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676A -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676A
KR20120087676A KR1020110009021A KR20110009021A KR20120087676A KR 20120087676 A KR20120087676 A KR 20120087676A KR 1020110009021 A KR1020110009021 A KR 1020110009021A KR 20110009021 A KR20110009021 A KR 20110009021A KR 20120087676 A KR20120087676 A KR 20120087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inner steel
packer
injection
ste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용
Original Assignee
토양건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양건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양건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9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7676A/ko
Publication of KR20120087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10Cements, e.g. Portland 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천공케이싱을 토양에 삽입하여 천공하는 단계, (b) 상기 삽입된 천공케이싱의 내부로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주입관이 부착된 내부강관을 삽입설치하고 상기 천공케이싱을 인발하는 단계, (c) 상기 (a) 및 (b) 단계를 반복하여 복수의 내부강관이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각 내부강관에 부착된 주입관을 통해 약액을 주입하여 내부강관 외부의 공극을 메우는 단계, (e) 상기 각 내부강관에 약액을 주입하여 내부공간을 채우는 단계, (f) 상기 일련의 내부강관을 기준으로 일측면의 토양을 제거하여 상기 일련의 내부강관 외주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g) 상기 노출된 각 내부강관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판면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Grouting method using Multi hole}
본 발명은 다수공 그라우팅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약지반 및 불량지반을 지속적이며 안정적으로 보강하여 작업효율을 높이는 그라우팅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공 그라우팅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를 시행하는 경우, 연약지반 및 불량지반을 보강하기 위해서, 유압드릴이나 각종 천공기로 천공작업을 시행하고, 천공홀에 강관을 삽입시킨 후 주입기로 약액을 주입하는 그라우팅 공법이 사용된다.
그라우팅 공법은 지반개량 공법 중의 하나로 고결재를 지중에 유입하는 압력주입공법이며 지반의 투수성을 감소시키거나 지반의 강도를 증대시킬 목적으로 세립관 등을 통하여 소정 깊이에 약액을 주입하는 공법이다.
그러나, 종래 그라우팅 공법은 강관과 약액만을 사용하므로 강관 삽입영역의 압축강도, 전단강도 및 지지력 저하로 인하여 연약지반 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그라우팅 공법에 사용되던 약액은 대부분 물유리계 약액으로, 지반주입 고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반토양내의 흡착수 및 자유수에 의한 용탈현상이 일어나 주입재가 모두 용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물유리계 약액은 내구성이 취약하여 연약지반을 제대로 보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라우팅 시공 이후에 각 강관 사이로 외부의 토사 및 지하수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그라우팅 공법을 보완 및 응용하여 연약지반에서도 외부의 토사 및 지하수가 유출될 염려가 없는 벽면을 구축할 수 있는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관 삽입영역의 압축강도와 전단강도 및 지지력을 증대시켜 연약지반의 보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속된 다수의 강관 측면에 강판을 접합하여 외부 토사 및 지하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천공케이싱을 토양에 삽입하여 천공하는 단계, (b) 상기 삽입된 천공케이싱의 내부로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주입관이 부착된 내부강관을 삽입설치하고 상기 천공케이싱을 인발하는 단계, (c) 상기 (a) 및 (b) 단계를 반복하여 복수의 내부강관이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각 내부강관에 부착된 주입관을 통해 약액을 주입하여 내부강관 외부의 공극을 메우는 단계, (e) 상기 각 내부강관에 약액을 주입하여 내부공간을 채우는 단계, (f) 상기 일련의 내부강관을 기준으로 일측면의 토양을 제거하여 상기 일련의 내부강관 외주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g) 상기 노출된 각 내부강관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판면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강관은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주입관과 밴드로 묶여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액은 물 730L, 시멘트 840~860 kg, 무기배합제 20~40 kg 의 비율로 배합되고, 상기 무기배합제는 벤토나이트 10~90중량부와 SiO2분말 10~90중량부로 혼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e) 단계는, (e-1) 외부관,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내부관 및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강관의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패커를 포함하는 이중관 패커를 삽입하고, 이중관 패커를 인발할 인발기를 설치하는 단계, (e-2) 상기 에어패커의 체적을 팽창시켜 상기 에어패커를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강관의 사이에 밀착시키고, 상기 이중관 패커의 내부관 및 외부관에 약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e-3) 상기 인발기를 통해 상기 이중관 패커를 단계적으로 인발하며 상기 에어패커의 팽창과 약액 주입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h) 상기 각 내부강관의 외부와 상기 판면 사이에 약액을 주입하여 공극을 메우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강관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주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e-4) 상기 각 내부강관의 내부와 상기 주입관의 외부 사이에 실링제를 채우는 단계, 및 (e-5) 상기 주입관의 입구로 약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a) 몸체에 적어도 둘 이상의 분사공을 갖는 복수개의 천공케이싱을 서로 인접하게 토양에 삽입하여 천공하는 단계, (b) 상기 각 천공케이싱에 약액을 주입하여 내부공간을 채우는 단계, (c) 상기 일련의 천공케이싱을 기준으로 일측면의 토양을 제거하여 상기 일련의 천공케이싱 외주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각 천공케이싱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판면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b) 단계는, (b-1) 외부관,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내부관 및 상기 외부관과 상기 천공케이싱의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패커를 포함하는 이중관 패커를 삽입하고, 이중관 패커를 인발할 인발기를 설치하는 단계, (b-2) 상기 에어패커의 체적을 팽창시켜 상기 에어패커를 상기 외부관과 상기 천공케이싱의 사이에 밀착시키고, 상기 이중관 패커의 내부관 및 외부관에 약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b-3) 상기 인발기를 통해 상기 이중관 패커를 단계적으로 인발하며 상기 에어패커의 팽창과 약액 주입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공케이싱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주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4) 상기 각 천공케이싱의 내부와 상기 주입관의 외부 사이에 실링제를 채우는 단계, 및 (b-5) 상기 주입관의 입구로 약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천공케이싱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주입관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각 천공케이싱에 부착된 주입관을 통해 약액을 주입하여 천공케이싱 외부의 공극을 메우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강관 삽입영역의 압축강도와 전단강도 및 지지력을 증대시켜 연약지반의 보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속된 다수의 강관 측면에 강판을 접합하여 외부 토사 및 지하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중 내부강관을 삽입설치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강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강관에 주입관이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케이싱에 내부강관이 삽입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강관에 이중관패커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내부강관에 실링제가 충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내부강관에 판면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케이싱을 이용한 다수공 그라우팅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공 그라우팅 시공방법에서 실링제를 통하여 약액이 토양으로 용출되어 들어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중 내부강관을 삽입설치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은, (a) 천공케이싱(10)을 토양에 삽입하여 천공하는 단계(S101), (b) 상기 삽입된 천공케이싱(10)의 내부로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주입관(140)이 부착된 내부강관(100)을 삽입설치하고(S102) 상기 천공케이싱(10)을 인발하는 단계(S103), (c) 상기 (a) 및 (b) 단계를 반복하여 복수의 내부강관(100)이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하는 단계(S111), (d) 상기 각 내부강관(100)에 부착된 주입관(140)을 통해 약액을 주입하여 내부강관(100) 외부의 공극을 메우는 단계(S121), (e) 상기 각 내부강관(100)에 약액을 주입하여 내부공간을 채우는 단계(S131), 및 (f) 상기 각 내부강관(10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판면(500)을 설치하는 단계(S151)를 포함한다.
천공케이싱(10)에 삽입되는 내부강관(1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영역이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반 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구비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 형상으로 구비된다. 내부공간에 주입된 약액이 내부강관(100)의 외부로 흘러나와 내부강관(100) 외부의 토양에 스며들어 토양의 공극을 메울 수 있도록 몸체에 분사공(103)을 다수개 포함한다. 다이아몬드꼴로 4개가 한 세트형태로 내부강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된다. 그러나 토류판 또는 CIP(CAST IN PLACE PILE) 대신 대구경 주열식으로 이용시 분사공(103)은 배면을 뺀 3개 부분만 홀을 구비한다. 분사공(103)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분사된 약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일방향밸브(미도시)가 구비된다. 이 때, 내부강관(100)은 위와 같은 중공형상의 관이면 되고, 재질은 무관하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강관(100)은 외주연상에 길이방향으로 주입관(140)이 구비된다. 주입관(140) 역시 내부에 약액을 주입하면 약액이 주입관(140)의 외부로 흘러나와 토양의 공극을 메울 수 있도록 하여야 하므로 다수의 분사공을 포함한다. 또한 내부강관(100)과 주입관(140)은 서로 밴드(150)를 통해 테이핑되거나,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내부강관(10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케이싱(10) 내부로 삽입되고, 천공케이싱(10)은 인발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내부강관(100)이 서로 인접하게 토양에 삽입 설치되면, 내부강관(100)과 토양 사이에 공극이 있게 되고, 이를 단단하게 메우기 위해서는 내부강관(100)과 주입관(140) 각각에 약액을 주입하여야 한다.
약액의 주입에는 이중관 패커(103)를 이용하여 아래쪽에서부터 차례차례 메워올라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관 패커(130)는 외부관(131), 상기 외부관(13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내부관(133) 및 상기 외부관(131)과 상기 내부강관(1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패커(135)를 포함한다. 에어패커(135) 는 에어공급부(137)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에어패커(135)가 내부강관(100)(또는 주입관(140))과 외부관(131)의 사이를 막고, 내부관(133) 또는 외부관(131)을 통해 아래쪽 출구로 토출되는 약액이 에어패커(135)의 윗쪽으로는 올라오지 못하도록 하므로, 이중관 패커(130)를 단계적으로 인발하여 계속 약액을 주입하면 토양의 아래쪽에서부터 충실히 그라우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중관 패커(130)는 내부강관(100)의 약액주입에 사용될 수도 있고, 주입관(140)의 약액주입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되는 천공케이싱(10)의 약액주입에도 사용될 수 있다.
약액을 주입하기 위해 내부강관(100)의 내부에 다수의 분사공을 갖는 주입관(140)을 설치하고, 내부강관(100)의 내부와 상기 주입관(140)의 외부 사이에 실링제(105)를 채우고, 상기 주입관(140)의 입구로 약액을 주입하여 그라우팅할 수 있다. 이는 도7에 나타난 도면을 보면 다수의 내부강관(100)의 내부와 상기 주입관(140)의 외부 사이에 채워진 실링제(105)를 확인할 수 있다. 실링제는 시멘트 200kg, 무기배합제100kg, 물 870kg 의 비율로 섞고, 무기배합제는 벤토나이트 10~90중량부 와 MSGS 90~10중량부로 섞어 제조하며 겔타임이 느린 특징을 갖는다. 실링제는 겔형태로서 주입관(140)을 둘러싸며 내부강관(100)을 채우고 있는데, 위와 같이 주입관에 약액이 주입되면, 약액이 주입관에 형성된 분사공을 통해 실링제 쪽으로 분출되고,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출된 약액(300)이 주입압력에 의해 겔 형태의 실링제(105) 사이에 유로를 만들며 내부강관(100)에 형성된 분사공을 통해 내부강관의 외부로 분출된다. 이렇게 분출된 약액(300)은 내부강관(100)의 외부 토양에 스며들어 그라우팅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약액은 지반조건 및 보강강도에 따라 물, 활성실리카를 적정비율로 포함하여 외부관(131)에 주입되는 A액, 물, 시멘트, 마그네슘썰페이트, 소듐카보네이트, 벤토나이트, SiO2분말 등을 적정비율로 포함하여 내부관(133)에 주입되는 B액을 포함한다. 이 배합은 지층의 분포 강도나 겔타임 및 부배합, 빈배합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물이 차 있는 차수용 공정에서는 상기 A액이 전체 100kg에 대하여 활성실리카 35~45kg, 및 물 55~65kg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B액은 전체200L 내에 시멘트 55~65kg, 마그네슘썰페이트2~16kg, 소듐카보네이트2~16kg, 벤토나이트2~16kg, 나머지 물로 이루어지는 B1액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전체200L 내에 시멘트 55~65kg, 마그네슘썰페이트2~16kg, 소듐카보네이트2~16kg, SiO2분말 2~16kg, 나머지 물로 이루어지는 B2액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B1액은 순결성으로 겔타임이 빠르고, B2액은 완결성으로 겔타임이 느리다는 특징이 있다. 즉, 처음에는 외부관(131)에는 A액을 넣고, 내부관(133)에는 B1액을 주입하다가, 이중관 패커(103)를 일정 높이 인발하고 다시 외부관(131)에는 A액을 넣고, 내부관(133)에는 B2액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공정을 진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B1액은 전체200L에 대하여 시멘트 60kg, 물 171L와 함께 마그네슘썰페이트, 소듐카보네이트, 벤토나이트 혼합물이 20kg 섞이는 것이 좋고, 상기 B2액은 전체 200L에 대하여 시멘트 60kg, 물 170L와 함께 마그네슘썰페이트, 소듐카보네이트, SiO2분말 혼합물이 20kg 섞이는 것이 좋다.
물이 적은 차수보강용 공정에서는 상기 약액이 보강주입재로서 배합비로서 물 730L, 시멘트 840~860kg, 무기배합제20~40kg를 혼합하여 외부관(131) 및 내부관(133)에 같이 주입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기배합제는 벤토나이트 10~90중량부와 SiO2분말 10~90중량부로 혼합된다. 위 약액 중 A액, B1액, B2액 등은 그라우팅의 목적 및 토양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내부강관(100), 주입관(140), 이중관의 내부관(133) 또는 외부관(131)에 주입될 수 있다.
이 배합에 따른 약액은 종래 물유리계 사용시 발생하던 용탈현상이 없고 친환경적인 공법으로 콜로이달의 고강도 발현으로 내구성의 증대효과가 크고 내부강관(100)이 말뚝 역할을 하여 전단력과 부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지력의 증가는 물론 겔타임이 순결을 낼 수 있어 지반보강과 차수 역할도 탁월해진다.
이렇게 하여 내부강관(100)의 내부 및 외부의 그라우팅이 완료되면, 상기 일련의 내부강관(100)을 기준으로 일측면의 토양을 제거하여 내부강관의 외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S141). 이로써 내부강관이 튼튼한 벽면으로써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각각의 내부강관(100)의 노출된 외주연상에 접하도록 판형상의 거푸집을 만들어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철판을 용접하는 등의 방법으로써 판면(50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판면(500)이 내부강관(100)에 설치되면, 각 내부강관(100)이 서로 강력하게 결속되어 큰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고, 결정적으로 토양에서부터 흘러나올 수 있는 외부토사 및 지하수가 판면(500)을 기준으로 내부강관(100)이 있는 쪽에서 그 반대쪽으로 용출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판면(500)을 내부강관(100)에 설치한 이후, 토양의 상태에 따라 내부강관(100)과 판면(500)의 사이에 혹시라도 있을 수 있는 공극은 약액을 주입하여 메울 수 있다.(S161)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내부강관(100)을 사용하지 않고, 몸체의 외주면에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천공케이싱(10)을 사용하여 그라우팅을 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몸체의 외주면에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다수의 천공케이싱(10)을 토양에 삽입하되, 상기 각 천공케이싱(10)은 연속적으로 접하게 설치한다(S211). 그리고, 천공케이싱(10)의 외부에 주입관(140)을 설치하고(S221), 주입관(140)에 이중관 패커(103) 등을 이용하여 약액을 주입하면(S231) 천공케이싱(10)의 외부에 있는 토양과의 공극을 메울 수 있다. 또한, 천공케이싱(10)의 내부에 약액을 주입하여 내부를 채우고(S241), 상기 일련의 천공케이싱(10)을 기준으로 일측면의 토양을 제거하여 천공케이싱(10)의 외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S251) 각 천공케이싱(10)의 노출된 외주면에 접하도록 판면(500)을 설치하면, 각 천공케이싱(10)이 강하게 결속된다(S261). 마찬가지로 천공케이싱(10)의 외부와 판면(500)의 사이 공극을 메우기 위해 선택적으로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S271)
천공케이싱(10)의 내부에 약액을 주입하는 단계는, 내부강관(100)에 약액을 주입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주입관(140)을 설치한 후, 천공케이싱(10)의 내부와 주입관(140)의 외부 사이 공간에 실링제를 채우고, 상기 주입관(140)의 입구로 약액을 주입하여 그라우팅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주입관에 약액이 주입되면, 약액이 주입관에 형성된 분사공을 통해 실링제 쪽으로 분출되고, 분출된 약액이 주입압력에 의해 겔 형태의 실링제 사이에 유로를 만들며 천공케이싱(10)에 형성된 분사공을 통해 천공케이싱(10)의 외부로 분출된다. 이렇게 분출된 약액은 천공케이싱(10)의 외부 토양에 스며들어 그라우팅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천공케이싱
100 : 내부강관105 : 실링제
130 : 이중관패커131 : 외부관
133 : 내부관135 : 에어패커
137 : 에어공급관
140 : 주입관150 : 밴드
300 : 약액500 : 판면

Claims (10)

  1. (a) 천공케이싱을 토양에 삽입하여 천공하는 단계;
    (b) 상기 삽입된 천공케이싱의 내부로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주입관이 부착된 내부강관을 삽입설치하고 상기 천공케이싱을 인발하는 단계;
    (c) 상기 (a) 및 (b) 단계를 반복하여 복수의 내부강관이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각 내부강관에 부착된 주입관을 통해 약액을 주입하여 내부강관 외부의 공극을 메우는 단계;
    (e) 상기 각 내부강관에 약액을 주입하여 내부공간을 채우는 단계;
    (f) 상기 일련의 내부강관을 기준으로 일측면의 토양을 제거하여 상기 일련의 내부강관 외주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g) 상기 노출된 각 내부강관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판면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강관은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주입관과 밴드로 묶여 고정되는,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은 물 730L, 시멘트 840~860 kg, 무기배합제 20~40 kg 의 비율로 배합되고, 상기 무기배합제는 벤토나이트 10~90중량부와 SiO2분말 10~90중량부로 혼합된,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외부관,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내부관 및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강관의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패커를 포함하는 이중관 패커를 삽입하고, 이중관 패커를 인발할 인발기를 설치하는 단계;
    (e-2) 상기 에어패커의 체적을 팽창시켜 상기 에어패커를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강관의 사이에 밀착시키고, 상기 이중관 패커의 내부관 및 외부관에 약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e-3) 상기 인발기를 통해 상기 이중관 패커를 단계적으로 인발하며 상기 에어패커의 팽창과 약액 주입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h) 상기 각 내부강관의 외부와 상기 판면 사이에 약액을 주입하여 공극을 메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강관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주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e-4) 상기 각 내부강관의 내부와 상기 주입관의 외부 사이에 실링제를 채우는 단계; 및
    (e-5) 상기 주입관의 입구로 약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7. (a) 몸체에 적어도 둘 이상의 분사공을 갖는 복수개의 천공케이싱을 서로 인접하게 토양에 삽입하여 천공하는 단계;
    (b) 상기 각 천공케이싱에 약액을 주입하여 내부공간을 채우는 단계;
    (c) 상기 일련의 천공케이싱을 기준으로 일측면의 토양을 제거하여 상기 일련의 천공케이싱 외주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각 천공케이싱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판면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외부관,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내부관 및 상기 외부관과 상기 천공케이싱의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패커를 포함하는 이중관 패커를 삽입하고, 이중관 패커를 인발할 인발기를 설치하는 단계;
    (b-2) 상기 에어패커의 체적을 팽창시켜 상기 에어패커를 상기 외부관과 상기 천공케이싱의 사이에 밀착시키고, 상기 이중관 패커의 내부관 및 외부관에 약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b-3) 상기 인발기를 통해 상기 이중관 패커를 단계적으로 인발하며 상기 에어패커의 팽창과 약액 주입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케이싱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주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4) 상기 각 천공케이싱의 내부와 상기 주입관의 외부 사이에 실링제를 채우는 단계; 및
    (b-5) 상기 주입관의 입구로 약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케이싱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주입관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각 천공케이싱에 부착된 주입관을 통해 약액을 주입하여 천공케이싱 외부의 공극을 메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KR1020110009021A 2011-01-28 2011-01-28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KR20120087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021A KR20120087676A (ko) 2011-01-28 2011-01-28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021A KR20120087676A (ko) 2011-01-28 2011-01-28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676A true KR20120087676A (ko) 2012-08-07

Family

ID=4687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021A KR20120087676A (ko) 2011-01-28 2011-01-28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76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5825A (zh) * 2014-11-28 2015-07-29 邓敬森 一种地铁隧道在开挖之前所进行的预处理方法
CN107882036A (zh) * 2017-10-31 2018-04-06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院有限公司 盖重装置、有盖重的固结灌浆系统及灌浆方法
KR102237361B1 (ko) * 2020-08-12 2021-04-07 주식회사 지오로직스 Cip 공법을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
KR102237544B1 (ko) * 2020-09-02 2021-04-08 주식회사 더플러스이앤씨 주열식 구조물의 천공홀 시공용 천공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차수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5825A (zh) * 2014-11-28 2015-07-29 邓敬森 一种地铁隧道在开挖之前所进行的预处理方法
CN107882036A (zh) * 2017-10-31 2018-04-06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院有限公司 盖重装置、有盖重的固结灌浆系统及灌浆方法
CN107882036B (zh) * 2017-10-31 2023-12-05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盖重装置、有盖重的固结灌浆系统及灌浆方法
KR102237361B1 (ko) * 2020-08-12 2021-04-07 주식회사 지오로직스 Cip 공법을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
KR102237544B1 (ko) * 2020-09-02 2021-04-08 주식회사 더플러스이앤씨 주열식 구조물의 천공홀 시공용 천공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차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188B1 (ko) 그라우팅공법을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 및 그 시공방법
JP5990214B2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施工方法における孔壁の補強方法
JP2004027813A (ja) 圧力式ソイルネイリング用パッカー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ソイルネイリング工法
KR101001947B1 (ko) 강관헤드와 이중관 파커를 이용한 파일 헤드 강관 그라우팅 공법
CN106592614B (zh) 基坑截水帷幕中漏水点的封堵方法
CN102900079A (zh) 高频液振水泥土插芯组合桩施工工法
CN103114578B (zh) 注浆成型扩底桩及其施工方法和扩底装置
KR100832490B1 (ko) 오버랩원통관과 충진용호스를 이용한 주열식차수벽의 설치공법
CN102953372A (zh) 一种钢管桩及其施工方法
KR20120087676A (ko) 다수공 그라우팅 벽면 시공 방법
JP5202708B2 (ja) 鋼管杭と、該鋼管杭を用いる杭基礎工法
CN109024710A (zh) 一种深基坑工程承压水管涌的封堵方法
CN208201874U (zh) 一种开孔式布袋注浆结构
JP2019015100A (ja) 山留壁の撤去方法
KR101135163B1 (ko) 그라우트 분사치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기초파일 시공방법
KR101066587B1 (ko) 액상 초고점성 및 유동성 그라우트재를 이용한 속채움 구조체 시공 방법
KR101924383B1 (ko) 그라우팅과 고화재 혼합처리를 이용한 연약지반 친환경 배수로 조성 공법
JP2013104215A (ja) 液状化防止工法
CN106917402A (zh) 一种cfg桩预制桩头及cfg桩施工方法
KR20110136258A (ko) 지하 합성 외벽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지하 합성 외벽 구조물
KR100991248B1 (ko) 팩을 이용한 마이크로 파일 기초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파일 조립체
KR101392995B1 (ko) 차수 향상을 위한 흙막이 공법
CN108915705B (zh) 一种用于盾构进出洞漏水封堵的挡板注浆施工方法
CN104831735A (zh) 一种桩幕合一的止水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和施工设备
KR101666204B1 (ko) 지하수 심정 차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