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338A -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 이를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 운전자 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 이를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 운전자 단말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338A
KR20120087338A KR1020110005931A KR20110005931A KR20120087338A KR 20120087338 A KR20120087338 A KR 20120087338A KR 1020110005931 A KR1020110005931 A KR 1020110005931A KR 20110005931 A KR20110005931 A KR 20110005931A KR 20120087338 A KR20120087338 A KR 20120087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driver
driving
insu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7338A/ko
Publication of KR2012008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 이를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 운전자 단말기 및 차량 보험 적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운전자별 운전 특성에 맞는 적절한 보험 적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 단말기는 운전자의 지문 정보 및 운전자가 입력하는 비밀번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차량의 시동을 시작시켜 차량 운행에 따른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한다. 운행 통제 센터는 지문 정보 및 비밀번호로부터 운전자가 보험 계약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한 경우 해당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차량 운전에 대한 보험료 산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차량은 운전자 단말기에 의하여 시동을 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 이를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 운전자 단말기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perating Control Center, and Portable Device For Automobile Insurance}
본 발명은 차량 보험 적용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운전자별 운전 특성에 맞게 실질적인 보험 적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 이를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 운전자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서 교통수단인 차량대수가 증가하면서, 교통량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도로의 고속화가 진행되면서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교통사고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차량 운전자들은 운전에 있어서 교통사고 발생에 대한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 이를 위해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들은 필수적으로 자동차 보험에 가입을 하여야 하며, 개인적으로 추가적인 각종 자동차 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운전자들은 각종 자동차 보험에 가입함으로써 뜻밖의 사고 발생에 대비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 보험은 각 운전자마다 다른 보험료가 산정되는데, 운전자의 이력 예를 들면 운전자가 얼마나 자주 자동차 사고를 내었는지, 운전자의 운전 경력이 얼마나 되는지, 운전자의 연령이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 각각 다른 보험료가 부가되며, 사고 발생 시에 지급되는 보험 지급액의 액수도 차이가 나게 된다. 즉, 사고를 자주 내는 운전자에게는 그만큼 많은 보험료가 부가되며, 사고를 적게 내는 운전자에게는 그 만큼 적은 액수의 보험료가 부가된다.
그러나 상술한 방식의 보험료 부가 방식은 차량을 기준으로 부가되는 것으로서 차량 운행을 수행한 실제 운전자에 대한 정확한 보험료 적용이 어려우며, 운전자의 이력만을 기준으로 각 운전자의 보험료를 산정하는 것 또한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없다. 즉 동일한 년 수 동안 운전을 하였다 하더라도 각 운전자마다 운행 시간과 및 운행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똑같이 사고를 내지 않은 운전자라 할지라도 보험료 산정에 있어서 더 많은 거리와 더 많은 시간을 운전한 운전자와 더 적은 거리 및 더 적은 시간을 운전자 간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또한 운전자의 운전 습관이나, 차량의 상태 등에 따라 사고 발생 비율이 달라질 수 있는데, 종래 보험 시스템은 이러한 정보를 보험에 적용하지 않고, 사전에 정해져 있는 특정 정책에 따라 획일적이며 고정된 보험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보험 시스템은 운전자별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과도한 보험료를 납입하는 불이익을 특정 운전자들에게 안겨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운전자별 운전 특성에 맞는 적절한 보험 적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 이를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 운전자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은 운전자 단말기, 운행 통제 센터 및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단말기는 운전자의 지문 정보 및 상기 운전자가 입력하는 비밀번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차량의 시동을 시작시켜 차량 운행에 따른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운행 통제 센터는 상기 지문 정보 및 상기 비밀번호로부터 운전자가 보험 계약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한 경우 상기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의 차량 운전에 대한 보험료 산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은 상기 운전자 단말기에 의하여 시동을 시작하고, 운전자 제어에 따라 운행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또한 운전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센터 통신부, 보험료 산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센터 저장부,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보험료 산정을 수행하며, 청구서 작성과 전송을 제어하는 센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보험 적용을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의 구성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센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확인 시 상기 운전자가 보험 계약자가 아닌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기 및 상기 운행 통제 센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전 등록된 보험 계약자의 휴대 단말기로 차량 운전 시도에 대한 일정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일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차량 도난 신고 처리를 수행하거나, 차량 운행 정보 수집을 취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사고 발생 검지를 수행하고,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일정 기간 동안의 차량 운행 정보를 저장 및 사전 설정된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신상 정보와 상기 운전자의 경력 및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 정보와,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차량 사고 발생 정보를 기반으로 각 정보들의 차이에 따라 보험료를 다르게 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운전자 지문 정보 또는 비밀번호 중에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수집부, 차량의 운행에 따른 차량 운행 정보 수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계측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차량 시동을 위한 시동 시작 신호를 상기 차량에 전달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시동부, 운행 통제 센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수집부가 수집한 정보, 상기 계측부가 수집한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시동부가 수신한 차량 정보를 상기 운행 통제 센터에 전송하며, 선택적으로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보험 적용을 위한 운전자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운행에 따른 운행 시작/종료 시간, 운행 거리, 운행 거리 이동 소요 시간, 출발지와 목적지 및 경로 정보, 운행 속도, 운행 횟수, 급발진 및 급정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차량 운행 정보로 수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사고 발생 검지를 수행하고,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일정 기간 동안의 차량 운행 정보를 저장 및 사전 설정된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운행 통제 센터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운전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 단말기에 의한 시동 시작 신호를 기반으로 차량이 운행되는 단계,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차량 운행에 따른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운행 통제 센터가 상기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행 통제 센터가 상기 운전자의 차량 운전에 대한 보험료 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보험 적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운전자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운전자 단말기에 마련된 입력부를 이용하여 일정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를 상기 운행 통제 센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행 통제 센터가 상기 비밀번호 유효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운전자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운전자 단말기에 마련된 사용자 인증부를 이용하여 지문을 스캔하는 단계, 상기 스캔된 지문 정보를 상기 운행 통제 센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행 통제 센터가 상기 지문 정보 유효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운전자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상기 차량 운행에 따른 운행 시작/종료 시간, 운행 거리, 운행 거리 이동 소요 시간, 출발지와 목적지 및 경로 정보, 운행 속도, 운행 횟수, 급발진 및 급정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 또는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상기 운행 통제 센터가 차량의 사고 발생 검지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험료 산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운행 통제 센터가 상기 운전자의 신상 정보, 상기 운전자의 경력 및 이력 정보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각 정보들의 차이에 따라 보험료를 다르게 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운전자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가 보험 계약자가 아닌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기 및 상기 운행 통제 센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전 등록된 보험 계약자의 휴대 단말기로 차량 운전 시도에 대한 일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일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차량 도난 신고 처리를 수행하거나, 차량 운행 정보 수집 단계를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차량 보험 적용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 이를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 운전자 단말기 및 방법에 따르면, 운전자가 보험 계약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한 경우 해당 운전자와 관련된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차량 운전에 대한 보험료 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운전자별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차량 운행 정보와 차량 정보 및 운전자 정보에 따라 적절한 보험료 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별 최적화된 보험 적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자동차 보험 서비스 체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행 통제 센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행 통제 센터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고 발생을 보험에 적용하기 위한 운전자 단말기 또는 운행 통제 센터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의 구성과 각 구성의 역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10)은 크게 운전자 단말기(100), 차량(200), 운행 통제 센터(300) 및 통신 네트웍(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10)은 운전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차량(200)을 실제 운전하는 운전자 별로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도록 하고,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를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송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10)은 실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에 따라 적절한 보험료 산정과 적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부적절한 차량의 운행을 방지함은 물론 부적절한 보험 적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차량 보험 적용을 위한 기능과 역할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200)은 운전자 단말기(100)에 의하여 시동이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차량(200)은 일정한 전자 장치를 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200)은 시동 턴-온 신호를 운전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차량 단파 송수신부, 수신된 시동 턴-온 신호에 따라 차량(200)의 시동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엔진 제어 유닛, 엔진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차량(200)의 시동을 시작시키는 차량 시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200)은 운전자 단말기(100)로부터 시동 턴-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엔진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차량 정보를 운전자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그리고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저장부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저장부는 차량(200)의 차종, 차의 운행 이력, 차의 운전자 이력 등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사전 저장하고 엔진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해당 차량 정보를 차량 단파 송수신부를 통하여 운전자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200)은 차량 정보를 운전자 단말기(100)에 전송하지 않고 운행 통제 센터(300)와 통신할 수 있는 별도의 차량 통신 모듈을 마련한 후 해당 차량 통신 모듈을 통하여 운행 통제 센터(300)에 차량 정보를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차량(200)은 차량 정보와 함께 운전자 단말기(100)로부터 시동을 턴-온하고자 하는 운전자 정보를 함께 수집하여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달할 수 도 있다. 차량 정보는 차량(200)을 다른 차들과 구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뿐만 아니라, 차량(200) 내부적으로 마련된 다양한 차량 센서들을 이용하여 차량(200)의 현재 상태에 대하여 수집된 정보 예를 들면 차량의 급유 상태, 차량 부속품 교체 상태, 차량 부품 정상 작동 상태 등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200)는 내장된 차량 센서들을 이용하여 차량(200)의 운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도 있으며, 수집된 운행 정보는 운전자 단말기(100) 제어에 따라 운전자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운행 통제 센터(300)는 운전자 단말기(100)로부터 운전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특정 차량(200)을 운전하고자 하는 운전자가 정상적인 보험 계약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정상적인 보험 계약자인 경우 차량(200) 운행에 대한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여 운전자에 대한 보험료 산정을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운행 통제 센터(300)는 운전자에 대하여 산정된 보험료에 대한 청구서를 일정 주기로 작성하고, 작성된 청구서를 운전자가 등록한 주소 정보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운행 통제 센터(300)의 보다 상세히 설명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운전자 단말기(100)는 M2M(Machine to Machine) 단말기로서 차량(200)의 시동을 턴-온 및 턴-오프하기 위한 신호를 운전자 제어에 따라 생성하여 차량(200)에 전달하는 한편 차량(200)의 운행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를 통신 네트웍(400)을 통하여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송하는 구성이다. 운전자 단말기(100)는 운전자가 차량(200)의 시동을 시작하고자 하는 경우 운전자의 지문 정보나 비밀번호를 수집하는 등 운전자 확인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운전자 단말기(1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 네트웍(400)은 운전자 단말기(100)와 운행 통제 센터(300) 사이에 배치되어 운전자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송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시스템 설계 변경에 따라 차량(200)은 통신 네트웍(400)을 통하여 운행 통제 센터(300)에 차량 운행 정보를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달할 수 도 있다. 이러한 통신 네트웍(400)은 운전자 단말기(100)에 포함된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을 지원하며, 또한 운행 통제 센터(300)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네트웍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통신 네트웍(400)은 운전자 단말기(100)와 운행 통제 센터(300) 사이에 사물 대 사물 간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운전자 단말기(100)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웍 장치와 운행 통제 센터(300)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웍 장치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운전자 단말기(100)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10)은 차량(200) 운전을 수행하는 운전자 정보와 차량(200) 정보를 운행 통제 센터(300)에서 수집함과 아울러, 운전자의 실제 차량(200)의 운행 정보를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제공함으로써 운행 통제 센터(300)가 각 운전자별 차량 운행과 관련된 적절한 보험료 산정 및 보험 적용을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차량(200)의 부정사용을 사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200)의 사고 발생에 관한 보험료 산정 및 적용을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어 본 발명은 운행 통제 센터(300)의 안정적인 보험 운용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더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운행 통제 센터(300)는 서버 기반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운행 통제 센터(300)는 다수개의 서브 통제 센터가 각각 독립된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되거나, 상기 다수개의 서브 통제 센터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운행 통제 센터(300) 또는 서브 통제 센터는 운전자 단말기(100)에 대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보험 적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수개의 서브 통제 센터의 경우 각각의 서브 통제 센터가 하나의 운행 통제 센터(300) 역할을 수행하면서 다수의 운전자 단말기(100)에 대하여 본 발명의 보험 적용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서브 통제 센터는 서로 간의 데이터 공유를 수행함으로써 특정 운전자 단말기(100)에 대한 정확한 보험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운행 통제 센터(300)는 본 발명에 따라서 보험 적용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데이터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컴퓨팅 자원을 운전자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운행 통제 센터(300)는 운전자 단말기(100)에 대하여 보험 적용이 실행되는 가상의 컴퓨팅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컴퓨팅 공간을 통해 보험 서비스 적용이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운행 통제 센터(300)는 보험 서비스에 적용할 데이터 및/또는 보험 적용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저장 공간을 통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행 통제 센터(300)는 보험 적용을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운전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서 해당 보험 적용을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거나, 해당 보험 적용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실행 후에 그 실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행 통제 센터(3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운행 통제 센터(300)는 센터 통신부(310), 센터 저장부(350) 및 센터 제어부(3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운행 통제 센터(300)는 센터 통신부(310)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웍(40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운전자 단말기(100)로부터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여 센터 제어부(360)에 전달한다. 그러면 센터 제어부(360)는 전달된 운전자 정보와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운전자에 관한 보험료 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터 통신부(310)는 통신 네트웍(400)과 일정한 통신 채널을 지원할 수 있다. 운행 통제 센터(300)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통신 네트웍(400)과 연결되는 경우 센터 통신부(310)는 인터넷 지원을 위한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터 통신부(310)는 운행 통제 센터(300)에서 구현된 통신 방식 및 통신 네트웍(400)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센터 통신부(310)는 센터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 일정 메시지를 차량(200)과 관련된 보험 계약자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보험 계약자로부터 특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메시지를 센터 제어부(3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터 통신부(310)는 차량(200) 운행을 시도하는 운전자가 보험 계약자가 아닌 경우, 차량(200)의 실제 보험 계약자에게 사전 설정된 차량 운행 관련 여부에 관한 메시지를 보험 계약자가 등록한 특정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통신부(310)는 보험 계약자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특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메시지를 센터 제어부(360)에 전달하고, 센터 제어부(360) 제어에 따라 차량 도난 처리 등과 관련된 경비 센터에 일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센터 제어부(360)는 보험료 산정 및 운전자 확인과 차량(200) 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구성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센터 제어부(360)는 센터 통신부(310)로부터 운전자 정보가 전달되면 센터 저장부(350)에 기 저장된 운전자 정보와 비교하여 어떠한 운전자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센터 제어부(360)는 운전자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차량 정보 또는 차량(200)이 직접 전달하는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센터 저장부(350)에 기 저장된 차량 정보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량(200)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센터 제어부(360)는 운전자 정보와 차량(200) 정보를 매칭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운전자 또는 차량(200) 정보를 기준으로 계약된 보험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센터 제어부(360)는 이후에 센터 통신부(310)가 운전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여 전달한 차량 운행 정보를 차량 운행 종료 시까지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차량 운행 종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센터 제어부(360)는 누적된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보험료를 산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센터 제어부(360)는 차량(200)의 출발지와 목적지 지역 및 경로에 대한 정보, 차량(200)의 종류, 운전자의 신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차량(200)의 환경 정보에 대해 고려하여 해당 운전자별 보험료 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센터 제어부(360)는 보험료 산정 시 차량(200)이 직접 전달하거나 운전자 단말기(100)가 전달한 차량(200)의 이동 거리, 차량(200)의 이동 속도, 차량의 관리 정보, 급발진이나 급정거 등의 횟수, 과속의 정도 등 차량(200)의 실질 운행 정보에 대해 고려하여 해당 운전자별 보험료 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센터 제어부(360)는 차량(200)과 관련된 환경 정보 및 실질 운행 정보를 각 운전자별로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운전자들의 특성에 맞는 보험료 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터 제어부(360)는 가족 보험과 같이 하나의 차량(200)에 다수의 운전자가 보험 계약자로 등록된 경우, 각 운전자 별로 차량 운행 정보와 운전자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보험료를 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운전 경력과 나이가 적은 운전자가 특정 차량(200)을 일정 거리만큼 운전한 경우 센터 제어부(360)는 운전 경력과 나이가 많은 운전자가 특정 차량(200)을 운전한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보험료를 적용하도록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센터 제어부(360)는 차량(200) 운행의 출발지와 목적지 및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200) 운행이 사고가 많은 지역들을 관통하는 경우 사고가 적은 지역들을 관통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보험료를 적용하도록 산정할 수 있다. 기타 센터 제어부(360)는 차량 운전자의 성별에 따라 차등 보험료를 적용할 수 도 있다.
한편 센터 제어부(360)는 차량(200) 시동 시 운전자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된 정보 예를 들면 지문 정보나 비밀번호 입력 정보가 기 등록된 정보들과 상이한 경우 즉 보험 계약자가 아닌 자가 특정 차량(200)의 운전자인 경우 센터 제어부(360)는 해당 차량(200)의 실질 보험 계약자가 계약 당시 등록한 휴대 단말기로 일정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보험 계약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정보는 차량 도난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제어부(360)는 해당 보험 계약자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차량 도난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운전자 단말기(100)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차량 도난 처리를 수행하는 특정 경비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센터 제어부(360)는 별도의 차량 도난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알람 메시지만을 해당 보험 계약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센터 저장부(350)는 보험료 산정을 위한 보험료 산정 알고리즘, 운전자 및 차량(200) 관련 정보 등을 저장한다. 보험료 산정 알고리즘은 센터 제어부(360)에 로드되어 운전자 단말기(100) 등으로부터 수신한 운전자 정보와 차량(200)의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일정한 보험료를 산정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센터 저장부(350)는 보험 계약 당시 차량(200) 정보 및 운전자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며, 차량(200) 운행 과정에서 수신하는 차량 운행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운행 정보는 차량(200) 운행 시마다 그리고 각 운전자별로 구별되어 누적 저장될 수 있다. 누적 저장된 정보는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에 따라 센터 제어부(360)에 전달되어 보험료 산정에 이용된다. 그리고 센터 저장부(350)는 운전자에 전송되는 보험료 청구서, 보험료 납입 확인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보험료 미납 상태의 차량(200)의 경우 해당 보험 계약자에게 일정 주기 단위로 보험료 납입을 위한 안내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행 통제 센터(300)는 운전자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되는 운전자 정보와 차량(200)의 운행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일정한 보험료 산정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개별화되고 적응적인 보험료 산정이 가능하여 적절한 보험료 산정을 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운전자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수집부(120,130), GPS 모듈(140), 저장부(150), 제어부(160), 전원부(170), 계측부(180), 시동부(19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집부(120,130)는 입력부(120) 또는 사용자 인증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운전자 단말기(100)는 해당 위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GPS 모듈(140)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운전자 단말기(100)는 GPS 모듈(140)의 구성을 생략하고 통신부(110)의 구성을 기반으로 운전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지원할 수 도 있다. 이를 위하여 운전자 단말기(100)는 통신부(11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즉 다수의 기지국들 또는 무선 기지국들로부터 기지국 정보를 수집하고, 각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추정을 위하여 운전자 단말기(100)는 다수의 기지국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운전자 단말기(100)는 건물 지하와 같은 GPS 모듈(140)의 운용이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운전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위치에서의 사고 발생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단말기(100)는 수집부(120,130)을 통하여 운전자 지문 정보 또는 비밀번호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운전자 단말기(100)는 운전자가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운전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사용자 인증부(130)를 이용하여 운전자 인증을 위한 지문 정보를 입력하면, 차량(200)과의 통신을 통하여 차량(200)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200) 정보와 운전자 정보를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송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운전자 단말기(100)는 차량(200)의 시동을 시작하기 위한 신호를 차량(200)에 전송하고, 차량(200) 운행에 따른 운행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를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운전자 단말기(100)는 운전자가 파지하고 휴대할 수 있을 정도의 일정한 외관과, 운전자 인증을 위한 입력부(120) 또는 사용자 인증부(130)가 외관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120)의 경우 운전자가 일정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숫자키 버튼이나 문자키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숫자키 또는 문자키를 이용하여 사전 등록한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정보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또한 시동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200) 시동을 위하여 시동키 버튼을 활성화하는 경우 시동 시작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시동부(190)를 통하여 시동 시작 신호를 차량(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 단말기(100)는 시동키 버튼을 사용자 인증부(130) 형태 즉 지문을 스캔할 수 있는 스캔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 단말기(100)는 운전자가 차량(200)을 시동시키기 위하여 시동키 버튼을 누르는 동안 운전자의 지문을 스캔하고, 스캔된 지문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하여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 단말기(100)는 지문 정보 전송과 함께 시동키 버튼 활성화에 따른 시동 시작 신호를 시동부(190)를 통하여 차량(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동부(190)는 차량(200)에 시동 시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200)은 시동부(19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또는 시동부(190)가 전송하는 시동 시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 형태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시동부(190)는 시동키 버튼이 활성화되면 사전 설정된 시동 시작 신호를 차량(200)에 전송하여 차량(200)이 시동을 시작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시동부(190)는 차량(200)과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차량(200)이 전송하는 차량(200)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시동부(190)의 시동 시작 신호 전송을 제어함과 아울러 차량(200)이 전송하는 차량(200)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 정보의 전송과 함께 운행 통제 센터(300)에 차량(200)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운행 통제 센터(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전자 단말기(100)가 전송한 운전자 정보 및 차량(200) 정보를 기반으로 적절한 보험 계약자가 운전자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GPS 모듈(140)은 운전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GPS 모듈(140)이 산출한 위치 정보를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GPS 모듈(140)을 일정 주기 단위로 활성화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 즉 출발지, 목적지 및 중간 경로에 대한 정보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GPS 모듈(140)의 위치 정보는 계측부(180)가 수집하는 센서 정보와 함께 운용되어 차량(200)의 운행 정보 산출에 이용될 수 있다.
계측부(180)는 운전자 단말기(100)의 이동에 따라 차량(200)의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계측부(18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하여 차량(200)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계측부(180)는 차량(200)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로 마련되어 차량(200)에 마련된 다양한 차량 센서 즉 차량(200)의 운행 속도와 거리, 운행 방향, 주정차 감지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들로부터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계측부(180)는 자체적으로 내장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수집하거나 또는 차량(200)이 전달한 차량 운행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차량 운행 정보는 차량 운행 시간, 운행 거리, 운행 거리 이동 소요 시간, 운행 횟수, 급발진 횟수, 운행 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운행 출발지와 목적지 및 경로 등에 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70)는 운전자 단말기(100)의 각 구성들의 초기화 및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전원부(170)는 충전용 배터리 형태로 마련되거나 1차 전지를 이용하되 교체가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전원부(170)는 전원을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전원부(170)가 공급하는 전원을 각 구성들이 필요로 하는 전원으로 분배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운전자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 입출력 시스템과 운영체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운전자 단말기(100) 구동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계측부(180)가 센서들을 포함하는 경우 각 센서들을 구동하기 위한 센서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GPS 모듈(140) 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사용자 인증부(130)가 정상적인 운전자의 지문 정보를 스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지문 스캔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50)는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달하는 운전자 정보와 차량(200)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차량(200) 시동을 위한 시동 시작 신호를 저장하고,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해당 시동 시작 신호를 시동부(19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운행 통제 센터(300) 및 운전자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집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연산하여 차량(200)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고가 발생한 경우 보험 적용 및 사고 처리를 위하여 사고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의 일정 시간에 대한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운전자 단말기(100)가 사고 관련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한 경우 운전자 단말기(100)는 해당 정보를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150)는 사고 발생 여부 검출을 위한 알고리즘을 더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 단말기(100) 및 운행 통제 센터(300)는 필요에 따라 사전 설정을 기반으로 특정 장소 예를 들면 사고 전담 처리 시스템을 운용하는 경찰소나 관공서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고 발생 확인 및 처리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험 적용 방법 중 운전자 단말기(100)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운전자 단말기(100) 운용 방법은 먼저 401 단계에서 시동 턴-온(on)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별도의 시동 턴-온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운전자 단말기(100)는 별도의 동작 수행 없이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401 단계에서 시동 턴-온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운전자 단말기(100)는 403 단계에서 보험 계약자 확인 과정을 수행하여 405 단계에서 운전자가 보험 계약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운전자 단말기(100)는 운전자의 지문 정보를 스캔하고, 스캔한 지문 정보를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단말기(100)는 운전자로부터 일정한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운전자 단말기(100)는 차량(2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시동 시작 신호를 차량(200)에 전송하는 한편 차량(200)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200) 정보를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405 단계에서 운전자 단말기(100)는 운행 통제 센터(300)로부터 해당 운전자가 해당 차량(200)의 보험 계약자가 아닌 경우 즉 운전자 단말기(100)가 전송한 지문 정보 및 비밀번호가 해당 차량(200)의 보험 계약자가 등록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407 단계로 분기하여 보험 계약자에게 차량(200) 운전 시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운전자 단말기(100)는 통신부(110)를 기반으로 사전 등록된 보험 계약자의 휴대 단말기에 일정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 단말기(100)는 409 단계로 분기하여 보험 계약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응답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 단말기(100)는 보험 계약자로부터 차량 도난 관련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GPS 모듈(140)을 이용하여 수집한 현재 위치 정보를 운행 통제 센터(300) 또는 사전 등록된 경비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단말기(100)는 차량(200) 시동 시작 신호 전달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 단말기(100)는 별도의 응답 수신이 없는 경우 차량 시동을 수행하되 별도의 차량 운행 정보 수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407 단계 및 409 단계는 실질적으로 메시지 전송 과정은 운행 통제 센터(300)에서 수행될 수 도 있다.
한편 405 단계에서 운전자가 보험 계약자임을 인정하는 정보를 운행 통제 센터(300)로부터 수신한 경우 운전자 단말기(100)는 411 단계로 분기하여 차량 운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별도의 차량 운행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운전자 단말기(100)는 4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일정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보험 계약자 설정에 따라 시동 종료 즉 운행 종료까지 별도의 동작 수행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411 단계에서 차량 운행에 해당하는 센서 신호들이 수집되면 운전자 단말기(100)는 413 단계로 분기하여 차량 운행 관련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운전자 단말기(100)는 차량 운행을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하는 계측부(1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시동 턴-온 이후 계측부(180)를 활성화하여 차량 운행에 따른 운행 시작/종료 시간, 운행 거리, 운행 거리 이동 소요 시간, 출발지와 목적지 및 경로 정보, 운행 속도, 운행 횟수, 급발진 및 급정거 정보 등을 포함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 단말기(100)는 별도의 센서를 마련하지 않고 차량(200)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마련하여 차량(200)이 수집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전달받을 수 도 있다.
다음으로 운전자 단말기(100)는 415 단계에서 차량 운행 관련 정보를 저장부(150)에 임시 저장함과 아울러, 통신부(110)를 통하여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운전자 단말기(100)는 임시 저장된 차량 운행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사고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사고 발생 시 해당 사고 발생에 따른 처리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운전자 단말기(100)는 417 단계에서 차량 운행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 운행 종료를 위한 별도의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4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험 적용 방법 중 운행 통제 센터(300)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운행 통제 센터(300) 운용 방법은 먼저 501 단계에서 운전자 단말기(100)들로부터 데이터 수신 이전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운행 통제 센터(300)는 503 단계로 분기하여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운행 통제 센터(300)는 운전자 단말기(100)가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전달하기 이전까지 501 단계를 유지하다가 503 단계에서 운전자 단말기(100)가 정보들을 전송하는 경우 해당 정보 수집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운행 통제 센터(300)는 운전자 단말기(100)로부터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505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정보들이 유효 정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운행 통제 센터(300)는 차량(200)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차량(200)의 보험 계약자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보험 계약자가 운전자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505 단계에서 수집된 운전자 정보의 운전자가 보험 계약자와 다른 경우 운행 통제 센터(300)는 507 단계로 분기하여 기 설정 정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행 통제 센터(300)는 507 단계에서 보험 계약자의 휴대 단말기에 해당 차량(200)의 운전 시도가 발생했음을 알람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운행 통제 센터(300)는 보험 계약자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 여부에 따라 차량 도난 신고 처리를 수행하거나, 별도의 차량 운행 정보 수집 과정을 취소할 수 있다.
한편 505 단계에서 운전자 정보가 유효한 경우 즉 보험 계약자가 운전자와 일치하는 경우, 509 단계로 분기하여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509 단계 또한 실질적으로 운전자 단말기(100)가 차량 운행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해당 운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후 운행 통제 센터(300)는 511 단계로 분기하여 차량 운행 종료를 위한 신호를 운전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별도의 차량 운행 종료를 위한 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509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511 단계에서 차량 운행 종료를 위한 신호를 운전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운행 통제 센터(300)는 513 단계로 분기하여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보험료 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운행 통제 센터(300)는 센터 저장부(350)에 저장된 보험료 산정 알고리즘을 로드하고, 운행 정보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 즉 차량 운행에 따른 운행 시작/종료 시간, 운행 거리, 운행 거리 이동 소요 시간, 출발지와 목적지 및 경로 정보, 운행 속도, 급발진 및 급정거 정보, 운전자의 신상 정보 및 운전 경력 등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보험료 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운행 통제 센터(300)는 운행 시작 시간이 상대적으로 사고 발생이 높은 시점 예를 들면 자정 이후나 새벽 등의 시점 또는 오후 식사 시간을 기준으로 후발 일정 시간 내에 차량(200)을 운행하는 경우 해당 시점의 운전 행위에 대하여 보다 높은 보험료 적용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사고 발생이 적은 운행 시작 시점에 차량(200)이 운행되는 경우 그에 따른 보험료 적용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보험료 산정이 완료되면 운행 통제 센터(300)는 515 단계로 분기하여 청구서 작성을 수행하는 한편, 작성된 청구서를 등록된 보험 계약자 또는 운전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513 단계의 보험료 산정은 운행 정보 수집 시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운행 통제 센터(300)는 시스템 연산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하여 일정량 이상의 운행 정보를 수집하였거나, 511 단계에서와 같이 운행 종료를 위한 신호 수신한 경우 누적된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보험료 산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운행 통제 센터(300)는 515 단계의 청구서 작성 및 전송 과정을 일정 주기 예를 들면 한달 주기 등으로 설정된 주기에 따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운전자 단말기(100) 또는 운행 통제 센터(300)에서 연산될 수 있는 사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보험 적용에 있어서 사고 처리 방법은 601 단계에서 차량 운행 정보가 수집되면, 운전자 단말기(100) 또는 운행 통제 센터(300)는 603 단계에서 데이터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필터링 과정은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 중에서 사고 발생만을 검출하기 위하여 특징점 추출을 위한 데이터 필터링이 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필터링 과정은 차량 운행 정보에 포함된 운동 객체의 움직임 정보 중에서 충돌 등에 의한 사고 발생과 유사한 움직임 정보를 보이는 운동 객체들의 정보들만을 필터링하는 과정이 될 수 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 필터링 과정은 사고 발생 검출에 적용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이나 연산 방식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필터링 과정은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로부터 사고 발생을 빠르게 검지하기 위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단순화하는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603 단계에서 데이터 필터링 과정이 수행되면, 운전자 단말기(100) 또는 운행 통제 센터(300)는 이후 필터링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사고 발생 검지를 위한 정보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정보 분석 과정은 필터링된 차량 운행 정보들에서 사고 발생을 나타내는 특징점들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이때 사고 발생 검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고 발생 시 나타나는 다양한 데이터 특징점들이 일정 비율 이상 나타나는 경우 운전자 단말기(100) 또는 운행 통제 센터(300)는 사고 발생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일정 비율 이하인 경우 몇몇 특징점들이 필터링된 데이터들로부터 나타난다 하더라도 사고 미발생으로 처리할 수 있다. 사고 발생 검지의 기준이 되는 특징점들에 대한 정보는 운전자 단말기(100) 또는 운행 통제 센터(300)의 저장부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사전 저장될 수 있으며, 사고 발생 검지 시 호출되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운전자 단말기(100) 또는 운행 통제 센터(300)는 607 단계에서 사고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별도의 사고 발생이 없는 경우 6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607 단계에서 사고 발생으로 판별되는 경우 사고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고, 해당 정보를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송하고 사고 전담 처리를 수행하는 부서의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부서의 장치는 단말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운행 통제 센터(300)는 사고 발생에 따른 처리 확인을 수행하고, 운전자의 실수 등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보험료 산정 및 보험 지급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사고 발생 여부를 검지하는 과정은 차량 운행 종료뿐만 아니라 차량 운행이 임시 종료되는 주정차 과정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사고 발생 여부 검지를 위해서는 일정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 단말기(100)가 충분한 전원을 반영구적으로 지원되지 않는 이상 효율적인 면에서 차량 운행 시에만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필요에 따라 일정 시점 예를 들면 운전자가 지시하는 시기에 운전자 단말기(100)는 사고 발생 여부 검지를 위한 루틴을 수행하여 다른 차량들로부터의 충돌을 확인하고 해당 충돌이 발생한 시점 전후에 대한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보다 면밀한 사고 발생 검지를 위하여 운전자 단말기(100)는 이미지 수집 센서를 마련하여 차량(200)의 주변에 대한 이미지를 수집하고, 수집된 이미지 정보를 차량 운행 정보로서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운전자 단말기(100)는 차량(200)에 장착된 이미지 수집 센서를 일정 시점에 활성화하고, 해당 이미지 수집 센서가 수집한 이미지 정보를 차량 운행 정보로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사고 발생 검지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소 연산량이 높은 데이터 처리를 요구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 단말기(100)는 차량 운행 정보의 수집과 전달만을 수행하여 운행 통제 센터(300)에서 해당 사고 발생 검지를 수행하도록 지원하고, 운전자 단말기(100)에서는 별도의 사고 발생 검지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운전자 단말기(100)와 운행 통제 센터(300) 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은 운전자의 정보 보호를 위하여 암호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단말기(100)가 운행 통제 센터(300)에 운전자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해당 운전자 정보들은 공개키 기반 또는 대칭키 기반으로 암호화된 후 운행 통제 센터(300)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운행 통제 센터(300)가 운전자 단말기(100)에 청구서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도 해당 정보는 다양한 암호화 과정을 통하여 암호화된 이후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은 상술한 기 기반 암호화 과정 이외에도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한 암호화가 수행될 수 있으며, 해당 암호화 알고리즘 적용을 위하여 상기 운전자 단말기(100)와 운행 통제 센터(300)는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 적용할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한 정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 및 방법은 운전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차량(200) 운전을 수행하는 운전자가 보험 계약을 수행한 운전자인지를 확인하고, 해당 운전자별 운행 특성 및 운전자 이력 등을 기반으로 개별적이며 적절한 보험료 산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 및 방법은 부적절한 차량 운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고 발생에 따른 빠른 처리 및 보험 지급을 수행하여 서비스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 이를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 운전자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 차량에 가입된 보험 가입자별 특화된 보험료를 산정함으로써 다양한 가입자들의 특성에 맞는 최적화된 차량 보험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자동차 보험 서비스 체계를 구현할 수 있고, 추가로 차량 도난 방지 및 사고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10 :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 100 : 운전자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사용자 인증부 140 : GPS 모듈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전원부 180 : 계측부
190 : 시동부 200 : 차량
300 : 운행 통제 센터 310 : 센터 통신부
350 : 센터 저장부 360 : 센터 제어부
400 : 통신 네트웍

Claims (17)

  1. 운전자의 지문 정보 및 운전자가 입력하는 비밀번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차량의 시동을 시작시켜 차량 운행에 따른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운전자 단말기;
    상기 지문 정보 및 상기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운전자가 보험 계약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한 경우 상기 운전자와 관련된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의 차량 운전에 대한 보험료 산정을 수행하는 운행 통제 센터;
    상기 운전자 단말기에 의하여 시동을 시작하는 차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
  2. 운전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센터 통신부;
    보험료 산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센터 저장부;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보험료 산정을 수행하며, 청구서 작성과 전송을 제어하는 센터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험 적용을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확인 시 상기 운전자가 보험 계약자가 아닌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기 및 상기 운행 통제 센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전 등록된 보험 계약자의 휴대 단말기로 차량 운전 시도에 대한 일정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일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차량 도난 신고 처리를 수행하거나, 차량 운행 정보 수집을 취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험 적용을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사고 발생 검지를 수행하고,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일정 기간 동안의 차량 운행 정보를 저장 및 사전 설정된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험 적용을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신상 정보와 상기 운전자의 경력 및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 정보와,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차량 사고 발생 정보를 기반으로 각 정보들의 차이에 따라 보험료를 다르게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험 적용을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
  6. 운전자 지문 정보 또는 비밀번호 중에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수집부;
    차량의 운행에 따른 차량 운행 정보 수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계측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차량 시동을 위한 시동 시작 신호를 상기 차량에 전달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시동부;
    운행 통제 센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수집부가 수집한 정보, 상기 계측부가 수집한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시동부가 수신한 차량 정보를 상기 운행 통제 센터에 전송하며, 선택적으로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험 적용을 지원하는 운전자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운행에 따른 운행 시작/종료 시간, 운행 거리, 운행 거리 이동 소요 시간, 출발지와 목적지 및 경로 정보, 운행 속도, 운행 횟수, 급발진 및 급정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차량 운행 정보로 수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험 적용을 지원하는 운전자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사고 발생 검지를 수행하고,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일정 기간 동안의 차량 운행 정보를 저장 및 사전 설정된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험 적용을 지원하는 운전자 단말기.
  9. 운전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 단말기에 의한 시동 시작 신호를 기반으로 차량이 운행되는 단계;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차량 운행에 따른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운행 통제 센터가 상기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행 통제 센터가 상기 운전자의 차량 운전에 대한 보험료 산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험 적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운전자 단말기에 마련된 입력부를 이용하여 일정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를 상기 운행 통제 센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행 통제 센터가 상기 비밀번호 유효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운전자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험 적용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운전자 단말기에 마련된 사용자 인증부를 이용하여 지문을 스캔하는 단계;
    상기 스캔된 지문 정보를 상기 운행 통제 센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행 통제 센터가 상기 지문 정보 유효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운전자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험 적용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상기 차량 운행에 따른 운행 시작/종료 시간, 운행 거리, 운행 거리 이동 소요 시간, 출발지와 목적지 및 경로 정보, 운행 속도, 운행 횟수, 급발진 및 급정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험 적용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 또는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상기 운행 통제 센터가 차량의 사고 발생 검지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험 적용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료 산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운행 통제 센터가 상기 운전자의 신상 정보, 상기 운전자의 경력 및 이력 정보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각 정보들의 차이에 따라 보험료를 다르게 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험 적용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가 보험 계약자가 아닌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기 및 상기 운행 통제 센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전 등록된 보험 계약자의 휴대 단말기로 차량 운전 시도에 대한 일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일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차량 도난 신고 처리를 수행하거나, 차량 운행 정보 수집 단계를 취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험 적용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 단말기와 상기 운행 통제 센터 간의 데이터을 일정 키 기반으로 암호화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험 적용 방법.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보험 적용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05931A 2011-01-20 2011-01-20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 이를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 운전자 단말기 및 방법 KR20120087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931A KR20120087338A (ko) 2011-01-20 2011-01-20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 이를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 운전자 단말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931A KR20120087338A (ko) 2011-01-20 2011-01-20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 이를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 운전자 단말기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338A true KR20120087338A (ko) 2012-08-07

Family

ID=46872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931A KR20120087338A (ko) 2011-01-20 2011-01-20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 이를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 운전자 단말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73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0971A (zh) * 2017-09-19 2018-04-03 大象慧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指纹识别查询个人电子发票的系统及方法
KR20210025818A (ko) 2019-08-28 2021-03-10 강동연 스마트폰 입력행위 분석을 통한 안전운전 포인트 제공 시스템
KR20210071202A (ko) 2019-12-06 2021-06-16 강동연 입력창 커서 깜박임 분석을 통한 운전중 스마트폰 감시 앱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그를 포함하는 운전중 스마트폰 사용증거 수집 시스템
KR20220130537A (ko) * 2021-03-18 2022-09-27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시동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0971A (zh) * 2017-09-19 2018-04-03 大象慧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指纹识别查询个人电子发票的系统及方法
KR20210025818A (ko) 2019-08-28 2021-03-10 강동연 스마트폰 입력행위 분석을 통한 안전운전 포인트 제공 시스템
KR20210071202A (ko) 2019-12-06 2021-06-16 강동연 입력창 커서 깜박임 분석을 통한 운전중 스마트폰 감시 앱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그를 포함하는 운전중 스마트폰 사용증거 수집 시스템
KR20220130537A (ko) * 2021-03-18 2022-09-27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시동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1896B1 (en) A geo-proximity vehicle alert and access system for security and package exchange efficiency
EP3216307B1 (en) Hacker security solution for package transfer to and from a vehicle
EP3201055B1 (en) End to end system for service delivery to and from a vehicle using a dongle
US10078831B2 (en) Connected toll pass
US20160098670A1 (en) Technological and Financial Partnerships to Enable a Package Exchange Service
JP5517393B2 (ja) 移動体課金システム、移動体課金システムによる移動体課金方法
CN111932428B (zh) 乘车服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7111937A (zh) 用于交通流量优化的受管理使用权系统
CN104670158A (zh) 一种电动车安全控制系统及其方法
JP2007183749A (ja) 自動車管理装置、車載器、携帯端末、カーシェアリング管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207795A1 (en) Vehicular burglar proof system and method
JP2009198418A (ja) 携帯通信機および携帯通信機用のプログラム
CN109492850A (zh) 车辆分配系统和车辆分配控制服务器
KR20160019331A (ko) 자동차 보험료 산출 시스템
KR20180073509A (ko) 통행료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149381A (ja) 管理装置、運搬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87338A (ko) 차량 보험 적용 시스템, 이를 지원하는 운행 통제 센터, 운전자 단말기 및 방법
CN114120485A (zh) 车辆、认证系统、非暂时性计算机能够读取的介质以及认证方法
US10710554B2 (en) Telematics device and method for taking out vehicle insurance and estimating insurance fees
US20170076279A1 (en) Authenticating purchases made with a handheld wireless device using a vehicle
US11427140B2 (en) Shared vehicle I/O expander
US20210326480A1 (en) Device for shared vehicle misuse management
CN115018580A (zh) 一种物品购买方法及装置
US110388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fingerprint determination in a transportation service
US11348106B2 (en) Vehicle refueling authent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