방식 매트
KR20210153936A (ko) * 2020-06-11 2021-12-20 (주)메덱스힐링 냉온수 매트 및 냉온수 매트가 구비된 모션 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7954U (ja) 緩衝複合装置
US10357113B2 (en) Hybrid mattress assemblies
KR102608775B1 (ko) 연질 폼을 포함하는 포켓 코일 스프링 조립체
US20150342362A1 (en) Pocket coil spring assembly including flexible foam
JP2013500106A (ja) モジュラー支持要素
JP2006501042A (ja) マットレス用ポケットスプリングセットの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30205509A1 (en) Cushion structure
US20170071360A1 (en) Mattres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attress
KR20120088158A (ko)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
KR100870535B1 (ko) 탄성체를 이용한 쿠셔닝 유니트 및 그 제작방법, 그리고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방석, 베개, 쿠션
US20220015549A1 (en) Mattress
CN101524216B (zh) 全弹海绵席梦思床垫
KR200397431Y1 (ko) 기능성 매트
CZ17729U1 (cs) Ložná plocha matrací
RU137183U1 (ru) Матрас
KR101049244B1 (ko) 튜브 내장형 물 매트
KR101512347B1 (ko) 쿠션조립체
BG1649U1 (bg) Многослоен пружинен матрак
KR101850976B1 (ko) 다기능성 건강 매트리스 및 침대
KR101049243B1 (ko) 쿠션봉 내장형 물 매트
CN204336381U (zh) 一种预防腰部疼痛的床垫
KR20110132775A (ko) 면상발열체에 의한 전열식 스프링 매트리스
KR100363409B1 (ko) 침대용 매트리스
WO2017042638A1 (en) A mattres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attress
KR100436663B1 (ko) 공기 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