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663B1 - 공기 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공기 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663B1
KR100436663B1 KR10-2002-0083983A KR20020083983A KR100436663B1 KR 100436663 B1 KR100436663 B1 KR 100436663B1 KR 20020083983 A KR20020083983 A KR 20020083983A KR 100436663 B1 KR100436663 B1 KR 100436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ir
bed
fram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7355A (ko
Inventor
박진규
이학동
Original Assignee
박진규
이학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규, 이학동 filed Critical 박진규
Priority to KR10-2002-0083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663B1/ko
Publication of KR20030007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incorporating elastic bodies, e.g. fo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10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공기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는 다수의 칸막이에 의하여 다수의 격자 공간이 형성되고 상하측이 트여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칸막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튜브, 상기 격자 공간에 수납되는 하부 튜브, 및 상기 상부 튜브와 상기 하부 튜브를 연통시키며 상기 다수의 지지판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공기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튜브에는 공기를 머금는 다공성 쿠션 부재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다공성 쿠션 부재가 내장된 상부 튜브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 그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연통부를 통하여 상기 하부 튜브로 이동하며, 상기 압력이 해제될 경우에는 원 상태로 복원되고, 상기 연통부가 상기 상부 튜브의 하측으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공기 튜브들이 서로 맞닿게 배열될 수 있음으로 해서, 가압시 침대 표면에 함몰이 생기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롤링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통풍성이 양호하다.

Description

공기 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Mattress for bed having air tubes}
본 발명은 침대용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침대용 매트리스에는 충격을 흡수하여 사용자를 편안하게 하도록 스프링이나 스폰지 등의 쿠션 부재를 설치하게 된다. 즉, 금속재 스프링들을 격자상으로 서로 연결하여 배열하고, 다양한 재질의 안감, 겉감 등을 여러 겹의 쿠션층으로 한, 스프링 내장형 매트리스가 사용되고 있다.
금속재 스프링을 사용한 침대는 소음 발생, 녹슬음에 의한 탄성력의 저하, 또는 쿠션층의 파손과 사용자의 부상 등의 문제점들을 갖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튜브를 가진 물침대와 공기 튜브를 가진 침대가 개발되어 왔다.
그런데, 상기 물침대에서는 쿠션을 주도록 물튜브 내에 물을 완전히 채우지 않게 되는데, 이로 인해 출렁이는 물에 의한 롤링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물의 무게로 인해 침대를 이동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 물침대에 비해 공기 튜브를 가진 침대는 가벼운 장점이 있으나, 공기의 이동으로 인한 롤링 현상은 해결되지 못한 상태이며, 롤링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의 압력을 높이게 되면 튜브가 팽팽하게 되어 사용자의 혈관을 압박하게 되므로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물침대 및 공기 튜브를 가진 침대는 상하 방향으로 통풍성이 양호하지 못하여 침대 내부에 생기는 곰팡이, 침대의 매트리스 내, 외부의 온도차 등으로 인해 사용자의 건강을 해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취침 중 사용자의 뒤척임 및 위치변화에 따른 수평 방향의 공기이동을 최소화하여 롤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풍성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공기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매트리스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매트리스의 프레임, 지지판, 공기 튜브, 및 마감판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공기 튜브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 6은 종래의 공기 튜브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 7은 도 4의 지지판 및 마감판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매트리스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매트리스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42: 공기 튜브 12a, 42a: 상부 튜브
12b, 42b: 하부 튜브 12c, 42c: 연통부
13: 연통관 14: 외피
16: 프레임 16a : 칸막이
18: 지지판 20: 마감판
24: 하부 쿠션판 26: 상부 쿠션판
28, 58: 다공성 쿠션 부재 30: 제1 쿠션판
32: 제2 쿠션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는 다수의 칸막이에 의하여 다수의 격자 공간이 형성되고 상하측이 트여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칸막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결합되고 공기를 머금는 다공성 쿠션 부재가 내장되어 있는 상부 튜브와, 상기 격자 공간에 수납되는 하부 튜브, 및 상기 상부 튜브와 상기 하부 튜브를 연통시키며 상기 다수의 지지판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공기 튜브와; 상기 다수의 상부 튜브를 덮는 상부 쿠션판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의 배열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마감판과; 상기 다수의 마감판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쿠션판; 및 외피; 를 포함하되, 상기 연통부가 2갈래 이상으로 갈라져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침대용 매트리스는 공기가 주입된 다수의 공기 튜브(12)가 가로,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가로로 4줄, 세로로 5줄이 배열되어, 전체 공기 튜브는 20개이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기 튜브(12)는 상부 튜브(12a), 하부 튜브(12b), 및 양자를 연통시키는 연통부(12c)로 이루어진다. 상, 하측이 트인 프레임(16)의 상측에는 상기 공기 튜브가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판(18)이 밀착하여 결합된다(도 4 참조). 지지판(18)의 상측에는 공기 튜브(12)의 상부 튜브(12a)가 위치하고, 지지판(18)의 하측에는 공기 튜브(12)의 하부 튜브(12b)가 위치한다.
전술한 구성 요소들을 핵심으로 하여, 상기 프레임(16)의 하측에는 다수의 마감판(2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마감판(20)의 하측에는 하부 쿠션판(24)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튜브(12)의 상부 튜브(12a)의 상측에는 상부 쿠션판(26)이 위치할 수 있고, 이러한 결과물 전체의 상, 하면 및 측면을 외피(14)가 감쌀 수 있다.
상기 공기 튜브(12)는 소정량의 공기가 주입되어 고주파 접합 등에 의해 밀폐되어 있고, 그 상부 튜브(12a)에는 공기를 머금는 스폰지 등의 다공성 쿠션 부재(28)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하부 튜브(12b)는 상부 튜브(12a)보다 작은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종래의 공기 튜브(42)가 지지판(18)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형상을 지지판(18)을 제거한 채로 도시한 것이다. 이것은 상부 튜브(42a)와 하부 튜브(42b)를 연통시키는 연통부(42c)가 상부 튜브(42a)의 측면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측면으로부터 연통부(42c)가 형성되어 있으면, 상부 튜브(42a)의 연통부(42b) 쪽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부 튜브(42a)의 반대쪽이 일단 팽창하여 튀어올라온 다음 서서히 하부 튜브(42b)쪽으로 공기가 빠지기 때문에, 누운 사람의 허리 등에 불편한 감을 주게 된다. 또한, 공기 튜브(42)들이 그 팽창하는 체적에 상당하는 만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사람이 누었을 때 이격된 부분이 함몰되어 불편한 감을 주게 된다.
이를 개량한 것이 도 5의 공기튜브(12)이다. 도 5는 공기튜브(12)가 지지판(18)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형상을 지지판(18)을 제거한 채로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부 튜브(12a)와 하부 튜브(12b)를 연통시키는 연통부(12c)가 상부 튜브(12a)의 하측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튜브(12a)의 연통부(12c) 쪽에 압력이 가해져도 그 반대쪽이 거의 팽창하지 않고 공기가 바로 하부 튜브(12b) 쪽으로 빠지기 때문에 상기 반대쪽이 튀어 올라오는 문제가 생기지않는다. 또한, 전술한 공기 튜브(12)들 간의 이격 공간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공기튜브들이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닿게 배열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전술한 함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연통부(12c)가 두 갈래 이상으로 되어 있을 때 강해지며, 도 5와 같이 3갈래일 경우에는 더욱 강해진다. 만약 연통부(12c)가 한 갈래로만 형성되어 있다면 그 연통부 부근이 아닌 쪽이 가압될 경우, 공기가 바로 하부 튜브(12b) 쪽으로 빠지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연통부(12c)가 두 갈래 이상일 경우에는 그만큼 연통부 부근이 아닌 쪽이 가압될 확률이 적어지게 되어 침대 표면이 튀어올라오는 문제가 완화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12c)의 내측에는 연통관(13)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통관(13)이 없을 경우 연통부가 협착되어 공기가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연통관(13)의 상부는 V자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이 직선형을 갖는다면 상부 튜브(12a) 내부의 다공성 쿠션 부재(28)의 밑면과 연통관(13)의 상부가 밀착되어 공기의 흐름이 나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연통관(13)의 재질은 연질 우레탄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통부(12c)의 내측에 고주파 접합 방식으로 부착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렇게 연통관(13)을 연통부(12c)에 접합시키는 것은 연통관(13)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프레임(1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칸막이(16a)에 의해 격자 공간(S)이 형성되며, 상, 하측이 트여 있다. 상기 격자 공간(S)에는 상기 하부 튜브(12b)가 수납된다.
지지판(18)은 상기 프레임(16)의 상측에 세로로 소정 간격(D; 도 2 참조)을 두고 다수개가 배열되고, 마감판(20)은 상기 프레임(16)의 하측에 세로로 소정 간격(C; 도 2 참조)을 두고 다수개가 배열된다. 상기 지지판(18) 및 마감판(20) 사이의 간격(C 및 D)을 통하여 공기가 상하 방향으로 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8)사이의 간격(D)을 통하여 연통부(12c)가 통과한다.
상기 지지판(18) 및 마감판(2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성을 높이도록 골판지 단면 형태의 렉스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판(18) 및 마감판(20)은 그 상, 하판(18a, 20a) 사이에 지지부(18b, 20b)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8b, 20b)는 파형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쿠션판(24)은 스폰지 등의 재질을 가지며, 그 상측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마감판(20)의 하측에 부착된다.
상부 쿠션판(26)은 상기 공기 튜브(12)와의 마찰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도록 제1 쿠션판(30)과 제2 쿠션판의 2층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쿠션판(30)으로는 스폰지 등이 바람직한데, 필터 통풍 스폰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제2 쿠션판(32)으로는 공극이 크고 거친 재료가 바람직하며, 스폰지, 카시미론 솜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상의 결과물을 둘러싸는 외피(14)는 공기가 통하도록 부직포 등의 섬유로 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벗겨 세탁을 하도록 지퍼가 달린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매트리스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M)가 누우면 인체의 체형 부위에 따라 눌리는 상부 튜브(12a)내의 공기는 하부 튜브(12b)로 이동하여 하부 튜브(12b)가 부풀게 되고, 자세를 바꾸면 눌렸던 상부 튜브(12a)의 내부에 있는 다공성 쿠션 부재(28)의 복원력 및 하부 튜브(12b)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 튜브(12a)는 원상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하부 튜브(12b)로 이동되었던 공기는 귀환하게 되어 하부 튜브(12b)가 원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각 공기 튜브(12)는 독립적으로 작용하여 상하 방향으로만 눌려지고 펴지므로 롤링 현상이 방지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가압하는 부분의 공기 튜브(12)의 상부 튜브(12a)만 눌리어 공기가 하부 튜브(12b)로 이동하고 압력을 없애면 복원력에 의해 상부 튜브(12a)로 공기가 이동하게 되어, 취침 중 사용자의 뒤척임 및 위치 변화에 따른 수평 방향의 공기 이동을 최소화하여 롤링 현상을 방지하여 최적의 수면을 취하게 한다.
도 9는 사용자(M)가 매트리스에 앉아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공기 튜브(12)의 작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지지판들(18) 및 인접하는 마감판들(20) 사이의 간격(C 및 D)을 통하여 공기가 상하 방향으로 통하므로, 침대 내부에 곰팡이 등이 생기지 않고 매트리스 내, 외부에 온도차가 생기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매트리스에 의하면, 취침 중 사용자의 뒤척임 및 위치 변화에 따른 수평 방향의 공기 이동을 최소화하여 롤링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통풍성이 양호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 튜브를 개량하여 연통부 부근이 가압되었을 때 그 반대편이 팽창하는 문제와, 공기 튜브들 사이가 이격되어 그 부분이 함몰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누었을 때 허리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다수의 칸막이에 의하여 다수의 격자 공간이 형성되고 상하측이 트여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칸막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결합되고 공기를 머금는 다공성 쿠션 부재가 내장되어 있는 상부 튜브와, 상기 격자 공간에 수납되는 하부 튜브, 및 상기 상부 튜브와 상기 하부 튜브를 연통시키며 상기 다수의 지지판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공기 튜브와;
    상기 다수의 상부 튜브를 덮는 상부 쿠션판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의 배열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마감판과;
    상기 다수의 마감판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쿠션판; 및 외피;
    를 포함하되,
    상기 연통부가 2갈래 이상으로 갈라져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 내부에 연통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2-0083983A 2002-12-26 2002-12-26 공기 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 KR100436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983A KR100436663B1 (ko) 2002-12-26 2002-12-26 공기 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983A KR100436663B1 (ko) 2002-12-26 2002-12-26 공기 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355A KR20030007355A (ko) 2003-01-23
KR100436663B1 true KR100436663B1 (ko) 2004-06-22

Family

ID=2772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983A KR100436663B1 (ko) 2002-12-26 2002-12-26 공기 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6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580B1 (ko) * 2010-10-04 2013-08-30 이송이 에어 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
KR20230019730A (ko) 2021-08-02 2023-02-09 황근하 인체 하중 분산 지지 구조 및 통기성 극대화 구조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580B1 (ko) * 2010-10-04 2013-08-30 이송이 에어 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
KR20230019730A (ko) 2021-08-02 2023-02-09 황근하 인체 하중 분산 지지 구조 및 통기성 극대화 구조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355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74973B (zh) 床墊組件
JP3127954U (ja) 緩衝複合装置
JP2013500106A (ja) モジュラー支持要素
JP5269591B2 (ja) 網目状材料身体支持体および方法
JP2749462B2 (ja) マットレス
US4827546A (en) Fluid mattress
EP1683448B1 (en) Infant mattress
US8528132B2 (en) Mattress carrier and such a mattress carrier provided with mattress
TW201907833A (zh) 床墊構造體
KR100436663B1 (ko) 공기 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
KR200489297Y1 (ko) 마이크로포켓스프링이 구비된 매트리스
US5845353A (en) Water bed with internal air filled tubes
US4972534A (en) Flotation cover for mattresses
KR100363409B1 (ko) 침대용 매트리스
KR101300580B1 (ko) 에어 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
JP4866030B2 (ja) マットレス装置
KR200313925Y1 (ko) 쿠션
JPH10146247A (ja) クッション材
KR200284224Y1 (ko) 매트리스
US20130205510A1 (en) Mattress having reduced motion transfer
KR20190001012U (ko) 침대용 매트리스
KR200333192Y1 (ko) 매트리스
KR200310530Y1 (ko) 쿠션장치
KR200325032Y1 (ko) 침대용 메트리스 구조물
RU2223022C1 (ru) Наполнитель для предмета мебели или постельной принадлежн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